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451A -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를 위한 도징 장치 및 이 장치로 구현된 도징 방법 - Google Patents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를 위한 도징 장치 및 이 장치로 구현된 도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451A
KR20180131451A KR1020180061336A KR20180061336A KR20180131451A KR 20180131451 A KR20180131451 A KR 20180131451A KR 1020180061336 A KR1020180061336 A KR 1020180061336A KR 20180061336 A KR20180061336 A KR 20180061336A KR 20180131451 A KR20180131451 A KR 20180131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filter holder
compartments
ground coffee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아코모 아비아티
Original Assignee
그루포 침발리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루포 침발리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그루포 침발리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80131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2Liquid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4Automatic starting or stopping devices; War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0Parts or details relating to discharge, receiving container or the like; Bag clamps, e.g. with means for actuating electric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3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to be used with loose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4Powder do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2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incorporated grinding or roasting means for coffe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1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dis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 A47J42/40Parts or details relating to discharge, receiving container or the like; Bag clamps, e.g. with means for actuating electric switches
    • A47J42/42Drawers for receiving groun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로 미리 정해진 분량의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도징 장치에 대한 것이다.
상기 도징 장치는 다수의 격실(17A~17F)이 제공된 캐러셀 본체(13)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각각의 격실의 체적은 각각의 미리 정해진 분량의 분쇄된 커피와 적어도 동일하다.
각각의 격실(17)은 관련된 개구(25a~25f)를 가진 상부 및 바닥이 제공되고, 후자는 부재들(29, 30, 31, 33)이 제공되되, 이는 그의 열리고 닫히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캐러셀 본체(13)는 상기 격실(17) 중 하나의 상부 개구(25)가 분쇄된 커피의 배출 도관(11)의 상기 개구(12)에 위치되는 제1 위치(27)와 필터 홀더(15)가 위치된 상기 격실(17) 중 하나의 바닥이 상기 필터 홀더(15)의 상기 스테이션(14) 위에 위치되는 제2 위치(14)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격실(17)이 제공된 상기 본체(13)의 변위를 수행하기 위한 모터 수단(20, 21, 22)과, 상기 격실(17)이 상기 필터 홀더의 스테이션(14) 위에 위치될 때 격실의 바닥을 열고 닫기 위해 상기 부재들(29, 30, 31, 33)을 작동하기 위한 모터 수단(36, 38, 39)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징 장치를 통해, 각각의 격납 격실(17A~17F) 내에 각각의 다른 유형의 음료를 준비하도록 적용된, 서로 다른 다수의 분량의 분쇄된 커피를 배치하고, 필요한 음료의 유형과 관련된 분량을 선택하고, 이들이 담긴 관련된 격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분량이 담긴 격실을 그 선택 시점의 위치로부터 필터 홀더의 스테이션(14)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분량이 담긴 격실로부터 분량을 덜어냄으로써 상기 필터 홀더로 선택된 분량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를 위한 도징 장치 및 이 장치로 구현된 도징 방법{Dosing device for a filter holder of an espresso coffee machine and dosing method implemented with such a device}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음료를 만들기 위해,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로 미리 정해진 분량(dose)의 분쇄된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도징 장치(dosing device)에 대한 것으로서, 지지 베이스 상에 위치한 로스팅된 커피 알갱이를 위한 분쇄기(grinder)와, 상기 분쇄기에서 나온 분쇄된 커피의 배출 도관, 상기 도관의 말단부의 배출 개구, 분량의 분쇄된 커피가 제공되는 필터 홀더(filter holder)를 위치시키기 위한 상기 지지 베이스의 스테이션(station)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로 미리 정해진 분량의 분쇄된 커피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분량의 분쇄된 커피를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로 공급하는 것은 도징 장치를 통해 수행되며, 상기 도징 장치는 활송 장치(chute)를 통해, 분쇄기 내부에서 나온 분쇄된 커피가 모이는, 커피콩 분쇄기와 연관된 실린더형 용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예시는 ES 1 068358 U에 기재되어 있다.
도징 장치의 실린더형 용기의 상부 말단부는 커버에 의해 닫힐 수 있으며, 한편 하부 말단부는 필터 홀더의 스테이션 위에 놓이며, 이른바 적재구(loading mouth)로 불리는 제1 개구가 제공된 평평한 벽에 의해 닫히며, 상기 실린더형 용기 내부로 부재가 삽입되는 제2 중앙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중심 수직축을 중심으로 별모양으로 배열된 벽을 통해, 상기 실린더형 용기의 외부에서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레버(lever)에 의해 미리 정해진 폭의 각도 변위가 전해진다.
