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364B1 -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이용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이용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364B1
KR102355364B1 KR1020210085402A KR20210085402A KR102355364B1 KR 102355364 B1 KR102355364 B1 KR 102355364B1 KR 1020210085402 A KR1020210085402 A KR 1020210085402A KR 20210085402 A KR20210085402 A KR 20210085402A KR 102355364 B1 KR102355364 B1 KR 102355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reaking
pickup
unit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명석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엠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엔테크(주) filed Critical 엠엔테크(주)
Priority to KR1020210085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3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vertical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2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coacting with a movable member, e.g. a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26D7/1854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by air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이용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는, 재활용 폐기물이 담겨 반입되는 봉투를 찢는 파봉부; 및 상기 파봉부에 의해 찢겨진 봉투를 재활용 폐기물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봉투 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봉부는, 재활용 폐기물이 담긴 봉투를 이송하는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의 말단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의 말단에서 떨어지는 봉투를 찢는 파봉유닛과, 상기 파봉유닛에 의해 찢겨진 봉투에서 나온 재활용 폐기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폐기물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 회수부는, 상기 파봉부에 의해 찢겨진 봉투를 위로 들어올린 후 전방으로 보내는 픽업유닛과, 상기 픽업유닛에 의해 픽업된 봉투를 바람으로 불어 상기 픽업유닛에서 분리 이송시키는 에어 블로워와, 바람에 의해 상기 픽업유닛으로부터 이송된 봉투를 측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봉투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이용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Envelope tearing apparatus used in sorting system for recycled waste}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이용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 폐기물이 담겨 반입된 비닐봉투 또는 마대자루 등과 같은 봉투를 파봉하고, 파봉된 봉투를 그 자리에서 바로 재활용 폐기물로부터 분리 및 회수할 수 있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활용 폐기물의 선별은 마을 또는 아파트 단지 등의 주거지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주거지에서 재활용 폐기물의 선별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선별을 잘하는 주거지가 있다 하더라도 재활용 폐기물들을 완벽히 선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유리병 및 금속과,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PS(polystyrene) 등의 플라스틱류 폐기물이 섞여 있는 재활용 폐기물들이 마대자루 또는 비닐봉투와 같은 봉투에 담겨져서 재활용 선별 처리장에 반입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봉투를 파봉하고, 파봉된 봉투에서 나온 재활용 폐기물을 종류별로 선별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서는 파봉된 봉투(비닐봉투 또는 마대자루)가 재활용 폐기물에 섞여 들어가 선별 과정을 어렵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949321호(2019년 2월 12일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재활용 폐기물이 담겨 반입된 비닐봉투 또는 마대자루 등과 같은 봉투를 파봉하고, 파봉된 봉투를 그 자리에서 바로 재활용 폐기물로부터 분리 및 회수할 수 있어서,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매우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는, 재활용 폐기물이 담겨 반입되는 봉투를 찢는 파봉부; 및 상기 파봉부에 의해 찢겨진 봉투를 재활용 폐기물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봉투 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봉부는, 재활용 폐기물이 담긴 봉투를 이송하는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의 말단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의 말단에서 떨어지는 봉투를 찢는 파봉유닛과, 상기 파봉유닛에 의해 찢겨진 봉투에서 나온 재활용 폐기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폐기물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 회수부는, 상기 파봉부에 의해 찢겨진 봉투를 위로 들어올린 후 전방으로 보내는 픽업유닛과, 상기 픽업유닛에 의해 픽업된 봉투를 바람으로 불어 상기 픽업유닛에서 분리 이송시키는 에어 블로워와, 바람에 의해 상기 픽업유닛으로부터 이송된 봉투를 측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봉투 배출 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파봉유닛은,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의 말단 부근에서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재활용 폐기물 담긴 봉투를 들어올리는 원통형 회전칼날과, 상기 회전칼날을 기준으로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칼날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상기 회전칼날과 함께 봉투를 파봉하는 복수개의 무빙칼날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무빙칼날 각각은 피봇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피봇축을 기준으로 상측의 편향력 인가부와 하측의 칼날부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력 인가부에는 상기 칼날부가 상기 회전칼날을 향해 