KR20110095496A -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배방법 - Google Patents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496A
KR20110095496A KR1020100014994A KR20100014994A KR20110095496A KR 20110095496 A KR20110095496 A KR 20110095496A KR 1020100014994 A KR1020100014994 A KR 1020100014994A KR 20100014994 A KR20100014994 A KR 20100014994A KR 20110095496 A KR20110095496 A KR 20110095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ortion
inner cylinder
outer cylinder
inlet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9698B1 (ko
Inventor
차종헌
Original Assignee
차종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종헌 filed Critical 차종헌
Priority to KR1020100014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6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5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powdered or 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3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plug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turning a cylindrical or conical plug without axial passag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는 정량 디스펜서에 사용된다. 디스펜서는 투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분배장치는, 투입부를 통하여 상부로부터 투입된 입자형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투입구를 상부에 구비하고 있고 유입된 재료를 배출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를 하부에 구비하고 있는 외통부, 및 외통부의 내면과 접한 상태로 외통부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고, 소정의 용량을 가진 내통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내통부는 제 1 구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구가 외통부의 투입구와 겹쳐져서 재료를 내통부에 수용할 수 있는 제 1 위치, 및 제 1 구가 외통부의 배출구와 겹쳐져서 재료를 배출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배방법 {Apparatus for Dispenser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피 등의 입자형 재료를 분배하는 디스펜서용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조작으로 정량의 재료를 분배할 수 있고, 또한 분배되는 재료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디스펜서용 분배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알곡류 또는 커피와 같은 입자형 재료의 경우, 포장 또는 사용 단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정량으로 재료를 분배할 필요가 있다. 커피를 수작업으로 포장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다량의 커피 원두 또는 분말을 일정량으로 개별 포장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포장 작업자가 커피의 무게 또는 부피를 일일이 잰 후에 포장하여 왔다. 또한, 커피를 추출하는 경우에 포장된 커피 재료를 필요한 양만큼 덜어서 사용하여야 하는데, 기존에는 저울 등의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량을 분배하여 왔다.
한편, 대량의 재료를 소량으로 분배하기 위하여 디스펜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동 디스펜서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정량대로 재료를 분배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정량으로 재료를 분배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의 숙련된 기술에 의존하거나, 분배 후의 재료의 양을 측정하여 미달되거나 과한 경우 재료를 보충 또는 제거하는 방식으로 정량을 맞추어 왔다. 그러나, 사용자의 숙련된 기술에 의존하는 것은 주관적인 기술에 불과한 것이므로 일반 사용자는 용이하게 반복 실시할 수 없고, 분배 후의 양을 측정하여 재료의 양을 가감하는 방식은 디스펜서를 사용하는 단계 외에 별도의 측정 및 보충 작업을 요하는 것이므로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이 자명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디스펜서의 단점을 개선하여, 수동 분배작업 시에 간단한 작업으로 정량의 분배가 가능하고, 또한 분배되는 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디스펜서용 분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는 정량 디스펜서에 사용된다. 디스펜서는 투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다. 분배장치는, 투입부를 통하여 상부로부터 투입된 입자형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투입구를 상부에 구비하고 있고 유입된 재료를 배출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를 하부에 구비하고 있는 외통부, 및 외통부의 내면과 접한 상태로 외통부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고, 소정의 용량을 가진 내통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내통부는 제 1 구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구가 외통부의 투입구와 겹쳐져서 재료를 내통부에 수용할 수 있는 제 1 위치, 및 제 1 구가 외통부의 배출구와 겹쳐져서 재료를 배출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통부는 내면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서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내통부는 외통부의 내면에 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외통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외통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내통부는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베이스부에는 사용자가 내통부를 외통부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 1 레버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통부의 내부에는 내통부의 용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내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통부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는 