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8659A -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8659A
KR20150068659A KR1020130154580A KR20130154580A KR20150068659A KR 20150068659 A KR20150068659 A KR 20150068659A KR 1020130154580 A KR1020130154580 A KR 1020130154580A KR 20130154580 A KR20130154580 A KR 20130154580A KR 20150068659 A KR20150068659 A KR 20150068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rame
blades
rotating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규
김소연
김이진
김이신
Original Assignee
김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규 filed Critical 김원규
Priority to KR102013015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8659A/ko
Publication of KR2015006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후 폐기된 플라스틱 용기나 금속 캔 등과 같은 재활용 용기를 수거하여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하도록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여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과, 일방향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휘어지는 갈고리형 칼날이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 일측면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된 고정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다수개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가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구비되어 있는 칼날부; 및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Recyclable Container Cu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재활용 용기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 후 폐기된 플라스틱 용기나 금속 캔 등과 같은 재활용 용기를 수거하여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하도록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여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트(PET) 병과 같은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 등은 음료 판매용 용기로써 유리병 등과 비교하여 무게가 가볍고 파손의 위험이 작으며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근래 들어 매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 등은 대체적으로 한번 사용 후 폐기되는 일회용 용기로서, 다른 폐기물과 함께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경우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을 낭비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여러 나라에서는 사용 후 폐기된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 등을 수거하여 재활용하고자 하는 정책을 다방면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법률적으로 분리수거의 대상이 되는 물품을 특정하여 매립 또는 소각 대상 폐기물과 분리하여 별도로 수거한 후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오염과 자원 낭비를 방지하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 등과 같은 재활용 용기는 내부에 액상의 물질을 담아야 하는 형태적인 특성상 부피가 클 수밖에 없어 사용 후 폐기된 재활용 용기를 수거하여 보관하는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차량 등을 이용하여 운반하는 경우에도 부피 문제로 인하여 적재 중량의 1/50 정도 밖에 싣지 못하여 운반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 등과 같은 재활용 용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압착하거나 작은 조각으로 파쇄, 절단하는 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데, 대부분 재활용품 수집업체에서 가정이나 업소에서 모아둔 재활용 용기를 수거한 후 압착 장치나 파쇄, 절단 장치를 구비한 전문 처리 업체로 보내어 압착하거나 파쇄, 절단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는 종래에 제안된 재활용 용기를 압착하거나 파쇄, 절단하는 장치가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제작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 대규모의 처리 용량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어 전문 처리 업체 이외에는 채산성을 맞출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파트 단지나 주택 단지 등과 같이 실질적으로 재활용 용기가 많이 배출되는 곳에 개별적으로 종래에 제안된 재활용 용기의 압착 또는 파쇄, 절단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이어서, 아파트 단지나 주택 단지 등에서는 여전히 각 가정에서 사용한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을 그대로 보관할 수밖에 없었고, 이를 재활용품 수집업체 등에서 수거하여 운송하는 경우에 여전히 운반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매립 쓰레기나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경우 각 가정 등에서 일정한 비용을 부담하여야 하는 반면,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을 따로 분리하여 배출하더라도 이에 대한 보상이 없어 각 가정 등의 임의적인 분리수거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4147호(2002년07월02일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파트 단지나 주택 단지 등 재활용 용기가 실질적으로 많이 배출되는 장소마다 개별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대규모는 물론 소규모 처리용량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설계 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입된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 등과 같은 재활용 용기를 최소한의 시간과 동력으로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여 효율적으로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과, 일방향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휘어지는 갈고리형 칼날이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 일측면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된 고정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다수개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가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구비되어 있는 칼날부; 및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 일측면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은,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일정한 두께의 판 형상을 이루고 있되 상면이 좌우측 단부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프런트 프레임 및 백 프레임과, 일정한 두께의 판 형상을 이루고 있되 상면이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다수개의 인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블레이드는, 다수개의 상기 인터 프레임 상면 각각에 고정 부착되는 일정한 길이의 일자형 판형 칼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재질은 냉간 공구강 또는 스테인리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재활용 용기의 외주면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휘어지는 갈고리형 칼날이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장치 내로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의 갯수에 따른 사용자의 스마트 카드에 보상을 적립시키는 리워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리워딩부는, 장치 