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857B1 -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857B1
KR101788857B1 KR1020080087236A KR20080087236A KR101788857B1 KR 101788857 B1 KR101788857 B1 KR 101788857B1 KR 1020080087236 A KR1020080087236 A KR 1020080087236A KR 20080087236 A KR20080087236 A KR 20080087236A KR 101788857 B1 KR101788857 B1 KR 101788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elastic body
support structure
lower sho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074A (ko
Inventor
세이이찌 곤도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ublication of KR2009002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 구조(4) 상에 배치되는 하측 슈(1)와, 하측 슈(1)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부 구조(5)를 지지하는 상측 슈(2)와, 하측 슈(1)와 상측 슈(2)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3)를 구비하는 지지 구조에 있어서, 탄성체(3)에 중공부(3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구조의 높이를 낮게 억제하는 동시에, 상부 구조의 상방으로의 변위에 대해 충분히 추종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부 구조, 상부 구조, 하측 슈, 상측 슈, 탄성체, 중공부

Description

지지 구조{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년 9월 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231548호, 및 2008년 3월 14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66240호를 기초로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일반적으로 고가도로 등의 교량에서는, 교각과 주형(主桁, main girder) 사이에 지지 구조가 개재되어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지지 구조로서, 강판과 고무층을 적층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고무 지지가 있다. 이 적층 고무 지지는, 주형 등의 상부 구조의 하중에 의해, 고무층이 측방으로 팽출하는 동시에 연직 방향으로 압궤되어, 고무층의 두께가 저감된다. 이에 의해, 적층 고무 지지는 저감한 고무층의 두께 분만큼 상방으로의 변위가 허용된다. 따라서, 대형 차량의 통행 등으로 주형이 휘고, 주형 단부에 들뜸이 발생하여, 지지 구조가 상향으로 인장되어도 고무층이 강판으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상방으로의 변위 추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지지 구조의 다른 예로서 밀폐 고무 지지판 지지가 있다. 밀폐 고무 지지판 지지는, 교각의 상단부면에 고정된 하측 슈의 오목부 내에 탄성체(고무)가 설치되고, 그 상측으로부터 중간 플레이트가 씌워지고, 탄성체가 밀폐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중간 플레이트 상에는 주형에 고정된 상측 슈가 적재되어 있다. 이 밀폐 고무 지지판 지지에서는, 탄성체(고무)가 밀폐되어 있고, 탄성체가 팽출하는 장소가 없기 때문에, 고무의 비압축성에 의해, 지지 구조에 연직 하중이 가해져도 탄성체가 압궤되는 일이 없으나, 주형이 휜 경우에도 변위 추종이 가능하다. 즉, 주형이 휜 경우, 지지 구조의 일방측의 부분(주형의 단부면측의 부분)에 상향의 인장력이 작용하는 동시에 지지 구조의 타방측의 부분(주형의 중앙측의 부분)에 하향의 압축력이 작용한다. 이때, 상기 하향의 압축력에 의해 탄성체가 일방측의 부분으로 릴리프하기 때문에, 일방측의 부분에 있어서의 상방향으로의 변위 추종이 가능하다.
또한, 최근 하측 슈(lower shoe)와 상측 슈(upper shoe) 사이에 탄성체를 개재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가 제공되고 있다. 이 지지 구조는 하측 슈의 상면 및 상측 슈의 하면에 각각 요철을 형성하고, 하측 슈의 요철과 상측 슈의 요철을 끼워 맞추도록 하측 슈와 상측 슈가 조합되어 있다. 또한, 이 지지 구조에서는, 하측 슈의 원통부에, 탄성체를 팽출시키기 위한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23582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종래 적층 고무 지지에서는, 변위 추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무층을 두껍게 하면, 지지 구조의 높이가 높아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한 밀폐 고무 지지판 지지 대신에 적층 고무 지지를 설치하고자 해도, 교각과 주형 사이에 들어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한 종래 밀폐 고무 지지판 지지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가 압궤되어 있지 않아도 주형이 휜 경우의 변위 추종이 가능하나, 이때의 탄성체의 변위가 크기 때문에, 탄성체를 하측 슈나 중간 플레이트에 접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밀폐 고무 지지판 지지에서는, 하측 슈 상에 탄성체가 비접착 상태에서 적재되고, 또한 탄성체 상에 중간 플레이트가 비접착 상태에서 적재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하 방향이 구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지지 구조에서는, 하측 슈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연직 하중에 의해 탄성체의 일부가 관통구 내에 팽출되어 탄성체가 압궤되기 때문에, 그 압궤 변위량의 분만큼 상방향으로의 변위 추종이 가능하나, 압궤 변위량이 작아, 큰 변위에 대해서는 