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965B1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 - Google Patents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2965B1 KR102262965B1 KR1020190167977A KR20190167977A KR102262965B1 KR 102262965 B1 KR102262965 B1 KR 102262965B1 KR 1020190167977 A KR1020190167977 A KR 1020190167977A KR 20190167977 A KR20190167977 A KR 20190167977A KR 102262965 B1 KR102262965 B1 KR 1022629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sher
- collection
- cans
- iron
- recyc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19 recyclable waste Substances 0.000 title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6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5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3502 plast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791 domestic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8—Data transmit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4—Weigh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40/00—Types of refuse collected
- B65F2240/12—Ca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10—Waste collection, transportation, transfer or storage, e.g.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lectric or hybrid propul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의 효율적인 수거 및 관리가 가능하고,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에 따른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재활용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복수의 투입구를 갖는 하우징과, 복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거함과, 복수의 투입구 중 어느 하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철 캔과 알루미늄 캔으로 구분하고 철 캔과 알루미늄 캔을 각기 다른 수거함으로 유입시키는 캔 선별장치와, 캔 선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재활용 폐기물을 재질 별로 자동 선별하고 수거할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금속 캔, 알루미늄 캔, 유리 병, 플라스틱 등을 재활용 폐기물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들을 재활용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은 쓰레기 집하장으로 수거되어 금속 캔, 알루미늄 캔, 유리 병, 플라스틱 등의 재질 별로 선별되어 재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폐기물의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 과정에서 재활용 폐기물을 재질 별로 분류하여 수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주거지나 공공장소에는 사용자가 재활용 폐기물을 종류 별로 구별하여 각기 다른 재활용 폐기물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함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수거 방식은 여전히 사용자가 집안에서 재활용 폐기물을 저장 보관한 후, 한꺼번에 건물 외부에 설치된 재활용 폐기물 수거함에 버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재활용 폐기물을 분리 수거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고,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분리 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생활 폐기물에 대한 경제적 가치의 부족, 재활용 가능한 생활 폐기물에 대한 지식 부족, 생활 폐기물을 사용자가 직접 일일이 분리 수거함에 따른 번거로움, 생활 폐기물 수집 장치의 저변 확대 부족, 재활용 가능한 생활 폐기물에 대한 보상 체계 미비 등의 이유로 금속 캔, 알루미늄 캔, 유리 병, 플라스틱 등의 재활용 폐기물에 대한 수거 및 재활용 비율은 여전히 낮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재활용 폐기물의 효율적인 수거 및 관리가 가능하고,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에 따른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재활용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복수의 투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복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거함; 상기 복수의 투입구 중 어느 하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철 캔과 알루미늄 캔으로 구분하고, 철 캔과 알루미늄 캔을 각기 다른 수거함으로 유입시키는 캔 선별장치; 및 상기 캔 선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거함에 각각 수거되는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량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복수의 수거량 검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거량 검출센서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고, 외부의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사용자 인식을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사용자 인식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복수의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복수의 투입구 도어;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복수의 투입구 도어를 각각 록킹 또는 록킹 해제하기 위한 복수의 투입구 도어 록킹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 선별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입구 중 어느 하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떠받쳐서 이송할 수 있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와, 상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 상에 놓이는 재활용 캔의 재질을 검출하여 재활용 캔을 알루미늄 캔과 철 캔으로 구분하는 캔 검출센서와, 상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 사이의 간극이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움직이는 컨베이어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알루미늄 캔과 철 캔 중 어느 한 종류는 상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거함에 수거되고, 다른 한 종류는 상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 사이의 간극을 통해 떨어져 다른 하나의 수거함에 수거되도록 상기 캔 검출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이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캔 선별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틸팅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이동부는, 상기 한 쌍의 틸팅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틸팅 프레임을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시키는 한 쌍의 틸팅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 선별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떠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의 재질을 검출하여 재활용 캔을 알루미늄 캔과 철 캔으로 구분하는 캔 검출센서와, 상기 받침대에 놓이는 재활용 캔을 가압할 수 있는 제1 푸셔를 구비하고, 상기 캔 검출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라 제어되되, 상기 캔 검출센서가 상기 받침대 위에 놓이는 재활용 캔을 알루미늄 캔으로 판별할 때 상기 제1 푸셔로 해당 알루미늄 캔을 제1 방향으로 밀어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거함으로 이동시키는 제1 푸셔유닛과, 상기 받침대에 놓이는 재활용 캔을 가압할 수 있는 제2 푸셔를 구비하고, 상기 캔 검출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라 제어되되, 상기 캔 검출센서가 상기 받침대 위에 놓이는 재활용 캔을 철 캔으로 판별할 때 상기 제2 푸셔로 해당 철 캔을 제2 방향으로 밀어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다른 하나의 수거함으로 이동시키는 제2 푸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푸셔유닛은, 상기 제1 푸셔를 상기 하우징이 놓이는 바닥에 대해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푸셔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푸셔유닛은 상기 제2 푸셔를 상기 제1 푸셔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푸셔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푸셔와 상기 제2 푸셔는 상호 마주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푸셔유닛은 상기 제1 푸셔에 선형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1 푸셔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푸셔유닛은 상기 제2 푸셔에 선형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2 푸셔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받침대에 놓이는 재활용 캔이 상기 제1 푸셔 및 상기 제2 푸셔에 의해 압착된 후,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제1 푸셔 구동기 및 상기 제2 푸셔 구동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캔 선별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떠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알루미늄 캔의 수거를 위한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 측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이 놓이는 바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푸셔와, 상기 제1 푸셔에 상기 받침대 측으로 복귀될 수 있는 이동력을 제공하는 복귀 기구와, 상기 제1 푸셔와 마주하여 상기 제1 푸셔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푸셔와, 철 캔이 상기 제2 푸셔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푸셔에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제2 푸셔가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철 캔의 수거를 위한 철 캔용 수거함 위에 놓이는 위치에서 상기 제1 푸셔를 상기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 측으로 밀어내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푸셔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푸셔 구동기와,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2 푸셔에 부착되어 상기 철 캔용 수거함 위로 운반되는 철 캔에 접하여 철 캔을 상기 제2 푸셔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철 