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947B1 -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947B1
KR101050947B1 KR1020110011003A KR20110011003A KR101050947B1 KR 101050947 B1 KR101050947 B1 KR 101050947B1 KR 1020110011003 A KR1020110011003 A KR 1020110011003A KR 20110011003 A KR20110011003 A KR 20110011003A KR 101050947 B1 KR101050947 B1 KR 101050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llow
concrete
weigh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문
김도훈
김현배
이종인
정문홍
박재동
김성남
Original Assignee
(주)하이코리아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코리아,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하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11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9/00Auxiliary treatment of forms, e.g. dismantling;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확실하고 간편하며 경제적으로 분리타설할 수 있는 막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을 갖는 봉 형상의 막음재 본체와, 막음재 본체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공 삽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이중 연질 막음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Blocking member of vertical and horizontal seperated placement using high strength concrete and vertical and horizontal seperated po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확실하고 간편하며 경제적으로 분리타설할 수 있는 막음재에 관한 것이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개발 및 실용화는 건축구조물의 초고층화, 교량의 장대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성 증가 등을 가능하게 하여 현재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고강도 콘크리트는 실제의 건축공법에 적용함에 있어 여러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설계기준강도 21~30MPa 등은 일반강도 콘크리트로서 국내 건축용 콘크리트 사용량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건설장비와 기술의 숙련도 등은 일반강도 콘크리트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새로운 결합재 및 혼화제를 사용해야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는 경제성 및 장비 부족 등의 이유로 실제의 현장공법에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특성인 부재의 높은 수화열, 단위 시멘트량 증가로 인한 자기수축량 증가, 점도 증가로 인한 펌핑압력 상승 등 재료적 단점들도 고강도 콘크리트의 현장적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 공법의 경우 공사의 안전성과 품질 및 내구성이 증진되며 경우에 따라 공기가 단축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이 공법은 수직부재(기둥, 내력벽)와 수평부재(보, 슬래브)에 각각 설계기준강도의 차이가 발생하며 고강도화될 경우 이 차이는 좀 더 크게 벌어진다.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 의하면 수직 수평 분리타설 시 수직부재의 설계기준압축강도가 수평부재의 1.4배를 초과하는 경우와 1.4배 이하인 경우로 나누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타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콘크리트 강도차이가 1.4배 이하인 경우 특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으며 도 7a에 나타낸 것처럼 아래층의 수직부재(100)를 타설하고 이어서 수평부재(200)를 타설한 다음 위층의 수직부재(300)를 타설하는 순서로 시공되고 수평부재(200)에 해당하는 구간은 모두 수평부재(200)의 강도로 시공하게 된다. 이에 비해 도 7b에 나타낸 것처럼 수평부재에 대한 수직부재의 설계기준강도가 1.4배를 초과하는 경우 수직부재(100) 주변의 수평부재(200)를 수직부재(100)와 동일한 강도로 수직부재(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수평부재(200)쪽으로 내민 길이(600mm)를 확보하여 확대타설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타설은 강도가 높은 수직부재(100)를 먼저 타설한 후(이때 수직부재(100)의 상부면으로부터 확대시공되는 수평부재 부분(150; 이하 '내민 부분"이라 함)도 동시에 타설), 시공이음(Cold joint)이 발생하기 전에 강도가 낮은 수평부재(200)를 타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이하 '확대타설방법'이라 함).
