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730B1 - 캔-공병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캔-공병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730B1
KR100436730B1 KR10-2001-0039860A KR20010039860A KR100436730B1 KR 100436730 B1 KR100436730 B1 KR 100436730B1 KR 20010039860 A KR20010039860 A KR 20010039860A KR 100436730 B1 KR100436730 B1 KR 10043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pty
unit
input
empty bottl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978A (ko
Inventor
남승엽
권중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다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다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다임
Priority to KR10-2001-0039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730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8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relating to the adaptation of receptacles to carry 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공병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후에 버려지는 빈 캔 또는 공병을 투입하면 그에 대한 대가를 휴대 가능한 충전식 카드 등과 같은 저장장치에 기록하였다가 추후 축적된 대가를 일괄하여 현금 등으로 정산하여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캔-공병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캔 또는 공병 회수장치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으며, 캔 또는 공병 투입의 대가 및 투입자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불우이웃돕기 등에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특히 학생들의 사회봉사활동의 지표로 삼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캔-공병 회수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USED CANS AND BOTTLES}
본 발명은 재활용품인 캔 및 유리병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후에 버려지는 빈 캔 및 빈 유리병을 투입하면 그에 대한 대가를 휴대 가능한 충전식 카드 등과 같은 저장장치에 기록하였다가 추후 축적된 대가를 일괄하여 현금 등으로 정산하여 지급할 수 있도록 하는 캔 및 유리병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자원의 중요성과 환경보호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자원 재활용과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에 대하여 분리수거가 이루어지고 있다.
재활용품 중에서도 공병은, ① 그대로 세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기업에 속하는 주류업체, 음료업체 등에서 자사 제품 공병을 회수하는데 적극적이며, ② 이에 따라 각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상점에서 공병을 현금 또는 물품으로 교환해 주는 사회적인 회수시스템이 정착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회수율이 매우 높다. 그러나 공병은 물건의 중량에 비해 부피가 크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하기가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철제나 알루미늄 재질의 캔은 수거되더라도 재활용을 위해서는 비교적 복잡한 가공공정을 거쳐야 하고, 캔회수 또는 캔처리 업체가 영세하기 때문에 빈 캔 회수를 위한 유력한 주체가 없고, 따라서 이러한 회수시스템이 확보되어 있지 않아 회수율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빈 캔 또는 공병의 재활용 비율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회수장치들이 안출된 바 있다.
캔 회수와 관련해서는, 가장 단순한 유형으로 캔음료 등의 판매처 부근 또는 아파트단지에 설치된 금속류 분리수거함이 있다. 보다 복잡한 장치로는, 빈 캔을 투입하면 게임을 할 수 있고, 게임의 점수에 따라서 경품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게임에 의해 경품을 제공하는 빈캔 회수장치”(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14910호)가 있다. 또, 투입된 빈 캔을 파쇄하여 수거하는 “폐캔 파쇄 분리 수거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9465호에 개시되어 있다.
공병 회수와 관련해서는, 가장 단순한 유형으로 아파트단지 등과 같은 공병발생처에 설치된 공병회수용 분리수거함이 있다. 보다 복잡한 장치로는, 공병을 파쇄하여 보관, 운송 및 재생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공병의 양에 따라 동전 또는 껌 등을 자동지급하는 “공병 파쇄기”(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94-26322호)가 있다.
분리수거함에 의한 캔 또는 공병 회수방식에는 어떠한 경제적, 사회적 보상이 없기 때문에 실제 이를 통한 분리회수는 상당히 비효율적이다. 또한 다른 장치들에서 제공하는 빈 캔 또는 공병의 수거에 대한 대가는 게임제공, 경품, 스티커, 구슬 등으로 빈 캔이나 공병을 투입하는 다수의 투입자 취향에 맞지 않거나 사용하기 곤란한 것들이어서 빈 캔의 수거에 큰 관심을 이끌어내지 못하였다.