내로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투입된 재활용 용기의 갯수를 계수하는 카운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리워딩부는, 사용자의 스마트 카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각종 신호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축을 따라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엇갈려 교대로 형성된 고정 블레이드 등으로 이루어진 칼날부와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등으로 구성되어, 아파트 단지나 주택 단지 등 재활용 용기가 일차적으로 수집되는 장소에도 충분히 구비하여 둘 수 있도록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 블레이드의 외주면에 형성된 칼날은 일정한 곡률 반경으로 휘어져 있는 갈고리형을, 고정 블레이드의 칼날은 바깥쪽에서 회전축 방향 중심 쪽으로 하향 경사져 있는 일자형을 이루고 있고, 회전 블레이드의 갈고리형 칼날이 투입된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 등과 같은 재활용 용기의 외주면을 움켜쥐면서 고정 블레이드의 일자형 칼날 쪽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최소한의 사이클과 동력으로 투입된 재활용 용기를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효율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에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를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하고 사용자가 투입한 재활용 용기를 카운터 모듈을 통해 그 갯수를 측정하여 그에 따른 포인트나 금액 등의 보상을 사용자의 스마트 카드에 적립하여 줌으로써,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 등과 같은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한 용기를 매립 쓰레기 등과 분리하여 배출하는데 동기를 부여하여 재활용 용기의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칼날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칼날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리워딩부의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는 하우징(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칼날부(100)와, 상기 칼날부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200)와, 상기 칼날부(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호퍼(14)와, 상기 칼날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수집함(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의 상면에는 재활용 용기를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일정한 크기의 투입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1)의 전면에는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13)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투입구(12)는 상기 하우징(1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지만,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의 규모나 구조 등에 따라 상기 하우징(11)의 전면이나 측면 등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11)의 투입구(12)를 통하여 내부로 투입된 재활용 용기는 깔때기 형태 상기 호퍼(14)를 통하여 상기 칼날부(100)의 상부로 집중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투입구(12)는 당연히 상기 하우징(11)에서 상기 호퍼(14) 입구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칼날부(100)는 상기 호퍼(14)를 통하여 상부로 떨어지는 재활용 용기를 작은 크기의 조각으로 절단하여 하부로 배출하게 되며, 배출된 조각은 상기 칼날부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수집함(15)으로 떨어져 수거되게 된다. 상기 칼날부(100)는 상기 구동부(200)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구동부(2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10)와, 상기 모터(2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상기 칼날부(10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2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부재(220)는 상기 모터(210)의 회전축 방향과 상기 칼날부(100)의 회전축 방향에 따라 다양한 구성 요소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모터(210)의 회전축 방향과 상기 칼날부(100)의 회전축 방향이 나란한 경우에는 커플링 등과 같은 단순한 조인트를 이용하면 될 것이다. 만약 상기 모터(210)의 회전축 방향과 상기 칼날부(100)의 회전축 방향이 수직인 경우에는 기어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로 연결하여 주면 될 것이고, 상기 모터(210)와 칼날부(100)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에는 풀리와 벨트 등과 같은 동력전달부재로 연결하여 주면 될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칼날부를 촬영한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칼날부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회전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의 칼날부(100)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기 칼날부(100)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프레임(130)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부를 관통하여 후면부까지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140)과, 상기 회전축(140)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 결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110)와, 상기 프레임 내측의 일측면을 따라 상기 회전 블레이드(100)와 교대로 구비되어 있는 다수개의 고정 블레이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30)은 상기 프레임(130)의 좌우 측벽을 이루고 있는 판 형상의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131)과, 전면부를 이루는 프런트 프레임(132), 후면부를 이루는 백 프레임(133), 상기 사이드 프레임(131)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을 따라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일정한 두께의 다수개의 인터 프레임(134)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런트 프레임(132)에는 상기 회전축(140)이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200)의 모터(210)와 동력전달부재(220)를 통하여 상기 회전축(14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백 프레임(133)에는 상기 회전축(140)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축(140)의 단부를 지지하면서도 무리 없이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 요소도 구성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인터 프레임(134)은 좌우측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131)에 모두 맞닿아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131) 내측면에서 상기 회전축(140)이 놓여 있는 중심 지점 부근까지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터 프레임(134)의 상면에는 얇은 판 형태의 일자형 칼날로 이루어지는 고정 블레이드(120)가 부착되어 있는데, 따라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120)가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와 엇갈릴 수 있도록 상기 인터 프레임(134)을 상기 회전축(140)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는 다수개의 회전 블레이드(110) 사이에 교대로 형성하여 주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터 프레임(134)의 상면은 수평면을 이루고 있을 수도 있지만, 보다 효율적인 절단을 위하여 상기 인터 프레임(134)이 결합되는 어느 하나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131) 쪽에서 회전축(140)이 위치하고 있는 중심부 쪽으로 