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3954U -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 Google Patents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3954U
KR20100003954U KR2020080013348U KR20080013348U KR20100003954U KR 20100003954 U KR20100003954 U KR 20100003954U KR 2020080013348 U KR2020080013348 U KR 2020080013348U KR 20080013348 U KR20080013348 U KR 20080013348U KR 20100003954 U KR20100003954 U KR 201000039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arbage bag
garbage
retur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진재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재텍(주) filed Critical 진재텍(주)
Priority to KR2020080013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3954U/ko
Publication of KR201000039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9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매카드를 이용하여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서 구매한 쓰레기 봉투가 구매자의 의도와 달리 잘못 구매된 경우 이를 용이하게 반환할 수 있는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는 각종 광고 영상이나 종량제 쓰레기 봉투 판매 관련 영상을 표시하거나,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 및 해당 물품의 가격 정보와 반환가능 정보를 표시하고 쓰레기 봉투 구매자의 선택이나 반환명령을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입력받는 표시 및 입력부; 상기 쓰레기 봉투를 구매 또는 반환하고자 하는 구매자 또는 반환자를 포함하는 물체가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였는지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쓰레기 봉투를 구매 또는 반환할 수 있는 구매카드 정보를 리드하는 구매카드 리더부; 상기 쓰레기 봉투 판매시 판매일시, 봉투종류, 봉투일련번호, 판매 금액 정보를 인쇄하여 출력하거나 반환된 쓰레기 봉투의 반환일시, 반환봉투 종류 정보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영수증 출력부; 상기 쓰레기 봉투를 배출하는 봉투 투출 및 반환부; 상기 쓰레기 봉투 중 판매되는 봉투의 바코드 정보를 리드하는 봉투정보 리더부; 통신망과 연결되어 쓰레기 봉투 판매 단말기에서의 판매정보 또는 반환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로 판매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쓰레기 봉투 판매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그리고, 상기 표시 및 입력부, 센싱부, 구매카드 리더부, 영수증 출력부, 봉투 투출 및 반환부, 봉투 정보 리더부, 통신부 및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고의 출력, 상기 쓰레기 봉투 배출, 영수증출력, 봉투출력, 통신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쓰레기 봉투 쓰레기 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서 구매카드를 통해 사용자가 부주의나 실수로 구입한 쓰레기 봉투를 반환할 수 있음으로써 잘못 구입하거나 불필요하게 구입한 쓰레기 봉투에 대한 반환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쓰레기 봉투 반환

Description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KIOSK FOR GARBAGE BAG CAPABLE RETURNING GARBAGE BAG}
본 고안은 구매카드를 이용하여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서 구매한 쓰레기 봉투가 구매자의 의도와 달리 잘못 구매된 경우 이를 용이하게 반환할 수 있는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경제성장과 더불어 소비가 활성화되어 인스턴트식품의 소비와 일회용 용기의 사용급증으로 쓰레기의 양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이나 중금속을 함유한 쓰레기의 증가로 2차 오염의 위험성이 있으며, 증가된 쓰레기의 처리가 사회문제로 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배출하는 쓰레기의 양에 따라 그 처리비용을 부담토록 하여 쓰레기 배출을 줄이고 재활용품을 최대한 분리하여 배출토록 하는 경제적 유인책으로 쓰레기종량제를 실시하게 되었다.
