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064B1 -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064B1
KR101983064B1 KR1020180010970A KR20180010970A KR101983064B1 KR 101983064 B1 KR101983064 B1 KR 101983064B1 KR 1020180010970 A KR1020180010970 A KR 1020180010970A KR 20180010970 A KR20180010970 A KR 20180010970A KR 101983064 B1 KR101983064 B1 KR 101983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eparator
lid
beverage
dispos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수
김동환
이기훈
김태균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동력원 없이 일회용 컵과 음료수 및 얼음 등의 내용물, 일회용 컵의 뚜껑 등을 자동으로 분리수거 하는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일회용컵 분리수거기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진 벽면(100)으로 둘러싸인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정된 부위로부터 본체부(10)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한 제1회전축(220);과 상기 본체부 벽면(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220)축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밟았을 때 제1회전축(220)을 180도 이하의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사용자가 발을 뗐을 때 다시 반대방향으로 제1회전축(220)을 회전시켜 원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발판(230);과 상기 제1회전축(220)에 고정되며, 제1회전축(220)의 움직임에 따라 상측 및 하측을 향하고, 컵이 착용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컵 내용물과 컵이 분리되도록 하는 뚜껑분리부(200);와 상기 뚜껑분리부(200)는 컵의 둘레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작은 둘레로 컵을 감싸며 상단에는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돌기부(211)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된 컵꽂이(210)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컵꽂이(210)에 컵을 넣었을 때 컵꽂이(210)의 둘레면(212)에 의해 컵의 둘레가 가압되며 상기 돌기부(211)에 의해 컵 뚜껑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뚜껑분리부(200)가 회전하면서 컵으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음료 수거통(310)으로 보내고, 내용물이 제거된 컵을 컵 수거부(320)로 보내는 음료분리부(300);와, 상기 음료분리부(3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음료분리부(300)의 일측에서 상기 뚜껑분리부(200)가 회전하는 경로에 간섭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뚜껑분리부(200)가 회전할 때 컵을 밀어내어 컵꽂이(210)에서 컵(51)을 분리하는 컵 밀대(3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음료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컵을 수거하며, 컵이 수거되면서 자동으로 적층되도록 경사면에 소정의 돌기 형태의 턱(3210)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적층부(321)를 구비한 컵 수거부(320);와 상기 음료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컵의 내용물을 수거하는 음료수거통(310);을 구비하여, 별도의 동력 없이 자동으로 컵과 내용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Disposable cup separator}
본 발명은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컵의 음료수 및 얼음 등의 내용물과 일회용 컵, 뚜껑을 별도의 동력원 없이 자동으로 분리할 수 있는 기구부를 구비함으로써, 각기 다른 재질을 가진 구성물들을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하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국민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근래 우리나라에서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성장한 테이크아웃점이 일회용품의 사용을 증대시키고 있다. 1999년 커피에서 시작된 테이크아웃 붐은 퓨전요리를 넘어 설렁탕, 순대국, 비빔밥 등 포장이 힘든 음식물로도 확대되고 있다. 테이크 아웃은 단시간에 다양한 메뉴를 간편하게 즐기고 싶어하는 젊은층에게 음식문화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커피의 경우, 커피숍과 같은 지정된 자리에 앉아서 마시는 것보다 이동 중에도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하는 커피를 마실 수 있다는 장점때문에 테이크아웃 커피 전문점은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풍은 일회용품 사용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올해의 일회용컵 사용량만 해도 2억 8600만개로 연간 생활폐기물 발생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이를 수거, 처리하는 비용 또한 연간 수백억원에 달한다. 