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977Y1 - 재활용품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품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977Y1
KR200421977Y1 KR2020060012239U KR20060012239U KR200421977Y1 KR 200421977 Y1 KR200421977 Y1 KR 200421977Y1 KR 2020060012239 U KR2020060012239 U KR 2020060012239U KR 20060012239 U KR20060012239 U KR 20060012239U KR 200421977 Y1 KR200421977 Y1 KR 2004219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sorter
plastic
conveyor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무호
서강일
장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기공
서강일
장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기공, 서강일, 장정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기공
Priority to KR2020060012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9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9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9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05Pre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separation
    • B03C1/01Pre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magnetic separation by addition of magnetic adjuv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개시된 재활용품 선별장치는, 저장부,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선별시키는 예비선별대, 철캔 및 철편을 선별하는 철캔선별기,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를 송풍에 의해 선별하는 중량선별부, 유리병을 색상별로 다르게 감지되는 광학신호에 의해 선별하는 유리병 색상선별부, 포장필름류 및 비닐류를 싸이클론 흡입에 의해 선별하는 풍력선별기, 잔여 철캔류와 알루미늄캔류를 선별하는 와전류선별기, 플라스틱을 검출되는 분석성분에 따라 선별하는 플라스틱선별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재활용품 선별장치는, 색상선별기 및 플라스틱선별기에 의해 유리병의 색상별 선별 및 플라스틱의 성분별 선별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재활용품 선별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재활용품, 유리병, 플라스틱, 선별, 장치

Description

재활용품 선별장치{Recycled product sorting system}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선별장치의 전체 계통도,
도 2는 도 1의 구성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색상선별기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스틱선별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저장부 110:혼합물반입조
120:플라스틱파쇄기 130:재활용품투입호퍼
200:이송컨베이어 300:예비선별대
310:선별저장조 400:철캔선별기
410, 810:철캔압축기 500:중량선별부
510:송풍중량선별기 520:저장호퍼
530:소형가전파쇄기 540:송풍유리병선별기
600:유리병색상선별부 610:잔여금속선별기
620:세척기 630:건조기
640:유리병진동피더 650:색상선별기
700:풍력선별기 800:와전류선별기
820:알루미늄압축기 900:플라스틱선별부
910:회전선별기 920:플라스틱압착기
930:플라스틱진동피더 940:플라스틱선별기
950:플라스틱저장호퍼 960:플라스틱압축결속기
1000:여과집진기
본 고안은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 캔, 병, 수지류의 음료수 병이나 스티로폼, 폐지를 재활용하도록 선별하는 재활용품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로 인한 쓰레기 발생량의 증가와 더불어서 일회용품 사용으로 인하여 환경오염 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현재 국내에서는 이러한 쓰레기에 의한 환경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쓰레기 종량제 및 쓰레기 분리수거를 실시하고 있으며, 금속 캔, 수지 제품, 폐지 등의 자원을 재활용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금속 캔이나 병, 수지 제품, 폐지와 같이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들은 재활용 분류센터에서 그 종류별, 크기별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선별하는 작업을 통해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수작업을 통한 재활용 분류작업은 많은 인력과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여 인건비가 증가됨과 더불어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지지 못하는 바, 근래에는 자동으로 쓰레기를 선별하는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쓰레기중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자동으로 선별하는 시스템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92696호에 제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재활용품 