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117U - 정량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정량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117U
KR20100003117U KR2020080012277U KR20080012277U KR20100003117U KR 20100003117 U KR20100003117 U KR 20100003117U KR 2020080012277 U KR2020080012277 U KR 2020080012277U KR 20080012277 U KR20080012277 U KR 20080012277U KR 20100003117 U KR20100003117 U KR 201000031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grains
outlet
spoon
g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22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환
Original Assignee
김두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두환 filed Critical 김두환
Priority to KR20200800122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117U/ko
Publication of KR201000031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1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1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with dispens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잡곡 등을 담아 두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으로 제작되며, 내부의 곡식을 스푼형식의 컵에 일정한 양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잡곡 등의 곡식을 간편히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곡식을 일정한 양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잡곡이 담기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중간에 구성되며,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배출구를 여닫아 주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에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더가 배출구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탄성체와;
상기 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일정한 양의 잡곡을 담아 인출하는는 스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인출장치.
잡곡, 정량, 호퍼, 슬라이더, 스푼

Description

정량 인출장치{DISCHARGING DEVICE FOR A FIXED QUANTITY}
본 고안은 잡곡 등을 담아 두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으로 제작되며, 내부의 곡식을 스푼형식의 컵에 일정한 양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쌀을 보관하기 위한 쌀통은 여러 가지 형태로 많이 나와 있으나 주식인 밥에 섞어 먹는 잡곡은 별도의 통에 담아 보관하면서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조금씩 꺼내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통에 담긴 잡곡을 인출할 때 뚜껑을 열고 적정량을 배출하고자 할 때 어려움이 있으며, 별도의 계량컵을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잡곡 등의 곡식을 간편히 인출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잡곡 등의 곡식을 일정한 양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잡곡이 담기는 용기 본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중간에 구성되며,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배출구를 여닫아 주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에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더가 배출구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탄성체와;
상기 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일정한 양의 잡곡을 담아 인출하는는 스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잡곡 등의 곡식을 간편히 인출할 수 있도록 하며, 곡식을 일정한 양씩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며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우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잡곡이 담기는 용기 본체(10)는 통상의 통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부에는 뚜껑(20)을 구비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후술하는 스푼이 인입되는 인출구(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용기 본체(10)의 내부 중간에 구성되며, 배출구(12)가 형성된 호퍼(14)는 본체(10)에 담긴 잡곡 등의 곡식(30)을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잡곡(30)은 호퍼의 경사면을 따라 자유 낙하하도록 한다.
상기 호퍼(14)의 하단에 설치된 레일(15)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15)는 ┏━형으로 절곡되며, 평편한 판상의 상면은 용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배출구(12)의 길이보다 적어도 2배이상의 길이를 가지며, 전방에 배출구(12)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구멍(16)이 형성되어 후면은 배출구를 먹아 둘 수 있도록 평면으로 구성하며, 후방의 절곡부(15a)는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탄성체로 스프링(17)을 사용하였다.
상기 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일정한 양의 잡곡을 담아 인출하는는 스푼(25)은 잡곡 등의 곡식을 담는 용기(26)와 상기 용기로부터 연장되는 손잡이(27)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푼의 용기 높이는 바닥면에서 배출구 하단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우선 용기 내부의 곡식을 인출하기 위하여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푼(25)의 손잡이(27)를 잡고 인출구(13)로 힘을 가해 스푼을 밀어 넣으면 스푼의 선단이 슬라이더(15)의 후방 절곡부(15a)를 밀어주게 되므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5)는 레일을 타고 이동하면서 스프링(17)이 압축되면서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옹기 내부의 곡식(30)은 배출구(12)를 통해 밑으로 자유낙하 하면서 스푼의 용기(26)에 담기게 되는 것이며, 이때 곡식의 자유롭게 낙하할 수 있도록 호퍼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본체(10) 내부의 곡식은 자연스럽게 안내되어 배출구를 통해 낙하하게 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스푼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dnjsdnlcl 되는 것으로 이는 슬라이더(15)의 후방 절곡부(15a)에 의해 압축되었던 스프링(17)의 탄성에 의해 스푼이 앞으로 밀려나옴과 동시에 슬라이더의 상면이 배출구(12)를 막아주어 곡식의 이탈을 막아준다.
이후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푼을 당기면 스푼의 용기에는 곡식이 담긴 상태에서 밖으로 나오게 되는 것이며, 스푼 용기의 상면에서 곡식이 깎여 용기의 상면과 일치하게 되므로 일정량 만을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Claims (1)

  1. 잡곡이 담기는 용기 본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 중간에 구성되며, 배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설치되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배출구를 여닫아 주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에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슬라이더가 배출구를 막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탄성체와;
    상기 슬라이더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며, 일정한 양의 잡곡을 담아 인출하는는 스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인출장치.
KR2020080012277U 2008-09-10 2008-09-10 정량 인출장치 KR201000031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77U KR20100003117U (ko) 2008-09-10 2008-09-10 정량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2277U KR20100003117U (ko) 2008-09-10 2008-09-10 정량 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117U true KR20100003117U (ko) 2010-03-18

Family

ID=44198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2277U KR20100003117U (ko) 2008-09-10 2008-09-10 정량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117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770A1 (ko) * 2012-09-05 2014-03-13 Lee Namseog 곡물 저장용기
WO2022022462A1 (zh) * 2020-07-30 2022-02-03 罗海涛 一种可视化控量投料工具
KR20220042018A (ko) * 2020-09-25 2022-04-04 주식회사 델토이드 파우더 저장 및 분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8770A1 (ko) * 2012-09-05 2014-03-13 Lee Namseog 곡물 저장용기
WO2022022462A1 (zh) * 2020-07-30 2022-02-03 罗海涛 一种可视化控量投料工具
KR20220042018A (ko) * 2020-09-25 2022-04-04 주식회사 델토이드 파우더 저장 및 분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2257B2 (en) Containers with multi-functional caps
US6202891B1 (en) Dispenser for liquid applicator
CN105923411B (zh) 用于颗粒或粉末类物质的定量存取装置
US20070181614A1 (en) Measuring particulate material dispenser
WO2006116370A3 (en) Tablet dispenser
KR20100003117U (ko) 정량 인출장치
US9863799B2 (en) Powdered sugar scoop
US4440322A (en) Dispenser for nuts or the like
JP4660229B2 (ja) 容器
CN107089440B (zh) 可分发粒状物的储存容器
CN206885832U (zh) 可分发粒状物的储存容器
JP3160995U (ja) 粉粒状物の振出具
RU260755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подачи нефасованных товаров, продаваемых по весу
CN208761322U (zh) 定量落料系统
KR200433076Y1 (ko) 정량 인출장치
CN208447381U (zh) 一种方便定量出料的调料盒
CN201322633Y (zh) 量匙及容器包装洗涤剂
CA2522791C (en) Measuring particulate material dispenser
CN217995307U (zh) 一种防污染的定量奶粉盒
CN219750493U (zh) 一种便利食品包装盒
CN208760993U (zh) 定量落料器
JP3588341B2 (ja) 粒状物用容器
KR101247500B1 (ko) 고형체 낱개 배출 케이스
JP2003190029A (ja) 計量米びつ
CN111297228A (zh) 一种方便定量出料的调料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