편향되도록 편향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픽업유닛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원판과 상기 한 쌍의 원판의 중심에 대하여 원형으로 배열된 채 상기 한 쌍의 원판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그릴 원통형 회전체와,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되, 봉투를 들어올리는 픽업 구간에서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의 외측으로 상승하여 봉투에 걸리는 복수개의 픽업 후크와, 상기 복수개의 픽업 후크가 상기 픽업 구간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픽업 후크가 상기 픽업 구간을 지나면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픽업 후크를 출몰시키는 출몰 작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출몰 작동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원판 각각의 내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원판 각각의 중심에 대한 동심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레버축들과,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레버축들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레버들과, 상기 레버들 각각의 타측에 결합된 휠과, 상기 휠의 중심에서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의 중심과 평행하게 길게 연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픽업 후크가 형성된 축대와,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휠이 타고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중심으로부터 반경이 일정한 일정 곡률 구간과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일정 곡률 구간보다 작게 정해지며 곡률이 변하도록 형성된 가변 곡률 구간이 형성된 캠면을 구비하는 고정캠과, 상기 복수개의 레버의 일측 외측면에서 상기 축대와 중심이 일치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로드와, 상기 휠이 상기 캠면을 타고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 로드가 가이드되는 원호형 가이드 슬롯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는, 재활용 폐기물이 담겨 반입된 비닐봉투 또는 마대자루 등과 같은 봉투를 파봉하고, 파봉된 봉투를 그 자리에서 바로 재활용 폐기물로부터 분리 및 회수할 수 있어서,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매우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를 셜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각형 "A"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의 주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의 픽업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투회수형 파봉장치(1)는, 재활용 폐기물이 담겨 재활용 선별처리장으로 반입되는 봉투를 파봉하는(찢는) 파봉부(1000)과, 상기 파봉부(1000)에 의해 파봉된(찢겨진) 봉투를 재활용 폐기물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봉투 회수부(20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봉부(1000)는, 상측에 투입구(1120)를 구비한 하우징(1100)과, 상기 투입구(1120)의 아래에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0) 내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1120)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폐기물이 담긴 봉투를 이송하는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1200)와, 상기 이송 컨베이어(1200)의 말단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1200)의 말단에서 떨어지는 봉투를 파봉하는 파봉유닛(1300)과, 상기 파봉유닛(1300)에 의해 파봉된 봉투에서 나온 재활용 폐기물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파봉유닛(1300)의 하부에 형성된 폐기물 배출구(1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기물 배출구(1140)에 인접하여 상기 봉투 회수부(2000)가 설치된다.
상기 봉투 회수부(2000)는 파봉된 봉투를 위로 들어올린 후 전방으로 보내는 픽업유닛(2200)과, 상기 픽업유닛(2200)에 의해 픽업된 파봉 봉투를 바람으로 불어 픽업유닛(220)에서 분리 이송시키는 에어 블로워(2400)와, 바람에 의해 상기 픽업유닛(2200)으로부터 이송된 파봉 봉투를 측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봉투 배출 컨베이어(2600)를 포함한다.
상기 파봉유닛(1300)은,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1200)의 말단 부근에서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1200)에서 떨어지는 폐기물이 담긴 봉투를 들어올리면서 파봉하는 원통형 회전칼날(1310)과, 상기 회전칼날(1310)을 기준으로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1200)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칼날(1310)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상기 회전칼날(1310)과 함께 봉투를 파봉하는 복수개의 무빙칼날(1320)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무빙칼날(1320)은 좌우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상기 회전칼날(1310)은 외주를 따라 360도 전체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톱니날들을 포함한다. 톱니날들은 회전하면서 폐기물이 담긴 봉투를 잘 들어올릴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톱니날들은 상기 회전칼날(1310)의 좌우 폭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무빙칼날(1320)은 위에서 아래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회전칼날(1310)의 회전축보다 높게 하우징(1200)의 상부에 설치된 피봇축(1301)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무빙칼날(1320) 각각은 상기 피봇축(1301)을 기준으로 상측의 편향력 인가부(1322)와 하측의 칼날부(1324)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편향력 인가부(1322)에는 상기 칼날부(1324)가 상기 회전칼날(1310)을 향해 항상 편향되도록 상기 무빙칼날(1320)에 편향력을 인가하는 인장스프링(1330)이 연결된다. 상기 인장스프링(1330)의 일단은 상기 편향력 인가부(1322)에 연결되고 상기 인장스프링(1320)의 타단은 하우징(1100)의 말단 상부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칼날(1320)의 칼날부(1324)는 원호 형태 또는 활 형태를 가지며, 상기 회전칼날(1310)의 톱니날들과 마주할 수 있는 날톱니들이 형성된다.
