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033B1 -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033B1
KR101009033B1 KR1020080067518A KR20080067518A KR101009033B1 KR 101009033 B1 KR101009033 B1 KR 101009033B1 KR 1020080067518 A KR1020080067518 A KR 1020080067518A KR 20080067518 A KR20080067518 A KR 20080067518A KR 101009033 B1 KR101009033 B1 KR 101009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teel
floor
steel
wood
modular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072A (ko
Inventor
김갑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67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03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에 사용되는 조이스트를 하이브리드 경량형강 조이스트로 개선하여 바닥 충격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을 제공한다.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은 복수개의 단위 패널들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부재, 바닥부재의 테두리부분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부재, 바닥부재의 테두리부분에서 제1 부재와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 및 제1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며, 제3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80067518
모듈러, 건축물, 바닥패널, 경량형강, 목재

Description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PANEL SYSTEM}
본 발명은 모듈러 건축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에서 스틸하우스 및 모듈러 건축물 등에 사용되고 있는 바닥판용 조이스트는 두께 1.6mm내외의 강판을 ㄷ자 형태로 접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이스트는 경량의 부재를 사용하므로 장스팬이 되는 경우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스팬의 길이에도 제한이 있다.
아울러 경량형강 조이스트 부재는 바닥판으로 사용시 바닥충격음 및 진동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조이스트의 강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에 사용되는 조이스트를 하이브리드 경량형강 조이스트로 개선하여 바닥 충격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을 제공한다.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은 복수개의 단위 패널들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부재, 바닥부재의 테두리부분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부재, 바닥부재의 테두리부분에서 제1 부재와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 및 제1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며, 제3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제3 부재는 목재와 경량형강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량형강은 조이스트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경량형강은 스틸 스터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량형강은 롤 포밍기를 통하여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곡 형성될 수 있다. 경량형강은 일부 개구되어 목재가 내장되는 저장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경량형강의 포밍시 목재를 경량형강의 저장공간에 삽입하여 경량형강을 포밍할 수 있다.
제3 부재는 목재의 길이와 경량형강의 길이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부재는 경량형강의 저장공간에서 경량형강의 굴곡된 부분에만 목재를 삽입하여 경량형강을 포밍할 수 있다.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부재를 구성하는 경량형강의 중간에 목재를 끼워 하이브리드 형태로 제작하므로써 같은 높이의 부재를 사용하더라도 스팬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동시에 바닥 충격음과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은 복수개의 단위 패널들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부재(10)에서 일부 부재를 개선한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재(10)는 제1 부재(12), 제2 부재(14), 제3 부재(16)를 포함한다.
바닥부재(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부재(12)는 바닥부재(10)의 테두리부분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부재(14)는 바닥부재(10)의 테두리부분에서 제1 부재(12)와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직사각형상의 바닥부재(10)에서 길이방 향으로 길게 연장된 방향을 말하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방향을 말한다. 따라서, 제1 부재(12)의 길이가 제2 부재(14)의 길이보다 더 길다.
제1 부재(12)와 제2 부재(1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인 직각을 유지한다. 제1 부재(12)와 제2 부재(14)는 경량형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부재(16)는 제1 부재(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제3 부재(16)는 서로 다른 재질의 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제3 부재(16)는 목재(16b)와 경량형강(16a)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경량형강(16a)은 조이스트 부재로 이루어지며, 경량형강(16a)은 스틸 스터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량형강(16a)은 롤 포밍기를 통하여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곡 형성된다.
