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508Y1 -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508Y1
KR200401508Y1 KR20-2005-0024632U KR20050024632U KR200401508Y1 KR 200401508 Y1 KR200401508 Y1 KR 200401508Y1 KR 20050024632 U KR20050024632 U KR 20050024632U KR 200401508 Y1 KR200401508 Y1 KR 2004015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pouch
rows
box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Priority to KR20-2005-0024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5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5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12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content indicators, or for mailing
    • B65D5/4216Cards, coupons or the like formed integrally with, or printed directly on, the container or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24Straps used as handles with anchoring elements fixed in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24Partitions inserted
    • B65D5/48026Squaring or like elements, e.g. honeycomb element, i.e. at least four not aligned compartments
    • B65D5/48038Strips crossing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0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 B65D5/542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opening 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blank in tubular form the lines of weakness being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5Incised or pre-scored openings or windows provided in the side wall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포장 박스 내에 수직으로 적층하여 상품열의 상태로 수용되는 1열 이상의 파우치 상품과; 1열 이상의 상품열 마다 박스 하단에 설치하여 사용초기 절취선을 따라 뜯어 낼 수 있게 하고 파우치 상품의 양단이 열린 창구 좌우에 지지되게 하는 디스플레이 창구로 구성한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이다. 이 고안은 파우치 상품열에 설치하는 디스플레이 창구의 상변 및 창구의 하변 중 하나 이상에 손가락 안내부를 더 확장 설치 할 수 있고; 포장박스는 2이상의 파우치 상품열을 수용하는 박스이고; 파우치 상품열 사이에 격판을 더 설치할 수 있고; 박스에 수용된 복수의 파우치 상품열은 서로 다른 파우치 상품으로 수용하고; 포장박스의 상품열 마다 수용된 상품의 내용을 식별하기위한 식별표지를 부가 구성 할 수 있다. 이 고안에 의하면 스틱 상품과 파우치 상품의 형태 차이를 극복한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제공하고, 파우치 상품을 직렬로 쌓아올리고, 파우치 상품을 복수 상품열로 박스에 포장하고, 복수 상품열 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동시에 2이상의 동종 상품을 독립된 창구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포장상태에서 창구에 디스플레이 될 상품을 구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Display and drawing slot installation of the packing box for pouch goods}
이 고안은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용신안 등록공보 20-0376366호에 게재된 종래 포장박스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도1에 인용하였다. 도1에서 포장박스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는 포장 박스(51)와 포장박스의 저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창구(5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구(52)는 사용초기 절취선(53)을 따라 덮개부(54)를 뜯어냄으로 개방된다. 창구(52)가 개방되면 상품이 창구 밖으로 내보여 디스플레이 되므로 사용자는 상품의 재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박스에 수용된 상품(50)은 양단이 디스플레이 창구(52)의 좌우 외륜부(55)에 지지되어 박스 밖으로 임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박스(51)에 재류된 상품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창구를 통해 직접 인출하여 사용하며, 상품은 인출되는 대로 아래로 침하되어 박스내의 마지막 상품까지 창구에 디스플레이 된다. 상품의 잔량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상품의 구입 시점을 쉽게 파악 할 수 있게 하는 의미가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포장박스에 적용된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의 디스플레이 창은 사용초기 절취선을 따라 덮개부를 뜯어내어 개방하고, 창구가 개방되면 상품이 창구 밖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상품의 재류 상태가 사용자에게 쉽게 파악되며, 박스에 수용된 상품은 양단이 디스플레이 창구의 좌우 외륜부에 지지되어 박스 밖으로 임의 이탈되지 아니하며, 박스에 재류된 상품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창구를 통해 직접 집어내어 사용하며, 상품은 밖으로 인출이 되는대로 아래로 침하되고, 상기 침하 동작으로 박스내의 마지막 상품까지 창구 밖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가 상품의 잔량 파악이 용이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포장박스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는 스틱상품 전용 장치로서 파우치 상품에 사용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포장박스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파우치 상품에 사용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 포장박스에 적용된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의 디스플레이 창은 사용초기 절취선을 따라 덮개부를 뜯어내어 개방하고, 창구가 개방되면 상품이 창구 밖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상품의 재류 상태가 사용자에게 쉽게 파악되며, 박스에 수용된 상품은 양단이 디스플레이 창구의 좌우 외륜부에 지지되어 박스 밖으로 임의로 이탈되지 아니하고, 박스에 재류된 상품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창구를 통해 직접 집어내어 사용하며 상품은 밖으로 인출이 되는대로 아래로 침하되고, 상기 침하 동작으로 박스내의 마지막 상품까지 창구 밖으로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가 상품의 잔량 파악이 용이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스틱상품의 포장에 전용되는 장치로 파우치 상품에 이용할 수 없다.
