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875A - 일회용품 압축 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품 압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875A
KR20210100875A KR1020200014782A KR20200014782A KR20210100875A KR 20210100875 A KR20210100875 A KR 20210100875A KR 1020200014782 A KR1020200014782 A KR 1020200014782A KR 20200014782 A KR20200014782 A KR 20200014782A KR 20210100875 A KR20210100875 A KR 20210100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compression plate
disposable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석
장진혁
오치상
한세인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4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875A/ko
Publication of KR20210100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품 압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일회용품 압축 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고 일회용품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본체부의 내부에서 구동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부의 회전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직선 운동에 따라 투입부에 투입된 일회용품을 압축시켜 배출하는 압축부와, 본체부의 내부공간 하부에 구비되어 압축부에 의해 배출되는 일회용품을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회용품 압축 장치{APPARATUS FOR COMPRESSING DISPOSABLE GOODS}
본 발명은 일회용품 압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일회용품을 압축하는 일회용품 압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국민소득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되는 폐기물이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근래 우리나라에서는 세계에서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게 성장한 테이크 아웃점이 일회용품의 사용을 증대시키고 있다.
테이크 아웃은 단시간에 다양한 메뉴를 간편하게 즐기고 싶어하는 젊은 층에게 음식문화의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커피의 경우, 커피숍과 같은 지정된 자리에 앉아서 마시는 것보다 이동 중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하는 커피를 마실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테이크 아웃 커피 전문점은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풍은 일회용품 사용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우리나라 일회용 테이크아웃 컵 사용량은 연간 7억 개에 달하며, 실제로 주변에서 마구 버려진 테이크아웃 컵층 쉽게 찾을 수도 있다.
일회용 컵은 부피가 크고, 버리는 사람도 찌그러트리지 않고 버려, 웬만한 크기의 쓰레기통도 금방 채워버린다. 번화가에서는 쓰레기통을 비우는 속도보다 채워지는 속도가 월등히 빨라 쓰레기가 넘쳐흐르고, 추가로 쓰레기를 불법 투기, 아무 곳에 버리는 문제까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음료가 남아있거나 얼음이 녹아 쓰레기통에서 유출되는 오수로 인해 바닥 오염, 위생 문제도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지자체에서는 음료를 먼저 버린 뒤 컵을 버리도록 하는 쓰레기통을 도입하였으나, 이 과정에서 자신의 손에 오물이 묻기 때문에 이런 절차를 싫어하는 시민들도 많다.
테이크 아웃 커피 전문점에 손님이 먹은 일회용 컵을 직접 버릴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 곳도 있으나, 이는 손님이 분리하지 않고 버리는 경우 직원들이 다시 분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잔유물 미처리로 인한 미관상 및 위생상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많은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페트병과 캔 및 종이컵 압축기는 체인을 구비하여 컵이나 페트병을 체인으로 압축하기 때문에 체인에 윤활유의 주기적인 주입이 필요하고 관리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는 압축판을 상부에서 지지하지 않아 용기를 압축할 때, 압축판을 사방에서 가이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회용품을 압축할 때, 압축판의 운동을 사방에서 가이드하고 효과적인 압축을 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간단한 일회용품 압축 장치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
KR 10-0466638 B1 KR 10-2018-0031946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회용품이 투입되면 회전 동력과 압축판으로 일회용품을 자동으로 압축하고 압축된 일회용품을 수거하는 일회용품 압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일회용품 압축 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고 일회용품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와, 본체부의 내부에서 구동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부의 회전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직선 운동에 따라 투입부에 투입된 일회용품을 압축시켜 배출하는 압축부와, 본체부의 내부공간 하부에 구비되어 압축부에 의해 배출되는 일회용품을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회용품을 자동으로 압축 처리하여 쓰레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효과적인 쓰레기 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쓰레기의 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환경미화원의 쓰레기통을 비우는 주기를 늘려 효율적인 쓰레기통 사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염수 유출로 인한 환경 오염 방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판을 구비하여 사방에서 압축판을 가이드하여 압축판의 직선 운동을 확실하게 보장함으로써, 일회용품을 효과적으로 압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부와 압축부를 구비하여 회전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함으로써, 일회용품을 압축하는 구조가 간단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 압축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 압축 장치의 구동부와 압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 압축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 압축 장치(10)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도면 부호를 일치시켜 설명하도록 하고, 반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품 압축 장치(10)는, 본체부(100), 투입부(200), 판단부(300), 구동부(400), 압축부(500), 수거부(600), 오물받이부(700), 전원 공급부(80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부(100)는 일회용품 압축 장치(10)의 외형을 이루는 구성이다.
