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386A -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19386A KR20060119386A KR1020050042361A KR20050042361A KR20060119386A KR 20060119386 A KR20060119386 A KR 20060119386A KR 1020050042361 A KR1020050042361 A KR 1020050042361A KR 20050042361 A KR20050042361 A KR 20050042361A KR 20060119386 A KR20060119386 A KR 200601193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rrency
- exchange
- unit
- input
- custom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현금입출금기에 외화나 여행자수표를 인식할 수 있는 외화 인식 모듈을 장착하고, 현금카세트에는 내국환 및 각국의 외화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국환뿐만 아니라 외화나 여행자 수표도 입력 받아, 이에 대해 실시간으로 환율을 계산하여 고객이 원하는 국가의 화폐로 환전하여 제공함으로써 외화나 여행자 수표를 소지하고 있는 고객이 직접 환전을 담당하는 금융 기관에 갈 필요 없이 현금입출금기에서 환전 처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환전 기능을 가진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발명에서는, 환전 처리를 위한 창구 인력을 감소할 수 있어 경비 감소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영업 시간 뿐만 아니라, 영업 시간 외에도 여행자수표나 외화를 소지한 보다 많은 고객을 유치하여 다른 나라의 돈을 환전하여 생기는 환전 수수료에 따른 부가 이득의 창출이라는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현금입출금기, 환전, 내국환, 외화, 여행자 수표
Description
도 1a 내지 도 1b는 일반적인 현금입출금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금입출금기의 환전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환전부가 장착된 현금입출금기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의 환전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입력부 12 : 통장/카드 인지부
14 : 보안장치부 16 : 저장부
18 : 보안카메라부 20 : 중앙처리부
22 : 표시부 24 : 인쇄부
26 : 수표입출력부 28 : 통신부
30 : 현금입출력부 100 : 현금입출금기
200 : 환전부 220 : 외화 입출력부
240 : 외화 인지부 260 : 환전 제어부
300 : 현금카세트 310 : 제1카세트
320 : 제2카세트 330 : 제3카세트
340 : 제4카세트
본 발명은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현금입출금기에 외화나 여행자수표를 인식할 수 있는 외화 인식 모듈을 장착하고, 현금카세트에는 내국환 및 각국의 외화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국환뿐만 아니라 외국 화폐나 여행자 수표도 입력 받을 수 있어 이를 실시간으로 환율을 계산하여 원하는 국가의 화폐로 환전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환전 기능을 가진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대부분의 회사들의 주 5일제 시행으로 사람들이 직접 은행에 가는 경우 보다는 ATM이나 CD기와 같은 현금입출금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최근에는 금융 업무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현금입출금기에 여러 가지 기능들이 구현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은행의 주 5일제 근무에 따라 현금입출금기의 설치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금입출금기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현재, 현금입출금기에는 주요 업무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부가적인 기능까지 함께 고려하여 구현되고 있는 중이고, 이에 따라, 은행 경쟁력 향상 및 고객 만족을 위해 현금입출금기에 대한 여러 가지 도난 방지, 편리한 현금 수송 및 현금을 재충당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현금입출금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일반적인 현금입출금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및 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현금입출금기는 거래 업무를 위해 기본적인 입력을 위해서 다수의 키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입력 정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이를 중앙처리부로 전송하는 키입력부(10)와, 삽입되는 통장이나 카드를 인지하기 위한 통장/카드 인지부(12)와, 수표의 입금과 출금 기능을 수행하는 수표입출력부(26) 와, 현금을 입금하거나 출금하기 위한 현금입출력부(30)가 있다.
이 외에도 일반적인 거래를 위하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현금입출금기의 거래 내용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6)와, 본점의 중앙컴퓨터와의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통신부(28)와, 상기의 통신부(28)를 통해 본점과의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중앙처리부(20)와, 거래 내역 등을 화면에 나타내는 표시부(22)와, 거래 내역을 통장에 인쇄하고, 거래명세표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인쇄부(24)가 있다.
