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0746A -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0746A
KR20210050746A KR1020190135154A KR20190135154A KR20210050746A KR 20210050746 A KR20210050746 A KR 20210050746A KR 1020190135154 A KR1020190135154 A KR 1020190135154A KR 20190135154 A KR20190135154 A KR 20190135154A KR 20210050746 A KR20210050746 A KR 20210050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ycled waste
waste
recycled
user
recyc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filed Critical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Priority to KR1020190135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0746A/ko
Priority to PCT/KR2020/014649 priority patent/WO2021085961A2/ko
Publication of KR20210050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07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G06K9/00771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4C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상기 사용자의 재활용 폐기물이 투입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구분하는 과정; 상기 구분된 재활용 폐기물을 카운팅하는 과정; 상기 카운팅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카운팅된 재활용 폐기물을 정산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RECYCABLE MUNICIPAL SOLID WASTE}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의 재활용 폐기물들은 주로 한 곳에 모아지고 수거 차량이 일괄 수거하는 방식으로 폐기물이 처리되고 있다. 최근에 이용되고 있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재활용 폐기물들을 압축 수용하고, 재활용 폐기물들이 가득 차면 수거 차량이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 자체를 수거해 가는 방식이다.
한편, 재활용 폐기물 배출에 대한 재활용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재활용품 무인회수기를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회수기는 수거 개수만큼 이동 단말에 포인트가 쌓이는 자판기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 무인회수기는 예컨대 페트병을 하나씩 하나씩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을 무인회수기에 하나씩 하나씩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의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비용을 절감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에 대해 효율적으로 소비자가 구매시 환경부담금(Extended Producer's Responsibility - EPR)으로 적립한 보증금을 환불 및 정산 처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상기 사용자의 재활용 폐기물이 투입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구분하는 과정; 상기 구분된 재활용 폐기물을 카운팅하는 과정; 상기 카운팅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카운팅된 재활용 폐기물을 정산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시스템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재활용 폐기물이 투입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구분하고, 및 상기 구분된 재활용 폐기물을 카운팅하고, 및 카운팅된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 및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정산 처리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상기 사용자의 재활용 폐기물이 투입되면,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을 통해 상기 재활용 폐기물의 제조 업체, 제품 번호, 제품명을 확인하는 과정;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금액을 돌려줄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과 금액을 돌려줄 수 없는 재활용 폐기물로 구분하는 과정; 상기 구분된 재활용 폐기물을 카운팅하는 과정; 상기 카운팅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카운팅된 재활용 폐기물을 정산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시스템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재활용 폐기물이 투입되면,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을 통해 상기 재활용 폐기물의 제조 업체, 제품 번호, 제품명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금액을 돌려줄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과 금액을 돌려줄 수 없는 재활용 폐기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재활용 폐기물을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 및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정산 처리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을 무인회수기에 하나씩 하나씩 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에 대해 효율적으로 정산 처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내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내 서버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내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의 동작 흐름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내 서버의 동작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술한 어떤 구성요소가 상술한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및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재활용품과 재활용 폐기물는 동일한 의미이므로 혼용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제품명은 재활용품의 제품명 또는 재활용 폐기물의 제품명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①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등록을 한다. 예컨대, 사용자 등록 시 개인의 인적 사항, 계좌 번호, 신용 카드 번호, T-money 카드 등을 이동 단말 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등록할 수 있다.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의 화면에 QR(Quick Response) 코드(code)가 나타내고 이동 단말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 인식 단계를 수행한다. 예컨대, 이동 단말 또는 QR 코드 외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인식, 블루투스 인식, 안면 인식(예컨대, 3D(dimension) 안면 인식), 지문 인식, 코드 타이핑 등을 통해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② 사용자 인식이 완료되면 재활용 폐기물을 받을 수 있도록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의 투입구가 열리고, 재활용 폐기물이 한꺼번에 투입된다. 여기서,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빨래통 만한 크기만큼 약 10 리터의 재활용 폐기물을 동시에 부어 넣을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의 투입구는 사용자 인식 후에만 열리고 평소에는 닫혀 있다. 사용자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의 투입구의 수거통에 재활용 폐기물(예컨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병, 기타 플라스틱 통, 캔, 알루미늄, 유리 등)을 한번에 부어 넣는다.
