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0717A -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 Google Patents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0717A
KR20140100717A KR1020130013792A KR20130013792A KR20140100717A KR 20140100717 A KR20140100717 A KR 20140100717A KR 1020130013792 A KR1020130013792 A KR 1020130013792A KR 20130013792 A KR20130013792 A KR 20130013792A KR 20140100717 A KR20140100717 A KR 20140100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olid waste
valve
weigh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칼라카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칼라카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칼라카나
Priority to KR102013001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0717A/ko
Publication of KR20140100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07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01G3/14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measuring variations of electrical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관형부를 상부외관과 하부내관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으로 만들고, 상부외관에 밸브를 마련하고, 상기 밸브의 밸브판으로 하여금 폐쇄자세시에 고형쓰레기를 얹어 놓는 적재대로서 작용하게 하고, 상기 상부외관과 상기 하부외관 사이에 로드셀을 개재함으로써, 건축물 세대별 내에서 수직관형부에 투입된 다음 양압원에 배출되는 고형쓰레기의 중량을 밸브의 밸브판에 간섭을 받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계측하여 고형쓰레기 배출에 따른 정산처리를 저렴한 비용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scale for measuring weight of solid matter transferred in vertical tube}
본 발명은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압에 의해 건축물 내의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에 마련된 투입유니트에 개재된 저울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건축물(예를 들면, 지상 또는 지하의 집합주택, 개인주택, 빌딩, 오피스텔, 호텔, 공장 등)의 각 객실에서 발생하는 고형쓰레기(음식쓰레기, 금속물, 플라스틱물, 종이, 유리, 띠끌 등)의 수거형태는 비닐봉투, 자루, 또는 용기에 수동으로 넣고서 실내에서 수일간 보관하였다가, 예정된 일시에 집적 장소로 수동으로 운반하여 버려지고, 이를 수거차량에 의해, 소각장, 매립지, 재활용장 등으로 수송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고형쓰레기를 건축물의 객실내에 보관하기 때문에, 객실내에서 보면, 미관상, 위생상, 그리고 보관 공간상 바람직하지 않고,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배출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객실의 고형쓰레기를 각 객실에 마련된 복수개의 투입구를 통하여 선별 투입하여 지하 또는 1층에 마련된 임시저장소에 선별하여 모았다가 선별하여 모여진 고형쓰레기를 예정된 일시에 수거차량 등에 의해 소각장, 매립지, 재활용공장 등으로 수송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지만, 고형쓰레기의 자중을 이용하여 고형쓰레기가 연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각 객실으로부터 임시저장소에 선별 운반되기 때문에, 연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객실 군마다 임시 저장소가 필요되고 이에 따른 임시 저장소의 점유 면적이 배대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 객실에 마련된 투입구에 파쇄기를 마련하고, 건축물의 지하나 1층에 마련된 임시저장소에 사이클론을 설치하여, 상기 파쇄된 고형 쓰레기를 음압원에 의해 상기 임시저장소에 일시적으로 선별 보관하는 방안이 채용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음압원 방식은 건축물의 각 객실에서 동시에 고형쓰레기가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고려하여 음압원 발생장치가 큰 용량이어야 하고, 어느 한 객실에서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고형쓰레기가 배출되기만 하면 반드시 고음압원 발생장치가 가동되어야 되기 때문에, 설치비용 및 유지비용이 증대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음압원 방식은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놓고 여러 세대에서 동일한 시간대에 쓰레기를 버릴 수 있지만, 세대주에게 쓰레기를 버리는 시간에 대한 구속을 주어서 세대주에게 불편한 점을 제공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건축물이 개인주택인 경우에는, 고형쓰레기의 수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거통이 건축물 밖의 도로에 배치되게 되어, 구조적으로 음압원 발생장치가 도로건축물 밖의 도로에 배치되게 되어서, 고가의 음압원 발생장치가 도난될 가능성이 높아 상기 음압원 방식의 쓰레기수거장치가 실제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자는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125855호에 제안한 바와 같이, 건축물 내에 파쇄기와 블로워 및 적산중량계인 저울이 마련된 투입구를 마련하고, 상기 블로워의 양압 기류에 의해 건축물의 밖에 마련된 임시저장소까지 파쇄된 고형쓰레기를 이송관을 통하여 송출시키되, 상기 임시저장소에 상기 이송관과 접속된 수거통을 마련하고 상기 수거통의 상단이 개방되게 하고 내외를 통기시키는 필터가 구비된 고형쓰레기수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었다.
