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227Y1 - 주화계수기를 탑재한 주화수거차량 - Google Patents

주화계수기를 탑재한 주화수거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227Y1
KR200419227Y1 KR2020060008322U KR20060008322U KR200419227Y1 KR 200419227 Y1 KR200419227 Y1 KR 200419227Y1 KR 2020060008322 U KR2020060008322 U KR 2020060008322U KR 20060008322 U KR20060008322 U KR 20060008322U KR 200419227 Y1 KR200419227 Y1 KR 200419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coins
unit
counter
c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규
Original Assignee
(주)뉴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뉴젠텍 filed Critical (주)뉴젠텍
Priority to KR2020060008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2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2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3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money or other valu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0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generators driven by a machine different from the vehicl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화계수기를 탑재한 주화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화를 투입하는 주화투입부와, 상기 주화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주화를 금액 단위별로 판별하고 불량주화를 걸러내는 주화선별부와, 상기 주화선별부에서 선별된 주화를 세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에 기록된 금액을 합산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및 각 단위별로 분류된 주화를 저장하는 주화저장부를 포함한 주화계수부와; 상기 주화계수부에 투입된 주화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지폐 및 주화를 출금하여주는 출금부 및; 상기 주화계수부 및 출금부를 비롯한 전체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 주화계수기 및; 상기 주화계수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 주화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화수거차량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되지 않고 주화를 지폐로 교환하거나 주화의 입금 또는 송금을 가능하게 하여 주화교환을 둘러싼 소비자와 금융기관의 불편을 해소하고 휴면 주화를 다시 시장에 유통되도록 하여 소모적이고 비경제적인 주화재발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주화수거차량, 무선통신, 주화계수기, 자동화금융기기

Description

주화계수기를 탑재한 주화수거차량{COIN COLLECTING VEHICLE HAVING COIN COUN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화수거차량의 일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화수거차량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화수거차량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주화계수부 11 주화투입부
12 주화선별부 13 카운터
14 표시부 15 주화저장부
20 출금부 30 콘트롤러
100 주화계수기 200 자동화금융기기
210 무선통신장치 300 전원공급장치
본 고안은 주화계수기를 탑재한 주화수거차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화를 투입하는 주화투입부와, 상기 주화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주화를 금액 단위별로 판별하고 불량주화를 걸러내는 주화선별부와, 상기 주화선별부에서 선별된 주화를 세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에 기록된 금액을 합산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및 각 단위별로 분류된 주화를 저장하는 주화저장부를 포함한 주화계수부와; 상기 주화계수부에 투입된 주화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지폐 및 주화를 출금하여주는 출금부 및; 상기 주화계수부 및 출금부를 비롯한 전체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 주화계수기 및; 상기 주화계수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 주화수거차량에 관한 것이다.
주화는 그 사용 빈도가 예전보다는 낮아지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정도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고, 특히 거스름돈으로 사용되거나 대중교통 또는 자동판매기 등의 지불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주화는 화폐단위가 작아 보다 큰 단위의 화폐인 지폐 등으로 교환할 필요가 항상 대두된다. 주화를 지폐로 교환하거나 입금 또는 송금 등의 금융거래를 하기 위하여 은행을 찾아야 하는데, 교환을 위하여 무거운 주화를 들고 은행까지 가야하고 대기표를 받아 기다려야 하는 등 시간적 손실이 있을 수 밖에 없다. 특히, 주화를 많이 취급하는 사업장의 경우 주화교환을 위해 차량을 사용하여 은행까지 가야하고, 무거운 주화 운반과 보안을 위하여 최소한 2인 이상의 직원이 움직여야 하기 때문에 업무시간을 낭비하는 결과도 초래하게 된다. 