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645B1 - 튜브형 포장박스 - Google Patents

튜브형 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645B1
KR101707645B1 KR1020160089429A KR20160089429A KR101707645B1 KR 101707645 B1 KR101707645 B1 KR 101707645B1 KR 1020160089429 A KR1020160089429 A KR 1020160089429A KR 20160089429 A KR20160089429 A KR 20160089429A KR 101707645 B1 KR101707645 B1 KR 101707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piece
stopper
gap
packaging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제
Original Assignee
코박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박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박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8Drawer-and-shell 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8Partitions
    • B65D5/48024Partitions inser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포장대에 내부포장대를 수납식으로 인출하는 튜브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포장대에서 내부포장대의 걸림이 없이 인출이 용이하도록 외부포장대의 전면판 내측에 인출유도편이 구성되고, 내부포장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를 간단한 구조로 조립이 간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칸막이로 조립시 형태변형이 없는 견고한 칸막이를 형성하여 수납되는 상품의 유동됨이 없이 외부충격에도 안정적인 포장상태를 제공하며, 칸막이 조립을 위한 내부포장대의 여유공간이 필요없어 전체 포장대의 부피를 줄이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튜브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형 포장박스 {Tube type packing box}
본 발명은 내부포장대와 외부포장대로 이루어진 튜브형 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의 모든 상품은 상품을 포장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이는 단순히 상품을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하는 것에만 그치지 않고, 상품을 보호함은 물론 상품의 가치를 고취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더욱 세련되고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포장박스는 재사용 가능하면서도 사용의 편리성이 고려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에 대해,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0794256호의 서랍형 포장박스는 내용기와 외용기로 구성되어 외용기가 내용기를 서랍형태로 결합하는 튜브형 박스를 제안하고 있다. 즉, 사면 벽판과 배면판이 판지로 연속된 사각형 튜브의 열린 구부에 내용기를 서랍상태로 끼우고, 쇼핑백의 역할을 포함하도록 운반용 손잡이 끈을 구부 근처에 설치한 외용기와; 사면 외벽판과 내벽판과 밑판이 판지로 연속된 사각형 용기의 사각 공간에 하나 이상의 상품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상품 지지체를 수용한 내용기를 외용기의 구부에 서랍상태로 조립하여 서랍상태로 열고 닫을 수 있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가 결합되는 외용기의 구부에서 연장되고 구부의 내측으로 접어 겹쳐 겹쳐진 부분의 구부 강도를 높이는 구부겹침 판지들과; 상기 구부겹침 판지들 중 하나의 판지의 끝 스토퍼를 판지의 탄성으로 외용기에서 분리시켜 내용기를 열때 스토퍼가 내용기의 내면벽에 잘 걸리도록 갭(gap)을 구비한 스토퍼와; 상기 내용기의 내벽에 구비되어 외용기의 스토퍼에 걸리는 내면턱으로 구성한 외용기는 손잡이 끈이 설치되어 쇼핑백의 역할을 담당하고, 외용기는 내용기의 일부 헤드를 노출시키므로 서랍을 열기 위하여 이용자가 헤드를 손으로 잡을 수 있고 동시에 헤드 부분에 상품의 정보를 인쇄할 수 있게 배려되었으며, 내용기가 결합되는 외용기 구부의 강도를 높여 굽지 않고 반듯한 모습을 보이게 하여 외관의 품격을 높이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도 1에 보인바와 같이, 외용기의 구부 강도를 높히도록 구부 내측으로 겹쳐진 구조의 구부겹침판지들 중 하나의 판지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내용기를 외용기에서 분리시 내용기의 하단 내면턱이 걸림되는 구조에 따라 외용기에서 내용기의 완전분리가 불편하게 되고, 걸림되는 구조를 인지하지 못하는 소비자가 힘을 주어 억지로 분리하게 되면 구부측이 찢어지거나 파손되어 포장박스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장기간 보관시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용기에 하나 이상의 상품을 수납하도록 수용되는 지지체의 경우 내용기의 수납공간 전체에 지지체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물을 삽입하고 있어 중요한 내용물 보다 포장박스의 부피만 키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포장박스의 경우 도 2에 보인바와 같이, 내용기를 구획하는 칸막이의 형성시 내부에 빈공간을 형성하게 되면, 칸막이의 간격유지수단이 없어 외부충격시 칸막이를 구성하는 양측 격벽이 중첩되어 칸막이의 기능이 상실되어 상품보관에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794256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부포장대와 외부포장대로 이루어진 포장박스를 개선하여 외부포장대에서 내부포장대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내부포장대의 인출시 외부포장대의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등의 염려가 전혀 없고,
