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082A -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082A
KR20210060082A KR1020190147677A KR20190147677A KR20210060082A KR 20210060082 A KR20210060082 A KR 20210060082A KR 1020190147677 A KR1020190147677 A KR 1020190147677A KR 20190147677 A KR20190147677 A KR 20190147677A KR 20210060082 A KR20210060082 A KR 20210060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lid
lever
contai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주연
Original Assignee
심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주연 filed Critical 심주연
Priority to KR102019014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082A/ko
Publication of KR20210060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컵 분리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별한 동력원 없이 자동으로 각기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일회용 컵의 구성물 및 잔류 내용물을 각각 구분하여 수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아이디어에는 일회용 컵의 용기의 하단이 정상적으로 진입을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
일회용 용기의 뚜껑이 분리되지 않은 채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용기의 하단이 정상적으로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 소정의 각도와 둘레로 설계된 가이드부;
가이드부를 통과한 일회용 용기의 왼쪽 측면의 중·상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활형의 그립퍼로 이루어진 제 1 작동부;
레버와 연결되어 레버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압축력을 온전히 전달하며 일회용 용기 오른쪽 측면의 중·하부를 소정의 각도로 압축력을 입력하여 뚜껑의 분리를 유도하는 제 2 작동부;
레버와 연결되어 레버의 작동으로 가이드부를 통과한 일회용 용기를 왼쪽 측면의 상단을 지지하고 중·하부를 소정의 각도로 압축력을 입력하여 뚜껑의 분리를 유도하는 작동부;
용기로부터 분리된 뚜껑을 한 곳에 모으기 위해 작동부의 우측 상단에 형성되며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뚜껑 분리부;
남은 음료 및 얼음 등의 내용물을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한 액체류 수집부;
뚜껑과 내용물이 분리된 일회용 용기의 몸체 부분을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한 용기 수집부;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Unpowered Disposable Cup Separator}
본 발명은 테이크아웃 일회용 컵 용기의 분리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일회용 컵의 내용물과 플라스틱 컵의 본체 및 뚜껑을 외부 장치를 필요로 하는 별도의 동력원없이 분리할 수 있는 기구부를 구비함으로써, 각기 다른 형상의 구성물 및 잔류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배출하고 사용자의 편의 및 재활용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젊은층을 중심으로 커피 및 음료의 소비가 급증하면서 테이크 아웃 커피전문점 시장은 날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거의 모든 카페에서 테이크 아웃 서비스를 제공하며 바쁜 일정 속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이 이동 중에도 원하는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편리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실태가 맞물리면서 우리나라의 현재 일회용 컵 사용량은 하루 평균 7000만 개로 추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테이크 아웃 용기에는 일회용 컵을 사용하고 있다. 일회용 컵은 간편하고 이동 중에 음료를 즐길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지만 편리함의 이면에는 일회용품 사용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12만톤, 약 260억개의 일회용 컵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발생하는 수많은 일회용 컵 쓰레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재활용되지 못한 채 매년 거리에 나뒹구는 일회용 컵만 해도 360억 원어치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또한, 테이크 아웃 음료에 사용되는 일회용 컵의 경우, 컵뿐만 아니라 내용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과 음료를 섭취하기 위한 스트로우, 먹고 남은 잔유물 등 구성이 다양하여 사용자가 따로 신경을 쓰지 않는 이상 분리 배출되는 것은 어려운 실태이다. 이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주변이나 번화가에서 분리되지 않은 채 버려진 일회용 컵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실태이다.
