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4340A - 폐물품 수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물품 수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4340A
KR20110034340A KR1020090091839A KR20090091839A KR20110034340A KR 20110034340 A KR20110034340 A KR 20110034340A KR 1020090091839 A KR1020090091839 A KR 1020090091839A KR 20090091839 A KR20090091839 A KR 20090091839A KR 20110034340 A KR20110034340 A KR 20110034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unit
collection
participa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원
Original Assignee
(주)쓰리디미디어솔루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쓰리디미디어솔루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쓰리디미디어솔루션코리아
Priority to KR1020090091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4340A/ko
Publication of KR20110034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4Cou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5Remote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폐물품 수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이 개시된다. 하우징 전면에 마련 건전지투입구에 건전지가 투입되면 광감지부가 그것을 감지하여 개수를 카운트한다. 휴대폰투입구에는 물품의 식별번호리더부를 마련하여 투입하려는 물품이 수거대상 물품인지 여부를 그 물품의 식별번호를 읽어서 판별하고 개수를 카운트한다. 카운트된 폐물품의 전체 수량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폐물품 수거 참가자 또는 그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한다. 폐물품 수거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중앙의 관리시스템과 연결된다. 각 폐물품 수거장치는 수거실적을 관리시스템에 보고하고, 관리시스템은 전체 폐물품 수거장치에서의 수거실적을 수집하여 통계를 내고, 그 수거실적 현황을 각 수거장치에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수거장치에는 동전 투입구와 동전카운트 기능을 더 마련할 수도 있다. 회수된 동전의 금액에 상당하는 상품권, 할인권, 마일리지 또는 탄소포인트 등을 환급해준다. 수거에 참가한 정도에 비례하여 인센티브가 제공되고, 수거실적 현황을 각 수거장치에서 표시함으로써 사람들이 목표를 갖고 폐물품 수거에 적극 동참할 수 있게 된다.
폐건전지, 폐휴대폰, 폐배터리, 수거, 회수, 동전, 환급, 인센티브

Description

폐물품 수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Method for collecting waste articles such as batteries and mobile phones or coins,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폐물품 수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준형 및 비표준형 건전지, 휴대폰과 그 배터리 등과 같은 환경 오염물질을 많이 내포하는 물품 및 휴면 동전을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품(예: 폐건전지, 폐휴대폰과 그 배터리 등) 수거는 환경보호에 필수적이다. 최근 정부 및 민간단체에서 환경보호를 위한 다양한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정책 하에 다양한 홍보 및 지원을 강화/확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정책수단으로서 탄소마일리지, 탄소캐쉬백 프로그램 등을 시행해오고 있다. 하지만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지속적인 참여를 견인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폐건전지에는 수은과 망간과 같은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다. 폐건전지를 중금속 제거를 거치지 않고 그냥 땅속에 묻으면 그 안에 있는 수은이 분해 되면서 땅속으로 녹아나와 토양을 오염시키고, 태우면 대기 오염을 유발하는 유해물질이 나온다. 우리나라의 경우, 폐건전지의 93%가 일반 쓰레기와 함께 그냥 땅속에 매립되거나 소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사정과 맞물려, 우리 국민들은 환경보호에 대한 인식은 낮다고 할 수 없지만 구체적인 행동에 대한 연관성은 낮은 편이다. 환경보호를 위한 사회 전반적인 인프라의 미비로 참여도가 높지 않다. 현실은 폐품 수거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폐품 수거를 쓰레기에 대한 재활용 수준 정도로 보고 참여하고 있는 경향이 있고 특히, 재활용에 대한 사용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건전지에 대한 분리수거의 어려움이 있다.
유통업체들은 정부의 그린 정책에 동참하는 움직임을 꾸준히 확대해오고 있으나, 캠페인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았고, 그를 통해 자신들의 그린 이미지 제고를 위한 홍보에 중점을 두었다. 유통업체들이 폐품 수거 활성화를 자신들의 최대 관심사인 고객 집객 및 매출확대와 연결하려는 시도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아, 그 성과가 아직 미비한 수준이다.
수거 대상인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사도 사회 전반적인 그린 캠페인에 동참하고는 있으나, 유통업체와 마찬가지로 캠페인성에 그치고 홍보적 접근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폐품 수거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 단순한 홍보 수준을 넘어서서 회사 이익기반에 차별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연결고리는 제조사의 요구이기도 하다.
국민들의 폐품 수거에 대한 참여를 보다 활성화할 수 있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참여 동기를 크게 유발할 수 있는 수단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그러한 수단은 해당 제품을 제조, 판매하는 주체와 정부의 공조를 통해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주체들 간의 시스템적인 연계를 통해 정책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20-2009-0003671호에 '폐건전지 수거함'의 일예가 제시되어 있다. 그 수거함은 폐건전지의 수거 및 배출 용이성, 수거함의 설치 및 관리의 편리성, 외부 설치에 따른 배수성 등을 갖추도록 설계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 고안은 수거함 자체의 기구적 설계를 개선하는 데 초점이 맞춰진 것일 뿐, 폐건전지 수거에 사람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하기 위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지 못한 것이다.
한편, 사용되지 않고 저금통이나 책상서랍 등에서 잠자고 있는 휴면 동전의 양이 많을수록 그만큼 국고 손실을 초래한다. 통계에 따르면 2007년에 동전을 새로 만들기 위해 400-500억원 정도의 국고재원을 사용했다고 한다. 정부에서 이러한 낭비를 줄이기 위해 휴면 동전의 회수를 위한 캠페인을 자주 벌이지만, 구호에 그칠 뿐 성과는 별로 없었다. 국민들이 휴면 동전 회수에 쉽고 간편하게 동참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대책이나 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표준형 및 비표준형 폐건전지, 폐휴대폰과 그 배터리 등과 같은 폐물품을 식별하여 그것의 수량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수량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이 폐물품 수거에 적극 동참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폐물품 수거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개별 수거장치에 통신기능을 부여하고 통신망을 통해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되어 있는 수거장치들을 연결시켜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각 수거장치에서의 폐물품 수거실적을 거의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각 수거장치에게도 전체적인 수거실적을 공유하여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폐물품 수거에 대한 목표 의식을 유발하고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위와 같은 폐물품 외에 휴면 동전까지도 함께 회수하고 그 회수 금액에 상당하는 환금성 대가를 환급해주는 기능을 가진 폐물품/동전 수거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마련된 상부개방형의 수거함과, 전면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거함의 하부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고 상기 수거함의 상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투입구와, 상기 물품투입구에 투입되는 폐물품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투입된 폐물품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하는 수량카운트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요한 내용을 표시하고 참가자로부터 소정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카운트된 폐물품의 전체 수량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 급되도록 처리하는 인센티브제공부; 통신망에 연결되어 외부의 관리시스템과 상기 폐물품의 수거현황에 관한 정보 및 수거장치의 유지,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폐물품의 투입절차에 관한 안내 및 폐물품의 수거량에 관한 데이터, 참가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및 상기 수량카운트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인센티브제공부, 상기 통신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폐물품 수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폐물품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량카운트부의 일 구성 예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며 폐건전지가 투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투입구; 상기 물품투입구에 투입된 폐건전지가 상기 수거함으로 낙하하면서 광을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감지부; 상기 광감지부가 출력하는 감지신호를 카운트하여 투입된 폐건지의 수량을 카운트하는 폐건전지 카운트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량카운트부의 다른 구성 예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고 바닥에 상기 수거함의 상부와 연통되는 개방구가 마련된 물품투입구와, 선회운동에 의해 상기 물품투입구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선회판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선회판을 선회구동하는 선회구동부를 포함하는 개방구개폐부; 상기 물품투입구의 일면에 마련되며, 상기 개방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선회판 위에 거치되거나 참가자가 갖다 댄, 폐휴대폰, 폐휴대폰 배터리, 대형 사이즈의 폐건전지를 비롯한,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판독하는 식별번호리더부; 및 상기 식별번호리더부로부터 상기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제공받아 그것이 등록된 식별번호 인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등록된 식별번호인 경우 그 폐물품을 개수 카운트에 반영하고 그 체크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폐물품 카운트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량카운트부의 또 다른 구성 예는 위 두 가지 구성을 모두 포함시킨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마련된 상부개방형의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과, 전면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거함의 하부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수거함과 연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제1 물품투입구에 투입되는 폐건전지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폐건전지 카운트부; 상기 수거함과 연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제2 물품투입구에 진입 또는 거치된 폐휴대폰, 폐휴대폰 배터리, 대형 사이즈의 폐건전지를 비롯한,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판독하여 미리 등록된 식별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그 폐물품을 개수 카운트에 반영하고 상기 수거함에 투입되도록 하는 폐물품 카운트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요한 내용을 표시하고 참가자로부터 소정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카운트된 폐건전지, 폐물품의 전체 수량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처리하는 인센티브제공부; 통신망에 연결되어 외부의 관리시스템과 상기 폐건지, 폐물품의 수거현황에 관한 정보 및 수거장치의 유지,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폐건전지, 폐물품의 투입절차에 관한 안내 및 폐건전지, 폐물품의 수거량에 관한 데이터, 참가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며, 폐건전지와 폐물품의 수거실적 현황에 관한 정보를 하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별도의 발광소자 어레이를 이용하여 숫자로 표시하는 수거현황표시부; 및 상기 폐건전지 카운트부, 상기 폐물품 카운트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인센티브제공부, 상기 통신부, 상기 데이터저장부, 그리고 상기 