스틱 상품과 파우치 상품의 형태 차이는 상기 스틱 상품의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파우치 상품에 사용할 수 없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 고안은 상품의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파우치 상품에 사용 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고안은 파우치 상품을 직렬로 쌓아올려 박스 내에 수용하므로 파우치 상품의 디스플레이 인출이 가능하게 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은 파우치 상품을 복수 열로 박스에 포장하고 파우치 상품열 마다 디스플레이 창구를 설치하므로 파우치 상품의 형태 특성(특히 작은 파우치의 경우)을 극복한 파우치 상품의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제공 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은 복수 상품열 간의 간섭 또는 박스 내에서 파우치 상품들의 혼합을 방지하는 파우치 상품의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은 동시에 2이상의 동형이종 상품(예로서 현미녹차 파우치와 쌍화차 파우치의 경우)을 창구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하는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은 포장상태에서 창구에 디스플레이 될 상품을 구별 할 수 있는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 고안을 실시예인 첨부 도면을 인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용된 종래의 상품의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는 스틱상품의 포장에 전용되도록 고안된 것으로 파우치 상품에 이용할 수 없다. 스틱 상품과 파우치 상품의 외형 차이는 상기 스틱 상품의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파우치 상품에 사용할 수 없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 고안은 상품의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파우치 상품에 이용 할 수 있게 고안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고안은 파우치 상품을 직렬로 쌓아올려 박스 내에 수용하게 하므로 파우치 상품의 디스플레이 인출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 고안을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장 박스(20) 내에 수직으로 쌓아 수용되는 파우치 상품열(12)과; 1열 이상의 상품열(12) 마다 박스 하부에 설치하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창구(21)와;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창구(21)는 각각 절취선(23)을 따라 덮개부(24)를 뜯어내어 파우치 상품(11)이 개방된 창구(21)에서 디스플레이 되게 하고, 개방된 창구(21)에서 파우치 상품(11)의 양단이 창구 좌우의 외륜부(25)에 지지되어 이탈되지 아니하게 구성한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이다.
이 고안은 디스플레이 창구(21)의 덮개부(24)를 뜯어내면 창구(21)에 수직으로 적층된 상품열이 디스플레이 된다. 박스(20)내의 적층된 상품열의 파우치상품(11)은 양단이 창구(21)의 외륜부(25)에 지지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사용자는 창구(21)에서 디스플레이 된 파우치 상품(11)을 상자 밖으로 집어내어 사용할 수 있다. 파우치 상품(11)을 창구(21)으로 꺼내면 이탈된 상품의 위에 쌓였던 상품(11)들이 침하되어 창구(21) 밖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상자 밖으로 꺼낸 상품이 많아지면서 침하 될 상품(11)이 소진되면 창구(21)에 파우치 상품의 잔량이 디스플레이 된다. 