선별시스템 역시 합성수지나 플라스틱의 종류와 유리병의 색상에 따른 선별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플라스틱의 종류나 유리병의 색상에 따른 선별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전체적인 재활용품 선별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재활용품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재활용품 선별장치는, 수거된 각종 혼합 재활용품들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재활용품들을 수평이나 경사지게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품들중에서 마대류, 직물류, 폐지류, 스치로폴, 대형폐기물을 작업 자가 수작업으로 선별시키는 예비선별대와;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예비선별대를 거친 재활용품들중에서 철캔 및 철편을 선별하는 철캔선별기와; 상기 철캔선별기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철캔선별기를 거친 재활용품들중에서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를 송풍에 의해 선별하는 중량선별부와; 상기 중량선별부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중량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유리병을 색상별로 다르게 감지되는 광학신호에 의해 선별하는 유리병 색상선별부와; 상기 중량선별부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중량선별부에 의해 유리병 및 소형가전이 선별된 재활용품들중에서 포장필름류 및 비닐류를 싸이클론 흡입에 의해 선별하는 풍력선별기와; 상기 풍력선별기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와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풍력선별기에 의해 포장필름류 및 비닐류가 선별된 재활용품들중에서 잔여 철캔류와 알루미늄캔류를 선별하는 와전류선별기와; 상기 와전류선별기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와전류선별기에 의해 철캔류와 알루미늄캔류가 선별된 재활용품들중에서 플라스틱을 검출되는 분석성분에 따라 선별하는 플라스틱선별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선별장치에 대한 계통도 및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재활용품 선별장치는, 저장부(100), 이송이송컨베이어(200), 예비선별대(300), 철캔선별기(400), 중량선별부(500), 유리병색상선별부(600), 풍력선별기(700), 와전류선별기(800), 플라스틱선별부(9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저장부(100)는 재활용품 수거장으로부터 반입된 폐지류, 병류, 철편류, 섬유류, 플라스틱류, 스치로폼, 캔류, 대형플라스틱류를 저장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00)에는 폐지류, 병류, 철편류, 섬유류, 플라스틱류, 스치로폼, 캔류를 혼합상태로 저장하는 혼합물반입조(110)와, 대형플라스틱류를 파쇄시키는 플라스틱파쇄기(1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100)에는 혼합물반입조(110) 내부에 저장된 재활용품들 및 상기 플라스틱파쇄기(120)에 의해 파쇄된 대형플라스틱류를 혼합상태로 상기 예비선별대(300)로 투입되게 하는 재활용품투입호퍼(130)를 설치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는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되는 재활용품들을 각각의 종류별로 선별하기 위해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이송컨베이어(200)는 재활용품들을 수평이나 경사진 상태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를 구비하며, 상기 저장부(100)의 재활용품을 상기 예비선별대(300)로 이송시키는 부분은 각종 재활용품들의 세척액 제거가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비선별대(30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된 상기 저장부(100)의 재활용품들중에서 마대류, 폐지류, 직물류, 스치로폼, 대형폐기물을 작업자가 직접 선별하게 되는 이송라인이다.
이러한, 상기 예비선별대(300)에는 작업자에 의해 선별된 마대류, 폐지류, 직물류, 스치로폼, 대형폐기물을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복수개의 선별저장조(3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철캔선별기(400)는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예비선별대(300)를 통과한 재활용품들중에서 철캔 및 철편을 선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철캔선별기(400)에는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연결한 상태로 선별된 철캔 및 철편을 외부로 반출이 용이하도록 압축시키는 철캔압축기(41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중량선별부(500)는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상기 철캔선별기(400)에 연결되어 상기 철캔선별기(400)를 통과한 재활용품중에서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를 선별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중량선별부(500)는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상기 철캔선별기(400)와 연결되어 철캔선별기(400)를 통과한 재활용품들을 송풍에 의해 유리 병 및 소형가전류를 선별하고 다른 재활용품들은 통과시키는 송풍중량선별기(510)와, 상기 송풍중량선별기(510)와 