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956A -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 Google Patents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956A
KR20210091956A KR1020200005297A KR20200005297A KR20210091956A KR 20210091956 A KR20210091956 A KR 20210091956A KR 1020200005297 A KR1020200005297 A KR 1020200005297A KR 20200005297 A KR20200005297 A KR 20200005297A KR 20210091956 A KR20210091956 A KR 20210091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tyrofoam
water
space
organic solve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환
Original Assignee
김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환 filed Critical 김창환
Priority to KR1020200005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1956A/ko
Publication of KR2021009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나 주택단지 또는 공장 등에 버려지는 일회용 폐스티로폼을 용해시켜 부피를 줄여주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보관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한 폐스티로폼 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스티로폼을 용해시키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물(W)과 물보다 가벼운 유기용제(T)가 수용되고, 하부에는 물(W)에 침전된 이물질의 배출을 위해 침전물배출부(12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경사지게 돌출되고, 내부 투입공간(210)의 하부가 상기 수용공간(1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투입공간(210)으로 폐스티로폼의 투입을 위해 상단부가 개구되어 투입구(220)가 형성된 폐스티로폼 투입부(200); 상기 본체(100)의 타측면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유로개폐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이동되어 유기용체(T)에 용해된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개폐밸브(320, 330)가 설치된 용해물 배출부(300); 상기 투입구(220)를 통해 투입공간(210)으로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가압하여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가압부재(4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W)과 유기용제(T) 및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확인하기 위한 수위확인창(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물(W)의 수위는 밀도차에 의해 물(W)의 상측에 위치된 상기 유기용제(T)의 증발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투입공간(210)의 하부 연통부분보다 더 높게 유지되며, 상기 폐스티로폼은 상기 투입공간(210)의 하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이동된 후 부력에 의해 떠오르면서 상기 유기용제에 접촉되어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폐스티로폼 용해장치{APPARATUS FOR DISSOLVING WASTE STYROFOAM}
본 발명은 아파트나 주택단지 또는 공장 등에 버려지는 일회용 폐스티로폼을 용해시켜 부피를 줄여주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보관 및 수거할 수 있도록 한 폐스티로폼 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분자 폴리스틸렌(polystyrene)에 부탄과 질소 가스를 기계적으로 주입하여 용융시킨 상태에서 발포한 스티로폼(styrofoam)은 비중이 작아 극히 가벼우며, 복원성, 완충성, 단열성, 가공성, 경제성 등이 매우 양호하여 전기 제품의 완충 포장재와 건축 단열재 및 1회용 음식 용기 등으로 사용되는 등, 그 용도와 사용 범위가 매우 다양한 합성수지 제품이다.
이러한 스티로폼은 여러 가지 양호한 물성으로 인해 일상 생활에 꼭 필요한 필수품으로 활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스티로폼으로 제조되는 제품의 대부분이 일회용인 경우가 많아 일회 사용 후에는 쓰레기 매립지에 매립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폐기 처분되는 폐스티로폼 제품은 그 수량과 부피가 방대하므로 수집 및 운반에 엄청난 인력과 경비가 소요되고 있으며, 매립된 폐스티로폼 제품은 잘 썩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공해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폐스티로폼을 재활용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폐스티로폼을 재활용하는 방법은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하나는 폐스티로폼을 파쇄하여 용융시켜 젤을 형성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파쇄하여 즉시 고체 상태로 재생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두가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상당한 비용의 고가이고, 설비 규모가 커서 폐스티로폼을 재활용하기에는 부담이 되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4185호(2008.10.23 폐스티로폼 분쇄기)와 같이 파쇄기와 분진제거장치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도입 비용의 최소화 및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설비의 규모가 줄었을 뿐 비용이 고가이며, 특히 소규모의 공장을 제외한 일반 주택단지나 아파트 단지 등과 같이 일상 생활지역에 설치하기에는 소음과 안전성 문제가 있어 주택단지나 아파트 단지에서는 여전히 폐스티로폼의 수거에 문제가 있었다.