상기 레버의 각각의 움직임은, 상기 별모양 요소의 두 벽 사이에 있는, 중력에 의해 나와서 상기 필터 홀더로 흐르는, 상기 필터 홀더의 스테이션 위의 개구부를 향해 이송되는, 커피 분말의 미리 정해진 부피에 상응한다.
그러나, 상기 도징 장치의 작동 모드는, 이러한 장치로 분배될 수 있는 분량이 반드시 배출구를 향해 이송된 분쇄된 커피의 부피를 결정하는 별모양 부재를 움직임으로써 얻어진 기본 분량의 정수 배수이어야 한다는 사실과 같은 여러 단점을 갖는다.
상기 별모양 부재의 단일 각도 움직임으로 변할 수 있는 체적이 약 7 그램의 에스프레소 커피를 분배하는데 필요한 분량에 상응하는 경우, 분쇄된 커피의 분량이 9 그램인 "커피 크림"으로 알려진 음료가 필요한 경우, 7의 배수가 아닌 이러한 분량은 필터 홀로 제대로 분배될 수 없다.
다른 한편, 1 그램의 커피와 같은 최소의 초기 분량을 포함할 수 있도록, 실제로 상기 별모양 부재의 인접한 두 벽 사이의 공간에, 상기 별모양의 체적 측정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는 것처럼 보이며, 이는 구조적인 어려움에 더해, 별모양 부재를 구동하는 레버를 움직여 필요한 음료를 준비하기 위해 필요한 분량을 형성하기 위해 과도한 수의 작동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앞서 나타낸 타입의 도징 장치의 단점은 별모양 체적 부재가 작동하는 용기에 담긴 약 300 내지 500 그램의 분쇄된 커피의 양으로 야기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재의 정밀함은 또한 분쇄된 커피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반드시 변하게 되는 각도 섹터의 커피 기둥의 무게에 따르기 때문에,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자동 방식으로 연속적인 복구가 필요하다.
전술한 단점은 또한 분배 대기 중 남아있는 분쇄된 커피의 관능미의 빠른 감소가 더해진다.
미리 정해진 커피 기반 음료를 준비하는데 필요한 분량을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작동 유형에 따라, 종래 기술은 밀(mill)의 작동 시간을 통해 그 양을 계산하거나 또는 예컨대 전자 중량 장치에 의해 그 중량을 결정함으로써 필요한 분량이 분쇄되고 필터 홀더 내에 직접 분배되는 분쇄 및 도징 장치를 또한 공지한다.
커피의 관능 특성을 보존하지만, "요구에 따른" 도징 기술은 분쇄를 완료하고 분량의 분배를 완수하는데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대기 시간은 소비자의 유동이 높은 사업에 대해 명백히 부정적인 요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도징 시스템의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구조적 및 기능적 특징을 가진, 커피콩 분쇄 장치와 관련된 도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하기 설명으로 명백하게 될 이들 및 다른 목적은 하기의 청구항 제1항에 따라 특징지어지는 분쇄된 커피의 도징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제한적인 예시의 방식으로 주어진 실시예를 참고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징 장치와 관련된 커피콩 분쇄 장치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징 장치의 캐러셀 본체(carousel body)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라 잘라낸 도징 장치의 수직 단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부 전방 구조 요소가 제거된 도 2의 도징 장치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징 장치의 캐러셀 구조의 플레이트형 로브 요소(plate-like lobe element)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징 장치의 캐러셀 구조의 원형 개구를 가진 플레이트형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개구 및 폐쇄 플레이트가 제공된, 도징 장치를 구성하는 격실 중 하나의 바닥에 대한 아래로부터 취해진 사시도이다.
도 8은 도징 장치를 형성하는 캐러셀 본체의 격실을 구성하는 실린더형 관형 요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징 장치의 캐러셀 본체의 윤곽을 닫기 위한 굴곡진 요소 중 하나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 및 특히 도 1을 참고하면, 참조 번호 (1)은 커피콩을 위한 분쇄 장치 전체를 지칭하며, 상기 분쇄 장치는 벽(3)과 기둥 본체(4)가 수직으로 분기되는 베이스(2)를 포함한다.
기둥(4)의 상부에서, 호퍼(5)는 관례대로 분쇄될 커피콩을 담고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피콩은 아래에 놓인 채널(6)로 중력에 의해 하강하여, 적어도 하나는 회전하고, 전기 모터(9)의 샤프트(8)와 접촉하는, 종래의 한 쌍의 밀(7, mill)과 만나게 된다.