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가 고려된 것이며, 지지 구조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또한 탄성체를 하측 슈나 상측 슈에 대해 각각 접착할 수 있고, 또한 상부 구조의 상방으로의 변위에 대해 충분히 추종할 수 있는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는, 하부 구조 상에 배치되는 하측 슈와, 상기 하측 슈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부 구조를 지지하는 상측 슈와, 상기 하측 슈와 상기 상측 슈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를 구비하는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징에 의해, 중공부에 의해, 연직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탄성체가 릴리프하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구조에 연직 하중이 가해지면 중공부 내에 탄성체의 일부가 팽출된다. 이에 의해, 탄성체가 압궤 변형한다. 즉, 탄성체는 가압되면 체적을 바꾸지 않고 변형하기 때문에, 중공부에 팽출되는 만큼 탄성체의 두께(높이)가 저감된다. 따라서, 저감된 탄성체의 두께 분만큼 상방으로의 변위가 허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는, 상기 하측 슈의 상면 및 상기 상측 슈의 하면에 통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통부의 내측에 상기 탄성체가 수용되어 있는 것, 또는 상기 하측 슈의 상면 혹은 상기 상측 슈의 하면에 통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통부의 내측에 상기 탄성체가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하측 슈의 상면과 상측 슈의 하면과 통부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여 공간(구속된 방) 중에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탄성체의 외주면은 통부에 의해 구속된다. 따라서, 지지 구조에 연직 하중이 가해지면, 중공부 내에 탄성체가 팽출하여 탄성체가 어느 정도까지 압궤 변형하나, 중공부가 탄성체로 폐색된 시점에서 탄성체가 릴리프하는 부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탄성체가 그 이상 압궤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는, 상기 하측 슈의 상면 및 상기 상측 슈의 하면 중 어느 한쪽에 통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하측 슈의 상면 및 상기 상측 슈의 하면 중 어느 다른 쪽에 상기 통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하측 슈와 상측 슈가 상대적으로 수평 변위했을 때, 통부와 돌출부가 결합하여 스토퍼 기능을 감당한다. 이에 의해, 하측 슈와 상측 슈의 상대적인 수평 변위가 규제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는, 상기 돌출부가 외경이 상기 통부의 내경보다도 작고, 상기 통부의 내측에 끼워 넣어지는 종단면에서 보아 볼록 형상을 이루고, 적어도 상기 하측 슈의 상면 및 상기 상측 슈의 하면 중 어느 한쪽과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면과의 사이에 상기 탄성체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기한 스토퍼 기능을 감당하는 동시에, 돌출부를 갖는 하측 슈 또는 상측 슈의 형상이 단순한 형상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는 상기 통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탄성체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하측 슈와 상측 슈가 상대적으로 수평 변위했을 때, 통부와 돌출부 사이의 탄성체가 완충 기능을 발휘하고, 통부와 돌출부가 결합할 때의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통부와 돌출부 사이의 탄성체의 압궤 변형에 의해 수평 변위 추종 기능을 감당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는, 상기 하측 슈의 하면 및 상기 상측 슈의 상면에 상기 하측 슈와 상기 하부 구조 및 상기 상측 슈와 상기 상부 구조를 수평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키기 위한 미끄럼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 또는 상기 하측 슈의 하면 혹은 상기 상측 슈의 상면에 상기 하측 슈와 상기 하부 구조, 혹은 상기 상측 슈와 상기 상부 구조를 수평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키기 위한 미끄럼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가 상대적으로 수평 변위한 경우, 그 수평 변위가 미끄럼재에 의해 허용된다. 예를 들어, 하부 구조와 하측 슈 사이에 미끄럼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가 상대적으로 수평 변위했을 때, 지지 구조는 하부 구조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평 변위한다. 또한, 상부 구조와 상측 슈 사이에 미끄럼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하부 구조와 상부 구조가 상대적으로 수평 변위했을 때, 지지 구조는 상부 구조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평 변위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는 상기 중공부가 상기 탄성체를 상하 방향 으로 관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연직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탄성체가 릴리프하는 공간이 한층 커진다. 이에 의해, 탄성체가 보다 한층 압궤 변형하기 쉬워져, 탄성체의 두께(높이)가 한층 저감되어, 상방으로의 허용 변위량이 커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는 상기 중공부가 비관통의 바닥이 있는 구멍이라도 좋다.
