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429B1 -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 Google Patents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429B1
KR102479429B1 KR1020210062383A KR20210062383A KR102479429B1 KR 102479429 B1 KR102479429 B1 KR 102479429B1 KR 1020210062383 A KR1020210062383 A KR 1020210062383A KR 20210062383 A KR20210062383 A KR 20210062383A KR 102479429 B1 KR102479429 B1 KR 102479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main body
inlet
recyclable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885A (ko
Inventor
유상선
Original Assignee
유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상선 filed Critical 유상선
Priority to KR1020210062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4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65F1/08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with a plurality of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65F1/065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with means aiding the insertion of the flexibl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에 관한 것으로서, 재활용품이 수거함의 수거보관공간에 남아있는 상태에서 통신부를 사용하여 재활용품을 수집운반업체에 수집시기를 통보하여 수집운반업체에서 방문전 연속적으로 수거함의 수거보관공간에 남아있는 재활용품을 수거보관하고 수거보관공간이 형성된 다수의 수거함을 설치하여 순환이동시켜 대량의 재활용품을 분리수거 및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하여 다수의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을 기존의 소량의 분리수거대가 있는 주택가 및 아파트 등에 설치하여 수집운반업체의 인력이 종류에 따라 분리된 재활용품을 빠르게 수집하고, 특히, 다수개의 투입구를 입구가 하측을 향한 재활용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재활용품이 1개씩 투입되도록 제한하여 주며, 입구가 하측을 향한 재활용품의 내부의 오염물을 하측으로 낙하시켜 재활용품의 내부에 오염물이 남아 있지 않게 하면서 낙하한 오염물 등의 배출액을 한장소에 모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An eco-friendly optional large-capacity recycled product separate collection box that allows continuous collection}
본 발명은 재활용품이 수거함의 수거보관공간에 남아있는 상태에서 통신부를 사용하여 재활용품을 수집운반업체에 수집시기를 통보하여 수집운반업체에서 방문전 연속적으로 남아있는 수거함의 수거보관공간에 재활용품을 수거보관하고, 수거보관공간이 형성된 다수의 수거함을 설치하여 순환이동시켜 대량의 재활용품을 분리수거 및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서 투입구의 모양 및 크기를 선택하는 다수의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을 기존의 소량의 분리수거대가 있는 주택가 및 아파트 등에 설치하여 수집운반업체의 인력이 종류에 따라 분리된 재활용품을 빠르게 수집하며, 특히, 다수개의 투입구를 입구가 하측을 향한 재활용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여 재활용품이 1개씩 투입되도록 제한하여 주며, 입구가 하측을 향한 재활용품의 내부의 오염물을 하측으로 낙하시켜 재활용품의 내부에 오염물이 남아 있지 않게 하면서 낙하한 오염물 등의 배출액을 한장소에 모아 처리할 수 있는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가정 및 직장 등 생활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재활용품 및 쓰레기 등으로 인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종류의 자원은 분리수집하여 재활용업체로 보내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리수집방법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05142호 등으로 제안된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가 설치된 분리수거장에서 종류별 소량만 분리수집할 수 있을 뿐 일부 분리수집을 하지 않는 사람으로 인하여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수거대(2) 주변에 재활용품(7)과 쓰레기(8)가 섞여 주변환경이 지저분해지고 오염이 발생하여 분리수거가 어렵다.