한편, 빈 캔을 투입하면 곧바로 그 대가를 지불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항상 다양한 금액의 동전이 준비되어야 할 뿐 아니라, 실제 캔에 대한 대가가 소액이고, 현재 거의 용도가 없는 10원짜리 동전으로 지불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고자하는 욕구를 불러일으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입자가 사용 후에 버려지는 빈 캔 또는 공병을 투입하면 그에 대한 대가를 저장장치에 축적하여 추후 축적된 대가를 개인적으로 또는 사회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캔-공병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캔-공병 회수장치의 외관 개략도.
도2는 도1의 측면 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캔-공병 회수장치의 시스템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투입부 13. 금속탐지부 14. 수거함
15. 반출부 15a, 16a, 16b. 게이트
16. 부피감쇄부 17. 비철탐지부 30. 카드충전기
40. 디스플레이부 45. 봉사활동표 발급부 50. 키보드
60. 저장수단 70. 제어수단 80. 인터넷망
90. 서버 100. 물건투입단계 110. 캔확인단계
120. 반출단계 130. 압축단계 140, 철·비철 검출단계
150. 대가연산단계 160. 카드투입단계 162. 신원정보 입력단계
170. 경고단계 180. 대가 충전 또는 저장단계
190. 카드반출단계 192. 카드반출 및 봉사활동표 발급단계
194. 봉사활동표 발급단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입된 캔 또는 공병에 대한 대가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투입된 캔 또는 공병을 검출하고 처리하는 처리수단과; 회수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관계를 조절·제어하며, 처리수단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입된 캔 또는 공병에 대한 대가를 계산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캔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기록수단은, 투입된 캔 또는 공병에 대한 보상, 즉 대가를 지불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기록수단은 전기 대가지불 기능 이외에, 캔 또는 공병을 투입한 시기 및 장소 등을 추가로 기록할 수도 있다. 기록수단은 기록되는 대가에 대한 정보를 투입자가 보관하도록 하는 방식과, 대가에 대한 정보를 본 발명에 의한 기계장치 등에 저장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1) 대가정보를 투입자가 보관하도록 하는 방식에 해당하는 기록수단으로는, 카드충전기 또는 인쇄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카드충전기는, 사전에 지급된 충전식카드(카드 자체에 각종 정보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정보를 읽어들일 수 있는 유형의 카드)에 대응하여 충전식카드가 상기 카드충전기에 삽입된 상태에서 캔 또는 공병이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에 투입되면, 투입된 캔 또는 공병의 값어치에 해당하는 대가가 카드에 충전되도록 한다. 이에 적용할 수 있는 카드로는, 전화카드나 현금카드와 같이 마그네틱선이 장치되어 이를 통해 정보를 읽어들이고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마그네틱카드, IC 등이 내장된 접촉식·비접촉식 스마트카드 등이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카드충전기는, 현재 통용되고 있는 교통카드(버스카드 등) 또는 전화카드의 충전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수거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충전식카드 소지자는 캔 또는 공병 수거/투입의 대가를 카드에 축적시켰다가 필요시에 교통비로 사용(교통카드인 경우) 또는 전화비(전화카드인 경우)하거나, 축적된 대가가 소정 금액 이상이 되면 사전에 정해진 금융기관 등에서 현금으로 교환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인쇄장치는, 통상의 종이 또는 카드 등에 소정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장치이다. 종이 인쇄장치인 경우, 현재 통용되고 있는 카드사용 전표 등과 같은 정형화된 종이에, 카드 인쇄장치인 경우, 현재 고속도로이용카드 등과 같은 정형화된 플라스틱 카드에 캔 또는 공병 투입시기, 장소 및 대가 등을 기록하게 된다. 사용자는 소정의 정보가 인쇄된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종이 또는 카드를 사전에 정해진 금융기관 등에서 현금으로 교환받게 된다.
