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355B1 -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Google Patents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0355B1 KR102240355B1 KR1020190162666A KR20190162666A KR102240355B1 KR 102240355 B1 KR102240355 B1 KR 102240355B1 KR 1020190162666 A KR1020190162666 A KR 1020190162666A KR 20190162666 A KR20190162666 A KR 20190162666A KR 102240355 B1 KR102240355 B1 KR 1022403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middle beam
- vibration damping
- rib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coffered or ribbed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 본체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진동감쇠리브에 의해 바닥 골조 자체로 충격음을 추가 저감할 수 있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 및 기존의 거푸집 시스템을 활용하여 미들빔의 상면 높이를 좌우 슬래브 폼의 상면 높이보다 낮게 위치시킴으로써 진동감쇠리브를 쉽게 형성할 수 있어 충격음 저감 슬래브의 시공이 용이한 거푸집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은 평판 형태의 슬래브 본체 및 상기 슬래브 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열의 제1진동감쇠리브로 구성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미들빔 및 상기 미들빔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미들빔의 양측에 결합되는 슬래브 폼으로 구성되되, 상기 미들빔의 상면은 슬래브 폼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미들빔에 의해 제1진동감쇠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빔은 ㅡ자 단면의 리브성형판, 상기 리브성형판의 양단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 폼의 테두리 프레임이 결합되는 결합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판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장판이 결합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은 평판 형태의 슬래브 본체 및 상기 슬래브 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열의 제1진동감쇠리브로 구성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미들빔 및 상기 미들빔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미들빔의 양측에 결합되는 슬래브 폼으로 구성되되, 상기 미들빔의 상면은 슬래브 폼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미들빔에 의해 제1진동감쇠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빔은 ㅡ자 단면의 리브성형판, 상기 리브성형판의 양단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 폼의 테두리 프레임이 결합되는 결합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판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장판이 결합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슬래브 본체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진동감쇠리브에 의해 바닥 골조 자체로 충격음을 추가 저감할 수 있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 및 기존의 거푸집 시스템을 활용하여 미들빔의 상면 높이를 좌우 슬래브 폼의 상면 높이보다 낮게 위치시킴으로써 진동감쇠리브를 쉽게 형성할 수 있어 충격음 저감 슬래브의 시공이 용이한 거푸집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주거용 건물로서 공동주택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세대 간 층간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 분쟁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층간소음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 건설에 사용되는 주재료인 콘크리트는 무겁고 밀실한 재료의 특성상 말소리나 TV 소리 등과 같이 공기를 매체로 전달되는 소음인 공기전달음에 대해 동일한 두께의 다른 재료보다 차단성이 양호하다.
반면, 콘크리트 부재 면에 직접 가진되어 발생하는 충격음인 고체전달음은 인접 세대에 쉽게 전달된다.
이에 따라 바닥 충격음을 차단하기 위한 규제의 일환으로 바닥 두께를 벽식 구조나 무량판 구조의 경우 210㎜ 이상, 라멘 구조의 경우 150㎜ 이상으로 제한하고 있다. 또한, 충격음을 흡수하기 위해 바닥 구조체 위에 설치되는 완충재의 성능을 경량충격음에 대해 58dB, 중량충격음에 대해 50dB 이하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슬래브의 두께가 충격음, 특히 중량충격음과 큰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바닥 두께 210㎜까지는 두께가 증가할수록 충격음 차단 성능이 향상되나 바닥 두께 210㎜ 초과시에는 바닥 두께를 증가시킨다 하더라도 충격음 차단 성능의 향상 효과가 제한적이다.
