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339B1 -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6339B1
KR102426339B1 KR1020210155598A KR20210155598A KR102426339B1 KR 102426339 B1 KR102426339 B1 KR 102426339B1 KR 1020210155598 A KR1020210155598 A KR 1020210155598A KR 20210155598 A KR20210155598 A KR 20210155598A KR 102426339 B1 KR102426339 B1 KR 10242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udent
authentication
resource recovery
recov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멀티넷
Priority to KR1020210155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6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6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원의 회수시에 회수된 자원의 탄소저감량에 따라 봉사시간으로 환산하도록 하고, 환산된 봉사시간이 공식적인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른 본 발명의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인증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정보로 인증을 수행하는 개인단말; 지역내에 각각에 분산되어 배치되며, 상기 개인단말과 연동하여 인증정보를 입력받고, 투입되어 회수되는 자원의 탄소저감량을 연산하는 자원회수장치; 상기 자원회수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탄소저감량을 입력받고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탄소저감량을 개인별로 각각 저장하여 개인별절감량 DB로 기록하는 통합관제서버; 상기 통합관제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상기 개인별절감량 DB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개인별 탄소저감량을 탄소저감 봉사시간으로 변환하여 개인별 탄소저감봉사시간 DB로 기록하는 봉사시간 변환서버; 지자체 각각마다 설치되어 운용되고,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개인별 봉사기록이 점수화되어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 DB를 기록하며, 상기 봉사시간 변환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탄소저감 봉사시간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탄소저감 봉사시간을 봉사시간으로 변환하여 상기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 DB에 합산하여 기록하는 자원봉사서버; 및, 상기 인증정보로 로그인하는 경우 상기 자원봉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증정보와 대응하는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학교단말;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VOLUNTEER POINT MANAGEMENT SYSTEM USING RECYCLING RESOURCES}
본 발명은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트병이나 공병을 재활용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절감한 탄소량만큼을 자원 봉사 시간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삭제
현재, 탄소배출권과 관련하여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하여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에 따라, 정부와 각 기업사에서는 금속이나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재활용 용기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재활용율을 향상시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에 종래 선행문헌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1751호(2012. 07. 02 공고)에서는 폐자원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도록 하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자동 회수기에 있어서, 회수되는 폐자원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연결되어 입력부로부터 회수되는 폐자원의 정보를 입력받아 재질별 무게에 따른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산출하는 산출부와, 상기 산출부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산출부에서 산출한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표시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로 상기 이산화탄소 저감량을 전송하는 출력부로 구성되는 이산화탄소 저감량 산출 집계 기능을 갖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자동 회수기 및 그 운용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선행문헌은 지자체 단위의 탄소마일리지 제도에 적용할 수 있어, 자동회수를 통한 생활환경을 개선시키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선행문헌은 지자체와 연동하여 탄소마일리지를 관리한다고 하나, 실질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운용할 지 개시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봉사 점수 시스템과 연계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삭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1751호(2012. 07. 02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자원의 회수시에 회수된 자원의 탄소저감량에 따라 봉사시간으로 환산하도록 하고, 환산된 봉사시간이 공식적인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원의 회수시에 회수된 자원의 탄소저감량에 따라 봉사간으로 환산하도록 하고 환산된 봉사시간이 공식적인 자료로 활용하는 데 있어, 개인단말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봉사시간이 기록되도록 하여 봉사시간이 타인에 의해 조작되지 않으며, 특히, 기록된 봉사시간을 비영리기관, 지자체, 학교등이 유기적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사기간의 기록 및 관리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학생이 자원회수장치에 자원 투입시 학생정보 관리서버에 학생의 지문정보와 얼굴 영상정보가 남도록 하고, 지문정보와 얼굴 영상정보가 봉사시간을 노리고 타인이 자원을 대신 회수해주는 것과 같은 비양심적 행위 발생시에 이를 적발할 수 있는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투입자가 자원회수시에 개인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정보와 자원회수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개인단말을 이용하여 인증이 오남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투입자가 자원회수시에 교사가 학생의 신원을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의 활동 내역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며 타인이 대신하여 자원을 회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원회수장치 내에 회수된 자원의 용량이 회수 용량에 다다른 경우, 해당 자원회수장치의 자원을 회수하라는 정보가 자원회수업체에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자원회수 시점을 매우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원회수장치의 노후화 또는 이상 동작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원회수장치에 페트병 투입시에 투명한 페트병만을 회수하고 라벨이 부착되는 것과 같이 불투명한 페트병이 내부 엑추에이터를 통해 배출구로 배출함으로써, 투명한 페트병만을 회수할 수 있는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인증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정보로 인증을 수행하는 개인단말; 지역내에 각각에 분산되어 배치되며, 상기 개인단말과 연동하여 인증정보를 입력받고, 투입되어 회수되는 자원의 탄소저감량을 연산하는 자원회수장치; 상기 자원회수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탄소저감량을 입력받고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탄소저감량을 개인별로 각각 저장하여 개인별절감량 DB로 기록하는 통합관제서버; 상기 통합관제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상기 개인별절감량 DB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개인별 탄소저감량을 탄소저감 봉사시간으로 변환하여 개인별 탄소저감봉사시간 DB로 기록하는 봉사시간 변환서버; 지자체 각각마다 설치되어 운용되고,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개인별 봉사기록이 점수화되어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 DB를 기록하며, 상기 봉사시간 변환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탄소저감 봉사시간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탄소저감 봉사시간을 상기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 DB에 합산하여 기록하는 자원봉사서버; 및, 상기 인증정보로 로그인하는 경우 상기 자원봉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증정보와 대응하는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학교단말; 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개인별 학생정보에 대한 학생정보 DB를 포함하는 학생정보 관리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인단말은 상기 자원회수장치에 인증정보를 입력시에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학생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학생정보를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학생존재여부를 요청하는 것;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개인단말에서 입력된 학생정보가 학생정보 DB내에 일치하는 학생정보가 있는 경우 인증완료정보를 상기 자원회수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개인단말에서 입력된 학생정보가 학생정보 DB내에 일치하는 학생정보가 없는 경우 비인증완료정보를 상기 자원회수장치로 출력하는 것; 및, 상기 자원회수장치는 상기 인증완료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인증정보에 상기 학생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의 학생정보마다 연산된 탄소저감량이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비인증완료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자원회수장치에서 투입된 자원의 재인증여부에 대한 메세지를 출력하여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인증하거나 인증여부에 상관없이 탄소저감량을 미적립한다는 