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562Y1 - 스터드용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스터드용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562Y1
KR200383562Y1 KR20-2005-0003125U KR20050003125U KR200383562Y1 KR 200383562 Y1 KR200383562 Y1 KR 200383562Y1 KR 20050003125 U KR20050003125 U KR 20050003125U KR 200383562 Y1 KR200383562 Y1 KR 200383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stud
insertion hole
b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환
Original Assignee
유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환 filed Critical 유명환
Priority to KR20-2005-0003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5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5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5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 E04B2/78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open profile of substantially U- or C- 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내외부의 건식조립벽체(Dry Wall)을 시공하는데 내열판넬를 연결하고, 마감판넬을 시공하기 위한 스터드(Stud)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상기 마감판넬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터드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이 개구된 사각기둥형상으로, 스터드와 스터드 사이에 시공되는 보온흡음재(50)와 인접되는 연결면(12)과, 상기 연결면(12)에서 수직되게 절곡되어 마감판넬(90)을 장착하기 위한 판넬고정부(14, 16)와, 상기 판넬고정부(14, 16)의 단부에서 내부쪽으로 절곡되는 연장리브(18)가 형성된 스터드(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리부(18)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긴 변의 중앙부는 작은변의 길이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형의 스페이서 삽입구(15)가 각각 1쌍씩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에 삽입되는 봉형상으로,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의 작은변의 길이보다 외경이 적어도 작으며 양단부가 일측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되고, 절곡된 끝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에 형성된 원형부에 삽입되도록 걸림환테(21)가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에 삽입되는 경우에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페이서(20)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터드용 스페이서{SPACER OF STUD}
본 고안은 스터드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내외부의 건식조립벽체(Dry Wall)을 시공하는데 내열판넬를 연결하고, 마감판넬을 시공하기 위한 스터드(Stud)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상기 마감판넬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터드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식조립벽체의 구조는 1차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건물의 천정과 바닥면에 트랙기능을 갖는 러너(runner)를 장착하고, 상기 러너의 종방향으로 스터드를 장착하여 벽체를 시공한다.
도2는 종래의 일반적인 스터드의 사시도이고, 도3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터드가 시공된 상태의 칸막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4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터드가 시공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기 건식조립벽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건물의 천정과 바닥면에 상부러너(40)와, 하부러너(60)를 장착하고, 상기 상부러너(40)와 하부러너(60) 사이에 수직으로 스터드(10)를 일정 간격으로 시공한다. 그 후 상기 스터드(10) 사이에는 단열 및 흡음작용을 하는 보온흡음재(50)를 장착한 후에 상기 스터드(10)에 마감판넬(90)을 장착하여 완성한다.
이 때 상기 스터드(10)는 일측이 개구된 사각기둥형상으로 상기 보온흡음재(50)와 인접되는 연결면(12)과, 상기 연결면(12)에서 수직되게 절곡되어 상기 마감판넬(90)을 장착하도록 판넬고정부(14, 16)와, 상기 판넬고정부(14, 16)의 단부에서 내부쪽으로 절곡되는 연장리브(18)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판넬(90)을 상기 판넬고정부(14, 16)에 각각 나사볼트를 이용하여 장착되도록 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면(12)에는 상기 스터드(10)를 보강하기 위해 관통된 보강채널삽입구(25)를 통해 보강채널(30)을 삽입하여 시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터드(10)는 상기 마감판넬(90)을 장착하는 경우에 나사못이나 나사볼트를 이용하여 장착하기 때문에 상기 판넬고정부(14, 16)가 안쪽으로 휘어져 상기 나사못이나 나사볼트의 체결이 불완전하게 되거나, 마감판넬(90)이 견고하게 장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식조립벽체를 시공하는 경우에 마감판넬이 견고하고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스터드의 판넬고정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벽체의 시공후에도 하자보수가 발생되지 않고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건식조립벽체를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스터드용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이 개구된 사각기둥형상으로, 스터드와 스터드 사이에 시공되는 보온흡음재(50)와 인접되는 연결면(12)과, 상기 연결면(12)에서 수직되게 절곡되어 마감판넬(90)을 장착하기 위한 판넬고정부(14, 16)와, 상기 판넬고정부(14, 16)의 단부에서 내부쪽으로 절곡되는 연장리브(18)가 형성된 스터드(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리부(18)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긴 변의 중앙부는 작은변의 길이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형의 스페이서 삽입구(15)가 각각 1쌍씩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에 삽입되는 봉형상으로,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의 작은변의 길이보다 외경이 적어도 작으며 양단부가 일측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되고, 절곡된 끝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에 형성된 원형부에 삽입되도록 걸림환테(21)가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에 삽입되는 경우에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페이서(20)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페이서(20)에 상기 걸림환테(2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한걸림환테(22)가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스페이서(20)에 