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605B1 -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Google Patents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9605B1 KR101119605B1 KR1020090090017A KR20090090017A KR101119605B1 KR 101119605 B1 KR101119605 B1 KR 101119605B1 KR 1020090090017 A KR1020090090017 A KR 1020090090017A KR 20090090017 A KR20090090017 A KR 20090090017A KR 101119605 B1 KR101119605 B1 KR 1011196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flange
- masonry wall
- horizontal portion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19—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inserted into grooves i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력벽체와 조적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대해 상기 조적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내력벽체와 조적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대해 상기 조적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으로서, 상기 조적벽체를 지지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설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 사이의 절곡 부위의 강성을 보강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플랜지부에 의해 수평부 및 수직부 사이의 절곡 부위의 강성이 더욱 보강될 수 있으므로, 교체구간 주변의 조적벽체가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적벽체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적벽체란 벽돌, 돌, 콘크리트 블록(concrete block) 등(이하, 벽돌로 통칭하기로 함)을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 구조를 말한다.
이러한 조적벽체는 다수개의 벽돌을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조적하면서 각 상호간을 몰탈로 접합하여 시공하게 된다.
그런데, 조적벽체의 경우 온도와 바람의 풍압 등에 의한 기후의 변화에 의해 벽돌이 각각 접합되는 부분에 수축 및 팽창 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시간이 오래되면 수축 및 팽창을 집중적으로 받는 부분에 부분적인 균열이나 탈락 현상이 발생하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벽돌의 일부분이 파손되어 건축물이 손상되기도 한다.
따라서, 균열 등이 발생한 조적벽체의 일부구간을 교체하여 보강할 필요가 있는데, 이에 대해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벽은 외장을 이루는 조적벽체(B')와 그 내부에서 건물을 지탱하는 내력벽체(I')로 이루어진다. 도면은 하자가 자주 발생하는 창문(W') 위쪽의 상인방 부위를 나타낸 것으로, 교체 구간으로 선정된 창문(W') 위쪽 일부의 벽돌을 제거한 상태를 예를 들어 나타냈다.
이와 같이, 교체 구간의 벽돌을 제거한 다음, 상부 조적벽체(BU')의 하단을 보강용 지지 브래킷(101)을 이용하여 받침으로써 교체 구간의 벽돌이 제거되어도 그 상부 조적벽체(BU')가 무너져 내리지 않게 된다.
이 때, 보강용 지지 브래킷(101)은 "ㄱ"자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력벽체(I')에 고정되는 메인 브래킷(110)과, 메인 브래킷(110)과 결합되어 상부 조적벽체(BU')의 하단을 지지하는 보조 브래킷(140)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101)의 메인 브래킷(110)은 프레스 성형 후 벤딩 과정을 거쳐 제작되는데, 절곡 부위의 강성이 취약하여 상부 조적벽체(BU')를 견고히 지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균열이 발생한 조적벽체의 일부구간을 교체하여 보강할 경우 그 주변의 조적벽체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내력벽체와 조적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대해 상기 조적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에 따라, 내력벽체와 조적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대해 상기 조적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으로서, 상기 조적벽체를 지지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설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 사이의 절곡 부위의 강성을 보강하는 플랜지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메인 브래킷의 수평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적벽체와 상기 내력벽체 사이의 간격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메인 브래킷의 수평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브래킷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는 길이 조절공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 브래킷의 저면에는 안내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브래킷의 수평부에는 상기 보조 브래킷이 결합될 때 상기 안내 돌기를 안 내하는 안내 홈이 함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브래킷의 수평부와 상기 보조 브래킷의 각 전방 단부에는 굳은 몰탈이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가 좁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몰탈 채움부가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 사이의 절곡 부위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홈이 함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수평부의 양측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제1 플랜지와, 상기 수직부의 양측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제2 플랜지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의 인접부가 접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의 상기 인접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 것이 좋으며,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의 상기 인접부 사이에 완충 부재를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 사이의 절곡 부위의 양단의 소재가 일부 제거되는 것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랜지부에 의해 수평부 및 수직부 사이의 절곡 부위의 강성이 더욱 보강될 수 있으므로, 교체구간 주변의 조적벽체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건물의 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을 이루는 조적벽체(B)와 그 내부에서 건물을 지탱하는 내력벽체(I)로 이루어진다.
내력벽체(I)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되어 건물을 지탱하게 되고, 조적벽체(B)는 내력벽체(I)의 외측에 돌,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이하, 벽돌로 통칭하기로 함)을 쌓아 올려 건물의 외장을 이룬다.