재활용 폐기물이 담긴 봉투가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1200)의 말단에서 떨어질 때, 원통형 회전칼날(1310)은 자체 구비된 톱니날들이 재활용 폐기물이 담긴 봉투에 박힌 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봉투를 위로 들어올린다. 이때, 봉투가 부분적으로 파봉된다. 위로 들어 올려진 후 아래로 내려가는 봉투는 회전칼날(1310)과 상기 회전칼날(1310)을 향해 편향력을 받고 있는 무빙칼날(1320)의 칼날부(1324) 사이에서 회전칼날(1310)과 무빙칼날(1320)의 협력에 의해 완전히 파봉된다.
이때, 재활용 폐기물이 담긴 봉투가 떨어지는 힘이 회전칼날(1310)과 무빙칼날(1320) 사이를 벌리는 힘으로 작용하고, 그에 대항하여 인장스프링(1330)이 지속적인 편향력을 제공하므로, 무빙칼날(1320)과 회전칼날(1310)은 효과적으로 봉투를 파봉할 수 있다.
파봉된 봉투에서 나온 재활용 폐기물은 상기 파봉유닛(1300)의 하부에 형성된 폐기물 배출구(1140)를 통해 떨어져 배출되어 재활용 폐기물 선별을 위한 후속 단계로 전달되고, 파봉된 봉투는 전술한 봉투 회수부(2000)에 의해 회수된다.
상기 봉투 회수부(2000)는 파봉된 봉투를 위로 들어올려 전방으로 보내는 픽업유닛(2200)과, 상기 픽업유닛(2200)에 의해 들어 올려진 파봉 봉투를 바람으로 불어 픽업유닛(2200)에서 분리 이송시키는 에어 블로워(2400)와, 바람에 의해 상기 픽업유닛(2200)으로부터 이송된 파봉 봉투를 측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봉투 배출 컨베이어(26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봉투 회수부(2000)는 상기 픽업유닛(2200)과 상기 파봉부(1000)의 파봉유닛(1300) 사이의 상대적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부(2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픽업유닛(2200)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원판(2212, 2212)과 상기 한 쌍의 원판(2212, 2212)의 중심에 대하여 원형으로 배열된 채 상기 한 쌍의 원판(2212, 2212)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리브(2214)를 포함하고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와,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와 함께 회전하되, 파봉 봉투를 들어올리는 픽업 구간에서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의 외측으로 상승하여 파봉 봉투에 걸리는 복수개의 픽업 후크(2260)와, 상기 복수개의 픽업 후크(2260)가 상기 픽업 구간에 있는 동안 상기 리브(2214)들 사이를 통해 돌출 상승시키되, 상기 픽업 구간을 지나면 상기 복수개의 픽업 후크(2260)를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 내로 하강시키도록, 상기 복수개의 픽업 후크(2260)를 출몰시키는, 출몰 작동 기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출몰 구동 기구는 상기 한 쌍의원판(2210, 2210) 각각의 내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원판(2212, 2212) 각각의 중심에 대한 동심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레버축(2220)들과,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레버축(2220)들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레버(2230)들과, 상기 레버(2230)들 각각의 타측에 결합된 휠(2240)과, 상기 휠(2240)의 중심에서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의 중심과 평행하게 길게 연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픽업 후크(226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축대(2250)와,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휠(2240)이 타고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중심으로부터 반경이 일정한 일정 곡률 구간과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일정 곡률 구간보다 작게 정해지며 곡률이 변하도록 형성된 가변 곡률 구간이 형성된 캠면(2420)을 구비하는 고정캠(2400)과, 상기 복수개의 레버(2230)의 일측 외측면에서 상기 축대(2250)와 중심이 일치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로드(2270)와, 한 쌍의 원판(2212) 중 일측 원판(2212)에 형성되어, 상기 휠(2240)이 상기 캠면(2420)의 가변 곡률 구간을 타고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 로드(2270)가 가이드되는 상기 원호형 가이드 슬롯(S)를 포함한다.