③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투입된 재활용 폐기물을 하나씩 카메라(또는 카메라 센서)로 스캔(투입구를 저장조로 해서 한단의 컨베이어나 하나씩 하나씩 빼가면서 스캔)한다. 상기 카메라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카메라 또는 3D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상기 AI 카메라를 통해 예컨대, 재활용 폐기물의 공간(space), 부피, 무게 등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I 카메라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딥러닝 기술을 통해 사람의 시각처럼 높은 정확도와 다양한 사물 인식이 가능할 수 있고, 판별하고자 하는 재활용 폐기물의 특징이 정확하게 포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에 AI 카메라를 장착함으로써, 투입된 제품의 바코드를 정확하게 판독하여 투입된 제품의 제조 공장, 제조 일자, 유통 기한, 제품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재활용 폐기물의 인식이 어려울 경우, 머신러닝, 혹은 AI 를 이용한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재활용 폐기물을 인식할 수 있다.
④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투입된 제품의 내용을 확인하고 투입된 제품의 숫자를 카운트한다. 상기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투입된 제품의 중복 인식을 피하기 위해서 정확하게 재활용 폐기물을 카운트한다.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카운팅된 제품의 종류(재활용 폐기물의 종류)를 인식한 후 서버에 전송한다.
⑤ 서버는 기 저장된 금액표에 맞게 정산(예 : PET 병 10원 x 10개 = 100원 - 쓰레기 1개 = 90원 식)한다.
동시에 특정 제품의 경우 제품에 대한 code 인식(예, 코카콜라의 PET 병에 제조 시 레이저 홀로그램(laser hologram) 또는 기타의 방법으로 마킹한 것을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의 AI 카메라가 읽고(예 : 제조 공장, 제조 일자, 유통 기한, 제품 내용 등을 읽고), 이를 서버에 축적 후 배출 및 재활용 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코카콜라에 Processed data 로 공급 - 코카콜라는 이를 이용하여 자사의 마케팅 자료에 활용하고, 제품 생산 전략에 반영 및 고객 홍보용 프로모션 티켓(경기장 티켓을 무작위 추첨하여 당첨자에서 이동 단말로 서버를 통해 전송한다. 예컨대, 코카콜라가 1년에 많은 경기를 후원하면서 표를 구매함)하는 툴(tool)로도 사용한다.
이후 서버는 재활용 선별장으로 판매 혹은 송출 후 본 데이터를 Coca-cola 등에 송부하여 재활용된 내용을 공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 시스템은 투입 제품을 압축하여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구조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100)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 수거 차량 운전자 단말(220a), 수거 차량 장착 단말(220b), 서버(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는 아파트 단지나 주택 단지, 공업 단지 등 곳곳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주민들이나 공장 작업자들이 폐기하는 재활용 폐기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는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재활용 폐기물이 한꺼번에 투입되면, AI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캔함으로써,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제조 공장, 제조 일자, 유통 기한, 제품 내용 등으로 구분(또는 분류)하고, 재활용 폐기물의 내용을 확인하고, 상기 구분된 재활용 폐기물을 카운팅한다.
상기 서버(230)는 상기 확인된 내용 및 상기 카운팅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정산 처리한다.
상기 서버(230)는 수거 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를 적시에 원활하게 수거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의 과부하를 미리 방지하고 악취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수거 차량 운전자 단말(220a)은 상기 재활용 폐기물이 수용된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를 수거하는 수거 차량 운전자의 단말을 의미한다.
상기 수거 차량 장착 단말(220b)은 상기 재활용 폐기물이 수용된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를 수거하는 수거 차량에 장착되는 단말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내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의 구성 요소는 제어 모듈(311), 이동 통신 모듈(312), GPS 모듈(313), 결제 모듈(314), 사용자 인증부(315), 카운트부(316), 분류부(317), 카메라(318), 게이트(319a), 투입함(319b)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 모듈(3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상기 사용자 인증부(315)는 사용자가 재활용 폐기물을 게이트(319a)를 통해 투입하기 전에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 인증 방식은 이동 단말을 이용한 인증, NFC, 블루투스 인식, 안면 인식, 지문 인식, 코드 타이핑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319a)는 재활용 폐기물을 수용하는 투입함(319b)의 문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게이트를 통해 투입함(319b)의 안에 재활용 폐기물을 한꺼번에 버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재활용 폐기물을 하나씩 하나씩 투입할 때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상기 투입함(319b)은 사용자가 재활용 폐기물을 게이트(319a)를 통해 투입하면 투입된 재활용 폐기물을 수용한다. 상기 투입함(319b) 및 게이트(319a)는 예컨대,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의 정방향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단방향 측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그 위치에는 제한이 없다. 재활용 폐기물이 투입함에 수용되면, 재활용 폐기물은 컨베이어에 놓여지고, 상기 카메라(318)의 스캔 후 분류부(317)로 이동한다.