게다가, 테이크아웃 커피에 사용되는 일회용컵의 경우, 컵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 내용물을 흡입하기 위한 빨대, 먹고 남은 잔유물 등 구성이 다양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신경쓰지 않는 이상 각각의 구성물이 정확하게 분리 배출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이, 일회용 컵의 분리, 배출이 안될 경우 기존의 분리, 배출에 드는 비용과 시간, 노력이 배가 되며, 2차적인 환경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한편, 테이크아웃용 일회용컵을 분리 배출하는 것은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테이크아웃 커피 전문점 내에 손님이 먹은 일회용컵을 직접 버릴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곳도 있으나, 이는 손님이 분리하지 않고 버리는 경우 직원들이 다시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잔유물 미처리로 인한 미관상 및 위생상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직원이 일일이 분리하여 배출한다 하더라도 많은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수거기는 자동판매기에서 사용된 컵을 재활용하기 위해 수거하는 컵 분리수거기이며, 컵 내부의 음료수 및 얼음 등의 내용물이 없는 단일한 컵만을 수거할 때 이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수거기는 컵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을 컵을 버리는 각 사용자가 별도로 제거한 후에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컵을 제대로 비우지 않고 버리는 경우, 컵에 남아있던 내용물에 의해 또 다른 컵 및 분리수거기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일회용 컵에 오염물이 묻기 때문에 분리수거하여 재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컵 분리수거기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컵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버릴 수 있는 공간이 없는 경우와, 공간이 있더라도 순간 인원유동이 많은 영화 상영관 출구 등에서는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일일히 분리하여 버리기 어려 경우에, 일회용 컵과 내용물이 분리되지 않은 채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종래의 컵 분리수거기의 문제점으로 인해, 일회용 컵과 내용물 등을 자동으로 분리하여 수거하는 기기들이 발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들은 추가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며, 구조상의 복잡성으로 인해 유지 및 관리에 추가적인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뚜껑과 컵을 분리하는 뚜껑분리부, 뚜껑분리부를 회전시키는 발판, 컵과 내용물을 분리시키는 형상을 가진 음료분리부, 컵을 적층시킨 후 일정 무게가 되면 회전하는 컵 수거부로 구성되어 있는 일회용컵 분리기를 제안한다.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는 현재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개발되어 있으나, 그 중 가장 보편적인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는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12-0066885에서 개시한 형태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동력원 없이 일회용 컵과 음료수 및 얼음 등의 내용물, 일회용 컵의 뚜껑 등을 자동으로 분리수거 하는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컵 분리수거기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벽면(100)으로 둘러싸인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정된 부위로부터 본체부(10)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한 제1회전축(220);과 상기 본체부 벽면(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220)축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밟았을 때 제1회전축(220)을 180도 이하의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사용자가 발을 뗐을 때 다시 반대방향으로 제1회전축(220)을 회전시켜 원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발판(230);과 상기 제1회전축(220)에 고정되며, 제1회전축(220)의 움직임에 따라 상측 및 하측을 향하고, 컵이 착용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컵 내용물과 컵이 분리되도록 하는 뚜껑분리부(200);와 상기 뚜껑분리부(200)는 컵의 둘레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작은 둘레로 컵을 감싸며 상단에는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돌기부(211)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된 컵꽂이(210)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컵꽂이(210)에 컵을 넣었을 때 컵꽂이(210)의 둘레면(212)에 의해 컵의 둘레가 가압되며 상기 돌기부(211)에 의해 컵 뚜껑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뚜껑분리부(200)가 회전하면서 컵으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음료 수거통(310)으로 보내고, 내용물이 제거된 컵을 컵 수거부(320)로 보내는 음료분리부(300);와, 상기 음료분리부(3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음료분리부(300)의 일측에서 상기 뚜껑분리부(200)가 회전하는 경로에 간섭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뚜껑분리부(200)가 회전할 