상기 쌍의 밀(7)의 밀들 사이의 거리는 도시되지 않은 종래의 전기 제어 유닛(ECU)의 관리하에 분쇄 입자 크기를 변경하는 종래의 방식으로, 전기 모터(1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분쇄된 커피는 쌍의 밀(7)의 회전하는 밀에 의해 가해진 원심력에 의해 분쇄되기 시작하며,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배출 도관(11)을 향하며, 상기 도관의 개구(12)는 본 발명에 따르며, 전체적으로 참조 번호 (13)으로 나타낸, 도징 장치의 본체를 향해 지향되어 있다.
상기 본체(13)는 하기 설명에서 명확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직접 또는 계량 부재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베이스(2)의 수직 벽(3) 옆에 배치된다.
상기 도징 장치(13)의 아래에 있는, 필터 홀더(15)를 위한 종래의 스테이션(14)은 또한 베이스(2)에 연결된다.
상기 도징 장치(13) 위에 있는 위치에서, 분쇄기의 기둥(4)은 참조 번호 (16)으로 나타낸 전자 인터페이스(electronic interface)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도징 장치의 작동을 위한 작동 명령에 더해, 또한 도징 장치(13)뿐만이 아니라, 분쇄기(1)의 다양한 작동 변수를 설정하기 위해 전술한 종래의 전자 제어 유닛(ECU)을 포함한다.
도 2, 3, 4, 5, 및 6을 참고하면, 상기 도징 장치(13)는, 도시된 예시에서, (17A, 17B, 17C, 17D, 17E, 17F)로 나타낸 6개의 다수의 격실을 포함하며, 이는 중심 회전 샤프트(18)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배치되며, 본체 형성의 전체 구조가 캐러셀 형태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 샤프트(18)는, 그 상부 말단(19)에, 풀리(20, pulley)가 제공되며, 이는 종래의 전기 모터(22a)의 샤프트에 끼워진 풀리(22)에 연결된 전달 벨트(21)와 결합되며, 상기 전기 모터(22)의 제어는, 하기에서 보게 될 것처럼, 인터페이스(16)에 포함된 전기 제어 유닛(ECU)에 의해 수행된다.
격실(17A~17F)은 하기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각각의 실린더형 관형 요소로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제1 로브 플레이트(23, lobed plate)와 도 6에 도시된 원형 구멍을 가진 위에 놓이는 플레이트(24)에 의해 중심 축(18)을 중심으로 한 위치에 고정된다. 후자 플레이트(24)는 각각의 개구(25a, 25b, 25c, 25d, 25e, 25f)가 도시된 상기 격실(17A~17F)의 상부 말단에 위치된다.
로브 플레이트(23)는 (26)을 통해 샤프트(18)에 끼워지며, 이러한 구멍에 결합되는, 도시되지 않은, 종래의 키(key)를 통해 그와 함께 고정된다.
상기 플레이트(23, 24)에 대한 격실(17A~17F)을 형성하는 관형 요소의 기계적 연결 모드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 1, 2, 3 및 4를 참고하면, 분쇄된 제품의 배출 도관(11)의 개구(12)는 브라켓에 연결된 플레이트(28a)를 통해 수직 타일(27)을 향한다.
후자(28a)는, 지지대(18a)를 통해, 수직 위치로 샤프트(18)를 지지하도록 제공되며, 케러셀 본체(13)를 베이스(2)의 벽(3)에 연결시킨다.
종래의 버전에서의 이러한 모든 것은 분량을 만들기 위한 계량 장치의 사용을 제공하지 않는다.
수직 타일(27)은, 하기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 것처럼, 작동 중 상기 타일(27) 아래의 위치에 그리고 분쇄 장치에서 나온 도관의 개구(12)의 전방에 있는 도징 장치의 격실(17A~17F) 내에 분쇄된 제품의 적재 스테이션을 형성한다.
각각의 격실(17A~17F)은 각각의 상부 개구(17a~17f)에 대립하는, 하부 말단에, 격실(17)의 것과 같은 원형 섹션을 가진 각각의 플레이트(29A~29F)로 구성되는 열리고 닫힐 수 있는 바닥이 제공된다.