또한, 경량충격음에 대해 58dB, 중량충격음에 대해 50dB 이하의 성능 인증 기준을 만족한다 하더라도 거주자 성향에 따라 충격음에 의한 불편을 느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 골조 자체에서 추가로 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를 쉽게 시공할 수 있는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평판 형태의 슬래브 본체 및 상기 슬래브 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열의 제1진동감쇠리브로 구성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미들빔 및 상기 미들빔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미들빔의 양측에 결합되는 슬래브 폼으로 구성되되, 상기 미들빔의 상면은 슬래브 폼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미들빔에 의해 제1진동감쇠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빔은 ㅡ자 단면의 리브성형판, 상기 리브성형판의 양단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 폼의 테두리 프레임이 결합되는 결합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 프레임의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판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장판이 결합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결합판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하부지지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평판 형태의 슬래브 본체 및 상기 슬래브 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열의 제1진동감쇠리브로 구성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미들빔 및 상기 미들빔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미들빔의 양측에 결합되는 슬래브 폼으로 구성되되, 상기 미들빔의 상면은 슬래브 폼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미들빔에 의해 제1진동감쇠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빔은 슬래브 폼의 테두리 프레임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는 리브성형판, 상기 리브성형판의 단부에서 하부로 수직 절곡되는 결합판으로 구성되어 이웃하는 슬래브 폼의 테두리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 미들빔의 결합판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슬래브 본체의 하부에 제1진동감쇠리브와 직교하는 방향의 제2진동감쇠리브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슬래브 폼에는 미들빔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열의 제1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슬래브 본체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진동감쇠리브에 의해 슬래브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충격 발생시 판형 슬래브 대비 주파수 대역을 고주파 대역으로 이동시켜 소음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슬래브 구조체 자체로 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다.
둘째, 기존의 거푸집 시스템을 활용하여 미들빔의 상면 높이를 좌우 슬래브 폼의 상면 높이보다 낮게 위치시킴으로써, 슬래브 폼 상부에 별도로 합성수지 블록을 설치하지 않고도 슬래브 본체 하부에 진동감쇠리브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음 저감 슬래브를 쉽게 시공할 수 있는 거푸집 시스템을 제공 가능하다.
도 1은 제1진동감쇠리브가 형성된 충격음 저감 슬래브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2는 슬래브 형식에 따른 주파수 대역 및 진폭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제1, 2진동감쇠리브가 구비된 충격음 저감 슬래브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4는 제1, 2진동감쇠리브가 구비된 충격음 저감 슬래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5는 거푸집 시스템을 구성하는 미들빔과 슬래브 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미들빔과 슬래브 폼에 의한 슬래브 시공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프롭헤드가 구비된 거푸집 시스템을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8은 미들빔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미들빔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미들빔과 슬래브 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11은 미들빔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미들빔과 슬래브 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13은 슬래브 폼의 테두리 프레임이 곡선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14는 미들빔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미들빔과 슬래브 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16은 제1홈부가 형성된 슬래브 폼과 미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거푸집 시스템에 의해 제1, 2진동감쇠리브가 형성된 슬래브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제1, 2홈부가 형성됨 슬래브 폼과 미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제1진동감쇠리브 형성을 위한 슬래브 폼과 미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거푸집 시스템에 의해 제1진동감쇠리브가 형성된 슬래브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슬래브 형식에 따른 주파수 대역 및 진폭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제1, 2진동감쇠리브가 구비된 충격음 저감 슬래브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4는 제1, 2진동감쇠리브가 구비된 충격음 저감 슬래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5는 거푸집 시스템을 구성하는 미들빔과 슬래브 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미들빔과 슬래브 폼에 의한 슬래브 시공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프롭헤드가 구비된 거푸집 시스템을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8은 미들빔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미들빔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미들빔과 슬래브 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11은 미들빔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미들빔과 슬래브 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13은 슬래브 폼의 테두리 프레임이 곡선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14는 미들빔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미들빔과 슬래브 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
도 16은 제1홈부가 형성된 슬래브 폼과 미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거푸집 시스템에 의해 제1, 2진동감쇠리브가 형성된 슬래브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제1, 2홈부가 형성됨 슬래브 폼과 미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제1진동감쇠리브 형성을 위한 슬래브 폼과 미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거푸집 시스템에 의해 제1진동감쇠리브가 형성된 슬래브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진동감쇠리브가 형성된 충격음 저감 슬래브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슬래브 형식에 따른 주파수 대역 및 진폭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음 저감 슬래브는 평판 형태의 슬래브 본체(11); 및 상기 슬래브 본체(11)의 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열의 제1진동감쇠리브(1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슬래브는 두께가 일정한 평판 형태로 구성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두께가 일정한 평판 형태의 슬래브 본체(11) 하부에 복수 열로 제1진동감쇠리브(1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진동감쇠리브(12)에 의해 질량체인 슬래브의 두께가 변화되어 진동주기의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슬래브 상면에 충격이 가해질 때 슬래브의 판 진동을 교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주파수는 아래 식과 같이 질량이 동일할 경우 강성이 클수록 커진다.