상기 카메라(318)는 게이트(319a)를 통해 투입된 재활용 폐기물을 스캔한다. 상기 카메라(318)는 AI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부(317)는 사용자가 재활용 폐기물을 게이트(319a)를 통해 투입되면, 투입 제품의 내용을 확인하여 재활용 폐기물을 예컨대, 사용자에게 과금할 수 있는 것과 금액을 되돌려 주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카운트부(316)는 상기 분류부(317)에서 분류된 재활용 폐기물을 카운트한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312)은 상기 분류부(317)에서 구분된 결과 및 상기 카운트부(316)에서 카운팅한 결과를 서버(230)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 통신 모듈(312)은 서버(230)로부터 전송된 정보(예컨대,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정산 결과 또는 딥러닝 분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GPS 모듈(313)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의 현재 위치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이동 통신 모듈(312)을 통해 서버(230)로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결제 모듈(314)은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정산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분류부(317)에서 분류되고, 상기 카운트부(316)에서 카운팅된 재활용 폐기물에 따라서 신용카드 등의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분류되고, 카운팅된 재활용 폐기물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포인트(또는 환불정산금)로 적립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금액(현금)을 되돌려 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정산된 금액 또는 포인트를 이동 단말, 컴퓨터, 또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에 장착된 모니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정산 과정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 뿐만 아니라 서버(230)에서도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내 서버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서버는 제어 모듈(431), 이동 통신 모듈(433),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435), 및 비용 처리부(43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43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버(230)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제어한다.
상기 이동 통신 모듈(433)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로부터 상기 분류부(317)에서 구분된 결과 및 상기 카운트부(316)에서 카운팅한 결과를 수신하고, 이를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435) 및 비용 처리부(437)로 전송한다.
상기 비용 처리부(437)는 상기 이동 통신 모듈(433)로부터 수신된 상기 분류부(317)에서 구분된 결과 및 상기 카운트부(316)에서 카운팅한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해 정산 처리한다. 즉, 상기 비용 처리부(437)는 상기 분류부(317)에서 분류되고, 상기 카운트부(316)에서 카운팅된 재활용 폐기물에 따라서 신용카드 등의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거나, 상기 분류부(317)에서 분류되고, 상기 카운트부(316)에서 카운팅된 재활용 폐기물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포인트로 적립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금액(현금)을 되돌려 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정산된 금액 또는 포인트를 이동 단말, 컴퓨터, 또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에 장착된 모니터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비용 처리부(437)는 재활용 폐기물에 대해 효율적으로 소비자가 구매시 환경부담금(Extended Producer's Responsibility - EPR)으로 적립한 보증금을 환불 및 정산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435)은 상기 비용 처리부(437)의 정산 결과(또는 정산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를 분석 및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435)은 상기 정산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딥러닝을 통하여 신규 품목을 학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435)은 빅데이터 분석 시, 예컨대, 사용자 A의 지역별, 요일별, 계절별, 날씨별, 시간별로 재활용 폐기물의 양과 재활용 폐기물의 내용을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435)은 빅데이터 분석 시, 사용자 A의 재활용 폐기물의 축적 속도 또는 예측 증가량을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435)은 상기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통하여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 타이밍을 예측하여 재활용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다.
서버(230)는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435)에서 분석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수거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빅데이터 분석/저장 모듈(435)은 상기 이동 통신 모듈(433)에서 수신된 각종 정보 또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내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501 단계에서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503 단계에서 재활용 폐기물이 투입되고, 이를 인식한다.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505 단계에서 투입된 재활용 폐기물을 AI 카메라를 이용하여 스캔할 수 있다.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507 단계에서 스캔 결과, 재활용 폐기물의 내용을 확인하고 숫자를 카운트한다. 이때,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AI 카메라의 스캔을 통해 제조업체, 제품 번호, 제품명, 제조일자, 유통기한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스캔 결과, 금액을 돌려줄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과 금액을 돌려줄 수 없는 재활용 폐기물로 구분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509 단계에서 투입 제품의 내용 확인 결과 및 카운트 결과를 서버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내 서버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
서버는 601 단계에서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210)로부터 투입 제품의 내용 확인 결과 및 카운트 결과를 수신한다.
서버는 603 단계에서 투입 제품의 내용 확인 결과 및 카운트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재활용 폐기물에 대해 과금이 가능한가를 판단한다.
만약 과금이 불가능한 경우, 서버는 605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적립하고, 607 단계에서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로 정산 처리 결과를 전송한다.