컨베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송풍중량선별기(510)에서 선별된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호퍼(5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중량선별부(500)에는 상기 저장호퍼(520)와 이송컨베이어(200)로 연결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유리병과 소형가전류중에서 소형가전류만을 파쇄시키는 소형가전파쇄기(530)와, 상기 소형가전파쇄기(530)를 통과한 유리병과 파쇄상태의 소형가전류를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받아 송풍으로서 유리병만 선별되게 하는 송풍유리병선별기(54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유리병선별기(540)에서 선별되지 않은 파쇄상태의 소형가전류는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상기 이송부의 재활용품투입호퍼(130)로 이송되어 재선별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기 유리병색상선별부(600)는 상기 중량선별부(500)의 송풍유리병선별기(540)에서 선별된 유리병을 색상별로 선별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유리병색상선별부(600)에는 상기 중량선별부(500)의 송풍유리병선별기(540)와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선별된 유리병에 와전류를 가하여 잔여 철재류와 알루미늄류를 선별한 상태로 유리병을 통과시키는 잔여금속선별기(610)와, 상기 잔여금속선별기(610)에서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는 유리병에 세척액을 분사하여 먼지나 기타 이물질을 세척시키는 세척기(6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유리병색상선별부(600)에는 상기 세척기(620)에서 세척된 상태로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는 유리병에 고온공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건조기(630)와, 상기 건조기(630)에 의해 건조된 상태로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는 유리병에 진동을 가해 겹치지 않게 배열시키는 유리병진동피더(64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유리병색상선별부(600)에는 상기 유리병진동피더(640)에 의해 겹침이 없이 배열된 유리병에 광학신호를 투영하여 색상별로 유리병을 선별하는 복수개의 색상선별기(650)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백색, 투명, 녹색, 감색을 감지하는 상기 색상선별기(650)를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색상을 선별하는 상기 색상선별기(650)를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상기 색상선별기(65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한 회전속도를 가지는 한 쌍의 벨트가 상호 대칭되게 경사진 V자형의 정렬컨베이어(651)와, 상기 정렬컨베이어(651)의 일측 상방에 상기 정렬컨베이어(651)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정렬롤러(652)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정렬컨베이어(651) 하방에는 작은 유리조각이나 이물질을 이송할 수 있는 보조컨베이어(65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정렬컨베이어(651)의 진행방향에 대해 연직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는 유리병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한 쌍의 벨트에 의해 상기 정렬컨베이어(651)의 진행방향에 연직되게 정렬되며, 이때 상기 정렬롤러(652)는 완전히 연 직되지 않은 상태의 유리병을 상기 정렬컨베이어(651)의 진행방향에 완전히 연직된 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색상선별기(650)에는 상기 정렬컨베이어(651)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컨베이어(651) 상으로 이송하는 유리병의 색상을 입력받는 카메라(654)와, 상기 카메라(654)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정렬컨베이어(65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654)에 입력되는 유리병의 색상이 명확하게 입력되도록 유리병의 후면부에서 조명을 비추는 백라이팅(65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색상선별기(650)에는 상기 카메라(654)에 입력된 색상을 분석하는 비젼콘트롤러(656)가 구비되며, 상기 비젼콘트롤러(656)에 설정된 색상신호로 분석되면 상기 비젼콘트롤러(656)의 제어신호에 의해 해당 유리병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토출시키는 에어토출기(657)를 각각의 상기 정렬컨베이어(651) 후단부에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리병색상선별부(600)에는 각각의 색상선별기(650)에 의해 색상별로 선별된 유리병과 이물질을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유리병저장호퍼(660)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유리병저장호퍼(660)에는 각각의 유리병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풍력선별기(700)는 상기 중량선별부(500)와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중량선별부(500)의 송풍유리선별기에서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가 선별되고 남은 재활용품들중에서 포장필름류 및 비닐류를 싸이클론 흡입에 의해 선별 하는 장치이다.