본체부(100)는 함체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투입부(200), 판단부(300), 구동부(400), 압축부(500), 수거부(600). 오물받이부(700), 전원 공급부(80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이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투입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고 일회용품이 투입되는 구성이다.
투입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부 전면에 설치되는 가림판(210)과, 가림판(210)의 전후로 관통 형성되어 일회용품이 투입되는 투입구(220)와, 가림판(210)의 후방인 본체부(100)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투입구(220)로 투입된 일회용품을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호퍼(230)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한다.
구동부(400)는 타단에 구동모터(42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430)가 구비되어 감속기(430)에 의해 감속된 구동모터(420)의 회전속도로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속기(430)는 12V의 전압, 400W의 전력, 3,600rpm의 회전속도를 가지는 구동모터(420)를 1/300의 회전속도인 12rpm으로 감속시키고, 구동부(400)는 12rpm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구동모터(420)에 기초하여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압축부(5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서 구동부(400)의 일측에 설치되고 구동부(400)의 회전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직선 운동에 따라 투입부(200)에 투입된 일회용품을 압축시켜 배출한다.
압축부(500)는 동력변환수단(510), 이동압축판(530), 가이드판(550), 고정압축판(560), 낙하공(570)으로 구성된다.
동력변환수단(510)는 회전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동력변환수단(510)은 회전판(511), 연결로드(513), 브래킷(515), 한 쌍의 축받이(517), 회전중심축(519)으로 구성된다.
회전판(511)은 구동부(400)를 이루는 구동모터(420)의 모터축(410)에 연결된다.
회전판(511)은 구동모터(420)의 일측에 배치되고 구동모터(420)의 모터축(41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모터(42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일 수있다.
회전판(511)과 모터축(410) 사이에는 회전판(511)과 모터축(410)을 연결하기 위한 브라켓(411)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연결로드(513)는 회전판(51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로드(513)는 회전판(511)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한 연결축(514)이 구비되어 구동모터(420)의 구동에 따라 회전판(511)이 회전하며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고, 연결로드(513)는 회전판(511)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한다.
연결로드(513)는 회전판(511)이 회전함에 따라 후방으로 직선 운동, 전방으로 직선 운동을 하며 회전판(511)의 회전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일 수 있다.
브래킷(515)은 이동압축판(530)의 후면에 고정된다.
브래킷(515)은 이동압축판(530)의 후면에 고정되어 이동압축판(530)과 연결로드(513)를 연결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한 쌍의 축받이(517)는 브래킷(515)의 후면 양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고정된다.
회전중심축(519)은 한 쌍의 축받이(517)에 축지되고 한 쌍의 축받이(517)의 간격에 따라 노출되는 일측에 연결로드(51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중심축(519)은 한 쌍의 축받이(517)의 내부에 축지되고, 한 쌍의 축받이(517)가 브래킷(515)의 후면 양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고정됨에 따라 노출되는 일측에 연결로드(51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동압축판(530)은 동력변환수단(510)과 연결되어 직선 운동하여 일회용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동압축판(530)은 연결로드(513)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판(511)이 구동모터(420)의 구동에 따라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고 연결로드(513)는 회전판(511)의 회전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연결로드(513)의 직선 운동에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직선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일회용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이동압축판(530)은 연결로드(513)가 회전판(511)의 회전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직선 운동을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일회용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가이드판(550)은 이동압축판(530)의 직선 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이동압축판(530)의 직선 운동을 안내한다.
가이드판(550)은 하판(551), 수직판(553), 상판(557)으로 구성된다.
하판(551)은 이동압축판(5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이동압축판(530)이 직선 운동을 하도록 이동압축판(530)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하판은(551) 이동압축판(530)의 하부에 이동압축판(530)과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동압축판(530)이 직선 운동을 반복할 때, 이동압축판(530)이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하기 위한 이동압축판(530)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수직판(553)은 하판(551)의 양측에 각각 상방 수직으로 설치되어 이동압축판(530)이 직선 운동을 하도록 이동압축판(530)을 양측에서 지지한다.
수직판(553)은 하판(551)의 양측에 각각 이동압축판(530)의 양측과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게 상방 수직으로 설치되어 이동압축판(530)이 직선 운동을 반복할 때, 이동압축판(530)이 양측으로 이탈하지 않게 하기 위한 이동압축판(530)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판(557)은 수직판(553)의 각각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압축판(530)이 직선 운동을 하도록 이동압축판(530)을 상부에서 지지한다.