이에 의해, 중공부의 깊이를 조정함으로써, 중공부의 직경(평면 형상)이나 개수를 변경하지 않고 중공부의 용적이 조정되어, 탄성체의 압궤 변위량이 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는, 상기 하측 슈 및 상기 상측 슈에 상기 중공부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 또는 상기 하측 슈 혹은 상기 상측 슈에 상기 중공부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한 코어 등의 형(型)을 관통 구멍으로부터 인발하는 것이 가능하고, 중공부를 갖는 탄성체가 용이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한 구성의 지지 구조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하측 슈와 상측 슈를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하는 동시에, 하측 슈 및 상측 슈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부터 막대 형상의 코어를 삽입하여 하측 슈와 상측 슈 사이에 코어를 배치하는 공정, 또는 하측 슈 혹은 상측 슈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부터 막대 형상의 코어를 삽입하여 하측 슈와 상측 슈 사이에 코어를 배치하는 공정과, 하측 슈와 상측 슈 사이에 용융 고무 재료를 유입하여 탄성체를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코어를 상기 관통 구 멍으로부터 인발하여 탄성체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는 상기 관통 구멍이 마개체로 폐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중심을 관통 구멍으로부터 인발하는 공정 후, 관통 구멍을 마개체로 폐색하는 공정을 행함으로써, 관통 구멍에 의한 하측 슈나 상측 슈의 강도 저하가 억제된다. 즉, 하측 슈나 상측 슈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면, 그 강도가 저하하나, 관통 구멍 내에 마개체가 배치됨으로써 하측 슈나 상측 슈의 강도가 보강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는, 상기 탄성체가 상기 하측 슈의 상면 및 상기 상측 슈의 하면에 각각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상하 방향의 변위가 규제된다. 즉, 하측 슈와 상측 슈를 이격시키는 상하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한 경우, 탄성체가 하측 슈나 상측 슈에 접착되어 있음으로써, 접착력이 상기 인장력에 저항하고, 하측 슈와 상측 슈가 이격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에 따르면, 지지 구조에 연직 하중이 가해졌을 때, 중공부 내에 탄성체의 일부가 팽출되고, 탄성체가 압궤 변형하고, 탄성체의 두께가 저감되기 때문에, 상부 구조의 상방으로의 변위에 대해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연직 하중에 의해 탄성체가 압궤 변형하고, 상방으로의 변위 추종이 가 능하기 때문에, 탄성체를 하측 슈나 상측 슈에 대해 각각 접착할 수 있다. 게다가, 중공부의 개수나 크기의 변경에 따라 탄성체의 압궤 변형량이 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탄성체를 두껍게 하지 않고, 상부 구조의 상방으로의 변위에 대해 충분히 추종시킬 수 있어, 지지 구조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의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 구조의 평면도이고, 도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 구조의 절반 단면도이다.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 구조는 교량의 교각(4)의 상단부면과 주형(5)의 하면 사이에 개재 장착된 고정식 지지이다. 이 지지 구조는 교각(4)(하부 구조)에 고정되는 하측 슈(1)와, 주형(5)(상부 구조)에 고정되는 상측 슈(2)와, 하측 슈(1)와 상측 슈(2)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3)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 슈(1)는, 교각(4)의 상단부면에 복수(도1에서는 4개)의 앵커 볼트(6)에 의해 고정되는 평판 형상의 강제 부재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측 슈(1)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의 것이고, 그 네 구석에는 앵커 볼트(6)를 삽입 관통시키기 위한 볼트 구멍(1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슈(1)의 상면에는, 내측 통부(11)(돌출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내측 통부(11)는 원통 형상의 벽부이 며, 하측 슈(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통부(11)의 외경은, 후술하는 외측 통부(20)(통부)의 내경보다도 외경이 작다.
상측 슈(2)는 하측 슈(1)의 상방에 배치되고 주형(5)을 지지하는 것이며, 주형(5)의 하면에 볼트(7)에 의해 고정되는 평판 형상의 강제(鋼製) 부재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측 슈(2)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것이고, 그 하면에는 외측 통부(20)가 늘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 외측 통부(20)는 상측 슈(2)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상측 슈(2)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 설치된 원통 형상의 벽부이며, 상측 슈(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측 슈(2)는, 그 하면에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오목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외측 통부(20)와 내측 통부(11)는 대략 동축 상에 형성되어 있고, 외측 통부(20)의 내측에 내측 통부(1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측 통부(20)의 내주면과 내측 통부(11)의 외주면 사이에는 간격이 두어져 있다.
또한, 상측 슈(2)에는 둥근 구멍 형상의 관통 구멍(21)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21)은 평면에서 보아 상기한 내측 통부(11)의 내측의 위치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고, 후술하는 중공부(30)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또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관통 구멍(21) 내에는 육각 구멍 부착 볼트 등의 마개체(23)가 끼워 맞추어지고, 관통 구멍(21)이 폐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측 슈(2)에 암나사 형상의 관통 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21)에 수나사 형상의 마개체(23)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마개체(23)는 관통 구멍(21)과 동일한 길이 혹은 관통 구멍(21)보다도 긴 것이며, 마개 체(23)가 관통 구멍(21)의 양단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나사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볼트(7)에 의해 고정되는 상측 슈(2)와 주형(5) 사이에는, 볼트(7)를 통과하는 도시하지 않은 볼트 구멍을 갖는 소울 플레이트(8)가 개재되어 있다.
탄성체(3)는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공지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탄성체(3)는 하측 슈(1)의 상면 및 상측 슈(2)의 하면에 각각 가황 접착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3)는 외측 통부(20)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한 내측 통부(11)와 외측 통부(20) 사이에도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 통부(11)의 선단부는 탄성체(3) 내에 매설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3)에는, 탄성체(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둥근 구멍 형상의 중공부(30)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중공부(30)는, 상기한 관통 구멍(21)과 대략 동일 직경의 구멍이며, 관통 구멍(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공부(30)는 탄성체(3)의 중앙에 1개와, 그 주변에 4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공부(30)의 위치나 개수, 직경 등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4의 (a)는 연직 하중(초기 하중)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의 지지 구조를 모식적인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의 (b)는 연직 하중이 가해진 상태의 지지 구조를 모식적인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구조 상에 주형(5)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지지 구조에 연직 하중이 가해지고 있지 않을 때, 하측 슈(1)의 상면과 외측 통부(20)의 하단부면 사이에는, 적어도 주형(5)의 설치 후의 탄성체(3)의 압궤 변 형량(d)보다도 큰 간극이 두어져 있다. 또한, 이때, 중공부(30)의 내측은 중공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구조 상에 주형(5)이 설치되고, 지지 구조에 연직 하중이 가해지면, 중공부(30)에 의해 탄성체(3)가 릴리프하는 공간이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체(3)가 압궤 변형한다. 즉, 지지 구조에 연직 하중이 가해지면, 중공부(30) 내에 탄성체(3)의 일부가 팽출된다. 그리고, 중공부(30) 내에 팽출된 만큼, 탄성체(3)의 두께가 저감되고, 상측 슈(2)의 위치가 가라앉아 내리고, 외측 통부(20)의 하단부면이 하측 슈(1)의 상면에 근접 혹은 접촉한다. 이때, 탄성체(3)에 형성된 중공부(30)는 탄성체(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연직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탄성체(3)의 일부가 릴리프하는 공간이 크고, 탄성체(3)의 압궤 변형량(d)도 충분히 커진다.
