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6851B1 - 휨 방지용 스터드 - Google Patents

휨 방지용 스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6851B1
KR101136851B1 KR1020100014203A KR20100014203A KR101136851B1 KR 101136851 B1 KR101136851 B1 KR 101136851B1 KR 1020100014203 A KR1020100014203 A KR 1020100014203A KR 20100014203 A KR20100014203 A KR 20100014203A KR 101136851 B1 KR101136851 B1 KR 101136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ending
stud
inner panel
ou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653A (ko
Inventor
장철용
홍성희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14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68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685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휨 방지용 스터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강 브래킷을 이용해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판과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이 체결되는 양쪽 측면판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보강하도록 함으로써 보강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보강 브래킷을 이루는 몸체 절곡판과 측면 절곡판을 각각 몸체판과 측면판으로부터 절곡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보강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몸체판과 측면판이 서로 지지되며 보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휨 방지용 스터드{STUD FOR PROTECTING A BUCKING}
본 발명은 스터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건식조립벽체를 이루는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휨 강성이 보강된 휨 방지용 스터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건식조립벽체는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건물의 천정과 바닥면에 트랙 기능을 수행하도록 시공되는 상부 러너와 하부 러너와, 이들 사이에서 트랙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되는 스터드와, 단열재를 사이에 두고 스터드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마감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 건식조립벽체 지지용 스터드는 주로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며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 사이에 직교하도록 설치되는 몸체판과,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을 체결할 수 있도록 측면판이 몸체판의 양측 단부에서 수직하게 절곡 형성되어 횡단면 형상이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종래 건식조립벽체 지지용 스터드는 일측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양쪽 측면판의 개방측 단부가 몸체판으로부터 멀어 질수록 지지 강도가 저하되어 이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한 측면판의 개방측 단부의 변형은 스터드의 좌굴 속도를 증가시켜 스터드 전체의 지지 강도를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터드의 몸체판과 측면판사이를 서로 연결하며 구속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휨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휨 방지용 스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휨 방지용 스터드는, 상측 러너와 하측 러너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되며,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을 지지 고정하는 건식조립벽체 지지용 스터드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는 수평 단면상 상기 내측 패널과 상기 외측 패널 사이에서, 상기 내측 패널 및 상기 외측 패널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몸체판; 상기 몸체판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상기 내측 패널과 상기 외측 패널과 나란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내측 패널과 상기 외측 패널이 각각 체결 고정되는 측면판; 및 상기 몸체판과 상기 측면판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상기 몸체판과 상기 측면판 연결하여 서로 보강되도록 하는 보강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브래킷은 상기 몸체판으로부터 수평면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는 몸체 절곡판; 및 상기 측면판으로부터 수직면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기 몸체 절곡판의 측부가 끼워져 고정되게 제1 고정홈이 형성되는 측면 절곡판;을 포함하는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 절곡판의 상기 제2 방향 폭은 상기 측면판의 폭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판은 개방측 단부에서 각각 상기 몸체판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절곡 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 단부에는 상기 몸체 절곡판의 측단부가 끼워 고정되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판 및 상기 측면판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 열의 단열 슬롯들이 서로 이격되며 관통되게 형성되고,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두 열의 상기 단열 슬롯들이 높이 차이를 가지며 서로 교번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휨 방지용 스터드에 따르면, 보강 브래킷을 이용해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판과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이 체결되는 양쪽 측면판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보강하도록 함으로써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휨 방지용 스터드에 따르면, 보강 브래킷을 이루는 몸체 절곡판과 측면 절곡판을 각각 몸체판과 측면판으로부터 절곡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보강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몸체판과 측면판이 서로 연결되며 지지 보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휨 방지용 스터드에 따르면, 측면판의 개방측 단부에서 몸체판을 향해 절곡 형성되게 절곡 단부를 형성하고, 이 절곡 