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845B1 -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수거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수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845B1
KR100932845B1 KR1020070095635A KR20070095635A KR100932845B1 KR 100932845 B1 KR100932845 B1 KR 100932845B1 KR 1020070095635 A KR1020070095635 A KR 1020070095635A KR 20070095635 A KR20070095635 A KR 20070095635A KR 100932845 B1 KR100932845 B1 KR 100932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recycled
vending machine
recyclables
recycl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9154A (ko
Inventor
한석옥
Original Assignee
한석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석옥 filed Critical 한석옥
Priority to KR102007009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8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29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9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6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returnable containers, i.e. reverse vending systems in which a user is rewarded for returning a container that serves as a token of value, e.g. bott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3Arrangements for display, data presentation or adverti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은 여러 종류의 상품을 구비하고 각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과, 선택된 상품이 취출되도록 형성된 취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작동에 의해 해당 상품을 상기 취출구로 배출하도록 된 판매기 본체를 포함하고,
재활용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판매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활용품 투입구와, 상기 판매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와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고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와 연통되어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를 구비한 재활용품 수용부; 및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에 구비되어 재활용품의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투입감지센서로부터 재활용품 투입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버튼을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면, 빈 캔이나 유리병, 플라스틱 병 등과 같은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이 투입되면 이에 상응하는 상품을 투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시켜 재활용품의 수거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재활용품 수용부 본체를 판매기 본체와 별개로 제작하여 하나의 판매기 본체에 다수개의 재활용품 수용부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비시킴으로써 보다 다양한 종류의 재활용품과 보다 많은 양의 재활용품을 수집할 수 있 게 된다.
한편, 서로 다른 지역에 설치된 다수개의 판매기를 중앙에서 통신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관리함으로써 각 판매기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재활용품의 수거작업이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재활용품, 수집, 판매기, 시스템

Description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vending machine for collecting recycling materials and a system for collecting recycling material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캔이나 음료수병, PET 등등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을 투입하면 이에 상응하는 음료나 상품 등으로 보상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의 수거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을 분리수거하여 회수율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재활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재활용품이 일반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고 있다.
일반 쓰레기와 함께 버려진 재활용품은 소각시 또는 매립시 환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 쓰레기와 같이 버려진 재활용품을 일반 쓰레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버려지는 재활용품의 수거율 즉,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을 음료 또는 상품과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활용품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여러 개의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 판매기를 중앙에서 제어하면서 관리하여 재활용품의 수집작업이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상품을 구비하고 각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과, 선택된 상품이 취출되도록 형성된 취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작동에 의해 해당 상품을 상기 취출구로 배출하도록 된 판매기 본체를 포함하고,
재활용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판매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활용품 투입구와, 상기 판매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와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고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와 연통되어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를 구비한 재활용품 수용부; 및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에 구비되어 재활용품의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감지센서 를 구비하여 상기 투입감지센서로부터 재활용품 투입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버튼을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재활용품이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로 투입되면 각 상기 버튼을 점등시키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상품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여러 종류의 상품을 구비하고 각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과, 선택된 상품이 취출되도록 형성된 취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작동에 의해 해당 상품을 상기 취출구로 배출하도록 된 판매기 본체를 포함하고,
재활용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전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활용품 투입구와, 내부에 설치되어 각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와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고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와 연통되어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판매기 본체와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판매기 본체의 측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활용품 수용기 본체; 및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에 구비되어 재활용품의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투입감지센서로부터 재활용품 투입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버튼을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재활용품이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로 투입되면 각 상기 버튼을 점등시키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상품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제공한다.