내부포장대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를 구성하되, 간단한 구조와 조립이 간편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칸막이로 조립시 형태변형이 없는 견고한 칸막이를 형성하여 수납물이 유동됨이 없이 안정적인 포장상태를 제공하며, 칸막이 조립을 위한 내부포장대의 여유공간이 필요없어 전체 포장대의 부피를 줄이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튜브형 포장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외부포장대에 하나 이상의 상품이 수납되는 내부포장대가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튜브형 포장박스에 있어서,
외부포장대에 하나 이상의 상품이 수납되는 내부포장대가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튜브형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포장대는 상단 개구부에서 전면판 내측으로 내부포장대의 하단부가 걸림됨이 없이 인출되도록 전면판과 동일한 길이의 인출유도편이 겹침 형성되며, 상기 내부포장대는 전면이 개방되어 상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을 갖도록 바닥판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상판, 하판 및 양측 측판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이 칸막이로 구획되며, 상기 칸막이는 이격편의 양측에 좌격벽과 우격벽이 상호 대향하도록 기립 형성되며, 상기 좌격벽 및 우격벽의 하부에 내부포장대의 바닥판에 안착되는 좌측바닥지지편 및 우측바닥지지편이 형성되며, 상기 좌격벽과 우격벽의 하부에 이격편의 좌우폭만큼의 이격 거리를 유지토록 하는 간격유지구가 형성되며, 상기 이격편과 간격유지구에 의한 좌격벽과 우격벽의 사이에 완충공간부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포장대는 내측에 칸막이를 고정 조립을 위해 수평방향의 고정홈이 관통되고, 상기 고정홈의 양측 단부에 수직방향의 절개홈이 관통된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의 이격편의 전후단에 내부포장대의 고정홈에 끼움식으로 고정시키도록 끼움편이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칸막이의 간격유지구는 좌격벽 하단부에 절취되어 좌측바닥지지편이 절곡되면서 우격벽 방향으로 수평 형성되는 간격유지편과, 우격벽 하단부에 절취되어 우측바닥지지편이 절곡되면서 좌격벽 방향으로 수평 형성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유지편과 스토퍼의 좌우폭은 이격편의 좌우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전후폭의 경우 스토퍼가 간격유지편 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의 상단에 간격유지편이 중첩되면 간격유지편이 우격벽에 지지되어 좌격벽과 우격벽의 사이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간격유지편은 중앙에 수직지지편이 세워지도록 양분되게 절취되어 스토퍼가 간격유지편의 상단에 중첩시 수직지지편에 지지되어 좌격벽과 우격벽의 사이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튜브형 포장박스에 의하면, 외부포장대에 내부포장대로 서랍식으로 인출시 외부포장대의 개구부에서 전면판 내측으로 인출유도편이 접힘된 구조에 따라 내부포장대의 분리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져 외부포장대의 개구부 주위가 쉽게 찢어져 파손되는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포장대의 상품이 수납되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칸막이의 구성이 단순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간단한 구조로 형태변형이 없이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인 포장상태를 제공하는 효과를 있다.
또한, 포장박스의 부피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 품질은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튜브형 포장박스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튜브형 포장박스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튜브형 포장박스의 구성중 내부포장대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튜브형 포장박스의 구성중 칸막이의 전개상태를 보인 전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튜브형 포장박스의 구성중 간격유지구의 변형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발명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통상의 기술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튜브형 포장박스를 보인 분리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튜브형 포장박스를 보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물품이 수납되는 내부포장대와, 내부포장대가 서랍식으로 결합되는 외부포장대로 이루어진 튜브형 포장박스를 적극 개선한 것으로, 외부포장대에서 내부포장대의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며, 내부포장대의 수납공간을 구획하도록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어 형태변형이 없이 견고한 구조의 칸막이를 구성한 튜브형 포장박스를 구성한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형 포장박스는 외부포장대(1), 내부포장대(2) 및 칸막이(3)를 포함한다.
외부포장대(1)는 전개상태에서 조립하게 되면 상단에 개구부(11)가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는 강도를 높히면서 모서리가 곡면형상이 되도록 전면판(12), 배면판(13) 및 양측 측면판(14,15)의 상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겹쳐지도록 하는 겹침편(12a,13a,14a,15a)이 형성되고, 개구부의 근처에 휴대의 용이성을 위해 끈손잡이(16)가 형성된다.
