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369B1 -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369B1
KR102190369B1 KR1020180124318A KR20180124318A KR102190369B1 KR 102190369 B1 KR102190369 B1 KR 102190369B1 KR 1020180124318 A KR1020180124318 A KR 1020180124318A KR 20180124318 A KR20180124318 A KR 20180124318A KR 102190369 B1 KR102190369 B1 KR 10219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assembly
tube
frame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672A (ko
Inventor
김학섭
Original Assignee
김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섭 filed Critical 김학섭
Priority to KR1020180124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36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3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받침대의 윗면에서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는 관 형태의 기둥; 상기 기둥의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의 윗면에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는 다수의 판넬조립봉; 양 측단에 관 형태의 조립관이 형성되어 이 조립관을 상기 판넬조립봉에 끼워서 벽체를 형성하게 되는 판넬; 및 밑면에 상기 기둥의 상단으로 끼워지는 고정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판넬이 조립된 상부를 마감 고정하게 되는 상부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간편하고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Assembly structure of construction panel}
본 발명은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넬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신속하고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된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판넬은 주택의 건축이나 공장 등의 건물 건축시 내,외부벽면을 마감하는데 사용하게 되는데, 조립식으로서 간편한 시공으로 인해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잇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건축용 판넬은 내부에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성 단열재의 표면에 금속 재질의 마감판이 부착되고, 상기 마감판의 양 측에는 연결을 위한 요부와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호 결합에 의해 연속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종래 조립식 판넬은 조립식 칸막이를 설치하기 위해 다수의 판넬의 측단부를 수직의 고정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에 끼운 다음 고정프레임과 분리되지 않도록 못이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다수의 판넬을 조립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식 판넬을 이용하여 시공하고자 할 때, 판넬을 설치하여 고정시킴에 있어 작업자의 단순한 숙련도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균일하고 정확한 조립이 이루어지기 어려웠고, 그만큼 시공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었다.
이는 곧 전체적인 벽체의 방음성이나 단열성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서 건축물의 품질 저하를 야기하게 되었고 추가적인 패킹이나 실리콘작업 등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한 내용으로서 특허문헌 1을 살펴보면, "양 측 단부에 결합블럭을 갖는 칸막이 판넬; 상기 결합블럭의 일 측에 탈착 끼움되는 제 1 찬넬과 타측에 끼움되어 가이드되는 제 2찬넬이 외부로 개구되어 상호 넥으로 연결 일체화 되어 제1 및 제 2찬넬 사이에 잠금홈을 형성한 결합자; 상기 잠금홈에 결합되어 결합자의 위치 이동을 잠금하는 록편을 가지며, 상기 판넬의 서로다른 양측 단면 사이의 틈새를 실링하는 바디로 형성된 틈새 마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연결장치"를 요지로 하고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은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여 각 연결부위마다 복잡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어서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고, 각 판넬끼리의 연결부분만 다루고 있는 것이어서 전체적인 시공의 편의성을 제시하지는 못하는 것이었다.
1.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58910호(2004.08.04. 등록).
본 발명은 건축용 판넬의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균일한 품질의 조립이 가능하여 인력과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는,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윗면에서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는 관 형태의 기둥; 상기 기둥의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받침대의 윗면에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는 다수의 판넬조립봉; 양 측단에 관 형태의 조립관이 형성되어 이 조립관을 상기 판넬조립봉에 끼워서 벽체를 형성하게 되는 판넬; 및 밑면에 상기 기둥의 상단으로 끼워지는 고정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판넬이 조립된 상부를 마감 고정하게 되는 상부프레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은 중간이 분리되어 볼트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길이의 조절이 가능토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하부프레임의 윗면에는 상기 기둥 및 판넬조립봉이 끼워지기 위한 홀더가 더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상부프레임은 판넬 형태로 이루어져서 건축물의 천장을 형성하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상부프레임의 윗면 전ㆍ후단에는 횡으로 길게 설치되어 그 일측 단부가 상부프레임의 윗면에 지지되는 수평조립봉; 관 형태로 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측에서 횡으로 길게 배치되며, 양 단부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부프레임의 윗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 중간이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에 얹혀지며, 양 단부에는 관 형태의 조립관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조립봉에 끼워져서 조립되도록 된 지붕판넬; 및 상기 지붕판넬의 양 측단에 부착 고정되는 마감판넬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그 사이의 기둥을 구비하고, 여기에 끼워넣는 방식의 판넬을 구비함으로써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벽체를 형성하는 판넬은 물론, 지붕을 형성하는 판넬까지 간편하고 신속하게 조립될 수 있어서, 시공시간과 인력 및 경비를 절감하여 경제적인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판넬 조립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조립된 판넬의 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및 상부프레임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프레임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둥과 하부프레임의 다른 연결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조립봉의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붕의 조립상태 측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동일 명칭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판넬 조립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조립된 판넬의 평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및 상부프레임의 조립상태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하부프레임(10)과, 기둥(11)과, 조립봉(12)과, 판넬(20) 및 상부프레임(30)으로 대별된다.
