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030A -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030A
KR20190109030A KR1020180030868A KR20180030868A KR20190109030A KR 20190109030 A KR20190109030 A KR 20190109030A KR 1020180030868 A KR1020180030868 A KR 1020180030868A KR 20180030868 A KR20180030868 A KR 20180030868A KR 20190109030 A KR20190109030 A KR 20190109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eans
support
defect
sor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6989B1 (ko
Inventor
김연희
변호승
김병삼
Original Assignee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0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98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박스; 상기 박스의 내부에 고정되어 원두를 지지하는 포설판; 상기 포설판 위에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고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원두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 및 상기 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A maunal defect beans se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커피가 대중화되고 커피 애용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애용자들은 직접 원두를 볶거나 주문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원두에 결점두가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것을 무시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결점두가 포함되는 경우 커피의 맛과 향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결점두를 분리해낼 필요가 있다.
커피 생산지에서도 결점두를 분리하지만 자동 선별장치를 통해 결점두를 완벽하게 분리하기는 매우 어렵다. 오히려, 결점두는 소량이라도 원두에 포함되어 있으며, 운송 및 유통 과정에서 결점두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결점두의 비율에 따라 원두의 등급을 분류하기도 한다.
커피 애용자는 원두를 볶기 전이나 후에 결점두를 육안으로 선별해서 분리해 내기도 한다. 이 경우, 손으로 원두를 하나씩 돌려가면서 확인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를 이용하여 원두에서 결점두를 분리할 수도 있는데, 체를 흔들 때 원두의 앞과 뒤를 모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원두를 회전시키기는 매우 어려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8852호에는 다기능 수동 잡곡 선별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잡곡 선별기는 소쿠리 상태의 함체로 구성되며 함체 바닥면에 절취구를 구성시키고, 그 절취구의 저면에는 여과물 집유실을 구성하며 절취구에는 여과공이 천공된 여과판을 착탈 가능토록 한 것이다.
하지만, 개시된 잡곡 선별기는 잡곡 중에서 불순물이 여과공을 통과하여 아래의 여과물 집유실에 선별되도록 하고, 그 불순물을 버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이 잡곡 선별기는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진 우량두와 결점두를 분리할 수 없다. 결점두가 우량두와 크기가 같다면 손으로 일일이 가려서 분리해낼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량의 원두를 회전시켜서 결점두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분리해낼 수 있는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한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박스; 상기 박스의 내부에 고정되어 원두를 지지하는 포설판; 상기 포설판 위에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고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원두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 및 상기 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의 내부 일측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포설판 위에서 결점두를 제거한 원두를 받는 수거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박스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박스의 일측벽 외측으로 손잡이가 돌출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상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웜과, 상기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웜과 각각 맞물리는 웜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스는 상기 수거함이 있는 일측벽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는 상기 박스의 측벽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박스; 상기 박스의 내부에 고정되어 원두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망; 상기 상부지지망의 아래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원두를 회전시키는 하부지지망; 및 상기 하부지지망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박스의 측벽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지지공과, 상기 하부지지망의 측단부에서 상기 단차지지공으로 연장된 지지돌기와, 상기 하부지지망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박스의 전면벽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차지지공은 3개의 단으로 형성되고, 각 단의 연결부는 곡면으로 부드럽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돌기는 원형 단면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지지망의 메쉬 크기는 상기 상부지지망의 메쉬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별장치를 쉽게 조작할 수 있고 원두에서 결점두를 쉽게 선별하여 분리해 내며 결점두를 분리한 원두를 쉽게 수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제2실시예에 의한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에서 하부지지망의 이동 전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의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100)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박스(110), 박스의 내부에 고정되어 원두를 지지하는 포설판(120), 포설판 위에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고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원두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130), 및 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160)를 포함한다.