캔용 수거함 위에 설치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 선별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 측으로 밀려난 상기 제1 푸셔를 일시적으로 상기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 위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푸셔에 접할 수 있는 스토퍼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제1 푸셔에 대해 상기 받침대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푸셔의 일측에는 고정홈이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푸셔를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움직이는 스토퍼 구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캔 선별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알루미늄 캔의 수거를 위한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 측으로 이송시키는 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캔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캔 중 철 캔을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철 캔의 수거를 위한 철 캔용 수거함 측으로 운반하기 위한 철 캔용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철 캔용 컨베이어는, 상기 캔 이송 컨베이어의 상측에 상기 캔 이송 컨베이어와 마주하여 궤도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를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 지지부재와, 상기 이송벨트를 궤도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철 캔용 컨베이어 구동기와, 상기 이송벨트로 둘러싸이는 상기 이송벨트의 안쪽 공간에 배치되어 철 캔이 상기 이송벨트에 부착되어 상기 철 캔용 수거함 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벨트 사이의 공간으로 자력을 가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은, 재활용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상기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접속하는 수거업체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재활용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복수의 투입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거함과, 상기 복수의 수거함에 각각 수거되는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량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수거량 검출센서와, 상기 복수의 투입구 중 어느 하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철 캔과 알루미늄 캔으로 구분하고, 철 캔과 알루미늄 캔을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 각기 다른 수거함으로 유입시키는 캔 선별장치와, 상기 캔 선별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수거량 검출센서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중 폐기물 수거량이 사전 설정된 수거량에 도달한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정보를 상기 수거 업체 단말에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 중 재활용 캔을 철 캔과 알루미늄 캔으로 자동 분류하여 각각 다른 수거함에 수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편리하고, 재활용 캔의 재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은 관리 서버가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로부터 폐기물 수거량에 대한 정보를 취합하고, 각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별로 적절한 시점에 재활용 폐기물 수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재활용 폐기물의 효율적인 수거 및 관리가 가능하고,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에 따른 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수거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캔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캔 선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캔 선별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캔 선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캔 선별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캔 선별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도 13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은 캔 선별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도 20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수거함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캔 선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캔 선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캔 선별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캔 선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캔 선별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3은 캔 선별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도 13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은 캔 선별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도 20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100)은 재활용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와,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와 통신망(600)을 통해 접속하는 관리 서버(300)와, 통신망(600)을 통해 관리 서버(300)와 각각 접속할 수 있는 수거업체 단말(400) 및 사용자 단말(5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100)은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가 아파트 단지나 특정 행정 구역에 적절한 개수로 분산 배치되고, 관리 서버(300)가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 각각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 상황 등을 모니터링하고 관리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 각각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 상황이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가 통신망(600)을 통해 관리 서버(300)에 송신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0)는 각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로부터 각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의 폐기물 수거량이나, 이상 유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각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의 폐기물 수거량이나, 이상 발생 등에 따라 각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에 필요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의 운영 상황을 관리자나,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로부터 폐기물 수거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의 폐기물 수거량이 사전 설정된 수거량에 도달한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의 폐기물 수거량이 사전 설정된 수거량에 도달한 시점에 그 정보를 수거업체 단말(400)에 제공함으로써, 수거업체가 해당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에서 재활용 폐기물을 수거해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수거업체가 정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에 방문할 필요가 없고,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에 재활용 폐기물이 일정량 모인 시점에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에 방문하도록 함으로써, 인력 낭비를 줄이고 재활용 폐기물의 효율적인 수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각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에 대한 사용 권한을 갖는 사용자를 등록 및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의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해당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의 사용 권한이 부여될 수 있고, 각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는 사전 등록된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는 잠금 또는 보안 기능을 갖출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각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에 대한 사용자 등록이나, 등록 해지 등의 절차를 담당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각 사용자에 대해 재활용 폐기물 수거량이나 재활용 폐기물의 오투입에 따른 보상이나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관리 서버(300)가 생성하는 정보는 통신망(600)을 통해 개별 사용자 단말(500)에 전송될 수 있다.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는 재활용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복수의 투입구(211)(212)(213)를 갖는 하우징(210)과, 복수의 투입구(211)(212)(213)를 개폐하기 위해 하우징(210)에 설치되는 복수의 투입구 도어(215)와, 재활용 폐기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우징(2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거함(230)(232)(234)(236)과, 하우징(2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철 캔과 알루미늄 캔으로 선별하는 캔 선별장치(250)와,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200)는 다양한 재활용 폐기물 중에서 유리병과, 재활용 캔과,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거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하우징(210)은 복수의 수거함(230)(232)(234)(236)과, 캔 선별장치(250) 등을 수용하여 이들 구성요소들을 보호한다. 하우징(210)은 투입구(211)(212)(213)가 마련된 전면만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건축물의 벽체 등에 매립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투입구(211)(212)(213)는 사용자가 재활용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210)의 일면에 형성된다. 복수의 투입구(211)(212)(213)는 유리병의 투입을 위한 유리병 투입구(211)와, 재활용 캔의 투입을 위한 캔 투입구(212)와, 플라스틱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플라스틱 투입구(213)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투입구(211)(212)(213)는 투입구 도어(215)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투입구 도어(215)는 투입구 도어 록킹기구(217)에 의해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될 수 있다. 