특히, 주택단지나 아파트 단지에서는 폐스티포롬을 분쇄하여 수거할 경우 알갱이들이 이리저리 흩어지거나 비산되어 지저분하게 되는 문제가 있음에 따라 분쇄없이 거의 원형 그대로 수거하고 있음으로써 주택단지나 아파트 단지에 폐스티로폼을 보관하는 장소문제 뿐만 아니라 그 부피로 인해 적재공간이 넓은 대형 화물차로 운반하여야 함에 따라 비좁은 차로로 진입 및 진출하여야 하는 문제나 가격문제 등 운반시에도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주택단지나 아파트단지에 버려지는 폐스티로폼은 통상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인해 정리가 힘들고 불편할 뿐 아니라 비중이 가벼워 끈 등으로 몇개씩 묶어놓아야 하며, 묶어놓은 상태로 대충 적재시켜 놓음에 따라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4185호(2008.10.23 폐스티로폼 분쇄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여러 형상 및 크기의 폐스티로폼을 용해시켜 저장함에 따라 미관을 좋게 하면서도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서 한정된 쓰레기 저장창고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부피가 작아짐에 따라 수거가 용이함은 물론 한번에 많은 양을 수거할 수 있어 취급이 용이한 폐스티로폼 용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폐스티로폼을 용해시키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물(W)과 물보다 가벼운 유기용제(T)가 수용되고, 하부에는 물(W)에 침전된 이물질의 배출을 위해 침전물배출부(12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경사지게 돌출되고, 내부 투입공간(210)의 하부가 상기 수용공간(1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투입공간(210)으로 폐스티로폼의 투입을 위해 상단부가 개구되어 투입구(220)가 형성된 폐스티로폼 투입부(200); 상기 본체(100)의 타측면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유로개폐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이동되어 유기용체(T)에 용해된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개폐밸브(320, 330)가 설치된 용해물 배출부(300); 상기 투입구(220)를 통해 투입공간(210)으로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가압하여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가압부재(4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W)과 유기용제(T) 및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확인하기 위한 수위확인창(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물(W)의 수위는 밀도차에 의해 물(W)의 상측에 위치된 상기 유기용제(T)의 증발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투입공간(210)의 하부 연통부분보다 더 높게 유지되며, 상기 폐스티로폼은 상기 투입공간(210)의 하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이동된 후 부력에 의해 떠오르면서 상기 유기용제에 접촉되어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수용물(물, 유기용제, 폐스티로폼 용해물)의 최고수위 및 최저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부(510)로 전달하도록 수위센서(520)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외벽면에는 수위센서(520)의 감지정보를 검출하여 최고수위 및 최저수위에 도달한 경우에 알람 또는 화면에 표시해주도록 표시부(53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100)의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배출부(300)의 상측에 위치되게 구비되어 유기용체(T)의 상측에 부유하는 이물질의 외부 배출을 위해 부유물배출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는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여과시켜 주도록 여과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폼 용해장치에 의하면, 폐스티로폼을 용해시키게 됨으로써 버려지는 폐스티로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한정된 크기의 쓰레기 수거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다양한 크기 및 부피로 인한 보관 및 운반상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에 반해 용해상태로 저장 및 운반함에 따라 취급이 용이하고 효과적으로 운반할 수 있으며, 특히 운반비용 및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용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용해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투입부에 폐스티로폼이 투입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개폐밸브를 갖는 침전물 배출부가 설치된 폐스티로폼 용해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전물 배출부에 여과부재가 연결된 상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스티로폼 용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스티로폼 용해장치는 아파트나 주택단지 또는 공장에서 버려지는 폐스티로폼을 용해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부피로 인한 보관문제, 미관을 해치는 문제, 운반문제 등을 해결해 주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폐스티로폼 용해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된 폐스티로폼 투입부(200)와, 용해물 배출부(300)와, 가압부재(400) 및 수위확인창(5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대략 육면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마련되어 있고, 하부에는 내부 수용공간(110)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해 침전물배출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체(10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침전물배출부(120)를 통한 침전물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본체를 지지하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개의 지지프레임(1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용공간(110)에는 물(W)과 이 물보다 가벼운 유기용제(T)가 수용되어 있다. 물은 수용공간으로 투입되는 폐스티로폼이 부유될 수 있도록 적어도 본체(100)의 중간보다 더 높은 위치만큼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유기용제는 폐스티로폼을 용해시킬 수 있는 정도의 양만 수용되면 된다.
내부 수용공간에 물과 유기용제가 수용됨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제작시 쉽게 부식되지 않도록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도록 한다.
본체(100)의 상부에는 수용공간(110)에 물과 유기용제를 채우거나 유기용제의 상측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덮개(140)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덮개(140)를 설치한 경우 덮개의 가장자리에 고무 등 가스켓을 구비하여 내부 수용공간(110)을 완전 폐쇄시켜 주도록 하여 휘발성분의 유기용제가 상온에서 쉽게 기체화되어 흩어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유기용제의 예로서, 신나를 사용할 수 있다.