그리고 이 외에도 부가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위협적인 상황을 고려한 보안장치부(14)나 추후 불량 거래자의 신원확인을 위해 사용할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보안카메라부(1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통장/카드 인지부(12)는 통장이나 카드의 마그네틱 띠(Stripe, 스트라이프)에 저장된 정보나 IC 칩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 상기의 통신부(28)를 통해 본점의 중앙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거래자의 신원을 조회하고, 입금과 출금의 내용을 기록하는 작업 후에 카드나 통장을 돌려 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안장치부(14)는 외부로부터 위협이 가해지면 작동을 중지하고, 잠금장치가 가동된다거나 감시 카메라나 감시 버튼으로 전문 보안 서비스 회사와 전화선으로 연결되어 24시간 감시가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앙처리부(20)는 상기 키입력부(10)와 통장/카드 인지부(12)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의 통신부(28)를 통해 본점의 중앙컴퓨터와 정보교환을 하여 금융 거래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표시부(22)는 상기 키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정보 및 상기 중앙처리부(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금융 거래 시에는, 사용자가 통장이나 카드를 삽입하면 통장/카드 인지부(12)에서는 이를 인지하고, 이어 사용자는 표시부(22)에 표시되는 내용을 확인하면서 키입력부(10)를 통해 금융 거래를 진행시키고, 안내에 따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중앙처리부(20)는 통신부(28)를 통하여 본점의 중앙컴퓨터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금융 거래를 진행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현금입출금기의 거래 내용을 저장부(16)에 저장하고, 인쇄부(24)가 거래 내역을 통장에 인쇄하고, 거래명세표를 인쇄하여 출력하고 난 후에, 수표나 현금을 수표입출력부(26)이나 현금입출력부(30)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거래를 완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현금입출금기에서는 모두 내국환으로만 장전되어 있어 내국환만을 입출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외화가 필요한 고객들이나 외국인이 외화를 바꾸기 위해서는 반드시 은행의 외환 창구로 가서 환전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했다. 그리고, 은행 업무가 끝난 경우에는 환전 불이익을 감수하고 일반 환전소로 가서 환전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외국인 고객은 신용 카드를 이용하여 은행 창구를 통해 현지국의 통화를 환전함과 동시에 출금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현금입출금기로는 입금은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어, 환전 및 입출금시 은행을 반드시 찾아가야만 하는 시간적, 지역적 불편함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정해진 환율에 따라 현지국의 현금만 출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입금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현금입출금기에 외화나 여행자수표를 인식할 수 있는 외화 인식 모듈을 장착하고, 현금카세트에는 내국환 및 각국의 외화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국환뿐만 아니라 외국 화폐나 여행자 수표도 입력 받을 수 있어 이를 실시간으로 환율을 계산하여 원하는 국가의 화폐로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외화나 여행자 수표를 소지하고 있는 고객이 직접 환전을 담당하는 금융 기관에 갈 필요 없이 현금입출금기에서 환전 처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환전 기능을 가진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가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발명은, 은행의 입장에서도 환전 처리를 위한 창구 인력을 감소할 수 있어 경비 감소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영업 시간 뿐만 아니라, 영업 시간 외에도 여행자수표나 외화를 소지한 보다 많은 고객을 유치하여 다른 나라의 돈을 환전하여 생기는 환전 수수료에 따른 부가 이득의 창출이라는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국가의 입장에서도 보다 많은 국내 환전을 가능하게 하여 국가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환전 시에 동전이 발생하면, 고객의 계좌로 동전을 입금하거나, 고객에게 직접 제공하거나, 혹은, 고객으로부터 화폐 단위가 되도록 동 전을 더 입금 받아 제공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동전을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및 그 운용 방법을 설명하고, 또한 상기 과정들을 달성하기 위한 현금입출금기의 환전부 및 현금카세트의 내부 구성 모듈을 제안한다.