이 때, 조적벽체(B)는 온도와 바람의 풍압 등에 의한 기후의 변화에 의해 벽돌이 각각 접합되는 부분에 수축 및 팽창 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시간이 오래되면 수축 및 팽창을 집중적으로 받는 부분에 부분적인 균열이나 탈락 현상이 발생하곤 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W) 위쪽의 상인방 부위에서 하자가 자주 발생한다.
이에, 교체 구간으로 선정된 창문(W) 위쪽 일부의 벽돌을 제거한 후 새로운 벽돌로 교체하는 보강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 때 상부 조적벽체(BU)의 하단을 보강용 지지 브래킷(1)을 이용하여 받침으로써 교체 구간의 벽돌이 제거되어도 그 상부 조적벽체(BU)가 무너져 내리지 않게 한다.
보강용 지지 브래킷(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조적벽체(B)를 지지하고 타측이 내력벽체(I)에 고정되는 메인 브래킷(10)과, 메인 브래킷(10)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부 조적벽체(BU)의 하단을 지지하는 보조 브래킷(40)으로 구성된다.
메인 브래킷(10)은 조적벽체(B)를 지지하며 보조 브래킷(40)과 결합되기 위한 수평부(20)와, 수평부(20)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내력벽체(I)에 고정 설치되는 수직부(30)와, 수평부(20) 및 수직부(30)의 양측에 마련되어 수평부(20) 및 수직부(30)의 절곡 부위(M)의 강성을 보강하는 플랜지부(80)로 구성된다.
수평부(20)의 판면에는 보조 브래킷(40)의 길이 조절공(40a, 40b)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20a)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플랜지부(80)를 구성하는 제1 플랜지(21)가 하향 절곡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부(30)의 판면에는 메인 브래킷(10)을 내력벽체(I)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등이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30a)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제1 플랜지(21)를 접촉 지지하도록 플랜지부(80)를 구성하는 제2 플랜지(32)가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플랜지(21)와 제2 플랜지(32)는 서로 접촉 지지됨으로써 절곡 부위(M)의 강도를 보강해주는 역할을 하여, 상부 조적벽체(BU)의 하중(도 4의 F 참조)이 수평부(20)에 가해지는 경우 제1 플랜지(21) 및 제2 플랜지(32)를 따라 흐르게 되어 수평부(20)가 아래 방향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상부 조적벽체(BU)가 견고히 지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 때, 제1 플랜지(21)와 제2 플랜지(32)는 각각 수평부(20) 및 수직부(30)로부터 벤딩 제작하고, 다시 수평부(20) 및 수직부(30)를 절곡(도 3의 M 참조)하여 제1 플랜지(21) 및 제2 플랜지(32)의 인접부가 서로 접촉하도록 하는데, 3~5mm에 이르는 판의 두께를 감안하면 벤딩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벤딩 전에 절곡 부위(M)의 양단(E) 소재를 일부 제거하여야 한다.
제1 플랜지(21)와 제2 플랜지(32)의 인접부 사이에 고무 재질 등으로 구성된 완충 부재를 삽입하여 내진에 효과적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플랜지(21)의 폭(W1)과 제2 플랜지(32)의 폭(W2)은 서로 접촉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크게 제작되어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플랜지(21) 및 제2 플랜지(32)와 더불어 수평부(20) 및 수직부(30) 사이의 절곡 부위(M)에 보강 홈(33, 34)을 함몰 형성하여 절곡 부위(M)의 보강을 재차 보강하는 것이 좋다. 즉, 보강 홈(33, 34)은 수평부(20) 및 수직부(30)의 연결부를 보강하여 수평부(20)와 수직부(30)가 일정한 각도를 유지한 채로 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때, 수평부(20)에 형성된 보강 홈(33)은 보조 브래킷(40)이 수평부(20)에 체결될 때 후술할 안내 돌기(43)가 안내되기 위한 안내 홈의 기능을 하기도 함은 물론이다.
보조 브래킷(40)은 메인 브래킷(10)의 수평부(20)에 결합되어 상부 조적벽체(BU)의 하단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보조 브래킷(40)은 조적벽체(B)와 내력벽체(I) 사이의 간격에 따라 메인 브래킷(10)과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판면에 체결공(20a)에 대응하는 길이 조절공(40a, 40b)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즉, 보조 브래킷(40)의 길이 조절공은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전방 길이 조절공(40a)과 후방 길이 조절공(40b)으로 구성되는데, 조적벽체(B)와 내력벽체(I)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은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브래킷(40)은 사용하지 않고 메인 브래킷(10)만을 사용하면 되고, 조적벽체(B)와 내력벽체(I) 사이 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체결공(20a)에 전방 길이 조절공(40a)을 맞추어 볼트(50)로 서로 체결하면 되며, 조적벽체(B)와 내력벽체(I)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20a)에 후방 길이 조절공(40b)을 맞추어 볼트(50)로 서로 체결하면 된다.