메세지를 출력하여 탄소저감량의 적립없이 자원을 회수하는 것;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자원회수장치 주변에 설치되며, 개인별 자원회수시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지문정보를 입력받는 지문인식기; 상기 자원회수장치 주변에 설치되며, 개인별 자원회수시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얼굴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카메라; 및, 상기 자원회수장치는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증완료정보의 생성시 상기 인증정보에 매칭되도록 상기 지문정보 및 얼굴 영상정보를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에 기록하는 것;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개인단말은 상기 지문정보가 입력되는 학생정보어플이 더 설치되는 것; 상기 학생정보어플은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지문정보가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내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지문일치정보를 생성하는 것;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지문인식기와 연동하여 지문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개인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지문일치정보가 생성되는 경우를 판단하고 상기 지문일치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개인단말 내의 위치정보와 상기 자원회수장치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양 위치정보가 허용오차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 2차 인증완료정보를 생성하는 것; 및, 상기 자원회수장치는 상기 2차 인증완료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2차 인증정보에 상기 학생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의 학생정보마다 연산된 탄소저감량이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2차 인증완료정보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원회수장치에서 투입된 자원의 재인증여부에 대한 메세지를 출력하여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인증하거나 인증여부에 상관없이 탄소저감량을 미적립한다는 메세지를 출력하여 탄소저감량의 적립없이 자원을 회수하는 것;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와 연동하는 교사용 관리어플이 설치되는 교사단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2차 인증완료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경우, 상기 교사단말의 교사용 관리어플에 자원회수중 메세지와 학생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얼굴 영상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교사단말은 자원회수중 메세지와 학생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얼굴 영상정보의 출력시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에 학생의 신원이 확인되는 3차 인증완료정보 또는 학생의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미일치정보를 출력하는 것; 및,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3차 인증완료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자원회수장치가 탄소저감량을 연산하여 상기 통합관제서버에 개인별 탄소저감량이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학생 미일치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자원회수장치에서 투입된 자원의 재인증여부에 대한 메세지를 출력하여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인증하거나 인증여부에 상관없이 탄소저감량을 미적립한다는 메세지를 출력하여 탄소저감량의 적립없이 자원을 회수하는 것; 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상기 통합관제서버에 인증을 수행시에 상기 통합관제서버와 연동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자원회수장치가 위치한 주소정보를 입력받는 회수업체단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자원회수장치들과 연동하여 상기 자원회수장치에 투입된 자원의 투입량을 입력받아 모니터링하고 상기 투입량이 기설정된 투입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회수업체단말에 초과된 자원회수장치의 주소정보로 회수작업이 요청되도록 회수작업정보를 상기 회수업체단말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자원회수장치와 연동시에 상기 자원회수장치의 대기전력사용량 및 구동엑추에이터의 구동시에 순간사용량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대기전력 사용량 및 순간사용량이 기설정된 범위값에 미달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 고장신호를 상기 회수업체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상기 자원회수장치가 회수하는 자원이 페트병인 경우, 내측에 상기 페트병을 검사하는 비전검사부; 상기 비전검사부와 연동하여 상기 비전검사부로부터 상기 자원회수장치 내측에 투입되는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배경영상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자원회수장치 내측에 물체가 투입되는 경우 물체의 투입시점 영상정보에서 상기 배경영상정보를 차분하여 배경차분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배경차분 ROI 추출부; 상기 배경차분 ROI 추출부와 연동하여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RGB색공간을 분석하여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색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RGB색공간에서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각 화소마다 RGB비율을 측정하여 측정값 RGB비율정보를 생성하는 RGB색상추출부; 및, 네트워크의 이미지검색에 의한 학습 모델에 의해 상기 페트병 이미지 DB들의 페트병 이미지마다 저장값 RGB비율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색상추출부로부터 상기 측정값 RGB비율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값 RGB비율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측정값 RGB비율정보가 상기 저장값 RGB비율정보보다 일정편차를 벗어난 경우에 투명도를 판별하는 RGB 투명도 판별부;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경영상정보는 서로 간에 다른 색을 배열하여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원회수장치는 상기 배경차분 ROI 추출부와 연동하여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HSV색공간을 분석하여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색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HSV색상추출부는 상기 HSV색공간을 분석하여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각 화소마다 투입시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산출하는 HSV색상추출부; 및, 네트워크의 이미지검색에 의한 학습 모델에 의해 상기 페트병 이미지 DB들의 페트병 이미지마다 저장값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HSV색상추출부로부터 투입시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값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투입시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가 상기 저장값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보다 일정편차를 벗어난 경우에 투명도에 이상이 있음을 판별하는 HSV 투명도 판별부; 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자원의 회수시에 회수된 자원의 탄소저감량에 따라 봉사시간으로 환산하도록 하고, 환산된 봉사시간이 공식적인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원의 회수시에 회수된 자원의 탄소저감량에 따라 봉사시간으로 환산하도록 하고 환산된 봉사시간이 공식적인 자료로 활용하는 데 있어, 개인단말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봉사시간으로 기록되도록 하여 봉사시간이 타인에 의해 조작되지 않으며, 특히, 기록된 봉사시간을 비영리기관, 지자체, 학교등이 유기적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사시간의 기록 및 관리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학생이 자원회수장치에 자원 투입시 학생정보 관리서버에 학생의 지문정보와 얼굴 영상정보가 남도록 하고, 지문정보와 얼굴 영상정보가 봉사점수를 노리고 타인이 자원을 대신 회수해주는 것과 같은 비양심적 행위 발생시에 이를 적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자가 자원회수시에 개인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지문정보와 자원회수장치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개인단말을 이용하여 인증이 오남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자가 자원회수시에 교사가 학생의 신원을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의 활동 내역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며 타인이 대신하여 자원을 회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원회수장치 내에 회수된 자원의 용량이 회수 용량에 다다른 경우, 해당 자원회수장치의 자원을 회수하라는 정보가 자원회수업체에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자원회수 시점을 매우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원회수장치의 노후화 또는 이상 동작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원회수장치에 페트병 투입시에 투명한 페트병만을 회수하고 라벨이 부착되는 것과 같이 불투명한 페트병이 내부 엑추에이터를 통해 배출구로 배출함으로써, 투명한 페트병만을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재활용 관리시스템의 순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원회수장치를 확대하여 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가운데 도 3에 도시된 지문인식기 및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가운데 개인단말과 학생정보 관리서버가 2차 인증완료정보를 생성하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가운데 교사단말과 학생정보 관리서버 및 자원회수장치가 3차 인증완료정보를 생성하는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가운데 통합관제서버와 회수업체단말이 연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8은 칼라패턴 인쇄지에 대한 배경영상정보와 투입물체 영상정보를 나타낸 이미지.