상기 제1진동감쇠리브(12)의 돌출 형성에 의해 슬래브의 강성이 증가하므로 정적인 처짐이 감소하게 되고, 진폭(속도, 가속도 응답)의 저감이 수반되며, 일반 판형 슬래브 대비 충격 발생시 주파수 대역이 고주파 대역으로 이동한다(도 2).
이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가속도의 크기는 작아지고, 소음이 감소한다.
또한,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량충격음을 평가하는 주파수 대역인 25~500Hz 대역이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진폭량의 적분 값이 작아져 소음이 감소된다.
따라서 슬래브 구조체 자체로 충격음을 저감할 수 있다.
아래 [표 1]은 뱅머신 하중속도 응답 검토를 통한 바닥충격음의 역A값 예측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아래 결과값은 리브의 폭을 150㎜로 고정하였을 경우에 대한 것이다.
평판형 | 리브형 | ||||||
일방향 | 이방향 | ||||||
구분 | T210 | T240 | R1_30 | R1_50 | R1_70 | R1_100 | R2_30 |
슬래브 두께 (㎜) |
210 | 240 | 210 | ||||
리브 높이 (㎜) |
- | - | 30 | 50 | 70 | 100 | 30 |
리브 폭 (㎜) |
- | - | 150 | ||||
리브 간격 (㎜) |
- | - | 1200 |
600×1200 | |||
역A값 (dB) |
50 | 49 | 49 | 49 | 48 | 48 | 46 |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두께 210㎜인 평판 슬래브는 충격음이 50dB로 예측되었고, 전체 슬래브의 두께를 30㎜ 증가시킨 경우 충격음이 49dB로 예측되었다. 즉, 콘크리트 물량 증가 대비 두께 증가로 인한 충격음 저감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일방향으로 높이 30㎜, 폭 150㎜, 간격 1200㎜로 제1진동감쇠리브(12)가 형성된 경우, 충격음이 49dB로 예측되어 슬래브 두께 전체를 증가시킨 경우와 동등한 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일한 형상의 제1진동감쇠리브(12)를 600㎜ 간격으로 배치한 경우, 충격음이 48dB로 예측되어 전체 두께를 30㎜ 증가시킨 경우보다 충격음 저감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진동감쇠리브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바닥충격음 저감 효과가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감쇠리브(12)는 높이를 20㎜ 이상 70㎜ 이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진동감쇠리브(12)의 높이가 20㎜ 미만시, 판 진동교란 효과가 미흡하여 유의미한 충격음 저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상기 제1진동감쇠리브(12)의 높이가 70㎜ 초과시, 충격음 저감 효과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다(표 1 참조).
상기 제1진동감쇠리브(12)는 슬래브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판 진동교란 효과를 보다 크게 하기 위해 불연속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제1, 2진동감쇠리브가 구비된 충격음 저감 슬래브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제1, 2진동감쇠리브가 구비된 충격음 저감 슬래브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래브 본체(11)의 하부에는 제1진동감쇠리브(1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진동감쇠리브(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충격음 저감 효과를 보다 증가시키기 위해 제1진동감쇠리브(1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진동감쇠리브(13)를 구비하여 이방향으로 진동감쇠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앞서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방향으로 진동감쇠리브를 형성한 경우(R2_30)에는 46dB로 충격음이 대폭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제2진동감쇠리브(13)는 제1진동감쇠리브(12)에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진동감쇠리브(13)는 도 4와 같이 제1진동감쇠리브(12)와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진동감쇠리브(12)와 제2진동감쇠리브(13)는 폭 또는 두께를 서로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표 2]는 이향 리브 슬래브에서 진동감쇠리브의 폭에 따른 역A값 예측 결과를 나타낸다.