그리고, 재활용품(7)이 오염이 되면 재활용이 안되고, 재활용에 필요한 비용이 증가하는 일이 발생하며, 분리수거업체의 인력이 현장에 방문하여 종류별로 다시 분리작업을 하면 인력도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작업시간도 증가하므로 재활용 분리수거장에 대해 수거작업이 오랜 시간동안 방치되어 국토오염, 쓰레기산, 악취, 새로운 질병, 자원고갈, 쓰레기 처리비용 등 사회적 문제들과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여 세금으로 사용되고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0514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주택 및 아파트 등의 주변의 분리수거대가 있는 분리수거장에서 재활용품 및 쓰레기가 섞이면서 쌓여 발생되는 문제점인 환경오염, 악취, 쓰레기산, 새로운 질병, 자원의 감소, 막대한 처리비용, 국가의 이미지 추락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재활용품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순환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거함과; 복수의 상기 수거함 중 어느 한 수거함이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수거함을 간헐적으로 순환이동시키는 회전부와; 복수의 상기 수거함 중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 내에 수용된 재활용품의 수용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을 제공한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수거함에 수용된 재활용품의 수집시기를 송신하여 통보하는 통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본체의 일측에 크기가 상이한 투입구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는 입구가 하측을 향한 재활용 용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 사이에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를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의 입구로 안내하는 안내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의 입구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측과 후측에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전측판 및 후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의 바닥판은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경사지는 제 1경사판과; 상기 제 1경사판의 타측과 일측 사이에 배출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측이 상기 제 1경사판의 타측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되고, 높이가 상기 제 1경사판의 높이보다 낮으며,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의 입구방향으로 하향경사지지는 제 2경사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바닥판의 배출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는 배출액을 수용하는 배출액 수용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투입구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보조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보조수거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투입구가 형성된 도어부가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본체는 복수행 및 복수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거함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순환 레일부와; 상기 순환 레일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수거함의 하부가 위치고정되는 순환 체인부와; 상기 순환체인부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 내에 수용된 재활용품을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와;
상기 카운터부의 카운트값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카운터부에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부와;
복수의 상기 수거함을 수동으로 간헐적으로 순환이동시키기 위한 수동회전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카운터부의 카운트값을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복수의 상기 수거함에 수용된 재활용품의 수집시기를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량의 재활용품을 연속적으로 투입구의 모양에 의해 재활용품을 선택하여 수집운반업체가 빠르게 수집운반할 수 있고, 특히, 재활용품의 입구가 하측을 향한 상태로 다수개의 투입구로 1개씩 투입되도록 재활용품의 입구방향을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재활용품 내부의 오염물 등이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어 재활용품의 내부에 오염물 등이 남아있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낙하한 오염물 등의 배출액을 한장소에 모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품이 분리되지 않아 주택 및 아파트 등 주변에 있는 분리 수거장에 재활용품과 쓰레기가 섞이면서 쌓여 발생하는 문제인 환경오염, 악취, 쓰레기산, 새로운 질병, 자원의 감소, 막대한 처리비용, 국가의 이미지 추락 등을 해결할 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리수거대 주변에 재활용품과 쓰레기가 섞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일예의 도어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일예의 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일예의 수거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다른예의 수거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일예의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일예의 압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3은 일예의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다른예의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다른예의 도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본체로부터 배출액 수용함이 인출 및 복수의 수거함으로부터 재활용품이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0 내지 도 22는 본체가 복수행 및 복수열로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인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이 분리수거장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일예의 도어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은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수거함(20), 회전부(30), 검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용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수용공간(12)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부(100)가 교체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100)는 제 1도어(101)와 제 2도어(102)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 1도어(101)의 교체를 위해 제 1도어(101)는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2도어(102)의 교체를 위해 상기 제 2도어(12)는 상기 본체(10)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2도어(102)가 상기 본체(10)의 후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 또는 상기 제 2도어(102)가 상기 본체(10)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본체(10)의 제 1도어(101)의 상부에는 