참고로, 스터드는 벽체를 이루는 기본요소로 하중을 받거나 또는 받지 않는 수직골재를 말한다. 그리고 조이스트는 건물의 바닥, 천장 또는 지붕의 일부분을 지지하며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골조 부재를 말한다. 트랙은 스터드를 벽체의 상부와 하부에서 고정시켜주는 수평부재를 의미하며, 러너(runner)라고도 명명된다.
경량형강(16a)은 일부 개구되어 목재(16b)가 내장되는 저장공간을 가지며, 경량형강(16a)의 포밍시 목재(16b)를 경량형강(16a)의 저장공간에 삽입하여 경량형강(16a)을 포밍한다.
제3 부재(16)는 목재(16b)의 길이와 경량형강(16a)의 길이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목재(16b)의 단부가 제3 부재(16)의 경량형강(16a)에 삽입된 상 태에서 경량형강(16a)의 양측 단부로 각각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부재(16)는 스틸하우스 및 모듈러 건축물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닥부재로 사용되는 바닥판용 조이스트는 두께 1.6mm내외의 강판을 ㄷ자 형태로 접어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조이스트는 경량의 부재만을 사용하므로 장스팬이 되는 경우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스팬의 길이에도 제한이 있다.
아울러 경량형강으로만 이루어진 조이스트는 바닥부재로 사용시 바닥 충격음 및 진동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바닥부재로 사용되는 조이스트의 강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바닥부재로 사용되는 조이스트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이스트의 두께를 키우거나 또는 웨브(web) 사이즈(size)를 크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법으로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량형강(16a)을 사용한 바닥부재(10)의 충격음과 진동을 저감할 수 있도록 목재(16b)와 경량형강(16a)을 복합하여 제3 부재(16)와 같이 하나의 구조로 만들어 제작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틸하우스 및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에 사용되는 바닥부재(10)에서 제3 부재(16)를 바닥 충격음과 진동 저감이 가능하도록 강재와 목재(16b)를 하이브리드 형태로 결합하여 제작한 것이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형태라 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재질(강재, 목재)의 부재들을 서로 결합하여 하나의 부재(제3 부재)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필요한 경우 강재와 결합 되는 목재는 다른 부재로 대체할 수 있다. 목재를 대체하는 부재는 강재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3 부재(16)의 충격을 감소시키거나 강성을 증대시키는 부재이면 모두 가능하다.
기존의 바닥부재에 사용되는 조이스트는 단순히 경량형강만을 ㄷ자 형태로 접어 사용하며, 각 조이스트는 길이 방향의 트랙에 끼워져 바닥부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부재(16)의 저장공간에 목재(16b)를 끼워 제3 부재(16)의 강성을 더 크게하므로써 바닥 충격음과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제3 부재(16)의 저장공간에 목재(16b)를 끼워 바닥부재(10)로 사용하면 경량형강만으로 이루어진 부재들에 비해 제3 부재(16)의 강성이 향상되어 스팬을 늘릴 수 있다.
제3 부재(16)의 제작은 제3 부재(16)를 형성하는 경량형강(16a)의 롤 포밍 시 경량형강(16a)의 중간에 웨브 길이와 같은 목재(16b)를 함께 끼워 포밍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 부재(16)는 경량형강(16a)의 저장공간에서 경량형강(16a)의 굴곡된 부분에만 목재(16c)를 삽입하여 경량형강(16a)을 포밍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량형강(16a)의 저장공간에서 경량형강(16a)의 상부와 하부에 굴곡된 부분에만 목재(16c)를 삽입하고 우측의 개구부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목재(16c)가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경량형강(16a)은 저장공간에서 도 3의 우측 부분과 같이 개구된 부분에서는 목재(16c)가 없이 강재만 있는 형 태로 되며, 목재(16c)가 없는 만큼 저장공간의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경량형강(16a)의 저장공간에서 경량형강(16a)의 굴곡된 부분에만 목재(16c)를 끼워 제3 부재(16)를 하이브리드 형태로 제작하면 같은 높이의 부재를 사용하더라도 스팬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동시에 바닥 충격음과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제3 부재(16)를 형성하는 경량형강(16a)의 저장공간에 목재(16b) 이외의 다른 자재(예를 들면, 간벌재, 플라스틱)를 끼워 하이브리드 형태로 만들어 구조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부재(16)의 제작시 경량형강(16a)의 저장공간에 삽입되는 부재는 제3 부재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거나 제3 부재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부재이면 모두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경량형강(16a)의 저장공간에 삽입되는 자재가 점탄성이 높고 강도가 높은 부재인 경우 바닥 충격음이나 진동을 감쇠하는 효과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Ⅱ-Ⅱ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 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닥부재 12 ; 제1 부재
14 ; 제2 부재 16 ; 제3 부재
16a ; 경량형강 16b, 16c ; 목재