상기 와전류선별기(800)는 상기 풍력선별기(700)와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풍력선별기(700)에서 포장필름류 및 비닐류가 선별되고 남은 재활용품중에서 잔여 철캔류와 알루미늄캔류를 와전류를 이용하여 선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와전류선별기(800)에는 각각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각각의 잔여철캔 및 알루미늄캔을 외부로 반출이 용이하도록 압축시키는 철캔압축기(810) 및 알루미늄압축기(82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플라스틱선별부(900)는 상기 와전류선별기(800)와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와전류선별기(800)에서 잔여 철캔류와 알루미늄캔류가 선별되고 남은 재활용품들중에서 플라스틱을 성분에 따라 선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상기 플라스틱선별부(900)에는 상기 와전류선별기(800)와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와전류선별기(800)에서 철캔류와 알루미늄캔류가 선별되고 남은 재활용품들을 회전시켜 요구르트병과 같은 소형플라스틱 및 그외의 대형 플라스틱으로 선별하는 회전선별기(910)와, 상기 회전선별기(910)에 의해 선별된 각각의 소형 및 대형플라스틱을 압착시키는 한 쌍의 플라스틱압착기(9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선별부(900)에는 각각 상기 플라스틱압착기(920)와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플라스틱압착기(920)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각각의 소형 및 대형 플라스틱을 진동에 의해 겹쳐지지 않도록 펼치게 하 는 한 쌍의 플라스틱진동피더(93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선별부(900)에는 소형 및 대형 플라스틱을 펼치는 각각의 플라스틱진동피더(930)와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연결되어 근적외선으로 플라스틱을 성분별로 선별하는 복수개의 플라스틱선별기(940)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소형 플라스틱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00)와는 폴리스티렌요구르트병을 선별하는 플라스틱선별기(940)를 설치하며, 대형 플라스틱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200)와는 순차적으로 폴리에테르텔레프탈라이트(PET), 폴리스티렌(PS),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을 성분별로 선별하는 상기 플라스틱선별기(940)를 설치한다.
이러한, 각각의 상기 플라스틱선별기(94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경이 표면에 코팅된 상태로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연결되어 플라스틱을 이송시키는 선별컨베이어(941)와, 상기 선별컨베이어(941) 상방 일측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플라스틱에 근적외선광원을 방출하는 근적외선방출기(94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선별기(940)에는 상기 근적외선방출기(942)에서 방출된 극적외선광원의 반사광을 입력받아 성분을 분석하는 분석기(943)를 설치하며, 상기 선별컨베이어(941) 후단부에는 상기 분석기(943)에서 설정된 플라스틱성분으로 분석되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해당 플라스틱만이 토출되게 하는 에어토출기(944)를 설치한다.
이때, 대형 플라스틱을 선별하는 플라스틱선별기(94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성분의 플라스틱을 선별하는 상기 플라스틱선별기(940)를 추가적으로 설치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틱선별부(900)에는 각각의 상기 플라스틱선별기(940)에서 성분별로 선별된 각각의 플라스틱을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플라스틱저장호퍼(950)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플라스틱저장호퍼(950)는 각각의 플라스틱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플라스틱선별부(900)에는 상기 플라스틱저장호퍼(950)와 이송컨베이어(200)로 연결되어 각각의 성분별 플라스틱을 압축시키는 플라스틱압축결속기(96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플라스틱압축결속기(960)는 상기 플라스틱압착기(920)에 의해 압착된 플라스틱들이 복원력에 의해 팽창되면서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운송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재활용품 선별장치에는 재활용품들의 선별작업시 작업공간으로 비산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여과집진기(1000), 재활용품들중에서 선별되는 스치로폼을 압축시켜 부피를 줄이는 스치로폼감용기(도면미도시), 폐지를 압축시키는 폐지압축기(도면미도시), 대형폐기물을 파쇄시키는 대형파쇄기(도면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선별장치의 재활용품 선별작업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재활용품 수거장으로부터 반입된 폐지류, 병류, 철편류, 섬유류, 플라 스틱류, 스치로폼, 캔류, 대형플라스틱류를 상기 저장부(100)의 재활용품투입호퍼(130)에 혼합된 상태로 투입한다.
이때, 대형플라스틱류는 이송 및 선별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플라스틱파쇄기(120)에서 파쇄상태로 투입하게 된다.