도 9는 도 8의 (b)에 도시된 투입물체 영상정보를 차분한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이미지.
도 10은 투입물체 영상정보에 모폴로지 필터가 적용되어 투명 및 불투명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가운데 자원회수장치에 대한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 경우,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전자 하드웨어 또는 전자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명시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고, 기계장치에 대한 설명시 하나의 부품, 기능, 용도, 지점 또는 구동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 요소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명세서에서 예시하는 단말기는 전자기기로써, 컴퓨터, 노트북 및, 스마트폰과 같이,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가능한 장치로 정의하며, 응응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앱과 같이 전자기기에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고안된 일련의 컴퓨터 프로그램 집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이 경우, 응용프로그램은 윈도우즈(Windows), 아이오에스(ios), 안드로이드, 리눅스 등과 같은 운영체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 환경하에서 구동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개인단말(10), 자원회수장치(20), 통합관제서버(30), 봉사시간 변환서버(40), 자원봉사서버(50), 학교단말(60) 및, 학생정보 관리서버(70)를 포함한다.
개인단말(10)은 자원을 회수시키고자 하는 일반인 또는 학생과 같은 대상이 휴대하는 단말로서, 무선통신 가능한 스마트폰과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자원을 회수시키는 대상은 성인과 학생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개인단말(10)은 인증정보를 포함하며, 인증정보로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개인단말(10)은 인증 수행시에 학생인 경우 자원회수장치(20)와 인증 및 학생정보 관리서버(70)와 인증을 수행하게 되고, 일반인인 경우 인증만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인증정보는 주민번호, 핸드폰번호, 이름 및 주소와 같은 개인정보가 암호화된 정보이며, 자원회수장치(20)와의 정보교환시에 QR코드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개인단말(10)에는 인증정보의 생성 및 관리를 위하여 학생정보어플이 설치되어 운용되며, 학생정보어플은 지문인식과 같은 고유의 권한으로 로그인하는 경우 개인단말(10)을 소유한 학생의 이름, 학교, 주소, 학년등과 같은 신상정보를 학생정보 관리서버(7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를 QR코드등으로 출력하여 자원회수장치(20)로 인증정보를 연동할 수 있다.
자원회수장치(20)는 지역내에 각각에 분산되어 배치되며, 개인단말(10)과 연동하여 인증정보를 입력받고, 투입되어 회수되는 자원의 탄소저감량을 연산하게 된다. 이 경우, 자원은 캔, 휴대폰, 공병 또는 페트병과 같은 재활용 자원으로 구성되며, 자원회수장치(20)는 이와 같은 자원들을 자동으로 회수하여 자동으로 회수시에 각각의 자원에 따른 탄소저감량을 연산하고, 연산된 탄소저감량을 인증정보와 함께 통합관제서버(3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자원회수장치(20)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며, 외측면에 자원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투입된 자원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투입된 자원을 수용하는 수용부(미도시)가 있다. 또한, 자원회수장치(20)는 투입된 자원이 캔, 유리병, 페트병등인 경우 각각의 경우를 구분할 수 있도록 비전검사부(23)가 더 구비되고, 이물질과 같이 규정된 자원이 아닌 경우에 투입된 자원을 배출구로 배출하는 배출기구부(미도시)가 더 구성된다. 또한, 자원회수장치(20)는 자원을 투입하는 대상으로 부터 인증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카메라(22)나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장치를 더 구비하며, 내측에 통신모뎀이 설치되어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자원회수장치(20)는 내측에 투입된 자원의 무게를 검측하는 로드셀과 같은 무게측정장치와 투입된 물체를 비전으로 검사하는 비전검사장치 및 영상 분석장치가 더 구성된다.
통합관제서버(30)는 자원회수장치(20)와 연동하여 인증정보 및 탄소저감량을 입력받고 인증정보 및 탄소저감량을 개인별로 각각 저장하여 개인별절감량 DB로 기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통합관제서버(30)는 자원회수장치(20)를 관리하는 비영리 단체가 운용 및 관리하게 되며, 허가된 관리자에게만 접속권한을 허용하기 위하여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인증을 수행하고, 허가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접속시에 로그인 기록을 기록하여 관리하게 된다.
봉사시간 변환서버(40)는 통합관제서버(30)와 연동하여 인증정보와 함께 개인별절감량 DB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개인별 탄소저감량을 탄소저감 봉사시간으로 변환하여 개인별 탄소저감봉사시간 DB로 기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봉사시간 변환서버(40)는 지차체 별로 자원의 종류나 무게에 따라 탄소저감량의 환산 점수가 다른 경우를 위하여 각각의 지자체마다 설치되어 운용된다. 또한, 봉사시간 변환서버(40)는 허가된 관리자에게만 접속권한을 허용하기 위하여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인증을 수행하고, 허가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접속시에 로그인 기록을 기록하여 관리하며, 관리자가 지자체에서 협의한 정책에 따라 탄소저감량에 따른 환산 시간 점수를 설정하여 관리하게 된다.