단부에 몸체 절곡판이 끼워져 고정되게 제2 고정홈이 형성하여 측면판의 개방측 단부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휨 방지용 스터드에 따르면, 스터드의 몸체판 및 측면판의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열의 단열 슬롯들이 서로 이격되며 관통되게 형성함과 아울러 서로 인접하는 두 열의 단열 슬롯들이 높이 차이를 가지며 서로 교번되게 형성하여,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을 연결하는 스터드를 통해 열이 출입하는 경로는 연장시켜 스터드를 통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건식조립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휨 방지용 스터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잘라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휨 방지용 스터드를 도시한 사사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휨 방지용 스터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식조립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휨 방지용 스터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잘라서 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휨 방지용 스터드(100; 이하 "스터드"라 함)는 상측 러너(10)와 하측 러너(20)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되어, 내측 패널(30)과 외측 패널(40)을 지지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열재(50)는 내측 패널(30)과 외측 패널(40)를 사이에 두고, 스터드(100)들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터드(100)는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해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몸체판(110), 측면판(120, 130), 및 보강 브래킷(140)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몸체판(110)은 단면상 내측 패널(30)과 외측 패널(40) 사이에서 내측 패널(30) 및 외측 패널(40)에 직교하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측면판(120, 130)은 몸체판(110)의 제1 방향 양측 단부에서 각각 내측 패널(30)과 외측 패널(40)과 나란하도록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 패널(30)과 외측 패널(40)은 각각 몸체판(110)의 길이 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양측의 측면판(120, 130)에 각각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보강 브래킷(140)은 상기한 몸체판(110)과 양쪽 측면판(120, 130)으로부터 각각 절곡 형성되어, 몸체판(110)과 양쪽 측면판(120, 130)을 연결하며 서로를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보강 브래킷(140)을 이용해 내측 패널(30)과 외측 패널(40)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판(110)과, 내측 패널(30) 및 외측 패널(40)이 체결되는 양쪽 측면판(120, 130) 사이를 연결하며 서로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 브래킷(140)은 몸체 절곡판(141)과, 몸체 절곡판(141)이 끼워져 고정되는 측면 절곡판(1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 절곡판(141)은 몸체판(110)으로부터 3면이 재단된 상태로 사각 수평면을 갖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 절곡판(141)의 제2 방향 폭(Y축 방향)의 폭은 몸체 절곡판(141)의 절곡 과정에서 측면판(120, 13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측면판(120, 130)의 폭과 같거나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 절곡판(142)은 측면판(120, 130)으로부터 3면이 재단된 상태로 사각 수직면을 갖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한 몸체 절곡판(141)의 양측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1 고정홈(143)이 형성된다.
따라서, 보강 브래킷(140)을 이루는 몸체 절곡판(141)과 측면 절곡판(142)을 각각 몸체판(110)과 측면판(120, 130)으로부터 절곡 형성함으로써, 추가적인 보강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몸체판(110)과 측면판(120, 130)이 서로 연결되어 지지 보강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휨 방지용 스터드를 도시한 사사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평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에의 휨 방지용 스터드(200)는,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측면판(120, 130)은 개방측 단부에서 각각 몸체판을 향하도록 "ㄷ"자 형상으로 한번 더 절곡 형성되는 절곡 단부(220, 23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절곡 단부(220, 230)에는 상기한 보강 브래킷(140)의 몸체 절곡판(141)의 양측 단부 즉, 양측 모서리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제2 고정홈(221, 231)이 향성된다.
이처럼, 측면판(120, 130)의 개방측 단부에서 절곡 단부(220, 230)를 형성하고, 이 절곡 단부(220, 230)에 형성된 제2 고정홈에 몸체 절곡판(141)의 양측 모서리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측면판(120, 130)의 개방측 단부가 보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다른 휨 방지용 스터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휨 방지용 스터드(300)는, 상기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몸체판(110)에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열의 단열 슬롯(310)들이 서로 이격되며 관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두 열의 단열 슬롯(310)들이 높이 차이를 가지며 서로 교번되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처럼, 서로 인접하는 두 열을 이루는 단열 슬롯(310)들이 서로 높이 차이를 가지며 서로 교번되게 형성됨에 따라, 내측 패널(30)과 외측 패널(40)을 연결하는 스터드(300)의 몸체판(110)을 통해 출입하는 열의 전달 경로를 연장시켜 스터드(300)를 통해 발생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 슬롯(310)들은 몸체판(110) 뿐만 아니라 측면판(120, 130)에도 역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면판(120, 130)에 형성되는 단열 슬롯(310)들은 내측 패널(30) 및 외측 패널(40)과의 접촉 면적을 줄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건식조립벽체 10: 상부 러너
20: 하부 러너 30: 내부 패널
40: 외부 패널 50: 단열재
100, 200, 300: 스터드 110: 몸체판
120, 130: 측면판 140: 보강 브래킷
141: 몸체 절곡판 142: 측면 절곡판
143: 제1 고정홈 220, 230: 절곡 단부
221, 231: 제2 고정홈 310: 단열 슬롯