그러나 과금이 가능한 경우, 서버는 611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과금함으로써 정산 처리하고, 607 단계로 진행하여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로 정산 처리 결과를 전송한다. 즉, 서버는 상기 재활용 폐기물이 금액을 돌려줄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금액을 되돌려주고(또는 포인트 적립), 및 상기 재활용 폐기물이 금액을 돌려줄 수 없는 재활용 폐기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금액을 부과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재활용 폐기물을 버리면서 돈으로 돌려받을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은 돈으로 돌려 받고, 돈을 내야 하는 재활용 폐기물은 돈을 지불함으로써 편리하게 재활용 폐기물을 버릴 수 있다.
추가 가능한 실시 예로써, 서버는 609 단계에서 정산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서버는 정산 처리 결과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딥러닝을 통하여 신규 품목을 학습할 수 있다.
서버는 예컨대, 사용자 A의 지역별, 요일별, 계절별, 날씨별, 시간별로 재활용 폐기물의 양과 재활용 폐기물의 내용을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버는 사용자 A의 재활용 폐기물의 축적 속도 또는 예측 증가량을 분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술한 각각의 방법 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듈 또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일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 또는 기능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상기 사용자의 재활용 폐기물이 투입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구분하는 과정;
    상기 구분된 재활용 폐기물을 카운팅하는 과정;
    상기 카운팅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카운팅된 재활용 폐기물을 정산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활용 폐기물을 구분하는 과정은,
    AI(Artificial Intelligence)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스캔하는 과정; 및
    상기 스캔 결과, 상기 재활용 폐기물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산 처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 및
    딥러닝을 통하여 신규 품목을 학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정산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재활용 폐기물이 금액을 돌려줄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환불정산금으로 되돌려주는 과정; 및
    상기 재활용 폐기물이 금액을 돌려줄 수 없는 재활용 폐기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금액을 부과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은,
    큐알 코드(QR code-Quick response cod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안면 인식, 지문 인식, 코드 타이핑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
  6.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재활용 폐기물이 투입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구분하고, 및 상기 구분된 재활용 폐기물을 카운팅하고, 및 카운팅된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 및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정산 처리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스캔하고, 및 상기 재활용 폐기물의 종류를 확인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정산 처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및 딥러닝을 통하여 신규 품목을 학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재활용 폐기물이 금액을 돌려줄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환불정산금으로 되돌려주고, 및 상기 재활용 폐기물이 금액을 돌려줄 수 없는 재활용 폐기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금액을 부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은,
    큐알 코드(QR code-Quick response cod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안면 인식, 지문 인식, 코드 타이핑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11.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 과정;
    상기 사용자의 재활용 폐기물이 투입되면,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을 통해 상기 재활용 폐기물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금액을 돌려줄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과 금액을 돌려줄 수 없는 재활용 폐기물로 구분하는 과정;
    상기 구분된 재활용 폐기물을 카운팅하는 과정;
    상기 카운팅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카운팅된 재활용 폐기물을 정산 처리하는 과정;
    상기 정산 처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 및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 타이밍을 예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AI(Artificial Intelligence)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스캔하는 과정; 및
    상기 재활용 폐기물의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딥러닝을 통하여 신규 품목을 학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정산 처리하는 과정은,
    상기 재활용 폐기물이 금액을 돌려줄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환불정산금으로 되돌려주는 과정; 및
    상기 재활용 폐기물이 금액을 돌려줄 수 없는 재활용 폐기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금액을 부과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은,
    큐알 코드(QR code-Quick response cod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안면 인식, 지문 인식, 코드 타이핑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방법.