또한, 하측 슈(1)의 상면과 상측 슈(2)의 하면과 외측 통부(20)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인 공간 중에 탄성체(3)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탄성체(3)의 외주면은 외측 통부(20)에 의해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구조에 연직 하중이 가해지면, 중공부(30) 내에 탄성체(3)가 팽출하여 탄성체(3)가 어느 정도까지 압궤 변형하나, 중공부(30)가 탄성체(3)로 폐색된 시점에서 탄성체(3)가 릴리프하는 부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탄성체(3)가 그 이상 압궤하지 않게 된다. 또한, 주형(5)이 소정의 높이 레벨에 배치되도록 중공부(30)의 개수나 직경을 조정한다.
또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가 교량의 교각(4)의 상단부면 과 주형(5)의 하면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있을 때에, 교각(4)과 주형(5) 사이에 상대적으로 수평 변위가 발생하면, 내측 통부(11)와 외측 통부(20) 사이에 탄성체(3)가 압궤 변형하고, 하측 슈(1)와 상측 슈(2)가 상대적으로 수평 변위한다.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 변위하면, 내측 통부(11)와 외측 통부(20)가 서로 결합하여 스토퍼 기능을 발휘하고, 상기 수평 변위가 규제된다. 이때, 내측 통부(11)와 외측 통부(20) 사이의 탄성체(3)에 의해 내측 통부(11)와 외측 통부(20)의 결합시의 충격이 완화된다.
또한, 주형(5)이 휘어 주형(5)의 단부에 들뜸이 발생하고, 지지 구조에 상하 방향의 인장력이 작용한 경우, 상측 슈(2)가 하측 슈(1)에 대해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3)는, 미리 연직 하중에 의해 압궤 변형하고 있으므로, 그 압궤 변형량(d)의 분만큼 상방으로의 변형이 허용된다. 또한, 탄성체(3)는 하측 슈(1)의 상면 및 상측 슈(2)의 하면에 대해 가황 접착되어 있으므로, 그 접착력이 상기한 인장력에 저항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에 따르면, 탄성체(3)가 압궤 변형량(d)의 분만큼 상방 변위가 허용되어 있으므로, 대형 차량의 통행 등으로 주형(5)이 휘어, 주형(5)의 단부에 들뜸이 발생해도, 주형(5) 단부의 상방으로의 변위에 대해 충분히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방 변위가 허용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체(3)를 하측 슈(1)의 상면 및 상측 슈(2)의 하면에 각각 접착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3)를 하측 슈(1)의 상면 및 상측 슈(2)의 하면에 각각 접착하면, 그 접착력에 의한 연직 변위의 규제도 기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에 따르면, 상기한 중공부(30)의 개수나 크기의 변경에 따라 탄성체(3)의 저강성화가 가능하고, 탄성체(3)의 압궤 변형량(d)이 조정 가능하다. 이로 인해, 탄성체(3)를 두껍게 하지 않고, 주형(5) 단부의 상방으로의 변위에 대해 충분히 추종시킬 수 있고, 지지 구조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구조의 단면 강성도 작아도 좋고, 콤팩트한 형상의 지지 구조로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기설된 강제 지지와 치환하는 경우 등 설치 공간의 높이가 낮은 경우라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측 슈(2)의 하면에 외측 통부(20)가 돌출 설치되고, 그 외측 통부(20)의 내측에 탄성체(3)가 수용되어 있고, 지지 구조에 연직 하중이 가해졌을 때, 중공부(30)가 탄성체(3)로 폐색된 시점에서 탄성체(3)가 릴리프하는 부분이 없어지고, 탄성체(3)가 그 이상 압궤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탄성체(3)를 어느 일정한 압궤 변형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하측 슈(1)의 상면에 내측 통부(11)가 돌출 설치되고, 상측 슈(2)의 하면에는 외측 통부(20)가 돌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 슈(1)와 상측 슈(2)가 상대적으로 수평 변위했을 때, 내측 통부(11) 및 외측 통부(20)가 스토퍼 기능을 감당함으로써 수평 변위가 규제된다. 따라서, 수평 변위를 규제하는 사이드 블록 등의 부재를 별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지지 구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통부(11)와 외측 통부(20) 사이에도 탄성체(3)가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 내측 통부(11)와 외측 통부(20) 사이의 탄성체(3)가 수평 변위에 대해 완충 기능을 발휘한다. 이에 의해, 수평력을 흡수할 수 있고, 수평 변위를 양호하게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 통부(11)와 외측 통부(20) 사이의 탄성체(3)가 압궤 변형됨으로써, 수평 변위에 대해 추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주형(5)의 신축 등에 대해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탄성체(3)에 형성된 중공부(30)는 탄성체(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연직 하중이 가해졌을 때에 탄성체(3)의 일부가 릴리프하는 공간이 한층 커진다. 이에 의해, 탄성체(3)가 한층 압궤 변형하기 쉬워져, 탄성체(3)의 두께가 한층 저감되고, 상방으로의 허용 변위량이 커진다. 이에 의해, 지지 구조는 큰 연직 변위에 대해서도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슈(2)에는, 중공부(30)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공부(30)를 형성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코어를 관통 구멍(21)으로부터 인발하는 것이 가능하고, 중공부(30)를 갖는 탄성체(3)가 용이하게 형성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한 지지 구조를 제작할 때, 우선 하측 슈(1)와 상측 슈(2)를 대향 배치시킨다. 또한, 하측 슈(1)와 상측 슈(2) 사이에, 중공부(30)를 형성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코어를 소정 위치에 설치한다. 예를 들어, 원기둥 형상의 중심을 관통 구멍(21)으로부터 삽입하여 하측 슈(1)와 상측 슈(2) 사이에 설치한다. 상기한 코어로서는 예를 들어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하측 슈(1)와 상측 슈(2) 사이에, 용해한 고무 재료 등을 충전하여 탄성체(3)를 형성한다. 그리고, 탄성체(3)의 경화 후에, 상기한 코어를 관통 구멍(21)으로부터 인발한다. 이에 의해, 탄성체(3)에 중공부(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중공부(30)를 갖는 탄성체(3)가 용이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 구조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관통 구멍(21) 내에 마개체(23)를 끼워 맞춤으로써, 관통 구멍(21)에 의한 상측 슈(2)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관통 구멍(21) 둘레의 균열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식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식의 지지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가동식의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가동식의 지지 구조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슈(2)의 상면에, 상측 슈(2)와 주형(5) 등의 상부 구조를 수평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키기 위한 미끄럼재(22)가 설치된 구성, 혹은 하측 슈(1)의 하면에, 하측 슈(1)와 교각(4) 등의 하부 구조를 수평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키기 위한 미끄럼재(22)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가동식의 지지 구조에 대해 도6, 도7을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주형(5)의 연장 방향(도6에 있어서의 종방향)을 주형 길이 방향으로 하고, 그 주형 길이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도6에 있어서의 횡방향)을 주형 폭 방향으로 한다.