도 7b에서와 같이 확대타설방법으로 수직부재(100)와 수평부재(200)를 분리타설할 경우 내민 부분(150)과 수평부재(200)를 분리하기 위해 막음재가 설치되는데 종래에는 메탈라스, 고무튜브계의 에어펜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판 등이 사용되었다. 메탈라스의 경우 거푸집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상태에서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곤란하고 작업 효율이 떨어지며 콘크리트 타설시 메탈라스의 틈새로 콘크리트가 누출되거나 바닥에서 새어나와 구획을 침범하는 등 완벽한 분리타설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고무튜브계 에어펜스의 경우 거푸집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상태에서도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비용이 고가이고 기온이 저하되면 고무가 경직되어 설치 작업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시 사용되는 메탈라스, 고무튜브계 에어펜스 등의 막음재가 가지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거푸집 내부에 철근이 배근된 상태에서도 설치가 용이하고 확실하게 이종강도 콘크리트의 분리타설이 가능하며 경제적인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직으로 세워져 자립성을 가지면서 콘크리트 측압에 의해 막음재의 꺽임이 방지되며, 거푸집 내부에 배근된 철근을 감싸 콘크리트가 누출되는 공극이 발생하지 않고, 타설 완료 후 인발시 찢어지지 않으면서 제거되며, 콘크리트 침투에 의한 재료의 경화가 일어나지 않고, 반복사용에 필요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내부에 중공을 갖는 봉 형상의 막음재 본체와, 막음재 본체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공 삽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막음재 본체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밀착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막음재 본체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밀착홈과 원주방향으로 90도 각도를 가지고 제2 밀착홈이 더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막음재 본체는 고무 발포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고무 발포체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주원료한 발포체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EPDM을 주원료로 한 발포체는 EPDM 35~40 중량%,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공중합체 3~8중량%, 충전제 23~28중량%, 노화방지제 1~2중량%, 윤활제 15~20중량%, 가교제 1~2중량%, 가황촉진제 3~5중량% 및 발포제 5~10중량%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공 삽입체는 막음재 본체에 형성된 중공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중공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막음재 본체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고 막음재 본체의 위쪽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중공 삽입체는 막음재 본체 보다 경질의 고무 발포체 또는 플라스틱이나 철근 또는 강봉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막음재 본체는 이형필름으로 감싸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분리타설면에 이형필름으로 감싸진 막음재 본체를 설치하는 단계; 막음재 본체의 중공으로 중공 삽입체를 삽입하여 막음재 본체를 팽창시켜 이웃하는 막음재 본체를 밀착시키는 단계; 수직부재와 수직부재의 상부면에서 수평부재쪽으로 연장된 내민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수직부재와 내민 부분의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막음재를 빼내고 수평부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막음재 본체를 설치하기 전에 또는 수직부재와 내민 부분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막음재를 가로질러 지지하도록 수평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이질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있어 분리타설면(이음타설면)을 완벽하게 분리하여 시공이 되도록 하고, 타설 후에 막음재가 잔존하지 않아 성능이나 품질면에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를 분리타설함으로써 구조설계에 따라 효율적인 시공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경제적인 구조물이 형성되어 원가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분리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막음재 본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는 도 1에 제시된 막음재를 이용하여 기둥과 보를 분리타설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막음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7b는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 따른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를 도시한 것으로 (a)는 분리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막음재 본체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10a, 이하 간단히 '막음재'라고도 한다)는 내부에 중공(11a)을 갖는 봉 형상의 막음재 본체(11)와, 막음재 본체(11)의 중공(11a)에 삽입되는 중공 삽입체(12)로 구성된다.
막음재 본체(11)는 내부에 중공(11a)을 가지는 봉 형상, 다시 말해서 중공관 형상이 된다. 도 1에서는 외주면과 내주면이 모두 원형이 되어 단면 형상이 전체적으로 도넛형 또는 링형이 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막음재 본체(11)의 내주면과 외주면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상이 될 수 있고 내주면과 외주면의 형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이 되거나 조합된 형상이 될 수 있다. 즉, 외주면과 내주면이 모두 원형이 되거나 외주면은 원형이 되고 내주면은 사각형이 되는 등 서로 조합된 형상이 될 수 있다. 막음재 본체(11)의 내경과 외경 그리고 두께는 요구되는 막음재 본체(11)의 강도와 강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막음재 본체(11)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밀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제1 밀착홈(111)은 이웃하는 2개의 막음재(10b)가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1 밀착홈(111)의 형상은 막음재 본체(11)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제시된 실시예에서 막음재 본체(11)는 원형관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대응하여 제1 밀착홈(111)의 형상은 호형이 된다. 막음재(10b)가 1열로 설치되는 경우 도 4의 (a)에서와 같이 외주면에 1개의 제1 밀착홈(111)을 형성하는 것으로 충분하지만 2열로 설치되는 경우 다른 열에 배치되는 막음재(10b)와도 밀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제1 밀착홈(111)과 원주방향으로 90도 각도를 가지고 제2 밀착홈(1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제시된 실시예에 따른 막음재(10c)는 도 4의 (b)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열에 위치하는 막음재(10c) 사이도 보다 확실하게 밀착이 가능하다.