투입구 도어 록킹기구(217)는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투입구 도어(215)를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킬 수 있다. 제어부(260)는 사용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만 투입구 도어(215)를 열고 재활용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 도어 록킹기구(217)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60)는 하우징(210)에 설치된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사용자 인식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인식 정보에 따라 투입구 도어(215)를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킬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는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 방식이나, 지문 인식, 안면 인식, 보안 키, 카드 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0)가 사용자를 인식하여 사용자 인식 정보를 제어부(260)에 송신하면, 제어부(260)는 해당 사용자가 사전 등록된 사용자인 경우에 한해 투입구 도어(215)를 록킹 해제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투입구 도어(215)를 개방하고 투입구(211)(212)(213)를 통해 재활용 폐기물을 투입하는 경우, 제어부(260)가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의 종류나 투입량을 확인하여 관리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300)는 제어부(26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 대한 보상이나 패널티를 부여할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하우징(210)에는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의 종류를 검출하기 위한 각종 센서나,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의 투입량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측정기가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일면에는 복수의 투입구(211)(212)(213) 이외에 수거함(230)(232)(234)(236)의 출입을 위한 복수의 출입구(222)도 마련된다. 각 출입구(222)는 출입구 도어(22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출입구 도어(224)는 출입구 도어 록킹기구(226)에 의해 록킹 또는 록킹 해제될 수 있다. 출입구 도어 록킹기구(226)는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출입구 도어(224)를 록킹 또는 록킹 해제시킬 수 있다. 제어부(260)는 인터페이스부(220)로부터 사용자 인식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만 출입구 도어(224)를 열 수 있도록 출입구 도어 록킹기구(226)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수거함(230)(232)(234)(236)은 유리병의 수거를 위한 유리병용 수거함(230)와, 알루미늄 캔의 수거를 위한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과, 철 캔의 수거를 위한 철 캔용 수거함(234)과, 플라스틱 폐기물의 수거를 위한 플라스틱용 수거함(236)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각각의 수거함(230)(232)(234)(236)은 이중 수납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플라스틱용 수거함(236)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플라스틱용 수거함(236)은 경질의 외부함(237)과, 외부함(237)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 포장재(238)를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용 수거함(236)으로 수거되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내부 포장재(238) 안에 담기므로, 수거업체 작업자가 내부 포장재(238)만 외부함(237)에서 분리하는 방식으로 투입된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거해 갈 수 있다. 외부함(237)에는 이동의 편의를 위한 바퀴(239)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수납 구조는 유리병용 수거함(230)과,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과, 철 캔용 수거함(234)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용 수거함(236)의 상측에는 수거량 검출센서(240)가 설치된다. 수거량 검출센서(240)는 플라스틱용 수거함(236)에 수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의 수거량을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제어부(260)에 송신한다. 제어부(260)는 수거량 검출센서(240)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플라스틱용 수거함(236)에 수거된 플라스틱 폐기물의 수거량을 확인할 수 있다. 플라스틱용 수거함(236) 이외에, 유리병용 수거함(230)과,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과, 철 캔용 수거함(234) 각각의 상측에도 수거량 검출센서(240)가 설치되어 각 수거함에 수거되는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량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유리병용 수거함(230)은 승강기구(245)에 의해 떠받쳐질 수 있다. 승강기구(245)는 유리병용 수거함(230)의 높이를 조절하고, 유리병용 수거함(230)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유리병은 투입되는 과정에서 깨지는 문제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승강기구(245)를 통해 그러한 문제를 줄일 수 있다. 승강기구(245)는 유리병용 수거함(230)에 수거된 유리병이 수거량이 상대적으로 적을 때는 유리병용 수거함(230)의 높이를 높게 유지하고, 유리병 수거량이 상대적으로 많을 때는 유리병용 수거함(230)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강기구(245)는 유리병용 수거함(230)의 무게에 따라 유리병용 수거함(230)의 높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구조나, 수거량 검출센서(240)의 검출 신호에 따라 능동적으로 유리병용 수거함(2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 등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캔 선별장치(250)는 재활용 캔(C)을 떠받쳐서 이송하기 위한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와,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를 이들 사이의 간극(G) 크기가 변할 수 있도록 움직이는 컨베이어 이동부(254)와, 캔 투입구(212)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C)의 재질을 검출하여 재활용 캔(C)을 알루미늄 캔(C1)과 철 캔(C2)으로 구분하기 위한 캔 검출센서(256)를 포함한다.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는 캔 투입구(212)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C)을 떠받쳐서 이송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들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사이에는 간극(G)이 마련되고, 이 간극(G)의 크기는 컨베이어 이동부(254)에 의해 변할 수 있다.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사이가 좁혀진 상태에서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은 투입 컨베이어(251)에 의해 소정의 위치까지 이송될 수 있다. 반면, 재활용 캔(C)이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위에 놓인 상태에서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사이가 벌어지면 재활용 캔(C)이 벌어진 간극(G)을 통해 하부로 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는 철 캔용 수거함(234) 위에 배치되고,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사이의 간극(G)으로 떨어지는 재활용 캔(C)은 철 캔용 수거함(234)으로 투입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하측에는 투입 가이드(257)가 설치된다. 투입 가이드(257)는 투입 컨베이어(251)에 의해 소정의 위치까지 이송되어 투입 컨베이어(251)에서 떨어지는 재활용 캔(C)을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사이로 떨어지지 않고 투입 컨베이어(251)에 의해 소정의 위치까지 이송되는 재활용 캔(C)은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으로 투입될 수 있다.
각 투입 컨베이어(251)는 철 캔용 수거함(234)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253)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 프레임(252)에 결합된다. 각 틸팅 프레임(252)이 베이스 프레임(253)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사이의 간극(G)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컨베이어 이동부(254)는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사이의 간극(G)이 벌어질 수 있도록 각 투입 컨베이어(251)를 움직인다. 컨베이어 이동부(254)는 한 쌍의 틸팅 프레임(252)과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의 틸팅 프레임(252)을 각각 베이스 프레임(253)에 대해 회전시키는 한 쌍의 틸팅기구(255)를 포함한다. 각 틸팅기구(255)는 베이스 프레임(253)에 설치되어 각 틸팅 프레임(252)을 밀거나 당길 수 있다. 틸팅기구(255)가 틸팅 프레임(252)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틸팅 프레임(252)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틸팅될 수 있다. 그리고 각 틸팅 프레임(252)이 틸팅됨으로써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사이의 간극(G)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컨베이어 이동부(254)는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260)는 캔 검출센서(256)의 검출 신호에 따라 컨베이어 이동부(254) 및 투입 컨베이어(251)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60)는 캔 투입구(212)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C) 중에서 알루미늄 캔(C1)은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으로 투입되고, 철 캔(C2)은 철 캔용 수거함(234)으로 투입되도록 컨베이어 이동부(254) 및 투입 컨베이어(251)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사이의 간극(G)이 좁혀진 상태에서 캔 투입구(212)를 통해 알루미늄 캔(C1)이 투입되는 경우, 캔 검출센서(256)가 알루미늄 캔(C1)을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제어부(260)에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260)는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가 알루미늄 캔(C1)을 떠받친 상태로 작동하도록 투입 컨베이어(251)를 제어한다.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가 서로 좁혀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작동함에 따라 알루미늄 캔(C1)은 소정의 위치까지 이송되어 투입 컨베이어(251)로부터 떨어지고, 투입 가이드(257)에 의해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으로 투입될 수 있다.