도6,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식의 지지 구조에서는 상측 슈(2)의 상면에 중간 플레이트(9)가 적재되어 있다. 이 중간 플레이트(9)는 주형 길이 방향으 로 연장하는 직사각형의 강판이며, 볼트(7)에 의해 주형(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중간 플레이트(9)와 주형(5) 사이에는 소울 플레이트(8)가 개재되어 있다. 중간 플레이트(9)의 하면에는 스테인레스판(90)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측 슈(2)의 상면에는 스테인레스판(90)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접촉되는 미끄럼판(22)(미끄럼재)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측 슈(2)는 주형(5)에 고정되지 않고, 상측 슈(2)와 주형(5)의 상대적인 수평 이동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미끄럼판(22)으로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나,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간 플레이트(9)의 주형 폭 방향의 양측에는, 주형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차부(9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91)는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아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측 슈(1)의 상면에는, 주형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블록(12)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사이드 블록(12)은, 중간 플레이트(9)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사이드 블록(12)의 상단부에는, 상기한 중간 플레이트(9)의 단차부(91)의 내측에 배치되고 단차부(91)의 단부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정부(12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식의 지지 구조에 따르면, 미끄럼판(22)과 스테인레스판(90) 사이에서 자유롭게 미끄럼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주형 길이 방향으로의 변위가 단차부(91)의 길이 분의 거리만큼 허용된다. 한편, 양측의 사이드 블록(12)에 의해 주형 폭 방향으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이에 의해, 기온 등의 영향에 의해 주형(5)이 신축한 경우라도, 지지 구조는 주형 길이 방향의 수평 변위에 대해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가동식의 지지 구조는, 상측 슈(2) 상에 미끄럼판(22) 및 스테인레스판(90)을 배치하고 있고, 교각(4)에 대해 하측 슈(1)가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하측 슈(1) 아래에 미끄럼판(22) 및 스테인레스판(90)을 배치하고, 교각(4)에 대해 하측 슈(1)가 수평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교각(4)의 상단부면에 앵커 볼트(6)에 의해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고, 그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하측 슈(1)를 배치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스테인레스판(90)을 고정하고, 하측 슈(1)의 하면에 미끄럼판(22)을 고정한다. 이때, 하측 슈(1)는 교각(4)에 고정되지 않고, 하측 슈(1)와 교각(4)의 상대적인 수평 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한 가동식의 지지 구조와 마찬가지로 수평 변위에 대해 추종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상기한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로서 원통 형상의 내측 통부(11)가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로서 원반 형상의 볼록부(111)가 하측 슈(1)에 돌출 설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측 슈(1)에 상기 볼록부(111)가 돌출 설치된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볼록부(111)는 종단면에서 보아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외경이 외측 통부(20)의 내경보다도 작고, 외측 통부(20)의 내 측에 끼워 넣어져 있다. 볼록부(111)의 외주면은 외측 통부(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볼록부(111)의 외주면과 외측 통부(20)의 내주면 사이에는 간격이 두어져 탄성체(3)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11)의 선단부면은 상측 슈(2)의 하면에 대해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고, 볼록부(111)의 선단부면과 상측 슈(2)의 하면 사이에는 탄성체(3)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에서는, 교각(4)과 주형(5) 사이에 상대적으로 수평 변위가 발생하면, 볼록부(111)와 외측 통부(20) 사이에 탄성체(3)가 압궤 변형하고, 하측 슈(1)와 상측 슈(2)가 상대적으로 수평 변위한다. 그리고, 어느 정도까지 변위하면, 볼록부(111)와 외측 통부(20)가 서로 결합하여 스토퍼 기능을 발휘하고, 상기 수평 변위가 규제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측 통부(11)를 갖는 하측 슈(1)와 비교하여, 볼록부(111)를 갖는 하측 슈(1)의 쪽이 형상이 단순화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에 따르면, 수평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동시에, 깎아내는 하측 슈(1)의 제작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즉, 상기한 볼록부(111)를 갖는 하측 슈(1)의 경우, 중앙 부분에 내주 구멍을 깎지 않아도 될만큼, 제작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은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체(3) 내에 구속 부재(31)가 내재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구속 부재(31)를 구비한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탄성체(3)에는, 그 중심 부분에만 중공부(30)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탄성체(3) 내에는, 그 탄성체(3)의 종탄성 계수보다도 높은 종탄성 계수를 갖는 구속 부재(31)가 내재되어 있다. 