상기 판매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품권, 할인권, 구매권, 쿠폰 등으로 이루어진 상품이 상기 제어부의 취출신호에 의해 취출되기 위한 종이재 취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매기 본체의 전면에는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읽기 위한 바코드 스캐너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코드 스캐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코드 스캐너가 읽은 재활용품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에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해당 재활용품 투입구의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재활용품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재활용품 투입구의 개폐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투입감지센서로부터 재활용품 투입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개폐도어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의 일측에는 상기 개폐도어의 개방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점등되기 위한 개방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수용되는 재활용품의 만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만수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해당 수용부재의 재활용품 만수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만수위감지센서로부터 만수위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재활용품 투입구의 개폐도어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수용되는 재활용품의 만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만수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해당 수용부재의 재활용품 만수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만수위감지센서로부터 만수위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재활용품 투입구의 개폐도어를 폐쇄하고, 기타 재활용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기타품목투입구의 개폐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매기 본체의 전면에는 스피커를 구비한 광고 시청용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입감지센서로부터 재활용품 투입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광고 시청용 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켜 광고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으로서,
각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의 제어부에 구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각 상기 통신부들을 통하여 제어부들로부터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를 구비하여 제어신호를 각각의 제어부로 송신하기 위한 마이컴을 구비한 메인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각 각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의 재활용품 수집정보를 수신하되, 만수위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데이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만수위관련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부로 전송하여 만수위 안내문이 해당 광고 시청용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은 빈 캔이나 유리병, 플라스틱 병 등과 같은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이 투입되면 이에 상응하는 상품을 투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품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인지시켜 재활용품의 수거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판패기 본체와 재활용품 수용부 본체를 별개로 제작하여 하나의 상품판매기 본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활용품 수용부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그 일측에 구비시킴으로써 보다 다양한 종류의 재활용품 또는 보다 많은 양의 재활용품의 수집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서로 다른 지역에 설치된 다수개의 판매기를 중앙에서 통신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제어하여 관리함으로써 각 판매기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이로 인하여 재활용품의 수거작업이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의 재활용품 수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품판매기는 여러 종류의 상품을 구비하고 각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12)을 구비하고, 해당 버튼(12)이 눌렸을 때 선택된 상품이 취출되도록 형성된 취출구(14)를 구비하여 버튼(12)의 작동에 의해 해당 상품을 취출구(14)로 배출하도록 된 판매기 본체(1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품판매기의 상품은 커피나 음료수와 같은 음료, 인형이나 캐릭터상품, 상품권, 티켓, 할인권, 구매권, 과자, 학용품 등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종이재 취출구(1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이재나 얇은 플라스틱과 같은 상품이 취출되는 종이재 취출구(14A)의 구조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품판매기의 상품판매 구조 및 작용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판매기 본체(10)에는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수용하기 위한 재활용품 수용부(20)가 구비된다. 이 재활용품 수용부(20)는 재활용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판매기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활용품 투입구(22)와, 판매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 재활용품 투입구(22)와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고 재활용품 투입구(22)와 연통되어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24)로 구성된다.
수용부재(24)는 상부가 개구되고 재활용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재활용품 투입구(22)의 내측이 수용부재(24)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판매기 본체(10) 내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수용부재(24)는 박스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프레임에 설치된 자루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그 저면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판매기 본체(10)의 전면 또는 측면에는 수용부재(24)를 꺼내거나 다시 설치하기 위한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재(24)와 재활용품 투입구(22)는 판매기 본체(10)와는 별개의 함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판매기 본체(10)와 연결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판매기 본체(10)에 각 구성요소가 모두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고, 하기 실시 예에서 분리형 판매기에 대한 설명을 한다.
한편, 재활용품 투입구(22)는 알루미늄이나 철로 된 캔, 플라스틱 병이나 용기, 유리로 된 용기가 각각 투입될 수 있도록 캔용 투입구, 플라스틱 용기용 투입구, 유리용 투입구가 구비되고, 전술한 재활용품 이외의 기타 재활용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기타품목 투입구(28)가 더 구비된다.
각 재활용품 투입구(22,28)에는 엑츄에이터(26A)에 의해 작동되어 재활용품 투입구(22,28)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26)가 구비된다.