수거현황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폐물품 수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2 폐물품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건전지 카운트부는 제1 폐물품 수거장치에서 언급한 세 가지 구성 예와 같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폐물품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참가자에게 인센티브 종류 선택화면을 제공하여 그 참가자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종류의 인센티브가 그 인센티브의 제공을 위해 별도의 추가정보를 더 필요로 하는 경우 그 추가정보를 상기 참가자에게 요청하여 입력받아 상기 인센티브제공부로 전달하여, 인센티브 제공이 상기 참가자의 의사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을 마련하고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수거함과 연통되는 개방구가 마련된 물품투입구; 상기 물품투입구에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진입 또는 놓이면, 그 물품의 식별번호를 읽는 식별번호리더부; 상기 식별번호리더부가 판독한 식별번호가 수거대상 물품의 식별번호로서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 여부를 내부의 데이터저장수단 또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의 관리시스템에 조회하고, 조회 결과 상기 물품이 수거대상 물품으로 등록된 것인 경우, 그 물품의 종류별 수량을 카운트하고 상기 조회 결과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물품카운트부; 카운트된 폐물품의 전체 수량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폐물품 수거 참가자 또는 그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처리하는 인센티브제공부; 선회운동에 의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선회판과, 상기 개방구의 개방 지시에 응하여 상기 선회판을 선회구동시켜 상기 물품투입구에 있는 물품을 상기 수거함 안으로 낙하시킨 후 상기 개방구를 다시 폐쇄하는 선회구동부를 포함하는 개방구개폐부; 및 상기 식별번호리더부, 상기 물품카운트부, 상기 인센티브제공부, 상기 선회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3 폐물품 수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3 폐물품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상기 관리시스템은, 수거대상 물품의 식별번호들을 미리 저장해두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카운트부로부터 조회 요청이 있으면 그에 응하여 상기 판독된 식별번호가 상기 수거대상 물품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조회를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상기 관리시스템에게 요청을 하여 조회결과를 받아 상기 물품카운트부에 회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폐물품 수거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참가자에게 인센티브 종류 선택화면을 제공하여 그 참가자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종류의 인센티브가 그 인센티브의 제공에 별도의 정보를 더 필요로 하는 경우 그 정보를 상기 참가자에게 요청하여 입력 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여, 인센티브 제공이 상기 참가자의 의사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마련된 상부개방형의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과, 전면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거함의 하부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수거함과 연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제1 물품투입구에 투입되는 폐건전지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폐건전지 카운트부; 상기 수거함과 연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제2 물품투입구에 진입 또는 거치된 폐휴대폰, 폐휴대폰 배터리, 대형 사이즈의 폐건전지를 비롯한,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판독하여 미리 등록된 식별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그 폐물품을 개수 카운트에 반영하고 상기 수거함에 투입되도록 하는 폐물품 카운트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동전투입구로 투입된 동전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여 가짜 동전인 경우 동전반환구를 통해 내보내고 진짜 동전으로 판별된 동전을 종류별로 개수를 카운트하고, 투입된 동전 전체의 금액을 합산하는 동전인식카운트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요한 내용을 표시하고 참가자로부터 소정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카운트된 폐건전지, 폐물품의 전체 수량 또는 동전의 전체 금액에 상응하는 인센티브 또는 대가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처리하는 인센티브제공부; 통신망에 연결되어 외부의 관리시스템과 상기 폐건지, 폐물품, 동전의 수거현황에 관한 정보 및 수거장치의 유지,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폐건전지, 폐물품, 동전의 투입절차 에 관한 안내 및 수거량에 관한 데이터, 참가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며, 폐건전지, 폐물품, 동전의 수거실적 현황에 관한 정보를 하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별도의 발광소자 어레이를 이용하여 숫자로 표시하는 수거현황표시부; 및 상기 폐건전지 카운트부, 상기 폐물품 카운트부, 상기 동전인식카운트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인센티브제공부, 상기 통신부, 상기 데이터저장부, 그리고 상기 수거현황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4 폐물품 수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폐물품 수거장치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제공부가 참가자에게 제공하는 상기 인센티브는 적립포인트, 현금으로의 환가성이 있는 디지털 머니, 기부금, 할인쿠폰, 상품권, 탄소포인트 중 어느 한 가지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센티브제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쿠폰출구; 및 할인쿠폰을 인쇄하여 상기 쿠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물품 수거장치는 또한, 상기 수거함에 쌓인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의 높이가 소정 높이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여 레벨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수거물 레벨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사실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시스템으로 알려주는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폐물품 수거장치는 또한, 상기 하우징 전면에 설치되어 접근하여 일정시간 이상 머무는 사람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물품투입구 내부에 설치되어 그 물품투입구 안으로 사람의 손이 진입하는 것을 감 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접근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접근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로 하여금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 투입의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내용을 비디오 또는 오디오로 출력하여 그 사람이 투입 의사가 있음이 확인되면 투입절차에 관한 안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센티브제공부는 상기 참가자가 제공한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의 전체 수량, 상기 참가자가 선택한 인센티브 종류, 상기 참가자의 신원확인번호 또는 휴대폰 번호에 관한 정보, 그리고 필요 시 기부금 수혜자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시스템은 상기 인센티브제공부가 전송해준 정보에 의거하여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판독된 식별번호가 등록된 폐물품의 식별번호인 경우, 상기 선회구동부로 하여금 상기 선회판을 선회시켜 상기 개방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선회제어를 함으로써 상기 폐물품이 상기 수거함 안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별번호는 바코드, QR코드, RFID 태그번호 중 어느 한 가지이고, 상기 식별번호리더부는 바코드리더부, QR코드리더부, RFID태그리더부 중 어느 한 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3 폐물품 수거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며,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의 수거실적 현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별도의 발광소자 어레이를 이용하여 숫자로 표시하는 수거현황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3 폐물품 수거장치는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동전 투입구; 상기 하우징 전면에 상기 동전투입구 아래에 마련된 동전반환구; 상기 동전투입구로 투입된 물건이 진짜 동전인지 아니면 가짜 동전인지를 검사하여 진짜인 경우는 통과시키고 가짜인 경우에는 상기 동전반환구를 통해 밖으로 내보내는 동전인식부; 진짜 동전으로 판별된 동전을 종류별로 개수를 카운트하고, 투입된 동전 전체의 금액을 합산하는 동전카운트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카운트된 후 낙하하는 동전을 모아두는 개폐 가능한 동전수거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폐물품 수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전인식카운트부의 구체적인 구성예도 이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인센티브제공부는 카운트된 동전의 총 금액에 상응하는 대가를 동전 수거 참가자의 의사에 따라 그 참가자 또는 그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처리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복수개의 상기 제1, 제2 또는 제3 폐물품 수거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폐물품 수거장치들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각 폐물품 수거장치에서의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의 수거실적에 관한 정보 및 폐물품 수거 참가자에게 제공할 인센티브 제공에 필요한 정보를 각 폐물품 수거장치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인센티브 제공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며, 전체 폐물품 수거장치에서의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의 수거실적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중앙 관리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은 전체 폐물품 수거장치에서의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의 수거실적 정보에 의거하여 수거실적 현황에 관한 통계를 작성하여 각 수거장치로 제공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폐물품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폐물품을 수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거대상 물품의 식별번호를 상기 폐물품 수거장치 내의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통신망으로 통해 연결되는 외부의 관리시스템에 미리 저장해두는 제1단계; 상기 수거장치의 개폐 가능한 물품투입구에 마련된 물품인식수단이, 상기 물품투입구에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진입 또는 거치되면, 그 물품의 식별번호를 판독하는 제2단계; 그 판독된 식별번호가 상기 수거대상 물품의 식별번호로서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 여부를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상기 외부의 관리시스템에 조회하는 제3단계; 조회 결과 상기 물품이 수거대상 물품으로 등록된 것인 경우, 상기 물품투입구를 개방하여 그 물품이 상기 폐물품 수거장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고 그 폐물품의 종류별 수량을 카운트하는 제4단계; 폐물품 참가자가 자신의 폐물품을 전부 투입 완료할 때까지 상기 제2단계 내지 제4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참가자가 투입한 폐물품의 전체 수량에 상응되는 인센티브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하는 제6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폐물품 수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폐물품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폐물품을 수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참가자가 상기 수거장치에 마련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투입 의사를 확인해주면, 투입모드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투입모드가 온 상태인 동안에, 상기 참가자가 상기 수거장치의 하우징에 마련된 건전지 투입구에 투입한 폐건전지 개수를 누적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카운트된, 상기 참가자가 투입한 전체 폐건전지 수량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하는 제3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폐물품 수거방법이 제공된다.