상기 겹침편(12a,13a,14a,15a)에서 전면판(12) 내측으로 접힘되는 전면부 겹침편(12a)은 내부포장대(2)를 인출시 겹친편(12a)의 끝단부에 내부포장대가 걸림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여 인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전면판(12)과 동일한 길이의 인출유도편(17)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개구부(11)의 배면판(13) 및 배면부 겹침편(13a)이 접힘된 부위에는 내부포장대(2)의 파지를 위해 반원형상의 파지홈(18)이 형성된다.
내부포장대(2)는 전개상태에서 조립하게 되면 전면이 개방되어 상품(4)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토록 바닥판(21)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상판(22), 하판(23) 및 양측 측판(24,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22)은 전면에서 볼때 하판(23) 보다 상하폭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외부포장대(1)에 삽입시 상판(22)의 전단부가 일부 노출되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내부포장대(2)의 상판(22)이 인출시에는 파지구의 기능을 하고, 상판의 전면이나 상부면에 광고문구나 그림등을 인쇄하여 인입되어진 상태에서는 광고효과와 상품(4)의 심미감을 높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상판(22)과 하판(23)의 내측에는 도 5에 보인바와 같이, 칸막이(3) 조립을 위한 고정부(26,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부(26,26')는 수평방향의 고정홈(26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6a)의 양측 끝단부에 수직방향의 절개홈(26b,26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에서 외부포장대(1)와 내부포장대(2)의 전개상태에 의한 세부구성은 통상적적인 구성임에 따라 상세한 도면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칸막이(3)는 도 6에 보인바와 같이, 이격편(31)의 양측으로 접이선에 의해 좌격벽(32)과 우격벽(33)이 상호 대향하도록 하향 절곡되고, 상기 좌격벽(32) 및 우격벽(33)의 하단부에 접이선에 의해 좌측바닥지지편(34) 및 우측바닥지지편(35)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좌격벽(32)과 우격벽(33)의 하단부 중앙에 이격편(31)의 좌우폭만큼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도록 간격유지구(36)가 형성되며, 상기 이격편(31)과 간격유지구(36)에 의해 좌격벽(32)과 우격벽(33)의 사이에 형성되는 완충공간부(3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격편(31)의 전후단에는 내부포장대(2)의 고정홈(26a)에 조립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끼움편(31a)이 소정간격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격유지구(36)는 좌격벽(32) 하단부에 절취되어 좌측바닥지지편(34)이 절곡되면서 우격벽(33)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간격유지편(36a)과, 우격벽(33) 하단부에 절취되어 우측바닥지지편(35)이 절곡되면서 좌격벽(32)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스토퍼(36c)로 형성된다.
상기 간격유지편(36a)과 스토퍼(36c)는 좌우격벽(32,33)의 하단부에서 절취된 모양에 따라 좌격벽(32)에는 좌관통구(32a) 및 우격벽(33)에는 우관통구(33a)가 형성된다.
이때 간격유지편(36a)과 스토퍼(36c)의 좌우폭은 이격편(31)의 좌우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전후폭의 경우 스토퍼(36c)가 간격유지편(36a) 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칸막이(3)를 내부포장대(2)에 조립시 좌우측바닥지지편(34,35)을 절곡하여 스토퍼(36c)의 상단에 간격유지편(36a)이 중첩하게 되면, 간격유지편(36a)의 하부는 스토퍼(36c)에 의해 지지되고, 전단부는 우격벽(33)에 의해 지지되어 간격이 유지되므로 좌우격벽(32,33)이 겹쳐지거나 형태 변형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완충공간부(37)는 이격편(31)과 간격유지구(36)가 좌우격벽(32,33)의 상하단부에서 이격 거리를 유지함으로써, 좌우격벽의 내측의 빈공간이 완충작용을 형성함에 따라 수납되는 상품(4)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튜브형 포장박스에 의하면,