카드충전기는 전기 버스카드, 전화카드, 스마트카드 등 카드들 중 둘 이상을 종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범용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에는 카드충전기와 인쇄장치가 동시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2) 한편, 대가정보가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 등에 보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캔 또는 공병 투입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투입자는 사전에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회원등록방법은 종래 알려진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특정 가맹점 또는 학교 등 오프라인에서 회원으로 등록하고 회원번호 및/또는 비밀번호 등을 부여받거나, 회원카드를 지급받을 수도 있고, 인터넷 등을 통해 온라인에서 회원번호 및/또는 비밀번호 등을 부여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회원번호의 경우 주민등록번호 또는 학교고유번호와 학년-반-번호가 결합된 번호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한 회수장치에는, 투입자의 신원을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투입자의 신원정보(회원번호 등)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이 추가로 설치되며, 대가 등을 기록해야 하기 때문에 기록수단으로는 회원의 신원정보, 누적된 대가정보 등이 기록된 저장장치가 설치된다.
여기에 적용될 수 있는 입력수단은 신원정보 확인방법에 다라 달라질 수 있다. 회원번호 및/또는 비밀번호 등으로 투입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경우 입력수단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회원에게 회원카드가 발급되는 경우, 입력수단으로는 카드판독기가 적용된다. 나아가 입력수단으로는 지문인식장치, 홍채를 이용한 인식장치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에 의한 캔 회수장치에는 키보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과 카드판독기 등이 동시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에서, 제어수단은
캔-공병 회수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관계를 조절·제어하며, 처리수단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입된 캔 또는 공병에 대한 대가를 계산하는 기능을 하며, 통상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 및 주기억장치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에는 통신망 접속수단이 추가될 수있다. 이때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수단 및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여, 투입자의 신원정보, 투입된 캔 또는 공병의 대가정보 등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에 캔 또는 공병을 투입한 사람 및 투입한 캔 또는 공병에 대한 대가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원격지의 서버는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를 운영하는 운영자의 서버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를 학교에 설치하는 경우는 학교의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에서 수집된 정보는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수거된 캔 또는 공병에 대한 대가를 양로원이나 고아원에 원격으로 기부할 수도 있으며, 캔 또는 공병의 수거횟수 및/또는 캔의 대가를 학생의 봉사활동의 지표로 삼아 학생기록부에 기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업은 서버의 내부적인 전산처리로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처리수단은, 캔 처리수단 또는 공병 처리수단이거나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캔을 처리하는 경우의 처리수단은,
빈 캔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된 물건이 캔인지를 확인하는 캔확인부와; 상기 캔확인부를 경유한 물건이 캔이 아닌 경우, 물건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부와; 상기 캔확인부를 통과한 물건이 캔인 경우, 상기 캔을 압착 또는 파쇄하는 부피감쇄부와; 상기 부피감쇄부를 경유한 캔이 수집되는 수거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수단는, 캔확인부로부터 캔이라는 신호가 오면 캔을 수거함으로 수집하고, 캔이 아니라는 신호가 오면 투입된 물건을 반출부로 반출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로 가지게 된다.
통상적으로 캔-공병 회수장치에는 알미늄캔, 철캔 등 캔류 이외에 페트병, 기타 쓰레기 등이 투입될 가능성이 있는 바, 알미늄캔이나 철캔 및 유리공병을 제외한 다른 성분의 투입 물건들은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의 설치목적에 반하므로 반출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회수장치에는 투입된 물건이 캔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부가 요구된다. 확인부는 통상 종래의 캔 회수장치에서 사용되는 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금속탐지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금속탐지장치는 투입된 물건이 금속인지 비금속인지 여부를 탐지하는 기능을 하며, 금속탐지장치에서 투입물건의 금속, 비금속여부를 검출하며, 비금속인 경우 반출부를 통해 외부로 반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처리수단에는 부피감쇄부를 두어, 투입된 물건이 캔으로 확인되면 캔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캔을 압착하거나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투입되는 캔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다 많은 양의 캔을 회수할 수 있으며, 추후 회수된 캔을 운송하는데도 유리하다.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는 많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실린더를 이동시켜 압축시키는 방법, 로울러를 이용하여 압축시키는 방법, 분쇄기를 이용하여 잘게 분쇄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처리수단에는, 캔확인부와 수거함 사이에 철금속과 비철금속을 구분하는 비철탐지부를 추가로 설치하고, 철금속캔과 비철금속캔을 별개의 수거함에 보관되도록 함과 동시에 비철탐지부로부터 탐지된 데이터에 따라 캔에 대한 대가를 다르게 부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병을 처리하는 경우의 처리수단은,
공병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된 공병을 파쇄하는 부피감쇄부와; 상기 부피감쇄부에서 파쇄된 파쇄물이 수집되는 수거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처리수단에는 부피감쇄부를 두어, 투입된 공병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공병을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투입되는 공병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보다 많은 양의 공병을 회수할 수 있으며, 추후 회수된 공병을 운송하는데도 유리하다.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는 많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유압이나 공기압으로 실린더를 이동시켜 압축분쇄하는 방법, 로울러를 이용하여 압축 분쇄하는 방법, 회전형 칼날로 잘게 분쇄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처리수단에는, 투입된 물건이 유리공병인지를 판단하는 공병확인부와; 상기 공병확인부를 경유한 물건이 공병이 아닌 경우, 물건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부;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공확인부로부터 공병이라는 신호가 오면 공병을 상기 수거함으로 수집하고, 공병이 아니라는 신호가 오면 투입된 물건을 상기 반출부로 반출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로 가지게 된다.