상기 고형쓰레기수거장치는 상기 적산중량계에 의해 건출물의 각 세대별에서 수거된 쓰레기의 중량을 측정하여, 쓰레기가 재활용이 아닌 경우에는 비재활용 쓰레기의 배출에 따른 쓰레기 수거비용을 건축물의 각 세대별 사용자에게 수거업자가 청구할 수 있고, 그리고 쓰레기가 재활용인 경우에는 건축물의 사용자가 재활용 쓰레기를 쓰레기 재활용 업자에게 인도함에 따른 쓰레기 인도대가를 청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시기반시설로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고형쓰레기수거장치의 투입구의 하우징 바닥에 마련된 저울은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어 상기 저울 위에 얹어 놓여진 고형쓰레기의 중량을 계측한 다음 고형쓰레기를 블로워에 의해 지상에 배치된 임시저장소에 불어내기 위해 하우징 바닥에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투입구를 통하여 투입되어 연직방향으로 자연 낙하하여 고형쓰레기가 상기 저울 위에 얹어 놓여지 때문에, 낙하하는 고형쓰레기가 경량이거나 볼형상인 경우에는 상기 저울 위에 수렴되기 어려워 제대로 투입된 고형쓰레기의 중량을 계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형쓰레기수거장치에서 저울이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12-0150180에 개시된 T자형 유로에 구비된 밸브에서 T자형 유로의 수평관형부의 바닥에 적용될 경우에, 상기 밸브가 T자형 유로의 수직관형부를 폐쇄할 시에 그리고 수평관형부의 블로워를 차단할 시에 선회운동하여 저울에 쌓인 고형쓰레기를 쳐서 고형쓰레기를 저울 밖으로 이동시켜 제대로 중량을 계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T자형 유로에 T자형 관형부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저울위에 접촉시켜 배치시키고, T자형 관형부를 수직관형부와 수평관형부에 유통가능하게 그리고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직관형부와 수평관형부에 결합시키는 방안이 제안될 수 있지만, 이러한 제안은 제조비용을 증대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과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수직관형부를 상부외관과 하부내관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으로 만들고, 상부외관에 밸브를 마련하고, 상기 밸브의 밸브판으로 하여금 폐쇄자세시에 고형쓰레기를 얹어 놓는 적재대로서 작용하게 하고, 상기 상부외관과 상기 하부외관 사이에 로드셀을 개재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해, 건축물 세대별 내에서 수직관형부에 투입된 다음 양압원에 배출되는 고형쓰레기의 중량을 밸브의 밸브판에 간섭을 받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계측하여 고형쓰레기 배출에 따른 정산처리를 저렴한 비용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고형쓰레기수거장치에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울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수직관형부에 구비된 밸브와 로드셀을 도시한 도면, 및
도 3은 도 2의 변경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고형쓰레기수거장치에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저울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고형쓰레기수거장치가 부호 10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고형쓰레기수거장치(1000)는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12-0125855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건축물(1)의 각 세대별 실내에 마련된 투입유니트(200), 건축물(1)의 지하 또는 건축물의 외부에 마련된 임시수거실(130), 상기 투입유니트(200)과 상기 임시수거실(130)에 유통가능하게 결합된 관형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고형쓰레기수거장치(1000)의 상기 투입유니트(200)에 구비된 저울에 관한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투입유니트(200)의 저울에 관련한 것만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기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명세서를 참조하면 된다.
상기 투입유니트(200)는 도시되지 않은 절단 또는 파쇄기에 의해 작은 조각으로 된 고형쓰레기가 유입되는 수직관형부(210), 상기 수직관형부(210)의 하류단에 상류단 도중에 유통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상류단이 양압원인 블로워(13)에 접속된 수평관형부(220), 상기 수평관형부(220)에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건축물(1)의 외벽(101)을 관통하여 상기 관형부(110)에 접속되어 있는 연결관(14), 및 상기 연결관(14)에 개재된 밸브(V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수직관형부(210)는 일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베이스에 고정된 하부외관(212), 그리고 도중에 밸브(300)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하부외관(212)의 상류측에 하류측이 내접되어 상기 하부외관(21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부내관(2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내관(211)의 하류측 외주면에는 방사바깥방향으로 확경된 상부플랜지(213)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부외관(212)의 상류단 외주면에는 방사바깥방향으로 확경된 하부플랜지(2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플랜지(213)와 상기 하부플랜지(214) 사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로드셀(215)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로드셀(215)에는 건축물의 각 세대별 외벽(101)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적산중량계(181)가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상부내관(211)의 하류단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외관(212)의 내주면과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는 상부시일(216)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부외관(212)의 상류단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내관(211)의 외주면과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는 하부시일(217)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다.