복수의 상품열(12)을 박스(20)내에 수용한 경우 덮개부(24)를 하나씩 제거하여 파우치 상품을 차례로 사용하거나 복수의 덮개부(24)를 일시에 모두 제거하고 복수의 창구(21)에서 파우치 상품을 꺼내어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상품(11)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는 상품열(12)에 설치하는 디스플레이 창구(21)의 상변 및 창구 하변 중 하나 이상에 손가락 안내부(26)을 더 확장 설치 할 수 있다. 파우치 상품(11)은 일반적으로 제품의 길이가 6~12cm이다. 길이가 6cm인 녹차 파우치의 상품열(12)에 설치한 창구(21) 높이가 4cm인 경우 손가락 안내부(26)를 설치하여 실제 유효 창구(21) 높이를 바람직하게는 6cm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창구(21) 높이가 상품을 집어내기에 불편이 없는 충분한 높이인 경우 손가락 안내부(26)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상품(11)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의 포장 박스(20)는 2이상의 파우치 상품열(12)을 수용하는 박스(20)이고 파우치 상품열(12) 사이에 격판(27)을 더 설치 할 수 있다. 이 격판은 파우치 상품열(12)간의 간섭이 없는 소규모 박스의 경우 생략될 수 있다. 격판(27)은 복수의 상품열(12)이 하나의 줄(s)로 배열되는 경우 단순한 사각형 판지형태 이고, 상품열(12)이 앞줄과 뒷줄 곧, 복수 줄(d)로 포장 박스(20)내에 수용되는 경우 크로스타입의 격판(27a)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파우치 상품(11)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의 박스(20)에 수용된 복수의 파우치 상품열(12)에 서로 다른 파우치 상품을 수용하고, 포장박스의 상품열 마다 수용된 상품의 내용을 식별하기위한 식별표지(28)를 부가하면 사용에 편리하다. 포장박스에 단일의 상품을 복수의 상품열(12)로 수용한 경우 복수의 디스플레이 창구(21)는 어느 것이든 차례로 개방하여 사용하면 그만이다. 그러나 복수의 상품열이 서로 다른 상품인 경우 사용자는 창구(21)를 개방하려는 상품열(12)의 상품 내용이 무엇인지를 개방 전에 알기 원한다. 예컨대 녹차의 파우치 상품열을 개방하려 하였는데 쌍화차의 파우치 상품열을 개방하였다면 사용자는 실망과 낭패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상품열(12)의 파우치 상품의 내용을 미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식별표지(28)는 상기와 같은 실패를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파우치 상품(11)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의 포장박스(20)에 수용되는 4열 이상의 파우치 상품열(12)은 앞줄 및 뒷둘의 복수 행(d)으로 배열할 수 있다. 예로서 상품열이 4개 인 경우 앞줄에 2개의 상품열(12)을 배열하고 뒷줄에 2개의 상품열(12)을 배열하는 복수 줄(d)로 상품을 포장하는 것이다. 앞줄의 상품이 녹차와 쌍화차 인 경우 사용자는 앞줄의 두 창구(21)를 모두 개방한 다음 필요에 응하여 필사용하고자 하는 파우치 상품을 꺼내어 사용한다. 앞줄의 상품이 소진된 경우 사용자는 뒷줄의 두 창구(21)를 개방한 다음 필요에 응하여 필요한 파우치 상품을 꺼내어 사용한다. 이 경우 뒷줄의 파우치 상품을 사용할 경우 새 상품을 사용하는 기분이 된다. 그러나 수요자 요구에 따라 행과 뒷줄의 상품을 앞줄과 다른 상품으로 포장 할 수 있고, 또는 단일의 상품으로 포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 고안은 스틱 상품과 파우치 상품의 형태 차이를 극복하여 종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파우치 상품에 이용할 수 있고, 파우치 상품을 직렬로 쌓아올려 상품열 단위로 박스 내에 수용하고, 파우치 상품을 복수 열로 박스에 포장하고, 복수 상품열 간의 간섭 또는 박스 내에서 파우치 상품들의 혼합을 방지하고, 동시에 2이상의 동종 상품을 독립된 창구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포장상태에서 창구에 디스플레이 될 상품을 구별 할 수 있는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를 제공 한다.