투입된 물건이 유리공병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들면, 형태가 병모양이고, 재질이 금속이 아니면서 중량이 소정 이상이면 유리공병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형태감지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편의를 위해 공병 처리수단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필수 구성요소 이외의 것은 생략이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부가적인 장치 등이 추가될 수 있음은 동종업계 종사자에게 당연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캔-공병 회수장치의 외관 개략도이다.
도1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캔-공병 회수장치는 통상의 자판기와 유사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 캔 회수장치의 전면의 좌측상부에는 투입부(11)가 위치하여 빈 캔을 투입하도록 되어 있으며, 좌측하부에는 반출부(15)가 위치한다.
캔 회수장치의 전면의 우측상부로부터 차례로 디스플레이부(40), 기록수단인 카드충전기(30), 인쇄장치로서 봉사활동표 발급부(45), 입력수단인 키보드(50)가 위치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카드충전기(30)에 투입된 카드로부터 인식한 회원정보 또는 상기 입력부(50)를 통하여 입력한 신상정보(예를 들면, 성명, 주민등록번호, 이메일주소, 전화번호 등)에 따른 회원의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곳이다. 상기 카드충전기(30)는 통상의 카드투입구(예를 들면, 현금자동지급기의 투입구, 전화카드의 투입구 등)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 봉사활동표 발급부(45)는 현금지급기 이용결과가 출력되는 거래명세표 발급부나, 은행의 대기표 발급기 등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캔 또는 공병 투입결과나 캔 또는 공병 투입에 따른 대가를 충전한 결과 또는 투입된 캔 또는 공병의 대가 등을 인쇄하여 발급하는 부분이다. 상기 키보드(50)는 상기 카드충전기(30)에 투입할 카드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 아직 카드를 발급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하여, 또는 카드형 방식이 아닌 회수장치에서 투입자의 신상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이다. 도에서는 입력장치로 주민등록번호나 비밀번호 등과 같이 암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키보드(50)가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지문인식장치 등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는 상기 카드충전기(30)와 입력수단(50) 둘 중의 어느 하나만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도 있다. 카드충전기(30)만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 봉사활동표 발급부(45), 키보드(60)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입력수단(50)만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경우에는 상기 카드충전기(30), 봉사활동표 발급부(45)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2는 도1의 측면 투시도이다.
도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의 전면(도면상 좌측)에는 도1에서 언급된 투입부(11), 반출부(15), 디스플레이부(40), 카드충전기(30), 봉사활동표 발급부(45), 키보드(60)가 위치하고 있으며, 내부에는 캔확인수단인 금속탐지부(13), 수거함(14), 부피감쇄부(16), 비철탐지부(17)와 각종 게이트(15a, 16a, 16b)가 설치된다.