자원봉사서버(50)는 인증정보와 함께 개인별 봉사기록이 점수화되어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 DB를 기록하며, 봉사시간 변환서버(40)와 연동하여 탄소저감 봉사시간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탄소저감 봉사시간을 봉사점수로 변환하여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 DB에 합산하여 기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자원봉사서버(50)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1369자원봉사포털과 같은 자원봉사 전산센터이며, 국가의 기관에서 직접적으로 관리하여 운용하는 서버이다. 이 경우, 자원봉사서버(50)에 기록되는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 DB에는 자원회수량에 대한 탄소저감량을 환산한 점수 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요구되는 각종 봉사 활용에 대한 활용 내역 및 그에 따른 점수를 기록하여 관리하게 된다. 또한, 자원봉사서버(50)는 허가된 관리자에게만 접속권한을 허용하기 위하여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인증을 수행하고, 허가된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접속시에 로그인 기록을 기록하여 관리하게 된다. 또한, 자원봉사서버(50)는 관리자가 봉사활동을 수행한 개인마다 봉사 내역을 전산으로 기록하여 관리하게 되며,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 형태로 온라인상에 개시하여 인증을 수행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관련 기록에 대한 열람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한편, 자원봉사서버(50)는 인증정보를 입력시에 인증정보가 일반인인 경우, 인증정보와 함께 개인별 봉사기록이 점수화되어 일반인 전체 봉사점수 DB를 기록하며, 봉사시간 변환서버(40)와 연동하여 탄소저감 봉사시간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탄소저감 봉사시간을 봉사점수로 변환하여 일반인 전체 봉사점수 DB에 합산하여 기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반인 전체 봉사점수 DB는 공무원과 같은 단체에서 요청시 해당 내용을 홈페이지 형태로 온라인상에 개시하여 인증을 수행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관련 기록에 대한 열람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학교단말(60)은 인증정보로 로그인하는 경우 자원봉사서버(50)와 연동하여 인증정보와 대응하는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학교단말(60)은 피씨(PC)와 같은 단말장치로서, 학교 각각마다 설치되어 운용된다. 이 경우, 학교단말(60)은 열람권한이 있는 아이디 및 비밀번호로 로그인한 담당 교사에게 학생별 봉사시간 및 봉사점수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여 담당 교사가 학생별 봉사점수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학생정보 관리서버(70)는 개인별 학생정보에 대한 학생정보 DB를 포함한다. 또한, 학생정보 관리서버(70)는 개인단말(10)과 연동하여 개인단말(10)로부터 인증정보 및 학생정보를 입력받아 인증을 수행하게 되고, 인증정보 및 학생정보가 학생정보 DB내에 있는 경우 인증완료정보를 개인단말(10)과 자원회수장치(20)에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학생정보 관리서버(70)는 교육청과 관련된 기관이나 각각의 학교 또는 주민센터에 설치되어 운용된다.
삭제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재활용 관리시스템의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원 재활용 관리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원을 회수시키고자 하는 대상인 학생이 캔이나 공병 또는 페트병과 같은 자원을 자원회수장치(20)에 투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자원회수장치(20)는 학생에게 인증을 요청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자원회수장치(20)는 개인단말(10)과 연동하여 개인단말(10)에 입력된 인증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이 경우, 자원회수장치(20)는 카메라(22)가 개인단말(10)의 QR코드를 촬영하여 인증받거나 또는 자원회수장치(20)와 개인단말(10)간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개인단말(10)은 자원회수장치(20)에 인증정보를 입력시에 인증정보와 함께 학생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학생정보를 학생정보 관리서버(70)에 전송하여 학생존재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하게 된다.
그러면, 학생정보 관리서버(70)는 개인단말(10)에서 입력된 학생정보가 학생정보 DB내에 일치하는 학생정보가 있는 경우 인증완료정보를 자원회수장치(20)로 출력하고, 개인단말(10)에서 입력된 학생정보가 학생정보 DB내에 일치하는 학생정보가 없는 경우 비인증완료정보를 자원회수장치(20)로 출력하게 된다.
다음, 자원회수장치(20)는 인증완료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투입된 자원의 탄소저감량을 연산을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인증완료정보가 생성되면 자원회수장치(20)는 인증정보에 학생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학생정보 관리서버(70)의 학생정보마다 연산된 탄소저감량이 기록되도록 함으로써, 추후에 학생이 봉사한 내역을 교사가 학교단말(60)로 열람하게 된다.
여기서, 자원회수장치(20)는 비인증완료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자원회수장치(20)에서 투입된 자원의 재인증여부에 대한 메세지와 인증여부에 상관없이 탄소저감량을 미적립한다는 메세지를 자원회수장치(20)의 터치스크린등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학생이 자원회수장치(20)에서 투입된 자원의 재인증여부에 대한 메세지에 대한 항목의 선택시에 개인단말(10)의 연동이나 자원회수장치(20)의 터치스크린등을 통해 인증정보 및 학생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인증하게 된다.
만약, 투입자가 인증여부에 상관없이 투입된 자원을 회수시키고자 하여 탄소저감량을 미적립한다는 메세지를 터치스크린에서 선택하는 경우, 자원회수장치(20)는 탄소저감량을 적립하지 않고 자원만을 회수하게 된다.
다음, 자원이 회수되면 자원회수장치(20)는 자원을 투입한 학생의 인증정보 및 탄소저감량을 통합관제서버(30)로 입력하고, 통합관제서버(30)에서는 인증정보 및 탄소저감량을 개인별로 각각 저장하여 개인별절감량 DB로 기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통합관제서버(30)는 자원회수장치(20)들 각각에서 자원 투입시에 학생들 개인별로 인증정보 및 탄소저감량을 각각 저장하여 DB형태로 관리하게 된다.
다음, 통합관제서버(30)는 개인별 탄소저감량의 기록시에 봉사시간 변환서버(40)로 인증정보와 함께 개인별 탄소저감량을 전송하게 된다.
다음, 봉사시간 변환서버(40)에서는 개인별 탄소저감량을 개인별절감량 DB로 저정하고 개인별 탄소저감량을 탄소저감 봉사시간으로 변환하여 개인별 탄소저감봉사시간 DB로 기록하게 된다. 이 경우, 봉사시간 변환서버(40)는 각각의 지자체마다 구비되어 봉사점수 변환율에 다라 각기 다른 탄소저감 봉사시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 봉사시간 변환서버(40)에서는 개인별 탄소저감봉사시간 DB를 자원봉사서버(50)로 전송하게 된다.
다음, 자원봉사서버(50)에서는 자체적으로 기록하여 관리하는 인증정보 및 개인별 봉사기록에 대한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 DB에 봉사시간 변환서버(40)에서 전송된 탄소저감 봉사시간을 합산하여 기록하게 된다.