재활용품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활용품은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다양한 형상의 페트병 등을 포함한 재활용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제 1도어(101)의 상부에 1개의 상기 투입구(11)가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다량의 재활용품을 순차적으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제 1도어(101)의 상부에 상기 투입구(11)가 복수행 복수열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투입구(11)는 일예로, 상기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페트병 등을 포함한 재활용 용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재활용 용기의 내부의 오염물이 상기 재활용 용기의 하측 외부방향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투입구(11)의 형상은 재활용 용기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가 재활용 용기(3)의 하측을 향하도록 뒤집혀진 재활용 용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제 1도어(101)의 외측면에는 상기 투입구(11)와 대응되는 형상인 재활용품의 해당 명칭(15)이 인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투입구(11)와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상기 수거함(20) 사이에는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를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상기 수거함(20)의 입구로 안내하는 안내부(2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일예의 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일예로, 상기 안내부(21)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바닥판(211), 전측판(212) 및 후측판(2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211)은 상기 투입구(11)에서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바닥판(211)은 크게, 제 1경사판(211a)과 제 2경사판(21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경사판(211a)의 상부방향에 복수의 상기 투입구(11)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 1경사판(211a)은 상기 본체(10)의 제 1도어(101)의 내측면 상부에 일정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경사판(211a)은 상기 본체(10)의 제 1도어(101)의 내측면 상부에서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 1경사판(211a)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과 상기 제 2경사판(211b)의 일측 사이에 배출공간(211c)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 2경사판(211b)의 일측은 상기 제 1경사판(211a)의 타측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2경사판(211b)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제 2경사판(211b)은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2)으로 뒤집혀진 상태로 투입된 재활용품을 이루는 재활용 용기(3)가 상기 배출공간(211c)으로 인한 걸림현상없이 상기 제 1경사판(211a)에서 상기 제 2경사판(211b)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2경사판(211b)의 상하높이는 상기 제 1경사판(211a)의 상하높이보다 낮은 것이 좋다.
상기 안내부(21)의 배출공간(211c)의 하측방향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배출액 수용함(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2)으로 뒤집혀진 상태로 투입된 재활용품을 이루는 재활용 용기(3)의 내부에 남아있는 물, 과자부스러기 등을 포함한 액상 또는 고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오염물(D)은 뒤집혀진 상태인 재활용 용기(3)의 하측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제 1경사판(211a)을 따라 상기 배출공간(211c)으로 흘러내릴 수 있다.
상기 배출함 수용함(22)의 내부에는 상기 배출공간(211c)으로 흘러내리면서 상기 배출공간(211c)의 하측방향으로 낙하하는 오염물(D) 등의 배출액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212)은 상기 바닥판(211)의 전측에 상기 바닥판(211)의 상측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213)은 상기 바닥판(211)의 후측에 상기 바닥판(211)의 상측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212)과 상기 후측판(213) 사이에 복수의 상기 투입구(11)가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거함(20)은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2)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순환이동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배치된다.
도 7은 일예의 수거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예로, 상기 수거함(20)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수거함(20)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으며, 일예의 상기 수거함(20)의 내측에 형성된 수거보관공간에 쓰레기봉투(24)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봉투(24)의 상부는 뒤집혀져 일예의 상기 수거함(20)의 상부를 감싼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수거함(2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캐스터 등 다양한 종류의 이동바퀴(도 10의 2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다른예의 수거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른예로, 상기 수거함(20)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프레임(201), 하부프레임(202), 연결대(203) 및 보조연결대(2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01)의 하부방향에 상기 하부프레임(20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프레임(201)과 상기 하부프레임(202)은 사각틀 형상, 환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대(203)는 상기 상부프레임(201)의 각 모서리부위와 상기 하부프레임(202)의 각 모서리 사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상부프레임(201)과 상기 하부프레임(20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보조연결대(204)는 제 1보조연결대(204a)와 제 2보조연결대(204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보조연결대(204a)는 상기 하부프레임(202)의 내측에 상기 하부프레임(202)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프레임(202)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조연결대(204b)는 상기 제 1보조연결대(204a)의 중앙 사이에 상기 하부프레임(202)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수거함(20)의 내측에도 상기 쓰레기봉투(24)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쓰레기봉투(24)의 상부는 뒤집혀져 다른예의 상기 수거함(20)의 상부를 감싼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수거함(20)의 제 1보조연결대(204a)의 하부에 캐스터 등 다양한 종류의 이동바퀴(2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21)에 의해 어느 한 수거함(20)의 상부에 형성된 입구로 안내된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재활용 용기(3)는 일예의 상기 수거함(20) 및 다른예의 상기 수거함(20)의 내측에 수용된 상기 쓰레기봉투(24)의 내측으로 낙하 및 수용될 수 있다.