상판(557)은 수직판(553)의 각각 상부에 이동압축판(530)의 상부와 기설정된 거리로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동압축판(530)이 직선 운동을 반복할 때, 이동압축판(530)이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하기 위한 이동압축판(530)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가이드판(550)은 하판(551), 수직판(553), 상판(557)로 구성되어 이동압축판(530)이 직선 운동을 반복할 때, 이동압축판(530)을 하부, 양측 및 상부에서 지지하여 이동압축판(530)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것일 수 있다.
고정압축판(560)은 이동압축판(530)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고 이동압축판(530)에 의해 이동된 일회용품을 이동압축판(530)과 함께 압축한다.
고정압축판(560)은 이동압축판(530)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어 이동압축판(530)이 전방으로 직선 운동을 할 때, 이동압축판(530)과 함께 일회용품을 함께 압축하는 것일 수 있다.
이동압축판(530)의 전방에 이격 설치된 고정압축판(560)은 이동압축판(530)이 전방으로 직선 운동을 할 때, 이동압축판(530)과 고정압축판(560) 사이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는 것일 수 있으며, 이격 거리가 좁아짐에 따라 이동압축판(530)과 고정압축판(560)는 이격 거리 상에 위치한 일회용품을 압축하는 것일 수 있다.
낙하공(570)은 고정압축판(560)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거부(600)와 연통되어 압축된 일회용품이 낙하된다.
고정압축판(560)은 하판(551)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이격된 간격만큼 낙하공(570)이 고정압축판(560)의 전방 하부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동압축판(530)과 고정압축판(560)에 의해 압축된 일회용품은 낙하공(570)에 의해 낙하되는 것일 수 있으며, 낙하공(570)은 수거부(600)와 연통되어 압축된 일회용품이 낙하공(570)에 따라 수거부(600)를 향해 낙하되는 것일 수 있다.
이동압축판(530)과 고정압축판(560)은 수거부(600)와 연통된 낙하공(570)으로 압축한 일회용품을 배출하는 것일 수 있다.
수거부(600)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 하부에 구비되어 압축부(500)에 의해 배출되는 일회용품을 수거한다.
수거부(600)는 압축부(500)에 의해 낙하공(570)으로 낙하되는 압축된 일회용품을 수거하는 것일 수 있다.
오물받이부(700)는 일회용품이 압축됨에 따라 배출되는 오물을 배수한다.
오물받이부(700)는 수거부(6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수거부(600)의 일측에 설치된 배출구(610)와 연결되어 일회용품이 압축됨에 따라 배출구(610)로 배출되는 일회용품 내부의 오물을 배수하는 것일 수 있다.
전원 공급부(80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판단부(300) 또는 구동부(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80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은 DC 전압 또는 AC 전압일 수 있다.
판단부(300)는 투입부(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센서에 기초하여 일회용품의 투입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부(300)는 투입부(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투입구(220)를 통해 일회용품이 투입되는 것을 감지센서(305)에 의해 자동으로 감지하여 투입신호를 구동부(400)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300)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500ms마다 일회용품이 투입되는 것을 인식하고, 일회용품이 투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0' 또는 '1'의 신호를 구동부(400)로 전송하고, 일회용품이 투입되는 경우에는 '1' 또는 '0'의 신호를 구동부(400)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판단부(300)는 적외선 센서를 통해 일회용품이 투입되는 것을 인식하고, 일회용품이 투입되는 것을 인식하였을 경우에는 본체부(100)의 상부에 설치된 LED(307)가 점등되는 것일 수 있다.
판단부(300)는 알람부(310)를 포함하고, 알람부(310)는 판단부(300)가 센서를 통해 일회용품이 투입되는 것을 인식함에 따라 생성되는 투입신호에 기초하여 알람신호를 생성한다.
알람부(310)는 일회용품의 투입신호에 기초하여 알람신호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생성하여 일회용품의 투입을 알리는 구성일 수 있다.
구동부(400)는 판단부(300)의 판단에 기초하여 일회용품의 투입으로 판단하는 경우 판단부(300)가 전송한 투입신호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것일 수 있다.
구동부(400)는 판단부(300)로부터 투입신호를 수신하면 일단에 회전 동력이 출력되는 모터축(410)이 구비되는 구동모터(420)에 기초하여 구동모터(420)의 구동에 따라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변경의 비곤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후술할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일회용품 압축 장치,
100: 본체부,
200: 투입부,
210: 가림판,
220: 투입구,
230: 안내호퍼,
300: 판단부,
305: 감지센서,
307: LED,
310: 알람부,
400: 구동부,
410: 모터축,
411: 브라켓,
420: 구동모터,
430: 감속기,
500: 압축부,
510: 동력변환수단,
511: 회전판,
513: 연결로드,
514: 연결축,
515: 브래킷,
517: 한 쌍의 축받이,
519: 회전중심축,
530: 이동압축판,
550: 가이드판,
551: 하판,
553: 수직판,
557: 상판,
560: 고정압축판,
570: 낙하공,
600: 수거부,
610: 배출구,
700: 오물받이부,
800: 전원 공급부.