다음, 자원봉사서버(50)에서는 학교단말(60)과 연동하여 학교단말(60)의 요청시에 학교단말(60)에서 입력한 인증정보의 인증을 수행하게 되고,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 로그인한 학교단말(60)로 인증정보와 대응하는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 DB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학교 봉사활동 점수 관리자가 학교단말(60)을 통해 학생별로 봉사활동 점수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자원의 회수시에 회수된 자원의 탄소저감량에 따라 봉시기간으로 환산하도록 하고, 환산된 봉사시간이 공식적인 자료로 활용되도록 하기 때문에, 자원의 재수거율을 높히고, 사회 봉사 참여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자원의 회수시에 회수된 자원의 탄소저감량에 따라 봉사시간으로 환산하도록 하고 환산된 봉사시간이 공식적인 자료로 활용하는 데 있어, 개인단말(10)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봉사시간이 기록되도록 하여 봉사시간이 타인에 의해 조작되지 않으며, 특히, 기록된 봉사시간을 비영리기관, 지자체, 학교등이 유기적으로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봉시시간 및 봉사점수의 기록 및 관리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타인이 자원을 대신 회수에 주는 비양심적 행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인증을 더 진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3을 살펴보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원회수장치(20)를 확대하여 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가운데 도 3에 도시된 지문인식기(21) 및 카메라(22)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지문인식기(21) 및, 카메라(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문인식기(21)는 자원회수장치(20) 주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지문인식기(21)는 자원회수장치(20)와 연동하며, 개인별 자원회수시 인증정보와 함께 자원 투입자의 지문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여기서, 투입자의 지문정보는 학생정보 관리서버(70)로 전송된다.
카메라(22)는 자원회수장치(20) 주변에 설치되며, 개인별 자원회수시 인증정보와 함께 자원 투입자의 얼굴 영상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여기서, 투입자의 얼굴 영상정보는 학생정보 관리서버(70)로 전송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문인식기(21)에서 생성된 지문정보 및 카메라(22)에서 생성된 얼굴 영상정보는 자원회수장치(20)가 학생정보 관리서버(70)와 연동하여 학생정보 관리서버(70)에 기록하게 되는데, 이 경우, 지문정보 및 얼굴 영상정보는 자원회수장치(20)의 인증완료정보의 생성시 인증정보에 매칭되도록 학생정보 관리서버(70)에 기록된다. 이때, 학생정보 관리서버(70)에는 인정정보 뿐만아니라, 지문정보 및 얼굴 영상정보의 기록 날짜 및 학생정보와 같은 부수적인 정보를 함께 기록하게 된다.
이후, 인증완료정보가 진행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회수된 자원의 탄소저감량을 연산하는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봉시시간 및 봉사점수가 변환되어 기록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학생정보 관리서버(70)에는 학생이 자원회수장치(20)에 자원 투입시 학생의 지문정보와 얼굴 영상정보가 남게 되며, 이와 같은 지문정보와 얼굴 영상정보는 봉사점수를 노리고 타인이 자원을 대신 회수해주는 것과 같은 비양심적 행위 발생시에 이를 적발할 수 있게 된다.
삭제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타인이 자원을 대리 회수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증이 오남용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원 투입시에 진행하던 인증을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 진행할 수 있다.
그에 따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가운데 개인단말(10)과 학생정보 관리서버(70)가 2차 인증완료정보를 생성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개인단말(10)에 지문정보가 입력되는 학생정보어플이 더 설치된다. 여기서, 개인단말(10)에 설치되는 학생정보어플은 학생정보 관리서버(70)와 연동하여 지문정보가 학생정보 관리서버(70)내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지문일치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다음, 지문일치정보가 생성되면, 학생정보 관리서버(70)는 지문인식기(21)와 연동하여 지문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개인단말(10)과 연동하여 지문일치정보가 생성되는 경우를 판단하고 지문일치정보가 생성된 경우 개인단말(10) 내의 위치정보와 자원회수장치(20)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양 위치정보가 허용오차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 2차 인증완료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즉, 개인단말(10)이 자원회수장치(20) 근처에 있는 경우에만 인증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개인단말(10)을 이용하여 인증이 남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학생정보 관리서버(70)에 2차 인증완료정보가 생성되면, 자원회수장치(20)는 2차 인증완료정보를 입력받게 되고, 2차 인증정보에 학생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학생정보 관리서버(70)의 학생정보마다 연산된 탄소저감량이 기록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학생정보 관리서버(70)에 2차 인증완료정보가 생성되지 않게 되면, 자원회수장치(20)에서는 투입된 자원의 재인증여부에 대한 메세지를 출력하여 인증정보 및 학생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인증하거나 인증여부에 상관없이 탄소저감량을 미적립한다는 메세지를 출력하여 탄소저감량의 적립없이 자원을 회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투입자가 자원회수시에 개인단말(10)로부터 입력되는 지문정보와 자원회수장치(2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인증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개인단말(10)을 이용하여 인증이 오남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타인이 자원을 대리 회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자원 회수시에 회수자의 신원을 용이하게 인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가운데 교사단말(80)과 학생정보 관리서버(70) 및 자원회수장치(20)가 3차 인증완료정보를 생성하는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교사단말(80)을 더 포함하며, 이 경우, 교사단말(80)은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가능한 단말장치로써, 통신 기능외이에 학생정보 관리서버(70)와 연동하는 교사용 관리어플이 더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교사단말(80)은 인증 수행시에 학생성보 관리서버와 연동하게 되는데, 먼저, 학생정보 관리서버(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학생정보 관리서버(70)에 2차 인증완료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경우, 교사단말(80)의 교사용 관리어플에 자원회수중 메세지와 학생정보 및 카메라(22)에 의해 기록된 얼굴 영상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교사단말(80)에는 자원회수중 메세지와 학생정보 및 카메라(22)에 의해 기록된 얼굴 영상정보가 출력되고, 교사는 교사단말(80)을 이용하여 학생정보와 학생 얼굴 영상정보를 보고 자원을 회수중인 학생의 신원을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 경우, 학생의 신원이 확인완료되면 학생정보 관리서버(70)에 3차 인증완료정보를 출력하고, 