도 9는 일예의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부(30)는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이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을 간헐적으로 순환이동시키게 된다.
일예로, 상기 회전부(30)는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순환 레일부(310), 순환체인부(320) 및 구동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순환 레일부(31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레일몸체(311)와 돌출레일(3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몸체(311)는 일예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 하부에 안착된 상태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몸체(311)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레일몸체(311)를 따라 사각틀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는 가이드슬릿(31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레일(312)이 상기 수거함(20)의 이동바퀴(25)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출레일(312)은 상기 가이드슬릿(311a) 주변의 상기 레일몸체(311) 상부부위에서 상기 레일몸체(31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수직돌출된 상태로 상기 레일몸체(311)를 따라 사각틀 형상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이 상기 본체(10)의 수용공간(12)내에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순환이동가능하도록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의 이동바퀴(25)는 상기 돌출레일(312) 주변의 상기 레일몸체(311)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순환체인부(320)에는 상기 순환 레일부(310)의 레일몸체(311)에 안착된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의 하부가 위치고정될 수 있다.
일예의 상기 수거함(20)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수거함(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는 제 1연장축(26)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예의 상기 수거함(20)의 제 2보조연결대(204b)의 하부 중앙에도 상기 수거함(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1연장축(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장축(26)의 하부는 상기 순환 레일부(310)의 레일몸체(311)의 가이드슬릿(311a)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레일몸체(311)의 상부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순환체인부(320)는 일예로, 상기 순환 레일부(310)의 레일몸체(311)의 내측에 구비되는 엔드리스 체인으로 이루어질 있다.
상기 순환체인부(320)의 상부에는 상기 순환체인부(3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는 제 2연장축(321)이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장축(26)의 하부와 상기 제 2연장축(321)의 상부 사이에 상기 제 1연장축(26)과 상기 제 2연장축(32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링크(27)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장축(26)의 하부가 상기 연결링크(27)의 일측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 1연장축(26)의 하부는 상기 연결링크(27)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장축(321)의 상부가 상기 연결링크(27)의 타측을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 2연장축(321)의 상부는 상기 연결링크(27)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 결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330)는 일예로, 크게, 구동모터(331), 구동스프로켓(332) 및 종동스프로켓(33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순환체인부(320)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31)는 상기 순환 레일부(310)의 레일몸체(311)의 전측 중간부 내측 하부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스프로켓(332)은 상기 순환체인부(320)의 전측 중간부에 치합된 상태로 상기 구동모터(331)의 구동축(331a)의 상부에 수평결합되어 상기 구동축(331a)을 따라 간헐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순환체인부(320)와 함께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을 간헐적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종동스프로켓(333)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순환 레일부(310)의 레일몸체(311)의 각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 일정높이로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종동스프로켓(333)은 상기 순환체인부(320)의 각 모서리부위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순환체인부(320)의 각 모서리부위와 치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는 제 1도어(101)의 상부에는 상기 투입구(11)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보조투입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투입구(13)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는 상기 배출액 수용함(22)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보조수거함(1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수거함(14)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상기 보조수거함(14)이 구비되도록 상기 보조투입구(13) 하부방향의 상기 제 1도어(101)의 내측면부위에 상기 보조수거함(14)이 용접고정 또는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예로,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페트병 등의 재활용 용기의 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뚜껑(5)은 상기 재활용 용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수거함(14)을 통과하면서 상기 보조수거함(14)내로 낙하하여 상기 보조수거함(14)내로 수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뚜껑(5)이 상기 본체(10)의 내부 바닥으로 낙하하여 상기 회전부(30)의 고장을 유발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투입구(13)에는 재활용 용기로부터 분리된 뚜껑(5) 이외에도 라벨, 비닐, 테이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잡자재 중 어느 하나의 잡자재가 통과하여 상기 보조수거함(14)내에 수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보조투입구(13)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제 1도어(101)의 외측면에는 상기 보조투입구(13)로 투입될 뚜껑(5) 또는 라벨, 비닐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잡자재의 해당명칭(15)이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수거함(14)내로 낙하한 뚜껑 또는 라벨, 비닐, 테이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잡자재 중 어느 하나의 잡자재를 상기 보조수거함(14)으로부터 용이하게 수거하기 위해, 일예로, 상기 보조수거함(14)의 전측에는 상기 보조수거함(14)의 내측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4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4a)는 일예로, 상기 보조수거함(14)의 전측에 여닫이 도어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일예의 