상기 재활용품투입호퍼(130)에 혼합상태로 유입되는 재활용품들은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상기 예비선별대(300)로 이송되며, 상기 예비선별대(300) 상을 이송하는 재활용품들중에서 각각 마대류, 폐지류, 직물류, 대형폐기물, 스치로폼을 각각 작업자들이 선별하여 각각의 상기 선별저장조(310)에 담게 된다.
이때, 각 상기 선별저장조(310)에 담긴 폐지류, 스치로폼, 대형폐기물은 각각 폐지압축기, 스치로폼감용기, 대형파쇄기에 의해 압축 또는 파쇄된 상태로 외부로 반출된다.
이렇게, 상기 예비선별대(300)에서 일차적으로 선별된 재활용품들은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이송되면서, 상기 철캔선별기(400)의 자력에 의해 철캔류 및 철편이 선별되며 상기 철캔압축기(410)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외부반출된다.
이후, 상기 철캔선별기(400)에 의해 철캔류 및 철편이 선별된 재활용품들은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상기 송풍중량선별기(510)로 유입되어 송풍에 의해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가 선별되며, 나머지 재활용품들은 상기 풍력선별기(700)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송풍중량선별기(510)에 의해 선별된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는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저장호퍼(520)로 유입되며, 상기 저장호퍼(520)에서 분사되는 압 축공기에 의해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는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소형가전파쇄기(530)로 이송된다.
상기 소형가전파쇄기(530)로 이송된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는 유리병은 그대로 통과시키고 소형가전류만 파쇄된 상태로 이송컨베이어(200)를 통해 상기 송풍유리병선별기(540)로 이송된다.
상기 송풍유리병선별기(540)로 이송된 유리병 및 파쇄상태의 소형가전류는 송풍에 의해 유리병만 선별되고, 소형가전류는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상기 저장조의 재활용품투입호퍼(130)로 이송되어 재선별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송풍유리병선별기(540)에 의해 선별된 유리병은 상기 잔여금속선별기(610)로 유입되어 유리병에 부착된 잔여 철재류와 알루미늄류를 와전류로서 제거한 상태로 이송되며, 세척기(620) 및 건조기(630)를 거친 후 진동피더에 의해 겹쳐지지 않은 상태로 상기 색상선별기(650)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상기 색상선별기(650)의 비젼콘트롤러(656)에 설정된 색상에 따라 상기 에어토출기(657)가 작동하면서 해당 색상의 유리병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정렬컨베이어(651) 상에서 유리병이 토출되게 하여 각각의 색상별 유리병 선별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색상선별기(650)의 에어토출기(657)에 의해 색상별로 토출된 유리병은 상기 유리병저장호퍼(660)에 저장되어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송풍중량선별기(510)로 유입되어 송풍에 의해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가 선별되고, 상기 풍력선별기(700)로 이송된 나머지 재활용품들은 싸이클론 흡입에 의해 포장필름류 및 비닐류가 선별된다.
그리고, 상기 풍력선별기(700)에 의해 포장필름류 및 비닐류가 선별된 재활용품들은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상기 와전류선별기(800)로 이송되어 와전류에 의해 잔여철캔 및 알루미늄캔이 선별된 상태로 상기 플라스틱선별부(900)의 회전선별기(910)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와전류선별기(800)에 의해 선별된 잔여철캔 및 알루미늄캔을 각각 철캔압축기(810) 및 알루미늄압축기(820)에 의해 압축하여 외부로 반출하게 된다.
상기 회전선별기(910)로 이송된 재활용품들은 고속회전에 의해 가벼운 요구르트병과 같은 소형플라스틱 및 그외의 대형플라스틱으로 선별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선별기(910)에 의해 선별된 소형플라스틱 및 대형플라스틱은 각각 플라스틱압착기(920)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상기 플라스틱전동피더로 이송되어 겹침없이 펼쳐진 상태로 각각의 플라스틱선별기(940)로 이송된다.