학생의 신원이 미확인되면 학생정보 관리서버(70)에 학생 미일치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학생정보 관리서버(70)에서는 3차 인증완료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자원회수장치(20)가 탄소저감량을 연산하여 통합관제서버(30)에 개인별 탄소저감량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자원회수량만큼의 탄소저감량을 기록하는 정상적인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다음, 학생정보 관리서버(70)에서는 학생 미일치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자원회수장치(20)에서 투입된 자원의 재인증여부에 대한 메세지를 출력하여 인증정보 및 학생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인증하거나 인증여부에 상관없이 탄소저감량을 미적립한다는 메세지를 출력하여 탄소저감량의 적립없이 자원을 회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투입자가 자원회수시에 교사가 학생의 신원을 직접적으로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의 활동 내역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며 타인이 대신하여 자원을 회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자원의 회수시에 회수 시점을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가운데 통합관제서버(30)와 회수업체단말(90)이 연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회수업체단말(90)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회수업체단말(90)은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같은 고유의 접속권한으로 통합관제서버(30)에 인증을 수행하여 통합관제서버(30)와 연동하게 되는데, 이때, 회수업체단말(90)은 통합관제서버(30)로부터 자원회수장치(20)가 위치한 주소정보를 입력받게 된다. 여기서, 회수업체단말(90)에서 입력되는 주소정보는 자원회수장치(2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통합관제서버(30)는 자원회수장치(20)들과 연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통합관제서버(30)는 자원회수장치(20)들마다 자원회수장치(20)에 투입된 자원의 투입량을 입력받아 모니터링하게 된다. 이 경우, 통합관제서버(30)는 투입량이 기설정된 투입량을 초과하는 경우 회수업체단말(90)에 초과된 자원회수장치(20)의 주소정보로 회수작업이 요청되도록 회수작업정보를 회수업체단말(90)에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자원회수장치(20) 내에 회수된 자원의 용량이 회수 용량에 다다른 경우, 해당 자원회수장치(20)의 자원을 회수하라는 정보가 자원회수업체에 자동으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자원회수 시점을 매우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삭제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자원회수장치(20)의 노후화 또는 이상 동작을 용이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 진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통합관제서버(30)는 자원회수장치(20)와 연동시에 자원회수장치(20)의 대기전력사용량 및 구동엑추에이터의 구동시에 순간사용량을 모니터링하며, 대기전력 사용량 및 순간사용량이 기설정된 범위값에 미달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 고장신호를 회수업체단말(90)에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대기전력 사용량 및 순간사용량이 기설정된 범위값은 넘는 경우는 자원회수장치(20)의 노후화로 인하여 전기 부품에 누설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또는, 노후화 부품 및 이상 부품이 급격환 전류를 소모하는 경우를 검출하게 되고, 대기전력 사용량 및 순간사용량이 기설정된 범위값에 미달된 경우에는 부품이 고장되어 구동되지 않은 경우를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자원회수장치(20)의 노후화 또는 이상 동작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삭제
또 다른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자원회수장치(20)의 자원 회수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캔과 병 및 페트병과 같은 자원을 회수하게 되는데, 자원들 가운데 투명한 페트병만을 회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 진행할 수 있다.
도 8은 칼라패턴 인쇄지에 대한 배경영상정보와 투입물체 영상정보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9는 도 8의 (b)에 도시된 투입물체 영상정보를 차분한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이미지이다. 도 10은 투입물체 영상정보에 모폴로지 필터가 적용되어 투명 및 불투명 상태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가운데 자원회수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자원회수장치(20)가 전술한 기능과 구성들 이외에 비전검사부(23), 배경차분 ROI 추출부(24), RGB색상추출부(25), RGB 투명도 판별부(26), HSV색상추출부(27) 및, HSV 투명도 판별부(28)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비전검사부(23)는 자원회수장치(20)의 투입구에 페트병이 투입되는 경우에 페트병을 비전으로 검사하여 페트병에 대한 영상정보를 확보하게 된다.
배경차분 ROI 추출부(24)는 비전검사부(23)와 연동하여 비전검사부(23)로부터 자원회수장치(20)에 대한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도 8의 (a)에 도시된 칼라패턴 인쇄지(21)를 배경영상정보로 저장하고, 자원회수장치(20)에 투입물체(1a)가 투입되는 경우 도 8의 (b)와 같은 투입물체(1a)의 투입시점 영상정보에서 배경영상정보를 차분하여 도 9와 같은 배경차분 영상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이 경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RGB에 대한 칼라패턴 인쇄지(21)는 페트병 안착부(2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RGB색상추출부(25)는 배경차분 ROI 추출부(24)와 연동하여 배경차분 ROI 추출부(24)로부터 배경차분 영상정보를 입력받고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RGB색공간을 분석하여 투입물체 영상정보의 색상정보를 생성하고, RGB색공간에서 투입물체 영상정보의 각 화소마다 RGB비율을 측정하여 측정값 RGB비율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예들 들면,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쇄지에 형성된 칼라 패턴이 투명한 페트병을 투과하여 칼라 성분이 보이는 비율이 70% 인 경우, 측정값 RGB비율정보를 70%로 설정하고, 금속캔과 같은 불투명 투입물체에 의해 칼라패턴의 투과성분이 검측되지 않는 경우 측정값 RGB비율정보를 0%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RGB색상추출부(2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폴로지 영상처리 기술의 모폴로지 필터를 적용하여, 불투명한 영역을 검은색이 나타나도록 형성하고, 투명한 영역이 하얀색이 나타나도록 형성함으로써, RGB비율정보를 흑색과 백색의 비율분포로 나타낼 수 있다.
RGB 투명도 판별부(26)는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네트워크의 이미지검색 기능을 구비하며, 네트워크의 이미지검색에 의한 학습 모델에 의해 페트병 이미지 DB들의 페트병 이미지마다 저장값 RGB비율정보를 저장하고, 색상추출부로부터 측정값 RGB비율정보를 입력받아 저장값 RGB비율정보와 비교하여 측정값 RGB비율정보가 저장값 RGB비율정보보다 일정편차를 벗어난 경우에 투명도를 판별하게 된다. 예를 들면, RGB 투명도 판별부(26)는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투입되는 페트병과 일치하는 페트병의 이미지에 칼라 패턴이 투과되도록 하여 저장값 RGB비율정보를 생성하고, 전술한 RGB색상추출부(25)에서 측정된 투입물체(1a)의 측정값 RGB비율정보를 저장값 RGB비율정보와 대비하여 일정 편차값 이내에 있는 경우 투입물체(1a)가 투명하다고 판별하고, 투입물체(1a)의 측정값 RGB비율정보가 저장값 RGB비율정보를 벗어난 경우 불투명하다고 판별하게 된다.