용량조절컵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내통부의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조절노브를 더 포함하고, 조절노브와 용량조절컵은 나사결합되어있고 용량조절컵은 내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만 가능하도록 가이드되어서 조절노브의 회전에 따라 용량조절컵이 내통부의 내부에서 내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내통부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 외통부의 배출부에 대응되는 내통부의 부분에 개폐가능한 제 2 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내통부는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내통부의 베이스부에서부터 내통부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부를 더 포함하고 있고, 슬릿부에 삽입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베이스부에서 조작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제 2 구를 개폐가능한 개폐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를 이용하여 입자형 재료를 정량으로 분배하기 위해서는, 투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는 외통부의 내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하고 소정의 용량을 가진 내통부의 제 1 구를 외통부의 투입구와 겹쳐지도록 내통부를 회전하는 단계, 외통부의 투입구와 내통부의 제 1 구를 통하여 입자형 재료를 투입하여 내통부를 완충시키는 단계, 내통부에 수용된 재료를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하여 내통부의 제 1 구가 외통부의 배출구와 겹쳐지도록 내통부를 회전하는 단계를 거쳐 재료를 정량으로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내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내통부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는 용량조절컵을 이용하여 내통부의 용량을 소정의 용량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재료가 외통부의 투입구로부터 배출구로 직접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내통부의 제 1 구가 외통부의 투입구와 겹쳐질 때, 외통부의 배출구와 대응되는 내통부의 부분에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제 2 구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용 분배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회전 조작만으로 재료를 정량 분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간단한 회전 조작만으로 분배되는 재료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마다 각각 필요로하는 재료의 정량을 용이하게 맞추어 재료를 분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용 분배장치를 사용하면 정량의 분배 작업 뿐만 아니라 일괄적으로 재료를 흘려 내려 보낼 수도 있으므로 다용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가 사용된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분배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분배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분배장치의 외통부, 내통부, 슬릿부 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가 장착된 디스펜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디스펜서(100)는 하우징(101) 내외부에 분배장치(1)가 장착되어 있고, 하우징(101)의 상부는 뚜껑(102)을 이용하여 개폐가능하며, 뚜껑(102)을 개방하면 투입부(103)로 접근이 가능하다. 투입부(10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배장치(1)의 외통부(2)의 투입구(24)와 연결되어 있어서, 알곡류 또는 커피 등의 입자형 재료를 투입부(103)에 쏟아붓는 작업만으로 재료를 분배장치(1)에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 투입부(103)는 재료가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101)의 하부에는 배출부(104)가 형성되어 있는데, 배출부(10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배장치(1)의 외통부(2)의 배출구(25)와 연결되어 있어서, 분배장치(1)로부터 분배된 재료를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1)은 사각형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원형이나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분배장치(1)의 대부분의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디스펜서(100)의 하우징(101)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분배장치(1)의 조절레버(34, 42) 등이 하우징(101)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분배장치(1)의 외통부(2)의 투입구(24)는 예컨데 깔데기 형상의 투입부(103)와 연결되게 된다.
도 3은 도 2의 분배장치(1)의 분해조립도이고, 도 4는 분해장치(1)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단면도, 도 5는 분해장치(1)를 위에서 바라본 평단면도이다. 분배장치(1)는 전체적으로 외통부(2) 및 내통부(3)로 구성되어 있다. 외통부(2)는 내부에 내통부(3)를 수용하여 내통부(3)가 외통부(2)에 대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외통부(2)의 내부는 원통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통부(2) 하우징(101)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외통고정부(21)가 하우징(101)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외통부(2)의 상부에는 투입구(24)가 형성되어 있고, 투입구(24)는 디스펜서(100) 하우징(101)의 상부로 개방되어 있는 투입부(103)와 연통되어 있다. 투입부(103)를 통하여 투입된 입자형 재료는 투입구(24)를 거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통부(3)의 내부에 투입된다. 