압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내에 수용된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재활용 용기(3)를 압축하는 압축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23)는 압축판(231), 가이드축(232), 가이드몸체(233), 탄성부재(234) 및 액츄에이터(2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판(231)은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상부방향에 승강가능하게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232)은 상기 압축판(231)의 상부 중앙에서 상기 압축판(231)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232)의 상부 외면에는 환형의 안착턱(232a)이 상기 가이드축(232)의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축(232)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축(232)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돌출축(232b)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233)의 하부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축(232)의 상부가 상기 가이드몸체(233)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가이드홈(233b)이 상기 가이드몸체(233)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몸체(233)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233b)의 하부 내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축(232)의 안착턱(232a)을 지지하는 환형의 지지턱(23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34)의 하부 내측에 상기 돌출축(232b)이 수용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233)의 가이드홈(233b)의 상부 내면과 상기 가이드축(232)의 상단부 사이에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2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34)는 상기 가이드축(232)을 상기 가이드몸체(233)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35)는 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몸체(235b)는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상기 수거함(20)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주면 상부 일측에 수직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로드(235a)의 하부에 상기 가이드몸체(233)의 상부가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액츄에이터(235)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235a)의 길이는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압축시간마다 신축될 수 있고, 상기 액츄에이터(235)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235a)의 길이가 늘어날 경우, 상기 압축판(231), 가이드축(232) 및 가이드몸체(233)가 점차 하강될 수 있고, 하강하는 상기 압축판(231)은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상부 내측에 수용된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재활용 용기(3)를 압축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234)는 점차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235)를 이룰 수 있는 실린더의 로드(235a)의 길이가 줄어들 경우, 상기 압축판(231), 가이드축(232) 및 가이드몸체(233)가 점차 상승하면서 상기 재활용 용기(3)의 압축 상태가 해제될 수 있고, 이때, 상기 탄성부재(234)는 점차 팽창될 수 있다.
도 13은 일예의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검출부(40)는 복수의 상기 수거함(20) 중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내에 수용된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재활용 용기(3)의 수용정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40)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부(30)의 구동부재(330)의 구동모터(33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검출부(40)는 일예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발광부재(410)와, 상기 발광부재(410)가 발광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410)는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전측면 일측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일측지지다리(43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광부재(420)는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후측면 타측 주변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수직구비되는 타측지지다리(440)의 상부에 상기 발광부재(410)와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다리(430)의 상부와 상기 타측지지다리(440)의 상부가 상기 수거함(20)의 상부보다 높도록 상기 일측지지다리(430)의 상부와 상기 타측지지다리(440)의 상부는 각각 상기 수거함(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10)의 외면 또는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검출부(40)의 검출신호를 근거로 복수의 상기 수거함(20) 내부에 수용된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재활용 용기(3)의 넘침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410)가 발광하는 빛을 상기 수광부재(420)가 수광할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내부에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재활용 용기(3)가 어느 한 수거함(20)의 외부로 넘칠 우려없이 수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부(30)의 구동부재(330)의 구동모터(331)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410)가 발광하는 빛을 상기 수광부재(420)가 수광하지 못할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내부에 상기 발광부재(410)가 발광하는 빛이 재활용 용기(3)에 가려질 정도로 너무 많은 양으로 수용되어 재활용 용기(3)가 어느 한 수거함(20)의 외부로 넘칠 우려가 다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부(30)의 구동부재(330)의 구동모터(331)는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을 간헐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4는 다른예의 검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검출부(40)는 다른예로,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몸체(400)와 상기 발광부재(410) 및 상기 수광부재(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몸체(400)는 상기 수거함(20)의 상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 후측방향의 상기 본체(10)의 후측 내면에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410)와 상기 수광부재(420)는 상기 고정몸체(400)의 전측면 일측과 전측면 타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410)가 발광하는 빛은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상부에 노출되는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재활용 용기(3)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상기 수광부재(420)는 상기 재활용 용기(3)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수광할 수 있다.