제1 또는 제2 폐물품 수거방법은, 상기 투입모드가 온 상태인 동안에, 상기 참가자가 상기 수거장치의 하우징에 마련된 동전 투입구에 투입한 동전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 가짜로 판별된 동전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동전반환구를 통해 밖으로 내보내고, 진짜로 판별된 동전에 대하여 종류별로 개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참가자가 투입한 전체 금액을 합산하는 단계; 및 합산된 금액에 상당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폐물품 수거방법은 또한, 카운트된 폐물품, 폐건전지, 또는 동전의 전체 수량 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시간 동안 모아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폐물품 수거방법은 또한, 상기 관리시스템이 상기 통신망으로 연결된 전체 폐물품 수거장치들로부터 전송되어온 폐물품, 폐건전지, 또는 동전의 수거실적 현황을 통합 관리하면서 통합된 수거실적 현황을 각 수거장치에게 전송하고, 각 폐물품 수거장치는 통합된 폐물품 수거실적 현황을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폐물품 수거방법은 또한, 상기 폐물품 수거장치에서의 수거실적 현황을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폐물품 수거방법은 또한, 상기 참가자에게 상기 인센티브의 종류를 선택케 하여 그 참가자가 선택한 종류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되, 선택된 인센티브의 종류가 인센티브 제공을 위해 추가 정보를 필요로 하면 상기 참가자에게 요청하여 추가 정보의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폐물품 수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의 종류는 적립포인트, 현금으로의 환가성이 있는 디지털 머니, 기부금, 할인쿠폰, 상품권, 탄소포인트 중 어느 한 가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별번호는 바코드, QR코드, RFID 태그번호 중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상기 제1 또는 제2 폐물품 수거방법은 또한, 상기 폐물품 수거장치 내에 쌓인 폐물품, 폐건전지, 또는 동전의 높이가 소정 높이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그 사실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시스템으로 알려주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또는 제2 폐물품 수거방법은 또한, a) 투입모드 오프 상태에서 i) 물품인식수단이 마련된 물품투입구에 물품이 투입 또는 거치되는 것 또는 ii) 사람이 상기 수거장치 앞에 접근하여 소정시간 이상 머무는 것이 감지되면, 그 참가자에게 투입 시작 의사를 확인하고 투입 시작을 원하는 경우, 또는 b) 참가자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투입모드를 온 상태로 설정하는 경우, 투입모드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참가자가 투입의 완료 또는 종료 의사를 입력하거나 또는 소정시간 이상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참가자의 의사를 확인하였으나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상기 투입모드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물품 수거에 참여한 사람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할 뿐만 아니라 그 인센티브의 양이 그의 수거 참여정도(즉, 수거된 폐물품의 수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지급되므로 폐물품 수거에 대한 참여 동기를 크게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중앙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수거장치에서의 수거실적을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 파악할 수 있어 폐물품 수거실적 현황 파악이 용이하다. 이렇게 파악된 정보는 관련 정책(예: 폐건전지, 폐휴대폰 회수 정책 등)을 마련하는 데 요긴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수집된 수거실적 정보를 전국, 지역별, 또는 매장별(전국의 이마트 매장에 관해), 아파트 단지별 등으로 통계를 내어 각 수거장치에 제공하여 표시케 함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폐물품 수거에 관해 목표를 갖고 적극 동참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휴면 동전의 수거가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서, 국고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폐물품 수거장치(100) 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수거장치(100)는 자립형 하우징(110)을 가진다. 이 하우징(110)의 내, 외부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이 마련되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구체적으로 이 하우징(110)은 내부에 상당량의 폐물품을 수용하는 데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부피를 가지고, 높이는 사람들의 평균키 정도인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수거된 폐건전지를 모아두는 공간인 제1수거함(134)과 수거된 '폐휴대폰과 그의 배터리, 기타 비표준 대형 배터리' 등과 같은 폐물품(용어 '폐물품'은 폐건전지까지를 포함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으되, 여기처럼 폐건전지를 제외한 의미로도 사용됨)을 모아두는 공간인 제2수거함(154)이 서로 구분된 공간으로 마련된다. 물론 수거함을 반드시 별도 공간으로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수거함(134, 154)은 상부는 개방되어 있고 하부 바닥은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제1 및 제2 수거함(134, 154)의 하부에는 그 내부에 쌓여있는 폐건전지나 폐휴대폰을 자중에 의해 바깥으로 빼내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고, 그 배출구는 배출구덮개(136)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배출구덮개(136)는 맞는 열쇠로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수거함(134, 154)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창(138)을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은 보수, 관리 등을 위해 배면이나 측면을 개방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든다.
하우징(110)의 외면에는 사람 눈높이 정도 위치에 디스플레이(112)가 마련되고, 그 옆에는 스피커(114)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112) 아래에는 건전지 투입구(120)와 폰투입구(140)가 좌우에 병치되어 하우징(110) 안쪽으로 파고들어간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건전지 투입구(120) 및 폰투입구(140))와 디스플 레이(112) 사이에는 폐건전지와 폐휴대폰 등의 수거실적 현황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수거현황표시부(116, 118)가 마련된다. 수거현황표시부(116, 118)는 예를 들어 어떤 조직, 지자체, 또는 국가 단위의 수거목표량과 수거율, 그리고 해당 수거장치(100)의 당일 수거량 정보를 숫자로 나타내는 발광소자 어레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수거실적 현황은 디스플레이(112)를 통해서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건전지 투입구(120)의 바닥에는 다양한 사이즈의 폐건전지(130)가 투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구(126)가 마련되고, 상기 바닥은 라운드지게 만들어 그 바닥에 올려진 원통형 건전지가 투입구(126) 속으로 굴러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그 투입구(126)에는 건전지(130)가 굴러 내려갈 수 있는 투입관로(122)가 연결되어 제1수거함(134)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된다. 투입관로(122)의 소정 위치에는 광감지부(124)가 설치된다. 즉, 투입관로(122)의 상면과 하면에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각각 설치되어 광감지부(124)를 구성한다. 광감지부(124)의 발광소자는 수광소자를 향해 예컨대 수 밀리초 주기로 광을 조사한다. 투입구(126)에 투입되어 투입관로(122)를 따라 굴러 내려가는 건전지(130)가 그 광을 잘라서 차단하면 수광소자는 그 광차단을 감지하여 감지펄스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건전지의 투입을 검출할 수 있다. 도면에는 큰 사이즈의 건전지와 작은 사이즈의 건전지를 별도로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26)와 투입관로(122)가 각각 2개 마련되고, 각 투입관로(122)에 별도의 광감지부(124)가 설치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제1 및 제2 수거함(134, 154)의 벽면의 소정 높이에는 수거물 레벨감지 부(132)를 설치된다. 수거물 레벨감지부(132)는 광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수거함(134, 154)의 마주보면 두 벽면에 폐건전지가 가득 찼다고 볼 수 있는 높이로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각각 설치한다. 이 발광소자가 수광소자를 향해 예컨대 수 밀리초 주기로 광을 조사하도록 한다. 수광소자로 가는 광이 소정시간 이상 차단되면 차올라온 폐건전지 또는 폐휴대폰 더미에 의해 광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여 수광소자에서 레벨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제2투입구 즉, 폰 투입구(140) 바닥에는 제2수거함(154)의 상부와 연통되는 개방구가 마련되고, 그 개방구는 개폐부에 의해 열리거나 닫힌다. 개폐부는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개방구의 한쪽 변 부근에 설치된 선회판(144)과, 그 선회판(144)에 결합되어 그 선회판(144)이 수평상태에서 제2수거함(154) 쪽으로 대략 45도 정도 폭으로 선회운동케 하는 선회구동부(146)를 포함한다.
폰 투입구(140) 측면 또는 상면에는 식별번호리더부(142)가 마련된다. 식별번호리더부(142)는 폰 투입구(140) 바닥의 개방구를 폐쇄하고 있는 선회판(144) 위에 폐휴대폰, 폐휴대폰 배터리, 대형 사이즈의 폐건전지 등과 같은 폐물품(150)이 놓이거나 그 폐물품을 갖다대면 그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읽어 들인다. 물품의 식별번호로는 현재 바코드 정보, QR코드 정보, 또는 RFID태그번호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바, 이런 정보를 이용하여 폐물품이 어떤 물품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식별번호리더부(142)는 구체적으로 바코드 리더기, QR코드 리더기, 또는 RFID 태그 리더기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전면의 소정 위치에는 쿠폰출구(160)가 마련되고, 그 쿠폰 출구(160)의 하우징 안쪽으로는 쿠폰을 인쇄하여 쿠폰출구(160)로 내보내는 프린터(162)가 설치된다. 하우징(100)의 전면의 또 다른 위치에는 접근감지부(164)가 설치된다. 이 접근감지부(164, 164a, 164b)는 수거장치(100)에 사람이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해서 소정시간 이상 머무는 경우나 사람의 손이 투입구(120, 140)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접근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전기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회로들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에 집적한 회로유닛(170)이 설치된다. 이 회로유닛(170)에는 예를 들면 CPU, 메모리, 통신유닛, 기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 중 전기회로로 구성되는 것들의 회로들이 모여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각종 감지부(132, 164, 230), 프린터(146), 선회구동부(146), 수거현황표시부(280), 디스플레이(112), 스피커(114) 등과 같이 전기로 동작하는 구성요소들과 전선이나 케이블로 연결된다(단, 전선 등의 연결 관계는 이하의 설명에 의하면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도시하지 않음).
수거장치(100)는 폐건전지나 폐휴대폰 등과 같은 폐물품 외에, 휴면 동전도 함께 회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도 더 마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의 전면에는 여러 종류의 동전을 투입할 수 있는 동전투입구(282)와 그 아래에 동전반환구(284)를 마련한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동전인식부(285)와 동전카운트부(290)을 마련한다. 하우징(110) 내부에는 별도의 동전수거함(295)를 더 마련한다. 동전수거함(295)은 동전카운트부(290)와 연결된다. 동전투입구(282)에 투입된 동전이 동전인식부(285)와 동전카운트부(290)를 통과하면서 가짜로 판별되면 동전반환구(284)로 내보내고, 진짜로 판별되면 동전수거함(295)으로 떨어진다. 동 전수거함(295)에는 외부에서 들여다볼 수 있는 투명창(138)이 마련되고, 쌓인 동전이 기준 레벨까지 올라오면 그것을 감지하여 제어부(210)로 통지하는 레벨감지부(132)도 마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폐물품/동전 수거장치(100-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와 4b는 도 3에 도시된 건전지 투입구(5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폐물품 수거장치(100)와 비교할 때, 폐물품 수거장치(100-1)는 건전지 투입구(500)의 구성에서 차이점이 있다.
건전지 투입구(50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표준형 건전지 사이즈를 수용할 수 있는 투입구를 마련한다. 참고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건전지의 종류별 사이즈(L: 길이, D: 지름)는 다음과 같다.