더구나, 최근에는 은행에서 주화를 지폐로 교환하는 일에 대하여 수익성이 없다는 등의 이유로 거부하는 사태까지 발생하여 사회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람들이 수중에 있는 주화를 집안이나 사업장에 쌓아두게 되는 일이 많고, 심지어는 주화를 녹여 목걸이 등의 액세서리를 제조하는 일까지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주화가 발행되어 시중에 유통되지 못하게 되면 시중에 유통되는 주화의 양이 적정수준 이하로 되어 새로운 주화를 제조하여야만 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러한 주화의 제조원가가 보통 그 주화의 액면가보다 높아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10원짜리 주화의 경우 제조원가가 40원 정도 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동전을 입금하거나 지폐로 교환할 수 있는 무인자동화기기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34090호의 등록공보에는 마그네틱 바를 인식하여 정상 카드 또는 통장임을 판별하여 입금 서비스를 화면에 표시하는 서비스 표시 단계와; 입금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에 지폐 또는 동전의 입금 종류를 표시하여 입금 종류를 선택하도록 화면에 표시하는 입금 종류 표시단계와; 동전 입금이 선택된 경우에 상기 동전 투입구를 열어 동전을 수납받는 수납 단계와; 수납된 동전을 상기 동전 분류수단의 분류에 의해 종류별로 분류하는 분류 단계와; 상기 분류된 동전을 인식기를 통과시켜 동전의 상태와 금액을 인식시킨 후에 상기 임시 저장 수단으로 이동시키는 동전 인식 단계와; 상기 동전 인식 수단에서 인식되는 동전의 잔량이 없는 경우에 상기 동전 분류 수단을 정지시키고 인식된 동전의 금액 또는 수량을 화면에 표시하는 금액 표시 단계와; 상기 금액 또는 수량이 맞음을 확인하는 확인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임시 저장 수단이 구동되어 동전이 동전 수납함으로 이동되고, 금액 또는 수량이 틀려 취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임시 저 장 수단이 구동되어 동전이 동전 반환구로 이동시키는 동전 수납단계와; 상기 동전 수납함에 동전이 투입되면 인식된 마그네틱 바에 해당하는 계좌에 상기 투입된 동전을 입금할지 여부를 묻는 화면이 표시되는 입금 여부 표시 단계와; 상기 표시된 금액의 입금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투입된 동전의 해당 총액을 상기 계좌에 온라인으로 입금하는 입금 신호를 은행측 단말기로 전송하여, 은행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처리 결과신호를 화면에 표시하여 동전 입금 내용을 확인시켜주는 온라인 입금 단계; 및 상기 동전 인식 수단에서 인식되지 않는 동전이 있는 경우에 다시 동전 분류 수단에서 분류 작업을 수행하도록 리턴되는 리턴 단계로 이루어지는 동전 및 지폐 자동 입금 단말기의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62114호에는 지폐와 동전의 입출금이 가능한 지폐/동전 입출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 통장 또는 카드에 기록된 계좌정보를 리드하는 계좌정보 리더부와; 동전 입금시 투입되는 동전을 금종별로 분류 및 계수하여 배출하는 동전 분류/계수부와; 상기 동전 분류/계수부로부터 배출되는 동전을 임시 저장한 후 배출하는 동전 임시저장부와; 상기 동전 임시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동전을 금종별로 수납하는 동전수납부와; 상기 동전 임시저장부의 동전 배출을 제어하며, 상기 동전 분류/계수부에서 계수된 동전 정보로부터 동전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설정치에 다다르면 투입된 동전의 분류/계수 동작을 중지하고, 카운트된 동전의 개수를 초기화하여 반복 제어하는 입금동전제어부와, 상기 동전 분류/계수부에서 반복 계수되어 누적되는 동전 정보로부터 금액 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금액 정보를 상기 계좌정보 리더부로부터 리드된 계좌에 입금되도록 처리하는 입금처리부를 포 함하며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동전 입출금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주화입출금장치들은 은행이나 기타 공공장소 등 한 장소에 고정하여 놓고 사용하여야만 하는 것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주화의 교환이나 입금을 하려 할 때는 여전히 상기 주화입출금장치가 설치된 장소까지 주화를 들고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을 감수하여야 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되지 않고 이용률이 현저히 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소와 시간에 구애되지 않고 주화를 지폐로 교환하거나 주화의 입금 또는 송금을 가능하게 하여 주화교환을 둘러싼 소비자와 금융기관의 불편을 해소하고 휴면 주화를 다시 시장에 유통되도록 하여 소모적이고 비경제적인 주화재발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주화수거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주화를 투입하는 주화투입부와, 상기 주화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주화를 금액 단위별로 판별하고 불량주화를 걸러내는 주화선별부와, 상기 주화선별부에서 선별된 주화를 세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에 기록된 금액을 합산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및 각 단위별로 분류된 주화를 저장하는 주화저장부를 포함한 주화계수부와; 상기 주화계수부에 투입된 주화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지폐 및 주화를 출금하여주는 출금부 및; 상기 주화계수부 및 출 금부를 비롯한 전체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 주화계수기 및; 상기 주화계수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 주화수거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주화계수기에서 확인된 금액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계좌에 입금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방식으로 은행전산망과 연계된 자동화금융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주화수거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전원공급장치가 별도의 자가 발전기, 차량용 배터리 또는 차량용 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수거차량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화수거차량의 일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화수거차량은 