하부프레임(10)은 판형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각 모서리 또는 중간에 상기 기둥(11)이 수직으로 설치 고정된다.
하부프레임(10)은 기본적으로 건축물의 벽체를 형성하는 기준이 되는 것으로서, 횡방향 또는 종방향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중간이 분리되어 연결부(13)를 형성하며, 이 연결부(13)가 볼트에 의해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13)는 필요에 따라 도 4에서와 같이 기둥을 포함하여 양 측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기둥(11)은 상ㆍ하부프레임(10,30)과 함께 건축물의 골조를 형성하게 되며 관 형태로 되어 있고, 이 기둥(11)에 근접하여 판넬(20)을 끼워서 조립하게 되는 조립봉(12)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조립봉(12)은 기둥(11)의 근접한 위치에서 하부프레임(10)의 횡방향과 종방향에 각각 두 개씩 설치된다.
상기 기둥(11)과 조립봉(12)은 하부프레임(10)에 일체로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하부프레임(10)에 관 형태의 홀더(14)를 구성하여 여기에 끼워서 고정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용접 또는 나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판넬(20)은 일반적인 샌드위치판넬과 마찬가지로 내측에 단열재(21)가 구성되고, 양 외측면에 금속판(22)이 구비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금속판(22)의 양 단부를 말아서 관 형태의 조립관(23)을 형성하고, 이 조립관(23)을 상기 조립봉(12)에 끼움으로써 판넬(20)을 조립하게 된다.
따라서 기둥과 기둥(11) 사이에 판넬(20)이 수직으로 끼워져서 적층됨으로써 벽체를 형성하게 되며, 균일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적층되는 판넬(20)들은 판넬과 판넬의 접촉 부위가 널리 알려진 형태와 같이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판넬끼리의 견고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립봉(12)에 끼워진 판넬(20)은 조립관(23)의 내측의 판넬측면이 상기 기둥(11)과 밀착되도록 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판넬(20)이 기둥(11)사이에 적층된 후에 도 3에서와 같이 상부프레임(30)에 의해 상부를 마감하게 되는데, 상부프레임(30)은 하부프레임(10)과 대향되는 구성이며, 각 모서리의 밑면에는 각 기둥(11)에 끼워지는 고정돌부(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부(31)가 기둥(11)에 끼워지면서 측벽에 대한 설치 및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며, 고정돌부(31)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기둥(11) 측면에 형성된 고정구멍(15)을 통해 볼트 등에 의한 추가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둥(11)의 외측으로는 단열을 위한 별도의 수단이 부가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단열코팅이나 단열재로 된 커버를 쒸울 수 있으며, 틈새에는 패킹이나 실리콘작업이 부가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30)의 윗면에는 지붕을 설치하기 위한 수평조립봉(32)과 지지대(40)가 설치되는데, 수평조립봉(32)은 상부프레임(30)의 전ㆍ후단에서 횡으로 길게 설치되며, 그 일측 단부는 상부프레임(30)에 지지된다.
도 6은 수평조립봉(32)의 일단이 상부프레임(30)상에 지지되는 한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부프레임(30)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부재(33)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40)는 상부프레임(30)의 상측 중앙을 횡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양 단부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부프레임(30)의 양 측단에 돌출되어 있는 연결대(34)에 끼워서 고정하게 된다.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판넬(50)은 상기 판넬(20)과 마찬가지로 양 외측면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져서 그 단부가 관 형태로 말려진 수평조립관(53)이 형성되어 있고, 중간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 형성되어 절곡된 중간이 상기 지지대(40)에 걸쳐지도록 하면서 상기 수평조립관(53)을 수평조립봉(32)에 끼워서 조립하게 된다.