이 구속 부재(31)는 중공부(30)를 둘러싸는 원환 형상의 강판이며, 탄성체(3)의 상하 방향[탄성체(3)의 두께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속 부재(31)를 구비하는 지지 구조에 따르면, 탄성체(3) 내에 구속 부재(31)가 내재됨으로써, 탄성체(3)의 압궤 변형량(d')이 작아지기 때문에, 중공부(30)만으로 탄성체(3)의 압궤 변형량(d')의 설정하는 경우에 비해, 설계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원환 형상의 구속 부재(31)의 중심 부분의 구멍에 중공부(30)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구속 부재에 의해 중공부(30)가 폐색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어 중심 부분에 구멍이 없는 원반 형상의 구속 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동일 평면 상에 복수의 구속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원환 형상의 강판을 복수에 분할한 상태에서 동일 평면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강판은 2 분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지지 구조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용해된 고무 재료 등을 하측 슈(1)와 상측 슈(2) 사이에 충전함으로써 탄성체(3)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체(3)는 하측 슈(1)의 상면 및 상측 슈(2)의 하면에 각각 가황 접착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미리 성형된 탄성체(3)를 하측 슈(1)와 상측 슈(2) 사이에 끼움 지지시키고, 이 탄성체(3)를 하측 슈(1)의 상면 및 상측 슈(2)의 하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탄성체(3)가 하측 슈(1)의 상면이나 상측 슈(2)의 하면에 접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탄성체(3)를 미리 성형해 두는 경우, 탄성체(3)를 복수의 부품으로 분할시켜 두고, 복수의 탄성체 부품을 조합하여 탄성체(3)를 형성해도 좋다. 이에 의해, 중공부(30)의 양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내측 통부(11)나 볼록부(111)의 외주면과 외측 통부(20)의 내주면 사이에 간격이 두어져 있고, 내측 통부(11)와 외측 통부(20) 사이, 혹은 볼록부(111)와 외측 통부(20) 사이에 탄성체(3)가 개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내측 통부(11)나 볼록부(111)의 외주면과 외측 통부(20)의 내주면이 접촉되어 있고, 내측 통부(11)와 외측 통부(20) 사이, 혹은 볼록부(111)와 외측 통부(20) 사이에 탄성체(3)가 개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내측 통부(11)나 볼록부(111)와 외측 통부(20)와의 결합으로 하측 슈(1)와 상측 슈(2)의 상대적인 수평 변위가 규제되어, 수평 방향의 구속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하측 슈(1)의 상면에 내측 통 부(11)가 돌출 설치되고, 상측 슈(2)의 하면에 외측 통부(20)가 돌출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하측 슈(1)의 상면에 외측 통부(통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측 슈(2)의 하면에 내측 통부(돌출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로서 원통 형상의 내측 통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로서 원반 형상의 볼록부(111)가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돌출부는 상기한 내측 통부(11)나 볼록부(11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분할된 벽 형상의 돌출부라도 좋고, 그 밖의 형상의 돌출부라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내측 통부(11), 볼록부(111)]가 통부[외측 통부(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통부의 외측에 돌출부가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통부로서 원통 형상의 외측 통부(20)가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의 통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통 형상의 통부라도 좋고, 혹은 외주 형상이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이며 내주 형상이 평면에서 보아 원형의 통부라도 좋고, 그 밖의 형상의 통부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하측 슈(1)의 상면 또는 상측 슈(2)의 하면 중 어느 한쪽에 통부가 설치되고, 돌출부가 없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하측 슈(1)의 상면이나 상측 슈(2)의 하면에 통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체(3)를 상하 방향으로 관 통한 관통 구멍 형상의 중공부(30)가 탄성체(3)에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탄성체(3)에 형성하는 중공부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구멍(비관통 구멍) 형상의 중공부(130)가 탄성체(3)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바닥이 있는 구멍 형상의 중공부(130)에서는, 그 깊이를 조정함으로써, 그 직경(평면 형상)이나 개수를 변경하지 않고 중공부(130)의 용적이 조정되어 탄성체(3)의 압궤 변위량이 조정되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릿 형상의 중공부가 탄성체(3)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 밖의 형상의 중공부가 탄성체(3)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하측 슈(1)가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측 슈(2)가 평면에서 보아 원형 형상이나, 본 발명은 하측 슈(1)나 상측 슈(2)의 형상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측 슈(1)를 평면에서 보아 원형 형상으로 하여 상측 슈(2)를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하측 슈(1) 및 상측 슈(2)를 각각 평면에서 보아 원형 형상 또는 평면에서 보아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하측 슈(1)나 상측 슈(2)를 그 밖의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중공부(30)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21)이 상측 슈(2)에 형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관통 구멍(21)이 하측 슈(1)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혹은 관통 구멍(21)이 하측 