때 컵을 밀어내어 컵꽂이(210)에서 컵(51)을 분리하는 컵 밀대(3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음료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컵을 수거하며, 컵이 수거되면서 자동으로 적층되도록 경사면에 소정의 돌기 형태의 턱(3210)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적층부(321)를 구비한 컵 수거부(320);와 상기 음료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컵의 내용물을 수거하는 음료수거통(310);을 구비하여, 별도의 동력 없이 자동으로 컵과 내용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컵 수거부(320)는, 제2회전축(322)을 구비하고, 상기 제2회전축(322)을 중심으로 상기 적층부(321)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각각의 적층부(321)마다 컵(51)을 적층할 수 있는 것으로, 가득 찬 상태의 적층부(321')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여분의 적층부(321'')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적층부(321)의 전환 방식은 중력에 의한 전환 또는 제2회전축(322)과 발판(230)과의 연결을 통해 발판(230)을 밟음에 따라 전환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윗면에 컵홀더와 컵 뚜껑(53)을 버리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에 의할 때, 뚜껑분리부를 통해 일회용 컵과 뚜껑을 분리하고, 발판의 조작에 의해 뚜껑분리부가 회전하는 힘을 이용하여 컵의 내용물과 컵을 분리한 뒤, 컵으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음료 수거통에서, 컵을 컵 수거부에서 수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를 사용하면 기존의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에 비해 설치 및 유지, 관리비용을 감소시키고, 일회용 컵과 내용물, 뚜껑 등을 자동으로 분리수거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컵 분리수거기의 작동방식 및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컵 분리수거기에서 뚜껑분리부(200)의 작동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컵 분리수거기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컵 분리수거기의 컵 수거부(320)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컵 분리수거기에서 적층부(321)의 턱(3210)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크아웃용 일회용컵을 분리 배출하는 것은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테이크아웃 커피 전문점 내에 손님이 먹은 일회용컵을 직접 버릴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곳도 있으나, 이는 손님이 분리하지 않고 버리는 경우 직원들이 다시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잔유물 미처리로 인한 미관상 및 위생상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직원이 일일이 분리하여 배출한다 하더라도 많은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와 관련하여, 자동으로 일회용컵을 분리수거할 수 있는 제품들이 발명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일회용컵 분리수거기는 추가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며, 구조상의 복잡성으로 인해 유지 및 관리에 추가적인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뚜껑과 컵을 분리하는 뚜껑분리부, 뚜껑분리부를 회전시키는 발판, 컵과 내용물을 분리시키는 형상을 가진 음료분리부, 컵을 적층시킨 후 일정 무게가 되면 회전하는 컵 수거부로 구성되어 있는 일회용컵 분리기를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컵 분리수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정의 두께를 가진 벽면(100)으로 둘러싸인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한 본체부(10);를 포함한다.
제품의 특성 상, 분리된 폐기물(컵 내용물, 컵 등)이 외부로 노출되면 고객들에게 불쾌감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벽면(100)으로 둘러싸인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하여, 폐기물을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분리수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구성요소들을 둘러싸는 벽면(100)을 따로 구비하지 않는 실시 예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정된 부위로부터 본체부(10)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한 제1회전축(220);과 상기 본체부 벽면(1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220)축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밟았을 때 제1회전축(220)을 180도 이하의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사용자가 발을 뗐을 때 다시 반대방향으로 제1회전축(220)을 회전시켜 원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발판(230);과 상기 제1회전축(220)에 고정되며, 제1회전축(220)의 움직임에 따라 상측 및 하측을 향하고, 컵이 착용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컵 내용물과 컵이 분리되도록 하는 뚜껑분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뚜껑분리부(200)는 