한편, 외통부(2)의 하부에는 배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25)는 투입구(24)로 유입된 재료가 중력의 영향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투입구(24)와 대향하는 외통부(2)의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25)는 하우징(101)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부(104)와 연통되어 있어서 분배장치(1)에 의해 분배된 재료를 디스펜스(100) 외부로 분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통부(3)는 내통수용부(31)와 베이스부(32)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내통부(3)는 외통부(2), 구체적으로는 외통고정부(21)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특히, 내통부(3)의 내통수용부(31)가 외통고정부(21)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데, 내통부(3)가 외통부(2)의 내면(외통고정부(21)의 내면)과 접한 상태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내통부(3), 특히 내통수용부(31)는 외통부(2)의 내면과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통부(3)는 사용자가 분배하고자하는 용량, 특히 분배하고자하는 최대용량에 해당하는 체적을 갖추고 있다. 내통부(3)는 이처럼 용량이 규격화되어 제작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통부(3)에 재료를 완충시키는 방식으로 재료를 정량으로 분배할 수 있게 된다. 내통부(3)의 일측면에는 외통부(2)의 투입구(24) 및 배출구(25)에 대응하도록 제 1 구(34)를 구비하고 있다. 내통부(3)는 하우징(100) 내부에 고정된 외통부(2)에 대하여 내통부(3)를 회전시킴으로써 내통부(3)의 제 1 구(34)가 외통부(2)의 투입구(24)와 겹쳐지는 제 1 위치 및 제 1 구(34)가 외통부(2)의 배출구(25)와 겹쳐지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다. 내통부(3)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내통부(3)의 내부, 즉 내통수용부(31)의 내부는 하우징(101)의 투입구(103)와 연통되게 되므로 투입되는 재료가 내통부(3) 내부에 채워질 수 있다. 재료가 채워진 것을 확인한 후, 내통부(3)를 외통부(2)에 대하여 다시 회전시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내통부(3)의 제 1 구(34)가 외통부(2)의 배출구(25)와 겹쳐지게 되고, 결국에 제 1 구(34)는 배출구(25)와 결합된 하우징(101)의 배출부(104)와 연통되므로 내통부(3)에 채워진 재료는 배출부(104)를 통하여 하우징(101)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통부(3)는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용량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 1 위치에서 재료를 내통부(3)에 완충시킨 후에 제 2 위치로 내통부(3)를 회전시켜배출함으로써 재료를 정량 분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업시에 재료가 외통부(2)와 내통부(3) 사이에 끼이거나 잔류하여 분배 작업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통부(2)의 투입구(24) 및 배출구(25)는 내통부(3)의 제 1 구(34)에 비하여 다소 넓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구멍 각각의 내측면이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겹쳐졌을 경우에 대체로 동일한 경사를 가지면서 연속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내통부(3)를 외통부(2) 내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와 같이, 내통부고정링(22)을 하우징(101)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내통부(3)를 내통부고정링(22)을 통하여 외통고정부(21) 내부로 삽입한 후, 내통부(3)의 베이스부(32)의 외측면과 내통부고정링(22)의 내측면 사이를 베어링(23)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한편, 베이스부(32)에는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장착된 내통부 조절레버(제 1 레버)(34)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조절레버(34)를 조절함으로써 내통부(3)를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내통부(3)의 고정 방식은 일례에 불과하며, 내통부(3)를 외통부(2) 내부에 삽입하여 회전지지할 수 있도록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응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통부(3)의 내부에는 용량조절컵(4)에 구비되어 있다. 용량조절컵(4)은 내통부(3), 즉 내통수용부(31)의 단면에 상응하는 단면적으로 형성된다. 용량조절컵(4)은 내통부(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내통부(3)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다. 도 4는 용량조절컵(4)이 밀려나와 내통부(3)의 내부를 구획한 것을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용량조절컵(4)의 위치에 따라 내통부(3)가 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총 용량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가 용량조절컵(4)의 위치를 내통부(3)의 내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절노브(41)가 하우징(101) 외부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절노브(41)는 반구형으로 제작되며, 베어링(33) 등의 요소를 이용하여 내통부(3)의 베이스부(32)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조절노브(41)와 용량조절컵(4)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용량조절컵(4)에는 조절노브(41)를 향하여 볼트(44)가 돌출되어 있다. 용량조절컵(4)의 볼트(44)는 조절노브(41)에 형성되어 있는 홈(43)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한편, 용량조절컵(4)은 내통부(3)의 내부에서 내통부(3)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만 가능하도록 가이드된다. 이를 위하여, 도 2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통수용부(31)의 내면에는 가이드홈(45)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용량조절컵(4)의 외표면에는 플랜지(46)를 형성하여 플랜지(46)가 가이드홈(45)을 따라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통수용부(31)를 제작하면서 형성되게 되는 내면의 굴곡 등에 의하여 용량조절컵(4)이 직선 안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용량조절컵(4)은 내통부(3)의 내부에서 직선운동만 가능하도록 구속되어 있고, 조절노브(41)와 용량조절컵(4)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조절노브(41)는 베이스부(32)에 대하여 회전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조절노브(41)에 장착된 조절레버(42) 등을 이용하여 조절노브(41)를 회전시키면, 나사결합이 잠기거나 풀리면서 용량조절컵(4)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용량조절컵(4)의 이동에 따른 내통부(3)의 용량 변화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조절노브(41) 및 조절레버(42)에 인접한 하우징(101)의 외측면에 조절노브(41) 또는 조절레버(42)의 조절 양에 따른 내통부(3)의 용량 변화에 관한 안내 표시를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통부(3)는 제 1 구(34)와 함께 제 2 구(35)를 구비할 수 있다. 