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321B1 -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321B1
KR101949321B1 KR1020180067015A KR20180067015A KR101949321B1 KR 101949321 B1 KR101949321 B1 KR 101949321B1 KR 1020180067015 A KR1020180067015 A KR 1020180067015A KR 20180067015 A KR20180067015 A KR 20180067015A KR 101949321 B1 KR101949321 B1 KR 101949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conveying conveyor
conveyor
optical
plas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태
Original Assignee
톰라소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라소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톰라소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7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중에서 1단계로 제1 광학선별기를 이용하여 우선하여 플라스틱류와 비플라스류로 대분류하여 일방 필름류비닐류와 형상물(pet, pp, pe, ps 등)을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고 일방 비플라스틱류의 유리병, 캔류 등을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도록 하여 선별 공정을 단순화 시켜 처리 용량을 확대시킨 장치이며 2 단계 선별 과정으로 1단계에서 선별 분리된 플라스틱류는 일방 형상선별장치를 통해 비닐류(EPR필름류 포함)와 유가 형상물(pet, pp, pe, ps 4종)로 구분되고, 비닐류(EPR필름류)는 수선별에 의해 비닐과 EPR필름으로 선별되고 일방 유가 형상물(pet, pp, pe, ps 4종)은 제3 광학선별기에 의해 센서를 적용하여 4종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센싱하되 반복적으로 센싱하고 반복 선별하여 순도가 높은 재활용품을 생산해 내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a method sorting recycling waste by group unit using a optics and equipment sorting spent resin by assorter using the method}
생활용 쓰레기의 전처리 방법 또는 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선별장치의 설치 장소에 따라 적용 수단을 신축성 있게 구현할 수 있고 선별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시행해야 할 작업 환경의 개선과 폐수지의 종류별 선별을 용이하게 하여 재활용의 유익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으로 구성되었으며, 반입되는 쓰레기 봉투를 파봉하는 과정과, 파봉된 쓰래기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과정과, 파봉된 쓰레기 중에서 기계적으로 선별하기 어려운 소형가전, 장난감, 옷, 대형용기, 대형박스 스티로폼 등을 수선별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재활용쓰레기를 선별하는 과정에 있어서, 정량으로 공급되는 쓰레기를 분산하여 각 쓰레기 종류별로 센싱이 용이하도록 분산하는 과정과, 제1광학 선별기에서 정량으로 공급되는 쓰레기 중에서 플라스틱류와 비 플라스틱류를 대분류하는 과정과, 제2광학선별기에서 폐지를 선별하는 과정과, 제1광학선별기에서 선별되는 플라스틱류의 형상물과 비닐류 및 필름류를 풍력으로 중량의 형상물과 경량의 비닐류로 선별하는 과정과, 플라스틱류 중량 형상물을 제3광학 선별기를 이용하여 pet, pp, pe, ps를 차례로 반복하여 선별하는 과정과, 제2광학선별기로 폐지를 선별하는 과정을 통한 잔여물에서 자력선별기로 철 캔류를 선별하고 알루미늄캔, 유리 병류를 수 선별로 선별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재활용 쓰레기를 광학선별기를 이용하여 대단위 선별 및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에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데 있어서, 쓰레기를 수용한 봉지를 파봉하는 파봉장치와, 파봉한 쓰레기를 분산시키는 분산장치와, 분산된 쓰레기의 플라스틱류만 센싱하여 선별하는 제1광학선별기와, 제1광학선별기의 잔재물에서 폐지만 센싱하여 폐지를 선별하는 제2광학선별기와, 제2광학선별기에서 폐지를 선별한 잔재물에서 철 캔류를 선별하는 자력선별기와, 유리병을 선별하는 수선별과정과, 제1광학선별기에서 선별한 플라스틱류에서 플라스틱 형상물과 비닐 및 필름류를 선별하는 형상선별기와, 형상선별기에서 선별한 플라스틱 형상물인 pet, pp, pe, ps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제3광학선별기로 구성되어 재활용 쓰레기에서 폐수지를 종류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일부 동일한 목적으로 개시된 종래의 발명 제10-1046574(발리스틱 선별유닛,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비중 선별장치, 이하 종래의 기술이라 함) 호의 기술에서 유입되는 쓰레기를 공기분사 과정과 발리스틱 과정을 연속으로 형성하여 공기 분사 과정에서 중량물과 플라스틱류의 형상물 및 비닐류를 선별하고 발리스틱에서 플라스틱류 형상물과 비닐류를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공기분사에서 중량이 있는 플라스틱 형상물은 중량물로 선별되기 때문에 공기분사 과정과 발리스틱 선별과정은 작업이 중복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편심으로 회전하는 충격에 의해 유리병이 깨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리스틱은 경사면에서 캠 축이 회전할 때 편심으로 회전하면서 혼합쓰레기가 경사면으로 올라가도록 구성되어 있고 중량물과 형상물은 아래로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경사면을 올라가는 비닐 쓰레기에 형상물이 올라타거나 낙하하는 형상물에 비닐류, 종이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쓰레기의 선별과정에서 상세하게 선별하는데 많은 공정이 필요하고, 캠축의 내구성이 짧아 캠축의 수선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고, 소음의 문제가 있으며, 쓰레기 선별장치가 대기에 노출되어 있으면 먼지가 많아지게 되어 작업환경이 열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쓰레기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폐수지 등 유가물을 선별하는데 있어서, 선별과정을 대단위로 선별하되 광학선별기를 이용하여 선별 과정을 간소화하고 수선별 보다 기계적 선별 수단을 선호하여 수선별 인원을 최소화하고 폐지, 유리병, 캔류, 폐수지의 신속한 선별과 선별과정에서 폐수지의 순도를 최대화 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며,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여 청결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반입되는 쓰레기 봉투를 파봉하는 과정과, 파봉된 쓰레기 중에서 기계적으로 선별하기 어려운 소형 가전, 장난감, 옷, 대형용기, 대형박스, 스티로폼 등을 수선별하는 과정과, 파봉된 쓰레기를 정량으로 공급하는 과정과, 정량으로 공급되는 쓰레기를 분산하여 각 쓰레기 종류별로 센싱이 용이하도록 분산하는 과정과, 제1광학 선별기를 이용하여 정량으로 공급되는 쓰레기 중에서 선별 공정의 중심이 되는 플라스틱류와 비 플라스틱류를 대분류하는 과정과, 제2광학선별기에서 폐지를 선별하는 과정과, 제1광학선별기에서 선별되는 플라스틱류의 형상물과 비닐류 및 필름류를 풍력으로 형상물과 비닐류로 선별하는 형상선별과정과, 플라스틱류 형상물을 제3광학 선별기를 이용하여 pet, pp, pe, ps를 구별하여 선별하는 과정과, 제2광학선별기로 폐지를 선별하는 과정을 통한 잔재물에서 자력선별기로 철 캔류를 선별하고 유리병을 수선별하는 과정으로 구성하는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분류로 선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정량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습기에 의해 붙어 있는 비닐류 및 필름류를 흩어지게 할 목적으로 분산 과정 전에 회전하면서 비닐류 및 필름류를 타격하는 타격기를 추가할 수 있다.