반면, 도 6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위로 철 캔(C2)이 투입되는 경우, 캔 검출센서(256)가 철 캔(C2)을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제어부(260)에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260)는 각 투입 컨베이어(251)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면서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사이의 간극(G)이 벌어지도록 각 틸팅기구(255)를 작동시킨다. 간극(G)이 벌어짐에 따라 철 캔(C2)은 투입 컨베이어(251)로부터 벗어나 간극(G)을 통해 철 캔용 수거함(234)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캔 선별장치(250)는 캔 투입구(212)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C)을 알루미늄 캔(C1)과 철 캔(C2)으로 구분하고, 알루미늄 캔(C1)과 철 캔(C2)을 구분하여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또는 철 캔용 수거함(234)에 투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캔 선별장치(25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입 컨베이어(251)는 도시된 것과 같은 벨트 컨베이어 구조 이외에 재활용 캔(C)을 소정의 위치까지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이동부(254)는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를 각각 틸팅시키는 한 쌍의 틸팅기구(255)를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사이의 간극(G)이 벌어질 수 있도록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중 적어도 하나를 움직일 수 있는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가 철 캔용 수거함(234) 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투입 컨베이어(251)는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251) 사이로 떨어지는 재활용 캔(C)이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에 수거되고, 투입 컨베이어(251)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캔(C)이 철 캔용 수거함(234)으로 투입될 수 있다.
이 밖에, 캔 선별장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23은 캔 선별장치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710)는 하우징(2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C)을 떠받치는 받침대(711)와,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의 재질을 검출하는 캔 검출센서(256)와,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제1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푸싱유닛(712)과,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제2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푸싱유닛(716)을 포함한다.
받침대(711)는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및 철 캔용 수거함(234) 위에 배치되며, 캔 투입구(212)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캔(C)을 떠받칠 수 있다.
제1 푸싱유닛(712)은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가압할 수 있는 제1 푸셔(713)와, 제1 푸셔(713)를 움직이는 제1 푸셔 구동기(714)를 포함한다. 제1 푸셔(713)는 받침대(711)의 상측에 받침대(711)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져 배치된다. 제1 푸셔 구동기(714)는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제1 푸셔(713)를 하우징(210)이 놓이는 바닥에 대해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1 푸셔(713)에 제공한다.
제2 푸싱유닛(716)은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가압할 수 있는 제2 푸셔(717)와, 제2 푸셔(717)를 움직이는 제2 푸셔 구동기(718)를 포함한다. 제2 푸셔(717)는 제1 푸셔(713)와 나란하게 놓이도록 받침대(711)의 상측에 받침대(711)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일측으로 치우져 배치된다. 제2 푸셔 구동기(718)는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제2 푸셔(717)를 제1 푸셔(713)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2 푸셔(717)에 제공한다.
제1 푸싱유닛(712)과 제2 푸싱유닛(716)은 각각 캔 검출센서(256)의 검출 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재질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밀어 수 있다.
즉, 도 9(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받침대(711) 위로 알루미늄 캔(C1)이 투입되는 경우, 캔 검출센서(256)가 알루미늄 캔(C1)을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제어부(260)에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260)는 제2 푸셔(717)가 회전하여 알루미늄 캔(C1)을 제2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제2 푸셔 구동기(718)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2 방향은 받침대(711)에서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을 향하는 방향이다. 제2 푸셔(717)가 알루미늄 캔(C1)을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알루미늄 캔(C1)이 받침대(711)에서 움직여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속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1 푸셔(713)가 알루미늄 캔(C1)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어부(260)는 제1 푸셔(713)도 제2 푸셔(717)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1 푸셔 구동기(714)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받침대(711) 위로 철 캔(C2)이 투입되는 경우, 캔 검출센서(256)가 철 캔(C2)을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제어부(260)에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260)는 제1 푸셔(713)가 회전하여 철 캔(C2)을 제1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제1 푸셔 구동기(714)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 방향은 받침대(711)에서 철 캔용 수거함(234)을 향하는 방향이다. 제1 푸셔(713)가 철 캔(C2)을 철 캔용 수거함(234)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철 캔(C2)이 받침대(711)에서 움직여 철 캔용 수거함(234) 속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 푸셔(717)가 철 캔(C2)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제어부(260)는 제2 푸셔(717)도 제1 푸셔(713)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2 푸셔 구동기(718)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720)는 재활용 캔(C)을 떠받치는 받침대(711)와,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의 재질을 검출하는 캔 검출센서(256)와,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제1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푸싱유닛(722)과,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제2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푸싱유닛(726)을 포함한다.
제1 푸싱유닛(722)과 제2 푸싱유닛(726)은 받침대(711)를 사이에 두고 받침대(711)의 양측에 배치된다. 제1 푸싱유닛(722)은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위에 배치되어 받침대(711)에 놓이는 철 캔(C2)을 철 캔용 수거함(234)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2 푸싱유닛(726)은 철 캔용 수거함(234) 위에 배치되어 받침대(711)에 놓이는 알루미늄 캔(C1)을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 푸싱유닛(722)은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가압할 수 있는 제1 푸셔(723)와, 제1 푸셔(723)를 움직이는 제1 푸셔 구동기(724)를 포함한다. 제1 푸셔 구동기(724)는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제1 푸셔(723)를 하우징(210)이 놓이는 바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력을 제1 푸셔(723)에 제공한다.
제2 푸싱유닛(726)은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가압할 수 있는 제2 푸셔(727)와, 제2 푸셔(727)를 움직이는 제2 푸셔 구동기(728)를 포함한다. 제2 푸셔 구동기(728)는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제2 푸셔(727)를 제1 푸셔(723)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력을 제1 푸셔(723)에 제공한다.
제1 푸싱유닛(722)과 제2 푸싱유닛(726)은 각각 캔 검출센서(256)의 검출 신호에 따라 제어되며,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압착한 후 압착된 재활용 캔(C)을 재질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밀어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받침대(711) 위에 재활용 캔(C)이 투입되면 제어부(260)가 제1 푸셔(723)와 제2 푸셔(727)가 서로를 향해 전진하도록 제1 푸셔 구동기(724)와 제2 푸셔 구동기(728)를 제어한다. 이때, 재활용 캔(C)은 제1 푸셔(723)와 제2 푸셔(727) 사이에서 압착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60)는 재활용 캔(C)의 재질에 따라 재활용 캔(C)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제1 푸셔 구동기(724)와 제2 푸셔 구동기(728)를 제어한다.
압축된 재활용 캔이 알루미늄 캔(C1)인 경우, 도 12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부(260)는 제2 푸셔(727)가 더욱 전진하여 알루미늄 캔(C1)을 제2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제2 푸셔 구동기(728)를 제어하게 된다. 제2 푸셔(727)가 알루미늄 캔(C1)을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푸셔(723)가 후퇴하게 되고 알루미늄 캔(C1)이 받침대(711)에서 움직여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속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푸셔(723)는 제2 푸셔(727)에 의해 가압되어 후퇴하거나, 제1 푸셔 구동기(724)의 작용으로 후퇴할 수 있다.