상기 밸브(300)는 밸브판(301)이 엑추에이터(302)에 의해 상기 상부내관(211)의 도중에 닫힘위치와 열림위치로 선회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닫힘위치시에 상기 상부내관(211)의 상류측에서 낙하하는 고형쓰레기를 받아서 얹어 놓을 수 있는 형상과 크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엑추에이터(302)가 모터인 경우에는 상기 밸브판(301)이 열림위치시에, 상기 상부내관(211)의 직경방향 중간에 기립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엑추에이터(302)가 실린더와 링크기구를 포함한 경우에는 본 발명자에 의해 특허출원된 제10-2013-0011626호에 제안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판(301)이 닫힘위치시에 상기 상부내관(211)의 내면과 맞닿음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수직관형부(210)는 다른 일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베이스에 고정된 하부내관(212'), 그리고 도중에 밸브(300)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하부내관(212')의 상류측에 하류측이 내접되어 상기 하부내관(21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부외관(211')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부외관(211')의 하류측 외주면에는 방사바깥방향으로 확경된 상부플랜지(213')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부내관(212')의 상류단 외주면에는 방사바깥방향으로 확경된 하부플랜지(2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부플랜지(213')와 상기 하부플랜지(214') 사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복수개의 로드셀(215)이 개재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로드셀(215)에는 건축물의 각 세대별 외벽(101)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적산중량계(181)가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상부외관(211')의 하류단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내관(212')의 외주면과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는 상부시일(216')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부내관(212')의 상류단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외관(211')의 내주면과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는 하부시일(217')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다.
상기 일실시예 및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사이에는 로드셀(215)이 복수개 개재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상기 로드셀(215)을 환형으로 만들면 하나의 로드셀이 개재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로드셀(215)은 다음과 같이 작동될 수 있다.
밸브(300)를 닫은 상태에서 건축물 내의 각 세대별 관리자가 건축물의 각 세대별 내에서 발생된 고형쓰레기가 상기 투입유니트(200)를 통하여 투입하면서 절단되거나 파쇄되어 낙하되어 상기 밸브(300)의 밸브판(301) 위로 떨어지게 되고, 상기 밸브판(301)에 얹어 놓여진 고형쓰레기는 상기 로드셀(215)에 의해 상부내관(211) 또는 상부외관(211')와 상기 밸브(300)와 함께 중량이 측정되어 그 측정치를 상기 적산중량계(181)에 보내고 상기 적산중량계는 그 측정치에서 상부내관(211) 또는 상부외관(211')과 상기 밸브(300)의 중량을 뺀 감산치를 적산하여 표시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밸브(300)를 열면 중량이 측정된 고형쓰레기가 수평관형부(220)로 낙하하고, 그리고 블로워(13)를 가동하면, 낙하된 고형쓰레기가 상기 연결관(14)을 경유하여, 상기 관형부(110)를 거쳐서 상기 임시수거실(130)에 수거수거된다.