파봉 봉투를 들어올리는 픽업 구간에 있어서는, 상기 휠(2240)이 상기 캠면(2420)의 일정 곡률 구간을 타고 이동하는 구간이며, 이 구간에서는, 축대(2250)에 형성된 복수개의 픽업 후크(2260)가 상기 리브(2214)들에 의해 정해지는 반경을 지나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와 함께 회전하면서 봉투를 아래에서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축대(2250)와 상기 원판(2212)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면서 최대이다.
상기 픽업 후크(2260)에 의해 파봉 봉투가 들어 올려진 후, 상기 휠(2240)이 상기 캠면(2420)의 가변 곡률 구간을 타고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축대(2250)와 상기 원판(2210)의 중심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어 상기 축대(2250)에 형성된 픽업 후크(2260)는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가 더 회전하여 픽업 후크(2260)가 봉투를 들어올릴 수 있는 픽업 구간에 가까워지면, 상기 휠(222)이 상기 캠면(2420)의 가변 곡률 구간 중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점진적으로 커지는 구간을 타고 움직이게 되어, 축대(2250) 및 상기 축대(2250)에 형성된 픽업 후크(2260)는 다시 상승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의 중심에 대하여, 3개 그룹의 픽업 후크(2260)들이 120도 간격으로 배열되어 이들 각각이 봉투 픽업을 위한 상승 돌출과 봉투와의 분리를 위한 하강 가라앉음을 반복한다. 그러나 상기 픽업 후크들의 배치 간격 및 개수는 상술한 것 이외에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구간에 관계 없이 상기 픽업 후크(2260)와 상기 레버(2230)의 각도는 일정하게 고정된다. 반면, 상기 휠(2240)이 상기 캠면(2420)의 가변 곡률 구간을 타고 이동할 때에는 원판(2210)의 외주 접선에 대한 상기 픽업 후크(2260)의 각도가 변화된다.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한 쌍의 레버(2230)는 각각의 일측부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원판(2212)에 서로 평행한 레버축(2220)들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 쌍의 휠(2240)들 각각은 상기 한 쌍의 레버(2230)의 타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축대(2250)는 양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휠(2240)의 중심에 연결된다. 고정 캠(2400)은 한 쌍의 원판(2212)이 회전되는 것을 허용하면서 상기 원판(2212)을 관통하는 고정축(2217)에 키(key) 결합된다.
한편, 상기 에어 블로워(2400)는 상기 캠면(2420)의 가변 곡률 구간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상기 픽업 호크(2260)가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의 내측으로 가라앉은 후 봉투에 에어를 분사하여 쉽게 봉투를 배출하게 하기 위함이다.
위와 같이 픽업 유닛(2200)에 의해 캠면(2420)의 가변 곡률 구간에 대응되는 위치로 픽업된 봉투에 에어가 분사되며, 이 분사된 에어에 의해 파봉 봉투는 픽업 유닛(2200)과 분리된 후 봉투 배출구(2520)까지 경사지게 이어진 가이드판(2510)을 거쳐 봉투 배출구(2520)를 통해 케이싱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케이싱의 외부에는 배출된 파봉 봉투를 받아 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봉투 배출 컨베이어(2600)가 설치된다.
이제 전술한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1)의 작용을 설명한다.
다양한 성상의 재활용 폐기물이 담긴 봉투가 투입구(1120)를 통해 하우징(1100) 내로 투입된다. 재활용 폐기물이 담긴 봉투가 투입되면, 상기 투입구(1120)의 아래에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0) 내에 배치된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1200)가 재활용 폐기물이 담긴 봉투를 말단에서 떨어질 때까지 이송한다.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1200)의 말단에서 봉투가 떨어지면, 상기 파봉유닛(1300)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통형 회전칼날(1310)이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1200)에서 떨어지는 폐기물 담긴 봉투를 들어올리면서 파봉을 시작한다. 폐기물이 담긴 봉투가 원통형 회전칼날(1310)에 의해 들어 올려지면 상기 회전칼날(1310)을 향해 탄성적으로 평향된 무빙칼날(1320)이 상기 회전칼날(1310)과 협력하여 봉투를 파봉한다. 이때, 재활용 폐기물이 담긴 봉투가 떨어지는 힘(무게)이 회전칼날(1310)과 무빙칼날(1320) 사이를 벌리는 힘으로 작용하고, 그에 대항하여 인장스프링(1330)이 지속적인 편향력을 제공하므로, 무빙칼날(1320)과 회전칼날(1310)은 효과적으로 봉투를 파봉할 수 있다.