트럭과 같이 후방에 기기를 탑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용차 또는 승합차를 개조하여 트렁크에 주화계수기(100)를 탑재할 수도 있으나, 탑재 가능한 기기의 크기나 경제성 등을 고려하면 차량 후방에 큰 적재공간을 가진 트럭의 형태가 바람직하고, 주화계수기(100) 또는 자동화금융기기(200)를 탑재하고 전면만이 드러나 보이는 것이 가능하도록 문이 달린 박스 형태의 후방적재공간을 구비한 차량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화수거차량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 도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화수거차량의 일실시예는 주화를 투입하는 주화투입부(11)와, 상기 주화투입부(11)를 통해 투입된 주화를 금액 단위별로 판별하고 불량주화를 걸러내는 주화선별부(12)와, 상기 주화선별부(12)에서 선별된 주화를 세는 카운터(13)와, 상기 카운터(13)에 기록된 금액을 합산하여 표시하는 표시부(14) 및 각 단위별로 분류된 주화를 저장하는 주화저장부를 포함한 주화계수부(10)와 상기 주화계수부(10)에 투입된 주화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지폐 및 주화를 출금하여주는 출금부(20) 및; 상기 주화계수부(10) 및 출금부(20)를 비롯한 전체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 주화계수기(100)를 포함한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도면 등에 별도로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출금부(20)에는 주화교환을 위한 지폐 및 주화를 저장하는 별도의 화폐저장공간 및 계수기 등을 구비하고 있음은 자명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주화수거차량에 탑재되는 주화계수기(100)는 상기 주화저장부 등에 주화가 가득차 더 이상 주화를 수용할 수 없거나 상기 출금부(20)에 저장한 지폐 등의 화폐가 소진되어 가는 경우 미리 이를 알려주는 알람기능 등도 당연히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주화수거차량에 탑재되는 상기 주화계수기(100)의 주화계수부(10), 출금부(20) 및 콘트롤러 등은 공지의 주화계수기(100),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34090호에 개시된 입금단말기의 일부분에 나타난 것과 그 기능이나 역할 등이 유사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기능을 잘 알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본 고안의 주화수거차량은 상기 주화계수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30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주화계수기(100)는 일정한 장소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상정하고 제작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원, 즉 220V 교류전원을 사용하며 전원플러그가 달려 있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주화수거차량은 상기 주화계수기(100)를 차량에 탑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형태의 전원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화수거차량에 탑재되는 상기 주화계수기(100) 및 금융자동화기기에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300)가 요구된다. 상기 전원공급장치(300)는 별도의 자가 발전기, 차량용 배터리 또는 차량용 발전기일 수 있다. 전술한 전원공급장치(300)는 각각 공급하는 전류의 형태와 전압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주화계수기(100) 등의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위하여 정류기, 안정기 및 전압변환기 등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력공급장치는 공지의 것으로 이미 차량에 장착하는 기기에 많이 사용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본 고안의 주화수거차량은 상기 주화계수기(100)에서 확인된 금액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계좌에 입금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방식으로 은행전산망과 연계된 자동화금융기기(200, Automated Teller Machine, ATM)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화수거차량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주화계수기(100)에 ATM(200)을 추가한 본 고안의 주화수거차량은 주화를 투입한 후 투입된 금액을 지폐로 환전하거나 입금 또는 송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교환된 현금의 액수가 다소 클 경우 주화를 지폐로 바꾸더라도 대부분 자신의 통장이나 타인계좌로 입금이나 송금을 원하기 때문에 주화계수기(100)에 투입된 금액만큼 자동화금융기기(200)를 통해 입금 및 송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구성은 불필요한 현금보관으로부터 파생되는 날치기 등의 위험으로부터도 벗어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도 높일 수 있으며, 주화교환 외에도 이동은행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주화수거차량에 탑재되는 ATM(200)의 기능 등은 공지의 것과 동일할 수 있으며 공중에 잘 알려진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설명을 더 하지는 않겠다. 