박스(110)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박스(110)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구조적 강도가 있는 한 골판지 등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포설판(120)은 박스(110)의 내부에서 약 2/3 높이에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다. 포설판(120)은 박스(110)의 내측면 중 양측벽에 고정되거나 양측벽과 전면벽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130)는 포설판(120) 위에서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되,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배열될 수 있다. 두 일자형 와이어(130) 사이의 간격은 원두의 지름보다는 작고 원두의 반지름보다는 크게 배치되어, 두 일자형 와이어(130)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될 때 두 일자형 와이어(130)에 놓이는 원두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자형 와이어(130)는 작은 지름을 가지면서도 강도가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130)의 후단부는 박스(110)의 후단부 가까이에 좌우로 구비되는 후방구획벽(132)에 형성된 복수의 베어링홀(133)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130)의 전단부는 박스(110)의 전단부 가까이에 좌우로 구비되는 전방구획벽(140)에 관통 형성된 복수의 베어링홀(143)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박스(110)의 전면벽과 전방구획벽(140) 사이에는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130)를 각각 회전시키는 회전기구(15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회전기구(150)는 웜기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130)를 동시에 180도 이상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기구(150)는 박스(11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박스의 일측벽 외측으로 손잡이가 돌출된 회전축(160)과, 회전축상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웜(165)과,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13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복수의 웜과 각각 맞물리는 웜휠(135)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160)은 전방구획벽(140)의 앞쪽에서 박스(110)의 양측벽에 형성된 축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회전축(160)은 그 중심이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130)의 중심보다 약간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축(16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는 박스(110)의 측벽으로부터 더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고 돌릴 수 있는 손잡이(162)를 구성할 수 있다. 이 손잡이(162)는 손으로 돌리기 쉽도록 T자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60)에는 복수의 웜(165)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130)의 전단부에 각각 장착된 웜휠(135)과 기어 결합할 수 있다. 웜(165)은 회전축(160)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일자형 와이어(130)를 반바퀴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일자형 와이어(130)를 약 180도 범위에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서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130)는 박스(110)의 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나, 박스(110)의 측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일부의 일자형 와이어(130)는 회전기구(150)에 의해 회전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경사지게 배치된 일자형 와이어(130) 위에 놓인 원두는 일자형 와이어(130)를 회전시킬 때 더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박스(110)의 내부 일측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포설판(120) 위에서 결점두를 제거한 원두를 받는 수거함(18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거함(180)은 상기 후방구획벽(132)와 박스(110)의 후측벽 사이에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 수거함(180)도 박스(110)와 마찬가지로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고, 수거함(180)은 장착되었을 때 그 상단 높이가 포설판(120)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박스(110)의 일측면에는 수거함(180)이 통과할 수 있는 사각 관통공(118)이 형성되고, 수거함(180)의 정면에는 손잡이(182)가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수거함(180)을 쉽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 후방구획벽(132)의 상단 높이는 원두의 지름에 비해 상당히 작게 배치되므로, 박스(110)의 전반부를 들어올려 뒤쪽으로 기울임으로써 결점두를 분리해낸 원두가 후방구획벽(132)을 넘어 수거함(180)에 쉽게 수거될 수 있다.
박스(110)는 수거함이 있는 일측벽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벽(19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지벽(190)은 박스(110)의 전반부를 들어올려 뒤쪽으로 기울일 때 원두가 박스(110)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결점두 선별장치(100)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박스(110)를 수평하게 놓고 원두를 포설판(120) 위에 배치한다. 이때, 원두의 양은 한 층을 넘지 않도록 골고루 펴서 배치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포설판(120) 위에 있는 원두들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결점두를 골라낸다.
다음으로, 손잡이(162)를 돌려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130)를 회전시킴으로써 그 위에 놓인 원두들을 반바퀴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원두 중에서 결점두를 다시 골라낸다.
손잡이(162)를 돌려 원두를 회전시키고 결점두를 골라내는 과정은 수차례 반복될 수 있다.
결점두 선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박스(110) 앞쪽을 들어올려 원두들을 수거함(180)에 모두 들어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수거함(180) 손잡이(182)를 당겨서 수거함(180)을 인출하여 그 속에 담긴 원두들을 수거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실시예의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200)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박스(210), 박스의 내부에 고정되어 원두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망(220), 상부지지망의 아래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원두를 회전시키는 하부지지망(230), 및 하부지지망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기구(250)를 포함한다.