막음재 본체(11)는 철근과 철근 사이에 배치되어 막음재 본체(11) 사이 및 막음재 본체(11)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철근과도 완전히 밀착될 수 있는 탄성과 콘크리트 경화 후 해체과정에서 끊어지지 않는 충분한 인장강도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서 막음재 본체(11)는 요구되는 이러한 물성을 충족시키면서 내구성과 습기저항성을 가지는 고무 발포체로 제조될 수 있고 이 고무 발포체는 0.08~0.1g/㎤, 20~30N/㎠(KS M ISO 7214)의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무 발포체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주원료한 발포체가 될 수 있다. EPDM 발포체는 EPDM 35~40 중량%,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공중합체 3~8중량%, 충전제 23~28중량%, 노화방지제 1~2중량%, 윤활제 15~20중량%, 가교제 1~2중량%, 가황촉진제 3~5중량% 및 발포제 5~10중량%를 배합 및 교반하고 이를 압출 발포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EPDM 발포체에 있어서 EPDM을 35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막음재의 탄성이 저하된다.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공중합체(IIR, Isobutylene Isoprene copolymer; 부틸고무)는 막음재의 탄성 강화, 내오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함량은 3~8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제는 원가 절감 및 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카본 블랙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함량은 23~28중량%가 바람직하며 28중량%를 초과할 경우 탄성체의 고유성질을 잃을 수 있다.
노화방지제는 오존 균열 방지를 위한 것으로 1~2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윤활제는 각종 원료의 배합을 용이하게 하며 챔버의 감압 효과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화이트 오일, 고체 파라핀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함량은 15~2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발포된 EPDM 발포체의 셀의 강도를 높이며 고온에서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황이 사용되며 그 함량은 1~2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황촉진제는 가료를 하기 위한 가교 제어 역할을 하며 발포체의 스킨 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그 함량은 3~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제는 고무를 Close Cell 형태로 발포시키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은 5~10중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범위의 함량으로 교반된 원료는 숙성, 압출, 발포, 냉각 및 커팅의 공정을 거쳐 위에서 설명한 형상을 가지는 막음재 본체(11)를 구성하게 되고 막음재 본체(11)는 Close Cell 폼 구조가 되어 막음재의 사용시 요구되는 탄성, 인장강도, 내구성, 내오존성 및 내투습성을 갖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막음재 본체(11)는 흡수량(KS M 6962)이 1g/100㎠ 이하, 밀도 0.08~0.1g/㎤, 인장강도(KS M ISO 7214) 20~30N/㎠이다.
막음재 본체(11)의 중공(11a)에는 중공 삽입체(12)가 삽입된다. 중공 삽입체(12)는 막음재 본체(11)의 중공으로 삽입되어 막음재 본체(11)를 팽창(단면을 확대)시킴으로써 이웃하는 막음재 본체(11)가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중공 삽입체(12)를 통해 막음재 본체(11)가 확대됨으로써 수직으로 설치된 막음재 본체(11) 사이에 위치하는 철근을 막음재 본체(11)가 둘러싸 콘크리트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중공 삽입체(12)는 막음재 본체(11)에 형성된 중공(11a)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중공(11a)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져 삽입에 의해 막음재 본체(11)가 확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공 삽입체(12)는 막음재 본체(11)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져 콘크리트 경화 후 해체시 인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막음재 본체(11)의 위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손잡이(121)를 형성할 수 있다. 손잡이(121)는 중공 삽입체(12)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봉상 또는 판재가 결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손잡이(121)를 둠으로써 중공 삽입체(12)의 삽입 및 인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중공 삽입체(12)는 막음재 본체(11)의 중공(11a)으로 삽입되어 막음재 본체(11)를 확대시킬 수 있는 강도와 콘크리트 측압에 의해 막음재 본체가 꺽이지 않도록 하는 강성을 가지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공 삽입체(12)는 막음재 본체(11) 보다 경질의 고무 발포체 또는 플라스틱, 입수가 용이한 철근이나 강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막음재(10a,10b,10c)는 설치시 막음재 간의 틈을 최소화하고 콘크리트가 막음재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재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이형필름(13)에 의해 포장될 수 있다. 이형필름(13)으로는 0.2~0.4mm 두께를 갖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비닐화합물이 될 수 있고 형상은 봉지 형태가 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막음재를 이용하여 기둥과 보를 분리타설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는 도 1에 제시된 막음재(10a)를 이용하여 기둥과 보를 분리타설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막음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도 6a의 (a)에서와 같이 기둥과 보의 철근을 배근하고 거푸집을 조립한 상태에서 기둥과 보의 분리타설면(S; 기둥과 보의 강도 차이가 1.4배를 초과하는 경우 기둥의 상면으로부터 보쪽으로 600mm 연장된 부분)에 도 1에 제시된 막음재 본체(11)를 설치한다. 막음재 본체(11)는 보의 폭방향으로 일렬로 또는 2열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막음재 본체(11)는 도 4에 제시된 것처럼 이형필름(13)으로 감싸여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b)에서와 같이 막음재 본체(11)의 중공으로 중공 삽입체(12)를 삽입하여 막음재 본체(11)를 팽창시킨다. 이에 따라 철근의 간섭으로 인해 막음재 본체(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을 확실하게 메울 수 있고 더불어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의해 막음재 본체(11)가 휘거나 꺽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c)에서와 같이 기둥 콘크리트(20)와 보쪽으로 연장된 내민 부분(30)의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콘크리트 측압에 의해 막음재 본체(11)의 형태가 변형되면서 더욱 밀착되므로 막음재(10)에 의해 분리된 보쪽으로는 콘크리트가 흘러들어가지 않게 된다.