제 2 구(35)는 내통부(3)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외통부(2)의 배출구(25)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구(35)는 개폐막(5)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다. 디스펜서(100)는 입자형 재료를 정량 분배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재료를 투입부로부터 배출부까지 단순히 통과시켜 모으고자 할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내통부(3)를 제 1 위치에 두고 제 2 구(35)를 개방하면 재료가 외통부(2)의 투입구(24), 내통부(3)의 제 1 구(34), 내통부(3)의 내부, 내통부(3)의 제 2 구(35), 및 외통부(2)의 배출구(25)를 차례로 통과하여 하우징(101)의 배출부(104)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개폐막(5)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내통부(3)의 베이스부(32)의 측벽으로부터 시작하여 내통부(3)의 내통수용부(31)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슬릿부(52)에 삽입되어 있다. 개폐막(5)은 베이스부(32) 측에서 접근가능한 개폐막 조절손잡이(51)를 구비하고 있어서, 조절손잡이(51)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에 의하여 개폐막(5)으로 제 2 구(35)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1)가 장착된 디스펜서(100)를 이용하여 커피 등의 입자형 재료를 분배하기 위해서는, 먼저 내통부(3)의 조절레버(34)를 사용하여 내통부(3)를 회전시켜 내통부(3)의 제 1 구(34)를 외통부(2)의 투입구(24)와 겹쳐지도록 한다. 그런다음, 디스펜서(100)의 뚜껑(102)을 열고 투입부(103)를 통하여 재료를 투입한다. 내통부(3)는 소정의 규격화된 부피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므로 재료를 내통부(3)에 완충시키는 것으로 재료를 정량으로 분배할 수 있게 된다. 재료가 내통부(3)에 완충된 후에, 다시 조절레버(34)를 돌려 내통부(3)의 제 1 구(34)가 외통부(2)의 배출구(25)에 겹쳐지도록 하여, 내통부(3)에 담겨진 재료가 배출구(25) 및 배출부(104)를 통하여 디스펜서(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사용자는 정량으로 배출된 재료를 수집하여 의도한 목적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배장치(1)는 용량조절컵(4)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용량조절컵(4)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절레버(42)를 회전시킴으로써 내통부(3) 내부에서 용량조절컵(4)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조절레버(42)의 회전 정도에 대하여, 용량조절컵(4)에 의해 구획되는 내통부(3)의 용량을 미리 결정하여 두면, 사용자는 이러한 지침에 따라 조절레버(42)를 돌려 용량조절컵(4)의 위치를 조절하여 재료가 담길 내통부(3)의 용량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정량 분배를 위한 목적 외에도, 재료가 외통부(2)의 투입구(24)로부터 배출구(25)로 직접 배출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조절레버(34)를 이용하여 내통부(3)의 제 1 구(34)를 외통부(2)의 투입구(24)와 겹쳐지도록 놓고, 개폐막(5)의 조절손잡이(51)를 잡아당겨 내통부(3)의 제 2 구(35)를 개방한다. 이렇게 되면, 외통부(2)의 투입구(24), 내통부(3)의 제 1 구(34), 내통부(3)의 제 2 구(35), 및 외통부(2)의 배출구(25)가 연속하여 개방된 상태가 되므로 투입된 재료는 디스펜서(100)의 투입부(103)로부터 배출부(104)까지 그대로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이에 따른 실시예를 기초로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Claims (9)

  1. 투입부와 배출부가 구비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를 통하여 상부로부터 투입된 입자형 재료를 수용하기 위한 투입구를 상부에 구비하고 있고, 유입된 상기 재료를 상기 배출부로 토출시키기 위한 배출구를 하부에 구비하고 있는 외통부, 및
    상기 외통부의 내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외통부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고, 소정의 용량을 가진 내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통부는 제 1 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구가 상기 외통부의 상기 투입구와 겹쳐져서 상기 재료를 상기 내통부에 수용할 수 있는 제 1 위치, 및 상기 제 1 구가 상기 외통부의 상기 배출구와 겹쳐져서 상기 재료를 상기 배출부로 토출시킬 수 있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부는 내면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내통부는 상기 외통부의 내면에 접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외통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외통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내통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내통부를 상기 외통부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 1 레버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의 내부에는 상기 내통부의 용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내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내통부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는 용량조절컵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의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조절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노브와 상기 용량조절컵은 나사결합되어있고 상기 용량조절컵은 상기 내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운동만 가능하도록 가이드되어서 상기 조절노브의 회전에 따라 상기 용량조절컵이 상기 내통부의 내부에서 상기 내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는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외통부의 상기 배출부에 대응되는 상기 내통부의 부분에 개폐가능한 제 2 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내통부의 상기 베이스부에서부터 상기 내통부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부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슬릿부에 삽입되어 있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에서 조작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상기 제 2 구를 개폐가능한 개폐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장치.