여기서, 체결공(20a) 및 길이 조절공(40a, 40b)은 각각 장공으로 이루어져 조적벽체(B)와 내력벽체(I) 사이의 간격에 따라 길이를 미세하게 조절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브래킷(40)을 점선과 같이 위치시켜 체결공(20a) 및 길이 조절공(40b)에 볼트(50)를 체결할 수도 있고, 보조 브래킷(40)을 실선과 같이 위치시켜 체결공(20a) 및 길이 조절공(40b)에 볼트(50)를 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보조 브래킷(40)을 메인 브래킷(10)의 수평부(20)에 체결할 때 그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보조 브래킷(40)의 저면에는 안내 돌기(43)가 하향 돌출 형성되고, 메인 브래킷(10)의 수평부(20)에는 안내 돌기(43)와 대응하여 안내 돌기(43)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홈(23)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 돌기(43)가 안내 홈(23)을 따라 안내되기 때문에, 길이 조절공(40a, 40b)과 체결공(20a)의 위치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안내 돌기(43)와 상기 안내 홈(23)은 보조 브래킷(40)과 메인 브래킷(10)의 수평부(2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조 브래킷(40)과 수평부(20)의 강성을 각각 보강하는 기능도 한다.
한편, 메인 브래킷(10)의 수평부(20)와 보조 브래킷(40)의 각 전방 단부에는 몰탈 채움부(25, 4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때 몰탈 채움부(25, 45)는 새로운 벽돌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벽돌들 사이에 몰탈을 채울 때 몰탈이 채워지기 위한 공간이다.
여기서, 몰탈 채움부(25, 45)는 통공(25a, 45a)과 통공(25a, 45a)보다 작은 크기의 입구(25b, 45b)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와 같이 입구(25b, 45b)가 좁은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통공(25a, 45a)에서 굳어진 몰탈이 입구(25b, 45b)측으로 빠지지 않게 되므로, 지지 브래킷(1)을 중심으로 상측 및 하측에 몰탈로 연결된 벽돌이 지지 브래킷(1)으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으므로 벽돌 전체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1)에 의하면, 서로 접촉 지지되는 제1 플랜지(21) 및 제2 플랜지(32)에 의해 수평부(20) 및 수직부(30) 사이의 절곡 부위(M)의 강성이 더욱 보강될 수 있으므로, 교체구간 주변의 조적벽체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러한 구조는 기존에 비해 브래킷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는 각각 수평부 및 수직부의 양측에서 절곡 형성되도록 구성되나,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가 일체로 제작되어 수평부 및 수직부의 양측에 일체로 용접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교체 구간의 벽돌을 제거하고 종래의 보강용 지지 브래킷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교체 구간의 벽돌을 제거하고 본 발명에 따른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용 지지 브래킷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메인 브래킷에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응력의 흐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보조 브래킷의 결합 위치에 따라 메인 브래킷과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10 : 메인 브래킷
20 : 수평부 21 : 제1 플랜지
23 : 안내 홈 25, 45 : 몰탈 채움부
30 : 수직부 32 : 제2 플랜지
33 : 보강 홈 40 : 보조 브래킷
43 : 안내 돌기
Claims (10)
- 내력벽체와 조적벽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대해 상기 조적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으로서,상기 조적벽체를 지지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상기 내력벽체에 설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 사이의 절곡 부위의 강성을 보강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메인 브래킷을 포함하며,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수평부의 양측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제1 플랜지와, 상기 수직부의 양측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는 제2 플랜지로 구성되며,상기 제1 플랜지와 상기 제2 플랜지의 인접부가 접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메인 브래킷의 수평부에 결합되어 상기 조적벽체와 상기 내력벽체 사이의 간격에 따라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메인 브래킷의 수평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브래킷에는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는 길이 조절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보조 브래킷의 저면에는 안내 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메인 브래킷의 수평부에는 상기 보조 브래킷이 결합될 때 상기 안내 돌기를 안내하는 안내 홈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메인 브래킷의 수평부와 상기 보조 브래킷의 각 전방 단부에는 굳은 몰탈이 이탈되지 않도록 입구가 좁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몰탈 채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 사이의 절곡 부위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 홈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는 상기 인접부로 갈수록 폭이 커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의 상기 인접부 사이에 완충 부재를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수평부 및 상기 수직부 사이의 절곡 부위의 양단의 소재가 일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0017A KR101119605B1 (ko) | 2009-09-23 | 2009-09-23 |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0017A KR101119605B1 (ko) | 2009-09-23 | 2009-09-23 |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90004483 Division | 2009-04-1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4446A KR20100114446A (ko) | 2010-10-25 |