컵의 둘레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작은 둘레로 컵을 감싸며 상단에는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돌기부(211)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된 컵꽂이(210)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컵꽂이(210)에 컵을 넣었을 때 컵꽂이(210)의 둘레면(212)에 의해 컵의 둘레가 가압되며 상기 돌기부(211)에 의해 컵 뚜껑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컵 분리수거기에서 뚜껑분리부(200)의 작동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1회전축(220)에 스프링 등의 요소를 구비하는 것으로, 발판(230)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뚜껑분리부(200)가 상단을 향하고, 발판(230)을 밟는 순간 제1회전축(220)이 회전하는 것으로 작동하는 방식과, 제1회전축(220)에 별도의 요소를 추가하여 구비하지 않고, 발판(230)을 밟지 않은 상태에서 뚜껑분리부(200)가 하단을 향하고, 발판(230)을 밟는 순간 제1회전축(220)이 회전하여 상단을 향했다가, 발판(230)에서 발을 떼는 순간 뚜껑분리부(200)가 중력에 의해 다시 하단을 향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분리부(200)가 회전하면서 컵으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음료 수거통(310)으로 보내고, 내용물이 제거된 컵을 컵 수거부(320)로 보내는 음료분리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분리부(3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음료분리부(300)의 일측에서 상기 뚜껑분리부(200)가 회전하는 경로에 간섭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뚜껑분리부(200)가 회전할 때 컵을 밀어내어 컵꽂이(210)에서 컵(51)을 분리하는 컵 밀대(3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컵 분리수거기의 작동방식 및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컵 밀대(301)를 삼각형 형태로 구비하여, 제1회전축(220)의 회전에 따라 컵(51)과 컵 내용물(52)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컵(51)을 서서히 컵꽂이(210)로부터 분리시키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다른 형태의 컵 밀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음료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컵을 수거하며, 컵이 수거되면서 자동으로 적층되도록 경사면에 소정의 돌기 형태의 턱(3210)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적층부(321)를 구비한 컵 수거부(320);를 포함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컵 분리수거기에서 적층부(321)의 턱(3210)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음료분리부(300)에서 분리되어 나온 컵(51)이, 사선으로 구비되어있는 적층부(321)의 경사를 타고 내려오며 하나씩 적층되나, 상기 적층부의 턱(3210)이 없을 경우에는 먼저 적층된 컵(51)의 입구부분의 두께로 인해 컵(51)들이 정상적으로 적층되기 어렵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턱(3210)을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함으로써 원활한 컵(51)의 적층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음료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컵의 내용물을 수거하는 음료수거통(310);을 구비하여, 별도의 동력 없이 자동으로 컵과 내용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추가적인 동력원 없이 자동으로 분리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음료수거통(310)를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비워야 하는 방식이지만, 필요에 따라 음료수거통(310)에 펌프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음료수거통(310)에 축적된 컵 내용물(52)을 자동으로 폐기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컵 수거부(320)는, 제2회전축(322)을 구비하고, 상기 제2회전축(322)을 중심으로 상기 적층부(321)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각각의 적층부(321)마다 컵(51)을 적층할 수 있는 것으로, 가득 찬 상태의 적층부(321')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여분의 적층부(321'')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적층부(321)의 전환 방식은 중력에 의한 전환 또는 제2회전축(322)과 발판(230)과의 연결을 통해 발판(230)을 밟음에 따라 전환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컵 분리수거기의 컵 수거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적층부(321)에 컵(51)이 다수 적층되어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중력에 의해 제2회전축(322)이 회전하면서 가득 찬 상태의 적층부(321')를 자동으로 여분의 적층부(321'')로 전환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제2회전축(322)을 발판(230)과 연동하는 것으로, 발판(230)을 밟을 때마다 적층부(321)를 전환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는, 윗면에 컵홀더와 컵 뚜껑(53)을 버리는 공간을 포함 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컵 분리수거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컵홀더와 컵 뚜껑(53)을 버리는 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나, 본체부(10)에 여분의 공간이 많을 경우 다른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본체부