파봉된 봉투에서 떨어진 재활용 폐기물들은 상기 하우징(1100)의 말단 부근 하부에 형성된 폐기물 배출구(1140)를 통해 배출된 후 재활용을 위한 후속 단계로 보내진다.
파봉된 봉투는 봉투 회수부(2000)의 픽업유닛(2200)의 작동에 의하여 들어올려져 전방으로 보내지며, 이때, 에어 블로워(2400)가 상기 픽업유닛(2200)으로부터 이송된 파봉 봉투에 바람을 불어 파봉 봉투를 봉투 배출 컨베이어(2600)로 보내며, 상기 봉투 배출 컨베이어(2600)는 봉투를 이송하여 배출한다.
이때, 상기 픽업유닛(2200)은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와, 파봉 봉투를 들어올리는 픽업 구간에서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의 외측으로 상승하여 파봉 봉투에 걸리는 복수개의 픽업 후크(2260)를 포함하는데, 전술한 출몰 작동 기구가 상기 픽업 구간에 있는 동안에는 픽업 후크(2260)가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승시키고, 픽업 구간이 지나면, 상기 픽업 후크(2260)를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2210) 내로 하강시킴으로써, 봉투가 픽업유닛(220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 상태에서는 전술한 에어 블로워(2400)의 바람 분사에 의해 봉투가 쉽게 날아가 봉투 배출 컨베이어(2600)로 보내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1000 : 파봉부 1100 : 하우징
1200 :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 1300 : 파봉유닛
1310 : 원통형 회전칼날 1320 : 무빙칼날
2000 : 봉투 회수부 2210 : 그릴 원통형 회전체
2200 : 픽업유닛 1600 : 봉투 배출 컨베이어

Claims (5)

  1. 재활용 폐기물이 담겨 반입되는 봉투를 찢는 파봉부; 및
    상기 파봉부에 의해 찢겨진 봉투를 재활용 폐기물로부터 분리하여 회수하는 봉투 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봉부는,
    재활용 폐기물이 담긴 봉투를 이송하는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의 말단과 이격된 상태로 마주하게 설치되어,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의 말단에서 떨어지는 봉투를 찢는 파봉유닛과,
    상기 파봉유닛에 의해 찢겨진 봉투에서 나온 재활용 폐기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폐기물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봉투 회수부는,
    상기 파봉부에 의해 찢겨진 봉투를 위로 들어올린 후 전방으로 보내는 픽업유닛과,
    상기 픽업유닛에 의해 픽업된 봉투를 바람으로 불어 상기 픽업유닛에서 분리 이송시키는 에어 블로워와,
    바람에 의해 상기 픽업유닛으로부터 이송된 봉투를 측방향으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봉투 배출 컨베이어와,
    상기 픽업유닛과 상기 파봉부의 파봉유닛 사이의 상대적 높이 조절을 위한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봉유닛은,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의 말단 부근에서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에서 떨어지는 재활용 폐기물 담긴 봉투를 들어올리는 원통형 회전칼날과,
    상기 회전칼날을 기준으로 상기 파봉용 이송 컨베이어의 반대 측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칼날을 향해 탄성적으로 편향되어, 상기 회전칼날과 함께 봉투를 파봉하는 복수개의 무빙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무빙칼날 각각은 피봇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피봇축을 기준으로 상측의 편향력 인가부와 하측의 칼날부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력 인가부에는 상기 칼날부가 상기 회전칼날을 향해 편향되도록 편향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유닛은,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원판과 상기 한 쌍의 원판의 중심에 대하여 원형으로 배열된 채 상기 한 쌍의 원판을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모터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그릴 원통형 회전체와,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되, 봉투를 들어올리는 픽업 구간에서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의 외측으로 상승하여 봉투에 걸리는 복수개의 픽업 후크와,
    상기 복수개의 픽업 후크가 상기 픽업 구간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고, 상기 복수개의 픽업 후크가 상기 픽업 구간을 지나면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픽업 후크를 출몰시키는 출몰 작동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 작동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원판 각각의 내부면에 형성되되, 상기 한 쌍의 원판 각각의 중심에 대한 동심원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레버축들과,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 내부에 위치하며, 일측이 상기 레버축들 각각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개의 레버들과,
    상기 레버들 각각의 타측에 결합된 휠과,
    상기 휠의 중심에서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의 중심과 평행하게 길게 연장되고 상기 복수개의 픽업 후크가 형성된 축대와,