침전물배출부(120)는 폐스티로폼의 용해과정에서 폐스티로폼에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이나 폐스티로폼의 내부에 내장된 이물질 또는 폐스티로폼의 용해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 중에서 물보다 비중이 무거운 이물질들이 침전되어 수용공간의 바닥에 쌓이게 되는데, 이렇게 수용공간의 바닥에 쌓인 이물질 즉,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다.
침전물의 용이한 배출을 위해, 본체(100)의 수용공간 바닥면은 침전물배출부(120)가 형성된 부위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용공간의 하부로 침전된 이물질이 물과 함께 침전물배출부(120)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침전물배출부(120)에는 수동식 또는 전자식으로 작동되는 개폐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침전물배출부(120)를 통해 배출된 물의 양만큼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양이 적어짐에 따라 배출된 양만큼 보충해주도록 한다.
폐스티로폼 투입부(200)는 본체(100)의 일측면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에 형성된 투입공간(210)이 상기 수용공간(1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는 전체 또는 일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투입공간(210)으로 폐스티로폼을 투입시키도록 투입구(220)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220)를 통해 투입공간(210)으로 투입된 폐스티로폼은 투입공간(210)의 하부를 거쳐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수용공간(110)으로 이동된 후 부력에 의해 떠오르면서 유기용제에 접촉되어 용해되는 것이다.
투입구(220)에는 투입공간으로 이물질이 인입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물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투입구 덮개(2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투입구 덮개(230)는 일측이 폐스티로폼 투입부(200)의 상단부 일측에 힌지결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입공간(210)은 하부가 수용공간(110)과 연통되어 있음에 따라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수위는 수용공간과 연통된 투입공간의 하부보다는 더 높은 위치에 구비되도록 한다. 그 이유는 밀도차에 의해 물의 상측에 위치되는 유기용제가 물에 저지되어 폐스티로폼 투입부를 통해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유기용제의 증발이 방지됨에 따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유기용제의 큰 소모없이 폐스티로폼을 용해시킬 수 있어 유지관리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물론 본체가 완전 진공상태가 아님에 따라 유기용제가 조금씩 증발되는데 이러한 양은 얼마되지 않음에 따라 며칠에 한번 또는 몇달에 한번씩 일부 보충해주면 충분하다.
상기 용해물 배출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타측면 상부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고, 수용공간(110)에서 유기용제(T)에 의해 용해된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한 구성이다.
용해물 배출부(300)의 정확한 위치는 물과 유기용제의 사이에 위치되게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유기용제에 의해 용해되어 물과 유기용제의 사이에 부유되어 있는 용해물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용해물 배출부(300)에는 유로개폐를 위해 수동식 또는 전자식 개폐밸브(320), 330)이 설치되어 있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는 수동식 개폐밸브(320)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전자식 개폐밸브(330)가 도시되어 있다.
수동식 개폐밸브(320)의 경우, 별도의 전기적인 장치 없이 물리적인 힘만으로도 개폐할 수 있음에 따라 본 발명의 폐스티로폼 용해장치를 전기가 없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설치환경에 구애받지 않는 장점이 있음은 물론 제작원가를 낮춰줄 수 있게 된다.
전자식 개폐밸브(330)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본체(100)의 외벽면에 전자식 개폐밸브(3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10)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부재(400)는 투입구(220)를 통해 투입공간(210)으로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가압하여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구성이다.
가압부재(400)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폐스티로폼을 눌러주기 위해 판체로 형성된 가압판(410)과, 상기 가압판(410)의 중앙 또는 양쪽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쥐고 사용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손잡이(420)와, 상기 가압판(420)의 표면에 물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430)로 구성된다.
상기 관통홀(430)은 부피가 큰 폐스티로폼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갖도록 가압판(410)이 형성됨에 따라 가압판(410)을 물 속으로 밀어 넣을 경우에 부력발생으로 작업상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형성시켜 놓은 것이다.
수위확인창(500)은 본체(100)의 일측에 본체 내부를 육안확인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고, 물(W)과 유기용제(T) 및 폐스티로폼 용해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수위확인창(500)의 설치로 인해,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과 유기용제 및 폐스티로폼 용해물의 수위를 상시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물과 유기용제가 기존치보다 적을 경우에는 보충해 줄 수 있으며, 상당량의 폐스티로폼의 용해로 인해 폐스티로폼 용해물의 수위가 높아지더라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폐스티로폼을 폐스티로폼 투입부의 투입구를 통해 내부 투입공간으로 투입시킨 후 가압부재로 가압하여 폐스티로폼을 수용공간으로 이동시킨다.