상기 금속탐지부(13)는 투입되는 물건이 금속인지 비금속인지를 탐지한다. 즉, 상기 투입부(11)로 투입되어 이송되는 물건이 캔인지 페트병 또는 기타 쓰레기인지의 여부를 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탐지된 결과에 따라, 금속이 아닌 경우는 그 데이터가 도3에서 언급될 제어수단으로 전송되어, 상기 물건이 상기 반출부(15)로 반출되도록 한다. 상기 금속탐지부(13) 대신에 또는 이와 함께, 투입된 물건의 크기 또는 형태 등이나 인쇄된 바코드를 검출하여 캔인지 아닌 지를 확인하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수거함(14)은 상기 금속탐지부(캔확인수단)(13)를 통과한 캔이 수납되는 장소이다. 부피감쇄부(16)는 상기 금속탐지부(캔확인수단)(13)를 통과한 물건이 금속(캔으로 추정함)인 경우, 캔을 압축하거나 분쇄하여 캔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비철탐지부(17)는 상기 부피감쇄부(16)의 상부에 부착되어 부피가 감쇄되는 캔이 철금속인지, 비철금속인지를 판별하고, 판별된 데이터가 도3에서 언급될 제어수단로 전송되어 캔에 대한 대가가 계산될 때 이용된다.
상기 각종 게이트(15a, 16a, 16b)는 중간 중간에 분지된 캔이동로에 설치된다. 즉, 상기 금속탐지부(13)에서 투입된 물건을 탐지하여 투입된 물건이 캔이 아닌 경우에는 15a게이트가 열려 투입된 물건이 반출부(15)로 반출되며, 캔인 경우에는 16a게이트가 열려 투입된 물건이 부피감쇄부(16)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철탐지부(17)에서 탐지하여 투입된 캔이, 철인 경우에는 16b게이트가 열려 수거함(14)의 왼쪽으로 수납되고, 비철인 경우에는 16b게이트가 닫힌 상태로유지되어 수거함(14)의 오른쪽으로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투입부(11), 반출부(15), 디스플레이부(40), 카드충전기(30), 봉사활동표 발급부(45), 입력부(60), 금속탐지부(13), 수거함(14), 부피감쇄부(16), 비철탐지부(17)와 각종 게이트(15a, 16a, 16b) 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러한 기능을 하는 다양한 기계들로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의 가동의 필요에 따라 그 구성요소 중 일부만을 사용하거나 상기 구성요소들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3은 네트워크 접속기능이 부가된, 본 발명에 따른 캔-공병 회수장치의 시스템 개략도이다.
도3을 살펴보면, 기계적인 구성요소들은 도2와 같으며, 전기·전자적인 연결관계를 추가로 기입하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 전체를 콘트롤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중앙처리장치(도면부호 미표시), 저장수단(60), 제어수단(70)과 전용선, ADSL 등의 인터넷망(80)을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9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전기·전자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의 모든 작동부에 연결된다(도시 생략).
또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는 저장장치(60)가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저장장치(60)에 회원의 신상정보와 사이버계좌(캔 수거에 대한 대가가 저장된 계좌)가 기록되어 있다. 도면에는 저장장치(60)가 본 발명에 의한 캔 회수장치에 설치되어 있지만, 저장장치(60)은 원격지의 서버(90)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장치(60), 인터넷망(80), 서버(90) 등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캔 회수장치가 카드충전기(30)만을 이용하여 단순하게 수거된 캔에 대한 대가만을 카드에 충전시켜주는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장치(60) 없이 본 발명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원격지의 서버(90)와 자료를 교환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인터넷망(80)과 서버(9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을 통제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접속장치(도면부호 미표시)와 인터넷망(80)을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9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인터넷망(80)을 통하여 상기 서버(90)와 자료를 교환한다. 즉, 캔을 수거한 사람의 명단이나, 수거한 캔의 갯수, 대가의 크기 등의 데이터를 상기 서버(90)로 전송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발명에 의한 캔 회수장치를 학교에 설치하고, 학생들의 학년, 반, 번, 이름과 함께 수거한 캔의 갯수나 종류, 대가 등을 상기 저장장치(60)에 기록하였다가,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봉사활동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캔을 회수하는 측면의 장치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캔-공병 회수장치는 캔만을 위한 또는 공병만을 위한 회수장치로 제작될 수도 있고, 캔과 공병을 동시에 회수할 수 있는 일체형 회수장치로도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간단한 구성을 갖는 공병 처리수단에 대한 것은 기재를 생략하였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의 흐름도로서, 도3에서 봉사활동표 발급부(45)와 입력부(50) 및 저장수단(60), 인터넷망(80), 서버(90)가 빠진 상태로 구성한 캔 회수장치에 적용된다.