100. 벽면
200. 뚜껑분리부
210. 컵꽂이
211. 돌기부
212. 컵꽂이의 둘레면
220. 제1회전축
230. 발판
300. 음료분리부
301. 컵 밀대
310. 음료수거통
320. 컵수거부
321. 적층부
3210. 적층부의 턱
321'. 가득 찬 상태의 적층부
321''. 여분의 적층부
322. 제2회전축
51. 컵
52. 컵 내용물
53. 컵 뚜껑

Claims (2)

  1. 소정의 두께를 가진 벽면(100)으로 둘러싸인 소정의 내부공간을 구비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면에 고정되며, 고정된 부위로부터 본체부(10)의 내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한 제1회전축(220);과
    상기 본체부(10)의 벽면(1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회전축(220)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밟았을 때 제1회전축(220)을 180도 이하의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사용자가 발을 뗐을 때 다시 반대방향으로 제1회전축(220)을 회전시켜 원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발판(230);과
    상기 제1회전축(220)에 고정되며, 제1회전축(220)의 움직임에 따라 상측 및 하측을 향하고, 컵이 착용된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컵 내용물과 컵이 분리되도록 하는 뚜껑분리부(200);와
    상기 뚜껑분리부(200)는 컵의 둘레보다 소정의 크기만큼 작은 둘레로 컵을 감싸며 상단에는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돌기부(211)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된 컵꽂이(210)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상기 컵꽂이(210)에 컵을 넣었을 때 컵꽂이(210)의 둘레면(212)에 의해 컵의 둘레가 가압되며 상기 돌기부(211)에 의해 컵 뚜껑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뚜껑분리부(200)가 회전하면서 컵으로부터 배출된 내용물을 음료 수거통(310)으로 보내고, 내용물이 제거된 컵을 컵 수거부(320)로 보내는 음료분리부(300);와
    상기 음료분리부(3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음료분리부(300)의 일측에서 상기 뚜껑분리부(200)가 회전하는 경로에 간섭하는 위치에 결합되어, 뚜껑분리부(200)가 회전할 때 컵을 밀어내어 컵꽂이(210)에서 컵(51)을 분리하는 컵 밀대(3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음료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컵을 수거하며, 컵이 수거되면서 자동으로 적층되도록 경사면에 소정의 돌기 형태의 턱(3210)을 하나 이상 구비하는 적층부(321)를 구비한 컵 수거부(320);와
    상기 음료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컵의 내용물을 수거하는 음료수거통(310);을 구비하여, 별도의 동력 없이 자동으로 컵과 내용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 수거부(320)는, 제2회전축(322)을 구비하고, 상기 제2회전축(322)을 중심으로 상기 적층부(321)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각각의 적층부(321)마다 컵(51)을 적층할 수 있는 것으로, 가득 찬 상태의 적층부(321')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여분의 적층부(321'')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적층부(321)의 전환 방식은 중력에 의한 전환 또는 제2회전축(322)과 발판(230)과의 연결을 통해 발판(230)을 밟음에 따라 전환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KR1020180010970A 2018-01-29 2018-01-29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KR101983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70A KR101983064B1 (ko) 2018-01-29 2018-01-29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0970A KR101983064B1 (ko) 2018-01-29 2018-01-29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064B1 true KR101983064B1 (ko) 2019-09-03

Family

ID=6795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0970A KR101983064B1 (ko) 2018-01-29 2018-01-29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064B1 (ko)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8295A1 (fr) * 1989-03-15 1990-09-19 PROTEE Groupement d'Intérêt Economique Système de collecte de déchets contenus dans des corbeilles
JPH0632401A (ja) * 1992-07-17 1994-02-08 Nakabayashi Kk 使用済み紙コップの処理装置
JPH0761504A (ja) * 1993-08-23 1995-03-07 Sakai Giken:Kk カップ処理装置
JP2517537Y2 (ja) * 1993-08-24 1996-11-20 株式会社遠藤製作所 空缶潰し装置
JP2000007107A (ja) * 1998-06-24 2000-01-11 Miyaki Denki Seisakusho:Kk 容器回収装置