상기 쓰레기종량제는, 일반가정의 생활쓰레기와 음식점, 슈퍼마켓 등 소규모 사업장의 일반쓰레기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일반용봉투를 사용하도록 하고, 골목청소 및 가로청소용은 공공용봉투를 사용하도록 하고, 음식물 찌꺼기에 대해서는 음식물 쓰레기용 봉투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용, 공공용 및 음식물용으로 구분된 쓰레기봉투는 각각 다른 색상과 다른 용량으로 구분되어 생산 및 판매되고 있는데, 이는 해당 자치단체장이 상주인구, 사업장수 및 공동청소 등에 따라 수요량을 예측하여 수량 및 봉투용량을 적정하게 주문하여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
생산된 쓰레기봉투의 판매는 자치단체별로 읍ㆍ면ㆍ동사무소, 농협, 슈퍼마켓, 편의점, 대형 마트 등 종량제봉투 판매소를 지정하여 직영판매하거나, 금융기관 위탁판매, 청소대행업체 판매, 민간 위탁판매 등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54422호(고안의 명칭 :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 시스템 및 방법, 공개일 : 2000년 9월 5일)에는 쓰레기봉투의 생산, 유통, 판매 및 쓰레기봉투의 처리과정을 바코드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쓰레기봉투의 판매와 수거를 관리하는 쓰레기봉투의 물류 전산화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쓰레기봉투의 물류 전산화시스템 및 방법은, 인터넷상의 웹서버를 통해 구(군)청이 쓰레기봉투의 물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식별정보가 저장된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의 생산을 제작업체에 의뢰하고,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수령하여, 식별정보가 부여된 판매소로부터 바코드가 인쇄된 쓰레기봉투를 판매하고, 판매된 쓰레기봉투의 바코드를 통해 쓰레기 수거정보를 수거차량으로부 터 획득하여 쓰레기 매립장에 반입되는 정보를 관리하여, 쓰레기처리과정을 바코드와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산화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23713호(고안의 명칭 : 자판기에 있어서 쓰레기 봉투 자동판매기장치, 공개일 :2002년 3월 29일)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33082호(고안의 명칭 : 쓰레기 봉투 자동판매기, 공개일 : 1999년 5월 15일)에서는 통상의 자동판매기 내부에 캔음료를 투출하는 라인에 쓰레기봉투가 담긴 캔형상의 용기를 수용한 래크를 연결시켜 일정한 조건이 되면 상기 쓰레기봉투가 담긴 캔형상의 용기를 투출시켜 판매하는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쓰레기 봉투 자동 판매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쓰레기 봉투 자동판매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쓰레기 봉투 자동판매기의 주요 기능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쓰레기 봉투 자동 판매기는, 본체 캐비넷(1), 도어 캐비넷(2)으로 밀폐되는 고내에 래크(11)를 지니는 점은 공지의 캔 자동판매기와 동일하나 냉각 및 가온을 위한 공조장치를 지니지 않는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본체 캐비넷(1)에는 상부의 투입구(12) 및 하부의 투출기(13)를 지니는 래크(11)가 복수열로 배치된다.
래크(11)는 캔 자동판매기처럼 곡면의 플레이트를 대향하도록 고정시킨 일체의 조립 구조물로서 상품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래크(11)를 복수열이 되도록 결합한다.
각 열의 상품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슈트(14)는 전체 래크(11)의 하부에 걸치도록 고정한다.
또,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상기 본체 캐비넷(1)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도어 캐비넷(2)에는 진열실(3), 투출실(4), 반환통(5) 등을 장착한다.
진열실(3)은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견본, 가격 등을 수요자가 볼 수 있도록 설치하는 장소로서 고내외에 적절한 조도를 형성하는 조명등(6)이 설치된다.
투출실(4)은 래크(11)에서 슈트(14)를 따라 이동한 상품이 대기하는 장소이다. 반환통(5)은 상품의 대금 정산에 따른 거스름돈이 대기하는 장소이다.
또, 상기 도어 캐비넷(2) 상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조작판넬(15)은 상기 래크(11)에 보관되는 상품울 선택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지닌다.
복수의 스위치는 전자 터치식으로서 한번 누르면 후술하는 제어판넬(20)의 마이콤(21)이 상품의 투출 완료때까지 그 래치 상태를 기억한다.
상기 도어 캐비넷(2) 상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정산판넬(16)은 투입된 지폐나 동전의 금액을 확인하여 거스름돈을 반환한다.
정산판넬(16)은 지폐나 동전의 진위를 확인하고 계수하여 투입 금액을 합산하고 조작판넬(15)에서 선택된 상품 금액과의 차이를 거스름돈으로 배출한다.
또, 도 1 및 도 2에 따른 종래 기술에서 상기 조작판넬(15), 정산판넬(16)의 입력을 처리하여 투출실(4)로 상품을 송출하도록 상기 투출기(13)에 출력하는 제어판넬(20)이 사용된다.