도3을 참조하며 도4를 살펴보면, 회원이 투입부(11)에 물건(캔, 페트병 등)을 투입한다(물건투입단계 : 100). 물건투입단계(100)에서 물건이 투입되면, 물건이 금속탐지부(13)의 하부까지 이송되고, 상기 금속탐지부(13)에서 투입된 물건이 금속재질의 캔인지 아닌지를 검출한다(캔확인단계 : 110). 상기 캔확인단계(110)에서 캔이 아닌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 15a게이트가 열리며 상기 물건은 반출부(15)로 반출(반출단계 : 120)되고 종료된다. 상기 캔확인단계(110)에서 캔인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 상기 물건은 16a게이트가 열리며 부피감쇄부(16)로 투입되며, 상기 부피감쇄부(16)에서는 상기 물건의 부피를 감쇄시킨다(압축단계 : 130). 상기 압축단계(130)를 통과중인 물건은 비철탐지부(17)에 의하여 상기 물건이 철금속인지, 비철금속인지를 판별한다(철·비철 검출단계 : 140). 상기 철·비철 검출단계(140)를 거친 물건은 16b게이트의 개폐에 따라 적절한 수거함(14)으로수납된다. 제어수단(70)은 상기 철·비철 검출단계(140)의 검출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입된 캔에 대한 대가를 연산한다(대가연산단계 : 150). 상기 제어수단(70)은 카드충전기(30)에 카드가 투입되었는지를 판별하고(카드투입단계 : 160), 카드가 투입되지 않은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킨다(경고단계 : 170). 상기 경고단계(170)를 거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카드투입 판별단계(160)와 상기 경고단계(170)를 계속 반복하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종료한다. 상기 카드투입 판별단계(160)에서 카드가 투입된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상기 카드에 상기 대가연산단계(150)에서 연산된 대가를 충전시킨다(대가 충전 또는 저장단계 : 180). 상기 대가충전단계(180) 다음에 상기 카드충전기(30)에 있는 카드를 반출(카드반출단계 : 190)하고 종료한다.
상기 경고단계(170)에서는 스피커(도3에 미도시)를 통하여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부(40)에 카드가 투입되지 않았다는 내용의 문자를 출력시킬 수도 있다.
상기 철·비철 검출단계(140)는 상기 압축단계(130)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철·비철 검출단계(140)의 수행단계는 상기 비철탐지부(17)의 위치에 따라 특정된다.
실시예 2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2의 흐름도로서, 실시예1에서 사용된 시스템에 봉사활동표 발급부(45)가 추가로 장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의 구성의 차이에 따라, 실시예1에서의 카드반출단계(190)가 카드반출 및 봉사활동표 발급단계(192)로 대체됨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카드반출 및 봉사활동표 발급단계(192)는 실시예1의 카드반출단계(190)에서 수행하는 카드반출뿐만 아니라, 봉사활동표 발급부(45)를 통하여 상기 대가 충전 또는 저장단계(180)에서 저장한 대가저장내역 및/또는 캔의 수거 개수, 대가 등을 봉사활동표에 인쇄하여 발급한다.
상기 봉사활동표는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학교에 본 발명에 의한 캔 회수장치를 설치하고, 학생들은 상기 캔 회수장치에서 발급된 봉사활동표를 모아 교사에게 제출하므로써 제출한 학생의 봉사활동지수로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3의 흐름도로서, 실시예2에서 사용된 시스템에서 카드충전기(30) 대신에 입력수단(50)이 설치되며, 저장수단(60)이 장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도3을 참조하며 도6을 설명한다. 다른 부분은 실시예2와 동일하며, 이하 설명하는 부분만 상이하다.