타격기의 회전 수를 높이게 되면 타격력을 높이게 되므로 붙어 있는 쓰레기의 분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광학선별기는 폐지를 선별하는 선별기이므로 폐지의 양이 적을 때는 제2광학선별기를 생략할 수 있고, 제3광학선별기에 제4광학선별기를 추가하여 폐수지 선별의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종류별로 상세하게 선별할 수 있다.
정량으로 공급하는 과정은 일정한 양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공급되는 쓰레기의 개체별로 센싱이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1광학선별기에서 플라스틱류와 비 플라스틱류로 대분리하여 폐수지, 폐지, 유리병, 캔류 등 유가물의 선별에서 기계적인 선별을 우선하여 실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형상선별과정에서 밀폐 장소로 제한하고 풍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발생한 풍력은 순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형상선별에 의해 플라스틱류가 형상물(폐수지)과 비닐류로 선별된 비닐류는 이송컨베이에서 이송될 때 비닐류가 컨베이어에 부착된 상태로 이송하여 비닐류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비닐류에 묻어 있는 물기 또는 습기에 의해 이송하는 컨베이어에 부착된 비닐류를 분리하기 위해 흡기와 배기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흡 배기관을 형성하였다.
순환하는 풍력의 일부는 배기하여 먼지를 제거하고 순환하는 흡 배기관에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여 선별되는 형상물과 비닐류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제1광학선별 과정에서 선별되는 비플라스틱류에서 잔재물을 별도로 선별할 수있도록 추가하여 이동하는 잔재물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상선별 과정은 밀폐된 콘테이너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실시하여 풍력에서 발생하는 먼지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밀폐되는 콘테이너의 내압을 낮추어서 콘테이너 내의 공기가 콘테이너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 팬을 설치하여 콘테이너 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쓰레기를 수용한 봉지를 파봉하여 쓰레기를 개체화하는 파봉장치와, 파봉한 쓰레기를 분산시키는 분산장치와, 분산된 쓰레기의 플라스틱류만 센싱하여 선별하는 제1광학선별기와, 제1광학선별기의 잔재물에서 폐지만 센싱하여 폐지를 선별하는 제2광학선별기와, 제2광학선별기에서 폐지를 선별한 잔여물에서 철 캔류를 선별하는 자력선별기와, 제1광학선별기에서 선별한 플라스틱류에서 플라스틱 형상물과 비닐 및 필름류를 선별하는 형상선별기와, 형상선별기에서 선별한 비닐류와 필름류를 별도로 이송하는 컨베이어와, 풍력선별기에서 선별되는 플라스틱 형상물인 유익한 플라스틱류인 pet, pp, pe, ps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제3광학선별기를 배치 구성하였다.
상기 형상물선별장치에서 이송되는 중량의 형상물을 제1저장소에 저장하여 일정량이 수용되었을 때 제3광학선별기로 이송하도록 하여 중량의 형상물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형상물을 선별할 경우 형상선별장치에서 유입되는 플라스틱류 형상물이 제3광학선별기를 통과할 때 pet가 선별되면 pet는 정 역회전하는 제1이송컨베이어가 정회전하여 pet를 오른쪽으로 이송하여 정 역회전하는 제2이송컨베이어에 이송되면 제2이송컨베이어가 정회전하여 제2이송컨베이어의 오른쪽으로 pet를 이송하여 제1배출함에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3광학선별기가 센싱하지 않은 플라스틱류 형상물은 그대로 배출하여 다시 제3광학선별기로 유입하도록 구성하였다.
제3광학선별기를 통과하는 플라스틱류의 형상물에서 pp가 센싱되어 pp를 선별하게 되면 상기 pp는 제1이송컨베이어에 이송되고 제1이송컨베이어는 오른쪽으로 정회전하여 제2이송컨베이어에 pp를 이송하게 되고 제2이송컨베이어는 왼쪽으로 역회전하여 이송되는 pp를 제2배출함에 배출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3광학선별기를 통과하는 플라스틱류 형상물에서 pe를 선별하여 pe가 제1이송컨베이어에 이송되면 제1이송컨베이어는 역회전하여 pe를 제3이송컨베이어에 이송하고 pe가 제3이송컨베이어에 이송되면 제3이송컨베이어는 정회전하여 pe를 제3배출함에 배출하고, 게3광학선별기를 통과하는 ps가 제1이송컨베이어에 이송되면 제1이송컨베이어는 역회전하여 ps를 제3이송컨베이어에 이송하게 되고 제3이송컨베이어는 역회전하여 ps를 제4배출함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어느 한 종류의 플라스틱류 형상물이 선별이 되면 다른 플라스틱류의 형상물은 다시 제3광학선별기로 이송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제3광학선별기는 유익한 플라스틱류인 pet, pp, pe, ps를 4회에 걸쳐 선별해야하므로 제3광학선별기를 2대 이상을 설치하여 선별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3광학선별기 1대에 플라스틱류 pet, pp, pe, ps를 센싱할 수 있도록 센서를 구비하고 1회에 pet를 센싱하는 센서를 작동하여 1회에 pet를 센싱하여 별도로 선별하고 나머지 pp,pe,,ps는 제2저장소에 수용하도록 구성하였다.