한편, 일부 카페 매장 등에서 사용자가 직접 분리하여 배출하는 장소를 따로 마련하여 분리배출을 장려하고 있지만 이러한 장소가 따로 마련되지 않은 번화가나 대중교통 주변의 쓰레기 통에서는 여전히 분리되지 않은 채 버려지고 있는게 현 실태이다. 또한 사용자가 직접 분리하지 않는 이상 자동으로 분리배출을 돕는 장치가 없어 사용자의 양심에 맡길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테이크아웃 용기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쓰레기는 오래전부터 사회적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분리되지 않은채 배출 된 일회용 컵은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노력이 배가 되며, 처리되지 않은 컵 안의 잔류물은 악취의 원인이 되며 미관을 파괴하고 위생을 위협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회용 컵 분리수거기는 컵 내부의 내용물은 사용자가 별도로 제거한 후에 투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며 컵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버릴 수 없는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별도의 공간이 있더라도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서는 원활한 분리 배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일회용 컵 분리수거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재활용 컵의 처리를 위해 발명된 자동 분리수거기가 발명되었으나 추가적인 동력원을 필요로 하며, 구조상의 복잡성으로 유지 및 관리에 부가적인 비용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테이크아웃 컵의 재활용 효과 증대와 편의성을 고려하여, 각 요소와 먹고 남은 액체류 등의 내용물의 분리배출을 한 번의 래버 조작으로 가능하도록 하며, 수많은 테이크아웃 용기의 분리배출을 통해 환경적인 문제를 개선하고 이를 직접 수거하여 처리하는 번거로움을 덜어 내는 것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회용 컵을 일일이 분리하고 남은 내용물을 처리하지 않아도 분리장치에 넣고 한 번의 레버를 당기는 동작을 통해 별도의 동력원을 사용하지 않고 용기의 각 요소와 내용물을 효과적으로 구분하여 일회용 컵과 음료 및 얼음 등의 내용물, 일회용 컵의 뚜껑을 자동으로 분리수거 하는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리수거기의 상부에 형성되어 일회용 용기의 뚜껑이 분리되지 않은 채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용기의 하단이 정상적으로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와 둘레로 설계되며 레버의 가동리드를 포함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를 통과한 일회용 용기의 오른쪽 측면의 중·상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유선형의 그랩을 포함하는 제 1 작동부;
레버와 연결되어 레버의 작동으로 발생하는 회전력을 래버부에 의해 용기를 압축하는 압축력으로 변환된 압축력을 일회용 용기 왼쪽 측면의 중·하부를 용기에 작용하여 상단방향으로 압축력을 온전히 전달하며, 이를 위해 일정한 각도로 결합된 그립부를 포함하여 뚜껑의 분리를 유도하는 제 2 작동부;
레버몸통부의 회전운동으로 레버의 끝에 결합된 제 2 작동부의 그립부가 일회용 컵의 하단에 압축력을 제공하여 뚜껑의 분리를 유도하고 컵의 기울기를 180도 이내의 소정의 각도로 기울이기 위한 래버부;
작동부의 작용으로 분리된 뚜껑과 기울어진 일회용 컵으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액체류의 잔류물을 수집하며 액체와 얼음 이외의 분리된 뚜껑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단에 일정한 홈의 다공성 막을 포함하며 뚜껑의 이동을 유도하도록 기울어진 형태의 액체필터부를 포함하는 액체 수집부;
용기로부터 분리된 뚜껑을 한 곳에 모으기 위해 기구의 좌측하단에 형성되며 소정의 각도로 배치된 뚜껑 수집부;
뚜껑과 내용물이 모두 분리된 일회용 용기의 몸체 부분을 한 곳으로 모으기 위한 용기 수집부; 로 구성된다.
한편, 액체 수집부와 뚜껑 수집부는 기울어진 용기로부터 분리된 액체류의 잔류물과 뚜껑의 수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낙하물이 액체 수집부, 뚜껑 수집부의 순서로 떨어지도록 배열하며 중력의 작용을 통해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각 수집부의 상단에 소정의 기울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필요로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일회용 컵을 발명품 내로 투하하고 한 번의 래버를 당기는 조작으로 래버와 연결된 작동부의 회전하는 힘을 이용하여 일회용 컵의 각 요소 및 잔류물의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직접 분리하여 배출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임으로서 무분별하게 발생하는 무단 투기를 방지하고 기존의 분리수거장치에 비해 유지 및 관리비용을 감소시키고, 일회용 컵의 각 요소들을 자동으로 분리수거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1은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전체도이다.
도2는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3은 래버의 리드가 포함된 가이드부(100)와 래버부(200)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래버부(200)와 제 2 작동부(220)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도5는 제 1 작동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용기 수거부(400)에서의 이동유도부(410)과 경사로 지지부(411), 적층유도벽(421)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액체수집부(500)의 형상을 나타내며 필터지지부(510)와 액체필터부(520)의 결합의 형상을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1은 전체도, 도2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는 가이드부(100), 래버부와 작동부(200,300) 및 용기수집부(400), 액체 수집부(500), 뚜껑 수집부(600)를 구비한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가이드부(1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의 가이드부(100)와 래버부(200)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구의 상단에 위치하는 가이드부(100)는 투하된 용기가 기구내로의 정상 진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일정한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기구로의 입구가 오른쪽으로 치우쳐져 입구에 통과되어 작용부에 의한 컵의 분리과정이 충분한 내부 공간 내에서 이루어 지도록 한다. 또한 가이드부(100)의 좌측면에는 레버의 작용리드를 위한 홈이 파인 면을 포함한다.