실시예2에서는 카드투입판별단계(160)에서 카드가 투입되었는지를 판별하였으나, 실시예3에서는 카드투입 대신에 상기 입력수단(50)을 이용하여 신원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신원정보 입력단계 : 162). 신원정보가 입력되면 투입된 캔에 대한 대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하는 대가 충전 또는 저장단계(180)로 진행한다. 상기 신원정보 입력단계(162)에서 일정시간 신원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경고단계(170)로 진행한다. 상기 대가 충전 또는 저장단계(180)를 거친후에 본 실시예에서는 봉사활동표만을 발급한다(봉사활동표 발급단계 : 19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 후에 버려지는 빈 캔 또는 공병을 본 발명에 따른 캔-공병 회수장치에 투입하면 캔 또는 공병 수거에 대한 대가를 휴대 가능한 충전식 카드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에 기록함으로써 종래 캔 또는 공병 회수장치의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캔-공병 회수장치에 내장되어 있거나 혹은 원격지의 서버에 있는 저장수단에 캔 또는 공병 투입의 대가 및 투입자정보를 저장하여 이를 불우이웃돕기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나아가 특히 학생들의 사회봉사활동의 지표로 삼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삭제
  2. 캔-공병 회수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캔 또는 공병에 대한 대가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이때 상기 기록수단은 카드충전기 또는 인쇄장치 또는 저장장치 중 어느 하나이고;
    투입된 캔 또는 공병을 검출하고 처리하는 처리수단과;
    회수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작동관계를 조절·제어하며, 처리수단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투입된 캔 또는 공병에 대한 대가를 계산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공병 회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캔 또는 공병 투입자의 신원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공병 회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키보드, 키패드 또는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공병 회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카드판독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공병 회수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신망 접속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접속수단 및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여, 투입자의 신원정보, 투입된 캔 또는 공병의 대가정보 등을 송수신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공병 회수장치.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빈 캔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된 물건이 캔인지를 확인하는 캔확인부와;
    상기 캔확인부를 경유한 물건이 캔이 아닌 경우, 물건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부와;
    상기 캔확인부를 통과한 물건이 캔인 경우, 상기 캔을 압착 또는 파쇄하는 부피감쇄부와;
    상기 부피감쇄부를 경유한 캔이 수집되는 수거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캔확인부로부터 캔이라는 신호가 오면 캔을 상기 수거함으로 수집하고, 캔이 아니라는 신호가 오면 투입된 물건을 상기 반출부로 반출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공병 회수장치.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공병이 투입되는 투입부와;
    투입된 공병을 파쇄하는 부피감쇄부와;
    상기 부피감쇄부에서 파쇄된 파쇄물이 수집되는 수거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공병 회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투입된 물건이 유리공병인지를 판단하는 공병확인부와;
    상기 공병확인부를 경유한 물건이 공병이 아닌 경우, 물건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공병확인부로부터 공병이라는 신호가 오면 공병을 상기 수거함으로 수집하고, 공병이 아니라는 신호가 오면 투입된 물건을 상기 반출부로 반출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공병 회수장치.
KR10-2001-0039860A 2001-07-04 2001-07-04 캔-공병 회수장치 KR10043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860A KR100436730B1 (ko) 2001-07-04 2001-07-04 캔-공병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860A KR100436730B1 (ko) 2001-07-04 2001-07-04 캔-공병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978A KR20030003978A (ko) 2003-01-14
KR100436730B1 true KR100436730B1 (ko) 2004-07-05

Family

ID=2771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860A KR100436730B1 (ko) 2001-07-04 2001-07-04 캔-공병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7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477B1 (ko) 2009-12-03 2010-04-07 광주광역시 남구 공병 수거장치
KR100972533B1 (ko) * 2010-04-20 2010-07-28 주식회사 에코크레이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100973548B1 (ko) * 2010-04-20 2010-08-02 전기정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200450072Y1 (ko) 2008-06-21 2010-09-02 (주)대진코스탈 문서 및 폐기자 인식장치가 형성된 콘솔