각각의 플레이트(29A~29F)는 방사상 부속장치(30A, 30B, 30C, 30D, 30E, 30F)가 제공되며 각각의 핀(31A, 31B, 31C, 31D, 31E, 31F)을 중심으로 진동하게 장착되고, 후자는 종래의 베이스 및 관련된 나사 부재를 통해 상기 로브 플레이트(23)에 고정된 각각의 지지대(32A, 32B, 32C, 32D, 32E, 32F)에 수용된다.
탄성 부재, 예를 들어, 플레이트의 핀에 축방향으로 장착된 비틀림 스프링(33A~33F)은 각각의 격실의 하부 에지(34)에 대해 그 위치를 결정한다.
바닥에서 열리는 관형 섹션(35A~35F)은 열리고 닫히는 플레이트 아래에서 필터 홀더(15)의 스테이션(14)을 향한 각각의 격실의 축방향 연장으로서 제공된다.
상기 로브 플레이트(23) 아래 그리고 그와 함께 지지되는 위치에서, 상기 도징 장치는 플레이트(29A~29F)들 중 하나가 상기 필터 홀더(15)의 스테이션(14) 위의 위치에 있을 때 플레이트(29A~29F)를 작동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도 3 및 4에 특히 도시된 것처럼, 상기 메커니즘은 푸셔(36, pusher)를 포함하며, 그 자유단(37)은 상기 관련된 격실이 필터 홀더(15) 위의 위치에 있을 때 각각의 플레이트(29)의 방사상 부속장치(30)에 맞물리기 쉽다.
상기 푸셔(36)는 상기 푸셔(26)의 샤프트(18)와 평행한, 수직 직선 이동을 결정하는 톱니 휠(39, toothed wheel)과 맞물린 랙(38, rack)과 연관된다.
후자는, 그 말단(37)을 통해, 플레이트(29A~29F)의 방사상 부속장치(30A~30F)의 상승을 야기하며, 결과적으로, 상기 위치에 있는 격실(17A~17F)의 바닥의 개방을 야기한다.
상기 플레이트(29A~29F)의 각도 변위는 상기 핀(31)에 존재하는 스프링(33)과 대조적으로 일어나며, 스프링의 탄성 작용은 상기 관련된 격실의 에지에 대해 닫힌 위치에 상기 플레이트(29A~29F)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지향된다.
상기 톱니 휠(39, toothed wheel)은 상기 도징 장치의 전기 제어 유닛(ECU)에 의해 또한 구동되고 제어되는 전기 모터(40a)에 의해 벨트(40)를 통해 회전하게 배치된다.
상기 전기 모터(40a)와 상기 푸셔(36)를 작동시키는 메커니즘 세트는 상기 브라켓(28)의 수평 벽(28b)에 의해 운반된다.
도 8을 참고하면, 각각의 격실(17A~17F)은 각각의 실린더형 관형 본체(41A~41F)로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형 관형 본체는 각각의 격실에 담겨있도록 예상된 최대 미리 정해진 분량에 상응하는 또는 임의의 경우에 후자와 적어도 동일한 체적보다 더 큰 내부 체적이 제공된다.
상기 실린더형 관형 본체(41A~41F) 외부에, 전혀 다르게 대립한 하우징(42, 43)은 각각의 체결 나사(44, 45)를 수용하도록 고정된다. 후자는 상기 로브 플레이트(23)에 제공된 각각의 구멍(46, 47)에 맞물리며, 상기 관형 본체(41A~41F)가 각각의 홈(48A~48F)에 배치되고 그 안정적인 축방향 및 방사상 고정을 결정한다.
상기 원형 플레이트(24)에 대해, 각각의 관형 요소(41A~41F)는 개구(25a~25f)와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서 그 방사상 격납을 결정하는 각각의 원형 구멍(49A~49F)에 수용된다.
상기 관련된 격실(17A~17F)을 가진 상기 실린더형 관형 본체(41A~41F)에 의해 형성된 상기 도징 장치(13)의 캐러셀 구조는 두 개의 인접한 관형 본체(41) 사이에, 그 내부 부분에서의 모습을 가진 도 9에 사시도로 도시된 아치형 플레이트 요소(50)를 부착함으로써 말단으로 완성된다.
상기 아치형 요소(50)는 상기 요소(50)의 내부 벽(54)에 시트(53) 내에 맞물린 상기 플레이트 자체에 형성된 구멍(52)을 통과하는 각각의 나사(51)를 이용하여 원형 플레이트(24)에 고정된다.