  7. 입자형 재료를 정량으로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투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는 외통부의 내면에 접하여 회전가능하고 소정의 용량을 가진 내통부의 제 1 구를 상기 외통부의 상기 투입구와 겹쳐지도록 상기 내통부를 회전하는 단계,
    상기 외통부의 상기 투입구와 상기 내통부의 상기 제 1 구를 통하여 입자형 재료를 투입하여 상기 내통부를 완충시키는 단계,
    상기 내통부에 수용된 상기 재료를 상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내통부의 제 1 구가 상기 외통부의 상기 배출구와 겹쳐지도록 상기 내통부를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내통부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는 용량조절컵을 이용하여 상기 내통부의 용량을 소정의 용량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가 상기 외통부의 상기 투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직접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내통부의 상기 제 1 구가 상기 외통부의 상기 투입구와 겹쳐질 때, 상기 외통부의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상기 내통부의 부분에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제 2 구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00014994A 2010-02-19 2010-02-19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KR101179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994A KR101179698B1 (ko) 2010-02-19 2010-02-19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994A KR101179698B1 (ko) 2010-02-19 2010-02-19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496A true KR20110095496A (ko) 2011-08-25
KR101179698B1 KR101179698B1 (ko) 2012-09-04

Family

ID=44931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994A KR101179698B1 (ko) 2010-02-19 2010-02-19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51245B (zh) * 2015-08-18 2020-12-08 埃科莱布美国股份有限公司 固体化学清洁剂的施配装置和系统
KR101896075B1 (ko) * 2017-06-07 2018-09-07 김용태 분말 배출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270Y1 (ko) * 2002-02-04 2002-05-11 김종운 분말 정량공급기
DE202005007205U1 (de) 2005-05-06 2005-07-21 Wella Ag Behälter mit einer Einrichtung zum Abgeben von Produk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698B1 (ko) 2012-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510611A5 (ko)
CN103732110B (zh) 用于分配测量量的松散材料的系统和方法
JP5847072B2 (ja) コーヒー豆パッケージ、及び一定量のコーヒー豆を小出しする方法
US8028865B2 (en) Two-way dispenser cap with metered and unmetered selection
JP6701323B2 (ja) 固体化学洗浄剤のための分配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JP2011507087A (ja) バラ製品の計量販売用自動装置
KR20190062484A (ko) 맞춤형 커피의 혼합물을 얻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0980510A1 (en) Measuring and dispensing system for solid dry flowable materials
JP2008161680A (ja) 粉末状の媒質を計量して配出するための器具
US8181830B2 (en) Powder dispenser
US5758803A (en) Milk powder dispenser
US20190357720A1 (en) Apparatuses for loading portafilters of espresso coffee machines with doses of ground coffee having predetermined weights and composed of different types of coffee, according to given recipes
KR101179698B1 (ko)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US4079860A (en) Manually operated controlled volume dispenser for free-flowing product
KR20180131451A (ko)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를 위한 도징 장치 및 이 장치로 구현된 도징 방법
JP5575210B2 (ja) 計量供給装置
JP3544746B2 (ja) 粉末状製品の計量装置
TWI653434B (zh) 材料計量裝置及材料計量方法
CA3067049C (en) Manually-operated granular substance dispenser
KR102582505B1 (ko) 파우더 저장 및 분배장치
KR20150106289A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JP2704177B2 (ja) 流動性材料ディスペンサー
RU2293952C1 (ru) Дозатор сыпучих веществ
JP3160995U (ja) 粉粒状物の振出具
KR20150043957A (ko) 정량토출구조를 갖춘 곡물보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