압축된 재활용 캔이 철 캔(C2)인 경우, 도 12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부(260)는 제1 푸셔(723)가 더욱 전진하여 철 캔(C2)을 제1 방향으로 밀어내도록 제1 푸셔 구동기(724)를 제어하게 된다. 제1 푸셔(723)가 철 캔(C2)을 철 캔용 수거함(234) 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 푸셔(727)가 후퇴하게 되고 철 캔(C2)이 받침대(711)에서 움직여 철 캔용 수거함(234) 속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푸셔(727)는 제1 푸셔(723)에 의해 가압되어 후퇴하거나, 제2 푸셔 구동기(728)의 작용으로 후퇴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9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730)는 재활용 캔(C)을 떠받치는 받침대(711)와, 받침대(711)를 사이에 두고 받침대(711)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푸싱유닛(732) 및 제2 푸싱유닛(738)을 포함한다. 제1 푸싱유닛(732)은 받침대(711)로부터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제2 푸싱유닛(738)은 받침대(711)로부터 철 캔용 수거함(234) 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제1 푸싱유닛(732)은 받침대(711)로부터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측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하우징(210)이 놓이는 바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푸셔(733)를 포함한다. 제1 푸셔(733)는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압축할 수 있는 제1 푸셔 헤드(734)와, 제1 푸셔 헤드(734)로부터 연장되는 제1 푸셔 로드(735)를 포함한다. 제1 푸셔 로드(735)의 외면 일측에는 고정홈(736)이 형성되고, 제1 푸셔 헤드(734)의 일측에는 재활용 캔(C)이 유입될 수 있는 푸셔홈(737)이 마련된다.
제1 푸셔(733)는 푸셔 프레임(747)에 지지되어 선형 이동할 수 있다. 푸셔 프레임(747)의 내측에는 제1 푸셔 로드(735)가 삽입되는 가이드홈(748)이 마련된다. 제1 푸셔(733)는 가이드홈(748)에 제1 푸셔 로드(735)가 삽입됨으로써 가이드홈(748)을 따라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제1 푸셔(733)는 제1 푸셔 헤드(734)가 푸셔 프레임(747)에 접근하도록 후퇴하였다가 복귀 기구(750)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복귀 기구(750)는 제1 푸셔(713)에 받침대(711) 측으로 복귀될 수 있는 이동력을 제공한다. 복귀 기구(750)는 제1 푸셔(73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751)을 포함한다. 스프링(751)은 일단이 푸셔 프레임(747)에 접하고 타단이 제1 푸셔 헤드(734)에 접함으로써 제1 푸셔(733)에 대해 받침대(711) 측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
푸셔 프레임(747)에는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측으로 밀려난 제1 푸셔(733)를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스토퍼 기구(753)가 설치된다. 스토퍼 기구(753)는 스토퍼(754) 및 스토퍼(754)를 움직이는 스토퍼 구동기(755)를 포함한다. 스토퍼(754)는 제1 푸셔(733)가 후퇴한 상태에서 제1 푸셔(733)의 고정홈(736)에 삽입됨으로써 제1 푸셔(733)를 고정할 수 있다. 스토퍼 구동기(755)는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스토퍼(754)를 고정홈(736)에 삽입되거나 고정홈(736)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제2 푸싱유닛(738)은 제1 푸셔(733)와 제1 푸셔(733)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푸셔(739)와, 제2 푸셔(739)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푸셔 구동기(745)를 포함한다. 제2 푸셔(739)는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압축할 수 있는 제2 푸셔 헤드(740)와, 제2 푸셔 헤드(740)로부터 연장되는 제2 푸셔 로드(741)를 포함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푸셔 헤드(740)는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제1 푸셔 헤드(734) 측으로 가압하여 제1 푸셔 헤드(734)의 푸셔홈(737) 속으로 진입시킬 수 있도록 끝단 측으로 가면서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콘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푸셔 헤드(740)에는 마그네트(743)가 결합된다. 마그네트(743)는 철 캔(C2)을 제2 푸셔(739)에 부착시키기 위한 자력을 제공한다. 푸셔 구동기(745)는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되어 제2 푸셔(739)를 움직인다.
푸셔 구동기(745)에 의해 제2 푸셔(739)는 철 캔용 수거함(234) 위에 놓이는 위치에서 제1 푸셔(733)를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측으로 밀어내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다. 제2 푸셔(739)가 제1 푸셔(733)를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측으로 밀어내는 위치까지 전진할 때, 제2 푸셔(739)는 제1 푸셔(733)와 함께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C)을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푸셔(739)가 철 캔용 수거함(234) 위에 놓이는 위치까지 후퇴할 때, 압축된 재활용 캔(C)이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또는 철 캔용 수거함(234) 속으로 수거될 수 있다.
압축된 재활용 캔이 알루미늄 캔인 경우, 제2 푸셔(739)가 후퇴할 때 알루미늄 캔은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위에서 제1 푸셔(733)로부터 분리되어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속으로 떨어질 수 있다. 반면, 압축된 재활용 캔이 철 캔인 경우, 제2 푸셔(739)가 후퇴할 때 철 캔은 마그네트(743)의 자력에 의해 제2 푸셔 헤드(740)에 부착된 상태로 철 캔용 수거함(234) 위로 운반되어 철 캔용 수거함(234) 속으로 떨어질 수 있다.