현금입출금기에서의 환전을 위하여 본 발명은, 현금 입출력부나 수표 입출력부나 외화 입출력부를 통해서 화폐를 투입 받는 단계와, 외화 인지부에서 투입된 화폐의 종류 및 해당 국가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환전 제어부가 고객으로부터 출금 화폐를 지정 받는 단계와, 환전 제어부가 상기의 입금 화폐나 출금 화폐의 정보에 따라 은행의 중앙컴퓨터에 해당 국가의 환율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는 단계와, 환전 제어부는 상기 전송 받은 환율에 따라 환전 금액을 계산하여, 상기 환율 및 환전 금액을 고객에게 화면으로 제공하고, 송금할지 직접 출금 받을지를 고객으로부터 입력 받는 단계와, 고객이 송금을 원할 시에는 환전 금액을 고객 계좌로 이체하고, 직접 출금을 원할 시에는 동전이 발생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동전이 발생하지 않으면 환전 금액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동전이 발생하면 출금 방법을 입력 받아 그에 따라 환전 금액을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 단계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의 현금입출금기는 고객으로부터 외화를 투입 받는 외화 입출력부와; 투입 받은 외화의 종류 및 해당 국 가 정보를 파악하여 이를 중앙처리부로 전송하는 외화 인지부와;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며, 상기 외화 인지부로부터 화폐의 종류 및 해당 국가 정보를 전송 받아 해당하는 국가의 환율을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환전 금액을 계산하는 환전 제어부로 이루어진 환전부를 구비하고, 또한, 현금카세트에는 일반적인 금융거래 및 환전을 위한 내국환과 외화를 모두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불필요한 중복을 위해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현금입출금기는 기존의 현금입출금기에 구비되어 있는, 키입력부(10)와, 통장/카드 인지부(12)와, 표시부(22)와, 인쇄부(24)와, 수표입출력부(26)나 현금입출력부(30)와, 저장부(16)와, 통신부(28)와, 상기의 각 모듈을 제어하는 중앙처리부(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입력 받은 외화를 환전하여 고객이 원하는 국가의 화폐로 출금할 수 있는 환전부(200)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환전부(200)는 고객으로부터 외화를 투입 받아 위조나 손상 여부를 판단한 다음 외화의 종류 및 해당 국가 정보를 파악하고, 실시간으로 상기 판단된 해당 국가의 환율을 적용하여 환전 금액을 계산하여 고객이 원하는 화폐로 출금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환전부(200)는 해당 국가의 화폐를 더 작은 단위로 분할하여 환전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다. 예를 들어, 내국환이 원화일 경우, 현재 현금입출금기(100)를 통해서 만원이나 십만원 등의 만원권만 출금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환전부(200)에서는 환전을 위해 천원이나 오천원 등의 천원권 또한 보유하고 있으므로 만원권을 입력 받아 천원권으로 환전하여 제공하는 기능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금입출금기의 환전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환전부(200)는 고객으로부터 외화를 투입 받는 외화 입출력부(220)와, 투입 받은 외화의 종류 및 해당 국가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중앙처리부(20)로 전송하는 외화 인지부(240)와, 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며, 상기 외화 인지부(240)로부터 투입된 외화의 정보를 전송 받으면 해당하는 국가의 환율을 실시간으로 전송 받아 환전 금액을 계산하는 환전 제어부(2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외화 인지부(240)는 상기 외화 입출력부(220)로부터 투입된 외화가 어느 국가에 해당하는 화폐인지, 그 단위가 얼마인지를 판단한다. 이 때, 어느 국가 에 해당하는 화폐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은 각 나라별 지폐의 크기, 권종, 마그네틱, 적외선, UV, IR 등의 특성이 있다.
상기에서 외화 인지부(240)는 지폐가 어느 국가에 해당하는 가를 판단하고, 또한, 지폐의 크기나 형상을 인식하여 위조된 지폐인지 손상된 지폐인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외화 인지부(240)에는 이미지 센서(Image Sensor)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의 이미지 센서는 광전 변환 반도체와 CMOS 스위치로 구성되어, 빛 에너지에 의해 발생된 전하를 상기 반도체 스위치로 읽어내는 방식으로 스캐너나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센서로 이용되고 있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CIS, Contact Image Sensor)가 될 수 있다.