HSV색상추출부(27)는 배경차분 ROI 추출부(24)와 연동하여 투입물체 영상정보를 입력받고 투입물체 영상정보의 HSV색공간을 분석하여 투입물체 영상정보의 색상정보를 생성하고, HSV색상추출부(27)는 HSV색공간을 분석하여 투입물체 영상정보의 각 화소마다 투입시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산출하게 된다. 예들 들면, HSV색상추출부(27)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칼라패턴 인쇄지에 형성된 칼라 패턴이 투명한 페트병을 투과하여 칼라 성분이 보이는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가 각각 70% 인 경우,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70%로 설정하게 된다. 이 경우, HSV색상추출부(27)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폴로지 영상처리 기술의 모폴로지 필터를 적용하여, 불투명한 영역을 검은색이 나타나도록 형성하고, 투명한 영역이 하얀색이 나타나도록 형성함으로써, 검은색과 백색의 비율로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HSV 투명도 판별부(28)는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네트워크의 이미지검색 기능을 구비하며, 네트워크의 이미지검색에 의한 학습 모델에 의해 페트병 이미지 DB들의 페트병 이미지마다 저장값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저장하고, HSV색상추출부(27)로부터 투입시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입력받아 저장값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와 비교하여 투입시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가 저장값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보다 일정편차를 벗어난 경우에 투명도에 이상이 있음을 판별하게 된다. 예를 들면, HSV 투명도 판별부(28)는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투입되는 페트병과 일치하는 페트병의 이미지에 칼라 패턴이 투과되도록 하여 저장값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생성하고, 전술한 HSV색상추출부(27)에서 측정된 투입물체(1a)의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저장값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와 대비하여 일정 편차값 이내에 있는 경우 투입된 투입물체(1a)가 투명하다고 판별하고, 투입물체(1a)의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가 저장값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벗어난 경우 불투명하다고 판별하게 된다.
따라서,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투입물체(1a)는 배경차분 ROI 추출부(24), RGB색상추출부(25), RGB 투명도 판별부(26), HSV색상추출부(27) 및, HSV 투명도 판별부(28)에 의해, 투명도가 판별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은 자원회수장치(20)에 페트병 투입시에 투명한 페트병만을 회수하고 라벨이 부착되는 것과 같이 불투명한 페트병이 내부 엑추에이터를 통해 배출구로 배출함으로써, 투명한 페트병만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개인단말 20 : 자원회수장치
30 : 통합관제서버 40 : 봉사시간 변환서버
50 : 자원봉사서버 60 : 학교단말
70 : 학생정보 관리서버 21 : 지문인식기
22 : 카메라 23 : 비전검사부
24 : 배경차분 ROI 추출부 25 : RGB색상추출부
26 : RGB 투명도 판별부 27 : HSV색상추출부
28 : HSV 투명도 판별부

Claims (10)

  1. 인증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정보로 인증을 수행하는 개인단말; 지역내에 각각에 분산되어 배치되며, 상기 개인단말과 연동하여 인증정보를 입력받고, 투입되어 회수되는 자원의 탄소저감량을 연산하는 자원회수장치; 상기 자원회수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탄소저감량을 입력받고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탄소저감량을 개인별로 각각 저장하여 개인별절감량 DB로 기록하는 통합관제서버; 상기 통합관제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상기 개인별절감량 DB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개인별 탄소저감량을 탄소저감 봉사시간으로 변환하여 개인별 탄소저감봉사시간 DB로 기록하는 봉사시간 변환서버; 지자체 각각마다 설치되어 운용되고,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개인별 봉사기록이 점수화되어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 DB를 기록하며, 상기 봉사시간 변환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탄소저감 봉사시간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탄소저감 봉사시간을 봉사점수로 변환하여 상기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 DB에 합산하여 기록하는 자원봉사서버; 상기 인증정보로 로그인하는 경우 상기 자원봉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증정보와 대응하는 개인별 전체 봉사점수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하는 학교단말; 개인별 학생정보에 대한 학생정보 DB를 포함하는 학생정보 관리서버;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와 연동하는 교사용 관리어플이 설치되는 교사단말; 상기 통합관제서버에 인증을 수행시에 상기 통합관제서버와 연동하고, 상기 통합관제서버로부터 상기 자원회수장치가 위치한 주소정보를 입력받는 회수업체단말; 상기 자원회수장치 주변에 설치되며, 개인별 자원회수시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지문정보를 입력받는 지문인식기; 상기 자원회수장치 주변에 설치되며, 개인별 자원회수시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얼굴 영상정보를 입력받는 카메라; 를 포함하며,
    상기 자원회수장치는, 회수하는 자원이 페트병인 경우, 내측에 상기 페트병을 검사하는 비전검사부; 상기 비전검사부와 연동하여 상기 비전검사부로부터 상기 자원회수장치 내측에 투입되는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배경영상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자원회수장치 내측에 물체가 투입되는 경우 물체의 투입시점 영상정보에서 상기 배경영상정보를 차분하여 배경차분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배경차분 ROI 추출부; 상기 배경차분 ROI 추출부와 연동하여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RGB색공간을 분석하여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색상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RGB색공간에서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각 화소마다 RGB비율을 측정하여 측정값 RGB비율정보를 생성하는 RGB색상추출부; 및 네트워크의 이미지검색에 의한 학습 모델에 의해 상기 페트병 이미지 DB들의 페트병 이미지마다 저장값 RGB비율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RGB색상추출부로부터 상기 측정값 RGB비율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값 RGB비율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측정값 RGB비율정보가 상기 저장값 RGB비율정보보다 일정편차를 벗어난 경우에 투명도를 판별하는 RGB 투명도 판별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경영상정보는 서로 간에 다른 색을 배열하여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개인단말은 상기 자원회수장치에 인증정보를 입력시에 상기 인증정보와 함께 학생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학생정보를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학생존재여부를 요청하고;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개인단말에서 입력된 학생정보가 학생정보 DB내에 일치하는 학생정보가 있는 경우 인증완료정보를 상기 자원회수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개인단말에서 입력된 학생정보가 학생정보 DB내에 일치하는 학생정보가 없는 경우 비인증완료정보를 상기 자원회수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자원회수장치는 상기 인증완료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인증정보에 상기 학생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의 학생정보마다 연산된 탄소저감량이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비인증완료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자원회수장치에서 투입된 자원의 재인증여부에 대한 메세지를 출력하여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인증하거나 인증여부에 상관없이 탄소저감량을 미적립한다는 메세지를 출력하여 탄소저감량의 적립없이 자원을 회수하며;
    상기 자원회수장치는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증완료정보의 생성시 상기 인증정보에 매칭되도록 상기 지문정보 및 얼굴 영상정보를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에 기록하며;
    상기 개인단말은 상기 지문정보가 입력되는 학생정보어플이 더 설치되고;