마지막으로, (d)에서와 같이 기둥 콘크리트(20)와 보쪽으로 연장된 내민 부분(30)의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막음재(10)를 빼내고 도 2의 (e)에서와 같이 보 콘크리트(40)를 타설한다.
한편, 콘크리트 측압에 의한 막음재(10a)의 꺽임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도 6b에 나타낸 것처럼 막음재 본체(11)를 설치하기 전에 또는 기둥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막음재(10a)를 가로질러 지지하도록 수평 보강재(15)를 설치할 수 있다. 수평 보강재(15)는 강재 띠판 또는 철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거푸집 판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5a, 5b를 참조하여 기둥과 보를 분리타설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기둥 이외에 수직부재로 내력벽이 사용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수평부재로 보 이외에 슬래브가 타설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a, 10b, 10c: 막음재
11: 막음재 본체
111: 제1 밀착홈
112: 제2 밀착홈
12: 중공 삽입체
13: 이형필름
121: 손잡이
20: 기둥 콘크리트
30 : 내민 부분 콘크리트
40: 보 콘크리트

Claims (11)

  1. 내부에 중공을 갖는 봉 형상의 막음재 본체와, 막음재 본체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공 삽입체를 포함하고,
    중공 삽입체는 막음재 본체에 형성된 중공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중공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며 막음재 본체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를 가지고 막음재 본체의 위쪽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막음재 본체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밀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막음재 본체의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제1 밀착홈과 원주방향으로 90도 각도를 가지고 제2 밀착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막음재 본체는 고무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고무 발포체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주원료한 발포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6. 청구항 5에 있어서,
    EPDM을 주원료로 한 발포체는 EPDM 35~40 중량%, 이소부틸렌 이소프렌 공중합체 3~8중량%, 충전제 23~28중량%, 노화방지제 1~2중량%, 윤활제 15~20중량%, 가교제 1~2중량%, 가황촉진제 3~5중량% 및 발포제 5~1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중공 삽입체는 막음재 본체 보다 경질의 고무 발포체 또는 플라스틱이나 철근 또는 강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9. 청구항 1에 있어서,
    막음재 본체는 이형필름으로 감싸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10.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분리타설면에 이형필름으로 감싸진 청구항 1에 기재된 막음재 본체를 설치하는 단계;
    막음재 본체의 중공으로 중공 삽입체를 삽입하여 막음재 본체를 팽창시켜 이웃하는 막음재 본체를 밀착시키는 단계;
    수직부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및
    수직부재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막음재를 빼내고 수평부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막음재 본체를 설치하기 전에 또는 수직부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막음재를 가로질러 지지하도록 수평 보강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KR1020110011003A 2011-02-08 2011-02-08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KR101050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03A KR101050947B1 (ko) 2011-02-08 2011-02-08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003A KR101050947B1 (ko) 2011-02-08 2011-02-08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0947B1 true KR101050947B1 (ko) 2011-07-20

Family

ID=4492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003A KR101050947B1 (ko) 2011-02-08 2011-02-08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94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644B1 (ko) * 2015-07-27 2016-04-04 배용웅 콘크리트타설 이동칸막이 폼
CN106703189A (zh) * 2017-01-06 2017-05-24 中建七局(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梁柱节点处不同标号砼分隔网板施工方法
KR101868287B1 (ko) 2017-08-02 2018-06-15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190014455A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190000388U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
KR20200102871A (ko) 2019-02-22 2020-09-0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공기주입형 막음재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 방법