상기 플라스틱선별기(940)로 상기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플라스틱이 이송되면, 이와 연결된 상기 선별컨베이어(941)를 이송되며, 이때 상기 근적외선방출기(942)가 플라스틱에 근적외선을 방출하면 반사광이 분석기(943)에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분석기(943)는 입력된 해당 성분의 플라스틱만을 선별하도록 상기 에어토출기(944)를 작동시켜 해당된 플라스틱만을 토출시키고, 다른 플라스틱을 다음 상기 플라스틱선별기(940)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플라스틱선별기(940)에 의해 각각의 성분별로 선별된 플라스틱 은 이송컨베이어(200)에 의해 상기 플라스틱저장호퍼(950)에 저장된 후 상기 플라스틱압축결속기(960)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외부반출된다.
이와 같이, 재활용품중 유리병의 색상선별 및 플라스틱의 성분별 선별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됨으로서 재활용품 선별이 용이하게 이루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재활용품 선별장치는, 색상선별기 및 플라스틱선별기에 의해 유리병의 색상별 선별 및 플라스틱의 성분별 선별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서 재활용품 선별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1)

  1. 수거된 각종 혼합 재활용품들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재활용품들을 수평이나 경사지게 이송시키는 복수개의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품들중에서 마대류, 직물류, 폐지류, 스치로폴, 대형폐기물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선별시키는 예비선별대와;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예비선별대를 거친 재활용품들중에서 철캔 및 철편을 선별하는 철캔선별기와;
    상기 철캔선별기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철캔선별기를 거친 재활용품들중에서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를 송풍에 의해 선별하는 중량선별부와;
    상기 중량선별부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중량선별부에 의해 선별된 유리병을 색상별로 다르게 감지되는 광학신호에 의해 선별하는 유리병 색상선별부와;
    상기 중량선별부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중량선별부에 의해 유리병 및 소형가전이 선별된 재활용품들중에서 포장필름류 및 비닐류를 싸이클론 흡입에 의해 선별하는 풍력선별기와;
    상기 풍력선별기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와전류를 이용하여 상기 풍력선별기에 의해 포장필름류 및 비닐류가 선별된 재활용품들중에서 잔여 철 캔류와 알루미늄캔류를 선별하는 와전류선별기와;
    상기 와전류선별기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와전류선별기에 의해 철캔류와 알루미늄캔류가 선별된 재활용품들중에서 플라스틱을 검출되는 분석성분에 따라 선별하는 플라스틱선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폐지류, 병류, 철편류, 섬유류, 플라스틱류, 스치로폼, 캔류를 혼합상태로 저장하는 혼합물반입조와,
    대형플라스틱류를 파쇄시키는 플라스틱파쇄기 및,
    상기 혼합물반입조 내부에 저장된 재활용품들 및 상기 플라스틱파쇄기에 의해 파쇄된 대형플라스틱류를 혼합상태로 상기 예비선별대로 투입되게 하는 재활용품투입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선별대에는 작업자에 의해 선별된 마대류, 폐지류, 직물류, 스치로폼, 대형폐기물을 각각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복수개의 선별저장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캔선별기에는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한 상태로 선별된 철캔 및 철편을 외부로 반출이 용이하도록 압축시키는 철캔압축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선별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상기 철캔선별기와 연결되어 철캔선별기를 통과한 재활용품들을 송풍에 의해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를 선별하고 다른 재활용품들은 통과시키는 송풍중량선별기와,
    상기 송풍중량선별기와 컨베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송풍중량선별기에서 선별된 유리병 및 소형가전류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호퍼와,
    상기 저장호퍼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로 연결되어 이물질이 제거된 유리병과 소형가전류중에서 소형가전류만을 파쇄시키는 소형가전파쇄기 및,
    상기 소형가전파쇄기를 통과한 유리병과 파쇄상태의 소형가전류를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받아 송풍으로서 유리병만 선별되게 하는 송풍유리병선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병색상선별부는