건전지 종류 AAA AA C D
사이즈 L 44.5
D 10.5
L 50.5
D 13.5-14.5
L 50
D 26.2
L 61.5
D 34.2
이와 같은 사이즈를 고려하여 건전지 투입구(500)는 예시된 것과 같이 각 건전지 사이즈별로 별도의 투입구(510, 512, 514, 516)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사이즈에 맞지 않는 크기의 건전지는 제2투입구(140)를 통해 투입하도록 하면 될 것이다. 투입구(510, 512, 514, 516)들은 건전지 모양과 같이 원기둥형이며 투입된 건전지가 제1수거함(134)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아래쪽은 개방된다.
또한, 투입구(510, 512, 514, 516)에 투입된 건전지를 감지하여 그 개수를 카운트할 수 있도록 감지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감지부(520)는 예컨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 구성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에서 수광소자로 향하 는 광 경로가 투입구(510, 512, 514, 516)의 바로 밑에서 투입구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향하도록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설치한다. 투입구(510, 512, 514, 516)에 투입된 후 아래로 낙하하는 건전지가 발광소자에서 수광소자로 조사되고 있는 광을 차단하면, 수광소자에서 그것을 감지하여 건전지 낙하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어떤 사이즈의 건전지가 투입되었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510, 512, 514, 516)마다 그 안쪽 끝의 좌우측에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배치한 제2감지부들(522, 524,526, 528)을 더 구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폐물품 수거장치(100 또는 100-1)의 기능적 관점에서 본 구성요소들과 그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다. 폐물품 수거장치(100 또는 100-1)는 제어부(210), 수량카운트부(220), 사용자인터페이스(240), 인센티브제공부(250), 통신부(260), 데이터저장부(270)를 갖는다. 폐물품 수거장치(100 또는 100-1)는 또한, 프린터(255), 수거현황표시부(280), 수거물 레벨감지부(132), 접근감지부(164)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부(260)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300)을 통해 외부의 중앙관리시스템(400)과 통신을 수행한다.
데이터저장부(270)는 폐물품 수거장치(100)의 운영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 데이터 예를 들어 폐물품의 투입절차에 관한 안내, 폐물품의 수거량에 관한 데이터, 폐물품 수거 참가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공간을 제공한다.
수량카운트부(220)는 폐물품 감지부(230)와 카운트부(225)를 포함한다. 폐물품 감지부(230)는 건전지나 휴대폰, 배터리 등과 같은 폐물품이 투입구(120) 또는 (140)에 투입되는 것을 감지하여 폐물품 감지신호를 카운트부(225)로 제공한다. 카운트부(225)는 그 수거물 감지부(230)가 제공하는 폐물품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투입된 폐물품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225)를 포함한다. 수거물 감지부(230)는 투입관로(122)에 설치된 광감지부(124), 투입구(510, 512, 514, 516)에 설치된 광감지부(520, 522-528), 그리고 식별번호리더부(142)를 포함한다.
카운트부(225)는 광감지부(124)에서 건전지 검출신호를 출력할 때마다 하나의 건전지가 투입된 것으로 카운트한다. 마찬가지로 광감지부(520)가 건전지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그 때마다 하나의 건전지가 투입된 것으로 카운트한다. 광감지부(520-528)가 더 설치되는 경우, 카운트부(225)는 광감지부(520-528)의 어느 것으로부터 검출신호가 제공되었는지를 함께 고려하여, 투입된 건전지의 사이즈 종류별로 카운트한다.
또한, 카운트부(225)는 식별번호리더부(142)가 전달하는 폐물품 감지신호즉, 폐물품의 식별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투입구(140)에 투입한 물품의 개수를 카운트한다. 이를 위해 휴대폰, 배터리, 대형 사이즈의 건전지 등 수거대상 폐물품의 고유한 식별번호를 미리 확보하여 중앙관리시스템(400)에 등록해두고 일괄적으로 관리한다. 확보된 식별번호는 중앙관리시스템(400)만 보유하거나 또는 각 수거장치(100, 100-1)에도 제공하여 공유할 수 있다. 식별번호를 중앙관리시스템(400)에만 두는 경우, 각 수거장치(100, 100-1)는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읽었을 때마다 통 신망(300)을 통해 중앙 관리시스템(400)에 그 읽은 식별번호가 수거대상 폐물품의 식별번호인지 여부를 조회하여 중앙 관리시스템(400)에 제공하는 조회 결과에 따라 후처리를 한다. 식별번호를 각 수거장치(100, 100-1)와 공유하는 방식을 따른 경우, 중앙 관리시스템(400)은 새로운 식별번호가 생기면 각 수거장치에 대하여 식별번호를 갱신시켜준다. 각 수거장치(100, 100-1)에서는, 제어부(210)가 중앙 관리시스템(400)이 제공해주는 식별번호를 받아서 데이터저장부(270)에 저장, 관리되도록 한다.
수거 참가자가 폐물품(150)을 선회판(144)에 올려놓거나 식별번호리더부(142)에 직접 갖다대면 식별번호리더부(142)는 그 폐물품의 식별번호 정보를 읽어 들여 카운트부(225)에 전달한다. 카운트부(225)는 전달받은 식별번호 정보가 등록된 물품의 식별번호인지 조회를 요청한다. 조회 요청은 제어부(210)를 통해 외부의 중앙 관리시스템(400)에 하거나 또는 내부의 데이터저장부(27)에 대하여 행한다. 중앙 관리시스템(400) 또는 데이터저장부(270)는 해당 식별번호가 수거대상 물품의 식별번호로 등록된 것인지를 검색하여 그 검색결과를 카운트부(225)로 회신한다. 카운트부(225)는 현재 일거들인 식별번호 정보가 수거대상 물품으로 등록된 물품의 식별번호인 경우에 폐물품의 투입 개수를 1개로 카운트 한다. 그와 동시에 제어부(210)는 선회구동부(146)를 작동시켜 선회판(144)이 아래로 대략 45~90도 정도 선회하였다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제어한다. 그에 의해 선회판(144) 위에 올려진 폐물품(150)은 수거함(154) 안으로 낙하된다. 일거들인 식별번호 정보가 수거대상 물품의 것이 아닌 경우에는 그 사실을 사용자인터페이스에 제공하여 스피 커(114)나 디스플레이(112)로 출력하여 수거 참가자가 알도록 해준다.
만약 조회 요청된 식별번호 정보가 등록된 물품의 것이 아닌 경우라면, 제어부(210)는 결과를 카운트부(225)에 알려주고 선회구동부(146)는 작동시키지 않는다. 또한, 오디오출력부(244) 및/또는 비디오출력부(242)에 미리 마련해둔 안내 메시지 즉, 그 물품은 수거 대상이 아님을 알려주는 메시지(이 메시지는 미리 데이터저장부(270)에 저장해두었다가 필요 시 일거들임)를 제공하여 스피커(114) 및/또는 디스플레이(112)로 출력되도록 한다.
폐물품의 수량 카운트는 폐물품 수거 참가자별로 통합 카운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카운트부(225)는 각 사람별로 폐물품 투입의 시작과 완료를 확인하는 절차를 밟아서 각 참가자가 투입한 폐물품의 개수는 통합적으로 카운트한다.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접근감지부(164, 164a, 164b)를 이용한다. 일예에 따르면, 접근감지부(164a)는 하우징(110) 전면에 설치되어 하우징으로부터 일정거리 안에 사람이 접근하면 그를 감지하여 소정시간 이상 머무는 경우 제어부(210)에 접근감지신호를 제공한다. 다른 예로, 접근감지부(164a, 164b)는 투입구(120, 140) 내부에 설치되어 그 투입구 안으로 사람의 손이 들어오는 경우 접근감지신호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접근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인터페이스(240)로 하여금 폐물품 투입의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내용을 스피커(114)나 디스플레이(112)로 출력한다. 그 사람이 사용자인터페이스(240)를 통해 투입 의사가 있음이 확인해주면, 폐물품 투입절차 밑 투입요령에 관한 안내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와 동시에 폐물품 투입모드를 온 상태로 전환한다.
접근감지부(164, 164a, 164b)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투입모드 온/오프 버튼(비도시)을 제공하거나 그러한 버튼을 디스플레이(112)에 화면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참가자가 투입을 시작하기 전에 그 버튼을 눌러 투입모드를 온 상태로 설정하고, 투입이 완료된 후에도 그 버튼을 눌러 투입모드를 오프 상태로 설정하도록 한다.
수거물 레벨감지부(132)는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제1수거함(134) 또는 제2수거함(154)에서 수거된 폐건전지나 폐휴대폰 더미에 의해 발광소자에서 나온 광이 차단되어 수광소자에서 더 이상 광을 수신하지 못하게 되었을 때 그 수광소자가 레벨감지신호를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제어부(210)는 그 레벨감지신호가 입력되면 통신부(260)를 통해 중앙관리시스템(400)에게 수거함의 레벨이 찼음을 보고한다. 중앙관리시스템(400)은 담당자나 담당기관에게 그 사실을 자동으로 통지하여 조치토록 한다.