제어부(30)는 재활용품의 투입을 감지하여 해당 개폐도어(26)를 개방하고 버튼(12)을 점등시켜 해당 상품이 취출되도록 제어하고, 재활용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30)는 재활용품 투입구(22)의 입구 주변에 설치되어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읽기 위한 바코드 스캐너(34)와, 재활용품 투입구(22,28) 내부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감지하기 위한 투입감지센서(32)와,
수용부재(24)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재활용품의 만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만수위 감지센서(36)를 구비한다. 한편, 재활용품 투입구(22,28)의 주변에 개방램프(L)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개방램프(L)는 개폐도어(26)가 개방될 때 점등되어 투입자가 용이하게 재활용품 투입구(22,28)의 위치를 찾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품판매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재활용품, 예를들면 금속 캔의 바코드를 바코드 스캐너(34)에 근접시키면 바코드 스캐너(34)를 통하여 해당 캔의 정보가 제어부(30)에 입력된다. 제어부(30)는 입력된 정보를 분석하여 스캔된 재활용품이 금속인지. 플라스틱인지, 유리인지 기타 품목인지를 판단한 후 해당 재활용품 투입구(22)의 엑츄에이터(26A)를 작동시켜 개폐도어(26)를 개방한다. 즉, 사용자가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바코드 스캐너(37)에 근접시키면 제어부(30)가 해당 재활용품 투입구(22)를 개방하여 재활용품의 투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개방램프(L)를 점등시켜 투입자가 재활용품을 투입해야할 재활용품 투입구(22)가 어디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재활용품 투입구(22)가 개방되어 재활용품이 투입되면 투입감지센서(32)가 이를 감지하여 투입감지신호를 제어부(30)에 전송한다.
제어부(30)는 투입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재활용품이 투입되었음을 감지하여 판매기 본체(10)의 각 버튼(12)을 점등시키고, 해당 재활용품 투입구(22)를 폐쇄시킨다.
사용자가 버튼(12)을 누르면 해당 상품(음료 또는 상품권 등)이 취출구(14) 또는 종이재 취출구(14A)를 통하여 취출된다.
이때, 제어부(30)는 판매기 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는 스피커(37)와 광고 시청용 디스플레이부(38)를 통하여 저장된 광고 영상이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수용부재(24)의 내부에 설치된 만수위감지센서(36)로부터 만수위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재활용품 투입구(22)의 개폐도어(26)를 폐쇄하고, 기타 재활용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기타품목 투입구(28)의 개폐도어(26)를 개방하여 재활용품이 기타품목 투입구(28)로 투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광고 시청용 디스플레이부(38)에 재활용품의 만수위 안내문이나 스피커를 통해 안내음성을 출력한다. 예를들면, '캔 투입구가 가득 찼으니 기타 품목 투입구를 이용하여 주세요' 라고 안내문이나 안내음성을 출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돕는다.
한편,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 기의 폐자원 수용부 본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활용품 투입구(22,28)는 별도로 제작된 재활용품 수용부 본체(10A)의 전면 상부측에 상하부로 구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활용품 투입구(22,28)가 폐자원 수용부 본체(10)의 상부측에 구비됨으로써 수용부재(24)의 용량이 증가되어 보다 많은 양의 재활용품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재활용품 투입구(22,28)가 폐자원 수용부 본체(10)의 상부측에 구비되면 수용부재(24)의 크기(높이)가 커지게(높아지게) 되므로 그 용량이 증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자원 수용부 본체가 다수개 구비된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24)가 구비된 재활용품 수용부 본체(10A)가 판매기 본체(10)와 별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활용품 수용부 본체(10A)가 판매기 본체(10)와 별개로 구성됨으로써, 보다 많은 종류의 재활용품을 수집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하나의 판매기 본체(10)에 다수개의 재활용품 수용부 본체(10A)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그 측면에 배열함으로써 재활용품 투입구(22,28)가 증가되고,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재활용품의 수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6에는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은 각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의 제어부(30)에 구비되어 재활용품의 투입정보 즉 재활용품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하고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39)와, 각 상품 판매기의 통신부(39)들을 통하여 제어부(30)들로부터 재활용품에 대한 정보 또는 만수위에 대한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4)를 구비하며,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46)를 구비하여 제어신호를 각각의 제어부(30)로 송신하기 위한 마이컴(42)을 구비한 메인서버(40)로 구성된다.