    상기 학생정보어플은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지문정보가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내에 저장된 정보와 일치되는 경우 지문일치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지문인식기와 연동하여 지문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개인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지문일치정보가 생성되는 경우를 판단하고 상기 지문일치정보가 생성된 경우 상기 개인단말 내의 위치정보와 상기 자원회수장치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양 위치정보가 허용오차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 2차 인증완료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자원회수장치는 상기 2차 인증완료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2차 인증정보에 상기 학생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의 학생정보마다 연산된 탄소저감량이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2차 인증완료정보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자원회수장치에서 투입된 자원의 재인증여부에 대한 메세지를 출력하여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인증하거나 인증여부에 상관없이 탄소저감량을 미적립한다는 메세지를 출력하여 탄소저감량의 적립없이 자원을 회수하며,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2차 인증완료정보를 생성하게 되는 경우, 상기 교사단말의 교사용 관리어플에 자원회수중 메세지와 학생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얼굴 영상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교사단말은 자원회수중 메세지와 학생정보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기록된 얼굴 영상정보의 출력시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에 학생의 신원이 확인되는 3차 인증완료정보 또는 학생의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미일치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학생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3차 인증완료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자원회수장치가 탄소저감량을 연산하여 상기 통합관제서버에 개인별 탄소저감량이 생성되도록 하고, 상기 학생 미일치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자원회수장치에서 투입된 자원의 재인증여부에 대한 메세지를 출력하여 상기 인증정보 및 상기 학생정보를 다시 입력받아 인증하거나 인증여부에 상관없이 탄소저감량을 미적립한다는 메세지를 출력하여 탄소저감량의 적립없이 자원을 회수하며;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자원회수장치들과 연동하여 상기 자원회수장치에 투입된 자원의 투입량을 입력받아 모니터링하고 상기 투입량이 기설정된 투입량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회수업체단말에 초과된 자원회수장치의 주소정보로 회수작업이 요청되도록 회수작업정보를 상기 회수업체단말에 출력하며;
    상기 통합관제서버는 상기 자원회수장치와 연동시에 상기 자원회수장치의 대기전력사용량 및 구동엑추에이터의 구동시에 순간사용량을 모니터링하며, 상기 대기전력 사용량 및 순간사용량이 기설정된 범위값에 미달되거나 초과하는 경우에 고장신호를 상기 회수업체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원회수장치는
    상기 배경차분 ROI 추출부와 연동하여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HSV색공간을 분석하여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색상정보를 생성하고, HSV색상추출부는 상기 HSV색공간을 분석하여 상기 배경차분 영상정보의 각 화소마다 투입시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산출하는 HSV색상추출부; 및,
    네트워크의 이미지검색에 의한 학습 모델에 의해 상기 페트병 이미지 DB들의 페트병 이미지마다 저장값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HSV색상추출부로부터 투입시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값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투입시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가 상기 저장값 채도정보 및 휘도정보보다 일정편차를 벗어난 경우에 투명도에 이상이 있음을 판별하는 HSV 투명도 판별부; 를 더 포함하는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KR1020210155598A 2021-11-12 2021-11-12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KR10242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598A KR102426339B1 (ko) 2021-11-12 2021-11-12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598A KR102426339B1 (ko) 2021-11-12 2021-11-12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6339B1 true KR102426339B1 (ko) 2022-07-29

Family

ID=8260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598A KR102426339B1 (ko) 2021-11-12 2021-11-12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633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751B1 (ko) 2009-05-11 2012-07-02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이산화탄소 저감량 산출 집계 기능을 갖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자동 회수기 및 그 운용 방법
JP2012237632A (ja) * 2011-05-11 2012-12-06 Kurabo Ind Ltd 透明体ボトルの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方法
KR20150116529A (ko) * 2014-04-07 2015-10-1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학생 활동 관리 서버의 운영 방법
KR102198800B1 (ko) * 2019-10-14 2021-01-05 수퍼빈 주식회사 재활용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222176B1 (ko) * 2020-07-24 2021-03-03 주식회사 에이트테크 인공지능 기반의 재활용 분류 시스템
KR20210050746A (ko) * 2019-10-29 2021-05-10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1751B1 (ko) 2009-05-11 2012-07-02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이산화탄소 저감량 산출 집계 기능을 갖는 생활폐기물 재활용 자동 회수기 및 그 운용 방법
JP2012237632A (ja) * 2011-05-11 2012-12-06 Kurabo Ind Ltd 透明体ボトルの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方法
KR20150116529A (ko) * 2014-04-07 2015-10-1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학생 활동 관리 서버의 운영 방법
KR102198800B1 (ko) * 2019-10-14 2021-01-05 수퍼빈 주식회사 재활용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10050746A (ko) * 2019-10-29 2021-05-10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재활용 폐기물 수거 시스템 및 방법
KR102222176B1 (ko) * 2020-07-24 2021-03-03 주식회사 에이트테크 인공지능 기반의 재활용 분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70932B (zh) 一种智能公章及使用管理系统
CN106991731A (zh) 集成设备维护的智能巡检方法及系统
CN105701885A (zh) 一种人脸识别门禁系统及其实现方法
CN100458829C (zh) 一种指纹识别无线射频卡的身份认证系统及方法
CN105427203A (zh) 一种租房信息管理方法和系统
CN106991483A (zh) 一种应用于特种设备检验检测的实施方法
CN107463921A (zh) 一种征信授权有效性验证方法及系统
CN114415908B (zh) 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7380821A (zh) 一种废旧电池回收装置、方法及系统
CN116861446A (zh) 一种数据安全的评估方法及系统
Khonturaev et al. LEVERAGING AI AND COMPUTER VISION FOR STUDENT FACE RECOGNITION IN UNIVERSITIES
CN113872332A (zh) 一种变电站二次压板智能运维及防误管控系统及方法
CN117609974B (zh) 一种用于技术交易平台的服务管理系统及方法
CN107491891A (zh) 一种基于二维码的安全监察信息云平台系统
KR102426339B1 (ko) 재활용 자원을 이용한 봉사 시간 관리 시스템
CN103020773A (zh) 基于rfid的电梯智能检验信息管理系统
CN102724394A (zh) 考场监控摄像头
CN208705952U (zh) 一种权限管理设备
CN112000862B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01819617A (zh) 基于软件缺陷的软件可信性定量评估方法
CN113326490A (zh) 一种基于工业互联网平台的身份认证设备及认证方法
CN105138887A (zh) 一种登录信息的输入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208837305U (zh) 一种文档智能监管柜
CN115619611A (zh) 一种智慧城市垃圾管理系统
Parthasarathy et al. A framework for managing ethics in data science pro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