슈(1) 및 상측 슈(2)에 각각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하측 슈(1)나 상측 슈(2)에 관통 구멍(21) 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교각(4)과 주형(5)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 구조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지지 구조의 설치 장소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건축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혹은 기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교각(4) 상에 하측 슈(1)가 직접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측 슈(2) 위에 소울 플레이트(8)를 통해 주형(5)이 지지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하측 슈(1)가 교각(4) 상에 플레이트 등의 중간 부재를 통해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상측 슈(2)가 주형(5)을 직접 지지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측 슈(2)에 너트 형상의 관통 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21)은 암나사 형상의 마개체(23)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폐색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상측 슈(2)에 형성된 관통 구멍의 내측에 냉각된 마개체를 끼워 넣고, 이 마개체가 온도 상승에 의해 팽창함으로써 관통 구멍의 내주면에 밀접하는 방법(냉각하여 체결함)으로 관통 구멍을 폐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관통 구멍으로부터의 수분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나사 체결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관통 구멍을 폐색하는 작업의 수고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관통 구멍은 내주면에 나사산 등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내주면이 평활한 둥근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마개체도 외주면 에 나사산 등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관통 구멍의 형상에 대응한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마개체에 의한 관통 구멍의 밀봉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수분의 침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를 공지된 구성 요소로 치환하는 것은 적절하게 가능하고, 또한 상기한 변형예를 적절하게 조합해도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고정식의 지지 구조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고정식의 지지 구조의 절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 슈의 부분 확대도.
도4의 (a)는 연직 하중이 가해지기 전의 지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4의 (b)는 연직 하중이 가해진 후의 지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가동식의 지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가동식의 지지 구조의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가동식의 지지 구조의 절반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10은 도9에 도시하는 A-A 사이의 평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지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측 슈
2 : 상측 슈
3 : 탄성체
4 : 교각
5 : 주형
6 : 앵커 볼트
7 : 볼트
10 : 볼트 구멍
11 : 내측 통부
20 : 외측 통부
21 : 관통 구멍
23 : 마개체
30 : 중공부

Claims (12)

  1. 하부 구조 상에 배치되는 하측 슈와, 상기 하측 슈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부 구조를 지지하는 상측 슈와, 상기 하측 슈와 상기 상측 슈 사이에 개재된 탄성체를 구비하는 지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슈에는, 상기 중공부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슈에는, 상기 중공부에 연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상측 슈의 하면에는, 상기 관통 구멍의 형성 부위 이외의 부위의 표면이 평탄하고 평면에서 보아 원형인 오목부가 상기 상측 슈의 외측 모서리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는,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슈의 상면 및 상기 상측 슈의 하면에, 또는 상기 하측 슈의 상면 혹은 상기 상측 슈의 하면에 통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통부의 내측에 상기 탄성체가 수용되어 있는 지지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슈의 상면 및 상기 상측 슈의 하면 중 어느 한쪽에는 통부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하측 슈의 상면 및 상기 상측 슈의 하면 중 어느 다른 쪽에는 상기 통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지지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외경이 상기 통부의 내경보다도 작고, 상기 통부의 내측으로 끼워 넣어지는 종단면에서 보아 볼록 형상을 이루고,
    적어도 상기 하측 슈의 상면 및 상기 상측 슈의 하면 중 어느 한쪽과 상기 돌출부의 선단부면과의 사이에 상기 탄성체가 개재되어 있는 지지 구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탄성체가 개재되어 있는 지지 구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탄성체가 개재되어 있는 지지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슈의 하면 및 상기 상측 슈의 상면에는, 상기 하측 슈와 상기 하부 구조, 및 상기 상측 슈와 상기 상부 구조를 수평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키기 위한 미끄럼재, 또는 상기 하측 슈의 하면 혹은 상기 상측 슈의 상면에는, 상기 하측 슈와 상기 하부 구조 혹은, 상기 상측 슈와 상기 상부 구조를 수평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키기 위한 미끄럼재가 설치되어 있는 지지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상기 탄성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는 지지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는 비관통의 바닥이 있는 구멍인 지지 구조.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은 마개체로 폐색되어 있는 지지 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하측 슈의 상면 및 상기 상측 슈의 하면에 각각 접착되어 있는 지지 구조.