이때, 제이부(30)와 메인센서(40)에는 메모리가 구비될 수 있고,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가공기, 예를들면 변환기 등이 더 구비될 수 있고, 각 제어신호 등을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도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서버(40)는 각 판매기의 제어부(30)로부터 통신부(39)를 통하여 각 판매기의 재활용품 수집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재활용품 수거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수위감지센서(36)로부터 만수위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30)는 만수위감지신호를 통신부(39)를 통하여 메인서버(40)로 송신한다.
메인서버(40)의 마이컴(42)은 해당 상품판매기의 해당 재활용품이 만수위임을 디스플레이부(44)에 출력한다. 즉, 마이컴(42)은 만수위감지신호에 해당되는 메시지를 기 저장된 메모리로부터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44)에 출력하는 것이다.
이어서, 관리자가 데이터 입력부(46)를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만수위를 이룬 재활용품 투입구(22)의 개폐도어(26)를 폐쇄하고, 기타품목 투입구(28)의 개폐도어(26)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고, 이에 더하여 광고 시청용 디스플레이부(38)에 만수위에 따른 안내문구를 출력하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한다.
마이컴(42)은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제어신호를 변환하여 메인서버(40) 측의 통신부와 제어부(30) 측의 통신부(39)를 통하여 해당 판매기의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제어신호를 수신한 제어부(30)는 해당 개폐도어(26)를 개방하고, 안내문구를 광고 시청용 디스플레이부(38)에 출력한다.
한편, 관리자는 원거리에서 메인서버(40)의 디스플레이부(44)를 통하여 어느 지역의 판매기가 재활용품 만수위인지 신속하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만수위인 재활용품이 어떤 종류인지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재활용품의 수거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재활용품의 만수위 정보가 신속하게 파악되므로 관리자는 신속하게 해당 판매기에서 만수위가 된 재활용품을 수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의 재활용품 수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의 폐자원 수용부 본체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폐자원 수용부 본체가 다수개 구비된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버튼
14 : 취출구 14A : 종이재 취출구
20 : 재활용품 수용부 22 : 재활용품 투입구
24 : 수용부재 26 : 개폐도어
26A : 엑츄에이터 28 : 기타품목 투입구
30 : 제어부 32 : 투입감지센서
34 : 바코드 스캐너 36 : 만수위감지센서
37 : 스피커 38 : 광고 시청용 디스플레이부
39 : 통신부 40 : 메인서버
42 : 마이컴 44 : 디스플레이부
46 : 데이터 입력부 L : 개방램프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여러 종류의 상품을 구비하고 각 상품을 선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과, 선택된 상품이 취출되도록 형성된 취출구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의 작동에 의해 해당 상품을 상기 취출구로 배출하도록 된 판매기 본체를 포함하고,
    재활용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판매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활용품 투입구와, 상기 판매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와 대응되는 갯수로 구비되고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와 연통되어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를 구비한 재활용품 수용부; 및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에 구비되어 재활용품의 투입을 감지하는 투입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투입감지센서로부터 재활용품 투입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이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버튼을 점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재활용품이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로 투입되면 각 상기 버튼을 점등시키고, 상기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상품을 배출시키고,
    상기 판매기 본체의 전면에는 재활용품의 바코드를 읽기 위한 바코드 스캐너가 구비되며,
    각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에는 엑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재활용품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각 상기 바코드 스캐너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코드 스캐너가 읽은 재활용품의 정보를 저장하고, 해당 재활용품 투입구의 바코드 스캐너로부터 재활용품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재활용품 투입구의 개폐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투입감지센서로부터 재활용품 투입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개폐도어를 폐쇄하며, 상기 수용부재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수용되는 재활용품의 만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만수위감지센서를 구비하여, 해당 수용부재의 재활용품 만수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만수위감지센서로부터 만수위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재활용품 투입구의 개폐도어를 폐쇄하고, 기타 재활용품이 투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기타품목 투입구의 개폐도어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판매기 본체의 전면에는 스피커를 구비한 광고 시청용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입감지센서로부터 재활용품 투입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광고 시청용 디스플레이부를 구동시켜 광고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0에 따른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으로서,
    각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의 제어부에 구비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및
    각 상기 통신부들을 통하여 제어부들로부터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를 구비하여 제어신호를 각각의 제어부로 송신하기 위한 마이컴을 구비한 메인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각 각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의 재활용품 수집정보를 수신하되, 만수위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데이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만수위관련 제어신호를 해당 제어부로 전송하여 만수위 안내문이 해당 광고 시청용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시스템.