도4는 래버부(200)와 제 2 작동부(220)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래버부(200)의 상단에는 사용자가 래버를 잡고 하단으로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래버 손잡이부(210)가 부착되어 있으며 래버의 하단 끝 부분에는 래버의 회전력을 재활용 컵의 하단부에 압축력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작동부(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작동부(220)는 재활용 컵의 하단부를 정확하게 위로 밀어올리기 위해 활형의 그립퍼가 위치한다. 그립퍼는 오목하게 형성된 면이 기구의 우측면을 바라보도록한다. 또한, 래버의 회전력이 래버고정부(110)을 거쳐 모멘트를 형성하여 컵의 하단부를 압축할 수 있게 하며 이때 힘의 방향이 컵의 우측상단부분으로 비스듬하게 밀어내어 뚜껑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5는 제 1 작동부(300)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 1 작동부(300)의 끝에는 일회용 컵의 상단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컵의 하단부에 작용하는 제 2 작동부(220)의 압축력이 온전히 전달되도록 한다. 원통형의 컵의 상단부를 받치기 위하여 활형의 그립퍼로 위치하며 안정성을 위해 제 2 작동부(220)의 그립퍼보다 넓은 면으로 구성된다. 그립퍼의 오목한 면이 기구의 좌측면을 바라보도록 한다.
도6은 용기 수집부(400)에서의 이동유도부(410)과 경사로 지지부(411), 적층유도벽(421)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내용물 및 뚜껑이 분리된 재활용 컵의 몸통이 수집되는 부분이며 래버가 원위치로 돌아감에 따라 아래로 떨어지는 재활용 용기가 용기 적층부(420)에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도록 일정한 경사로 설치된 이동유지부(410)과 이를 지지하는 경사로 지지부(411), 또한 적층형태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 적층 유도벽(421)이 위치한다.
도7은 액체수집부(500)의 형상을 나타내며 필터지지부(510)와 액체필터부(520)의 결합의 형상을 나타내는 결합도이다. 작용부(422,430)에 의해 분리된 뚜껑과 내부의 액체류가 떨어지는 곳이며 필터지지부(510)와 액체 필터부(520)을 구비하며한다. 액체 필터부(520)은 필터지지부(510)에 의해 액체수집부(500)의 상단에 위치하며 액체 및 얼음 이외의 내용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일정한 홈이 파인 필터가 존재하며 뚜껑의 부분은 중력의 작용으로 뚜껑수집부(6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배열한다.
이상, 기구내의 각 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재활용 컵 분리배출 장치의 동작 원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투하된 재활용 컵이 상기 가이드부(100)의 경사면을 따라서 입구부에 컵의 중·하단면이 위치하게 된다. 입구부에 재활용 컵의 뚜껑이 걸리게 되고 컵의 상단부는 제 1 작동부(30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사용자가 래버 손잡이(210)를 당겨서 회전력을 주게 되면 회전하는 래버부(200)의 하단에 위치한 제 2 작동부(220)의 그립퍼가 컵의 중·하단부를 비스듬하게 위로 밀어내면서 컵에 결합된 뚜껑을 분리하고 컵이 기울어져 내용물의 배출을 유도한다. 제 1 작동부는 컵의 오른쪽 상단면에, 제 2 작동부는 컵의 하단면에 작용하도록 의도적으로 작용점을 엇갈리게 위치시킴으로서 컵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다. 컵으로부터 배출된 용기 내의 잔류물은 액체 수집부(500)로 향하게 된다. 이 때, 필터지지부(510)에 의해 경사지게 형성된 액체필터부(520)으로부터 잔류물과 함께 떨어지는 뚜껑은 뚜껑 수집부(600)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액체류만 수거되도록 한다.
래버(200)가 다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원점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고정되어 있던 일회용 컵의 몸통부분은 아래로 떨어지게 되며 용기수집부(40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떨어진 용기가 정확히 용기수집부(400)로 수거되도록 일정한 경사면을 유지하는 반 원통형의 이동유도부(410)이 낙하지점에 위치하여 용기적층부(420)으로 컵의 유도를 위치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 져야 할 것이다.
가이드부(100)
래버고정부(110)
래버부(200)
래버 손잡이부(210)
제 2 작동부(220)
제 1 작동부(300)
용기수집부(400)
이동유도부(410)
경사로지지부(411)
용기적층부(420)
적층유도벽(421)
액체 수집부(500)
필터지지부(510)
액체필터부(520)
뚜껑수집부(600)

Claims (1)

  1.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에 있어서
    래버의 리드를 포함하는 가이드부(100)과,
    결합수단(110)에 의해 가이드부(100)와 연결되는 래버부(200)와,
    하단으로 진입한 컵의 우측면 상단을 지지하는 제 1 작동부(300)와,
    래버부(200)와 연결되어 컵의 좌측면 하단에 압축력을 가하는 제 2 작동부(220)와,
    제 2 작동부(220)의 작용으로 기울어진 컵으로부터 흘러내린 잔류 내용물을 수집하는 액체 수집부(500)와,
    액체 수집부(500)을 거쳐 경사로를 따라 떨어지는 뚜껑을 수집하는 뚜껑 수집부(600)와,
    일회용 컵의 뚜껑부와 내용물이 비워진 컵의 본체를 수거하는 용기 수집부(400)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 장치는(??)