내려가는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인터 프레임(134)의 상면이 수평면을 이루고 있는 경우에, 상기 인터 프레임(134)의 높이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13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 주는 것이 투입된 재활용 용기(20)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131) 바깥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인터 프레임(134)의 상면이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인터 프레임(134)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131)과 맞닿는 일측의 높이를 상기 사이드 프레임(13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하여도 상관이 없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상기 인터 프레임(134)의 상면에 판 형상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120)를 부착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인터 프레임(134) 자체를 칼날로 구성하여 고정 블레이드(120)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인터 프레임(134) 자체를 칼날로 구성하여 고정 블레이드(120)를 이루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터 프레임(134) 전체를 내구성이 매우 뛰어난 냉간 공구강이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재질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용 상승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비용의 절감을 위해서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인터 프레임(134)은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내구성이 어느 정도 보장되는 일반 연강 등의 재질로 제작하고, 상기 인터 프레임(134)의 상면에다가 내구성이 매우 뛰어난 냉간 공구강이나 스테인리스강 등의 재질의 판 형상의 고정 블레이드(120)를 부착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사이드 프레임(131)은 일정한 두께의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있는데, 상기 프런트 프레임(132)과 백 프레임(133) 또한 상기 사이드 프레임(131)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두께의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겠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인터 프레임(134)의 상면이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132)과 백 프레임(133)의 상면을 좌우측 단부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기 프런트 프레임(132)과 백 프레임(133)의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상면 중 상기 인터 프레임(134)이 인접하고 있는 상면에도 상기 인터 프레임(134)과 마찬가지로 판 형상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120)를 부착하여 절단 칼날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 경우 상기 프런트 프레임(132)과 백 프레임(133)의 상면이 이루고 있는 경사각과 상기 인터 프레임(134)의 상면이 이루고 있는 경사각은 동일한 각도를 가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를 살펴보면, 상기 회전 블레이드(130)의 중심부에는 상기 회전축(140)이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둘레를 따라서는 갈고리형 칼날(11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는 다수개가 상기 회전축(140)에 각각 단단하게 고정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140)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다수개의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 사이에 상기 고정 블레이드(1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인접한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축(140)에 고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인접한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간에 일정한 간격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의 중심부에 스페이서(112)를 형성하여 별도로 간격을 세세하게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12)의 두께는 상면에 상기 고정 블레이드(120)가 부착된 상기 인터 프레임(134)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하여 인접한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끼리 맞닿도록 상기 회전축(140)에 결합하여도 그 사이로 상기 인터 프레임(134)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한편,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에 형성된 상기 갈고리형 칼날(111)은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한 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상기 갈고리형 칼날(111)은 절단하고자 하는 재활용 용기(20)의 외주면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기도록 하여 절단 작업시 재활용 용기(20)를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의 갈고리형 칼날(111)이 회전하면서 재활용 용기(20)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갈고리형 칼날(111)이 재활용 용기(20)를 충분히 감싸고 있기 때문에 외측으로 튕겨져 나가는 등 회전 범위에서 벗어나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블레이드(120)가 부착되어 있는 상기 인터 프레임(134)의 상면이 회전축(140)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더더욱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의 갈고리형 칼날(111)과 상기 고정 블레이드(120) 사이에서 재활용 용기(20)가 움직이지 못하게 되어 절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의 투입구(12)를 통하여 투입된 재활용 용기는 상기 호퍼(14)의 안내로 상기 칼날부(100)의 상부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의 갈고리형 칼날(111)의 단부가 향하고 있는 방향으로 상기 구동부(200)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140)이 회전하면서 투입된 재활용 용기를 상기 갈고리형 칼날(111)이 상기 고정 블레이드(120) 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갈고리형 칼날(111)이 상기 고정 블레이드(1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재활용 용기는 여러 조각으로 절단되어 상기 칼날부(1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수집함(15)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처럼 갈고리형 칼날(111)을 구비한 상기 회전 블레이드(110)와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상기 고정 블레이드(120)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재활용 용기를 작은 동력과 짧은 사이클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얼마든지 저렴한 제작비용과 소규모 크기로 제작할 수 있어 아파트 단지나 주택 단지 등에도 충분히 구비하여 둘 수 있는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기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를 아파트 단지나 주택 단지 등의 적재적소에 구비하여 두더라도 실제로 각 가정의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 등과 같은 재활용 용기를 분리하여 배출하지 않는 한 무용지물이 되어 버리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아파트 단지나 주택 단지 등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재활용 용기의 분리 배출에 대한 적절한 동기를 부여하여 회수율을 높이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에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의 갯수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당한 보상을 부여하는 수단을 상기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에 구비하도록 한다.