KR1020070095635A 2007-09-17 2007-09-17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수거시스템 KR100932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35A KR100932845B1 (ko) 2007-09-17 2007-09-17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수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35A KR100932845B1 (ko) 2007-09-17 2007-09-17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수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154A KR20090029154A (ko) 2009-03-20
KR100932845B1 true KR100932845B1 (ko) 2009-12-21

Family

ID=40696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635A KR100932845B1 (ko) 2007-09-17 2007-09-17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수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8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957B1 (ko) * 2015-10-23 2016-09-05 배응준 정보리더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KR20180087649A (ko) 2017-01-25 2018-08-02 홍용호 개선된 공동주택 재활용장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방법
KR20180087877A (ko) 2018-06-20 2018-08-02 홍용호 의류함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429B1 (ko) * 2015-09-25 2017-03-3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담배꽁초 수거용 자판기
KR102329865B1 (ko) * 2020-02-24 2021-11-22 주식회사 리와인드 놀이 기반의 자원 선순환 교육용 키트
KR102479429B1 (ko) * 2021-05-14 2022-12-19 유상선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KR102476544B1 (ko) * 2021-06-10 2022-12-13 주식회사 리와인드 생분해성 용기 인증 및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438U (ko) * 1989-08-11 1991-03-19 김대호 아파트의 난간고정구
KR20000014910A (ko) * 1998-08-26 2000-03-15 김영수 게임에 의해 경품을 제공하는 빈캔 수거장치
KR20020003087A (ko) * 2001-06-25 2002-01-10 정용규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장치
KR20030003978A (ko) * 2001-07-04 2003-01-14 주식회사 일류기술 캔-공병 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438U (ko) * 1989-08-11 1991-03-19 김대호 아파트의 난간고정구
KR20000014910A (ko) * 1998-08-26 2000-03-15 김영수 게임에 의해 경품을 제공하는 빈캔 수거장치
KR20020003087A (ko) * 2001-06-25 2002-01-10 정용규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장치
KR20030003978A (ko) * 2001-07-04 2003-01-14 주식회사 일류기술 캔-공병 회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957B1 (ko) * 2015-10-23 2016-09-05 배응준 정보리더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KR20180087649A (ko) 2017-01-25 2018-08-02 홍용호 개선된 공동주택 재활용장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방법
KR20180087877A (ko) 2018-06-20 2018-08-02 홍용호 의류함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9154A (ko) 200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845B1 (ko)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수거시스템
US20120173014A1 (en) Reverse Vending Machine
US5226519A (en) Multiple use commodity collection and storage system
KR101964972B1 (ko) 보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리수거함
KR101183231B1 (ko) 스마트 컵을 이용한 음료 자동 판매 시스템
EP0561148A2 (en) Single station reverse vending machine
US20060016737A1 (en) Return station for refundable or borrowed objects
KR101653957B1 (ko) 정보리더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CN103942879B (zh) 一种塑料瓶饮料智能促销机
JP2007109072A (ja) 無人販売システム
JP2005533309A (ja)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
CN105976518A (zh) 一种饮料瓶回收系统
WO2014186088A1 (en) Recycling collection payout
JP2008152524A (ja) 自動釣銭機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452047Y1 (ko) 관급쓰레기 종량제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및 쓰레기봉투자동판매 시스템
CN103971455A (zh) 一种易拉罐饮料智能促销机
JP2002067030A (ja) リサイクル品回収装置
KR20100003954U (ko)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KR101788680B1 (ko) 공병회수장치
JP5011638B2 (ja) 容器回収システム
KR100277618B1 (ko) 게임에 의해 경품을 제공하는 빈캔 수거장치
WO2018066009A1 (en) System for the compaction and management of recyclable waste and related incentive system
JP2002183295A (ja) リサイクル品の回収システム
JP5458533B2 (ja) 紙幣識別装置
JP5577923B2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