외장포장대(1)에 내부포장대(2)를 서랍식으로 인출시 종래에 개구부(11)의 전면판(12)의 내측으로 접힘되는 전면부 겹침편(12a)에 내부포장대가 걸림되어 불편함이 따랐던 구조와 달리 전면판(12)과 동일한 길이의 인출유도편(17)이 접힘되어 인출유도편(17)의 끝단부가 내부포장대(2)의 하판(23)보다 더 하부에 위치되는 구조가 되어 외장포장대(1)에서 내부포장대(2)를 인출시 걸림됨이 전혀 없이 분리 인출이 원활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내부포장대(2)를 구획하는 칸막이(3)는 조립이 간편하고, 이동시나 외부충격시 칸막이(3)의 형태변형이 방지된 견고한 칸막이(3)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칸막이(3)는 좌격벽(32)과 우격벽(33)이 기립된 상태로절곡되고, 좌격벽(32)과 우격벽(33)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좌측바닥지지편(34)과 우측바닥지지편(35)을 내부포장대(2)의 바닥판(21)에 안착시킨 후, 이격편(31)의 전후단에 돌출된 끼움편(31a)을 내부포장대(2)의 상판(22)과 하판(23)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부(26,26')에 끼움으로써 내부포장대(2)에 칸막이(3)를 간단히 고정 조립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칸막이(3)는 좌격벽(32)과 우격벽(33)의 하단부 사이에 간격유지구(36)가 형성되어 상단부 이격편(31)의 좌우폭만큼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함과 아울러 좌격벽(32)과 우격벽(33) 사이에 빈공간이 완충작용을 하는 완충공간부(37)로 형성되어 상품(4)의 사이에서 외부충격시에 완충작용을 제공하여 안전한 포장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에서 간격유지구(36)는 우격벽(33)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36c)의 상단에 간격유지편(36a)이 포개진 채로 좌격벽(32)에 의해 지지되어 유동이 제한됨에 따라 좌격벽(32)과 우격벽(33) 사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간격유지편(36a)의 외측으로 형성된 우측바닥지지편(35) 및 좌측바닥지지편(34)의 끝단부가 내부포장대(2)의 측판(24,25) 내측에 각각 지지되어 유동이 제한됨에 따라 간격유지구(36)에 의한 좌격벽(32) 및 우격벽(33)의 간격유지가 보다 견고하며 그에 따른 상품의 포장상태를 흐트러짐이 없이 견고한 구조로 지지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튜브형 포장박스의 구성중 간격유지구(36)의 변형실시예를 보인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칸막이(3)의 조립시 스토퍼(36c)가 간격유지편(36a)의 상단에 위치되는 경우 좌격벽(32)의 관통구(32a)로 스토퍼(36c)가 삽입되어 좌우격벽(32,33)이 겹쳐짐에 따른 칸막이(3)가 변형되어 칸막이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토록 간격유지편(36a)의 구조를 변형실시할 수 있다.
즉, 간격유지편(36a)이 양분되도록 절취되어 중앙에 수직지지편(36b)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스토퍼(36c)가 간격유지편(36a)의 상단에 위치된다 하더라도 수직지지편(36b)에 의해 스토퍼(36c)가 좌격벽(32)의 관통구(32a)로 내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지지편(36b)에 의해 간격유지편(36a) 및 스토퍼(36c)는 기능 및 작용에 대한 구분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간격유지편(36a)이 이격 거리를 두고 양분됨에 따라 스토퍼(36c)를 양분된 간격유지편(36a) 사이에 중첩되는 구조로 조립할 수 있어 간격유지구(36)의 조립상태를 견고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튜브형 포장박스는 내부포장대의 내측에 간단한 구조로 조립되는 칸막이가 구성됨에 따라 상품을 보다 안전하게 포장하여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으며, 칸막이 구성을 위한 포장박스의 부피를 크게할 필요가 없어 제조원가는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외부포장대
11:개구부 12:전면판 13:배면판 14,15:측면판
12a,13a,14a,15a:겹침편
16:끈손잡이 17:인출유도편 18:파지홈
2:내부포장대
21:바닥판 22:상판 23:하판 24,25:측판
26,26‘고정부 26a:고정홈 26b,26b':절개홈
3:칸막이
31:이격편 31a:끼움편 32:좌격벽 32a:좌관통구
33:우격벽 33a:우관통구
34:좌측바닥지지편 35:우측바닥지지편
36:간격유지구 36a:간격유지편 36b:수직지지편 36c:스토퍼
37:완충공간부
4:상품

Claims (4)

  1. 외부포장대(1)에 다수의 상품(4)이 수납되도록 수납공간이 칸막이(3)로 구획된 내부포장대(2)가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튜브형 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포장대(1)는 상단 개구부(11)에서 전면판(12) 내측으로 내부포장대(2)의 하단부가 걸림됨이 없이 인출되도록 전면판(12)과 동일한 길이의 인출유도편(17)이 겹침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3)는 이격편(31)의 양측에 좌격벽(32)과 우격벽(33)이 상호 대향하도록 기립 형성되며, 상기 좌격벽(32) 및 우격벽(33)의 하부에 내부포장대(2)의 바닥판(21)에 안착되는 좌측바닥지지편(34) 및 우측바닥지지편(35)이 형성되며, 상기 좌격벽(32)과 우격벽(33)의 하부에 이격편(31)의 좌우폭만큼의 이격 거리를 유지토록 하는 간격유지구(36)가 형성되며, 상기 이격편(31)과 간격유지구(36)에 의한 좌격벽(32)과 우격벽(33)의 사이에 완충공간부(37)가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3)를 내부포장대(2)에 고정되도록 이격편(31)의 전후단에 내부포장대(2)의 끼움편(31a)이 돌출 형성되고, 내부포장대(2)의 상판(22) 및 하판(23)의 