박스(210)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지지망(220)은 박스(210)의 내부에서 약 2/3 높이에 수평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부지지망(220)은 박스(210)의 내측면 중 양측벽에 고정되거나 양측벽과 전면벽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상부지지망(220)은 박스(210)의 전면벽 가까이에 좌우로 구비되는 전방구획벽(240)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부지지망(220)은 와이어로 구성된 메쉬부(222)와 와이어의 단부들을 둘러싸서 고정하는 테두리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224)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쉬부(222)는 거의 직각으로 교차되는 복수의 금속 와이어로 구성되고, 상부지지망(220)의 메쉬 구멍들은 정상적인 원두의 크기보다는 작지만 원두의 일부가 구멍 아래로 내려간 상태로 지지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하부지지망(230)은 상부지지망(220)의 아래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하부지지망(230)도 거의 직각으로 교차되는 복수의 금속 와이어로 구성되는데, 하부지지망(230)의 메쉬 크기는 상부지지망(220)의 메쉬 크기보다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지지망(230)은 상부지지망(220)의 메쉬 구멍을 통해 내려온 원두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하부지지망(230)이 승강되면 그에 지지되어 있던 원두가 회전될 수 있다. 특히, 하부지지망(230)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도 조금 이동되면, 하부지지망(230)은 원두를 더욱 잘 회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하부지지망(230)은 와이어로 구성된 메쉬부(232)와 와이어의 단부들을 둘러싸서 고정하는 테두리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234)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지지망(230)은 승강기구(250)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지지된다.
승강기구(250)는 박스(210)의 측벽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지지공(260)과, 하부지지망(230)의 측단부에서 외측방으로 연장된 지지돌기(232, 234)와, 하부지지망(230)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박스(210)의 전면벽에 형성된 관통공(217)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270)를 포함할 수 있다.
단차지지공(260)은 박스(210)의 일측벽 후방과 박스(210)의 타측벽 전방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단차지지공(260)은 박스(210)의 일측벽 후방과 박스(210)의 타측벽 전방에 각각 한 쌍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단차지지공(260)은 3개의 단으로 형성되고, 각 단의 연결부는 곡면으로 부드럽게 형성될 수 있다.
단차지지공(260)의 각 단의 높이차는 원두의 반지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지지망(230)이 아래로 내려올 때 상부지지망(220)과의 높이차가 너무 크면 원두가 하부지지망(230)과 상부지지망(220) 사이에 끼일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단차지지공(260)의 각 단의 높이차는 원두를 반바퀴 회전시킬 수 있을 정도의 높이차와 전후방향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210)의 일측벽 후방에 형성된 단차지지공(260)은 전방으로 올수록 그 단이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박스(210)의 타측벽 전방에 형성된 단차지지공(260)도 전방으로 올수록 그 단이 점점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차지지공(260)의 단과 단 사이는 직각 또는 경사진 예각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곡면으로 형성되어, 지지돌기(232, 234)가 단을 넘어갈 때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돌기(232, 234)는 하부지지망(230)의 테두리부 후방 측단부에서 외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단차지지공(260)에 지지되는 제1지지돌기(232)와, 하부지지망(230)의 테두리부 전단부에서 외측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단차지지공(260)에 지지되는 제2지지돌기(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돌기(232)와 제2지지돌기(234)는 하부지지망(230)의 테두리부에 하나씩 형성되거나 한 쌍씩 형성될 수도 있다.