인센티브제공부(250)는 폐물품 수거에 참가한 사람(참가자)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처리를 직접 또는 중앙 관리시스템(400)을 통해 간접적으로 수행한다. 이를 위해, 참가자가 폐물품 투입을 완료하였다는 사실이 그가 투입한 폐물품의 개수 정보와 함께 제어부(210)로부터 전달되면, 인센티브제공부(250)는 인센티브 지급을 위한 처리를 개시한다. 폐물품의 제공될 수 있는 인센티브로는 적립포인트, 현금으로의 환가성이 있는 디지털머니(예: 모바일 머니, 티머니 등 종류에 제한이 없음), 기부금, 할인쿠폰, 상품권, 탄소포인트 등을 들 수 있다. 참고로, 탄소포인트는 탄소포인트제도(국민 개개인이 온실가스 감축활동에 직접 참여하 도록 유도하기 위해 가정, 상업시설, 기업이 자발적으로 감축한 온실가스 감축분(전기, 가스, 수도 등의 절약량)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로서, 2009.07월부터 환경부와 지자체가 협력 시행중인 제도임)를 통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현금, 탄소캐쉬백, 교통카드, 상품권, 종량제 쓰레기봉투, 공공시설 이용 쿠폰, 기념품 등 지자체가 정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말한다. 인센티브제공부(250)는 할인쿠폰을 인센티브로 제공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전면에 마련된 쿠폰출구(160)와, 할인쿠폰을 인쇄하여 쿠폰출구(16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프린터(162)를 포함한다. 프린터(162)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다. 참가자가 선택한 인센티브가 적립포인트나 모바일 머니, 또는 기부금이면 그 선택된 인센티브의 종류와 해당 인센티브의 수혜자 정보를 통신망(300)을 통해 중앙 관리시스템(400)으로 전달하여 인센티브 지급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240)는 비디오출력부(242), 오디오출력부(244), 그리고 사용자입력부(246)를 구비한다. 비디오출력부(242)는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데이터저장부(270)에 저장된 비디오데이터, 통신부(260)를 통해 중앙관리시스템(400)이 제공해준 데이터 등을 디스플레이(112)로 출력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오디오출력부(244)는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오디오데이터를 스피커(114)를 통해 출력한다. 사용자입력부(246)는 터치패드와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수거 참가자가 입력한 사항을 읽어 들이고 제어부(210)에 전달한다. 입력된 데이터는 제어부(210)가 데이터저장부(270), 인센티브제공부(250)에 제공하거나 또는 통신부(260)를 통해 중앙관리시스템(400)으로 전달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240)는 인센티브 제공을 위해 인센티브제공부(250)가 요청한 처리도 수행한다. 즉, 사용자인터페이스(240)는 인센티브의 종류를 디스플레이(112)에 표시하고 참가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참가자가 원하는 종류의 인센티브를 선택하면, 그 선택된 인센티브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경우 그 참가자로부터 추가 정보를 더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적립포인트나 탄소포인트 또는 현금 환가성이 있는 디지털 머니가 선택된 경우, 그 참가자는 적립포인트나 탄소포인트 또는 디지털 머니를 적립 받는 데 필요한 개인 신원확인 정보(예를 들어, 주민번호나 이에 상응하는 개인 식별번호, 또는 휴대폰 번호 등)를 더 입력받는다. 적립포인트나 탄소포인트의 경우 회원제로 운영하여 사전에 회원정보를 확보해둘 필요가 있을 것이다. 기부금이 선택된 경우에는 기부처 목록을 디스플레이(112)에 표시하고, 참가자가 원하는 기부처를 선택하도록 한다. 할인쿠폰이 선택된 경우에는 별도의 추가정보를 입력받을 필요는 없다.
수거현황표시부(280)는 폐물품의 수거실적 현황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폐물품의 수거 목표량이 어느 정도이며 현재 그 목표가 어느 정도 달성되었는지, 그리고 각 수거장치(100)에서 하루 동안 얼마나 많은 량의 폐물품이 수거되고 있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사람들로 하여금 수거에 관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참가 동기를 유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우징의 전면에 예를 들어 <수거 목표량>, <수거율>, <오늘 수거량> 등과 같은 수거실적에 관한 정보를 숫자로 표시되도록 한다. 표시수단은 디스플레이(112)를 이용할 수도 있다. 다른 방안으로, 발광소자 어레이를 이용하여 수거현항표시부(116, 118)를 하우징(110)에 구성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제어부(210)는 수거실적에 관한 정보를 모아서 수거현황표시부(280)에 제공한다.
수거장치(100, 100-1)는 동전인식부(285)와 동전카운트부(2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동전투입구(282)로 투입된. 동전카운트부(290)는 인식된 동전의 종류별로 개수를 카운트하여 투입된 동전 전체의 금액을 카운트한다. 동전을 인식하고 그 종류별 개수를 파악하는 기술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당업자라면 그러한 공지기술들 중 적절한 것을 채용하여 동전인식부(285)와 동전카운트부(290)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어서, 여기서는 동전을 인식하고 개수를 카운트하는 원리에 관해서만 간단히 설명한다.
동전을 전자식으로 식별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면, 동전인식부(285)는 동전투입구(282)로 투입된 물건이 진짜 동전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동전의 종류별로 금속의 종류와 함유량이 다른데, 500원과 100원짜리 동전은 구리와 니켈, 10원짜리 동전은 구리와 아연, 50원짜리 동전은 구리, 아연, 니켈이 소정 비율로 섞여 있다. 동전인식부(285)는 투입된 동전에 대하여 일정 전압을 걸었을 때 그 동전에 흐르는 전류량을 측정한다. 측정된 전류값이 동전 종류별 기준값에 부합하면 그 동전은 진짜 동전으로 판단하여 다음 검사로 넘기고, 그렇지 않으면 가짜 동전으로 판정한다. 가짜로 판별된 것은 동전반환구(284)를 통해 내보낸다.
동전카운트부(290)는 진짜 동전으로 판정된 것에 대해 그것이 얼마짜리 동전인지를 판별한다. 즉, 동전카운트부(290)는 진짜 동전으로 판정된 것에 대해서는 동전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떨어지는 속도가 다른 점에 착안하여 자석과 광센서를 이용하여 동전의 종류를 검사한다. 즉, 동전은 자석의 양 극 사이를 통과하면서 속도가 느려지고, 이어 광센서가 배치된 공간을 지나면서 그 동전의 크기와 속도가 측정된다. 측정값을 이용하면 동전의 종류가 판별될 수 있다. 만약 측정된 크기와 통과 속도가 각 동전 종류별 기준값과 맞지 않을 경우, 그것은 다시 가짜로 판단하여 동전반환구(284)로 배출한다.
동전인식부(285)와 동전카운트부(290)는 사람이 사용자인터페이스(240)를 통해 동전투입모드를 온 상태로 설정하면 동작모드로 전환하여 동전이 투입될 때마다 각자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동전투입모드를 오프로 전환할 때까지 계속한다. 그렇게 하여 동전카운트부(290)는 그 사람이 투입한 전체 동전의 총액을 누계하고, 그 결과를 인센티브제공부(250)에 알려준다. 인센티브제공부(250)은 폐물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참가자의 의사에 따라 투입한 동전 총액에 상당하는 대가(여기에다 별도의 인센티브를 더 제공할 수도 있음)를 제공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수량카운트부(220), 사용자인터페이스(240), 인센티브제공부(250), 통신부(260), 데이터저장부(270), 선회구동부(146), 수거현황표시부(280), 그리고 동전인식부(285)와 동전카운트부(290) 등의 동작에 필요한 지원과 제어를 수행한다.
도 6은 복수의 폐물품 수거장치들을 여러 지역에 분산 설치하고 이들을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중앙의 관리시스템을 통해 통합 관리하는 방식으로 구성한 폐물품 수거시스템을 도시한다. 폐물품 수거장치(100, 100-1)는 많은 사람들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곳(예를 들면 대형할인점, 백화점, 지하철역, 아파트단지 등)이 라면 어디에 설치하여도 좋다. 각 지역에 설치된 수거장치(100, 100-1)들은 통신망(300)을 통해 중앙의 관리시스템(400)에 연결된다. 중앙 관리시스템(400)은 인센티브지급처리부(420), 통신부(430), 식별번호관리부(440), 수집정보 통계처리부(450),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부(410)를 구비한다.
통신부(430)는 각 수거장치(100, 100-1)와 데이터 통신을 담당한다. 수거장치(100 또는 100-1)가 통신부(260)를 통해 중앙 관리시스템(400)으로 전달하는 정보로는 폐물품 및 동전의 수거량(예: 당일 수거량 또는 실시간 수거량)에 관한 정보, 식별번호 조회 요청 정보, 참가자에게 적립포인트, 탄소포인트나 디지털 머니 또는 기부금과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정보, 수거함(134, 154, 295)에 쌓인 폐물품 등이 기준레벨을 초과하는 경우 그에 관한 경보 등이다. 중앙 관리시스템(400)이 통신부(260)를 통해 수거장치(100 또는 100-1)로 전달할 정보는 전체 수거장치들에서의 폐물품 등의 수거실적 현황 정보(수거실적은 예를 들어 전국, 특정 지역, 매장별 통합 데이터로서 제공될 수 있음), 식별번호 조회 결과 정보, 폐물품 등의 수집에 관한 정책 홍보 컨텐츠, 각종 광고나 이벤트 안내, 인센티브 제공 등의 처리 결과 등이다. 관리시스템(400)과 각 수거장치(100, 100-1) 간의 수거실적에 관한 자료 보고와 공유는 실시간으로 또는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진다. 통신부(430)는 필요 시 특정 수거장치(100, 100-1)와의 통신을 통해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거나 또는 반대로 그 수거장치로부터 자료를 제공받는 처리를 한다.
인센티브지급처리부(420)는 각 수거장치의 인센티브제공부(250)가 요청한 인센티브 지급을 처리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410)에 적립포인트 관리 DB, 디지털머니 지급내역 관리 DB 등을 유지 관리한다. 로컬의 각 수거장치(100, 100-1)에서 할인쿠폰이나 상품권을 발행한 내역도 전달받아 상품권/할인쿠폰발행 관리 DB에 저장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립포인트 지급이나 디지털머니 지급을 위한 시스템이나 방식이나 필요한 시스템 그 자체는 이미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중심 아이디어도 아니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식별번호관리부(440)는 수거대상인 물품의 고유한 식별번호(바코드/QR코드/RFID 태그)정보를 DB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또한 로컬의 수거장치(100, 100-1)가 특정 식별번호의 조회를 요청해오면 그것에 응하여 그 식별번호가 상기 DB에 등록된 식별번호인지를 검색하여 그 검색결과를 회신해준다. 수거대상인 물품의 고유한 식별번호는 예컨대 환경부의 협조를 통해 해당 제조사 또는 유통업체 등으로부터 입수할 수 있을 것이다.