상기 환전 제어부(260)는 첫째, 요청된 환전 금액 및 해당 국가의 실시간 환율 등의 환전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서 본점의 중앙컴퓨터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고, 둘째, 상기에서 전송 받은 환율 정보나 환전 금액을 표시부를 통해서 고객에게 제공하고, 셋째, 상기 외화 인지부(240)를 통해 투입된 외화가 위조된 지폐이거나 손상된 지폐일 경우 이를 반송하며, 이에 대한 내용을 표시부(22)를 통해서 고객에게 안내하고, 마지막으로 동전이 발생할 경우 동전 출금 방법을 고객으로부터 입력 받아 이에 따라 동전을 출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환전부 및 현금카세트가 장착된 현금입출금기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고객이 수표 입출력부(26)나 현금 입출력부(30)를 통해서 내국환을 투입한 후에 외화 거래를 선택하거나, 외화 입출력부(220)를 통하여 외화를 투입하면 이를 인식하고, 고객이 원하는 출금 화폐를 입력 받아 해당 국가의 환율을 실시간으로 전송 받고 환전 금액을 계산하여 고객에게 출금하여 줌으로써 환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현금카세트(300)는 환전을 위한 각국의 화폐를 보유하는 제1카세트(310) 및 제2카세트(320)와, 일반적인 금융거래 및 입금된 외화를 환전해 줄 수 있도록 내국환을 보유하는 제3카세트(330)와, 출금된 내국환을 고객이 취소할 시에 이를 재보관하는 제4카세트(34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 외에도 환전 시에 동전이 발생하면, 고객의 계좌로 동전을 입금하거나, 고객에게 직접 제공하거나, 혹은, 화폐 단위가 되도록 고객으로부터 동전을 더 입금 받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동전을 처리할 수 있도록 동전함(350)과, 입금된 동전을 배출할 수 있는 동전 배출함(36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의 환전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고객이 내국환을 외화로 환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표 입출력부나 현금 입출력부에 내국환을 투입하고(S102), 외화 거래를 선택한다(S104).
또는, 고객이 외화를 내국환으로 환전하고자 할 경우에는, 환전하고자 하는 외화를 외화 입출력부에 투입하고(S102), 외화 인지부에서 투입된 외화의 크기, 권종, 마그네틱, 적외선, UV, IR 등의 특성을 분석하여 입금 화폐의 종류 및 해당 국가 정보를 인식한다(S106).
이 때, 외화 인지부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여 지폐의 크기나 형상을 인식하고, 이로부터 투입된 지폐가 위조된 지폐인지 손상된 지폐인지를 판단하여, 위조지폐이거나 손상된 지폐로 판별될 경우(S108), 현금입출금기의 표시부를 통해서 이에 해당하는 에러 내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110), 외화를 외화 입출력부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반환함(S112)으로써 상기의 과정을 종료한다.
계속해서, 환전 제어부는 외화 인지부로부터 상기에서 판별된 외화의 종류 및 해당 국가 정보를 전송받고, 고객으로부터 출금할 화폐에 해당하는 국가를 입력 받아(S114), 해당 국가의 환율 정보를 통신부를 통하여 은행의 중앙컴퓨터에 요청한다(S116). 은행의 중앙컴퓨터는 전송 받은 국가에 해당하는 환율을 실시간으로 현금입출금기에 전송하고, 환전 제어부는 이를 수신한다(S118).
환전 제어부는 상기 전송 받은 실시간 환율에 따라 환전 금액을 계산하고(S120), 상기 환율 및 계산된 환전 금액을 표시부를 통해서 화면으로 고객에게 제공하여(S122), 고객으로부터 상기의 환전 금액을 바로 송금할 것인지, 내국환으로 직접 출금 받을 것인지의 제공 방법을 입력 받는다(S124).