JP2000247403A (ja) * 1999-03-01 2000-09-12 Sanden Corp カップ回収装置
JP3586350B2 (ja) * 1997-03-18 2004-11-10 靜甲株式会社 容器回収装置および容器回収方法
KR100501180B1 (ko) * 2003-06-17 2005-07-18 주식회사 화인에이.티.씨 종이컵 회수장치
KR200450389Y1 (ko) * 2010-08-02 2010-10-04 김태윤 일회용 종이컵 수거기
KR101240407B1 (ko) * 2010-12-15 2013-03-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컵 분리 배출 장치
KR101521425B1 (ko)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CN105947487A (zh) * 2016-06-24 2016-09-21 李明方 一种一次性杯子回收装置
KR101760672B1 (ko) * 2015-08-31 2017-07-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컵 수거 장치
KR101820342B1 (ko) * 2016-03-21 2018-01-19 신민욱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KR20180035017A (ko) * 2016-09-28 2018-04-05 이승연 컵 분리 수납기
KR20180074313A (ko) * 2016-12-23 2018-07-03 강성우 커피컵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8295A1 (fr) * 1989-03-15 1990-09-19 PROTEE Groupement d'Intérêt Economique Système de collecte de déchets contenus dans des corbeilles
JPH0632401A (ja) * 1992-07-17 1994-02-08 Nakabayashi Kk 使用済み紙コップの処理装置
JPH0761504A (ja) * 1993-08-23 1995-03-07 Sakai Giken:Kk カップ処理装置
JP2517537Y2 (ja) * 1993-08-24 1996-11-20 株式会社遠藤製作所 空缶潰し装置
JP3586350B2 (ja) * 1997-03-18 2004-11-10 靜甲株式会社 容器回収装置および容器回収方法
JP2000007107A (ja) * 1998-06-24 2000-01-11 Miyaki Denki Seisakusho:Kk 容器回収装置
JP2000247403A (ja) * 1999-03-01 2000-09-12 Sanden Corp カップ回収装置
KR100501180B1 (ko) * 2003-06-17 2005-07-18 주식회사 화인에이.티.씨 종이컵 회수장치
KR200450389Y1 (ko) * 2010-08-02 2010-10-04 김태윤 일회용 종이컵 수거기
KR101240407B1 (ko) * 2010-12-15 2013-03-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일회용 컵 분리 배출 장치
KR101521425B1 (ko) * 2014-07-16 2015-05-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일회용컵 자동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분리수거장치
KR101760672B1 (ko) * 2015-08-31 2017-07-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컵 수거 장치
KR101820342B1 (ko) * 2016-03-21 2018-01-19 신민욱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CN105947487A (zh) * 2016-06-24 2016-09-21 李明方 一种一次性杯子回收装置
KR20180035017A (ko) * 2016-09-28 2018-04-05 이승연 컵 분리 수납기
KR20180074313A (ko) * 2016-12-23 2018-07-03 강성우 커피컵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4389B2 (ja) 流動食品又は飲料の調製装置用の使用済カプセル又はポッド容器
US5131562A (en) Dispenser for soft drink lids and the like
US8998037B2 (en) Drink dispensing device with holding and drip-collecting system for receptacles of different sizes
US6474503B2 (en) Cup lid dispenser
US5097984A (en) Coffee Filter dispenser
KR101240407B1 (ko) 일회용 컵 분리 배출 장치
EP1852041A2 (en) New dispenser for sachets and/or packets of sugar and/or sweetener with cutting devices for opening the sachets and waste collection containers
US6471092B1 (en) Article dispenser
AU2001291029A1 (en) An article dispenser
RU2481781C2 (ru) Раздатчик одноразовых тарелок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одноразовая тарелка
KR101983064B1 (ko)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US10507941B2 (en) Lid storage and application device
KR20170025954A (ko) 컵 수거 장치
US9609959B1 (en) Food container lid dispenser
CN220280691U (zh) 一种一次性纸杯加工用堆叠装置
US20040084472A1 (en) Pin for an article dispenser
US9839319B2 (en) Adapter for offset stacking of beverage decanters
US10434683B2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peeling of lined containers
JP2006021925A (ja) 分別回収装置
KR200351213Y1 (ko) 종이컵 수거기
KR101005258B1 (ko) 음료수 자판기의 컵 인출기
CN213097387U (zh) 一种可防止杯具摔落的马克杯架
KR200378829Y1 (ko) 음식물 수거 뼈통
KR20210060082A (ko)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CN201216379Y (zh) 杯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