상기 수광부재(420)가 수광하는 빛의 수광량이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수광량 초과인 경우, 상기 판단부는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내부에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재활용 용기(3)가 상기 검출부(40)에 근접할 정도로 너무 많은 양으로 어느 한 수거함(20)의 내부에 수용되어 넘칠 우려가 다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부(30)의 구동부재(330)의 구동모터(331)는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을 간헐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광부재(420)가 수광하는 빛의 수광량이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기준수광량 이하인 경우,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내부에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재활용 용기(3)가 어느 한 수거함(20)의 외부로 넘칠 우려없이 수용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부(30)의 구동부재(330)의 구동모터(331)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후면 타측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10)의 후면 부위에는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의 위치를 정밀검출하는 위치검출부(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검출부(45)는 근접센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검출부(40)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회전부(30)의 구동부재(330)의 구동모터(331)를 작동시키고 있는 과정 중에 상기 위치검출부(45)가 상기 투입구(11) 주변의 상기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20)을 검출할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부(30)의 구동부재(330)의 구동모터(331)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도 15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운터부(41), 표시부(42), 리셋부(43) 및 수동회전스위치(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운터부(41)는 상기 제어부(50)에 구비되어 상기 검출부(40)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부(3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50)의 제어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2)는 상기 본체(10)의 외면에 구비되어 상기 카운터부(41)의 카운트값을 숫자 등으로 화면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셋부(43)는 상기 제어부(50)에 누름식 버튼,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카운터부(41)에 리셋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카운터부(41)에 리셋 신호가 출력될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운터부(41)의 카운트값은 초기화될 수 있다.
상기 수동회전스위치(44)는 상기 제어부(50)에 구비되는 푸쉬버튼스위치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동회전스위치(44)가 ON상태로 설정될 때마다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부(30)는 전원공급부(501)로부터 전원을 간헐적으로 공급받으면서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을 간헐적으로 순환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에 수용된 재활용품의 수집시기를 송신하여 통보하는 통신부(46)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통신부(46)는 상기 카운터부(41)의 카운트값을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종류의 통신망을 통해 분리수거업체의 PC 또는 분리수거업체의 담당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로 송신하여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에 수용된 재활용품의 수집시기를 통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에는 기준카운트값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50)에 설정된 기준카운트값은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의 전체 개수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카운터부(41)의 카운트값이 상기 제어부(50)에 설정된 기준카운트값 이하인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통신부(46)는 작동중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운터부(41)의 카운트값이 상기 제어부(50)에 설정된 기준카운트값과 동일한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판단부는 