도 7에는 이와 같은 수단의 일실시예인 리워딩부(300)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의 리워딩부(300)는 투입구(12)를 통하여 장치 내로 투입된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 등과 같은 재활용 용기(20)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310)과, 상기 센서 모듈(310)에서 송신하는 감지 신호를 통하여 투입된 재활용 용기(20)의 갯수를 계수하는 카운터 모듈(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센서 모듈(310)은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의 투입구(12)와 호퍼(14) 사이에 위치하는 감지 센서(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장치 내로 투입된 재활용 용기(20)를 감지하게 되며, 재활용 용기(20)를 감지한 경우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카운터 모듈(320)로 보내게 된다.
감지 신호를 수신한 상기 카운터 모듈(320)은 하나의 감지 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1부터 숫자를 카운트하여 상기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에 투입된 재활용 용기(20)의 총 갯수를 계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 내로 투입한 재활용 용기의 총 갯수에 따라 적당한 보상을 지불하도록 하는데, 사용자에게 미리 보급한 스마트 카드(30)를 이용하여 포인트나 현금 등을 적립하도록 하며, 갯수에 따른 포인트나 현금 등을 계산하는 프로세서 모듈(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은 상기 리워딩부(300)에 별도로 구비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스마트 카드(30)는 IC칩과 메모리 등이 구비되어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은행의 현금자동입출금장치(ATM)와 같은 카드 접촉 방식으로 상기 스마트 카드(30)를 상기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의 리워딩부(300)에 직접 투입하여 재활용 용기(20)의 총 갯수에 따는 보상을 적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달리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스마트 카드(30)와 리워딩부(300)를 구현할 수도 있는데, 즉, RFID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30)와 리워딩부(300)가 상호 신호와 정보를 주고받도록 구성하여 주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워딩부(300)에는 RFID 리더장치 등으로 구성된 통신모듈(330)을 구비하여 두도록 하며, 상기 통신모듈(330)을 통하여 RFID 태그와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상기 스마트 카드(30)를 인식하게 되고 각종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접촉 방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상기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의 사용자는 분리수거한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캔 등과 같은 재활용 용기(20)를 장치에 모두 투입한 후 소지한 상기 스마트 카드(30)를 상기 리워딩부(300)의 통신모듈(330) 인근에 갖다 대기만 하여도 포인트나 현금 등을 적립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10)와 스마트 카드(30)를 제작하는 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카드(30)의 분실을 줄이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 카드(30)에 적립된 포인트나 현금 등은 매립 쓰레기나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이 배출자가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각종 물건을 구입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사용자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재활용 용기(20)의 분리수거에 대한 동기를 고취시키는 데 효과적일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서술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치환 등에 의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11 - 하우징
12 - 투입구 13 - 투시창
14 - 호퍼 15 - 수집함
20 - 재활용 용기
30 ?? 스마트 카드
100 - 칼날부
110 - 회전 블레이드 111 - 갈고리형 칼날
112 - 스페이서
120 - 고정 블레이드
130 - 프레임 131 - 사이드 프레임
132 - 프런트 프레임 133 - 백 프레임
134 - 인터 프레임
140 - 회전축
200 - 구동부
210 - 모터 220 - 동력전달부재
300 - 리워딩부
310 - 센서 모듈 320 - 카운터 모듈
330 - 통신 모듈

Claims (8)

  1. 상면과 하면이 개구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서 후면까지 형성되어 있는 회전축과, 일방향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휘어지는 갈고리형 칼날이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고정 결합되는 회전 블레이드와, 상기 프레임의 내측 일측면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된 고정 블레이드로 이루어지며, 다수개의 상기 회전 블레이드와 다수개의 상기 고정 블레이드가 상기 회전축 방향을 따라 교대로 구비되어 있는 칼날부; 및