구분 | R2_70×30 | R2_100×30 | R2_150×30 | R2_180×30 |
슬래브 두께 (㎜) |
210 | 210 | 210 | 210 |
리브 높이 (㎜) |
30 | 30 | 30 | 30 |
리브 폭 (㎜) |
70 | 100 | 150 | 180 |
리브 간격 (㎜) |
600×1200 |
|||
역A값 (dB) |
48 | 47 | 46 | 46 |
상기 진동감쇠리브(12, 13)의 내부에는 주근이 배근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진동감쇠리브(12, 13)는 구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판 진동 교란만을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진동감쇠리브(12, 13)의 내부에는 하중으로 인한 응력을 지지하기 위한 철근인 주근이 배근될 필요가 없다.
다만, 슬래브 경간에 따라 진동감쇠리브(12, 13)의 두께가 두꺼워져 피복 허용선을 초과하는 경우, 온도 철근은 배근 가능하다.
도 5는 거푸집 시스템을 구성하는 미들빔과 슬래브 폼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미들빔과 슬래브 폼에 의한 슬래브 시공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프롭헤드가 구비된 거푸집 시스템을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은 상기 충격음 저감 슬래브(1)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미들빔(21) 및 상기 미들빔(2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미들빔(21)의 양측에 결합되는 슬래브 폼(22)으로 구성되되, 상기 미들빔(21)의 상면은 슬래브 폼(22)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미들빔(21)에 의해 제1진동감쇠리브(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 거푸집의 대형화와 경량화를 위해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과 고성능 합판을 조합한 알루미늄 폼의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폼은 경량으로 대형화에 적합하고, 장선과 멍에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거푸집 공기 단축에 도움이 된다. 아울러 시공 오차가 적고 내구성이 우수하여 콘크리트 품질을 향상할 수 있으며, 동바리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 작업공간 확보에 유리하다.
상기 알루미늄 폼을 거푸집으로 이용시, 서포트(24)에 의해 지지되는 프롭헤드(23, prop head)의 전후에 미들빔(21, middle beam)을 조인트바(joint bar, 미도시)로 연결하고, 미들빔(21)의 양측에 슬래브 폼(22)을 설치하여 슬래브 폼(22)의 하중을 미들빔(21)을 통해 서포트(24)로 전달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러한 알루미늄 폼 구조를 활용하면, 평판인 슬래브 본체(11)의 하부에 진동감쇠리브(12, 13)를 쉽게 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들빔(21)의 높이를 낮추어 미들빔(21)의 상면이 좌우의 슬래브 폼(22) 상면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미들빔(21)의 상부에 제1진동감쇠리브(1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진동감쇠리브(12, 13) 형성을 위해 슬래브 폼(22) 상부에 EPS, PP, PET 등 합성수지 블록을 설치할 필요 없이 거푸집 시스템만으로 제작 가능하다.
상기 슬래브 폼(22)은 슬래브 하면을 형성하는 패널부(221)와 상기 패널부(221)의 후면에 구비되어 패널부(221)를 지지하는 테두리 프레임(22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미들빔(21)은 하부를 직접 서포트(24)로 지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미들빔(21)과 슬래브 폼(22)의 조기 탈형을 위해 상기 미들빔(21)은 길이 방향으로 분할하여 형성하되, 분할된 미들빔(21) 사이에 서포트(24)에 의해 지지되는 프롭헤드(23)를 구비할 수도 있다(도 7).
상기 프롭헤드(23)는 미들빔(21)과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하여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을 프롭헤드(23)의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프롭헤드(23) 역시 슬래브 폼(22)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시켜 프롭헤드(23)의 위치에도 제1진동감쇠리브(12)를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강도가 설계기준강도의 2/3 이상(단, 14MPa 이상)이 되면, 슬래브 폼(22)과 미들빔(21)을 해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프롭헤드(23)와 서포트(24)는 설계강도의 100% 도달시까지 존치한다.
도 8은 미들빔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빔(21)은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홈(210)이 양측 상부에 형성된 ㅡ자 단면의 리브성형판(211)으로 구성 가능하다.