KR101119605B1 true KR101119605B1 (ko) | 2012-03-06 |
Family
ID=4313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0017A KR101119605B1 (ko) | 2009-09-23 | 2009-09-23 |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960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5504B1 (ko) | 2013-10-15 | 2014-11-26 | 최연수 |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
KR200485666Y1 (ko) * | 2017-07-17 | 2018-03-22 | 강준호 |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6164B1 (ko) * | 2013-02-06 | 2013-06-18 | 주식회사 기산엔지니어링 | 개방형 낙석 방지장치 |
KR101469709B1 (ko) * | 2014-10-15 | 2014-12-08 | (주)유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조적벽 연결장치 |
KR101631862B1 (ko) * | 2016-02-04 | 2016-06-20 | 주식회사 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 공동주택용 조적벽 연결장치 |
KR102152059B1 (ko) * | 2017-11-09 | 2020-09-04 | 최연수 |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0267Y1 (ko) * | 2004-06-02 | 2004-08-26 | 이완섭 | 조적 벽체 보강용 브래킷 |
KR200368180Y1 (ko) | 2004-08-16 | 2004-11-17 | 유상훈 | 석재판넬 시공용 브라켓트 |
KR200438913Y1 (ko) | 2007-04-19 | 2008-03-11 | 주식회사 동국세라믹 | 보강용 브라켓과 내진용 벽돌로 이루어진 내진 벽체 시공용내진용구 |
-
2009
- 2009-09-23 KR KR1020090090017A patent/KR10111960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0267Y1 (ko) * | 2004-06-02 | 2004-08-26 | 이완섭 | 조적 벽체 보강용 브래킷 |
KR200368180Y1 (ko) | 2004-08-16 | 2004-11-17 | 유상훈 | 석재판넬 시공용 브라켓트 |
KR200438913Y1 (ko) | 2007-04-19 | 2008-03-11 | 주식회사 동국세라믹 | 보강용 브라켓과 내진용 벽돌로 이루어진 내진 벽체 시공용내진용구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65504B1 (ko) | 2013-10-15 | 2014-11-26 | 최연수 |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
KR200485666Y1 (ko) * | 2017-07-17 | 2018-03-22 | 강준호 | 조적용 단열재 고정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14446A (ko) | 2010-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9605B1 (ko) |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
KR101119604B1 (ko) | 조적벽체 보강용 앵글 | |
JP4428304B2 (ja) | Rc構造体の塑性ヒンジ部 | |
KR101452940B1 (ko) | 들뜸방지 탈형 데크 플레이트 | |
KR100850862B1 (ko) | 건물의 벽체 패널 설치용 프레임 구조체를 사용한 벽체 패널 설치 장치 | |
KR101558930B1 (ko) |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활용한 모듈유닛 | |
US10822792B2 (en) | Wall structure using blocks and frames with wedge-type coupling part formed there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wall using same | |
KR101683196B1 (ko) | 트러스데크 단부 연속 이음 구조 | |
KR101948812B1 (ko) | Uh형 보강블럭으로 단부가 보강된 압축 보강형 복합보 | |
KR101912308B1 (ko) | 발코니를 일체로 형성하는 건축구조물의 시공구조 | |
KR101458435B1 (ko) |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0385012B1 (ko) | 조립식부품으로된구조물 | |
JP4966825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接合構造 | |
KR101785722B1 (ko) |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 |
KR101785723B1 (ko) |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 |
JP4171403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 | |
KR101836896B1 (ko) |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 |
KR101984211B1 (ko) | 보와 기둥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와이드 합성 구조 | |
KR101959817B1 (ko) | 전단벽체 슬릿 인방 시스템 | |
KR20160043501A (ko) | 집수정 또는 엘리베이터 피트 하부 구조물 | |
KR200354531Y1 (ko) | 강관써포트용 받침판 | |
KR102240355B1 (ko) |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
JP7219381B2 (ja) | 型枠パネル及び型枠 | |
KR102671419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식의 전단 보강 중공슬라브 및 그 제조방법 | |
KR102325485B1 (ko) | 완충 기능을 가지는 간격조절 이음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