    상기 회전축에 동력을 전달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 일측면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고 있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일정한 두께의 판 형상을 이루고 있되 상면이 좌우측 단부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각각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프런트 프레임 및 백 프레임과, 일정한 두께의 판 형상을 이루고 있되 상면이 일측 단부에서 타측 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는 다수개의 인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 블레이드는,
    다수개의 상기 인터 프레임 상면 각각에 고정 부착되는 일정한 길이의 일자형 판형 칼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레이드의 재질은 냉간 공구강 또는 스테인리스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블레이드는,
    재활용 용기의 외주면 반경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휘어지는 갈고리형 칼날이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장치 내로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의 갯수에 따른 사용자의 스마트 카드에 보상을 적립시키는 리워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워딩부는,
    장치 내로 투입되는 재활용 용기를 감지하는 센서 모듈과, 상기 센서 모듈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투입된 재활용 용기의 갯수를 계수하는 카운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워딩부는,
    사용자의 스마트 카드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각종 신호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KR1020130154580A 2013-12-12 2013-12-12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KR20150068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580A KR20150068659A (ko) 2013-12-12 2013-12-12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580A KR20150068659A (ko) 2013-12-12 2013-12-12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659A true KR20150068659A (ko) 2015-06-22

Family

ID=5351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580A KR20150068659A (ko) 2013-12-12 2013-12-12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865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335B1 (ko) * 2019-09-26 2020-04-13 주식회사 남도 나뭇가지 절단기
KR102100336B1 (ko) * 2019-09-26 2020-04-13 주식회사 남도 나뭇가지 절단기
KR102249616B1 (ko) * 2019-12-13 2021-05-10 (주)초록별 플라스틱 플레이크 수집 보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집 보상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335B1 (ko) * 2019-09-26 2020-04-13 주식회사 남도 나뭇가지 절단기
KR102100336B1 (ko) * 2019-09-26 2020-04-13 주식회사 남도 나뭇가지 절단기
KR102249616B1 (ko) * 2019-12-13 2021-05-10 (주)초록별 플라스틱 플레이크 수집 보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집 보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972B1 (ko) 보상서비스를 제공하는 분리수거함
US9272842B1 (en) Modular garbage collection apparatus
KR101730741B1 (ko) 재활용품의 적재가 용이한 분리 수거 장치
KR101653957B1 (ko) 정보리더기를 이용한 재활용품 수거 시스템
KR20150068659A (ko) 재활용 용기 절단장치
TWI740185B (zh) 回收裝置
JP2011005459A (ja) 飲料容器自動分別減容回収機
WO2018150657A1 (ja) 物品回収装置
CN103942879A (zh) 一种塑料瓶饮料智能促销机
WO2018150656A1 (ja) 物品回収装置
CN108062824B (zh) 智能式酒瓶循环共享系统
CN110992580A (zh) 一种智能饮料瓶自动回收机
CN108074331B (zh) 用于酒瓶循环共享的方法
CN206224611U (zh) 一种链式发票售卖机
JP2003145115A (ja) 容器回収装置
KR20120052545A (ko) 공병 회수수단이 구비된 자판기
JP6286924B2 (ja) 容器回収装置
CN202854839U (zh) 一种旋转切换式自动发卡机和收卡机
WO20181309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 collection and determination
KR200321753Y1 (ko) 사용 용기 회수환불장치
JP6087718B2 (ja) 回収装置
TWI641543B (zh) 垃圾收集系統及其方法
CN210924729U (zh) 一种新型纸盒兑换柜
JP6451754B2 (ja) 物品回収装置
JP7052987B2 (ja) 減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