제어판넬(20)은 AC 전원으로부터 필요한 DC 전원을 얻기 위한 전원부(22)도 지닌다.
정산판넬(16)은 지폐 처리부(26) 및 동전 처리부(27)외에 투입 금액, 매진, 에러 등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부(28)도 지닌다.
투출기(13)는 투출부(23)외에 래크(11) 내의 상품이 소진된 것을 검출하기 위한 매진 검출부(24)를 지닌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쓰레기 봉투 자동판매기는 쓰레기 종량제에 따른 규격 봉투를 어느 시간 어느 장소에서나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향상하여 환경오염 방지에 일조하는 효과가 있기는 하지만, 쓰레기 봉투의 배출자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쓰레기를 분리하여 배출하지 않는 경우 배출자를 확인할 수 없어 책임을 물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공개된 쓰레기봉투 물류 전산화시스템에 관한 기술은 쓰레기봉투에 바코드를 부착하여 유통 및 처리의 효율화는 기할 수 있으나, 상기 바코드는 배출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고 단지 위조 쓰레기 봉투 생산을 방지 하고, 자료처리의 효율화를 도모할 목적으로 쓰레기 봉투에 인쇄된 것으로서 쓰레기 배출자 실명제를 실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공개된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에 관한 기술은 단순히 쓰레기 봉투를 판매하는 기계일 뿐, 쓰레기 봉투 구매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판매되는 쓰레기봉투에 이를 인식가능하도록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제시가 없었다. 따라서 쓰레기 배출자 실명제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에 있어서는 쓰레기 봉투 구입 오류에 따른 대책이 없었다. 다시 말하면 쓰레기 봉투는 가정주부뿐 아니라 맞벌이 증가에 따라 어린이를 포함하는 노약자들도 구입하고, 낮뿐 아니라 밤 늦은 시간에도 편리하게 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낮이나 밤이거나, 젊은 사람이거나 노약자이거나 잘못 구입할 수 있는 문제는 있었다. 그러나 그와 같이 잘못 구입한 경우 반품 등의 문제가 여의치 않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또한 구매 후 변심에 의해 바꾸고자 하는 경우, 일반 판매점(슈퍼 등)에서 구매한 경우 용이하게 바꿀 수 있지만, 자동 판매기의 경우에는 어디서 교환해야 하는지 몰라 불필요한 쓰레기 봉투를 어쩔 수 없이 구매하거나, 새롭게 구매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구매카드를 이용하여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서 구매한 쓰레기 봉투가 구매자의 의도와 달리 잘못 구매된 경우 이를 용이하게 반환할 수 있는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쓰레기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 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는, 각종 광고 영상이나 종량제 쓰레기 봉투 판매 관련 영상을 표시하거나,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 및 해당 물품의 가격 정보와 반환가능 정보를 표시하고 쓰레기 봉투 구매자의 선택이나 반환명령을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입력받는 표시 및 입력부; 상기 쓰레기 봉투를 구매 또는 반환하고자 하는 구매자 또는 반환자를 포함하는 물체가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였는지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쓰레기 봉투를 구매 또는 반환할 수 있는 구매카드 정보를 리드하는 구매카드 리더부; 상기 쓰레기 봉투 판매시 판매일시, 봉투종류, 봉투일련번호, 판매 금액 정보를 인쇄하여 출력하거나 반환된 쓰레기 봉투의 반환일시, 반환봉투 종류 정보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영수증 출력부; 상기 쓰레기 봉투를 배출하는 봉투 투출 및 반환부; 상기 쓰레기 봉투 중 판매되는 봉투의 바코드 정보를 리드하는 봉투정보 리더부; 통신망과 연결되어 쓰레기 봉투 판매 단말기에서의 판매정보 또는 반환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로 판매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쓰레기 봉투 판매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그리고, 상기 표시 및 입력부, 센싱부, 구매카드 리더부, 영수증 출력부, 봉투 투출 및 반환부, 봉투 정보 리더부, 통신부 및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고의 출력, 상기 쓰레기 봉투 배출, 영수증출력, 봉투출력, 통신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봉투 투출 및 반환부는 상기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 하나로 구성하거나 별도의 봉투 투출부 및 봉투 반환부로 각각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쓰레기 봉투 반환은 상기 구매카드를 통해 구매되거나, 상기 구매카드를 통해 구매가 가능한 쓰레기 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서 판매된 쓰레기 봉투에 한해 반환됨이 상기 표시 및 입력부를 