제3광학선별기는 pp,pe,,ps가 제2저장소에 충분히 유입될 때까지 pet를 선별되하게 되고 제2저장소에 pp,pe,,ps가 가득 차면 센서가 pp를 센싱하도록 구성하고 pp를 선별하도록 구성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pe. ps를 선별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2저장소의 형상물을 선별하는 동안 제1저장소에 최초의 형상물이 가득 차게 되면 제2저장소의 형상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1저장소의 형상물을 선별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파봉장치는 쓰레기를 수용한 봉지를 포함하는 쓰레기를 수용하는 파봉함과 파봉기로 구성하고 파봉함의 쓰레기를 파봉기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파봉함의 바닥에는 컨베이어를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
플라스틱류의 형상물인 pet, pp, pe, ps를 신속하게 선별하고 폐지의 정확한 종류로 선별할 수 있도록 상기 제3광학선별기는 복수 이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형상선별기에서 선별된 비닐류 및 필름류를 이송하는 컨베이어는 스틸망 또는 부식이 방지되는 금속망으로 구성하고 컨베이어 아래에는 흡기용 빨판의 덕트를 형성하여 컨베이어를 이송하는 비닐류와 필름류를 컨베이어에 부착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아래쪽의 컨베이어에는 배기판의 덕트를 부착하여 컨베이어에 부착한 비닐류 및 필름류를 완전하게 분리하도록 구성하였다.
형상선별기의 컨베이어와 흡 배기용 덕트는 콘테이너 내에 밀폐되게 설치하여 먼지와 소음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다.
형상선별기에서 발생하는 풍력과 흡 배기용 덕트에서 발생하는 풍력은 배출팬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배출한 풍력은 순환하여 형상선별기에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배출팬으로 배출되는 풍력의 일부는 정화하여 대기로 방출하도록 구성하였다.
형상선별기에 풍력을 순환하는 덕트에 외부 공기를 유입관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유입하여 순환하는 풍력을 정화하도록 구성하였다.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관에는 댐퍼를 적용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의 선별에서 수선별 과정 다음으로 제1광학선별과정을 구성한 것은 쓰레기에서 일반쓰레기와 플라스틱류를 대분류하기 위한 것이며 대분류한 플라스틱류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형상물(pet, pp, pe, ps)를 우선 선별함으로써 플라스틱류의 선별과정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광학선별기를 별도 설치하여 수선별하기 어려운 종이류를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선별과정 중에서 발리스틱 선별기, 진동선별기, 노출되는 대형 풍력선별기를 생략하고 수선별 하는 과정의 몇 단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설비 비용을 30%이상 절감할 수 있고, 인건비도 30%이상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형상선별장치를 밀폐하여 실시함으로 작업장의 소음과 악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형상선별과정을 통하여 플라스틱류의 형상물과 필름류를 포함하는 비닐류를 선별할 수 있으므로 형상물(pet. pp, pe, ps)의 선별 순도를 높일 수 있다.
형상물선별 장치에서 유입되는 형상물(pet. pp, pe, ps)을 제1저장소에 저장하고 제1저장소에 저장한 형상물을 제3광학선별기를 통하여 형상물(pet. pp, pe, ps)을 pet를 먼저 선별하면서 순서대로 선별할 때 pet가 선별된 나머지(pp, pe, ps)의 형상물은 제2저장소에 저장하고 제2저장소에 유입되는 형상물이 가득할 때까지 제1저장소의 형상물을 선별하고 제2저장소의 형상물이 가득차게 되면 제1저장소의 형상물은 제3광학선별기에 유입이 정지되고 제2저장소의 형상물(pp, pe, ps)중에서 pp를 선별하게 되며, pp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제1저장소에 형상물(pet. pp, pe, ps)이 가득하게 되면 제2저장소의 형상물의 유입이 정지되면서 다시 처음부터 pet를 선별하도록 구성하여 제3광학선별기에서 형상물의 센싱에 착오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형상물의 종류별로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고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풍력을 사용하는 과정은 콘테이너에 밀폐하고 실시하도록 구성하여 풍력의 팬의 소음과 풍력에 의한 먼지를 방지하여 작업장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장치의 계통도
도 4는 광학선별기의 작업도
도 5는 형성선별장치의 상세도
도 6은 플라스틱 형상물의 종류별 선별 장치도
본 발명은 재활용 쓰레기 중에서 폐수지 등 유가물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쾌적한 환경에서 선별할 수 있는 방법과 그 방법을 적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쓰레기에서 폐수지를 선별하는 방법을 구현하고 그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파봉 과정에서 쓰레기 봉지를 포함하는 쓰레기를 수용하는 파봉함(11)은 그 상단부가 지면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쓰레기를 다양한 수단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파봉기(11-1)를 포함하는 파봉함(11)에서 유입되는 혼합쓰레기는 쓰레기 컨베이어(31a)를 통하여 수선별대(12)에 유입되면 혼합쓰레기는 수선별에 의해 광학선별기가 센싱할 수 없는 쓰레기(옷, 포대, 철사, 대형 형상물, 목재 등)를 사전에 분류하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선별과정의 컨베이어(31b)를 통과한 쓰레기의 개체별 분산을 유도하기 위해 쓰레기의 분산을 할 수 있도록 분산판(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분산판(13) 앞에 타격기(도시되지않음)를 설치할 수 있고 분산판을 타격기로 교체할 수 있다.
상기 타격기와 분산판(13)은 같은 목적이 있지만 분산판(13)은 습기로 붙어 있는 비닐류(27)와 폐지(24)의 분리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타격기의 타격봉(도시되지않음)이 회전하면서 유입되는 쓰레기를 무작위로 타격하여 습기에 의해 서로 붙어 있는 쓰레기의 비닐류 및 필름류(27) 와 폐지(24)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습기에 의해 폐지(24)와 비닐류(27)가 붙어 있게 되므로 타격기와 분산판(13)은 같이 구성하는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비닐류(27)와 폐지(24) 등을 용이하게 분리하게 되면 쓰레기를 종류별로 선별이 용이하고 선별 과정을 줄일 수 있어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다.