수집정보 통계처리부(450)는 로컬의 각 수거장치별로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폐물품/동전 수거장치 관리 DB에 반영하고, 각 수거장치(100, 100-1)가 보고하는 폐물품 수거 실적에 관한 정보를 받아서 상기 DB에 반영한다. 또한, 전국, 지역별, 매장별, 아파트단지별 등과 같은 단위로 수거실적에 관한 통계 데이터를 작성하여 각 수거장치(100, 100-1)로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부(410)는 이상과 같은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조회 요청에 응하는 처리 결과를 내놓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거장치(100, 100-1)를 이용하여 폐물품을 수거하 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수거장치는 폐물품을 투입하지 않는 동안에는 광고나 환경정책 홍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112)나 스피커(114)를 통해 출력한다(S10). 그러는 중에 수거장치에 사람이 접근하여 소정 시간 이상 머물거나 또는 투입구(120, 140)에 사람이 손을 넣으면 그것을 감지하여, 폐물품 투입의사가 있는지를 묻는 내용을 디스플레이(112)나 스피커(114)를 통해 출력한다(S12). 투입 의사가 확인된 경우, 폐물품 투입 절차 및 투입 요령에 관한 안내를 역시 디스플레이(112)나 스피커(114)를 통해 출력한다(S14). 그리고 폐물품 투입모드를 온 상태로 전환한다(S16). 그 때부터 폐물품 투입모드가 오프 상태로 전환될 때까지, 카운트된 폐물품의 개수는 동일한 사람이 투입한 것으로 계산한다.
투입모드가 온 상태에서, 페물품 수거 참가자는 표준형 폐건전지 및/또는 폐휴대폰/배터리/대형 건전지 등과 같은 비표준형 폐물품의 투입을 진행한다. 참가자는 표준형 폐건전지는 건전지 투입구(120)에 투입하고(S18), 비표준형 폐물품은 휴대폰/배터리 투입구(140)에 투입한다(S26). 투입되는 폐건전지를 감지하여 개수를 카운트하고(S20), 전부 투입되었는지를 확인한다(S22). 아직 투입할 폐건전지가 남아 있으면 단계 S18~S22를 반복 수행하고, 투입이 완료되었으면 투입된 전체 폐건전지의 개수를 확인하고 데이터저장부(270)에 저장한다.
그 후, 폐물품 투입모드를 오프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 즉, 폐물품 투입이 전부 끝났는지 아니면 더 투입할 비표준형 폐물품이 있는지를 참가자에게 확인한다(S35). 확인 결과 더 투입할 것이 남아 있으면 단계 S26으로 돌아가고, 없으면 단계 S36으로 이동한다. 투입구(140) 안으로 비표준형 폐물품이 진입하면(S26), 위 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그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읽어서(S28) 수거대상 물품인지를 확인한다(S29). 확인 결과, 수거대상 물품이면 투입구(140)의 바닥에 형성된 개방구를 개방시켜 그 폐물품을 수거함(154) 안으로 낙하시킨 다음 다시 그 개방구를 닫는다(S30). 하지만 수거대상 물품이 아니면 그 점을 스피커(114)나 디스플레이(112)를 통해 참가자에게 알려주고 다음 번 폐물품의 투입 절차를 진행하도록 유도한다. 폐물품 전부의 투입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한 다음(S32), 참가자가 전부 투입을 확인해주면 투입된 폐물품의 개수를 데이터저장부(270)에 저장하고 단계 S35로 이동한다.
투입모드가 오프로 전환된 다음에는, 디스플레이(122)에 인센티브 종류 선택화면을 표시하여 참가자의 선택을 유도하고, 참가자의 선택을 입력받는다(S36). 참가자가 선택한 인센티브의 종류가 인센티브 지급을 위해 별도의 추가 정보를 더 입력받을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를 요청하여 입력받는다(S38). 입력받은 인센티브 관련 정보와 해당 참가자가 투입한 폐물품의 개수에 관한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중앙의 관리시스템(400)으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인센티브가 지급된다. 물론 할인쿠폰의 경우에는 해당 수거장치(100, 100-1)에서 바로 지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폐물품 수거방법의 처리 절차는 동전의 경우에도 거의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동전인식부(285)와 동전카운트부(290)에 관한 상기 설명에 기초하면 상기 폐물품 수거방법을 적절히 변형하여 동전 수거방법의 절차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표준 사이즈 또는 비표준 사이즈의 폐건전지, 폐휴대폰, 폐배터리 등과 같은 물품의 수거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식별번호가 부여된 물품으로서 수거의 필요성이 있는 물품이라면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이다.
이상에서는 폐물품 수거방법과 이를 위한 수거장치와 수거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고,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안에 속함을 밝혀둔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폐물품 수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폐물품 수거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건전지 투입구의 구성을 도시한 내부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표시된 절단선 A-A에서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폐물품 수거장치의 기능적 구성요소들과 그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폐물품 수거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폐물품을 수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1: 폐물품 수거장치 110: 하우징
112: 디스플레이 114: 스피커
116, 118: 수거현황표시부 120, 500: 표준형 건전지 투입구
122: 투입관로 130: 폐물품(폐건전지)
124, 520, 522, 524, 526, 528: 광감지부
132: 레벨감지부 134: 제1 수거함
136: 덮개 138: 투명창
140: 비표준형 폐물품(휴대폰, 배터리, 대형 건전지) 투입구
142: 식별번호리더부 144: 선회판
146: 선회구동부 150: 폐물품(폐휴대폰 등)
154: 제2 수거함 282: 동전투입구
285: 동전인식부 290: 동전카운트부
164, 164a, 164b: 접근감지센서 300: 통신망
400: 중앙 관리시스템 510, 512, 514, 516: 투입구

Claims (36)

  1. 내부에 마련된 상부개방형의 수거함과, 전면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거함의 하부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고 상기 수거함의 상부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투입구와, 상기 물품투입구에 투입되는 폐물품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투입된 폐물품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트부를 포함하는 수량카운트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요한 내용을 표시하고 참가자로부터 소정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카운트된 폐물품의 전체 수량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처리하는 인센티브제공부;
    통신망에 연결되어 외부의 관리시스템과 상기 폐물품의 수거현황에 관한 정보 및 수거장치의 유지,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폐물품의 투입절차에 관한 안내 및 폐물품의 수거량에 관한 데이터, 참가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및
    상기 수량카운트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인센티브제공부, 상기 통신부, 상기 데이터저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카운트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며 폐건전지가 투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투입구; 상기 물품투입구에 투입된 폐건전지가 상기 수거함으로 낙하하면서 광을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감지부; 상기 광감지부가 출력하는 감지신호를 카운트하여 투입된 폐건지의 수량을 카운트하는 폐건전지 카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카운트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고 바닥에 상기 수거함의 상부와 연통되는 개방구가 마련된 물품투입구와, 선회운동에 의해 상기 물품투입구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선회판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선회판을 선회구동하는 선회구동부를 포함하는 개방구개폐부; 상기 물품투입구의 일면에 마련되며, 상기 개방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선회판 위에 거치되거나 참가자가 갖다 댄, 폐휴대폰, 폐휴대폰 배터리, 대형 사이즈의 폐건전지를 비롯한,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판독하는 식별번호리더부; 및 상기 식별번호리더부로부터 상기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제공받아 그것이 등록된 식별번호인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등록된 식별번호인 경우 그 폐물품을 개수 카운트에 반영하고 그 체크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폐물품 카운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카운트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며 폐건전지가 투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투입구; 상기 물품투입구에 투입된 폐건전지가 상기 수거함으로 낙하하면서 광을 차단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감지부; 상기 광감지부가 출력하는 감지신호를 카운트하여 투입된 폐건지의 수량을 카운트하는 제1카운트부를 구비하는 제1수량카운트부; 및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고 바닥에 상기 수거함의 상부와 연통되는 개방구가 마련된 물품투입구와, 선회운동에 의해 상기 물품투입구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선회판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선회판을 선회구동하는 선회구동부를 포함하는 개방구개폐부; 상기 물품투입구의 일면에 마련되며, 상기 개방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선회판 위에 거치되거나 참가자가 갖다 댄, 폐휴대폰, 폐휴대폰 배터리, 대형 사이즈의 폐건전지를 비롯한,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읽는 식별번호리더부; 및 상기 식별번호리더부로부터 상기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제공받아 그것이 등록된 식별번호인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등록된 식별번호인 경우 그 폐물품을 개수 카운트에 반영하고 그 체크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제2카운트부를 포함하는 제2수량카운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5. 내부에 마련된 상부개방형의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과, 전면 하부에 마련되 고 상기 수거함의 하부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수거함과 연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제1 물품투입구에 투입되는 폐건전지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폐건전지 카운트부;
    상기 수거함과 연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제2 물품투입구에 진입 또는 거치된 폐휴대폰, 폐휴대폰 배터리, 대형 사이즈의 폐건전지를 비롯한,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판독하여 미리 등록된 식별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그 폐물품을 개수 카운트에 반영하고 상기 수거함에 투입되도록 하는 폐물품 카운트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요한 내용을 표시하고 참가자로부터 소정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카운트된 폐건전지, 폐물품의 전체 수량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처리하는 인센티브제공부;
    통신망에 연결되어 외부의 관리시스템과 상기 폐건지와 폐물품의 수거현황에 관한 정보 및 수거장치의 유지,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폐건전지, 폐물품의 투입절차에 관한 안내 및 폐건전지, 폐물품의 수거량에 관한 데이터, 참가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며, 상기 폐건전지와 상기 폐물품의 수거실적 현황에 관한 정보를 하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별도의 발 광소자 어레이를 이용하여 숫자로 표시하는 수거현황표시부; 및