통해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쓰레기 봉투 반환 시 상기 쓰레기 봉투의 바코드부가 훼손되지 않은 상태의 쓰레기 봉투의 반환이 가능한 것이 상기 표시 및 입력부를 통해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쓰레기 봉투 실명제가 간단하게 실현됨으로써 일반인들의 도덕적 경각심을 높일 수 있어 불법 쓰레기 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쓰레기 봉투 실명제를 위하여 첨단 장비를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고 빠른 쓰레기 봉투 구매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셋째, 쓰레기 봉투 실명제에 따라 쓰레기 봉투의 배출장소 확인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쓰레기 봉투를 아무 곳에 버리거나 비정상적인 시간에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후불제 판매가 가능하고, 공통주택 관리비 등에 부과함으로서 언제나 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이를 전산화하는 경우 쓰레기의 배출량이나 판매경로, 판매수량 전산화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서 구매한 쓰레기 봉투가 구매자의 의도와 달리 잘못 구매된 경우 이를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로 용이하게 반환할 수 있어 잘못 구매한 경우나, 변심에 의해서도 용이하게 쓰레기 봉투를 반환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여,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고안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고안 제 1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 제 1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고안 제 1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00)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와 같은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00)는 표시 및 입력부(110), 센싱부(120), 구매카드 리더부(130), 영수증 출력부(140), 봉투 투출 및 반환부(150), 봉투정보 리더부(160), 통신부(170), 전원부(180) 및 제어부(190)로 구성된다.
여기서 표시 및 입력부(110)는 예를 들면 LCD, PDP 등의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및 입력부(110)는 각종 광고 영상이나 종량제 쓰레기 봉투 판매나 반환과 관련된 영상을 표시하거나,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이나 반환하고자 하는 물품, 즉 판매가능 쓰레기 봉투 및 그에 해당하는 가격 정보, 반환조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특성에 맞게 쓰레기 봉투 구매자의 선택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반환조건으로는 구매 시 바코드가 훼손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반환이 가능하다는 것, 훼손된 경우 구매 비용이 청구될 수 있다는 내용, 해당 구매카드를 통해 반환할 수 있는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00)에서 구입한 경우에 반환이 가능하다는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20)는 쓰레기 봉투 구매자가 구매 또는 반환에 적합한 거리(예로써 50 내지 100cm 이내)에 접근하였는지를 센싱한다. 이와 같은 센싱결과에 따라 표시 및 입력부(110)의 화면은 각종 광고 영상 대신 쓰레기 봉투를 판매 또는 반환받기 위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구매카드 리더부(130)는 쓰레기 봉투의 구매나 반환의 경우 통상의 마그네틱 카드 또는 무선주파수(RF) 카드로 쓰레기 봉투를 구매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구매 카드는 개인 식별 정보(이름, 주민번호, 주소 등)이 포함되도록 하여 쓰레기 봉투를 후불로 구입하도록 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 늦은 밤이거나, 은행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에도 쓰레기 봉투를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무선주파수 카드를 리드 할 수 있는 무선주파수 카드 리더부로 구성하는 경우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이때, 카드의 종류로는 전용판매(구입) 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구매카드로는 반환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해당 구매카드로 구매한 경우에 반환하도록 한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영수증 출력부(140)는 쓰레기 봉투 판매시 판매일시, 봉투종류, 봉투일련번호, 판매 금액 정보 등을 인쇄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영수증 정보는 저장부(191)에 저장된다.
봉투 투출 및 반환부(150)는 구매하고자 하는 쓰레기 봉투를 출력하거나, 반환하고자 하는 쓰레기 봉투를 반환받는 부분이다.
봉투정보 리더부(160)는 판매되는 쓰레기 봉투의 바코드 정보를 리드한다. 이와 같이 리드된 정보 역시 저장부(191)에 저장된다.