도1는 종래 포장박스의 디스플레이 인출장치 인용도
도2는 이 고안 디스플레이 인출장치 포장 박스의 사시도
도3은 상품열을 은선으로 표시한 이 고안 포장박스의 정면도
도4는 격판을 은선으로 표시한 이 고안 포장박스의 정면도
도5는 이 고안 포장박스의 전개도
도6은 손가락 안내부를 설치한 이 고안 창구의 구조도
도7은 손가락 안내부를 상하에 설치한 이 고안 창구의 구조도
도8은 상품열을 1열만 수용한 포장박스의 평단면도
도9는 3열의 상품열과 격판을 도시한 이 고안 포장박스의 평 단면도
도10은 6열의 상품열과 크로스 격판을 도시한 이 고안 포장박스의 평 단면도
도11은 이 고안 크로스 격판을 도시한 포장 박스의 분해 사시도
도12는 이 고안 포장박스의 덮개부 제거과정 사시도
도13은 이 고안 포장 박스의 덮개부 제거상태 사시도
도14는 이 고안 포장박스의 파우치 상품 인출 상태도

Claims (6)

  1. 포장 박스와; 포장박스의 하 저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창구를 구비하고; 디스플레이 창구는 사용초기 절취선을 따라 뜯어내어 개방되고; 박스에 수용된 상품은 양단이 디스플레이 창구의 좌우에 지지되고; 박스에 수용된 상품은 디스플레이 창구에서 인출되고; 박스에 수용된 상품은 인출되는 대로 침하되어 수용된 상품의 마지막 상품까지 창구에 디스플레이 되는 것에 있어서,
    포장 박스 내에 수직으로 적층하여 상품열의 상태로 수용되는 1열 이상의 파우치 상품과; 1열 이상의 상품열 마다 박스 하단에 설치하여 사용초기 절취선을 따라 뜯어내고 파우치 상품의 양단이 창구 좌우에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창구로; 구성한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파우치 상품열에 설치하는 디스플레이 창구의 상변, 창구 하변 중 하나 이상에 손가락 안내부를 더 확장 설치한 것이 특징인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포장박스는 2이상의 파우치 상품열을 수용하는 박스이고 파우치 상품열 사이에 격판을 더 설치한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박스에 수용된 복수의 파우치 상품열에 서로 다른 파우치 상품을 수용하고, 포장박스의 상품열 마다 수용된 상품의 내용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표지를 부가하여 된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포장박스에 수용되는 4열 이상의 파우치 상품열은 앞줄 및 뒷줄의 복수줄로 배열한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2이상의 파우치 상품열에 2이상의 파우치 상품을 배열한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KR20-2005-0024632U 2005-08-26 2005-08-26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KR200401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632U KR200401508Y1 (ko) 2005-08-26 2005-08-26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632U KR200401508Y1 (ko) 2005-08-26 2005-08-26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508Y1 true KR200401508Y1 (ko) 2005-11-17

Family

ID=43702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632U KR200401508Y1 (ko) 2005-08-26 2005-08-26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5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389B1 (ko) * 2011-02-10 2013-06-24 김동수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KR101315122B1 (ko) * 2011-09-02 2013-10-07 유하석 서로 다른 2 종류의 스틱타입 상품을 담는 포장박스
KR20220096702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지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389B1 (ko) * 2011-02-10 2013-06-24 김동수 스틱상품용 포장상자
KR101315122B1 (ko) * 2011-09-02 2013-10-07 유하석 서로 다른 2 종류의 스틱타입 상품을 담는 포장박스
KR20220096702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지함
KR102577196B1 (ko) * 2020-12-31 2023-09-12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0328B1 (en) Combination shipping carton and twin dispenser boxes
US7051876B2 (en) Pilfer-resistant packaging with criss-cross grain pattern
US8602218B2 (en) Child-resistant packaging container and blank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4793487A (en) Dispensing of bags initially joined head-to-head
US3306437A (en) Coded shipping and dispensing carton assembly
US2706066A (en) Display and dispensing carton
KR200492642Y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EP0373746A1 (en) Display and dispensing carton
US4448303A (en) Point of sale display container
KR200401508Y1 (ko) 포장 박스의 파우치 상품 디스플레이 인출 장치
US9844489B2 (en) Child-resistant packaging container and blank
US20150014199A1 (en) Product container blank, carrier and package
WO2006050748A1 (en) Transport- and storage package containing paper-rolls
US20080029345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erchandising Non-Beverage Consumer Items
US20070158225A1 (en) Multi-pack container arrangements
CA2876989C (en) Packaging
EP3288848B1 (en) Method for producing a package assembly and such a package assembly
AU2009100715A4 (en) A carton and blank
EP2931615A1 (en) Disposable packaging, in particular for a set of packages
AU2019251088B2 (en) Packaged set of articles and method of loading packages onto a support member
US2256985A (en) Package
US1673112A (en) Display container
WO2016057380A1 (en) Cartons convertible for displayng products
KR0123584Y1 (ko) 소규격 상품의 날개 인출구조를 구비한 포장상자
JPH0610121U (ja) 展示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