    상기 중량선별부의 송풍유리병선별기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선별된 유리병에 와전류를 가하여 잔여 철재류와 알루미늄류를 선별한 상태로 유리병을 통과시키는 잔여금속선별기와,
    상기 잔여금속선별기에서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유리병에 세척액을 분사하여 먼지나 기타 이물질을 세척시키는 세척기와,
    상기 세척기에서 세척된 상태로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유리병에 고온공기를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건조기에 의해 건조된 상태로 이송컨베이어 의해 이송되는 유리병에 진동을 가해 겹치지 않게 배열시키는 유리병진동피더와,
    상기 유리병진동피더에 의해 겹침이 없이 배열된 유리병에 광학신호를 투영하여 색상별로 유리병을 선별하는 복수개의 색상선별기 및,
    상기 색상선별기에 의해 색상별로 선별된 유리병과 이물질을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유리병저장호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선별기는
    서로 상이한 회전속도를 가지는 한 쌍의 벨트가 상호 대칭되게 경사진 V자형의 정렬컨베이어와,
    상기 정렬컨베이어의 일측 상방에 상기 정렬컨베이어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 으로 회전하는 정렬롤러와,
    상기 정렬컨베이어 하방에 설치되어 작은 유리조각이나 이물질을 이송하는 보조컨베이어와,
    상기 정렬컨베이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컨베이어 상으로 이송하는 유리병의 색상을 입력받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와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정렬컨베이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카메라에 입력되는 유리병의 색상이 명확하게 입력되도록 유리병의 후면부에서 조명을 비추는 백라이팅과,
    상기 카메라에 입력된 색상을 분석하는 비젼콘트롤러와,
    상기 정렬컨베이어 후단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비젼콘트롤러에 설정된 색상신호로 분석되면 상기 비젼콘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해당 유리병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토출시키는 에어토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전류선별기에는 각각 이송컨베이어 의해 연결된 상태로 각각의 잔여철캔 및 알루미늄캔을 외부로 반출이 용이하도록 압축시키는 철캔압축기 및 알루미늄압축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선별부는
    상기 와전류선별기와 이송컨베이어 의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와전류선별기에서 철캔류와 알루미늄캔류가 선별되고 남은 재활용품들을 회전시켜 요구르트병과 같은 소형플라스틱 및 그외의 대형 플라스틱으로 선별하는 회전선별기와,
    상기 회전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각각의 소형 및 대형플라스틱을 압착시키는 한 쌍의 플라스틱압착기와,
    각각 상기 플라스틱압착기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플라스틱압착기에 의해 압착된 상태로 이송되는 각각의 소형 및 대형 플라스틱을 진동에 의해 겹쳐지지 않도록 펼치게 하는 한 쌍의 플라스틱진동피더와,
    소형 및 대형 플라스틱을 펼치는 각각의 플라스틱진동피더와 이송컨베이어에 의해 연결되어 근적외선으로 플라스틱을 성분별로 선별하는 복수개의 플라스틱선별기와,
    각각의 상기 플라스틱선별기에서 성분별로 선별된 각각의 플라스틱을 독립적으로 저장하는 플라스틱저장호퍼 및,
    상기 플라스틱저장호퍼와 이송컨베이어로 연결되어 각각의 성분별 플라스틱을 압축시키는 플라스틱압축결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선별기는
    반사경이 표면에 코팅된 상태로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연결되어 플라스틱을 이송시키는 선별컨베이어와,
    상기 선별컨베이어 상방 일측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플라스틱에 근적외선광원을 방출하는 근적외선방출기와,
    상기 근적외선방출기에서 방출된 극적외선광원의 반사광을 입력받아 성분을 분석하는 분석기 및,
    상기 선별컨베이어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분석기에서 설정된 플라스틱성분으로 분석되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해당 플라스틱만을 토출시키는 에어토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품 선별장치에는 재활용품들의 선별작업시 작업공간으로 비산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여과집진기, 재활용품들중에서 선별되는 스치로폼을 압축시켜 부피를 줄이는 스치로폼감용기, 폐지를 압축시키는 폐지압축기, 대형폐기물을 파쇄시키는 대형파쇄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선별장치.