Claims (4)

  1. 복수개의 단위 패널들이 결합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테두리부분에서 제1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부재;
    상기 바닥부재의 테두리부분에서 상기 제1 부재와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제3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의 부재인 목재와 경량형강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경량형강은 일부 개구되어 상기 목재가 내장되는 저장공간을 가지며, 상기 경량형강의 포밍시 상기 목재를 상기 경량형강의 저장공간에 삽입하여 상기 경량형강을 포밍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형강은 조이스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량형강은 롤 포밍기를 통하여 기설정된 방향으로 굴곡 형성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경량형강의 저장공간에서 상기 경량형강의 굴곡된 부분에만 상기 목재를 삽입하여 상기 경량형강을 포밍하는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
KR1020080067518A 2008-07-11 2008-07-11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 KR101009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518A KR101009033B1 (ko) 2008-07-11 2008-07-11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518A KR101009033B1 (ko) 2008-07-11 2008-07-11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72A KR20100007072A (ko) 2010-01-22
KR101009033B1 true KR101009033B1 (ko) 2011-01-17

Family

ID=4181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518A KR101009033B1 (ko) 2008-07-11 2008-07-11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03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594U (ko) * 1994-04-06 1995-11-20 김영근 스라브용 비임
JPH1181478A (ja) * 1997-09-01 1999-03-26 Sekisui Chem Co Ltd 床構造と建物ユニット
JP2005155026A (ja) 2003-11-20 2005-06-16 Jfe Steel Kk 床支持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床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0594U (ko) * 1994-04-06 1995-11-20 김영근 스라브용 비임
JPH1181478A (ja) * 1997-09-01 1999-03-26 Sekisui Chem Co Ltd 床構造と建物ユニット
JP2005155026A (ja) 2003-11-20 2005-06-16 Jfe Steel Kk 床支持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床支持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072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512B1 (ko) 조립식건축물
KR101222206B1 (ko) 절곡강판형 강재 보와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DK2310587T3 (en) INSULATION BUILDING SYSTEM FOR A BUILDING CONSTRUCTION
JP6178072B2 (ja) 乾式壁構造
KR101009033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바닥패널 시스템
KR102173217B1 (ko) 런너가 스터드 내측에 설치된 차음 스터드 설치 구조
KR200470304Y1 (ko) 고차음 경량 철골 벽체 시스템
KR20130036982A (ko) 고차음 경량 철골 벽체 시스템
JP2017122361A (ja) 横架材、横架材を用いた面材の取り付け構造、及び横架材を用いた面材と枠材との取り付け構造
KR102484748B1 (ko) 클립바 삽입형 벽체배수판의 체결장치
WO2021153536A1 (ja) 間仕切壁の遮音構造及び間仕切壁用遮音部材
JP6645194B2 (ja) 横架材、及び横架材を用いた面材の取り付け構造
JP6454474B2 (ja) ランナー固定具およびランナー固定構造
KR102075518B1 (ko) W 절곡형 차음 스터드 설치 구조
JP5598007B2 (ja) 間仕切壁
JP2020023802A (ja) 間仕切耐力壁
JP5238217B2 (ja) 壁パネル
JP7198025B2 (ja) 持ち出し構造
JP2020165211A (ja) 天井構造
KR101136851B1 (ko) 휨 방지용 스터드
JP2011144534A (ja) 床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建築物
JP6176971B2 (ja) サッシ枠の取付構造
JP5812933B2 (ja) 断熱パネルの固定構造
JP6297284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床構造
JP6133728B2 (ja) ランナー固定構造、固定ユニットおよび固定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