수용공간으로 이동된 폐스티로폼은 부력에 의해 떠오르게 되고, 이렇게 떠오른 폐스티로폼은 물의 상측에 구비된 유기용제에 접촉되면서 서서히 용해되어 진다.
이러한 용해과정을 반복해서 복수개의 폐스티로폼을 용해시킨 상태에서 상태확인창(500)을 통해 육안확인한 결과 폐스티로폼 용해물이 상당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용해물 배출부에 구비된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별도의 보관장소에 보관하면 된다.
물론, 별도로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배출시켜 보관하지 않고, 폐스티로폼 수거작업시에 수거자가 직접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수거해 가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밀도차이를 이용하여 폐스티로폼을 유기용제로 용해시켜 준 후 폐스티로폼 용해물만을 수거할 수 있음으로써 버려지는 폐스티로폼의 보관이 용이함은 물론 수거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부피를 대폭 줄여줄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 쓰레기 저장창고에 폐스티로폼의 보관으로 인해 발생되는 미관을 해치는 문제, 부피로 인한 적재공간 문제 및 운반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수용물(물, 유기용제, 폐스티로폼 용해물)의 최고수위 및 최저수위를 감지하도록 수위센서(5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외벽면에는 표시부(530)가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530)는 제어부(5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가 설치되는 케이스에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520)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510)로 전달되고, 제어부(510)는 감지정보를 토대로 설정된 최고수위와 최저수위와 비교하여 해당 수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표시부(530)를 통해 알람으로 알려주거나 화면에 표시해주게 됨으로써 아파트 경비나 관리자 또는 수거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부(530)가 설치됨에 따라 수위확인창을 통해 육안확인하지 않더라도 알람이나 점등을 통해 알려줌에 따라 야간이나 수위확인창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라도 폐스티로폼 용해물의 양은 물론 물과 유기용제의 양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폐스티로폼이 용해되는 과정에서 유기용제보다 가벼운 부유물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부유물은 유기용제의 상측에 부유된 상태로 계속해서 쌓이게 된다.
이렇게 쌓인 부유물을 제거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0)의 타측면 상부에는 유기용제의 상측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해 상기 배출부(300)의 상측에 위치되게 부유물 배출부(310)가 설치될 수 있다.
부유물 배출부(310)에도 개폐밸브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개폐밸브는 수동식 또는 전자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해물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 용해물(물과 유기용제가 포함된 상태임)은 그대로 수거하여 스티로폼 성형시 재활용할 수 있다.
물론, 수거된 용해물을 추후 스티로폼 성형시 성형공장에서 물과 유기용제를 여과하여 사용함은 당연할 것이나, 용해물의 수거과정에서 물과 유기용제를 여과시켜주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는 폐스티로폼 용해물의 여과를 위해 여과부재(3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과부재(3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해물 배출부(300)와 배출관(341)으로 직접 연결시켜 놓을 수도 있고, 본체(100)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시켜 놓을 수도 있다.
상기 여과부재(340)는 공지의 밀도차이를 이용한 여과장치를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밀도차이를 이용하여 폐스티로폼을 유기용제로 용해시킨 후 수거시에는 용해된 폐스티로폼 용해물만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종래 무분별하게 적재되어 보관되는 폐스티로폼에 비해 처리가 용이함은 물론 운반 등 수거작업이 매우 편리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W : 물 T : 유기용제
100 : 본체 110 : 수용공간
120 : 침전물배출부 130 : 지지프레임
140 : 본체덮개 200 : 폐스티로폼 투입부
210 : 투입공간 220 : 투입구
230 : 투입구덮개 300 : 용해물 배출부
310 : 부유물배출부 320 : 수동식 개폐밸브
330 : 전자식 개폐밸브 340 : 여과부재
341: 배출관 400 : 가압부재
410 : 가압판 420: 손잡이
430: 관통홀 500 : 수위확인창
510 : 제어부 520 : 수위센서
530 : 표시부

Claims (5)

  1. 폐스티로폼을 용해시키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물(W)과 물보다 가벼운 유기용제(T)가 수용되고, 하부에는 물(W)에 침전된 이물질의 배출을 위해 침전물배출부(120)가 형성된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경사지게 돌출되고, 내부 투입공간(210)의 하부가 상기 수용공간(11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투입공간(210)으로 폐스티로폼의 투입을 위해 상단부가 개구되어 투입구(220)가 형성된 폐스티로폼 투입부(200);
    상기 본체(100)의 타측면 상부 일측에 구비되고, 유로개폐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이동되어 유기용체(T)에 용해된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도록 개폐밸브(320, 330)가 설치된 용해물 배출부(300);