KR2020060012239U 2006-05-08 2006-05-08 재활용품 선별장치 KR2004219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239U KR200421977Y1 (ko) 2006-05-08 2006-05-08 재활용품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239U KR200421977Y1 (ko) 2006-05-08 2006-05-08 재활용품 선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037A Division KR100651272B1 (ko) 2006-05-08 2006-05-08 재활용품 선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977Y1 true KR200421977Y1 (ko) 2006-07-24

Family

ID=4177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239U KR200421977Y1 (ko) 2006-05-08 2006-05-08 재활용품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97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842B1 (ko) * 2007-05-21 2008-05-28 신해산업 (주) 캔 분리 시스템
KR100960510B1 (ko) * 2008-09-18 2010-06-0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캔 선별 및 압착 장치
KR101038419B1 (ko) 2010-09-14 2011-06-01 박철우 회분이 함유된 합성수지를 선별 제거하여 회분 함량이 감소한 합성수지 재생원료를 생산하는 제조방법
KR101611542B1 (ko) * 2015-03-17 2016-04-11 강나래 유리병을 이용한 유리블록 생성방법 및 장치
KR101857119B1 (ko) * 2017-03-14 2018-05-11 정경호 폐합성수지 출처 정보 및 설비 데이터를 활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842B1 (ko) * 2007-05-21 2008-05-28 신해산업 (주) 캔 분리 시스템
KR100960510B1 (ko) * 2008-09-18 2010-06-01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캔 선별 및 압착 장치
KR101038419B1 (ko) 2010-09-14 2011-06-01 박철우 회분이 함유된 합성수지를 선별 제거하여 회분 함량이 감소한 합성수지 재생원료를 생산하는 제조방법
KR101611542B1 (ko) * 2015-03-17 2016-04-11 강나래 유리병을 이용한 유리블록 생성방법 및 장치
KR101857119B1 (ko) * 2017-03-14 2018-05-11 정경호 폐합성수지 출처 정보 및 설비 데이터를 활용한 폐합성수지 선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272B1 (ko) 재활용품 선별시스템
KR101949321B1 (ko)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KR200421977Y1 (ko) 재활용품 선별장치
US11717857B2 (en) System and process for sorting and recovery of recyclable materials from mixed waste
KR102038807B1 (ko) 재활용 쓰레기의 플라스틱 재질별 선별 방법 및 장치
KR100752243B1 (ko) 혼합 재활용품 선별방법
KR102162265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JPH04229210A (ja) プラスチック成形品廃棄物の再生処理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CN210527448U (zh) 居住区中垃圾自动分类的垃圾箱
US20230089544A1 (en) Automated process and method for material separation and recycling
CN105536969B (zh) 剥离式生活垃圾分选机
JP2016087952A (ja) リサイクル処理装置
RU2201814C2 (ru) Способ сортировки и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и комплек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0612061B1 (ko) 재활용 플라스틱 선별방법
CN205570987U (zh) 振动筛分分拣设备
KR20090034614A (ko) 생활쓰레기 자동선별 처리방법
RU2000130971A (ru) Способ сортировки и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и комплек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61603U1 (ru) Комплекс по извлечению полезного вторичного сырья из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JPH04367774A (ja) 廃棄ビン類の色別回収方法
KR100271434B1 (ko) 페트병 재생칩 생산 자동화 기계
CN113000545B (zh) 一种垃圾资源化分类回收装置及监控系统
JPH06345203A (ja) リサイクル型塵芥中継基地の処理方法
CN219233140U (zh) 一种混合生活垃圾筛分处理系统
CN210121610U (zh) 一种垃圾分选系统
KR200263178Y1 (ko) 재활용품 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