  16.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재활용 폐기물이 투입되면,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을 통해 상기 재활용 폐기물의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금액을 돌려줄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과 금액을 돌려줄 수 없는 재활용 폐기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재활용 폐기물을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 결과를 서버로 전송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 및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정산 처리하고, 상기 정산 처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한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및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 타이밍을 예측하는 상기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폐기물 수거 컨테이너는,
    AI(Artificial Intelligence)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활용 폐기물을 스캔하고, 및 상기 재활용 폐기물의 종류를 확인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딥러닝을 통하여 신규 품목을 학습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재활용 폐기물이 금액을 돌려줄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환불정산금으로 되돌려주고, 및 상기 재활용 폐기물이 금액을 돌려줄 수 없는 재활용 폐기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금액을 부과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은,
    큐알 코드(QR code-Quick response cod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안면 인식, 지문 인식, 코드 타이핑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KR1020190135154A 2019-10-29 2019-10-29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074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54A KR20210050746A (ko) 2019-10-29 2019-10-29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0/014649 WO2021085961A2 (ko) 2019-10-29 2020-10-26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5154A KR20210050746A (ko) 2019-10-29 2019-10-29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0746A true KR20210050746A (ko) 2021-05-10

Family

ID=7571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154A KR20210050746A (ko) 2019-10-29 2019-10-29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50746A (ko)
WO (1) WO2021085961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130B1 (ko) * 2021-05-20 2021-11-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미지 분석 기반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방법
KR102388898B1 (ko) * 2021-06-10 2022-04-20 고병수 축산농가의 사료공급 관리서버
KR102421515B1 (ko) * 2022-05-03 2022-07-20 주식회사 다인시스템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일회용컵에 대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일회용컵을 분류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06082A (ko) * 2022-05-03 2022-07-28 주식회사 다인시스템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일회용컵에 대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일회용컵을 분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26339B1 (ko) * 2021-11-12 2022-07-29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KR102432059B1 (ko) * 2022-03-23 2022-08-16 신용기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및 정산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633479B1 (ko) * 2023-10-31 2024-02-06 에코랩스 주식회사 사용자 보상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참여형 투명 페트병 수거 및 파쇄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45785B1 (ko) * 2023-10-05 2024-03-08 주식회사 제4의공간 이미지 처리를 통한 제품 수거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235A (ko) * 2009-06-05 2010-12-15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재활용품 회수 마일리지(또는 포인트)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674381B1 (ko) * 2014-05-20 2016-11-09 (주)솔루션아이티 재활용품 및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장치, 관리 서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 방법
KR20160130627A (ko) * 2015-05-04 2016-11-14 배응준 재활용 휴지통, 상기 재활용 휴지통을 이용한 보상금 지급 장치 및 방법
KR20170077684A (ko) * 2015-12-28 2017-07-06 주식회사 이큐브랩 폐기물 수거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80086164A (ko) * 2018-07-10 2018-07-30 송은호 인공지능을 이용한 재활용품 판별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130B1 (ko) * 2021-05-20 2021-11-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이미지 분석 기반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방법
KR102388898B1 (ko) * 2021-06-10 2022-04-20 고병수 축산농가의 사료공급 관리서버
KR102426339B1 (ko) * 2021-11-12 2022-07-29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KR102432059B1 (ko) * 2022-03-23 2022-08-16 신용기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 및 정산을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21515B1 (ko) * 2022-05-03 2022-07-20 주식회사 다인시스템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일회용컵에 대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일회용컵을 분류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06082A (ko) * 2022-05-03 2022-07-28 주식회사 다인시스템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를 이용하여 일회용컵에 대한 이미지를 기반으로 일회용컵을 분류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45785B1 (ko) * 2023-10-05 2024-03-08 주식회사 제4의공간 이미지 처리를 통한 제품 수거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33479B1 (ko) * 2023-10-31 2024-02-06 에코랩스 주식회사 사용자 보상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참여형 투명 페트병 수거 및 파쇄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5961A2 (ko) 2021-05-06
WO2021085961A3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0746A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
US11780094B2 (en) AI integrated system for optimizing waste management by self-guided robot
WO2019018277A1 (en) PROCESSING MACHINE FOR RECYCLABLE MATERIALS
CN107153933A (zh) 一种基于rfid的车辆管理系统
KR20100043807A (ko) 알에프아이디기반 음식물류폐기물 관리 시스템
CN105416918A (zh) 一种垃圾分类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KR20220164234A (ko) 페트병 회수 장치 및 페트병 회수 시스템
KR20110123882A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07623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cycling a packaging purchased from a smart fridge
CN205221644U (zh) 一种垃圾分类管理系统
CN1825359A (zh) 预付费、找零ic卡读写器、一卡通分系统和收费方法
CN210823790U (zh) 一种垃圾站分类回收系统
CN112896840A (zh) 一种应用于智慧社区垃圾分类系统及其方法
CN112163875A (zh) 一种可追溯的垃圾付费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KR100436730B1 (ko) 캔-공병 회수장치
KR100436731B1 (ko) 캔-공병 회수시스템
CN202632406U (zh) 一种垃圾回收充值系统
KR101214627B1 (ko) 교통카드 결제 처리 방법 및 그를 위한 교통카드 단말기
CN114283519A (zh) 一种特定商品垃圾智能售卖回收方法
KR20170123799A (ko)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N114282568A (zh) 一种智能回收桶人脸信息无感注册方法
CN111332644A (zh) 可溯源智能垃圾分类回收系统
KR20070070754A (ko) 페트병 수거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1944751U (zh) 可溯源智能垃圾分类回收系统
US11905111B1 (en) Waste management and sorting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