Claims (5)

  1. 내부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 상부에 설치되고 일회용품이 투입되는 투입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구동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회전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직선 운동에 따라 상기 투입부에 투입된 상기 일회용품을 압축시켜 배출하는 압축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공간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에 의해 배출되는 상기 일회용품을 수거하는 수거부;
    를 포함하는 일회용품 압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회전 동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수단;
    상기 동력변환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직선 운동하여 상기 일회용품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압축판;
    상기 이동압축판의 직선 운동 경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압축판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판;
    상기 이동압축판의 전방에 이격 설치되고 상기 이동압축판에 의해 이동된 상기 일회용품을 상기 이동압축판과 함께 압축하는 고정압축판; 및
    상기 고정압축판의 전방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거부와 연통되어 압축된 상기 일회용품이 낙하되는 낙하공;
    인 일회용품 압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변환수단은,
    상기 구동부를 이루는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연결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로드;
    상기 이동압축판의 후면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후면 양측에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축받이; 및
    상기 한 쌍의 축받이에 축지되고 상기 한 쌍의 축받이의 간격에 따라 노출되는 일측에 상기 연결로드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중심축;
    인 일회용품 압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이동압축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압축판이 직선 운동을 하도록 상기 이동압축판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양측에 각각 상방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압축판이 직선 운동을 하도록 상기 이동압축판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각각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압축판이 직선 운동을 하도록 상기 이동압축판을 상부에서 지지하는 상판;으로 구성되는 것
    인 일회용품 압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일회용품의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판단부의 판단에 기초하여 구동하는 것
    인 일회용품 압축 장치.
KR1020200014782A 2020-02-07 2020-02-07 일회용품 압축 장치 KR20210100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782A KR20210100875A (ko) 2020-02-07 2020-02-07 일회용품 압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782A KR20210100875A (ko) 2020-02-07 2020-02-07 일회용품 압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875A true KR20210100875A (ko) 2021-08-18

Family

ID=77464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782A KR20210100875A (ko) 2020-02-07 2020-02-07 일회용품 압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087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638B1 (ko) 2004-04-26 2005-01-17 홍철웅 페트병과 캔 및 종이컵 압축기
KR20180031946A (ko) 2016-09-21 2018-03-29 승병선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638B1 (ko) 2004-04-26 2005-01-17 홍철웅 페트병과 캔 및 종이컵 압축기
KR20180031946A (ko) 2016-09-21 2018-03-29 승병선 플라스틱 용기와 종이 컵의 분류 및 회수 장치와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04712B (zh) 一种餐厨垃圾处理机
US20160167056A1 (en) Organizational recycl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8763941B1 (en) Bottle shredder having a bottle shaped housing
DK2006034T3 (en) Device for selection of organic waste material suitable for recycling
CN108773613B (zh) 环保型垃圾箱
US20090029841A1 (en) Glassware Breaking Apparatus
KR102277443B1 (ko) 재활용 쓰레기 자동 분리 수거 시스템
CN111989273A (zh) 用于垃圾的分类收集的装置
CN113019647B (zh) 一种用于厨余垃圾的有机固废处理系统
KR20210100875A (ko) 일회용품 압축 장치
CN211660713U (zh) 一种餐厨垃圾处理机
CN109250343A (zh) 一种智能压缩垃圾的收集装置
CN214421391U (zh) 一种智能垃圾分类回收设备
CN209519866U (zh) 一种厨房生活垃圾粉碎装置
KR200203552Y1 (ko)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장치
CN210236001U (zh) 一种干湿垃圾分离环卫箱
CN110077756B (zh) 一种固液分离生活便利垃圾箱
CN207023701U (zh) 餐具收纳车
CN218752711U (zh) 一种分离式垃圾收集装置
CN212237651U (zh) 一种餐厨垃圾处理用破碎装置
US20130055908A1 (en) Waste processor
CN213495597U (zh) 一种餐饮垃圾处理用固液分离挤压设备
CN220333702U (zh) 一种环保垃圾桶
JP7051158B1 (ja) 使用済み使い捨て容器の処理装置
KR100926340B1 (ko) 음료용 알루미늄 캔·스틸 캔·페트병 자동 선별 소형 용적축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