상기 요소(50)의 상부 에지(57)에서 돌출된 단부(56)를 가진 상기 요소(50)의 내부 벽(54)에 또한 도시된 리브(55)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응하는 슬롯(58)으로 삽입하여, 상기 플레이트(24)에 대해 상기 요소의 안정적인 위치결정을 하게 한다.
전술한 도징 장치로 시행되는 도징 방법은 각각의 분량의 분쇄된 커피로 수행되는 격실(17A~17F)의 채움을 위해, 전기 제어 유닛(ECU)의 제어하에, 상기 분쇄 장치의 개구(12) 전방에 있으며 각각의 격실의 분량의 적재 위치를 결정하는 상기 플레이트(27)로 상기 도징 장치 격실을 연속으로 가져온다.
준비될 음료에 따라, 분쇄된 커피의 분량의 결정은 상기 도징 장치의 실시예에 따라, 분량을 형성하는데 사용된 커피콩의 분쇄의 시간에 따라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징 장치의 각 격실의 분량의 결정은 격실에 도달하는 분쇄된 커피의 체적을 중량 측정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대안에서, 도 2 및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격실(17A~17F), 플레이트(23, 24), 및 다른 구조 요소로 구성된 캐러셀 본체는 종래의 계량 장치(60)의 한 단부(59)에 연결되며, 상기 계량 장치의 다른 단부(61)는 분쇄 장치의 베이스(2)의 수직 벽(2)에 대해 매달리게 한다.
전술한 도징 장치에 대해, 본 발명의 관점에 따라, 방법은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의 분쇄된 커피의 미리 정해진 분량을 분배하기 위해 실행되며, 상기 분량은 특정 음료의 형태에 관련한 것이며,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각각 다른 형태의 음료의 준비를 위해, 서로 다른, 다수의 분량의 분쇄된 커피를 각각의 격납 격실 내에 제공하는 단계, 여기서 관련된 분량의 분쇄된 커피의 적재 위치와 아래에 있는 필터 홀더로 상기 분량을 덜어내는 위치(unloading position) 사이에서 상호 변위 가능함;
- 필요한 음료 형태에 관련하여 분량을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선택된 분량이 담긴 관련 격실을 선택하는 단계;
- 선택된 분량을 포함하는 격실을 그 선택 시점에서 유지된 위치로부터 상기 필터 홀더의 스테이션에 상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 선택된 분량을 포함하는 격실로부터 분량을 덜어냄으로써 상기 필터 홀더에 선택된 분량을 분배하는 단계.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분량을 포함하는 다수의 격실은 또한오직 두 개의 격실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중 하나는 전통적인 에스프레소 커피를 위한 정밀한 분량을 가지며, 다른 하나는 예컨대 더블 에스프레소를 만들거나 또는 "커피 크림"을 만들기 위한 정밀한 분량을 갖는다.
대안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6개의 격실(17)로 구성된 도징 장치의 캐러셀 구조를 보유하면서, 인터페이스(16)에 포함된 전기 제어 유닛(ECU)으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캐러셀 본체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캐러셀 본체의 격실(17) 중 오직 두 개만 도징 작업에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으로, 상기 도징 장치가 또한 "주문형" 분쇄-도징 장치로서 각각의 격실에서 작동할 수 있는 결과를 통해 격실(17)의 기능을 완전히 쓰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적은 수의 고객을 가진 상업적 위치에서 특히 적합할 수 있는 장치로서, 단일 격실(17)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징 장치를 통해, 도징 장치의 각각의 격실 내에 이미 준비되어 있어, 분량을 분쇄하여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대기 시간이 없어지기 때문에, 고객의 요청 이후, 필요한 형태의 음료를 극히 짧은 시간에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캐러셀 본체의 모든 격실이 반드시 분쇄된 커피의 각각의 분량을 제공하고 항상 음료를 분배할 준비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장치가 제공되는 전자 제어 장치에 의해 허용된 프로그래밍을 사용함으로써, 캐러셀 본체의 개별 격실 내의 분량의 배열이 특정 시간에 따른, 예상되는 고객의 흐름에 따라, 상이한 시간에 일어날 수 있고 더불어 "요구에 따라" 분량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를 위해, 격실 중 하나를 빈 상태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유지하고, 이를 ECU를 사용하여, 적재 스테이션에 배치하고, 분쇄 시간을 계산하거나 또는 계량 장치가 제공된 경우 무게를 설정하여 밀(mill)을 통해 분배된 필요한 양을 가지고, 동일한 ECU를 통해 격실을 필터 홀더의 채움 스테이션(the filling station)으로 이송하고 마지막으로 필요한 분량을 가진 필터 홀더를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에 가져옴으로써 필요한 음료를 분배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징 장치의 다른 사용 방법은 하기의 청구 범위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그 표시 및 설명을 요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명백하게 실현 가능하다.