상기 분산판(13)은 두 개의 원판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일부가 겹쳐 경사각을 형성하고 이격되게 구성되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산판(13)에 유입한 쓰레기는 제1광학선별기(14)의 쓰레기 컨베이어(31c)의 넓이에 균일하게 분산하여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광학선별기(14)는 설정에 따라 쓰레기 종류별로 센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제1광학선별기(14)의 센서가 혼합쓰레기의 플라스틱류에 반응하도록 설정하게 되면 쓰레기 중에서 플라스틱류만 센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광학선별기(14)는 플라스틱류를 센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광학선별기(14)를 통과하는 혼합쓰레기 중에서 플라스틱류만 센싱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통과하는 쓰레기에서 플라스틱류를 센싱되면 분사기(29)에서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어 센서(28)에서 센싱된 플라스틱류가 비상 되어 별도로 선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광학선별기(14)는 플라스틱류(비닐류, 필름류, 플라스틱 형상물 등)를 센싱하게 되므로 제1광학선별기(14)는 플라스틱류와 비플라스틱류(잔재물의포함)를 대별하여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광학선별기(14)에서 별도로 선별되는 플라스틱류는 형상선별과정의 콘테이너(18)로 이송되고 비플라스틱류는 제2광학선별기(15)를 통과하면서 폐지(24)를 별도로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광학선별기(15)를 통과하면서 폐지를 선별한 비플라스틱류는 자력선별기(17)를 통과하면서 철 캔을 포함하는 철물과 잔재물을 별도로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력선별기(17)에서 선별되는 철 캔 중 가스통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타공기(도시되지않음)를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자력선별기(17)를 통과한 병류와 잔재물(25)에서 병류는 별도로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광학선별기(14)를 통과한 플라스틱류는 형상선별 과정의 형상선별장치로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콘테이너(18)에는 플라스틱류에 풍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풍력선별기(19)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형상선별 과정의 형상선별장치는 밀폐되는 콘테이너(18)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밀폐된 콘테이너(18)에서 실시되는 형상선별장치는 풍력으로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풍력에 의해 먼지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광학선별기(14)에서 선별된 플라스틱류는 컨베이어(31d)로 이송되어 콘테이너(18) 내의 형상선별장치에 이송되어 풍력선별기(19)를 통과하면서 중량물인 형상물(26)과 경량물인 비닐류(27)를 별도로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풍력선별기(19)의 풍력에 비산되는 경량 플라스틱류인 필름류를 포함하는 비닐류(27)는 이송하는 컨베이어(31g)에 안착하도록 구성되어 별도로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플라스틱류인 형상물(26)은 바로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플라스틱류의 형상물(26)이 메시망컨베이어(21)에 낙하할 수 있으나 상기 메시망컨베이어(21)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형상플라스틱류는 메시망컨베이어(21)에서 굴러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형상선별장치는 중량물인 형상물(26)과 경량물인 필름류를 포함하는 비닐류(27)를 별도로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시망컨베이어(21)에서 낙하하는 플라스틱류 중에서 비닐류(27)가 비상하는 것과 먼지의 발생을 조절할 수 있도록 풍력선별기(19)의 풍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상한 비닐류(27)를 이송하는 메시망컨베이어(21)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메시망으로 구성되어 그 상면과 저면에 걸쳐 형성된 구멍(21-1)으로 공기 유통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콘테이너(18)에 유입되는 플라스틱류의 중량물인 형상물(26)은 풍력선별기(19)를 통과하는 중에 형상물(26)의 중량에 의해 바로 낙하하게 되고 풍력에 이동하여 메시망컨베이어(21)에 떨어지더라도 그 형상물(26)에 의해 메시망컨베이어(21)에서 굴러 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시망컨베이어(21)에는 흡 배기관(20a,20b)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메시망컨베이어(21)의 저면에는 흡기관(20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컨베이어(21)의 상부에는 배기관(20b)이 형성되어 흡기관(20a)이 작동하게 되면 메시망컨베이어(21)가 메시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메시망컨베이어(21)에 이송되는 비닐류(27)는 메시망컨베이어(21)에 부착한 상태로 이동하게 되며 배기관(20b)이 작동하게 되면 컨베이어(21)에 부착되어 있는 비닐류(27)가 메시망컨베이어(21)에서 분리되어 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흡 배기관(20a,20b)은 컨베이어(21)의 넓이와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여러 개의 구멍(20-1)이 형성되어 흡기관(20a)과 배기관(20b)이 컨베이어(21)에 흡기와 배기의 작용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메시망컨베이어(21)에 낙하되는 플라스틱류 형상물(26)은 메시망컨베이어(21)의 경사면에서 굴러 떨어지기 때문에 모든 플라스틱류 형상물(26)은 메시망컨베이어(21) 전방으로 모이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진 메시망컨베이어(21)에서 비닐류(27)가 떨어지지 않고 이송하기 위해 메시망컨베이어(21) 저부에서 흡기관(20a)의 흡기력이 메시망으로 구성되는 컨베이어(21)에 까지 전달되어 이송되는 비닐류(27)는 컨베이어(21)에 부착한 상태로 이송하도록 구성되고, 하부 메시망컨베이어(21) 상부에는 배기관(20b)이 형성되어 배기관(20b)의 배기가 작용하게 되면 메시망컨베이어(21)에 부착된 비닐류(27)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형상선별장치에서 이송되는 형상물은 제1저장소(26)에 수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저장소(26)에 수용되는 형상물은 제3광학선별기(16)에 정량으로 