상기에서 고객이 환전 금액의 송금을 원할 때에는(S126), 고객 계좌로 바로 송금을 수행하고(S128), 고객이 내국환으로의 직접 출금을 원할 때에는 환전 금액 중에서 동전이 발생하는 지를 확인하여(S130), 동전이 발생하지 않으면 환전 금액 만큼을 출금하여 고객에게 제공한다(S132).
상기에서, 동전 출금이 발생하면(A), 고객으로부터 동전 출금 방법을 입력 받는다(S202). 이 때, 동전 출금 방법에는 직접 출금 방법과, 환전 금액 중 지폐만 직접 출금 하고 동전은 고객 계좌로 이체하는 방법과, 동전을 보충 입력 받아 환전 금액을 지폐 단위로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S204).
상기의 고객이 선택한 동전 출금 방법에 따라, 고객이 직접 출금을 원할 시에는 환전 금액을 동전과 지폐로 직접 출금하고(S206), 고객이 송금을 원할 시에는 동전만 고객의 계좌로 이체하고 나머지 지폐 단위는 직접 고객에게 출금하여 제공할 수 있다(S208). 마지막으로 고객이 동전을 보충하여 지폐 단위로 출금 받기를 원할 시에는 지폐 단위의 금액이 될 때까지 동전을 더 입력 받아(S210) 환전 금액을 지폐 단위로 제공할 수 있다(S212).
예를 들어, 만약, 고객이 미화 1달러를 원화로 바꾸자고 할 경우, 현재 환율이 1300원이라면, 300원의 동전이 발생하게 되고. 고객이 보충 출금을 원할 시에는 지폐 단위가 되도록 700원을 고객으로부터 입력받고 천원 단위의 지폐를 고객에게 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의 과정들이 완료되면, 거래 내역이 인자된 명세표도 함께 출력하여 제공함(S134, S214)으로써 현금입출금기에서의 환전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적인 금융 거래를 수행하는 현금입출금기에 외화나 여행자수표를 인식할 수 있는 외화 인식 모듈을 장착하고, 현금카세트에는 내국환 및 각국의 외화를 보유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국환뿐만 아니라 외국 화폐나 여행자 수표를 입력 받아 이를 인식하고 실시간으로 환율을 계산하여 원하는 국가의 화폐로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외화나 여행자 수표를 소지하고 있는 고객이 직접 환전을 담당하는 금융 기관에 갈 필요 없이 현금입출금기에서 환전 처리의 원활한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금입출금기를 이용하여, 은행의 입장에서도 환전 처리를 위한 창구 인력을 감소할 수 있어 경비 감소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영업 시간 뿐만 아니라, 영업 시간 외에도 여행자수표나 외화를 소지한 보다 많은 고객을 유치하여 다른 나라의 돈을 환전하여 생기는 환전 수수료에 따른 부가 이득의 창출이라는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국가의 입장에서도 보다 많은 국내 환전을 가능하게 하여 국가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유리한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환전시에 동전이 발생하면, 고객의 계좌로 동전을 입금하거나, 고객에게 직접 제공하거나, 혹은, 고객으로부터 화폐 단위가 되도록 동전 을 더 입금 받아 화폐 단위로 제공하는 방법으로 고객에게 동전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동전을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 현금 입출력부나 수표 입출력부나 외화 입출력부를 통해서 화폐를 투입 받는 제1단계;외화 인지부에서 투입된 화폐의 종류 및 해당 국가 정보를 인식하는 제2단계;환전 제어부가 고객으로부터 출금 화폐를 지정 받는 제3단계;환전 제어부가 상기의 입금 화폐나 출금 화폐의 정보에 따라 은행의 중앙컴퓨터에 해당 국가의 환율 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전송 받는 제4단계;환전 제어부는 상기 전송 받은 환율에 따라 환전 금액을 계산하여, 상기 환율 및 환전 금액을 고객에게 화면으로 제공하고, 송금할지 직접 출금 받을지를 고객으로부터 입력 받는 제5단계;고객이 송금을 원할 시에는 환전 금액을 고객 계좌로 이체하고, 직접 출금을 원할 시에는 동전이 발생하는 지를 확인하는 제6단계;동전이 발생하지 않으면 환전 금액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동전이 발생하면 출금 방법을 입력 받아 그에 따라 환전 금액을 제공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1단계에 있어서화폐를 투입 받는 방법에는외화 입출력부를 통해서 고객으로부터 외화를 투입하는 방법과,고객이 현금 입출력부나 수표 입출력부를 통해서 내국환을 투입하고 외화 거래를 선택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 방법.