내측에 끼움편(31a)이 끼움결합되도록 수평방향의 고정홈(26a)이 관통되고, 상기 고정홈(26a)의 양측 단부에 수직방향의 절개홈(26b,26b')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구(36)는 칸막이(3)의 간격유지구(36)는 좌격벽(32) 하단부에 절취되어 좌측바닥지지편(34)이 절곡되면서 우격벽(33)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간격유지편(36a)과 우격벽(33) 하단부에 절취되어 우측바닥지지편(35)이 절곡되면서 좌격벽(32)으로 수평되게 돌출되는 스토퍼(36c)로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유지편(36a)과 스토퍼(36c)의 좌우폭은 이격편(31)의 좌우폭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전후폭은 스토퍼(36c)가 간격유지편(36a) 보다 좁게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36c)의 상단에 간격유지편(36a)이 중첩되면 간격유지편(36a)이 우격벽(33)에 지지되어 좌격벽(32)과 우격벽(33)의 사이 간격이 유지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편(36a)은 중앙에 수직지지편(36b)이 세워지도록 양분되게 절취되어 스토퍼(36c)가 간격유지편(36a)의 상단에 중첩시 수직지지편(36b)에 지지되어 좌격벽(32)과 우격벽(33)의 사이 간격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포장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89429A 2016-07-14 2016-07-14 튜브형 포장박스 KR101707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429A KR101707645B1 (ko) 2016-07-14 2016-07-14 튜브형 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429A KR101707645B1 (ko) 2016-07-14 2016-07-14 튜브형 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645B1 true KR101707645B1 (ko) 2017-02-20

Family

ID=58265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429A KR101707645B1 (ko) 2016-07-14 2016-07-14 튜브형 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6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56B1 (ko) 2006-09-16 2008-01-16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서랍형 포장박스
KR101003527B1 (ko) * 2010-06-17 2010-12-29 주식회사 올리브디앤피 서랍형 포장 박스
KR20110003359U (ko) * 2009-09-28 2011-04-05 주식회사 신우 포장용 상자
CN205098609U (zh) * 2015-01-26 2016-03-23 无忌兴业股份有限公司 盒用隔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56B1 (ko) 2006-09-16 2008-01-16 주식회사 한진피앤씨 서랍형 포장박스
KR20110003359U (ko) * 2009-09-28 2011-04-05 주식회사 신우 포장용 상자
KR101003527B1 (ko) * 2010-06-17 2010-12-29 주식회사 올리브디앤피 서랍형 포장 박스
CN205098609U (zh) * 2015-01-26 2016-03-23 无忌兴业股份有限公司 盒用隔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1189B (zh) 用於產品之展示包裝盒
KR200492642Y1 (ko)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US8789704B2 (en)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US20110000955A1 (en) Slider Power-Wing Box
US20130001126A1 (en) Packaging and Display Case For Dissimilar Objects
KR102059779B1 (ko) 포장상자
JP2020193016A (ja) 紙箱
WO2015054341A1 (en) Modified frame face shipping and display container
KR101707645B1 (ko) 튜브형 포장박스
US8646608B2 (en) Packaging and display device
KR20170102647A (ko) 지지체를 구비한 포장용 종이상자
JP2013010525A (ja) 商品包装体
KR101582148B1 (ko) 포장용 수납상자
KR101289408B1 (ko) 접이식 포장 상자
EP1494927B1 (en) Container
RU175536U1 (ru) Ящик для упакованных штучных продуктов
KR102018563B1 (ko)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JP2002059918A (ja) 商品の収納用箱
JP2007055653A (ja) 商品包装箱
KR200477048Y1 (ko) 포장 박스
JP3189184U (ja) 陳列兼梱包容器用シート及び陳列兼梱包容器
JP2008273608A (ja) 商品梱包容器
KR101631824B1 (ko) 상품 포장박스
KR200215378Y1 (ko) 리필용 샴푸 진열대용 포장 상자
KR200469382Y1 (ko) 포장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