공급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저장소(26)는 제2저장소(26-1)에 수용되는 형상물이 광학선별기(16)에 재공급하기 전에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형상선별장치에서 선별된 플라스틱형상물은 제3광학선별기(16)를 통과하면서 플라스틱의 종류에서 유익한 플라스틱을 pet는 pet함(200)에, pp는 pp함(201)에, pe는 pe함(202)에, ps는 ps 함(203)에 별로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3광학선별기(16) 1대를 이용하여 유익한 플라스틱 4종류(pet, pp, pe, ps)를 선별하기 위해 정 역회전하는 컨베이어(100, 101, 102)가 겹쳐서 여려 대가 필요함으로 장소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유익한 플라스틱류를 선별하는 광학선별기는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 역회전하는 컨베이어(100, 101, 102)는 직열로 세우되 경사지게 세워서 지상에서 그 높이를 조절이 용이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3광학선별기(16)는 센서를 형상물(26)의 종류에 따라 교환하면서 형상물(26)을 순환하여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센서가 pet를 센싱하도록 조작하게 되면 pet만 선별되고 다른 종류의 형상물은 제3광학선별기(16)를 순환 통과하면서 pet, pp, pe, ps를 순서대로 계속 종류별로 센싱하게 되면 마지막까지 플라스틱 형상물(26)을 플라스틱 종류별로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센서에 의해 선별되는 형상물 중 어느 한 종류가 선별되면 다른 종류의 형상물은 별도로 배출되어 컨베이어(51)로 이송되어 형상물 함으로 이송되고 이송된 형상물은 다시 컨베이어(52)를 이용하여 제3광학선별기(16)에 이송되어 형상물(26)이 그 종류별로 순환하면서 선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형상선별장치는 콘테이너(18)에 밀폐하게 설치되어 소음과 먼지의 방출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콘테이너(18) 내에서 발생하는 풍력선별기(19)의 풍력과 흡 배기관(20a,20b)의 풍력은 콘테이너(18)의 배출팬(22)으로 배기하되 덕트(23)를 통하여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배기한 풍력의 일부는 다시 풍력선별기(19)에 제공하고 배기하는 풍력의 일부는 정화하여 대기에 방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풍력선별기(19)에 연결되는 덕트(23)에 유입관(24)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를 풍력선별기(19)에 유입하여 덕트(23)를 순환하는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 예
본 발명은 종래의 재활용쓰레기의 폐수지 선별방법과 그 장치에 있어서, 폐수지의 정확한 선별방법과 신속한 선별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선별장치를 처리 과정을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광학선별기의 작업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형성선별장치의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플라스틱 형상물의 종류별 선별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혼합쓰레기의 수용함은 파봉기(11-1)를 포함하는 파봉함(11)으로 구성된다.
혼합쓰레기는 통상적인 전체 쓰레기를 총칭한다.
혼합쓰레기에는 봉지에 수용한 쓰레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파봉함(11)은 상기 봉지를 찢어서 모든 쓰레기가 노출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파봉함(11)은 지중에 묻히도록 구성하여 지상에서 다양한 수단으로 쓰레기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소에 따라 파봉(11)함의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파봉함(11)의 바닥에는 컨베이어(도시되지않음)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쓰레기를 파봉기(11-1) 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피봉기(11-1)를 통과한 쓰레기는 이송컨베이어(31a)로 이송되어 수선별대(12)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수선별대(12)는 기계적으로 선별할 수 없는 쓰레기를 수작업으로 선별하게 된다.
예;옷, 포대, 철사, 우산, 박스 등 기계적 및 전자적으로 선별할 수 없는 쓰레기를 총괄한다.
수선별대(12)를 통과한 쓰레기는 타격기를 포함하는 분산판(13)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분산판(13)에 타격기를 적용하는 것은 특히 봉지에 수용된 쓰레기는 습기가 많아서 비닐류 와 필름류, 폐지는 서로 붙어 있기 쉽기 때문에 진동만으로 그 붙어 있는 상태를 분리할 수 없을 때를 고려하여 타격기의 타격을 여러 번 적용하여 붙어 있는 비닐류(27)와 폐지(24)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쓰레기의 분산의 위해 발리스틱 선별기(도시되지않음)를 적용할 수 있고 추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제1광학선별기(14)는 플라스틱류를 센싱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플라스틱류의 비닐류 또는 필름류에 폐지가 붙어 있게 되면 제1광학선별기(14)의 센서(도시되지않음)가 비닐을 센싱하여 공기를 분사하기 때문에 비닐류와 필름류와 폐지가 같이 선별되는 문제점이 있고, 플라스틱류의 형상물이 비닐류 및 필름류에 쌓여 있게 되면 형상물이 메시망컨베이어(21)에서 비닐류와 같이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타격기와 분산판(13)은 붙어 있는 쓰레기를 최대한으로 분리하여 플라스틱류인 폐수지의 선별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광학선별기(14)는 플라스틱류와 비플라스틱류를 대별하여 선별하게 된다.
상기 제1광학선별기(14)에서 선별된 플라스틱류는 형상선별 장치가 형성된 콘테이너(18)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제1광학선별기(14)에서 선별된 플라스틱류는 콘테이너(18)로 유입하여 플라스틱류가 콘테이너(18)의 위에서 아래로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콘테이너(18)로 유입되는 플라스틱류는 풍력선별기(19)의 풍력을 통과하면서 풍력에 의해 비닐류는 비산하여 메시망 컨베이어(21)에 안착할 수 있고, 상기 풍력선별기(19)의 풍력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여 콘테이너(18) 내의 먼지 비상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콘테이너(18)로 유입된 플라스틱류는 풍력에 의해 형상물과 비닐류로 분류되어 선별된다.
플라스틱류의 형상물(26)이 비닐류와 같이 메시망컨베이어(21)에 떨어지더라도 메시망컨베이어(21)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형상물(26)은 그 중력과 경사면에 의해 메시망컨베이어(21)를 굴러서 메시망컨베이어(21)의 전방으로 모여서 제3광학선별기(16)로 이송된다.