KR1020080087236A 2007-09-06 2008-09-04 지지 구조 KR1017888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31548 2007-09-06
JPJP-P-2007-00231548 2007-09-06
JPJP-P-2008-00066240 2008-03-14
JP2008066240A JP2009079464A (ja) 2007-09-06 2008-03-14 支承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074A KR20090026074A (ko) 2009-03-11
KR101788857B1 true KR101788857B1 (ko) 2017-10-20

Family

ID=4047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236A KR101788857B1 (ko) 2007-09-06 2008-09-04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9079464A (ko)
KR (1) KR101788857B1 (ko)
CN (1) CN101387101A (ko)
TW (1) TWI5427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0289B2 (ja) * 2010-07-23 2016-11-24 株式会社Ihiインフラシステム 支承装置
JP5690112B2 (ja) * 2010-10-19 2015-03-25 株式会社Ihiインフラシステム 支承装置
JP6837927B2 (ja) * 2017-06-22 2021-03-03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支承装置
JP6846299B2 (ja) * 2017-06-22 2021-03-2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支承装置
JP7040994B2 (ja) * 2018-05-01 2022-03-23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支承装置
KR101997614B1 (ko) * 2018-10-02 2019-07-08 (주)디엠엔지니어링 중공탄성판 포트받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5338A (ja) * 2000-02-15 2001-08-21 Sumitomo Rubber Ind Ltd 積層ゴム支承
JP2002021929A (ja) * 2000-06-30 2002-01-23 Tokai Rubber Ind Ltd 鉛入りゴム支承装置
JP2005337002A (ja) * 2004-04-30 2005-12-08 Nitta Ind Corp 構造物用弾性支承体
JP2007023582A (ja) * 2005-07-15 2007-02-01 Nitta Ind Corp 構造物用弾性支承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0725Y2 (ko) * 1973-01-29 1979-05-17
JPS5899307U (ja) * 1981-12-23 1983-07-06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ゴム支承
JP3910278B2 (ja) * 1997-08-19 2007-04-25 ジー アクソン マイケル 道路の柱用の地震衝撃減衰装置
JP2001027283A (ja) * 1999-07-12 2001-01-30 Bridgestone Corp 積層ゴム支承体
JP4740720B2 (ja) * 2005-11-09 2011-08-03 ニッタ株式会社 構造物用弾性支承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5338A (ja) * 2000-02-15 2001-08-21 Sumitomo Rubber Ind Ltd 積層ゴム支承
JP2002021929A (ja) * 2000-06-30 2002-01-23 Tokai Rubber Ind Ltd 鉛入りゴム支承装置
JP2005337002A (ja) * 2004-04-30 2005-12-08 Nitta Ind Corp 構造物用弾性支承体
JP2007023582A (ja) * 2005-07-15 2007-02-01 Nitta Ind Corp 構造物用弾性支承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87101A (zh) 2009-03-18
JP2009079464A (ja) 2009-04-16
TWI542757B (zh) 2016-07-21
TW200930861A (en) 2009-07-16
KR20090026074A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857B1 (ko) 지지 구조
EP2371600B1 (en) Stopper structure of torque rod
JP4740720B2 (ja) 構造物用弾性支承体
JP4094013B2 (ja) 構造物用弾性支承体
TWI565865B (zh) 疊層橡膠體之安裝構造及具有該安裝構造之構造體
KR101050947B1 (ko)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KR101560959B1 (ko) 하단 부재 고정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유체 제어 장치
KR100402870B1 (ko) 조합형 지진격리장치
KR101489897B1 (ko) 전단력이 강화된 교량용 탄성받침
KR101119605B1 (ko)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JP2007332665A (ja) 変位調整機能付き落橋防止装置
DK3000571T3 (en) DEVICE FOR MANUFACTURING CONCRETE FORM
JP4648117B2 (ja) 構造物用弾性支承体
JP2015030993A (ja) 橋梁用一方向可動支承装置
JP2001012545A (ja) 積層ゴム支承体
KR101705765B1 (ko) 교량용 탄성받침 조립체
KR101216177B1 (ko) 교량용 탄성받침 어셈블리 및 그 시공방법
KR200371648Y1 (ko) 교량 지지용 탄성받침
JP4740914B2 (ja) 構造物用弾性支承体
JP655346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壁の振れ止め材保持用縁切り材及びその取付構造
JP2012162869A (ja) 橋梁用薄型支承装置
KR101203729B1 (ko) 강관몸체 강성증대수단을 구비한 충전용 강관
KR200241142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3163925U (ja) 縦型緩衝アンカーピン。
JP2007321334A (ja) 道路橋伸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335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615

Effective date: 201706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