통신부(170)는 도 7을 통해 후술되는 통신망(600)과 연결되어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00)에서의 판매정보 또는 반환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400)로 판매정 보 등을 전송한다.
전원부(180)는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190)는 표시 및 입력부(110), 센싱부(120), 구매카드 리더부(130), 영수증 출력부(140), 봉투 투출 및 반환부(150), 봉투 정보 리더부(160), 통신부(170) 및 전원부(180)를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00)를 제어한다.
저장부(191)는 제어부(190)내에 포함되어 있지만, 제어부(190)와는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저장부(191)에는 각종 광고 영상정보나 쓰레기 봉투를 판매하기 위한 영상 정보, 판매정보, 반환정보 등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91)에는 각각의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90)의 설치위치 정보(주소, 아파트 명 등)와 식별정보(ID)를 포함한다.
도 5은 본 고안 제 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고안 제 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고안 제 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00)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와 같은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00)는, 표시 및 입력부(110), 센싱부(120), 구매카드 리더부(130), 영수증 출력부(140), 봉투 투출부(151), 봉투 반환부(152), 봉투정보 리더부(160), 통신부(170), 전원부(180) 및 제어부(19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제 2 실시예는 본 고안 제 1 실시예에서의 봉투 투출 및 반환부(150)를 별도로 각각 구성한 것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봉투 투출부(151)는 판매되는 쓰레기 봉투를 투출하기만 하고, 봉투 반환부(152)는 반환하고자 하는 쓰레기 봉투를 반환받기만 한다. 한편, 영수증 출력부(140)는 정상적인 반환인 경우 반환 영수증을 출력한다.
표시 및 입력부(110), 센싱부(120), 구매카드 리더부(130), 봉투 정보 리더부(160), 통신부(170) 및 전원부(180)의 구성은 본 고안 제 1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190)는 표시 및 입력부(110), 센싱부(120), 구매카드 리더부(130), 영수증 출력부(140), 봉투 투출부(151), 봉투반환부(152), 봉투 정보 리더부(160), 통신부(170) 및 전원부(180)를 포함하는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00)를 제어하며, 봉투 판매시에는 봉투 투출부(151)를 제어하여 쓰레기 봉투가 투출되도록 하고, 봉투 반환시에는 봉투 반환부(152)를 제어하여 쓰레기 봉투가 반환되도록 하고, 영수증 출력부(140)를 통해 정상적으로 반환된 쓰레기 봉투에 대한 반환 영수증을 출력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 봉투 판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00)(200)(300)는 본 고안에 따른 관급쓰레기 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로써, 각종 광고나 쓰레기 봉투의 구입요령, 종류별 금액, 반환조건 등을 안내하고, 구매카드가 정상인 경우와 요금결제가 확인되면 쓰레 기 봉투를 자동판매하거나 반환한다.
공동주택 관리서버(400)는 구매카드 정보와, 구매 정보를 저장하며, 전산처리하여 판매대금을 청구하는 서버로써, 아파트와 같은 공통주택의 경우 관리비를 부과하는 경우 함께 부과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구매카드 정보에는 해당 카드를 이용해 쓰레기 봉투를 구입하는 구매자의 주소 및 동, 호수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공동주택 관리서버(400)는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00)(200)(300)와 통신망(600)으로 연결된다.
한편 공동주택 관리서버(400)는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100)(200)(300)로부터의 구매정보와 반환정보를 관리기관서버(500)로 전송한다. 물론, 공통주택관리서버(400)와 관리기관서버(500) 역시 유무선 통신망(600)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유무선 통신망(600은 공중교환전화망(PSTN),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관리기관서버(500)는 예를 들면, 쓰레기 봉투의 공급을 주관하는 기관(구(군)청)의 서버이다. 관리기관서버(500)에서는 공동주택관리서버(400)에서의 판매정보, 반환정보 등에 따라 쓰레기 봉투 판매 지역의 쓰레기 배출량이라던가, 판매 경로 및 판매 수량 등을 전산화하여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자동 반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자동판매 방법은,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의 표시 및 입력부를 통해 각종 광고 방송을 수행 중(S100), 센서에 구매자등 물체가 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감지되면(S110), 쓰레기 봉투 판매를 위한 키오스크(KIOSK) 화면으로 전환한다(S120).