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각 나라별 지폐의 특징, 크기, 권종, 마그네틱, 적외선, UV, IR에 따라 투입된 외화의 해당 국가 및 외화의 종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 방법.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투입된 외화의 위조 여부 및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 방법.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7단계에 있어서출금 방법에는환전 금액을 지폐 및 동전으로 직접 출금 하는 방법과,환전 금액 중 지폐는 직접 출금 하고, 동전은 고객 계좌로 이체하는 방법과,지폐 단위의 금액이 될 때까지 동전을 더 입력 받아 환전 금액을 지폐 단위로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 방법.
- 일반적인 거래 업무를 위한 기본적인 입출력을 담당하는 키입력부와,통장이나 카드를 인지하기 위한 통장/카드 인지부와,거래 내역 등을 화면에 나타내거나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기능 입력이 가능한 표시부와,거래 내역을 통장에 인쇄하고, 거래명세표를 인쇄하여 출력하는 인쇄부와,수표의 입금과 출금을 수행하는 수표 입출력부와,현금의 입금과 출금을 수행하는 현금 입출력부와,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현금입출금기의 거래 내용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와,본점의 중앙컴퓨터와의 정보교환을 수행하는 통신부와,상기의 각 단계를 제어하는 중앙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는 현금입출금기에 있어서,외화를 투입 받아 국가 정보 및 단위를 인식하고, 실시간으로 해당 국가의 환율을 적용하여 환전하여 고객에게 내국환으로 제공하는 환전부와;일반 금융 거래를 위한 내국환과, 환전을 위한 외화를 보유하는 현금카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환전부는고객으로부터 외화를 투입 받는 외화 입출력부와;투입 받은 외화가 어느 국가의 화폐인지를 인식하여 이를 중앙처리부로 전송하는 외화 인지부와;상기 각 구성을 제어하며, 상기 외화 인지부로부터 해당 국가를 전송 받아 해당하는 국가의 환율을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환전 금액을 계산하는 환전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환전 제어부는요청된 환전 금액 및 해당 국가의 실시간 환율 등의 환전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서 본점의 중앙컴퓨터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고,상기에서 전송 받은 환율 정보나 환전 금액을 표시부를 통해서 고객에게 제공하고,환전 금액에 동전이 발생할 경우, 동전 출금 방법을 고객으로부터 입력 받아 이에 따라 동전을 출금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전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현금카세트는환전을 위한 각국의 화폐를 보유하는 제1카세트 및 제2카세트와;일반적인 금융거래 및 입금된 외화를 환전해 줄 수 있도록 내국환을 보유하는 제3카세트와;출금된 내국환을 고객이 취소할 시에 이를 재보관하는 제4카세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전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현금카세트는동전을 입출금 할 수 동전함과,입금된 동전을 배출할 수 있는 동전 배출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전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2361A KR20060119386A (ko) | 2005-05-20 | 2005-05-20 |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42361A KR20060119386A (ko) | 2005-05-20 | 2005-05-20 |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19386A true KR20060119386A (ko) | 2006-11-24 |
Family
ID=3770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42361A Withdrawn KR20060119386A (ko) | 2005-05-20 | 2005-05-20 |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119386A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9594B1 (ko) * | 2008-02-04 | 2011-04-15 | 이선호 | 무인정보 단말기와 환전거래 웹사이트를 이용한 환전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무인정보 단말기 |