KR20200107369A (ko) * 2019-03-07 2020-09-16 폼으로 주식회사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KR102300727B1 (ko) * 2020-09-25 2021-09-10 허재봉 콘크리트 타설막이용 블럭폼 및 블럭폼의 다공성 탄성체 블럭 조립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060A (ja) * 1993-09-28 1995-04-04 Fujita Corp 土間コンクリート打継部の施工方法
KR20090052441A (ko) * 2007-11-21 2009-05-26 박동수 콘크리트 이어치기 및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의 차단봉
KR20100053177A (ko) * 2008-11-12 2010-05-20 (주)이랜드건설 핸드드릴용 작업길이 연장기구
KR101006927B1 (ko) 2008-05-22 2011-01-10 방중배 몰탈 사춤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060A (ja) * 1993-09-28 1995-04-04 Fujita Corp 土間コンクリート打継部の施工方法
KR20090052441A (ko) * 2007-11-21 2009-05-26 박동수 콘크리트 이어치기 및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의 차단봉
KR101006927B1 (ko) 2008-05-22 2011-01-10 방중배 몰탈 사춤기
KR20100053177A (ko) * 2008-11-12 2010-05-20 (주)이랜드건설 핸드드릴용 작업길이 연장기구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644B1 (ko) * 2015-07-27 2016-04-04 배용웅 콘크리트타설 이동칸막이 폼
CN106703189A (zh) * 2017-01-06 2017-05-24 中建七局(上海)有限公司 一种基于bim的梁柱节点处不同标号砼分隔网板施工方法
KR101868287B1 (ko) 2017-08-02 2018-06-15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190014455A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190014456A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190000388U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
KR20190014457A (ko) 2017-08-02 2019-02-12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200102871A (ko) 2019-02-22 2020-09-01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공기주입형 막음재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 방법
KR102212307B1 (ko) 2019-02-22 2021-02-0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고강도 콘크리트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공기주입형 막음재 및 이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 방법
KR20200107369A (ko) * 2019-03-07 2020-09-16 폼으로 주식회사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KR102212818B1 (ko) * 2019-03-07 2021-02-04 폼으로주식회사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KR102300727B1 (ko) * 2020-09-25 2021-09-10 허재봉 콘크리트 타설막이용 블럭폼 및 블럭폼의 다공성 탄성체 블럭 조립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947B1 (ko)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US20150040505A1 (en) Precast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KR101372749B1 (ko) 복합 구조의 다성능 기능 지수판
KR101986990B1 (ko) 외단열 공법 및 그에 따른 외단열 벽체
KR20090101966A (ko) 개선된 바닥 패널
KR101963836B1 (ko)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US20160312460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thermal decoupling of concrete building parts
CN107558656A (zh) 一种一体成型的轻体墙及其制作方法
KR101349297B1 (ko) 보강철근에 의한 부분 보강 구조의 콘크리트 합성 강관말뚝 및 그 제작방법
KR20150025554A (ko) 누수방지형 건축용 pc벽체구조물
KR101669417B1 (ko)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EP3751068B1 (de) Dehnungsfugenband zur aktiven, selbsttätigen, dauerhaften abdichtung von fugen zwischen bauwerksteilen
CN211572188U (zh) 一种防漏浆叠合板模组
KR102170635B1 (ko) 비용절감형 중공pc 바닥판넬
KR101673823B1 (ko) 옹벽 시스템
JP4968972B2 (ja) 水平スリット材を用いた外壁の施工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20190142639A (ko) 전단 철근이 압축 부재를 관통하는 열교 차단 단열재
KR101665909B1 (ko)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
JP2009167778A (ja) 外構塀
KR100336870B1 (ko) 바 연결용 슬리브를 이용한 벽체의 시공방법
KR101742775B1 (ko) 스틸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매립형 보수/보강공법
KR20120067897A (ko)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CN205369651U (zh) 一种组合空心砌块
KR20080005134U (ko) 옹벽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KR101026131B1 (ko) 건물의 슬라브에 매설되는 중공 스페이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