복수의 상기 수거함(20) 전체에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재활용 용기(3)가 넘칠 우려가 다분할 정도로 수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통신부(46)는 상기 카운터부(41)의 카운트값을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종류의 통신망(46)을 통해 분리수거업체의 PC 또는 분리수거업체의 담당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 등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다른예의 도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다른예로서, 상기 도어부(100)의 제 1도어(101)는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여닫이 도어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도어(102) 또한 상기 본체(10)의 전측 또는 후측에 여닫이 도어방식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10)의 전측과 후측 모두에 각각 여닫이 도어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체로부터 배출액 수용함이 인출 및 복수의 수거함으로부터 재활용품이 분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분리수거업체의 담당자는 상기 본체(10)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하여 도 18 및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도어(101)와 상기 제 2도어(102)를 이용하여 상기 수용공간(12)을 개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분리수거업체의 담당자는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액 수용함(22)에 수용된 오염물(D) 등의 배출액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배출액 수용함(22)을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분리수거업체의 담당자는 상기 수동회전스위치(44)를 통해 복수의 상기 수거함(20) 전체를 간헐적으로 순환이동시켜가면서 복수의 상기 수거함(20)의 내측으로부터 재활용품을 이룰 수 있는 재활용 용기(3)가 넘칠 우려가 다분할 정도로 담겨진 쓰레기봉투(24)를 순차적으로 분리수거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체가 복수행 및 복수열로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20 내지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는 복수행 및 복수열로 설치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상기 본체(10)의 일측마다 각각 구비된 상기 제 1도어(101)마다 크기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복수개의 상기 본체(10)의 내부마다 재활용품이 종류별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도어(101)마다 크기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상기 투입구(11)의 형상은 입구가 하측을 향한 해당 재활용품의 종류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 1도어(101)마다 크기가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상기 투입구(11)의 형상은 유리병 등의 병 형상, 알루미늄, 스틸 등 금속재질의 캔 형상, 페트병 형상, 커피컵이나 스무디컵 등의 컵형상, 수평으로 눕혀진 종이나 수평으로 접혀진 종이박스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일측으로부터 서로 다른 형상의 투입구(11)가 형성된 복수의 상기 제 1도어(101)를 교체하면서 복수의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투입되어 상기 수거함(20)에 수거될 해당 재활용품의 종류를 교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량의 재활용품을 연속적으로 투입구의 모양에 의해 재활용품을 선택하여 수집운반업체 등이 빠르게 수집운반할 수 있고, 특히, 재활용품의 입구가 하측을 향한 상태로 다수개의 투입구(11)로 1개씩 투입되도록 재활용품의 입구방향을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재활용품 내부의 오염물(D) 등이 하측으로 낙하할 수 있어 재활용품의 내부에 오염물(D) 등이 남아있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낙하한 오염물(D) 등의 배출액을 한장소에 모아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3 및 도 24는 본 발명인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이 분리수거장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3 및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택 및 아파트 등의 주변에 있는 분리수거장에 기존의 분리수거대 대신하여 설치하여 재활용품의 분리수거를 유도하기 때문에 재활용품이 분리되지 않아 분리 수거장에 재활용품과 쓰레기가 섞이면서 쌓여 발생하는 문제인 환경오염, 악취, 쓰레기산, 새로운 질병, 자원의 감소, 막대한 처리비용, 국가의 이미지 추락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본체, 20; 수거함,
30; 회전부, 40; 검출부,
50; 제어부.