즉, 상기 미들빔(21)을 ㅡ자 단면의 평판인 리브성형판(211)만으로 형성하고, 미들빔(21)의 좌우 상부에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이 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리브성형판(211)의 양측 상부에는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이 삽입되어 걸리는 삽입홈(210)이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리브성형판(211)은 양단부 단면을 두껍게 형성하여 삽입홈(210)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리브성형판(211)의 양단부 두께 증가에 따라 미들빔(21)의 강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미들빔(21)의 상부에 거치되는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테두리 프레임(222)은 도 8과 같이 경사면이 되도록 형성하여 제1진동감쇠리브(12)의 단면 형상이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미들빔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미들빔과 슬래브 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빔(21)은 상부가 개방된 U자 단면의 리브성형판(211), 상기 리브성형판(211)의 양측 상단에서 외측 수평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연결판(212) 및 상기 연결판(212)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이 결합되는 결합판(213)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미들빔(21)은 U 형상의 리브성형판(211), 연결판(212) 및 결합판(213)으로 구성 가능하다.
이는 상기 미들빔(21) 자체에 의해 제1진동감쇠리브(12)를 형성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상기 리브성형판(211)은 제1진동감쇠리브(12)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가 개방된 U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성형판(211)의 양측판은 하부판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나, 미들빔(21)의 탈형이 용이하도록 도 9와 같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은 미들빔(21)의 측면에 볼트나 체결핀 등의 체결 부재(25)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테두리 프레임(222)이 결합되는 결합판(213)을 리브성형판(211)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하고, 리브성형판(211)과 결합판(213)을 연결판(212)으로 상호 연결한다.
도 11은 미들빔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미들빔과 슬래브 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며, 도 13은 슬래브 폼의 테두리 프레임이 곡선인 실시예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빔(21)은 ㅡ자 단면의 리브성형판(211), 상기 리브성형판(211)의 양단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이 결합되는 결합판(213)으로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 프레임(222)의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판(223)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장판(223)이 결합판(213)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미들빔(21)은 ㅡ자 형상의 리브성형판(211) 및 결합판(213)으로 구성 가능하다.
이는 리브성형판(211)의 하부에서 테두리 프레임(222)이 결합되도록 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상기 테두리 프레임(222)이 리브성형판(211)의 하부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리브성형판(211)은 양측을 하부로 절곡하여 결합판(21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리브성형판(211)의 상면이 슬래브 폼(22)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 하단을 하부로 연장하여 형성한 연장판(223)을 결합판(213)과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슬래브 폼(22)의 연장판(223)은 미들빔(21)의 결합판(213) 외측에 밀착하여 체결 부재(25)에 의해 상호 고정 가능하다.
한편, 상기 미들빔(21)을 구성하는 리브성형판(211)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연장판(223)을 테두리 프레임(222)의 외측으로 돌출된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ㄱ자 형상인 연장판(223)의 수평부 상면이 리브성형판(211)의 상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제1진동감쇠리브(12)의 하면 폭이 확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은 직선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도 1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빔(21)의 결합판(213)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하부지지판(21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들빔(21) 설치 후 미들빔(21)의 양측에 슬래브 폼(22) 설치시,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이나 연장판(223)이 거치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판(213)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하부지지판(214)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슬래브 폼(22) 시공이 더욱 수월하다.
또한, 미들빔(21)의 단면 증가에 따라 휨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4는 미들빔의 제4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미들빔과 슬래브 폼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빔(21)은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는 리브성형판(211), 상기 리브성형판(211)의 단부에서 하부로 수직 절곡되는 결합판(213)으로 구성되어 이웃하는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에 일체로 형성된 미들빔(21)의 결합판(213)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미들빔(21)이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과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이 경우, 제1진동감쇠리브(12) 형성을 위하여 미들빔(21)을 좌우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양측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과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미들빔(21)의 결합판(213)을 상호 맞댄 상태에서 고정하여 미들빔(21)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미들빔(21)의 결합판(213)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하부지지판(21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판(214)에 의하여 미들빔(21)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거푸집 시스템을 쉽게 서포트(24)에 지지시킬 수 있다.