절곡된 부분에 다른 스페이서(20)의 절곡된 부분과 일정 길이를 갖는 형태고정봉(23)이 각각 더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스터드용 스페이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에 따른 스페이서를 스터드에 장착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 따른 스터드용 스페이서이며, 도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페이서를 스터드에 장착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터드용 스페이서는 상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10)의 스페이서 삽입구(15)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판넬고정부(14, 16)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2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스터드(10)는 판넬고정부(14, 16)에서 안쪽으로 절곡된 연장리부(18)에 일정간격으로 관통된 스페이서 삽입구(15)가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20)는 양단부가 일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절곡된 끝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된 걸림환테(21)가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에 삽입되는 경우에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리브(18)에 밀착되도록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단면의 형상은 본 고안의 스페이서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관통되는데, 작은변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스페이서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긴 변의 중앙부는 작은변의 길이보다 크고 상기 스페이서(20)의 걸림환테(21)가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스페이서(20)는 상기 스터드(1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20)는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환테(2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한걸림환테(22)가 더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에 걸림환테(21)가 삽입되고, 상기 제한걸림환테(22)에 의해 스페이서(20)의 유동과 스터드(1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20)는 상기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페이서(20)의 절곡된 부분에 다른 스페이서(20)의 절곡된 부분과 일정 길이를 갖는 형태고정봉(23)이 각각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스터드(10)의 스페이서 삽입구(15)에 스페이서(20)가 장착되어 스터드(10)의 뒤틀림이나 스페이서(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페이서(20)는 먼저 스터드(10)를 건물의 천정과 바닥면에 상부러너(40)와, 하부러너(60)를 장착하고, 상기 상부러너(40)와 하부러너(60) 사이에 수직으로 스터드(10)를 일정 간격으로 시공한다. 이 때 상기 스터드(10)의 연장리브(18)에는 일정 간격으로 스페이서 삽입구(15)가 관통되어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그 후 본 고안에 의한 스페이서(20)를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의 중앙부에 걸림환테(21)를 삽입시키고, 아래쪽으로 잡아 당겨 장착한다. 그리고 스터드(10) 사이에 단열 및 흡음작용을 하는 보온흡음재(50)를 장착하고, 상기 스터드(10)의 판넬고정부(14, 16)에 마감판넬(90)을 장착하여 완성한다.
이 때 상기 마감판넬(90)은 나사못이나 나사볼트에 의해 장착되는데, 상기 스페이서(20)가 상기 스터드(10)의 판넬고정부(14, 16)의 간격을 일정하고 견고하게 고정하기 때문에 스터드(10)에 밀착되고 견고하게 부착된다. 또한 상기 스터드(10)의 내부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상기 마감판넬(90)이 균일하게 시공되어 공사의 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스페이서는 건식조립벽체의 시공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측이 개구된 스터드를 사용하는 모든 시공에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건식조립벽체를 시공하는 경우에 스터드의 판넬고정부의 간격을 일정하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마감판넬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벽체의 시공후에도 하자보수가 발생되지 않고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건식조립벽체를 시공하여 공사의 품질과 시공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에 따른 스페이서를 스터드에 장착하기 위한 설명도,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에 따른 스터드용 스페이서,
도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스페이서를 스터드에 장착하기 위한 설명도,
도4는 종래의 일반적인 스터드의 사시도,
도5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터드가 시공된 상태의 칸막이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6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터드가 시공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1: 스터드(STUD) 12: 연결면
14, 16: 판넬고정면 15: 스페이서 삽입구
18: 연장리브 20: 스페이서
21: 걸림환테 22: 제한걸림환테
23: 형태고정봉 25: 보강채널삽입구
30: 보강채널 40: 상부러너
50: 보온흡음재 60: 하부러너
80: 높이조절수단 90: 마감판넬

Claims (3)

  1. 일측이 개구된 사각기둥형상으로, 스터드와 스터드 사이에 시공되는 보온흡음재(50)와 인접되는 연결면(12)과, 상기 연결면(12)에서 수직되게 절곡되어 마감판넬(90)을 장착하기 위한 판넬고정부(14, 16)와, 상기 판넬고정부(14, 16)의 단부에서 내부쪽으로 절곡되는 연장리브(18)가 형성된 스터드(1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리부(18)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긴 변의 중앙부는 작은변의 길이보다 큰 내경을 갖는 원형의 스페이서 삽입구(15)가 각각 1쌍씩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에 삽입되는 봉형상으로,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의 작은변의 길이보다 외경이 적어도 작으며 양단부가 일측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되고, 절곡된 끝단부에는 직경이 확장되어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에 형성된 원형부에 삽입되도록 걸림환테(21)가 형성되어 상기 스페이서 삽입구(15)에 삽입되는 경우에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페이서(20)를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용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20)는, 상기 걸림환테(2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제한걸림환테(22)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용 스페이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20)는, 절곡된 부분에 다른 스페이서(20)의 절곡된 부분과 일정 길이를 갖는 형태고정봉(23)이 각각 더 연결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용 스페이서.