    상기 그릴 원통형 회전체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휠이 타고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며, 중심으로부터 반경이 일정한 일정 곡률 구간과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일정 곡률 구간보다 작게 정해지며 곡률이 변하도록 형성된 가변 곡률 구간이 형성된 캠면을 구비하는 고정캠과,
    상기 복수개의 레버의 일측 외측면에서 상기 축대와 중심이 일치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로드와,
    상기 휠이 상기 캠면을 타고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 로드가 가이드되는 원호형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KR1020210085402A 2021-06-30 2021-06-30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이용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KR102355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402A KR102355364B1 (ko) 2021-06-30 2021-06-30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이용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402A KR102355364B1 (ko) 2021-06-30 2021-06-30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이용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364B1 true KR102355364B1 (ko) 2022-02-08

Family

ID=8025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402A KR102355364B1 (ko) 2021-06-30 2021-06-30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이용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3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7309A (zh) * 2022-04-08 2022-07-29 中冶节能环保有限责任公司 袋式除尘器检修方法、装置、袋式除尘器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5786A (ja) * 2009-11-09 2011-06-16 Technica Machinery Kk 除袋機
KR101949321B1 (ko) 2018-06-11 2019-05-02 톰라소팅 주식회사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KR101999982B1 (ko) * 2019-05-17 2019-10-01 강성호 재활용 봉투 파봉기
JP2021065806A (ja) * 2019-10-18 2021-04-30 テクニカマシナリー株式会社 袋類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5786A (ja) * 2009-11-09 2011-06-16 Technica Machinery Kk 除袋機
KR101949321B1 (ko) 2018-06-11 2019-05-02 톰라소팅 주식회사 광학선별기를 이용한 재활용 쓰레기를 대단위로 선별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이용한 폐수지를 종류별로 선별하는 장치
KR101999982B1 (ko) * 2019-05-17 2019-10-01 강성호 재활용 봉투 파봉기
JP2021065806A (ja) * 2019-10-18 2021-04-30 テクニカマシナリー株式会社 袋類処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97309A (zh) * 2022-04-08 2022-07-29 中冶节能环保有限责任公司 袋式除尘器检修方法、装置、袋式除尘器及存储介质
CN114797309B (zh) * 2022-04-08 2024-01-09 中冶节能环保有限责任公司 袋式除尘器检修方法、装置、袋式除尘器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8432B2 (en) Separation system for recyclable material
US7810646B2 (en) Air separation of recyclable material
US5484247A (en) Bag breaker
KR102355364B1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에 이용되는 봉투 회수형 파봉장치
KR101241498B1 (ko) 도로 청소용 수거장치
KR102339656B1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및 선별 방법
US40844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ushing and separating metallic containers
US4059050A (en) Can crusher
KR102339655B1 (ko) 재활용 폐기물 선별 시스템
CN113998335A (zh) 垃圾自动分类设备及其使用方法
JP2001232229A (ja) 破袋機
JPH0985179A (ja) 廃棄物分離装置
FI92671B (fi) Muunnettu muovisäkkien avaamislaite
JPH11169832A (ja) 除袋装置
EP1072800A2 (en) Suction device and separator using same
JP3694135B2 (ja) ごみ選別装置
JPH10511910A (ja) リサイクル可能な材料の混合物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
CN219817068U (zh) 一种复合式蝶式筛选机
JP6371999B1 (ja) 混合収集廃棄物の選別処理システム
KR102325797B1 (ko) 타격식 회전체 기반의 스마트 파봉 파쇄 폐기물과 재활용품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15301555B (zh) 一种瓶罐类分选回收系统
JPH1190407A (ja) 有用廃プラスチック類の回収装置
JP3668645B2 (ja) 渦気流分別装置
KR102360516B1 (ko) 재활용품 전처리 자동선별에 필요한 스마트 에어 디스크 스크린 장치 및 그 방법
KR200293333Y1 (ko) 쓰레기 봉투 파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