이어서 판매가능 물품(쓰레지 종량제 봉투)의 종류, 판매 가격, 반환버튼 등을 표시한다(S130).
이어, 반환버튼이 선택되면(S140), 카드 결제를 요청하고 카드가 정상카드인가를 판단한다(S150). 이때, 반환조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즉, 해당 자동판매기나 구매카드로 반환할 수 있는 경우에만 반환된다는 안내를 할 수 있는 것이다.
판단결과(S150) 정상카드가 아닌 경우 카드 오류를 안내하고(S160), 종료한다.
그러나, 판단결과(S150), 정상카드인 경우 반환품목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대, 화면에 반환하고자 하는 품목(규격별 일반 쓰레기봉투, 규격별 음식물 쓰레기 봉투)을 디스플레이하고, 반환품목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어, 사용자가 선택한 반환품목이 판매 물품인가를 판단한다(S180).
판단결과(S180), 구매 카드 이력에 판매물품으로 등록된 물품의 반환이 아닌 경우 반환오류를 안내한다(S190). 다시 말하면, 해당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나 해당 구매카드의 이용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에서만 반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반환조건을 안내한다(S200). 여기서의 반환조건 안내로는 반환하고자 하는 쓰레기 봉투의 바코드가 훼손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반환이 가능하다는 것, 훼손된 경우 구매 비용이 청구될 수 있다는 것을 안내한다.
그리고, 반환부를 개방한다(S210).
그 다음, 정상적으로 반환이 되었는가를 판단한다(S220). 예를 들어 5 내지 10 초 이내에 반환이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판단결과(S220), 반환된 경우 반환정보를 저장한다(S230). 이와 같은 반환정보는 저장부에 저장하는데, 반환정보로는, 반환일시, 봉투정보(사용자가 선택한 봉투종류 및 규격정보 등)가 저장된다. 이때, 제어부는 영수증 출력부를 통해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정보는 저장부뿐 아니라 공동주택관리서버로 전송됨으로써 추후 공동주택의 관리비 부과시 부과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일예 및 다른 예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출장소 확인 및 후불판매 가능한 쓰레기 봉투 자동판매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쓰레기 봉투 자동판매기의 주요 기능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 제 1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 제 1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 제 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 제 2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 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 봉투 판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쓰레기 봉투 자동 반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쓰레기봉투 자동판매기
110 : 표시 및 입력부 120 : 센싱부
130 : 구매카드 리더부 140 : 영수증 출력부
150 : 봉투 투출 및 반환부 151 : 봉투 투출부
152 : 봉투 반환부 160 : 봉투 정보 리더부
170 : 통신부 180 : 전원부
190 : 제어부 191 : 저장부
400 : 공동주택 관리서버 500 : 관리기관서버
600 : 통신망

Claims (4)

  1. 각종 광고 영상이나 종량제 쓰레기 봉투 판매 관련 영상을 표시하거나,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 및 해당 물품의 가격 정보와 반환가능 정보를 표시하고 쓰레기 봉투 구매자의 선택이나 반환명령을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입력받는 표시 및 입력부;
    상기 쓰레기 봉투를 구매 또는 반환하고자 하는 구매자 또는 반환자를 포함하는 물체가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하였는지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쓰레기 봉투를 구매 또는 반환할 수 있는 구매카드 정보를 리드하는 구매카드 리더부;
    상기 쓰레기 봉투 판매시 판매일시, 봉투종류, 봉투일련번호, 판매 금액 정보를 인쇄하여 출력하거나 반환된 쓰레기 봉투의 반환일시, 반환봉투 종류 정보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영수증 출력부;
    상기 쓰레기 봉투를 배출하는 봉투 투출 및 반환부;
    상기 쓰레기 봉투 중 판매되는 봉투의 바코드 정보를 리드하는 봉투정보 리더부;
    통신망과 연결되어 쓰레기 봉투 판매 단말기에서의 판매정보 또는 반환정보를 관리하는 관리서버로 판매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쓰레기 봉투 판매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그리고,