    상기 투입구(220)를 통해 투입공간(210)으로 투입된 폐스티로폼을 가압하여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가압부재(4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W)과 유기용제(T) 및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확인하기 위한 수위확인창(500);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는 물(W)의 수위는 밀도차에 의해 물(W)의 상측에 위치된 상기 유기용제(T)의 증발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된 투입공간(210)의 하부 연통부분보다 더 높게 유지되며,
    상기 폐스티로폼은 상기 투입공간(210)의 하부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으로 이동된 후 부력에 의해 떠오르면서 상기 유기용제에 접촉되어 용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수용물(물, 유기용제, 폐스티로폼 용해물)의 최고수위 및 최저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부(510)로 전달하도록 수위센서(520)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외벽면에는 수위센서(520)의 감지정보를 검출하여 최고수위 및 최저수위에 도달한 경우에 알람 또는 화면에 표시해주도록 표시부(5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타측면 상부에는 상기 배출부(300)의 상측에 위치되게 구비되어 유기용체(T)의 상측에 부유하는 이물질의 외부 배출을 위해 부유물배출부(3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400)는 폐스티로폼을 눌러주기 위해 판체로 형성된 가압판(410)과, 상기 가압판(410)의 중앙 또는 양쪽에 일단부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쥐고 사용하기 위한 일정 길이의 손잡이(420)와, 상기 가압판(420)의 표면에 물이 통과하도록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4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외부에는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되는 폐스티로폼 용해물을 여과시켜 주도록 여과부재(3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KR1020200005297A 2020-01-15 2020-01-15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KR202100919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297A KR20210091956A (ko) 2020-01-15 2020-01-15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297A KR20210091956A (ko) 2020-01-15 2020-01-15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956A true KR20210091956A (ko) 2021-07-23

Family

ID=7715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297A KR20210091956A (ko) 2020-01-15 2020-01-15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19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791A (ko) 2021-09-13 2023-03-22 강수철 스티로폼 재활용 장치
KR20230111666A (ko) 2022-01-17 2023-07-26 (주)보티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185A (ko) 2007-04-19 2008-10-23 고관영 폐스치로폼 분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185A (ko) 2007-04-19 2008-10-23 고관영 폐스치로폼 분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9791A (ko) 2021-09-13 2023-03-22 강수철 스티로폼 재활용 장치
KR20230111666A (ko) 2022-01-17 2023-07-26 (주)보티 생활밀착형 스티로폼 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91956A (ko) 폐스티로폼 용해장치
CN206827407U (zh) 自动分类打包垃圾箱
CN107954126A (zh) 一种具备自动开盖功能的压缩式垃圾桶
US20160167056A1 (en) Organizational recycl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JPH0724598A (ja) 固形廃棄物の圧縮及び選別機械
CN105253493A (zh) 资源分类智能回收站
KR20200064613A (ko) 전동 압축 및 분리 수거 쓰레기통
CN205855060U (zh) 一种自动分类垃圾箱
CN207890427U (zh) 一种具备自动开盖功能的压缩式垃圾桶
US20110041711A1 (en) Article compaction apparatus
FR2694273A1 (fr) Station intérieure familiale ou collective et module spécifique la composant pour la collecte sélective des déchets domestiques.
KR100833803B1 (ko) 기계식 압축방법을 이용한 폐기물 수거함
KR101558853B1 (ko) 자동압축 세절기
RU67557U1 (ru) Мусоросборный модуль для раздельного сбора мусора
CN102295119B (zh) 一种具有分选功能的垃圾箱及其机芯装置
ES2358830A1 (es) Máquina recicladora de vidrio para la obtención de calcín.
WO2016166280A1 (en) Recycling container for processing organic waste in situ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170291382A1 (en) Modular recycling apparatus.
KR100917083B1 (ko) 쓰레기 자동 집하 시설에 적용되는 쓰레기 투입 유도장치
CN204751158U (zh) 多功能垃圾回收装置
FR2709114A1 (fr) Armoire de tri pour recyclage des déchets.
CN108100508B (zh) 一种便于固液分离的化工废料存放罐
CN208682726U (zh) 一种具有警示功能的垃圾车
FR2813293A1 (fr) Dispositif pour le stockage des produits recyclables ou non
KR102316055B1 (ko)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