Claims (12)

  1.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로 미리 정해진 분량의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기 위한 도징 장치로서,
    지지 베이스(2) 상에 위치된 로스팅된 커피 알갱이의 분쇄기(1), 상기 분쇄기(1)에서 나온 분쇄된 커피의 배출 도관(11), 상기 도관의 말단의 배출 개구(12), 상기 분량의 분쇄된 커피가 공급되는 필터 홀더(15)를 위치시키기 위한 상기 지지 베이스의 스테이션(14), 다수의 격실(17A, 17B, 17C, 17D, 17E, 17F)이 제공된 본체(13)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각각의 격실의 체적은 각각의 미리 정해진 분량의 분쇄된 커피와 적어도 동일하며, 각각의 격실(17)은 관련된 개구(25a, 25b, 25c, 25d, 25e, 25f)를 가진 상부, 및 바닥이 제공되고, 후자는 부재들(29, 30, 31, 33)이 제공되되, 이는 그의 열리고 닫히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것인, 도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13)는 상기 격실(17) 중 하나의 상부 개구(25)가 분쇄된 커피의 배출 도관(11)의 상기 개구(12)에 위치되는 제1 위치(27)와 상기 격실(17) 중 하나의 바닥이 상기 필터 홀더(15)의 상기 스테이션(14) 위에 위치되는 제2 위치(14)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격실(17)이 제공된 상기 본체(13)의 변위를 수행하기 위한 모터 수단(20, 21, 22)과, 상기 격실(17)이 상기 필터 홀더의 스테이션(14) 위에 위치될 때 격실의 바닥을 열고 닫기 위해 상기 부재들(29, 30, 31, 33)을 작동하기 위한 모터 수단(36, 38, 39)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격실(17A~17F)은 원형의 캐러셀 구조(13)로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격실이 배열되는 중심 회전 축(18)을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각도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징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캐러셀 본체(13)의 격실(17A~17F)은 각각의 격실에 담기게 되는 미리 정해진 최대 분량과 적어도 동일한 모두 동일한 체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징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러셀 본체(13)의 각 격실(17A~17F)의 상부 및 바닥 사이에서 연장되는 길이방향 축을 횡단하는 단면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징 장치.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은 상기 본체의 중심 회전 축에 평행하게 배치된 실린더 용기(41A~41F) 형태이며, 이는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회전 샤프트(18)에 부착된 두 개의 플레이트형 요소(23, 24)들 사이에서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의 말단부는 각각의 지지대에 장착되며, 상기 샤프트 중 하나의 말단부는 상기 본체(13)의 각도 변위를 수행하는 상기 모터 수단(20, 21, 2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징 장치.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의 바닥을 열고 닫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상기 부재들은, 이들이 상기 필터 홀더의 위치 위에 위치된 경우, 상기 격실 바닥의 에지에 대해 닫힌 채 유지되는 위치와, 상기 격실의 바닥이 열리게 되는 결과에 따라 상기 에지에서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는, 핀(31A~31F)이 제공된 원형 플레이트(29A~29F)를 포함하며, 상기 핀(31)은 상기 격실(17)을 형성하는 실린더형 용기(41)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형 요소(23, 24)들 중 하나(23)에 의해 운반된 지지대(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플레이트(29)는 그 윤곽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부속 장치(30)가 제공되며, 상기 부속 장치(30)는 상기 플레이트(29)를 격실(17) 바닥의 에지에 대해 닫힌 위치로 유지시키는 탄성 수단(33)과는 대조적으로, 상기 부속 장치(30)를 누름으로써 상기 격실(17)의 바닥의 에지에서 플레이트(29)를 멀리 이동시키는, 상기 핀(31)에 대해 플레이트(29)의 각도 변위를 결정하는 푸셔(36)에 지장을 주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징 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36)는 상기 격실(17)이 상기 필터 홀더의 스테이션(14) 위의 위치에 위치된 경우 상기 격실(17)의 바닥의 열고 닫히는 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기 모터 수단(36, 38, 39)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징 장치.