KR20150127348A (ko) * | 2014-05-07 | 2015-11-17 | 중소기업은행 | 무인 환전 단말기 및 이의 환전 방법 |
WO2018226013A1 (ko) * | 2017-06-05 | 2018-12-13 | 주식회사 코인트래빗 | 양 방향 통화 교환기, 구매 시스템 및 구매 방법 |
WO2021015408A1 (ko) * | 2019-07-23 | 2021-01-28 | 주식회사 코인트래빗 | 무인환전방법 및 무인환전시스템 |
WO2021149905A1 (ko) * | 2020-01-22 | 2021-07-29 | 주식회사 우디 | 환전 키오스크에서 환전시 잔돈을 적립하는 방법 |
-
2005
- 2005-05-20 KR KR1020050042361A patent/KR20060119386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9594B1 (ko) * | 2008-02-04 | 2011-04-15 | 이선호 | 무인정보 단말기와 환전거래 웹사이트를 이용한 환전방법 및 그 방법을 위한 무인정보 단말기 |
KR20150127348A (ko) * | 2014-05-07 | 2015-11-17 | 중소기업은행 | 무인 환전 단말기 및 이의 환전 방법 |
WO2018226013A1 (ko) * | 2017-06-05 | 2018-12-13 | 주식회사 코인트래빗 | 양 방향 통화 교환기, 구매 시스템 및 구매 방법 |
WO2021015408A1 (ko) * | 2019-07-23 | 2021-01-28 | 주식회사 코인트래빗 | 무인환전방법 및 무인환전시스템 |
JP2021523428A (ja) * | 2019-07-23 | 2021-09-02 | コイントラヴィット コーポレーションCointravit Corp. | 無人両替方法及び無人両替システム |
WO2021149905A1 (ko) * | 2020-01-22 | 2021-07-29 | 주식회사 우디 | 환전 키오스크에서 환전시 잔돈을 적립하는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59461B2 (en) | ATM systems and methods for cashing checks | |
US5897625A (en) | Automated document cashing system | |
US6012048A (en) | Automated banking system for dispensing money orders, wire transfer and bill payment | |
JP2008077680A (ja) | 自動書類キャッシングシステム | |
JP5251108B2 (ja) | 自動取引装置 | |
JP2008204409A (ja) | 暗証番号入力表示装置及び方法 | |
US7783570B2 (en) | Cash transaction verification and crediting apparatus | |
KR20120012116A (ko) | 입금액 수정기능이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및 이를 이용한 금융 서비스 방법 | |
KR20060119386A (ko) | 환전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및 그 방법 | |
JP2007328575A (ja) | 取引処理装置 | |
JP2011243045A (ja) | 自動取引制御装置及び自動取引制御プログラム | |
CN116884134A (zh) | 一种自助兑换机兑换方法 | |
KR200337023Y1 (ko) |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단일출금출구장치 | |
JP2008293297A (ja) | 現金管理システムおよび現金出納機および可搬型取引装置 | |
KR20000072448A (ko) | 공중저금통에 의한 주화및 소액지폐의 입금시스템 | |
JP2011059835A (ja) | 自動取引装置 | |
JP5228470B2 (ja) | 自動取引装置 | |
JP2003256908A (ja) |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 |
KR20080062605A (ko) | 금융 자동화기기의 실시간 수표 처리 방법 | |
JPH0740315B2 (ja) | 入金取引装置 | |
JPH10222729A (ja) | 自動取引装置 | |
EP4404158A1 (en) | Automatic currency exchange device and method | |
KR200387886Y1 (ko) | 묶음 출금이 가능한 현금입출금기 | |
KR100981139B1 (ko) | 금융 자동화기기에서의 현금 입금 방법 | |
JP5061801B2 (ja) | 自動取引装置認証切替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5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