Claims (5)

  1. 상측 러너와 하측 러너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설치되어,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을 지지 고정하는 건식조립벽체 지지용 스터드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는
    수평 단면상,
    상기 내측 패널과 상기 외측 패널 사이에서, 상기 내측 패널 및 상기 외측 패널에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몸체판;
    상기 몸체판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상기 내측 패널과 상기 외측 패널과 나란하도록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내측 패널과 상기 외측 패널이 각각 체결 고정되는 측면판; 및
    상기 몸체판과 상기 측면판으로부터 절곡 형성되며, 상기 몸체판과 상기 측면판 연결하여 서로 보강되도록 하는 보강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 브래킷은,
    상기 몸체판으로부터 수평면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는 몸체 절곡판; 및
    상기 측면판으로부터 수직면을 이루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기 몸체 절곡판의 측부가 끼워져 고정되게 제1 고정홈이 형성되는 측면 절곡판;을 포함하는 휨 방지용 스터드.
  2. 제1항에서,
    상기 몸체 절곡판의 상기 제2 방향 폭은 상기 측면판의 폭 이하로 형성되는 휨 방지용 스터드.
  3. 제2항에서,
    상기 측면판은 개방측 단부에서 각각 상기 몸체판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절곡 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곡 단부에는 상기 몸체 절곡판의 측단부가 끼워 고정되는 제2 고정홈이 형성되는 휨 방지용 스터드.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몸체판 또는 상기 측면판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복수열의 단열 슬롯들이 서로 이격되며 관통 형성되는 휨 방지용 스터드.
  5. 제4항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열의 상기 단열 슬롯들이 높이 차이를 가지며 서로 교번되게 형성되는 휨 방지용 스터드.
KR1020100014203A 2010-02-17 2010-02-17 휨 방지용 스터드 KR101136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03A KR101136851B1 (ko) 2010-02-17 2010-02-17 휨 방지용 스터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203A KR101136851B1 (ko) 2010-02-17 2010-02-17 휨 방지용 스터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653A KR20110094653A (ko) 2011-08-24
KR101136851B1 true KR101136851B1 (ko) 2012-04-20

Family

ID=4493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203A KR101136851B1 (ko) 2010-02-17 2010-02-17 휨 방지용 스터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6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527B1 (ko) * 2021-03-29 2023-10-05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박스형 보강 스터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62Y1 (ko) 2005-02-02 2005-05-06 유명환 스터드용 스페이서
KR100609348B1 (ko) 2005-02-02 2006-08-08 유명환 스페이서 일체형 스터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562Y1 (ko) 2005-02-02 2005-05-06 유명환 스터드용 스페이서
KR100609348B1 (ko) 2005-02-02 2006-08-08 유명환 스페이서 일체형 스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653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971B1 (ko) 선택적 방향으로의 단면강성이 우수한 투명 방음판의프레임 구조
KR101526239B1 (ko) 지붕 구조를 위한 새들용 강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지붕 구조
KR101222206B1 (ko)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20120073725A (ko) 조립식 트러스 구조
KR101136851B1 (ko) 휨 방지용 스터드
KR101222320B1 (ko) ㄷ자형 부재와 역티자형 부재를 조립한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KR20130036982A (ko) 고차음 경량 철골 벽체 시스템
KR200470304Y1 (ko) 고차음 경량 철골 벽체 시스템
JP2014227827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板の鉄筋構造及びその工法
RU2548626C2 (ru) Гибкое крепе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эндвич-панель и участок стены, их содержащий
KR20160091223A (ko) 철근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
KR101155997B1 (ko) 단열 스터드
KR200461805Y1 (ko) 슬라브 패널
JP7045221B2 (ja)
KR101364687B1 (ko) 복합형 스터드
JP6404183B2 (ja) 外壁部断熱構造
KR20170066024A (ko) 철골구조물의 건식 내화피복구조체
JP6297284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床構造
JP2017020208A (ja) ユニット式建物の構造
JP2021095729A (ja) 連結金具および天井下地
KR200290614Y1 (ko) 이중벽을 갖는 내화 차음 칸막이
JP5598007B2 (ja) 間仕切壁
KR20110103632A (ko) 건식벽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23037148A (ja) 間仕切壁構造及びクリップ
KR102240355B1 (ko) 충격음 저감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