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389B1 -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389B1
KR101278389B1 KR1020110011737A KR20110011737A KR101278389B1 KR 101278389 B1 KR101278389 B1 KR 101278389B1 KR 1020110011737 A KR1020110011737 A KR 1020110011737A KR 20110011737 A KR20110011737 A KR 20110011737A KR 101278389 B1 KR101278389 B1 KR 101278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late
inner space
product
partitio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1761A (ko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11001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389B1/ko
Publication of KR2012009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24Partitions 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5Incised or pre-scored openings or windows provided in the side wall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스틱상품용 포장상자가 개시된다. 상기 스틱상품용 포장상자는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개의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고, 구획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 보관된 상품을 인출공을 통하여 각각 별도로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구획하여 수용 보관할 수 있고, 이를 각각 별로도 꺼낼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수용 보관된 상품과 다른 공간에 수용 보관된 상품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각각 꺼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Description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PACKING BOX FOR STICK GOODS}
본 발명은 2 종류 이상의 스틱상품을 구획하여 수용하고, 구획 수용된 스틱상품을 각각 별도로 꺼낼수 있는 스틱상품용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커피와 설탕과 프림이 혼합되어 수용 저장된 커피믹스 등과 같은 스틱상품은 복수개가 포장상자에 수용 보관된다.
도 1은 종래의 포장상자의 사시도로써,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상자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포장상자의 내부에 수용된 상품을 꺼내기 위한 커버(11)가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포장상자의 내부에 수용된 상품을 간편하게 꺼내기 위하여, 커버(11)와는 별도로 포장상자의 일면에 인출공(13)을 형성한다. 인출공(13)은 개폐판(15)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으며, 소비자가 개폐판(15)을 용이하게 떼낼수 있도록, 인출공(13)과 개폐판(15)이 접하는 면에는 절취선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포장상자는 스틱상품의 길이방향과 대응되게 가로형태로 하측 부위에 인출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여러 가지 상품을 구획하여 수용 보관할 수 없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포장상자에 형성된 인출공(13)의 구조상, 한사람만 상품을 포장상자로부터 꺼낼 수 있으므로,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제품을 구획하여 수용 보관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이 동시에 상품을 꺼낼 수 있는 편리한 스틱상품용 포장상자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틱상품용 포장상자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품이 수용 보관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측판의 내면에 결합되며 상품이 구획되어 수용 보관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동시에 상품을 지지하는 구획판; 상기 케이스의 측판에 형성되며, 상기 상품을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꺼낼수 있도록, 구획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기 케이스의 외측과 각각 연통시키는 인출공; 상기 인출공을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틱상품용 포장상자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상품이 적층되어 구획 보관되는 케이스; 상기 상품의 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측판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높이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상품을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꺼낼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기 케이스의 외측과 연통시키는 인출공;
상기 인출공을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본 발명에 따른 스틱상품용 포장상자는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개의 공간이 구획 형성되고, 구획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수용 보관된 상품을 인출공을 통하여 각각 별도로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구획하여 수용 보관할 수 있고, 이를 각각 별로도 꺼낼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수용 보관된 상품과 다른 공간에 수용 보관된 상품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각각 꺼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복수의 상품이 적층되어 구획 보관되고, 케이스의 높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인출공이 형성되므로, 인출공을 통하여 각각 다른 상품을 사용자가 꺼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장상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장상자의 일부 절개, 확대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틱상품용 포장상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포장상자의 일부 절개, 확대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다면체 형상의 중공체로 마련되며, 내부의 공간에 상품이 수용되어 보관되는 케이스(110)를 가진다.
이하, 케이스(110)의 면 및 방향을 지칭함에 있어서, 테이블 또는 선반 등과 같은 바닥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하면 및 하측", 상측을 향하는 면 및 방향을 "상면 및 상측"이라 한다.
케이스(110)는 다각형상으로 형성된 하판(111), 하판(11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상판(113) 및 하판(111)과 상판(113)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의 측판(115)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상판(113)은 일측이 측판(1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커버의 기능을 한다. 상판(113)을 회전시키면 케이스(110)의 상측이 개방된다.
케이스(110)의 하판(111)의 하면은 외측으로 노출되어 바닥과 접촉되고, 하판(111)의 상면은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상측을 향한다. 케이스(110)의 하판(111)의 상면에는 커피믹스 등과 같은 스틱용 상품이 탑재되어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이 복수개 구획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케이스(110)의 측판(115)의 내면에는 케이스(110)의 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구획판(120)의 측면이 접착 결합된다. 구획판(120)에 의하여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이 구획되고, 구획판(120)의 상면에 상품이 탑재 지지되므로, 케이스(110)의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구획하여 수용 보관할 수 있다.
구획판(120)은 개수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 보관하고자 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설치하면 된다.