    상기 폐건전지 카운트부, 상기 폐물품 카운트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인센티브제공부, 상기 통신부, 상기 데이터저장부, 그리고 상기 수거현황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건전지 카운트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며 폐건전지가 투입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물품투입구; 상기 제1 물품투입구 투입된 폐건전지가 상기 제1수거함으로 낙하하면서 광을 자르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펄스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광감지부; 및 상기 광감지부가 출력하는 감지펄스를 카운트하여 투입된 폐건전지의 전체 수량을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 결과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제1카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물품 카운트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고 바닥에 상기수거함의 상부와 연통되는 개방구가 마련된 제2 물품투입구와, 선회운동에 의해 상기 제2 물품투입구의 개방구를 개폐하는 선회판과, 하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선회판을 선회구동하여 상기 제2 물품투입구에 거치된 폐물품을 상기 수거함에 낙하되도록 하는 선회구동부를 포함하는 개방구개폐부; 상기 제2물품투입구의 측면 또는 상면에 마련되며, 상기 개방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기 선회판 위에 거치되거나 참가자가 갖다 댄, 폐휴대 폰, 폐휴대폰 배터리, 대형 사이즈의 폐건전지를 비롯한,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읽는 식별번호리더부; 및 상기 식별번호리더부로부터 상기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제공받아 그것이 등록된 식별번호인지를 체크하고, 체크 결과 등록된 식별번호인 경우 그 폐물품을 개수 카운트에 반영하고 그 체크 결과를 하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제2카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참가자에게 인센티브 종류 선택화면을 제공하여 그 참가자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종류의 인센티브가 그 인센티브의 제공을 위해 별도의 추가정보를 더 필요로 하는 경우 그 추가정보를 상기 참가자에게 요청하여 입력받아 상기 인센티브제공부로 전달하여, 인센티브 제공이 상기 참가자의 의사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9.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을 마련하고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위치하며, 내부에 상기 수거함과 연통되는 개방구가 마련된 물품투입구;
    상기 물품투입구에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진입 또는 놓이면, 그 물품의 식별번호를 읽는 식별번호리더부;
    상기 식별번호리더부가 판독한 식별번호가 수거대상 물품의 식별번호로서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 여부를 내부의 데이터저장수단 또는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외부의 관리시스템에 조회하고, 조회 결과 상기 물품이 수거대상 물품으로 등록된 것인 경우, 그 물품의 종류별 수량을 카운트하고 상기 조회 결과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물품카운트부;
    카운트된 폐물품의 전체 수량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폐물품 수거 참가자 또는 그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처리하는 인센티브제공부;
    선회운동에 의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선회판과, 상기 개방구의 개방 지시에 응하여 상기 선회판을 선회구동시켜 상기 물품투입구에 있는 물품을 상기 수거함 안으로 낙하시킨 후 상기 개방구를 다시 폐쇄하는 선회구동부를 포함하는 개방구개폐부; 및
    상기 식별번호리더부, 상기 물품카운트부, 상기 인센티브제공부, 상기 선회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상기 관리시스템은,
    수거대상 물품의 식별번호들을 미리 저장해두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카운트부로부터 조회 요청이 있으면 그에 응하여 상기 판독된 식별번호가 상기 수거대상 물품의 식별번호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조회를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상기 관리시스템에게 요청을 하여 조회결과를 받아 상기 물품카운트부에 회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참가자에게 인센티브 종류 선택화면을 제공하여 그 참가자의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종류의 인센티브가 그 인센티브의 제공에 별도의 정보를 더 필요로 하는 경우 그 정보를 상기 참가자에게 요청하여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더 구비하여, 인센티브 제공이 상기 참가자의 의사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12. 내부에 마련된 상부개방형의 적어도 하나의 수거함과, 전면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수거함의 하부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덮개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수거함과 연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제1 물품투입구에 투입되는 폐건전지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폐건전지 카운트부;
    상기 수거함과 연통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제2 물품투입구에 진입 또는 거치된 폐휴대폰, 폐휴대폰 배터리, 대형 사이즈의 폐건전지를 비롯한, 폐물품의 식별번호를 판독하여 미리 등록된 식별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그 폐물품을 개수 카운트에 반영하고 상기 수거함에 투입되도록 하는 폐물품 카운트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동전투입구로 투입된 동전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여 가짜 동전인 경우 동전반환구를 통해 내보내고 진짜 동전으로 판별된 동전을 종류별로 개수를 카운트하고, 투입된 동전 전체의 금액을 합산하는 동전인식카운트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필요한 내용을 표시하고 참가자로부터 소정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카운트된 폐건전지, 폐물품의 전체 수량 또는 동전의 전체 금액에 상응하는 인센티브 또는 대가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처리하는 인센티브제공부;
    통신망에 연결되어 외부의 관리시스템과 상기 폐건지, 폐물품, 동전의 수거현황에 관한 정보 및 수거장치의 유지, 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폐건전지, 폐물품, 동전의 투입절차에 관한 안내 및 수거량에 관한 데이터, 참가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며, 폐건전지, 폐물품, 동전의 수거실적 현황에 관한 정보를 하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별도의 발광소자 어레이를 이용하여 숫자로 표시하는 수거현황표시부; 및
    상기 폐건전지 카운트부, 상기 폐물품 카운트부, 상기 동전인식카운트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인센티브제공부, 상기 통신부, 상기 데이터저장부, 그리고 상기 수거현황표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13. 제1항, 제5항, 제9항,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 제공부가 참가자에게 제공하는 상기 인센티브는 적립포인트, 현금으로의 환가성이 있는 디지털 머니, 기부금, 할인쿠폰, 상품권, 탄소포인트 중 어느 한 가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14. 제1항, 제5항, 제9항,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제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쿠폰출구 및 할인쿠폰을 인쇄하여 상기 쿠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15. 제1항, 제5항, 제9항,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에 쌓인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의 높이가 소정 높이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여 레벨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수거물 레벨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레벨감지신호가 입력되면 그 사실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시스템으로 알려주는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16. 제1항, 제5항, 제9항,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전면에 설치되어 접근하여 일정시간 이상 머무는 사람을 감지하거나 또는 상기 물품투입구 내부에 설치되어 그 물품투입구 안으로 사람의 손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접근감지신호를 제공하는 접근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로 하여금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 투입의사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내용을 비디오 또는 오디오로 출력하여 그 사람이 투입 의사가 있음이 확인되면 투입절차에 관한 안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17. 제1항, 제5항, 제9항,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제공부는 상기 참가자가 제공한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의 전체 수량, 상기 참가자가 선택한 인센티브 종류, 상기 참가자의 신원확인번호 또는 휴대폰 번호에 관한 정보, 그리고 필요 시 기부금 수혜자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시스템은 상기 인센티브제공부가 전송해준 정보에 의거하여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18. 제3항, 제5항, 제9항,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판독된 식별번호가 등록된 폐물품의 식별번호인 경우, 상기 선회구동부로 하여금 상기 선회판을 선회시켜 상기 개방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선회제어를 함으로써 상기 폐물품이 상기 수거함 안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19. 제3항 내지 제7항, 제9항,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번호는 바코드, QR코드, RFID 태그번호 중 어느 한 가지이고, 상기 식별번호리더부는 바코드리더부, QR코드리더부, RFID태그리더부 중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20. 제1항, 제9항,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며,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의 수거실적 현황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디스플레이 또는 별도의 발광소자 어레이를 이용하여 숫자로 표시하는 수거현황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21. 제1항, 제5항,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동전투입구;
    상기 하우징 전면에 상기 동전투입구 아래에 마련된 동전반환구;
    상기 동전투입구로 투입된 물건이 진짜 동전인지 아니면 가짜 동전인지를 검사하여 진짜인 경우는 통과시키고 가짜인 경우에는 상기 동전반환구를 통해 밖으로 내보내는 동전인식부;
    진짜 동전으로 판별된 동전을 종류별로 개수를 카운트하고, 투입된 동전 전체의 금액을 합산하는 동전카운트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카운트된 후 낙하하는 동전을 모아두는 개폐 가능한 동전수거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인센티브제공부는 카운트된 동전의 총 금액에 상응하는 대가를 동전 수거 참가자의 의사에 따라 그 참가자 또는 그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전인식카운트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된 동전투입구; 상기 하우징 전면에 상기 동전투입구 아래에 마련된 동전반환구; 상기 동전투입구로 투입된 물건이 진짜 동전인지 아니면 가짜 동전인지를 검사하여 진짜인 경우는 통과시키고 가짜인 경우에는 상기 동전반환구를 통해 밖으로 내보내는 동전인식부; 진짜 동전으로 판별된 동전을 종류별로 개수를 카운트하고, 투입된 동전 전체의 금액을 합산하는 동전카운트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카운트된 후 낙하하는 동전을 모아두는 개폐 가능한 동전수거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장치.
  23.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제1항 내지 제7항과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복수 개의 폐물품 수거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폐물품 수거장치들과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각 폐물품 수거장치에서의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의 수거실적에 관한 정보 및 수거 참가자에게 제공할 인센티브 제공에 필요한 정보를 각 폐물품 수거장치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인센티브 제공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며, 전체 폐물품 수거장치에서의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의 수거실적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중앙 관리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관리시스템은 전체 폐물품 수거장치에서의 폐건전지, 폐물품, 또는 동전의 수거실적 정보에 의거하여 수거실적 현황에 관한 통계를 작성하여 각 수거장치로 제공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시스템.