    상기 표시 및 입력부, 센싱부, 구매카드 리더부, 영수증 출력부, 봉투 투출 및 반환부, 봉투 정보 리더부, 통신부 및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광고의 출력, 상기 쓰레기 봉투 배출, 영수증출력, 봉투출력, 통신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 투출 및 반환부는 상기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 하나로 구성하거나 별도의 봉투 투출부 및 봉투 반환부로 각각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 반환은 상기 구매카드를 통해 구매되거나, 상기 구매카드를 통해 구매가 가능한 쓰레기 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에서 판매된 쓰레기 봉투에 한해 반환됨이 상기 표시 및 입력부를 통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봉투 반환 시 상기 쓰레기 봉투의 바코드부가 훼손되지 않은 상태의 쓰레기 봉투의 반환이 가능한 것이 상기 표시 및 입력부를 통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KR2020080013348U 2008-10-06 2008-10-06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KR201000039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348U KR20100003954U (ko) 2008-10-06 2008-10-06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348U KR20100003954U (ko) 2008-10-06 2008-10-06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54U true KR20100003954U (ko) 2010-04-15

Family

ID=44450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348U KR20100003954U (ko) 2008-10-06 2008-10-06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395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2554A (zh) * 2014-12-04 2015-03-04 国家电网公司 新型网络售电终端及其系统
CN106297011A (zh) * 2016-08-23 2017-01-04 叶志徐 一种垃圾袋领取机及垃圾袋的领取方法
KR102298554B1 (ko) 2021-07-08 2021-09-07 (주)제이엠테크 종량제봉투, 납부필증 및 대형폐기물 수거 수수료 스티커 판매 자판기를 이용한 통합 판매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2554A (zh) * 2014-12-04 2015-03-04 国家电网公司 新型网络售电终端及其系统
CN106297011A (zh) * 2016-08-23 2017-01-04 叶志徐 一种垃圾袋领取机及垃圾袋的领取方法
KR102298554B1 (ko) 2021-07-08 2021-09-07 (주)제이엠테크 종량제봉투, 납부필증 및 대형폐기물 수거 수수료 스티커 판매 자판기를 이용한 통합 판매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88499U (zh) 自动售货机
KR101183231B1 (ko) 스마트 컵을 이용한 음료 자동 판매 시스템
US7383204B2 (e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customer incentive to purchase non-fuel products and services
US201200299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Recyclable Materials
US20110168775A1 (en) Automated beverage dispensing system
KR20130140285A (ko)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재활용품 수거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34340A (ko) 폐물품 수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US20030163221A1 (en) Automated newspaper rack inventory and alert management system
KR101448101B1 (ko) 광고기능을 갖는 터치식 무인카운터기를 구비한 음식주문결제 시스템
CN209895418U (zh) 一种智能无人售货机
KR20000030864A (ko) 무선통신 단말기가 구비된 자동판매기와 이를 이용한 광고방법 및 관리 방법, 그리고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판매기의전자결재 시스템
US80963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empty packaging
KR20100003954U (ko) 쓰레기 봉투 반환이 가능한 쓰레기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KR200452047Y1 (ko) 관급쓰레기 종량제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및 쓰레기봉투자동판매 시스템
CN108062824B (zh) 智能式酒瓶循环共享系统
CN108074331B (zh) 用于酒瓶循环共享的方法
CN202120364U (zh) 自动售票机
KR20100013212A (ko) 배출장소 확인 및 후불판매 가능한 쓰레기 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쓰레기 봉투 자동 판매 시스템 및 방법
CN109830044A (zh) 一种智能亭
CN209946993U (zh) 一种智能亭
KR20090113140A (ko) 관급쓰레기 종량제 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쓰레기 봉투자동 판매 시스템 및 방법
WO2007100400A2 (en) Propane vending machine and method of providing propane cylinders
KR100485750B1 (ko) 네트웍을 통하여 구매자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표시가 된쓰레기봉투를 판매하는 방법 및 판매 시스템
JP2004164405A (ja) 自動販売機システム及び自動販売機本体
JP4775086B2 (ja) 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