케이스(110)의 측판(115)에는 인출공(115a)이 형성된다. 인출공(115a)은 케이스(110)의 내부와 외측을 연통시키며, 인출공(115a)을 통하여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 보관된 상품을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꺼낸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인출공(115a)이 1개 형성된 것을 보인다. 1개의 인출공(115a)에 의하여 구획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이 각각 케이스(110)의 외측과 연통되며, 구획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각각 구획 보관된 상품을 인출공(115a)을 통하여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각각 별도로 꺼낼 수 있다.
인출공(115a)은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이 구획된 형태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의 형태 또는 수직방향으로 긴 장공의 형태로 적절하게 형성하면 된다.
인출공(115a)은 개폐판(117)에 의하여 개폐된다. 인출공(115a)과 개폐판(117)이 접하는 부위에는 절취선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취선을 따라 개폐판(117)을 완전히 떼어내면 인출공(115a)이 완전히 개방되고, 개폐판(117)을 일부만 떼어내면 인출공(115a)이 일부만 개방된다.
케이스(110)의 측판(115)의 내면에는 구획판(120)을 지지하는 받침부재(130)가 더 결합된다. 받침부재(13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측면이 케이스(110)의 내면에 결합된다. 받침부재(130)의 상면에 구획판(120)의 하면이 접촉 지지되므로, 구획판(120)의 상면에 상품들이 탑재되어도, 구획판(120)은 그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구획판(120)의 강성(剛性)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획판(120)의 테두리부측은 벤딩(121)되어 케이스(110)의 측판(115)의 내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구획판(120)은 더욱 견고하게 상품을 탑재시켜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틱상품용 포장상자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 보관된 상품이 미끄러져서 인출공(115a)을 통하여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하여, 상품이 지지되는 케이스(110)의 하판(111)의 상면은 인출공(115a)과 가까워질수록 바닥과 점점 멀어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러면, 케이스(110)의 하판(111)의 상면에 지지된 상품이 인출공(115a)측으로 미끄러져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구획판(120)의 하면이 접촉하는 받침부재(130)의 상면은 인출공(115a)과 가까워질수록 바닥과 점점 멀어지는 형태로 경사지도록 받침부재(130)의 두께는 인출공(115a)과 가까워질수록 점점 두껍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품이 지지되는 구획판(120)의 상면이 인출공(115a)과 가까워질수록 바닥과 점점 멀어지는 형태로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구획판(120)의 상면에 지지된 상품이 인출공(115a)측으로 미끄러져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복수개의 공간이 구획되어 형성되고, 구획된 케이스(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 보관된 상품을 인출공(115a)을 통하여 각각 별도로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상품을 구획하여 수용 보관할 수 있고, 이를 각각 별도로 꺼낼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10)의 구획된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에 수용 보관된 상품과 다른 공간에 수용 보관된 상품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꺼낼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받침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로써,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재(230)는 케이스(110)(도 2참조)의 내부와 대응되는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공(215a,215b)은 구획된 케이스(210)의 내부 공간과 대응하는 케이스(210)의 측판(215)에 각각 형성되어, 구획된 케이스(210)의 내부 공간을 케이스(210)의 외측과 각각 연통시킨다. 즉, 인출공(215a,215b)은 구획된 케이스(210)의 내부 공간의 개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인출공(215a,215b)은 케이스(210)의 내부 공간이 구획된 형태, 케이스(210)의 구획된 내부 공간에 수용 보관된 제품(51,53)의 크기와 놓인 방향 등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긴 장공의 형태 또는 수직방향으로 긴 장공의 형태로 적절하게 형성하면 된다.
그리고, 케이스(210)의 어느 하나의 측판(215)에 인출공(215a)이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케이스(210)의 어느 하나의 측판(215) 및 다른 하나의 측판(215)에 인출공(215a)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상자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10)의 내부 하측에는 어느 하나의 상품(55)이 수용 보관되고, 상측에는 다른 하나의 상품(57)이 적층 구획되어 수용 보관된다. 즉, 케이스(310)의 내부는 구획되지 않고, 어느 하나의 상품(55)과 다른 하나의 상품(57)이 적층되어 구획된다.