Claims (10)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재활용품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순환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거함과;
    상기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 사이에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를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의 입구로 안내하기 위해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경사지는 제 1경사판과, 상기 제 1경사판의 타측과 일측 사이에 배출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측이 상기 제 1경사판의 타측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되고, 높이가 상기 제 1경사판의 높이보다 낮으며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의 입구방향으로 하향경사지지는 제 2경사판으로 이루어지는 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안내부와;
    상기 안내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바닥판의 배출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는 배출액을 수용하는 배출액 수용함과;
    복수의 상기 수거함 중 어느 한 수거함이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수거함을 간헐적으로 순환이동시키는 회전부와;
    복수의 상기 수거함 중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 내에 수용된 재활용품의 수용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2.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재활용품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순환가능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거함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수거함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착되는 순환 레일부와, 상기 순환 레일부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수거함의 하부가 위치고정되는 순환 체인부와, 상기 순환 체인부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로 이루어져 복수의 상기 수거함 중 어느 한 수거함이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수거함을 간헐적으로 순환이동시키는 회전부와;
    복수의 상기 수거함 중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 내에 수용된 재활용품의 수용정도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수거함에 수용된 재활용품의 수집시기를 송신하여 통보하는 통신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크기가 상이한 투입구가 복수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는 입구가 하측을 향한 재활용 용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바닥판의 전측과 후측에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연장형성되는 전측판 및 후측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투입구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보조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보조수거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상기 투입구가 형성된 도어부가 교체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복수행 및 복수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 주변의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위치한 어느 한 수거함 내에 수용된 재활용품을 압축하는 압축부와;
    상기 검출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부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횟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부와;
    상기 카운터부의 카운트값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카운터부에 리셋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부와;
    복수의 상기 수거함을 수동으로 간헐적으로 순환이동시키기 위한 수동회전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카운터부의 카운트값을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여 복수의 상기 수거함에 수용된 재활용품의 수집시기를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10. 삭제
KR1020210062383A 2021-05-14 2021-05-14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KR102479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83A KR102479429B1 (ko) 2021-05-14 2021-05-14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83A KR102479429B1 (ko) 2021-05-14 2021-05-14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885A KR20220154885A (ko) 2022-11-22
KR102479429B1 true KR102479429B1 (ko) 2022-12-19

Family

ID=84236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383A KR102479429B1 (ko) 2021-05-14 2021-05-14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4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888B1 (ko) * 2012-03-29 2012-09-11 이동조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24133D0 (en) * 1990-11-06 1990-12-19 Ici Plc Aqueous composition
KR200405142Y1 (ko) 2005-10-13 2006-01-10 추봉완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대
KR100932845B1 (ko) * 2007-09-17 2009-12-21 한석옥 재활용품 수집용 상품판매기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수거시스템
KR20150105854A (ko) * 2014-03-10 2015-09-18 (주)더모스트컨설팅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888B1 (ko) * 2012-03-29 2012-09-11 이동조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885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9304A (en) Carousel compactor for multi-component refuse
CN214191039U (zh) 用于垃圾分类和收集分类的垃圾的装置
AU636960B2 (en) Compacting and selecting machine for solid and ferrous or non-ferrous metallic refuse such as containers, cans, bottles and similar
US5447017A (en) Automatic waste recycling machine and disposal system
KR102162265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2034954B1 (ko) 쓰레기 분리 수거대
CN107148389B (zh) 模块化废品转运站(mwt)
CN109625681A (zh) 一种自动识别垃圾类别的垃圾桶
KR102479429B1 (ko) 연속적 수거가 가능한 친환경 선택형 대용량 재활용품 분리수거함
CN110803419A (zh) 一种生活垃圾沥水分类回收机
KR20160018189A (ko) 쓰레기 분리 수거함
EP0555939B1 (en) Transportable container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or processing of recyclable waste
CN102295119B (zh) 一种具有分选功能的垃圾箱及其机芯装置
KR100562934B1 (ko) 가정용 분리수거 쓰레기통
KR101654506B1 (ko) 가정용 쓰레기 배출방법 및 장치
KR10239303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CN214421391U (zh) 一种智能垃圾分类回收设备
CN111169860B (zh) 一种垃圾环保智能分离及营养土转换系统及转换方法
KR102123420B1 (ko) 재활용폐기물을 이용한 파쇄건조 일체형 고형연료 제조장치
JP2904665B2 (ja) 分別ゴミ収集車
WO2012094711A1 (en) Waste processing apparatus
KR101412169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종량제 수거장치
KR200203552Y1 (ko)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장치
RU8657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бытового мусора в жилом доме
CN214932713U (zh) 一种垃圾分类切换回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