제2 푸셔(739)에 부착되어 철 캔용 수거함(234) 위로 운반된 철 캔을 제2 푸셔(739)에서 분리하기 위해 철 캔용 수거함(234)의 상측에는 분리부재(757)가 설치된다. 분리부재(757)는 철 캔에 접하여 철 캔을 제2 푸셔(717)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분리부재(757)에는 제2 푸셔(739)의 제2 푸셔 헤드(74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홈(758)이 마련된다. 제2 푸셔 헤드(740)가 압축된 철 캔이 부착된 상태로 후퇴하여 수용홈(758) 속으로 진입할 때, 철 캔이 분리부재(757)에 걸려 제2 푸셔 헤드(740)로부터 분리된 후, 철 캔용 수거함(234) 속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캔 선별장치(73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받침대(711)에 알루미늄 캔(C1)이 놓인 경우, 제2 푸셔(739)가 전진하여 알루미늄 캔(C1)을 제1 푸셔(733) 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알루미늄 캔(C1)이 제1 푸셔(733)의 푸셔홈(737) 속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제2 푸셔(739)에 의해 눌려 압축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푸셔(733)가 제2 푸셔(739)에 의해 정해진 위치까지 후퇴하면, 스프링(751)이 압축되고 제어부(260)가 스토퍼 기구(753)를 작동시킨다. 이때, 스토퍼 기구(753)의 스토퍼(754)가 제1 푸셔(733)의 고정홈(736)에 삽입됨으로써 제1 푸셔(733)가 후퇴한 상태로 일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2 푸셔(739)가 후퇴하여 제1 푸셔(733)에서 멀어지면 제1 푸셔(733)의 푸셔홈(737) 속에서 압축되었던 알루미늄 캔(C1)이 제1 푸셔(733)에서 분리되어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제1 푸셔(733)가 후퇴한 상태로 고정되지 않으면, 제2 푸셔(739)가 후퇴할 때 제1 푸셔(733)가 스프링(751)의 탄성력에 의해 제2 푸셔(739)를 따라 받침대(711) 쪽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압축된 알루미늄 캔(C1)이 원활하게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속으로 투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260)는 제1 푸셔(733)가 설정된 위치까지 후퇴한 시점에 스토퍼 기구(753)를 작동시킴으로써 제1 푸셔(733)를 후퇴한 상태로 일시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제1 푸셔(733)가 후퇴한 상태로 일시 고정되면 푸셔홈(737) 속에서 압축된 알루미늄 캔(C1)이 제1 푸셔(733)에서 분리되어 안정적으로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속으로 떨어질 수 있다.
알루미늄 캔(C1)이 제1 푸셔(733)를 벗어나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속으로 떨어진 후,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어부(260)가 스토퍼(754)가 제1 푸셔(733)의 고정홈(736)에서 벗어나도록 스토퍼 기구(753)를 제어한다. 이때, 제1 푸셔(733)는 스프링(751)의 탄성력에 의해 받침대(711) 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제1 푸셔(733)가 받침대(711) 측으로 전진할 수 있도록 제어부(260)가 스토퍼 기구(753)를 제어하는 시점은 다양한 방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60)는 제1 푸셔(733)가 후퇴한 상태로 고정된 후 일정 시간 후에 스토퍼 기구(753)가 제1 푸셔(733)에 대한 고정력을 해제하도록 스토퍼 기구(753)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푸셔(733)를 벗어나는 재활용 캔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장치를 설치하고, 감지장치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부(260)가 스토퍼 기구(753)를 작동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한편, 받침대(711)에 놓이는 재활용 캔이 철 캔(C2)인 경우,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푸셔(733) 및 제2 푸셔(739)가 철 캔(C2)을 압축한 후, 압축된 철 캔(C2)이 마그네트(743)의 자력에 의해 제2 푸셔(739)의 제2 푸셔 헤드(740)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2 푸셔(739)가 원래 위치로 후퇴할 때 철 캔(C2)이 제2 푸셔 헤드(740)에 부착된 상태로 철 캔용 수거함(234) 위로 운반된다.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2 푸셔(739)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여 제2 푸셔 헤드(740)가 분리부재(757)의 수용홈(758) 속에 삽입되면, 제2 푸셔 헤드(740)에 부착된 철 캔(C2)이 분리부재(757)에 걸려 제2 푸셔 헤드(740)로부터 분리된다. 이렇게 분리된 철 캔(C2)은 철 캔용 수거함(234)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캔 선별장치(730)는 마그네트(743)의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투입되는 재활용 캔의 재질을 검출하기 위한 캔 검출센서를 구비하지 않고도 알루미늄 캔(C1)과 철 캔(C2)을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또는 철 캔용 수거함(234)에 분리하여 투입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캔 선별장치(730)에 있어서, 제1 푸셔(733)나 제2 푸셔(739)의 구체적인 구조나, 제1 푸셔(733)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기구(750)의 구체적인 구조, 제1 푸셔(733)를 후퇴한 상태로 일시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 기구(753)의 구조나, 철 캔(C2)을 제2 푸셔(739)에서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재(757)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20 내지 도 23에 나타낸 캔 선별장치(760)는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측으로 이송시키는 캔 이송 컨베이어(762)와, 캔 이송 컨베이어(762)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캔 중 철 캔을 철 캔용 수거함(234) 측으로 운반하기 위한 철 캔용 컨베이어(764)를 포함한다.
캔 이송 컨베이어(762)는 캔 투입구(212)로 투입되어 투입 가이드(719)를 따라 이송되는 재활용 캔을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위로 이송할 수 있다. 캔 이송 컨베이어(762)는 도시된 것과 같은 벨트 컨베이어 구조, 또는 재활용 캔을 운반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철 캔용 컨베이어(764)는 캔 이송 컨베이어(762)의 상측에 캔 이송 컨베이어(762)와 마주하여 궤도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이송벨트(765)와, 이송벨트(765)를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 지지부재(767)와, 이송벨트(765)를 궤도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철 캔용 컨베이어 구동기(770)와, 이송벨트(765)로 둘러싸이는 이송벨트(765)의 안쪽 공간에 배치되는 마그네트(768)를 포함한다. 이송벨트(765)의 외면에는 복수의 이송벨트 돌기(766)가 구비된다.
마그네트(768)는 캔 이송 컨베이어(762) 위에서 철 캔용 수거함(234)의 위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마그네트(768)는 캔 이송 컨베이어(762)에 놓이는 철 캔(C2)이 이송벨트(765)에 부착될 수 있도록 캔 이송 컨베이어(762)와 이송벨트(765) 사이의 공간으로 자력을 가한다. 마그네트(768)의 자력에 의해 캔 이송 컨베이어(762)에 놓이는 철 캔(C2)이 이송벨트(765)에 부착되어 철 캔용 수거함(234) 측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알루미늄 캔(C1)이 투입되는 경우, 알루미늄 캔(C1)은 마그네트(768)의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캔 이송 컨베이어(762)에 실려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 위로 이송된 후, 캔 이송 컨베이어(762)를 벗어나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232)에 수거된다.