상기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상기 고형쓰레기는 음식쓰레기, 금속물, 플라스틱물, 종이,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이며, 특히 음식쓰레기인 겨우에는 건조되어 상기 수직관형부(210)에 투입되는 것이 이송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저울은 건축물 내에서 수직관형부에 투입된 다음 양압원에 배출되는 고형쓰레기의 중량을 밸브의 밸브판에 간섭을 받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계측하여 고형쓰레기 배출에 따른 정산처리를 저렴한 비용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 건축물, 200; 투입유니트, 110; 관형부, 130; 임시수거실

Claims (8)

  1. 양압에 의해 건축물 내의 고형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에 마련된 투입유니트의 수직관형부에 구비된 저울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형부(210)는 베이스에 고정된 하부외관(212), 그리고 도중에 밸브(300)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하부외관(212)의 상류측에 하류측이 내접되어 상기 하부외관(21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부내관(21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하부외관(212)과 상기 상부내관(21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밸브(300)가 닫힘자세에 있을 때 상기 밸브(300)의 밸브판(301)에 얹어 놓혀진 고형쓰레기의 중량을 상기 상부내관(211)과 상기 밸브(300)의 중량과 함께 측정하는 로드셀(215)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215)은 건축물의 외벽(101)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적산중량계(181)가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내관(211)의 하류측 외주면에는 방사바깥방향으로 확경된 상부플랜지(213)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부외관(212)의 상류단 외주면에는 방사바깥방향으로 확경된 하부플랜지(214)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플랜지(213)과 상기 하부플랜지(214) 사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로드셀(215)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내관(211)의 하류단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외관(212)의 내주면과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는 상부시일(216)이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부외관(212)의 상류단 내주면에는 상기 상부내관(211)의 외주면과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는 하부시일(217)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5. 양압에 의해 건축물 내의 고형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에 마련된 투입유니트의 수직관형부에 구비된 저울에 있어서,
    상기 수직관형부(210)는 베이스에 고정된 하부내관(212'), 그리고 도중에 밸브(300)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하부내관(212')의 상류측에 하류측이 내접되어 상기 하부내관(21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상부외관(21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하부내관(212')과 상기 상부외관(211')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밸브(300)가 닫힘자세에 있을 때 상기 밸브(300)의 밸브판(301)에 얹어 놓혀진 고형쓰레기의 중량을 상기 상부외관(211')과 상기 밸브(300)의 중량과 함께 측정하는 로드셀(215)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215)은 건축물의 외벽(101)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적산중량계(181)가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외관(211')의 하류측 외주면에는 방사바깥방향으로 확경된 상부플랜지(213')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부내관(212')의 상류단 외주면에는 방사바깥방향으로 확경된 하부플랜지(214')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상부플랜지(213')와 상기 하부플랜지(214') 사이에는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서 상기 로드셀(215)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외관(211')의 하류단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내관(212')의 외주면과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는 상부시일(216')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하부내관(212')의 상류단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외관(211')의 내주면과 기밀적으로 미끄럼접촉하는 하부시일(217')이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KR1020130013792A 2013-02-07 2013-02-07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KR201401007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92A KR20140100717A (ko) 2013-02-07 2013-02-07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3792A KR20140100717A (ko) 2013-02-07 2013-02-07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0717A true KR20140100717A (ko) 2014-08-18

Family

ID=5174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3792A KR20140100717A (ko) 2013-02-07 2013-02-07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07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1195A (zh) * 2017-12-22 2018-07-31 中山市和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家庭厨余垃圾回收系统
CN108516258A (zh) * 2017-12-22 2018-09-11 中山市和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家用厨余垃圾回收系统的称重机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41195A (zh) * 2017-12-22 2018-07-31 中山市和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家庭厨余垃圾回收系统
CN108516258A (zh) * 2017-12-22 2018-09-11 中山市和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家用厨余垃圾回收系统的称重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05807B (zh) 一种自动分类垃圾箱
US10525481B2 (en) Intelligent closed type domestic waste sorting bus
CN104971932B (zh) 一种餐厨余垃圾回收再利用环保节能系统
CN106001047A (zh) 固废物及生活垃圾管道输送智能收集系统
EP3294456B1 (en) Crushing device provided with an exhaust system and method for crushing heterogeneous chunks of material
US8523051B2 (en) Refuse collection apparatus
CN101500911B (zh) 垃圾处理系统及其入口单元
CN203292089U (zh) 固定式建筑垃圾轻质物分离装置
CN110817192A (zh) 基于环保的废旧电池回收设备
CN106742992A (zh) 一种垃圾智能收集系统及方法
KR20140100717A (ko) 수직관 내에서 이송되는 고형쓰레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
CN109230071A (zh) 一种收集纸类垃圾箱
KR101041046B1 (ko)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안정적 운전을 위한 보호 시스템
KR101702591B1 (ko) 각 세대별 투입설비가 포함되며 진공압과 송풍압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타입 쓰레기 처리시스템
KR20090085771A (ko) 복합형 쓰레기 자동집하시설
CN204955193U (zh) 物料除尘装置
KR102358780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CN206782602U (zh) 一种垃圾智能收集系统
CN206417419U (zh) 一种污泥储存系统和污泥卸料车间
KR101201295B1 (ko) 집합주택의 생활쓰레기 처리 장치
RU93847U1 (ru) Система сбора и удаления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из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KR101457381B1 (ko) 음식쓰레기의 교반건조기
KR101234084B1 (ko) 양압에 의해 건축물 내의 쓰레기를 수거하는 장치
CN211726915U (zh) 一种生活垃圾综合式分类、减量装置
CN208617681U (zh) 一种污泥脱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