CN109703943A (zh) * 2019-03-06 2019-05-03 北京鼎恒泰科技有限公司 垃圾回收方法、客户端及垃圾回收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845B1 (ko) * 2007-09-17 2009-12-21 한석옥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수거시스템
KR100895871B1 (ko) * 2008-07-30 2009-04-30 탑랭커 주식회사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및 그 방법
KR200473440Y1 (ko) * 2012-07-27 2014-07-04 첸 양 결재 기능을 갖춘 쓰레기 압축 설비
KR101674381B1 (ko) 2014-05-20 2016-11-09 (주)솔루션아이티 재활용품 및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관리 서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679A (en) * 1980-05-09 1982-08-24 Dewoolfson Bruce H Container collection apparatus with electromagnetic sensor and method
KR20000037505A (ko) * 2000-04-29 2000-07-05 이영진 음용수 자동판매 시스템
KR20000050040A (ko) * 2000-05-12 2000-08-05 공유상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
KR20000063443A (ko) * 2000-07-12 2000-11-06 우부구 전화기 및 자판기 사용 후 남는 돈 사이버 계좌에 넣기
KR200219465Y1 (ko) * 2000-10-26 2001-04-02 이석주 폐캔 파쇄 분리 수거기
KR20020084880A (ko) * 2001-05-04 2002-11-13 주식회사 솔텍코리아 네트워크를 통한 폐기물 수거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679A (en) * 1980-05-09 1982-08-24 Dewoolfson Bruce H Container collection apparatus with electromagnetic sensor and method
KR20000037505A (ko) * 2000-04-29 2000-07-05 이영진 음용수 자동판매 시스템
KR20000050040A (ko) * 2000-05-12 2000-08-05 공유상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
KR20000063443A (ko) * 2000-07-12 2000-11-06 우부구 전화기 및 자판기 사용 후 남는 돈 사이버 계좌에 넣기
KR200219465Y1 (ko) * 2000-10-26 2001-04-02 이석주 폐캔 파쇄 분리 수거기
KR20020084880A (ko) * 2001-05-04 2002-11-13 주식회사 솔텍코리아 네트워크를 통한 폐기물 수거 및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072Y1 (ko) 2008-06-21 2010-09-02 (주)대진코스탈 문서 및 폐기자 인식장치가 형성된 콘솔
KR100951477B1 (ko) 2009-12-03 2010-04-07 광주광역시 남구 공병 수거장치
KR100972533B1 (ko) * 2010-04-20 2010-07-28 주식회사 에코크레이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100973548B1 (ko) * 2010-04-20 2010-08-02 전기정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CN109703943A (zh) * 2019-03-06 2019-05-03 北京鼎恒泰科技有限公司 垃圾回收方法、客户端及垃圾回收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978A (ko) 200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66745A1 (en) Deposit management system that employs preregistered deposits
US20060180686A1 (en) Public access information destruction system performing pay-per-use shredding
WO1996026508B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transfer of funds using an automated teller machine to dispense the transferred funds
CN202404681U (zh) 贵重商品自助销售终端
KR100436730B1 (ko) 캔-공병 회수장치
CN106530533A (zh) 免税处理系统、管理服务器及核算装置
KR20210050746A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
JP2008077680A (ja) 自動書類キャッシングシステム
JP2011518388A (ja) 金銭取引の支払を容易に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CN103400446A (zh) 一种自动售烟机识别顾客成年身份系统及方法
CN203858707U (zh) 一种停车场自动收费机及系统
KR100436731B1 (ko) 캔-공병 회수시스템
RU170339U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дитного и торгово-розничн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CN101320498B (zh) 一信用存款的方法及装置
JP3559652B2 (ja) 売上精算システムの管理装置
EP1079347A3 (en) Process and device for electronic processing of cashless payments by means of security modules
TW554294B (en) Automatic ticket checking device, wireless recording medium publishing device, and ticket checking system
WO2009021228A2 (en) Recycling kiosk system and method thereof
CN208225179U (zh) 一种brt快速公交自动售卡机机箱
CN206340091U (zh) 一种简易的单张出钞模块
JP5011638B2 (ja) 容器回収システム
KR100888722B1 (ko) 전자식 식권 회수함
KR200419227Y1 (ko) 주화계수기를 탑재한 주화수거차량
CN204537295U (zh) 自动交易装置
CN203535728U (zh) 智能投币机电子内胆收银点钞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