  8.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15)에 미리 정해진 분량의 분쇄된 커피를 분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분량은 특정 음료의 형성에 관련된 것이며,
    - 각각 다른 형태의 음료의 준비를 위해 적용된, 서로 다른, 다수의 분량의 분쇄된 커피를 각각의 격납 격실(17A~17F) 내에 제공하는 단계, 여기서 관련된 분량의 분쇄된 커피의 적재 위치(27)와 아래에 있는 필터 홀더로 상기 분량을 덜어내는 위치(14) 사이에서 상호 변위 가능함;
    - 필요한 음료 형태에 관련하여 상기 분량을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선택된 분량이 담긴 관련 격실을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선택된 분량이 담긴 격실을 그 선택 시점에서 유지된 위치로부터 상기 필터 홀더의 스테이션(14)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 상기 선택된 분량을 포함하는 격실로부터 선택된 분량을 덜어냄으로써 상기 필터 홀더로 선택된 분량을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격납 격실 내에 다수의 분량의 분쇄된 커피를 제공하는 단계는, 전기 제어 유닛(ECU)을 통해, 준비될 분량의 유형과 상기 분량이 배치되는 격실(17)의 수 모두에 관하여, 프로그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량의 유형 및/또는 분량이 배치되는 격실의 수를 배치하는 단계를 프로그래밍하는 단계는 기간 동안 변하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 변경 기간은 주간(weekly)인,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래밍 변경 기간은 일간(daily)인, 방법.
KR1020180061336A 2017-05-31 2018-05-29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를 위한 도징 장치 및 이 장치로 구현된 도징 방법 KR201801314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059702A IT201700059702A1 (it) 2017-05-31 2017-05-31 Dispositivo dosatore per un portafiltro di una macchina per caffè espresso e metodo di dosatura attuato con tale dispositivo
IT102017000059702 2017-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51A true KR20180131451A (ko) 2018-12-10

Family

ID=6008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336A KR20180131451A (ko) 2017-05-31 2018-05-29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를 위한 도징 장치 및 이 장치로 구현된 도징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709294B2 (ko)
EP (1) EP3409155B1 (ko)
JP (1) JP2018202148A (ko)
KR (1) KR20180131451A (ko)
CN (1) CN108968687B (ko)
AU (1) AU2018203578A1 (ko)
CA (1) CA3005286A1 (ko)
ES (1) ES2791370T3 (ko)
IT (1) IT201700059702A1 (ko)
PT (1) PT3409155T (ko)
RU (1) RU2018118237A (ko)
TW (1) TWI7433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20734A1 (it) * 2018-12-21 2020-06-21 Roger Tech S R L Macinacaffe' elettrico
IT201900003067A1 (it) * 2019-03-04 2020-09-04 Obel Srl Dispositivo per dosare il caffè
CN111012184B (zh) * 2019-12-06 2021-06-04 宁波优咖智能科技有限公司 茶叶自动萃取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0847B1 (fr) * 1990-04-12 1994-06-03 Grouard Freres Sa Moulin a cafe et machine a cafe equipee d'un tel moulin.
IT1263828B (it) * 1993-01-27 1996-09-03 Cimbali Spa Macchina automatica per caffe' in bevanda,erogabile da solo o, combinato con latte,in forma di cappuccino
ES2137811B1 (es) * 1996-07-10 2000-08-16 Azkoyen Hosteleria Dispositivo dosificador para molino de cafe.
JP3825610B2 (ja) * 1999-06-04 2006-09-27 三洋電機株式会社 コーヒー飲料の製造装置
ES2212683B1 (es) * 2000-09-07 2005-12-16 Azkoyen Hosteleria, S.A. Dosificador de cafe molido.
JP4162649B2 (ja) * 2004-11-15 2008-10-08 三洋電機株式会社 コーヒー飲料製造装置
ES2289736T3 (es) * 2005-03-08 2008-02-01 Saeco Ipr Limited Cafetera.
WO2007112694A1 (fr) * 2006-04-03 2007-10-11 Li Xing Machine à café
ES2347889T3 (es) * 2007-10-18 2010-11-22 Gruppo Cimbali S.P.A. Tolva para maquina de cafe.