반면,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철 캔(C2)이 투입되는 경우, 철 캔(C2)은 마그네트(768)의 자력에 의해 이송벨트(765)에 부착되어 철 캔용 수거함(234) 위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송벨트(765)에 부착된 철 캔(C2)이 마그네트(768)를 통과하면 철 캔(C2)이 이송벨트(765)에서 벗어나 철 캔용 수거함(234)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송벨트(765)의 이송벨트 돌기(766)는 이송벨트(765)가 움직임에 따라 철 캔(C2)을 가압함으로써 철 캔(C2)을 마그네트(768)에서 원활하게 벗어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 200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210 : 하우징 215 : 투입구 도어
217 : 투입구 도어 록킹기구 220 : 인터페이스부
224 : 출입구 도어 226 : 출입구 도어 록킹기구
230, 232, 234, 236 : 수거함 240 : 수거량 검출센서
245 : 승강기구
250, 710, 720, 730, 760 : 캔 선별장치
251 : 투입 컨베이어 254 : 컨베이어 이동부
255 : 틸팅기구 256 : 캔 검출센서
260 : 제어부 300 : 관리 서버
400 : 수거업체 단말 500 : 사용자 단말
600 : 통신망 711 : 받침대
712, 722, 732 : 제1 푸싱유닛 713, 723, 733 : 제1 푸셔
714, 724 : 제1 푸셔 구동기 716, 726, 738 : 제2 푸싱유닛
717, 727, 739 : 제2 푸셔 718, 728 : 제2 푸셔 구동기
743, 768 : 마그네트 745 : 푸셔 구동기
747 : 푸셔 프레임 750 : 복귀 기구
751 : 스프링 753 : 스토퍼 기구
757 : 분리부재 762 : 캔 이송 컨베이어
764 : 철 캔용 컨베이어 765 : 이송벨트
770 : 철 캔용 컨베이어 구동기
210 : 하우징 215 : 투입구 도어
217 : 투입구 도어 록킹기구 220 : 인터페이스부
224 : 출입구 도어 226 : 출입구 도어 록킹기구
230, 232, 234, 236 : 수거함 240 : 수거량 검출센서
245 : 승강기구
250, 710, 720, 730, 760 : 캔 선별장치
251 : 투입 컨베이어 254 : 컨베이어 이동부
255 : 틸팅기구 256 : 캔 검출센서
260 : 제어부 300 : 관리 서버
400 : 수거업체 단말 500 : 사용자 단말
600 : 통신망 711 : 받침대
712, 722, 732 : 제1 푸싱유닛 713, 723, 733 : 제1 푸셔
714, 724 : 제1 푸셔 구동기 716, 726, 738 : 제2 푸싱유닛
717, 727, 739 : 제2 푸셔 718, 728 : 제2 푸셔 구동기
743, 768 : 마그네트 745 : 푸셔 구동기
747 : 푸셔 프레임 750 : 복귀 기구
751 : 스프링 753 : 스토퍼 기구
757 : 분리부재 762 : 캔 이송 컨베이어
764 : 철 캔용 컨베이어 765 : 이송벨트
770 : 철 캔용 컨베이어 구동기
Claims (14)
- 삭제
- 삭제
- 삭제
- 재활용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복수의 투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복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거함;
상기 복수의 투입구 중 어느 하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철 캔과 알루미늄 캔으로 구분하고, 철 캔과 알루미늄 캔을 각기 다른 수거함으로 유입시키는 캔 선별장치; 및
상기 캔 선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캔 선별장치는,
상기 복수의 투입구 중 어느 하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떠받쳐서 이송할 수 있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와,
상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 상에 놓이는 재활용 캔의 재질을 검출하여 재활용 캔을 알루미늄 캔과 철 캔으로 구분하는 캔 검출센서와,
상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 사이의 간극이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움직이는 컨베이어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알루미늄 캔과 철 캔 중 어느 한 종류는 상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거함에 수거되고, 다른 한 종류는 상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 사이의 간극을 통해 떨어져 다른 하나의 수거함에 수거되도록 상기 캔 검출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이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캔 선별장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투입 컨베이어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틸팅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 이동부는, 상기 한 쌍의 틸팅 프레임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틸팅 프레임을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회전시키는 한 쌍의 틸팅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재활용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복수의 투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복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거함;
상기 복수의 투입구 중 어느 하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철 캔과 알루미늄 캔으로 구분하고, 철 캔과 알루미늄 캔을 각기 다른 수거함으로 유입시키는 캔 선별장치; 및
상기 캔 선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캔 선별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떠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의 재질을 검출하여 재활용 캔을 알루미늄 캔과 철 캔으로 구분하는 캔 검출센서와,
상기 받침대에 놓이는 재활용 캔을 가압할 수 있는 제1 푸셔를 구비하고, 상기 캔 검출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라 제어되되, 상기 캔 검출센서가 상기 받침대 위에 놓이는 재활용 캔을 알루미늄 캔으로 판별할 때 상기 제1 푸셔로 해당 알루미늄 캔을 제1 방향으로 밀어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어느 하나의 수거함으로 이동시키는 제1 푸셔유닛과,
상기 받침대에 놓이는 재활용 캔을 가압할 수 있는 제2 푸셔를 구비하고, 상기 캔 검출센서의 검출 신호에 따라 제어되되, 상기 캔 검출센서가 상기 받침대 위에 놓이는 재활용 캔을 철 캔으로 판별할 때 상기 제2 푸셔로 해당 철 캔을 제2 방향으로 밀어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다른 하나의 수거함으로 이동시키는 제2 푸셔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셔유닛은, 상기 제1 푸셔를 상기 하우징이 놓이는 바닥에 대해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1 푸셔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푸셔유닛은 상기 제2 푸셔를 상기 제1 푸셔의 회전 중심축과 평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제2 푸셔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푸셔와 상기 제2 푸셔는 상호 마주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푸셔유닛은 상기 제1 푸셔에 선형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1 푸셔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푸셔유닛은 상기 제2 푸셔에 선형 이동력을 제공하는 제2 푸셔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받침대에 놓이는 재활용 캔이 상기 제1 푸셔 및 상기 제2 푸셔에 의해 압착된 후,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제1 푸셔 구동기 및 상기 제2 푸셔 구동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재활용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복수의 투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복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거함;
상기 복수의 투입구 중 어느 하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철 캔과 알루미늄 캔으로 구분하고, 철 캔과 알루미늄 캔을 각기 다른 수거함으로 유입시키는 캔 선별장치; 및
상기 캔 선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캔 선별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떠받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로부터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알루미늄 캔의 수거를 위한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 측으로 후퇴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이 놓이는 바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푸셔와,
상기 제1 푸셔에 상기 받침대 측으로 복귀될 수 있는 이동력을 제공하는 복귀 기구와,
상기 제1 푸셔와 마주하여 상기 제1 푸셔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푸셔와,
철 캔이 상기 제2 푸셔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푸셔에 결합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제2 푸셔가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철 캔의 수거를 위한 철 캔용 수거함 위에 놓이는 위치에서 상기 제1 푸셔를 상기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 측으로 밀어내는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푸셔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푸셔 구동기와,