메시망컨베이어(21)에 안착한 비닐류(27)는 경량이라서 풍력에 날릴 수 있으므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시망 컨베이어(21)의 아래에 흡기관(20a)을 설치하여 흡기관(20a)을 작동하게 되면 흡기관(20a)의 흡기력이 메시망 컨베이어(21)의 상부에까지 전달되어 메시망컨베이어(21)에 안착한 비닐류(27)는 메시망컨베이어(21)에 부착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메시망컨베이어(21)의 회전에 위해 메시망 컨베이어(21)의 비닐류(27)가 아래 방향으로 매달리게 되면 비닐류(27)는 중력에 의해 메시망컨베이어(21)에서 분리되어 낙하하게 되고 별도로 선별된다.
상기와 같이 비닐류(27)가 메시망컨베이어(21)에 거꾸로 매달려 있어도 메시망컨베이어(21)에서 떨어지지 않는 비닐류(27)를 떨어뜨리기 위해 메시망컨베이어(21)에 형성된 배기관(20b)을 작동하여 배기관(20b)에서 배출되는 풍력에 의해 메시망컨베이어(21)에 붙어 있는 비닐류(27)를 강제로 분리하게 된다.
상기 콘테이너(18)의 안에서 구성되는 작업에서 풍력선별기(19)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를 포함하는 풍력은 콘테이너(18)에 형성된 배출 팬(22)에 의해 콘테이너(18) 밖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배출팬(22)과 연계된 콘테이너(18) 밖에는 덕트(23)가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덕트(23)는 콘테이너(18)의 풍력선별기(19)에 연결되어 배출팬(22)의 작동에 의해 콘테이너(18)의 공기를 풍력선별기(19)가 순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덕트(23)를 순환하는 풍력의 일부는 정화하여 대기로 배출할 수 있게 되고 풍력선별기(19)에 유입되는 덕트(23)의 일부에 유입관(23-1)을 설치하여 콘테이너(18)의 밖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팬(22)의 세기는 콘테이너(18)의 내부 공기가 콘테이너(18)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기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형상선별장치에서 선별되는 플라스틱류의 중량물인 형상물(26)은 제3광학선별기(16)를 통과하면서 플라스틱의 종류별로 선별하게 된다.
상기 제3광학선별기(16)는 재활용할 수 있는 유익한 폐수지인 pet. pp, pe, ps를 종류별로 선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광학선별기(16)는 한 개의 광학선별기를 사용하되 상기 폐수지의 종류대로 센서(28)를 교환 설정에 따라 한 종류씩 선별할 수 있고, 광학선별기를 추가 설치하여 많은 량의 폐수지를 선별할 수 있고 선별한 폐수지의 순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광학선별기(14)를 통과한 비플라스틱류는 제2광학선별기(15)를 통과하면서 폐지(24)를 선별하게 된다.
상기 제2광학선별기(15)를 통과한 비플라스틱류는 자력선별기(17)를 통과하면서 철캔, 철물을 선별하게 된다.
상기 철 캔류에 가스통의 가스를 휘발할 수 있도록 타공기(도시되지않음)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3광학선별기(16) 1대로 플라스틱류 pet, pp, pe, ps를 4회에 걸쳐 선별할 경우 형상선별장치에서 유입되는 플라스틱류 형상물(26)이 제3광학선별기(16)를 통과할 때 pet가 선별되면 pet는 정 역회전하는 제1이송컨베이어(100)가 정회전하여 pet를 오른쪽으로 이송하여 정 역회전하는 제2이송컨베이어(101)에 이송되면 제2이송컨베이어(101)가 정회전하여 제2이송컨베이어(101)의 오른쪽으로 pet를 이송하여 pet출함(200)에 배출하게 되고, 상기 제3광학선별기(16)가 센싱하지 않은 플라스틱류 형상물은 그대로 배출하여 컨베이어(51)와 컨베이어(52)를 이용하여 다시 제3광학선별기(16)로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제3광학선별기(16)를 통과하는 플라스틱류의 형상물(26)에서 pp가 센싱되어 pp를 선별하게 되면 상기 pp는 제1이송컨베이어(100)에 이송되고 제1이송컨베이어(100)는 오른쪽으로 정회전하여 제2이송컨베이어(101)에 pp를 이송하게 되고 제2이송컨베이어(101)는 왼쪽으로 역회전하여 이송되는 pp를 pp함(201)에 배출하게 된다.
형상물선별 장치에서 유입되는 형상물(pet. pp, pe, ps)을 제1저장소(26)에 저장하고 제1저장소(26)에 저장한 형상물을 제3광학선별기(16)를 통하여 형상물(pet. pp, pe, ps)을 pet를 먼저 선별하면서 순서대로 선별할 때 pet가 선별된 나머지(pp, pe, ps)의 형상물은 제2저장소(26-1)에 저장하고 제2저장소(26-1)에 유입되는 형상물이 가득할 때까지 제1저장소(26)의 형상물을 선별하고 제2저장소(26-1)의 형상물이 가득차게 되면 제1저장소(26)의 형상물은 제3광학선별기(16)에 유입이 정지되고 제2저장소(26-1)의 형상물(pp, pe, ps)중에서 pp를 선별하게 되며, pp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제1저장소(26)에 형상물(pet. pp, pe, ps)이 가득하게 되면 제2저장소(26-1)의 형상물의 유입이 정지되면서 다시 처음부터 pet를 선별하도록 구성하여 제3광학선별기(16)에서 형상물의 센싱에 착오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형상물의 종류별로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고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3광학선별기(16)를 통과하는 플라스틱류 형상물에서 기본으로 공급되는 플라스틱류는 제1 저장소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가장 양이 많은 pet는 1차로 선별되고 pet함(200)에 저장되며, 나머지는 제2 저장소로 배출 저장되어 2차, 3차, 4차 순서대로 pp, pe, ps를 선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반복적인 방법으로 제3광학선별기(16)를 통과하는 플라스틱류 는 제1 저장소와 제2 저장소를 이용하여 plc 프로그램에 의하여 저장소의 양에 따라 교대로 제3광학선별기(16)에 공급하여 반복적인 선별을 진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광학선별기(도시되지않음)를 더 설치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2대의 광학선별기로 두 번 동일 플라스틱을 선별 하므로써 재질별 순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제3광학선별기(16)를 통과하는 플라스틱류 형상물에서 pe를 선별하여 pe가 제1이송컨베이어(100)에 이송되면 제1이송컨베이어(100)는 역회전하여 pe를 제3이송컨베이어(102)에 이송하고 pe가 제3이송컨베이어(102)에 이송되면 제3이송컨베이어(102)는 정회전하여 pe를 pe함(202)에 배출하게 되고, 게3광학선별기(16)를 통과하는 ps가 제1이송컨베이어(100)에 이송되면 제1이송컨베이어(100)는 역회전하여 ps를 제3이송컨베이어(102)에 이송하게 되고 제3이송컨베이어(102)는 역회전하여 ps를 ps함(203)으로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광학선별기(도시되지않음)를 더 설치하여 2대의 광학선별기로 한 대의 광학선별기가 두 가지의 유익한 플라스틱류를 선별하도록 구성하여 선별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였다.