    가이드부(100)은 상기 기구의 상단에 위치하며 래버부(200)의 작동리드를 포함하며 리드를 포함한 면의 하단에는 래버부(200)과 가이드부(100)을 결합할 수 있도록 래버고정부(110)와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부(100)의 전체적인 형상은 투하된 컵의 하단이 자연스럽게 기구에 진입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4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컵의 입구부분을 포함한다.
    래버부는 래버 손잡이부(210), 긴 축으로 이루어진 래버 몸통부(200)와 래버의 회전력으로 생성된 압축력을 온전히 전달하며 컵의 뚜껑부분의 분리를 야기하는 제 2 작동부(220)와 연결되어 있다. 제 2 작동부는 컵의 하단부분을 정확히 접촉하여 압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컵의 하단부의 3분의 1지점을 감쌀 수 있도록 곡면의 그립을 포함한다.
    제 1 작동부(300)는 컵의 상단부분의 우측면을 지지하며 컵을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도록 곡면형상의 그립부(310)을 포함하며 래버부(200)로부터 전달되는 압축력이 온전히 컵에 전달되도록 한다.
    제 1 작용부(300)과 제 2 작용부(220)의 작용으로 기울어진 컵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컵 내부의 내용물은 액체 수집부(500)에서 수집된다. 액체 및 얼음 외의 유입을 방지하고 분리된 뚜껑의 뚜껑수집부(600)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수의 홈이 파인 액체필터부(520)가 필터 지지부(510)과 결합되어 액체 수집부(500)의 상단에 일정한 기울기로 부착된다.
    액체필터부(520)을 통과하지 못한 뚜껑은 경사로를 타고 뚜껑수집부(600)에 수집되게 된다.
    작동부의 작용으로 분리된 뚜껑과 내부 액체류가 비워진 컵의 용기는 래버부(200)가 다시 반대로 회전시켜 원상태로 돌아감으로서 기구의 우측하단의 용기수집부(400)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용기수집부(400)에는 용기가 용기적층부(420)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일정한 경사의 이동유도부(410)과 이를 지지하는 경사로지지부(411)가 결합되어 있으며 일정한 적층을 돕기 위한 적층유도벽(421)을 포함한다.
KR1020190147677A 2019-11-18 2019-11-18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KR20210060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77A KR20210060082A (ko) 2019-11-18 2019-11-18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677A KR20210060082A (ko) 2019-11-18 2019-11-18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082A true KR20210060082A (ko) 2021-05-26

Family

ID=7613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677A KR20210060082A (ko) 2019-11-18 2019-11-18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0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490B2 (en) Juice extractor with adapted pusher
US6662964B2 (en) Synthetic resin liquid container
US8919246B2 (en) Waste compactor
KR20210060082A (ko) 무동력 일회용 컵 분리배출장치
JPH07101501A (ja) 紙容器の回収装置
CN115175595A (zh) 榨汁机
FR2683511A1 (fr) Poubelle compartimentee pour le stockage et le ramassage selectifs de dechets.
US20230381790A1 (en) Sorting and compacting system for an aircraft
KR940007985Y1 (ko) 종이컵 수거함
KR101983064B1 (ko) 일회용컵 분리수거장치
US20030006240A1 (en) Synthetic resin liquid container
CN215438006U (zh) 一种餐厨垃圾干湿分离收纳桶
KR20070043906A (ko) 종이컵 재활용 회수기
KR200266323Y1 (ko) 종이컵 수거함
KR20210100875A (ko) 일회용품 압축 장치
US20020023931A1 (en) Synthetic resin liquid container
JP2023012384A (ja) 容器回収装置
US7219602B2 (en) Can collection catch bin for use with aluminum can compacting mechanism
JP2004148402A (ja) 回転式空き缶つぶし機
FR2654083A1 (fr) Conteneur de collecte selective de dechets.
BG113341A (bg) Компактна система за надробяване или компактиране на пластмасови бутилки и метални кутии за напитки
KR20210085437A (ko) 음료 분리 처리가 가능한 쓰레기통
JPH06179097A (ja) 空き缶の回収装置
JPH0740603U (ja) ダストボックス
WO2023089148A1 (en) Reusable receptacles collection 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