상기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2 푸셔에 부착되어 상기 철 캔용 수거함 위로 운반되는 철 캔에 접하여 철 캔을 상기 제2 푸셔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철 캔용 수거함 위에 설치되는 분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캔 선별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 측으로 밀려난 상기 제1 푸셔를 일시적으로 상기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 위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푸셔에 접할 수 있는 스토퍼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제1 푸셔에 대해 상기 받침대 측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푸셔의 일측에는 고정홈이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푸셔를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스토퍼를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거나 상기 고정홈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움직이는 스토퍼 구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재활용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복수의 투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복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거함;
상기 복수의 투입구 중 어느 하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철 캔과 알루미늄 캔으로 구분하고, 철 캔과 알루미늄 캔을 각기 다른 수거함으로 유입시키는 캔 선별장치; 및
상기 캔 선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캔 선별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알루미늄 캔의 수거를 위한 알루미늄 캔용 수거함 측으로 이송시키는 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캔 이송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재활용 캔 중 철 캔을 분리하여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에서 철 캔의 수거를 위한 철 캔용 수거함 측으로 운반하기 위한 철 캔용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철 캔용 컨베이어는,
상기 캔 이송 컨베이어의 상측에 상기 캔 이송 컨베이어와 마주하여 궤도 운동하도록 배치되는 이송벨트와,
상기 이송벨트를 궤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회전 지지부재와,
상기 이송벨트를 궤도 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철 캔용 컨베이어 구동기와,
상기 이송벨트로 둘러싸이는 상기 이송벨트의 안쪽 공간에 배치되어 철 캔이 상기 이송벨트에 부착되어 상기 철 캔용 수거함 측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캔 이송 컨베이어와 상기 이송벨트 사이의 공간으로 자력을 가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재활용 폐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상기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상기 관리 서버와 접속하는 수거업체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는,
재활용 폐기물의 투입을 위한 복수의 투입구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복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폐기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수거함과,
상기 복수의 수거함에 각각 수거되는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량을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수거량 검출센서와,
상기 복수의 투입구 중 어느 하나의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재활용 캔을 철 캔과 알루미늄 캔으로 구분하고, 철 캔과 알루미늄 캔을 상기 복수의 수거함 중 각기 다른 수거함으로 유입시키는 캔 선별장치와,
상기 캔 선별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수거량 검출센서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통신망을 통해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재활용 폐기물의 수거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복수의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중 폐기물 수거량이 사전 설정된 수거량에 도달한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의 정보를 상기 수거 업체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7977A KR102262965B1 (ko) | 2019-12-16 | 2019-12-16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7977A KR102262965B1 (ko) | 2019-12-16 | 2019-12-16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2965B1 true KR102262965B1 (ko) | 2021-06-09 |
Family
ID=7641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7977A KR102262965B1 (ko) | 2019-12-16 | 2019-12-16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296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79514A (zh) * | 2021-07-12 | 2021-10-08 | 安徽一鸣塑胶有限公司 | 一种便于分类的智能垃圾桶及其使用方法 |
KR20230033784A (ko) * | 2021-09-01 | 2023-03-09 | 임보미 |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8385Y1 (ko) * | 2005-11-28 | 2006-02-08 | (주)에스엔비텍 | 쓰레기 수거장치 |
KR100895871B1 (ko) | 2008-07-30 | 2009-04-30 | 탑랭커 주식회사 |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및 그 방법 |
KR100973548B1 (ko) * | 2010-04-20 | 2010-08-02 | 전기정 |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
2019
- 2019-12-16 KR KR1020190167977A patent/KR10226296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8385Y1 (ko) * | 2005-11-28 | 2006-02-08 | (주)에스엔비텍 | 쓰레기 수거장치 |
KR100895871B1 (ko) | 2008-07-30 | 2009-04-30 | 탑랭커 주식회사 |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및 그 방법 |
KR100973548B1 (ko) * | 2010-04-20 | 2010-08-02 | 전기정 |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79514A (zh) * | 2021-07-12 | 2021-10-08 | 安徽一鸣塑胶有限公司 | 一种便于分类的智能垃圾桶及其使用方法 |
KR20230033784A (ko) * | 2021-09-01 | 2023-03-09 | 임보미 |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102580486B1 (ko) * | 2021-09-01 | 2023-09-20 | 임보미 | 식별코드를 이용한 재활용품 분리수거 서비스 제공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62965B1 (ko)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시스템 | |
KR101181888B1 (ko) | 자동 재활용품 수거 장치 | |
CN104700210B (zh) | 医疗废弃物监控管理系统 | |
US5425458A (en) | Device for separation and storage of recyclable materials | |
US20110253817A1 (en) | Selective collection system for recycling input materials | |
CN102378994B (zh) | 单据处理装置 | |
CN109230081B (zh) | 一种基于机器人的垃圾管理方法及系统 | |
US20060016737A1 (en) | Return station for refundable or borrowed objects | |
KR101185152B1 (ko) | 쓰레기 수거 장치 | |
KR100973548B1 (ko) |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 |
EP2630040A1 (en) | Automated self-serve baggage drop-off device | |
CN103228432A (zh) | 用于压实垃圾的方法和设备 | |
US6409589B1 (en) | Coin retrieval system | |
CN104077835A (zh) | 纸张类处理装置和自动交易装置 | |
EP3480137B1 (en) | A system for volumetric disposal of waste in road bins | |
KR102318620B1 (ko) |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 |
JP4596611B2 (ja) | 荷保管設備および移動棚設備 | |
US4641245A (en) | Conveyor system comprising electrically driven conveyor cars that are closeable by means of a cover | |
JP2006344101A (ja) | 自動廃容器選別回収機能付き自動販売機 | |
JP7144579B2 (ja) | ドア用錠装置、宅配ボックスシステム及び宅配ボックス | |
WO2003011717A2 (en) | Device and procedure for refuse collection | |
CN113060437B (zh) | 城市社区的智能垃圾分类回收系统 | |
RU2727549C1 (ru) |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ый комплекс по приему полиэтиленовых бутылок и алюминиевых банок | |
US20130199422A1 (en) | Device for handling coins | |
KR200477681Y1 (ko) | 쓰레기 종량제 봉투 수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