11 : 파봉함 12 : 수선별대
13 : 분산판 14 : 제1광학선별기
15 : 제2광학선별기 16 : 제3광학선별기
17 : 자력선별기 18 : 콘테이너
19 : 풍력선별기 20 : 흡 배기관(a,b)
21 : 메시망컨베이어 22 : 배출팬
23 : 덕트 23-1 : 유입관
24 : 폐지함 25 : 잔재물함
26 : 형상물함 27 : 비닐류
28 : 센서 29 : 분사기
31 : 컨베이어(a,b,c,d,e,f,g,i)
100 ; 제1이송컨베이어 101 : 제2이송컨베이어
102 : 제3이송컨베이어 200 : pet함
201 : pp함 202 : pe함
203 : ps함

Claims (15)

  1. 쓰레기 봉투를 파봉하는 과정과; 파봉된 쓰레기를 정량으로 이송하는 과정과; 정량으로 공급되는 쓰레기를 분산하는 과정과; 분산되어 유입되는 쓰레기 중에서 플라스틱류와 비 플라스틱를 별도로 선별하는 과정과; 분산 과정에서 분산된 쓰레기에서 제1광학선별기에 의해 플라스틱류를 센싱하여 플라스틱류를 선별하는 과정과; 플라스틱류 선별과정에서 비 선별된 비 플라스틱류에서 제2광학선별기에 의해 폐지를 센싱하여 폐지를 선별하는 과정과; 폐지 선별과정에서 비 선별된 비 플라스틱류에서 자력선별기에 의해 철 캔류를 선별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류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선별된 플라스틱류를 콘테이너 내부로 유입하여 풍력선별기에 의해 플라스틱 형상물과 필름류를 포함하는 비닐류를 풍력으로 선별하는 형상선별과정과;
    상기 형상선별과정에서 선별되는 플라스틱 형상물을 제3광학선별기에 의해 pet, pp, pe, ps 종류별로 센싱하여 순환하여 선별하는 과정과;
    상기 제3광학선별기에서 유입된 플라스틱류 형상물을 제1이송컨베이어의 정회전하여 제1이송컨베이어에 직렬로 구성되고 정 역회전하는 제2이송컨베이어 또는 제1이송컨베이어에 직렬로 구성되고 정 역회전하는 제3이송컨베이어에 이송하고, 제2이송컨베이어의 정회전, 제2이송컨베이어의 역회전, 제3이송컨베이어의 정회전 및 제3이송컨베이어의 역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플라스틱류 형상물은 각각 동일한 재질의 형상물을 이송하는 과정과;
    상기 제3광학선별기는 pet, pp, pe, ps를 한대의 센서로서 센싱 선별하거나 pet, pp, pe, ps를 종류별로 각각 다른 센서로서 센싱 선별하여 제1저장소에 형상물이 가득할 때까지 제2저장소의 형상물을 선별하고, 제2저장소에 형상물이 가득할 때까지 제1저장소의 형상물을 순차 반복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
  2. 쓰레기 봉지를 포함하는 쓰레기를 수용하는 파봉함과, 수용된 봉지를 파봉하는 파봉기로 구성된 파봉장치와, 파봉장치에서 이송되는 쓰레기를 2개의 원판이 겹친 상태로 회전하되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쓰레기를 분산시키는 분산장치와, 분산장치에서 분산된 쓰레기의 플라스틱류와 비 플라스틱류 중에서 플라스틱류를 센싱하여 플라스틱류를 선별하는 제1광학선별기와, 제1광학선별기에서 플라스틱류가 선별된 비 플라스틱류에서 폐지를 센싱하여 폐지를 선별하는 제2광학선별기와, 제2광학선별기에서 폐지가 선별된 비 플라스틱류에서 철 캔류를 센싱하여 철 캔류를 선별하는 자력선별기와, 제1광학선별기에서 선별된 플라스틱류를 콘테이너 내부로 유입하여 플라스틱 형상물과 비닐류를 풍력으로 선별하는 풍력선별기와, 풍력선별기에서 선별되는 플라스틱 형상물을 pet, pp, pe, ps 종류별 센싱하여 선별하는 제3광학선별기로 구성된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의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광학선별기에서 유입된 플라스틱류 형상물을 이송하고 정 역회전하는 제1이송컨베이어와, 제1이송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플라스틱류 형상물을 이송하고 제1이송컨베이어에 직렬로 구성되고 정 역회전하는 제2이송컨베이어 및 제3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의 정회전 및 제2이송컨베이어의 정회전으로 이송되는 pet를 수용하는 제1배출함과, 제1이송컨베이어의 정회전 및 제2이송컨베이어의 역회전으로 이송되는 pp를 수용하는 제2배출함과, 제1이송컨베이어의 역회전 및 제3이송컨베이어의 정회전으로 이송되는 pe를 수용하는 제3배출함과, 제1이송컨베이어의 역회전 및 제3이송컨베이어의 역회전으로 이송되는 ps를 수용하는 제4배출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의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et는 제1이송컨베이어의 정회전으로 이송되고 정회전하는 제2이송컨베이어에 이송되어 제1배출함에 수용되고, pp는 정회전하는 제1이송컨베이어에 이송되고 역회전하는 제2이송컨베이어에 이송되어 제2배출함에 수용되고, pe는 역회전하는 제1이송컨베이어에 이송되어 정회전하는 제3이송컨베이어에 이송되어 제3배출함에 이송되고, ps는 역회전하는 제1이송컨베이어에 이송되고 역회전하는 제3이송컨베이어에 이송되어 제4배출함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067015A 2018-06-11 2018-06-11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KR101949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015A KR101949321B1 (ko) 2018-06-11 2018-06-11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015A KR101949321B1 (ko) 2018-06-11 2018-06-11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321B1 true KR101949321B1 (ko) 2019-05-02

Family

ID=6658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015A KR101949321B1 (ko) 2018-06-11 2018-06-11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32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807B1 (ko) * 2019-07-26 2019-10-30 (주)크린자원산업 재활용 쓰레기의 플라스틱 재질별 선별 방법 및 장치
KR102160084B1 (ko) 2019-11-13 2020-09-25 강성호 공동주택에서 배출된 폐플라스틱을 종류별로 선별하는 시스템
CN111922902A (zh) * 2020-07-20 2020-11-13 盐城鼎恒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定量输出的砂光机上料机