ES1068358Y (es) * 2008-07-08 2009-01-01 Markibar Innovacion S C Molino de cafe automatico con dispositivo identificador de portacacillos
RU2538539C2 (ru) * 2008-09-17 2015-01-10 Конинклейке Дауве Эгбертс Б.В.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фейного напитка
US20100080886A1 (en) * 2008-10-01 2010-04-01 Astra Manufacturing, Inc. Coffee dispensing machine
EP2314188B1 (en) * 2009-10-23 2012-10-17 Gruppo Cimbali S.p.A.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filling the filter-holders of an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selected doses of ground coffee to order
NZ601807A (en) * 2010-02-17 2014-02-2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and coffee beve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FR2956303B3 (fr) * 2010-02-17 2012-10-05 Sara Lee / De N V Systeme de preparation pour boisson au cafe, cartouche de conditionnement de cafe moulu pour une utilisation avec un tel systeme, procede de preparation d'une boisson au moyen dudit systeme, et procede de fourniture de cafe moulu a partir de ladite cartouche de conditionnement de cafe moulu
FR2960757B1 (fr) * 2010-06-08 2012-06-15 Seb Sa Dispositif d'infusion avec controle de la quantite de mouture et machine a caf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ES2569715T3 (es) * 2011-04-05 2016-05-12 Mazzer Luigi S.P.A. Aparato de medición de café
AU2012268779B2 (en) * 2011-12-20 2015-10-01 Newell Australia Pty Ltd Dispensing appliance
CN103300731A (zh) * 2013-06-26 2013-09-18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自动混合的磨豆咖啡机
ES2701818T3 (es) * 2013-07-06 2019-02-26 Mazzer Luigi Spa Sistema de plataforma de pesaje de moliendas y portafiltros y métodos de uso
WO2015077237A2 (en) * 2013-11-20 2015-05-28 Starbucks Corporation D/B/A Starbucks Coffee Company Cooking system power management
US20170224164A1 (en) * 2014-03-04 2017-08-10 Hausbrandt Trieste 1892 Spa Device for grinding and dosing coffee
AU2015341465B2 (en) * 2014-11-07 2020-03-05 Cgtecnica S.r.l. Coffee grinding and proportioning device, especially for espresso machines
ITUB20154744A1 (it) * 2014-11-20 2017-04-23 Nuova Simonelli S P A Macchina macina caffè perfezionata.
CN205251260U (zh) * 2015-12-21 2016-05-25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定量分配物料的装置及咖啡机
CN105768883B (zh) * 2016-02-26 2019-06-21 佛山市艾妙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冲奶机
CN106419572A (zh) * 2016-11-29 2017-02-22 宁波夏纳电器有限公司 一种意式咖啡机
CN106539499A (zh) * 2017-01-20 2017-03-29 金文� 一种咖啡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44087A1 (en) 2018-12-06
TW201902402A (zh) 2019-01-16
CN108968687A (zh) 2018-12-11
CN108968687B (zh) 2021-10-12
EP3409155B1 (en) 2020-03-18
RU2018118237A3 (ko) 2021-12-06
IT201700059702A1 (it) 2018-12-01
EP3409155A1 (en) 2018-12-05
PT3409155T (pt) 2020-05-20
CA3005286A1 (en) 2018-11-30
AU2018203578A1 (en) 2018-12-20
JP2018202148A (ja) 2018-12-27
TWI743365B (zh) 2021-10-21
ES2791370T3 (es) 2020-11-04
RU2018118237A (ru) 2019-11-18
US10709294B2 (en)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2444B2 (ja) 測定量の、ばらけた材料を分配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2011216596B2 (en) Coffee beverage system,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aid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method for brewing coffee,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s, cartridge for coffee bean material,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 material
KR20180131451A (ko) 에스프레소 커피 머신의 필터 홀더를 위한 도징 장치 및 이 장치로 구현된 도징 방법
EP3214984B1 (en) Coffee grinding and proportioning device, especially for espresso machines
EP27922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tering of loose objects, such as granular objects, powders, or capsules
CN108348096B (zh) 研磨单元和咖啡机
WO2011102721A2 (en) Coffee beverage system, coffee bean packaging cartridge for use with said system,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method for brewing coffee,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s, cartridge for coffee bean material, method of supplying coffee bean material
JP2013519487A5 (ko)
JP2013519490A5 (ko)
WO2006133699A2 (en) Automatic dosage unit
EP3574811A1 (en) Apparatus for loading a portafilter of an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a dose of ground coffee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composed of different types of coffee, according to a given recipe
EP3248521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ground coffee coming out from a coffee grinder
WO2020003467A1 (en) Beverage dispenser with powder containers
DK164308B (da) Automat til udlevering af baegre med friskbryggede drikkevarer
KR101179698B1 (ko) 정량 디스펜서용 분배장치
US3047194A (en) Dispenser for a coffee brewing apparatus
US3301442A (en) Product dispensing device
WO2023044672A1 (en) Coffee grinder
KR20230083505A (ko) 드립 커피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