도 16은 제1홈부가 형성된 슬래브 폼과 미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거푸집 시스템에 의해 제1, 2진동감쇠리브가 형성된 슬래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8은 제1, 2홈부가 형성됨 슬래브 폼과 미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래브 본체(11)의 하부에 제1진동감쇠리브(12)와 직교하는 방향의 제2진동감쇠리브(1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슬래브 폼(22)에는 미들빔(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열의 제1홈부(224)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진동감쇠리브(12)와 직교하는 제2진동감쇠리브(13) 형성을 위해 슬래브 폼(22)에 제1홈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진동감쇠리브(12)는 미들빔(21)에 의해 형성되고, 제2진동감쇠리브(13)는 슬래브 폼(22)에 의해 형성 가능하다.
상기 제2진동감쇠리브(13)는 제1진동감쇠리브(12)와 연결될 수도 있고,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평판형의 슬래브 폼(22)을 프레스 가공하여 돌출시킴으로써 사이에 제1홈부(224)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평판 상부에 별도의 박스형 캡을 결합하여 사이에 제1홈부(224)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제1진동감쇠리브(12) 사이에 제1진동감쇠리브(12)와 평행인 제3진동감쇠리브(미도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슬래브 폼(22)의 상부에는 제1홈부(224)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홈부(22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9는 제1진동감쇠리브 형성을 위한 슬래브 폼과 미들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거푸집 시스템에 의해 제1진동감쇠리브가 형성된 슬래브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은 상기 충격음 저감 슬래브(1)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미들빔(21) 및 상기 미들빔(2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미들빔(21)의 양측에 결합되는 슬래브 폼(22)으로 구성되되, 상기 슬래브 폼(22)에는 슬래브 본체(11)의 하부에 제1진동감쇠리브(12)가 형성될 수 있도록 미들빔(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열의 제1홈부(2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미들빔(21)이 아닌 슬래브 폼(22)에 의해 제1진동감쇠리브(12)가 형성되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슬래브 폼(22)의 패널부(221) 상면이 미들빔(21)의 상면과 일치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슬래브 폼(22)은 별도의 테두리 프레임(222) 없이 패널부(221)가 직접 미들빔(21)의 하부지지판(214)에 거치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1: 충격음 저감 슬래브
11: 슬래브 본체
12: 제1진동감쇠리브
13: 제2진동감쇠리브
21: 미들빔
210: 삽입홈
211: 리브성형판
212: 연결판
213: 결합판
214: 하부지지판
22: 슬래브 폼
221: 패널부
222: 테두리 프레임
223: 연장판
224: 제1홈부
225: 제2홈부
23: 프롭헤드
24: 서포트
25: 체결 부재
11: 슬래브 본체
12: 제1진동감쇠리브
13: 제2진동감쇠리브
21: 미들빔
210: 삽입홈
211: 리브성형판
212: 연결판
213: 결합판
214: 하부지지판
22: 슬래브 폼
221: 패널부
222: 테두리 프레임
223: 연장판
224: 제1홈부
225: 제2홈부
23: 프롭헤드
24: 서포트
25: 체결 부재
Claims (11)
- 평판 형태의 슬래브 본체(11) 및 상기 슬래브 본체(11)의 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열의 제1진동감쇠리브(12)로 구성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1)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미들빔(21) 및 상기 미들빔(2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미들빔(21)의 양측에 결합되는 슬래브 폼(22)으로 구성되되,
상기 미들빔(21)의 상면은 슬래브 폼(22)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미들빔(21)에 의해 제1진동감쇠리브(12)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빔(21)은 ㅡ자 단면의 리브성형판(211), 상기 리브성형판(211)의 양단에서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이 결합되는 결합판(213)으로 구성되고, 상기 테두리 프레임(222)의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판(223)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연장판(223)이 결합판(21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결합판(213)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하부지지판(21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평판 형태의 슬래브 본체(11) 및 상기 슬래브 본체(11)의 하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열의 제1진동감쇠리브(12)로 구성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1)를 시공하기 위해 복수의 열로 구비되는 미들빔(21) 및 상기 미들빔(2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부가 상기 미들빔(21)의 양측에 결합되는 슬래브 폼(22)으로 구성되되,