KR102339655B1 (ko) 2021-06-30 2021-12-1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2339656B1 (ko) 2021-06-30 2021-12-1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및 선별 방법
KR102355364B1 (ko) 2021-06-30 2022-02-08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이용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CN114850040A (zh) * 2022-04-22 2022-08-05 安徽理工大学 一种煤矸石光电多级分选设备
KR102530886B1 (ko) 2022-08-11 2023-05-10 주식회사 마스터코리아 플라스틱 성분별 분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분류방법
DE102022105463A1 (de) 2022-03-08 2023-09-14 Entsorgungstechnik Bavaria GmbH Sortieranlag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454B1 (ko) * 1996-06-27 1999-05-15 김형철 폐합성수지필름의 재생방법 및 장치
JP2001120976A (ja) * 1999-10-25 2001-05-08 Inoue Seisakusho:Kk 媒体分散装置
JP2009208331A (ja) * 2008-03-04 2009-09-17 Earth Technica:Kk 廃プラスチックの選別システム、および、廃プラスチックの選別方法
KR101053468B1 (ko) * 2009-12-22 2011-08-03 서흥인테크(주) 풍력을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류 선별장치
KR101071235B1 (ko) * 2009-03-06 2011-10-10 서흥인테크(주) 혼합쓰레기 전처리 과정에서의 선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8454B1 (ko) * 1996-06-27 1999-05-15 김형철 폐합성수지필름의 재생방법 및 장치
JP2001120976A (ja) * 1999-10-25 2001-05-08 Inoue Seisakusho:Kk 媒体分散装置
JP2009208331A (ja) * 2008-03-04 2009-09-17 Earth Technica:Kk 廃プラスチックの選別システム、および、廃プラスチックの選別方法
KR101071235B1 (ko) * 2009-03-06 2011-10-10 서흥인테크(주) 혼합쓰레기 전처리 과정에서의 선별방법
KR101053468B1 (ko) * 2009-12-22 2011-08-03 서흥인테크(주) 풍력을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류 선별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807B1 (ko) * 2019-07-26 2019-10-30 (주)크린자원산업 재활용 쓰레기의 플라스틱 재질별 선별 방법 및 장치
KR102160084B1 (ko) 2019-11-13 2020-09-25 강성호 공동주택에서 배출된 폐플라스틱을 종류별로 선별하는 시스템
CN111922902A (zh) * 2020-07-20 2020-11-13 盐城鼎恒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定量输出的砂光机上料机
CN111922902B (zh) * 2020-07-20 2021-07-20 盐城鼎恒机械有限公司 一种便于定量输出的砂光机上料机
KR102339655B1 (ko) 2021-06-30 2021-12-1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2339656B1 (ko) 2021-06-30 2021-12-1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및 선별 방법
KR102355364B1 (ko) 2021-06-30 2022-02-08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이용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DE102022105463A1 (de) 2022-03-08 2023-09-14 Entsorgungstechnik Bavaria GmbH Sortieranlage
CN114850040A (zh) * 2022-04-22 2022-08-05 安徽理工大学 一种煤矸石光电多级分选设备
CN114850040B (zh) * 2022-04-22 2024-04-26 安徽理工大学 一种煤矸石光电多级分选设备
KR102530886B1 (ko) 2022-08-11 2023-05-10 주식회사 마스터코리아 플라스틱 성분별 분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분류방법
KR20240022395A (ko) 2022-08-11 2024-02-20 주식회사 마스터코리아 플라스틱 성분별 분류장치 및 그를 이용한 분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321B1 (ko)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US7810646B2 (en) Air separation of recyclable material
KR101071235B1 (ko) 혼합쓰레기 전처리 과정에서의 선별방법
CA2801119C (en) Waste sor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038807B1 (ko) 재활용 쓰레기의 플라스틱 재질별 선별 방법 및 장치
CN101274322A (zh) 生活垃圾分选方法
KR100651272B1 (ko) 재활용품 선별시스템
KR102172794B1 (ko) 이송하는 쓰레기를 분산하는 장치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JP4315953B2 (ja) 混合廃棄物処理装置
JP6744128B2 (ja) 破袋選別装置
JP2016087952A (ja) リサイクル処理装置
JP2008284789A (ja) 粉砕プラスチックの選別装置及び選別方法
KR200421977Y1 (ko) 재활용품 선별장치
CN202045123U (zh) 一种生活垃圾自动快速分类机
KR100423207B1 (ko)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JP3761832B2 (ja) 廃プラスチック選別システム
KR200387219Y1 (ko) 재활용품 풍력선별장치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KR20090034614A (ko) 생활쓰레기 자동선별 처리방법
CN102211106A (zh) 一种生活垃圾自动快速分类机
KR20020029059A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1956753B1 (ko) 재활용 쓰레기 형상 선별장치
JPH1076231A (ja) 振動風力選別方法及びその装置
JP3676286B2 (ja) 廃棄物選別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