그리고, 케이스(310)의 측판(315)에는 케이스(310)의 높이 방향으로 길이가 긴 인출공(315a)이 형성된다. 이때, 인출공(315a)은 상품(55,57)의 단부와 대향하는 케이스(310)의 측판(315)에 형성된다. 그러면, 케이스(310)의 하측 부위의 인출공(315a)과 케이스(310)의 상측 부위의 인출공(315a)을 통하여 상호 다른 상품을 사용자가 인출할 수 있으므로, 동시에 2종류 이상의 상품을 동시에 인출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이 경우, 2종류 이상의 상품(55,57)은 길이는 동일하므로 색상 또는 형태 등을 달리하여 상품의 종류를 인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2종류의 상품(55,57)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3종류의 이상의 상품들을 적층하여 구획 보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10 : 케이스 111 : 하판
113 : 상판 115 : 측판
115a : 인출공 117 : 개폐판
120 : 구획판 130 : 받침부재

Claims (6)

  1.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품이 수용 보관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측판의 내면에 결합되며 상품이 구획되어 수용 보관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과 동시에 상품을 지지하는 구획판;
    상기 케이스의 측판에 형성되며, 상기 상품을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꺼낼수 있도록, 구획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기 케이스의 외측과 각각 연통시키는 인출공;
    상기 인출공을 개폐하는 개폐판을 포함하며,
    상기 구획판의 테두리부측은 벤딩되어 상기 케이스의 측판의 내면과 접촉하고,
    상기 케이스의 측판의 내면에는 상기 구획판을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대응되는 판형상 또는 프레임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판의 일면은 바닥과 접촉되고 타면에는 상기 상품이 지지되며, 상기 케이스의 하판의 타면은 상기 인출공과 가까워질수록 바닥과 점점 멀어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일면은 상기 케이스의 하판과 대향하고 타면은 상기 구획판과 접촉하며, 상기 받침부재의 타면이 상기 인출공과 가까워질수록 바닥과 점점 멀어지는 형태로 경사지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두께는 상기 인출공과 가까워질수록 점점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공은 상기 케이스의 측판에 1개 형성되어, 구획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기 케이스의 외측과 각각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공은 구획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과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측판에 각각 형성되어, 구획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기 케이스의 외측과 각각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6. 삭제
KR1020110011737A 2011-02-10 2011-02-10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KR101278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737A KR101278389B1 (ko) 2011-02-10 2011-02-10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737A KR101278389B1 (ko) 2011-02-10 2011-02-10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761A KR20120091761A (ko) 2012-08-20
KR101278389B1 true KR101278389B1 (ko) 2013-06-24

Family

ID=4688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737A KR101278389B1 (ko) 2011-02-10 2011-02-10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179U (ko) * 2018-06-18 2019-12-27 이계옥 칸막이가 구비된 제품 포장용 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623A (en) * 1976-06-25 1977-09-27 Giorgio Vacchi Containing box for various products
JP2002037247A (ja) * 2000-07-25 2002-02-06 Katsumi Fukutome 上蓋を開けずにスティックを取る・分量の解る箱
KR200401508Y1 (ko) * 2005-08-26 2005-11-17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KR200407630Y1 (ko) * 2005-11-03 2006-02-02 안승대 이중 티백 인출구를 구비한 티백 포장상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0623A (en) * 1976-06-25 1977-09-27 Giorgio Vacchi Containing box for various products
JP2002037247A (ja) * 2000-07-25 2002-02-06 Katsumi Fukutome 上蓋を開けずにスティックを取る・分量の解る箱
KR200401508Y1 (ko) * 2005-08-26 2005-11-17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KR200407630Y1 (ko) * 2005-11-03 2006-02-02 안승대 이중 티백 인출구를 구비한 티백 포장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3179U (ko) * 2018-06-18 2019-12-27 이계옥 칸막이가 구비된 제품 포장용 박스
KR200491046Y1 (ko) * 2018-06-18 2020-02-12 이계옥 칸막이가 구비된 제품 포장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761A (ko) 201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9747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 door having a storage chamber
US10308409B2 (en) Customizable caddy
KR20140022598A (ko) 냉장고용 서랍칸
US20040207305A1 (en) Tray apparatus for refrigerator
RU2370713C2 (ru) Дверная полка для холодильника
KR101278389B1 (ko)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KR20030083813A (ko) 이중도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994868B1 (ko) 포장상자
KR101416698B1 (ko) 냉장고
KR101948980B1 (ko) 뚜껑의 탈착이 용이한 수납트레이.
CN114440516A (zh) 冰箱
KR101029739B1 (ko) 음식물 배달용 포장 박스
KR200417982Y1 (ko) 상품 포장 상자
WO2016050293A1 (en) Space-saving foldable modular egg storage assembly for a refrigeration appliance
CN214095072U (zh) 冰箱
JP2012032068A (ja) 冷蔵庫
CN214371146U (zh) 一种冰箱
WO2020105178A1 (ja) 冷蔵庫
CN214371147U (zh) 冰箱
JPS5933984Y2 (ja) 冷蔵庫扉用収納装置
JP2019152355A (ja) 冷蔵庫
KR200469382Y1 (ko) 포장 박스
JP3142226U (ja) 中皿付食品包装用簡易容器
CN114440517A (zh) 冰箱
US9580232B1 (en) Food dispensing cad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