  25. 폐물품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폐물품을 수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거대상 물품의 식별번호를 상기 폐물품 수거장치 내의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통신망으로 통해 연결되는 외부의 관리시스템에 미리 저장해두는 제1단계;
    상기 수거장치의 개폐 가능한 물품투입구에 마련된 물품인식수단이, 상기 물품투입구에 적어도 하나의 물품이 진입 또는 거치되면, 그 물품의 식별번호를 판독하는 제2단계;
    그 판독된 식별번호가 상기 수거대상 물품의 식별번호로서 등록되어 있는 것인지 여부를 상기 데이터 저장수단 또는 상기 외부의 관리시스템에 조회하는 제3단계;
    조회 결과 상기 물품이 수거대상 물품으로 등록된 것인 경우, 상기 물품투입구를 개방하여 그 물품이 상기 폐물품 수거장치 내부로 투입되도록 하고 그 폐물품의 종류별 수량을 카운트하는 제4단계;
    폐물품 참가자가 자신의 폐물품을 전부 투입 완료할 때까지 상기 제2단계 내지 제4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5단계; 및
    상기 참가자가 투입한 폐물품의 전체 수량에 상응되는 인센티브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하는 제6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모드가 온 상태인 동안에, 상기 참가자가 상기 수거장치의 하우징에 마련된 동전 투입구에 투입한 동전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 가짜로 판별된 동전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동전반환구를 통해 밖으로 내보내고, 진짜로 판별된 동전에 대하여 종류별로 개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참가자가 투입한 전체 금액을 합산하는 단계; 및 합산된 금액에 상당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27. 폐물품 수거장치를 이용하여 폐물품을 수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참가자가 상기 수거장치에 마련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투입 의사를 확인해주면, 투입모드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투입모드가 온 상태인 동안에, 상기 참가자가 상기 수거장치의 하우징에 마련된 건전지 투입구에 투입한 폐건전지 개수를 누적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카운트된, 상기 참가자가 투입한 전체 폐건전지 수량에 상응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하는 제3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모드가 온 상태인 동안에, 상기 참가자가 상기 수거장치의 하우징에 마련된 동전 투입구에 투입한 동전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고, 가짜로 판별된 동전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동전반환구를 통해 밖으로 내보내고, 진짜로 판별된 동전에 대하여 종류별로 개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참가자가 투입한 전체 금액을 합산하는 단계; 및 합산된 금액에 상당하는 인센티브를 상기 참가자 또는 상기 참가자가 지정한 수혜자에게 지급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29. 제2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카운트된 폐물품, 폐건전지, 또는 동전의 전체 수량 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시간 동안 모아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30. 제2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관리시스템이 상기 통신망으로 연결된 전체 폐물품 수거장치들로부터 전송되어온 폐물품, 폐건전지, 또는 동전의 수거실적 현황을 통합 관리하면서 통합된 수거실적 현황을 각 수거장치에게 전송하고, 각 폐물품 수거장치는 통합된 폐물품 수거실적 현황을 표시수단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31. 제2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폐물품 수거장치에서의 수거실적 현황을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32. 제2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참가자에게 상기 인센티브의 종류를 선택케 하여 그 참가자가 선택한 종류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되, 선택된 인센티브의 종류가 인센티브 제공을 위해 추가 정보를 필요로 하면 상기 참가자에게 요청하여 추가 정보의 입력을 받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33. 제2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의 종류는 적립포인트, 현금으로의 환가성이 있는 디지털 머니, 기부금, 할인쿠폰, 상품권, 탄소포인트 중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34. 제2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식별번호는 바코드, QR코드, RFID 태그번호 중 어느 한 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35. 제2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폐물품 수거장치 내에 쌓인 폐물품, 폐건전지, 또는 동전의 높이가 소정 높이에 도달한 것이 감지되면 그 사실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관리시스템으로 알려주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36. 제25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a) 투입모드 오프 상태에서 i) 물품인식수단이 마련된 물품투입구에 물품이 투입 또는 거치되는 것 또는 ii) 사람이 상기 수거장치 앞에 접근하여 소정시간 이상 머무는 것이 감지되면, 그 참가자에게 투입 시작 의사를 확인하고 투입 시작을 원하는 경우, 또는 b) 참가자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투입모드를 온 상태로 설정하는 경우, 투입모드를 온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참가자가 투입의 완료 또는 종료 의사를 입력하거나 또는 소정시간 이상 투입이 이루어지지 않아 참가자의 의사를 확인하였으나 응답을 하지 않는 경우, 상기 투입모드를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물품 수거방법.
KR1020090091839A 2009-09-28 2009-09-28 폐물품 수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KR20110034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839A KR20110034340A (ko) 2009-09-28 2009-09-28 폐물품 수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839A KR20110034340A (ko) 2009-09-28 2009-09-28 폐물품 수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340A true KR20110034340A (ko) 2011-04-05

Family

ID=4404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839A KR20110034340A (ko) 2009-09-28 2009-09-28 폐물품 수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4340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724A2 (ko) * 2011-04-18 2012-10-26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폐휴대폰 회수 시스템 및 키오스크 장치
KR101537486B1 (ko) * 2014-10-28 2015-07-16 배응준 탈부착식 분리수거 용품 자동 식별 장치
WO2015111806A1 (ko) * 2014-01-22 2015-07-30 주식회사 누리리사이클 폐건전지 회수장치
KR101667785B1 (ko) * 2016-06-20 2016-11-09 오은서 복합 분리 수거함
KR102145554B1 (ko) * 2020-02-20 2020-08-1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A4 복사 용지 폐지의 이산화탄소 절감량 측정용 수거 시스템
CN111559583A (zh) * 2020-05-19 2020-08-21 陈书亚 一种分离式整齐收纳的电池回收装置
KR102197714B1 (ko) * 2020-02-20 2021-01-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인쇄 용지의 카본 머니 전환 방법
KR102401897B1 (ko) * 2022-02-22 2022-05-26 (주)파이오닉 폐건전지 수거장치
KR102518954B1 (ko) * 2021-10-19 2023-04-0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전지 잔량 판별이 가능한 수거장치
WO2023163478A1 (ko) * 2022-02-22 2023-08-31 (주)파이오닉 폐건전지 수거장치
KR102622975B1 (ko) * 2023-01-03 2024-01-10 최백남 탄소 배출 절감량을 측정하기 위한 불용 전산 장비의 재생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4724A2 (ko) * 2011-04-18 2012-10-26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폐휴대폰 회수 시스템 및 키오스크 장치
WO2012144724A3 (ko) * 2011-04-18 2012-12-13 에코세이브 주식회사 폐휴대폰 회수 시스템 및 키오스크 장치
US9704142B2 (en) 2011-04-18 2017-07-11 Eco-Save, Inc. System and kiosk apparatus for collecting end-of-life mobile phones
WO2015111806A1 (ko) * 2014-01-22 2015-07-30 주식회사 누리리사이클 폐건전지 회수장치
KR101537486B1 (ko) * 2014-10-28 2015-07-16 배응준 탈부착식 분리수거 용품 자동 식별 장치
KR101667785B1 (ko) * 2016-06-20 2016-11-09 오은서 복합 분리 수거함
KR102145554B1 (ko) * 2020-02-20 2020-08-1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A4 복사 용지 폐지의 이산화탄소 절감량 측정용 수거 시스템
KR102197714B1 (ko) * 2020-02-20 2021-01-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인쇄 용지의 카본 머니 전환 방법
CN111559583A (zh) * 2020-05-19 2020-08-21 陈书亚 一种分离式整齐收纳的电池回收装置
KR102518954B1 (ko) * 2021-10-19 2023-04-05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전지 잔량 판별이 가능한 수거장치
KR102401897B1 (ko) * 2022-02-22 2022-05-26 (주)파이오닉 폐건전지 수거장치
WO2023163478A1 (ko) * 2022-02-22 2023-08-31 (주)파이오닉 폐건전지 수거장치
KR102622975B1 (ko) * 2023-01-03 2024-01-10 최백남 탄소 배출 절감량을 측정하기 위한 불용 전산 장비의 재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4340A (ko) 폐물품 수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와 시스템
US11074612B2 (en) Location-aware advertising to vending machine users
AU2002361892B2 (en) Enhanced parking meter utilizing user identification technology
CN205788499U (zh) 自动售货机
CN206097165U (zh) 基于互联网的垃圾分类回收系统及垃圾分类终端机
US20060196926A1 (en) Sensitive commodity depository and method of use
CN106295965A (zh) 基于互联网的垃圾分类回收方法、系统及垃圾分类终端机
KR20110094879A (ko) 폐물품 및/또는 동전의 수거 및 적립포인트를 이용한 자동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RU2611983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банкнотами,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банкнот
KR20070108828A (ko) 재활용품 무인 수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비즈니스 방법
CN105416918B (zh) 一种垃圾分类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CN112373996A (zh) 基于移动终端的可回收物积分兑换系统及兑换方法
KR20060041658A (ko) 실시간 비용정산과 배출량 파악을 위한 쓰레기수거 시스템및 그 방법
CN101821782A (zh) 纸币计数机以及纸币计数系统
CN214731562U (zh) 基于移动终端的可回收物积分兑换系统
KR200452047Y1 (ko) 관급쓰레기 종량제봉투 판매 융복합 단말기 및 쓰레기봉투자동판매 시스템
CN200941231Y (zh) 自动售票机
JP2016221257A (ja) 遊技店商圏分析システム
JP4567552B2 (ja) 売上金回収・送金システム
KR100714926B1 (ko) 폐기물 수거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폐기물 관리 시스템
CN114283519A (zh) 一种特定商品垃圾智能售卖回收方法
JP2003126995A (ja) 空き缶リサイクル装置及び当該装置を用いた空き缶リサイクルシステム
KR102647361B1 (ko) 캡슐 완구 자동판매장치
WO2018066009A1 (en) System for the compaction and management of recyclable waste and related incentive system
KR100485750B1 (ko) 네트웍을 통하여 구매자를 확인할 수 있는 식별표시가 된쓰레기봉투를 판매하는 방법 및 판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