KR20-2005-0003125U 2005-02-02 2005-02-02 스터드용 스페이서 KR200383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125U KR200383562Y1 (ko) 2005-02-02 2005-02-02 스터드용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125U KR200383562Y1 (ko) 2005-02-02 2005-02-02 스터드용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562Y1 true KR200383562Y1 (ko) 2005-05-06

Family

ID=43685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125U KR200383562Y1 (ko) 2005-02-02 2005-02-02 스터드용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56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851B1 (ko) 2010-02-17 2012-04-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휨 방지용 스터드
KR101535944B1 (ko) * 2014-05-30 2015-07-10 주식회사 한성케이 경량칸막이용 스터드
KR101637145B1 (ko) * 2016-02-11 2016-07-07 양종택 경량 칸막이용 스터드
KR20230125878A (ko) * 2022-02-22 2023-08-29 방윤배 실내 벽체 고정용 골조보강패널
KR102601795B1 (ko) * 2023-07-11 2023-11-14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건축용 경량철골 벽체의 스터드 보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851B1 (ko) 2010-02-17 2012-04-2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휨 방지용 스터드
KR101535944B1 (ko) * 2014-05-30 2015-07-10 주식회사 한성케이 경량칸막이용 스터드
KR101637145B1 (ko) * 2016-02-11 2016-07-07 양종택 경량 칸막이용 스터드
KR20230125878A (ko) * 2022-02-22 2023-08-29 방윤배 실내 벽체 고정용 골조보강패널
KR102647506B1 (ko) 2022-02-22 2024-03-13 방윤배 실내 벽체 고정용 골조보강패널
KR102601795B1 (ko) * 2023-07-11 2023-11-14 예닮건축사사무소주식회사 건축용 경량철골 벽체의 스터드 보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3562Y1 (ko) 스터드용 스페이서
KR100680864B1 (ko) 커튼 월 창틀의 구조
KR101448097B1 (ko) 외부벽돌벽의 인방구조체
KR101406873B1 (ko) 경량 골조를 이용한 터널형 방음벽
KR20090052125A (ko) 커튼 월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커튼 월 설치방법
KR100797524B1 (ko) 건축용 조립식 외단열패널의 구조
KR200432623Y1 (ko) 경량벽체 지지유닛
JP4845226B2 (ja) せき板取付枠及び型枠工法
KR102190369B1 (ko)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KR20160123004A (ko) 방음판 탈부착형 방음벽
KR102402790B1 (ko) 금속성 로그들 구조체들을 위한 보강재들
KR101141804B1 (ko) 한옥용 단골막이 착고 및 이를 이용한 단골막이 시공방법
KR20090067930A (ko) 가변형 건식벽체의 런너구조
CN211007029U (zh) 一种装配式建筑物用的钢缆拉紧墙面及其构筑物
KR102104428B1 (ko) 외부벽돌벽에 형성되는 개구부 상단연결용 벽돌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09348B1 (ko) 스페이서 일체형 스터드
KR100655507B1 (ko) 조립식 거푸집의 체결구조 및 그 체결방법
KR100529824B1 (ko) 곡선전용 도로 방음벽 설치구조
JP2000073480A (ja) 外壁材の取付構造
KR100581028B1 (ko) 판넬을 이용한 조립식 벽체
JP2020084492A (ja) 簡易建物
KR101026922B1 (ko) 천장용 캐링채널 지지장치
KR101922216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조
KR100626976B1 (ko) 건축용 외벽 마감재 설치구조
KR101613694B1 (ko) 지지기둥이 내설된 조립식 벽체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