손잡이(270)는 하부지지망(230)의 테두리부 전방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잡기 쉽도록 손잡이(270)는 T자 모양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지지망(230)은 전후방향 뿐만 아니라 상하로 이동되므로, 박스(210)의 전면벽에 형성된 관통공(217)은 손잡이(27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232, 234)는 사각형 단면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단차지지공(260)의 단을 부드럽게 넘어갈 수 있도록 원형 단면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예의 경우에도 박스(210)의 후단부 내부에 좌우로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장착되는 수거함(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박스(210)의 일측면에는 수거함(280)이 통과할 수 있는 사각 관통공(218)이 형성되고, 수거함(280)의 정면에는 손잡이(282)가 마련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수거함(280)을 쉽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박스(210)는 상기 수거함(280)이 있는 일측벽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벽(29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지벽(290)은 박스(210)의 전반부를 들어올려 뒤쪽으로 기울일 때 원두가 박스(210)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구획벽(240)에는 하부지지망(23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때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홈(243)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지지망(230)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승강되므로, 구획벽(240)은 하부지지망(230)이 승강되는 것을 고려하여 충분히 큰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망(230)의 지지돌기(232,234)가 단차지지공(260)의 최고 높이인 제1단에 지지되어 있을 때에는, 하부지지망(230)의 후단부가 박스(210)의 후면벽에 거의 접촉한다. 이때, 하부지지망(230)의 전단부는 구획벽(240)에 거의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손잡이(270)를 끝까지 당기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망(230)의 지지돌기(232,234)가 단차지지공(260)의 최저 높이인 제3단에 지지되고, 이때, 하부지지망(230)의 전단부는 구획벽(240)에 형성된 관통공(234)을 통과하여 전방 및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실시예의 결점두 선별장치(200)를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박스(210)를 수평하게 놓고 손잡이(270)를 밀어넣어 지지돌기(232,234)가 단차지지공(260)의 최고 높이인 제1단에 지지되도록 한다. 초기에 지지돌기(232,234)가 지지되는 단차지지공(260)의 단은 제1단에 한정되지 않고, 원두를 올려놓은 다음에 사용자가 이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는 초기에 지지돌기가 제1단에 지지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어서, 원두를 상부지지망(220) 위에 배치한다. 이때, 원두의 양은 한 층을 넘지 않도록 골고루 펴서 배치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상부지지망(220) 위에 있는 원두들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결점두를 골라낸다.
다음으로, 손잡이(270)를 잡아당겨서 지지돌기(232,234)가 단차지지공(260)의 중간 높이인 제2단에 지지되도록 한다. 그러면, 하부지지망(230)이 한 단 하강하면서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그 위에 놓인 원두들을 반바퀴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원두 중에서 결점두를 다시 골라낸다.
다시 손잡이(270)를 잡아당겨서 지지돌기(232,234)가 단차지지공(260)의 최저 높이인 제3단에 지지되도록 하면 하부지지망(230)이 원두들을 한번 더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면, 원두 중에서 결점두를 다시 골라낼 수 있다.
또한, 손잡이(270)를 반대로 밀어넣으면 원두들을 다시 회전시키고 결점두를 선별할 수 있으며, 이렇게 원두를 회전시키고 결점두를 골라내는 과정은 수차례 반복될 수 있다.