다만, 본 고안에 적용되는 ATM(200)은 상기 주화계수기(100)에서 계수된 주화의 총액을 읽어들여 입금액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구비하여야 한다는 것이 기존의 ATM과 다른 점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장치(210) 및 상기 장치의 통신방식 역시 공지 또는 개발예정인 무선통신장치 및 통신방식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ATM(200)을 가동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300) 역시 상기 주화계수기(100)의 전원공급장치(300)와 공유하여 사용가능한 것으로, 별도의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 1에서는 상기 주화계수기(100)와 ATM(200)이 각각 분리된 형태로 되어 있는 주화수거차량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주화계수기 및 ATM이 통합된 형태의 기기, 예를 들면 전술한 공개특허공보 제2005-0062114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형태의 지폐/동전 입출금장치와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주화수거차량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되지 않고 주화를 지폐로 교환하거나 주화의 입금 또는 송금을 가능하게 하여 주화교환을 둘러싼 소비자와 금융기관의 불편을 해소하고 휴면 주화를 다시 시장에 유통되도록 하여 소모적이고 비경제적인 주화재발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앞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3)

  1. 주화를 투입하는 주화투입부와, 상기 주화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주화를 금액 단위별로 판별하고 불량주화를 걸러내는 주화선별부와, 상기 주화선별부에서 선별된 주화를 세는 카운터와, 상기 카운터에 기록된 금액을 합산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및 각 단위별로 분류된 주화를 저장하는 주화저장부를 포함한 주화계수부와; 상기 주화계수부에 투입된 주화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지폐 및 주화를 출금하여주는 출금부 및; 상기 주화계수부 및 출금부를 비롯한 전체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한 주화계수기 및;
    상기 주화계수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 주화수거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화계수기에서 확인된 금액을 사용자가 지정하는 계좌에 입금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방식으로 은행전산망과 연계된 자동화금융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ATM)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주화수거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별도의 자가 발전기, 차량용 배터리 또는 차량용 발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화수거차량.
KR2020060008322U 2006-03-29 2006-03-29 주화계수기를 탑재한 주화수거차량 KR200419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22U KR200419227Y1 (ko) 2006-03-29 2006-03-29 주화계수기를 탑재한 주화수거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322U KR200419227Y1 (ko) 2006-03-29 2006-03-29 주화계수기를 탑재한 주화수거차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8322 Division 2006-03-29 2006-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227Y1 true KR200419227Y1 (ko) 2006-06-19

Family

ID=41768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322U KR200419227Y1 (ko) 2006-03-29 2006-03-29 주화계수기를 탑재한 주화수거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2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397A (ko) * 2006-03-29 2007-10-05 송병규 주화수거차량
KR100832989B1 (ko) 2007-08-29 2008-05-27 조근호 모바일용 현금수송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397A (ko) * 2006-03-29 2007-10-05 송병규 주화수거차량
KR100832989B1 (ko) 2007-08-29 2008-05-27 조근호 모바일용 현금수송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10525B (zh) 纸币处理装置
EP1466303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tributing cash
TW540013B (en) Automatic cash transaction device and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JP2009509242A (ja) セルフサービス式の現金償還及び現金還流装置とその方法本出願は、(優先権主張番号)2005年9月15日に提出された米国仮出願第60/717,452号の利益を主張すると共に、2004年4月6日に提出された米国特許出願第10/821,004号の一部継続出願、及び2004年12月6日に提出された米国特許出願第11/005,251号の一部継続出願である。
CN106887090B (zh) 一种智能票务终端设备
ES2841102T3 (es) Aparato para depositar/dispensar billetes
EP2555172B1 (en) Money transporting system
JP5480040B2 (ja) 自動取引装置
CN101840605A (zh) 自动交易装置
KR200419227Y1 (ko) 주화계수기를 탑재한 주화수거차량
WO2011121736A1 (ja) 貨幣配送システム及び貨幣配送システムの貨幣配送方法
KR100852408B1 (ko) 페이퍼 처리 장치
KR20060119386A (ko)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
JP2012078949A (ja) 紙幣処理装置
JP2008293297A (ja) 現金管理システムおよび現金出納機および可搬型取引装置
JP4370656B2 (ja) 紙幣入出金装置
WO2011121733A1 (ja) 紙幣収納払出装置及び紙幣収納払出装置の紙幣投出方法
KR102122286B1 (ko) 스마트 금융 시재 관리장치
KR20000072448A (ko) 공중저금통에 의한 주화및 소액지폐의 입금시스템
JP2011095898A (ja) 自動取引処理装置
JPS6048588A (ja) 貨幣管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532672B2 (ja) 現金入出金装置
JP4314875B2 (ja) 自動取引装置
RU124416U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платежей
JP2003256908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