즉, 수평조립관(53)의 개구된 일측으로 지붕판넬(50)의 수평조립관을 끼우는 방식으로 다수의 지붕판넬(50)을 연속적으로 끼워서 조립하고, 최종 양 측단에는 마감판넬(60)을 끼우고 나사에 의해 지지대(40) 측면의 나사구멍(41)과 지붕판넬 또는 상부프레임 등에 조립 마감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되는 지붕판넬(50)은 중간은 대들보 기능을 하게 되는 지지대(40)에 얹혀진 상태로 지지되고, 양 단부는 상부프레임(30)에 설치되는 수평조립봉(32)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넬(20)과 지붕판넬(50)은 각각 조립봉(12)과 수평조립봉(32)에 연속적으로 끼우는 작업에 의해 손쉽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및 하부프레임에 의해 견고한 조립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프레임(30)은 그 자체로 지붕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부프레임(30) 자체가 전체적으로 판넬을 형성하게 되며, 윗면에는 단열재와 마감을 위한 금속판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및 하부프레임과 기둥의 길이는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설계에 따라 정해지게 되고, 상부프레임(30) 역시 하부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연결부를 형성하여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0 ; 하부프레임 11 ; 기둥
12 ; 조립봉 13 ; 연결부
14 ; 홀더 15 ; 고정구멍
20 ; 판넬 21 ; 단열재
22 ; 금속판 23 ; 조립관
30 ; 상부프레임 31 ; 고정돌부
32 ; 수평조립봉 33 ; 지지부재
34 ; 연결대 40 ; 지지대
41 ; 나사구멍 50 ; 지붕판넬
51 ; 수평조립관 60 ; 마감판넬

Claims (5)

  1. 지면에 안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윗면에서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는 관 형태의 기둥;
    상기 기둥의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윗면에 수직으로 설치 고정되는 다수의 판넬조립봉;
    양 측단에 관 형태의 조립관이 형성되어 이 조립관을 상기 판넬조립봉에 끼워서 벽체를 형성하게 되는 판넬;
    밑면에 상기 기둥의 상단으로 끼워지는 고정돌부가 형성되어 상기 판넬이 조립된 상부를 마감 고정하게 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윗면 전ㆍ후단에는 횡으로 길게 설치되어 그 일측 단부가 상부프레임의 윗면에 지지되는 수평조립봉;
    관 형태로 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측에서 횡으로 길게 배치되며, 양 단부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부프레임의 윗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
    중간이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에 얹혀지며, 양 단부에는 관 형태의 수평조립관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조립봉에 끼워져서 조립되도록 된 지붕판넬; 및
    상기 지붕판넬의 양 측단에 부착 고정되는 마감판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은 중간이 분리되어 볼트에 의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길이의 조절이 가능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윗면에는 상기 기둥 및 판넬조립봉이 끼워지기 위한 홀더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은 판넬 형태로 이루어져서 건축물의 천장을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5. 삭제
KR1020180124318A 2018-10-18 2018-10-18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KR102190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318A KR102190369B1 (ko) 2018-10-18 2018-10-18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318A KR102190369B1 (ko) 2018-10-18 2018-10-18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672A KR20200043672A (ko) 2020-04-28
KR102190369B1 true KR102190369B1 (ko) 2020-12-11

Family

ID=7045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318A KR102190369B1 (ko) 2018-10-18 2018-10-18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2962B1 (ko) * 2020-05-19 2021-03-29 서언범 모듈러 주택에서 볼트를 사용하지 않은 모듈 결합 장치
CN112554293A (zh) * 2020-12-24 2021-03-26 常州润祥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移动厕所
KR102569942B1 (ko) 2021-05-25 2023-08-23 김학섭 건축용 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206Y1 (ko) * 2002-12-21 2003-04-26 광토건설산업 주식회사 분해조립형 컨테이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875A (ja) * 1997-11-12 1999-08-10 Masayuki Nakaya フリーサイズユニットハウス
KR200358910Y1 (ko) 2004-05-18 2004-08-12 광성티앤엠(주)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연결장치
KR20140005606U (ko) * 2013-04-22 2014-10-30 심경식 조립주택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206Y1 (ko) * 2002-12-21 2003-04-26 광토건설산업 주식회사 분해조립형 컨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672A (ko)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369B1 (ko)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KR102151243B1 (ko)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US5136822A (en) Prefabricated building elements
UA73949C2 (en) Improved system for wall construction with falsework
US6837012B2 (en) Structural profiled section in particular for partition
KR101642817B1 (ko) 시공이 용이한 커튼월
AU2014328484A1 (en) Building panels - systems components & methods
US6321496B1 (en) Insulated form assembly for a poured concrete wall
KR102073639B1 (ko) 건축물 커튼 월 외장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826888B1 (ko)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지지바 및 이를 구비한 건물구조체
KR20150118353A (ko) 단열성과 강성이 우수한 커튼월 및 그 설치방법
EP0436632B1 (en) Prefabricated building
KR102264317B1 (ko)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KR20210107299A (ko) 단열성을 향상시킨 커튼월 프레임
KR101980663B1 (ko) 컨테이너용 모듈러 유닛
US3721057A (en) Partition wall
KR102491697B1 (ko) 건축용 패널 조립구조
KR102296870B1 (ko) 미서기 창을 일체로 구비하는 커튼월의 단열구조
JP2020084493A (ja) 簡易建物
KR101473099B1 (ko) 건축용 외장재의 고정구조
JPS626169Y2 (ko)
KR102513983B1 (ko) 건축용 판넬 조립구조
JP2525213Y2 (ja) 断熱を施したバン型車両の荷箱の構造
US2182593A (en) Building construction
JP7176857B2 (ja) 額縁の取付構造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