결점두 선별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박스(210) 앞쪽을 들어올려 원두들을 수거함(280)에 모두 들어가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수거함(280) 손잡이(282)를 당겨서 수거함(280)을 인출하여 그 속에 담긴 원두들을 수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고 원두에서 결점두를 쉽게 선별하여 분리해 내며 결점두를 분리한 원두를 쉽게 수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선별장치(제1실시예) 110: 박스
120: 포설판 130: 일자형 와이어
132: 후방구획벽 133: 베어링홀
135: 웜휠 140: 전방구획벽
143: 베어링홀 150: 회전기구
160: 회전축 162: 손잡이
165: 웜 180: 수거함
182: 손잡이 190: 지지벽
200: 선별장치(제2실시예) 210: 박스
220: 상부지지망 230: 하부지지망
232: 제1지지돌기 234: 제2지지돌기
240: 구획벽 243: 관통홈
250: 승강기구 260: 단차지지공
270: 손잡이 280: 수거함
282: 지지벽 290: 지지벽

Claims (10)

  1.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박스;
    상기 박스의 내부에 고정되어 원두를 지지하는 포설판;
    상기 포설판 위에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고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원두를 회전시키는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 및
    상기 박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를 회전시키는 회전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의 내부 일측에 인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포설판 위에서 결점두를 제거한 원두를 받는 수거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박스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박스의 일측벽 외측으로 손잡이가 돌출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상에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웜과,
    상기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웜과 각각 맞물리는 웜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기 수거함이 있는 일측벽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지지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일자형 와이어는 상기 박스의 측벽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6.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박스;
    상기 박스의 내부에 고정되어 원두를 지지하는 상부지지망;
    상기 상부지지망의 아래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원두를 회전시키는 하부지지망; 및
    상기 하부지지망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박스의 측벽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지지공과,
    상기 하부지지망의 측단부에서 상기 단차지지공으로 연장된 지지돌기와,
    상기 하부지지망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박스의 전면벽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지지공은 3개의 단으로 형성되고, 각 단의 연결부는 곡면으로 부드럽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원형 단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망의 메쉬 크기는 상기 상부지지망의 메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KR1020180030868A 2018-03-16 2018-03-16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KR102036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68A KR102036989B1 (ko) 2018-03-16 2018-03-16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68A KR102036989B1 (ko) 2018-03-16 2018-03-16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030A true KR20190109030A (ko) 2019-09-25
KR102036989B1 KR102036989B1 (ko) 2019-10-25

Family

ID=68068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868A KR102036989B1 (ko) 2018-03-16 2018-03-16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9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1757A (zh) * 2020-07-14 2020-11-03 青海方瑞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蚕豆的筛选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705A (ko) * 1996-09-24 1998-07-06 한상욱 과일 선별기용 이송장치
KR200218214Y1 (ko) * 2000-09-22 2001-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사목의 크기를 조정하는 스크린 장치
JP2003111557A (ja) * 2001-10-04 2003-04-15 Kawasaki Kiko Co Ltd 篩分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705A (ko) * 1996-09-24 1998-07-06 한상욱 과일 선별기용 이송장치
KR200218214Y1 (ko) * 2000-09-22 2001-03-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사목의 크기를 조정하는 스크린 장치
JP2003111557A (ja) * 2001-10-04 2003-04-15 Kawasaki Kiko Co Ltd 篩分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1757A (zh) * 2020-07-14 2020-11-03 青海方瑞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蚕豆的筛选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989B1 (ko) 201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20855B (zh) 一种物料筛选分级装置
KR102036989B1 (ko) 수동 결점두 선별장치
US20210113010A1 (en) Beverage brewing assembly
KR100799397B1 (ko) 해산물 선별기
CN112371244B (zh) 一种农作物用芡实果实取籽设备
EP0931985B1 (en) Tray support for a baking oven
CN205833612U (zh) 茶叶分级装置
KR101108852B1 (ko) 다기능 수동 잡곡 선별기
DE10126535C1 (de) Besteckhalter für Spülmaschinen zum maschinellen Spülen von Essbesteck
CN214487820U (zh) 一种筛选除尘机
US6902072B2 (en) Cooking utensil holder for preventing intermingling of cooking liquids and residue
CN107790390A (zh) 一种自动挑选钎焊环的震动盘
KR102345243B1 (ko) 붉바리 등 어류 치어 선별작업장치
CN210159941U (zh) 一种咖啡加工用咖啡豆筛选装置
CN209120678U (zh) 具有筛除落叶功能的林木种子采集装置
CN218108392U (zh) 一种孔径可变的升降式再生骨料筛选装置
CN108273744B (zh) 一种玉米粒筛选装置
KR200358144Y1 (ko) 멸치선별기
JP6764192B2 (ja) ゲーム用テーブル
CN115591758B (zh) 一种瓜子炒货加工用分级筛选装置
AU734593B3 (en) A cooking process and apparatus
CN114766392B (zh) 一种基于蜜蜂养殖用的摇蜜装置
CN213792641U (zh) 一种茶叶筛分装置
CN219483368U (zh) 一种多级茶叶筛分机
CN211637270U (zh) 一种水果加工用分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