상기 미들빔(21)의 상면은 슬래브 폼(22)의 상면보다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미들빔(21)에 의해 제1진동감쇠리브(12)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빔(21)은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는 리브성형판(211), 상기 리브성형판(211)의 단부에서 하부로 수직 절곡되는 결합판(213)으로 구성되어 이웃하는 슬래브 폼(22)의 테두리 프레임(222)에 일체로 형성된 미들빔(21)의 결합판(213)이 서로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9항에서,
상기 슬래브 본체(11)의 하부에 제1진동감쇠리브(12)와 직교하는 방향의 제2진동감쇠리브(1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슬래브 폼(22)에는 미들빔(2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열의 제1홈부(22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2666A KR102240355B1 (ko) | 2019-12-09 | 2019-12-09 |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2666A KR102240355B1 (ko) | 2019-12-09 | 2019-12-09 |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0355B1 true KR102240355B1 (ko) | 2021-04-13 |
Family
ID=7548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2666A KR102240355B1 (ko) | 2019-12-09 | 2019-12-09 |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0355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9630Y1 (ko) | 2005-07-29 | 2005-10-27 | 강연도 | 중공 슬래브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 방음구조 |
KR200429297Y1 (ko) | 2006-07-31 | 2006-10-19 | 주식회사 세이빈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
KR20070075600A (ko) * | 2006-01-13 | 2007-07-24 | (주)태양건설 | 슬라브보 시공용 거푸집 설치부재 |
KR101046318B1 (ko) * | 2009-05-28 | 2011-07-05 |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 조립식 데크플레이트 |
JP2012132165A (ja) * | 2010-12-20 | 2012-07-12 | Taisei Corp | 床構造 |
KR101222206B1 (ko) * | 2010-09-15 | 2013-01-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2019
- 2019-12-09 KR KR1020190162666A patent/KR102240355B1/ko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9630Y1 (ko) | 2005-07-29 | 2005-10-27 | 강연도 | 중공 슬래브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 방음구조 |
KR20070075600A (ko) * | 2006-01-13 | 2007-07-24 | (주)태양건설 | 슬라브보 시공용 거푸집 설치부재 |
KR200429297Y1 (ko) | 2006-07-31 | 2006-10-19 | 주식회사 세이빈엔지니어링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차음구조 |
KR101046318B1 (ko) * | 2009-05-28 | 2011-07-05 | (주)한미글로벌건축사사무소 | 조립식 데크플레이트 |
KR101222206B1 (ko) * | 2010-09-15 | 2013-01-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JP2012132165A (ja) * | 2010-12-20 | 2012-07-12 | Taisei Corp | 床構造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90757B1 (ko) | 이중바닥구조용 지지완충부재, 이를 이용한 충격음 저감을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19605B1 (ko) | 조적벽체 보강용 지지 브래킷 | |
KR100936592B1 (ko) | 고층 건축물의 수직부재의 축소량을 보정하는 방법 | |
KR102240355B1 (ko) |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 |
KR101055360B1 (ko) | 소음저감용 돌기부재 및 이를 이용한 소음저감 구조물 | |
KR100629249B1 (ko) | 공동주택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 |
KR102400023B1 (ko) | 열교 저감을 위한 건식벽체 스터드 구조 | |
KR101440556B1 (ko) |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판 구조체 | |
KR0154107B1 (ko) | 건축물의 마루구조 | |
KR100515931B1 (ko) | 건축물 벽체의 방음방진구조 | |
JP2008127942A (ja) | 建築物における床支持構造 | |
JP7269702B2 (ja) | 床構造 | |
KR100678070B1 (ko) | 건축물에 있어서의 바닥 지지 구조 | |
JP5277335B2 (ja) | 建築物における床支持構造 | |
CN216552609U (zh) | 一种装配式预制混凝土叠合板 | |
KR102311231B1 (ko) |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콘크리트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 |
CN109736429A (zh) | 一种建筑抗震防倒塌结构 | |
KR102380359B1 (ko) |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시스템 | |
JP7424453B2 (ja) | 床構造 | |
KR102380357B1 (ko) | 진동제어 앙카볼트를 구비한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이중바닥구조시스템 | |
KR102673840B1 (ko) | 경량 모듈러 유닛 | |
JP7045306B2 (ja) | 建築物 | |
KR102530366B1 (ko) |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벽체 시공방법 | |
JP3923304B2 (ja) | 建築物における床支持構造 | |
KR101136851B1 (ko) | 휨 방지용 스터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