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818B1 -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818B1
KR102212818B1 KR1020190026388A KR20190026388A KR102212818B1 KR 102212818 B1 KR102212818 B1 KR 102212818B1 KR 1020190026388 A KR1020190026388 A KR 1020190026388A KR 20190026388 A KR20190026388 A KR 20190026388A KR 102212818 B1 KR102212818 B1 KR 102212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ouring
barrier
loss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369A (ko
Inventor
조성태
Original Assignee
폼으로주식회사
조성태
짱꽝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폼으로주식회사, 조성태, 짱꽝저 filed Critical 폼으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6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81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65Stop-end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나 보 등의 구조부재 축조를 위한 주조방식의 콘크리트 타설에서 공사일정이나 양생, 그리고 가설재의 수급 또는 내력구조의 균형유지를 위해 콘크리트 구분 타설 시 타설 면적의 가름과 유실이 방지되게 하는 콘크리트 이어 붓기 가로막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하게 되는데, 상ㆍ하부 철근들이 교차방향에서 중첩적으로 배근되며 단위판재들이 연속 조립되어 여러 개의 서포트들이 떠받치고 주조방식의 콘크리트 타설로 건축 구조부재 축조를 위하여 가설된 거푸집 내에서 콘크리트 구분 타설 시 전ㆍ후 타설 면적 가름과 전 타설 면적 콘크리트의 유실방지 구조로 가로 건너 설치되는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로서,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 경계선 전장길이에서 소단위로 연이어 조립 설치되고 몸체 길이방향 밑에서부터 상향 연장 설치되어 상ㆍ하부 철근들 중 어느 하나의 삽입을 허용하는 수용홈들에 의한 분기로 다수의 분지관들이 병렬로 구비되는 장방체의 단위튜브 및 단위튜브의 상면 양측으로 설치되어 인접하는 단위튜브들과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해 일시적으로 압축공기의 흡ㆍ배기를 위한 입구 및 출구가 포함되어서, 간단한 시공으로 타설 면적의 완벽한 가름과 콘크리트 유실이 확고하게 방지되는 차단벽을 이루게 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Barrier for concrete pour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나 보 등의 구조부재 축조를 위한 주조방식의 콘크리트 타설에서 공사일정이나 양생, 그리고 가설재의 수급 또는 내력구조의 균형유지를 위해 구분 타설 시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주조방식으로 축조되는 건축물의 시공은 대략 설계에 따라 슬래브나 보 등의 구조부재 축조를 위한 가설재 설치, 즉 단위판재들이 연이어 조립되어 여러 개의 서포트들로 떠받쳐 이룬 거푸집을 가설한 후, 시공계획에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소정의 양생과정을 거치어 건축물이 축조된다.
건축물의 축조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은 공사일정이나 양생 또는 가설재들의 수급 및 내력구조 균형유지를 위해 필수적으로 구분 타설, 즉 구조내력이나 내구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현장품질 및 안전관리 지침의 시공계획도에 따라 타설 면적이 구획되어 콘크리트 이어 붓기(시공접합)방식으로 소기의 전ㆍ후 구분 타설작업을 이루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분 타설의 콘크리트 이어 붓기에서는 전ㆍ후 타설 면적 가름과 전 타설면적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보존 또는 누출방지를 위한 가로막이가 거푸집 내에서 가로 건너 설치되고 있는데, 그러한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는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다.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는 대략 구조부재의 보강물인 상ㆍ하부 철근들이 교차방향에서 중첩적으로 배근되는 콘크리트의 타설 층 바닥으로부터 그 표면에 걸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과 전 타설 면적 콘크리트의 보존 또는 유실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한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는 주로 금속재의 관형 또는 플라스틱이나 발포성 수지제로 이루는 신축성의 봉형으로 이루는 차단부재들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로막이는 크게 나누어 구분 타설 면적의 단면 폭방향에서 일정길이로 설치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길이교차방향에서 관통하여 상ㆍ하측으로 오르고 내리며 인접 측과 밀접되어 연속 배치되는 차단부재들로 이루고 있다.
이렇게 구성된 가로막이는 거푸집 내에서의 콘크리트 구분 타설 경계선의 타설 층 바닥으로부터 표면에 걸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보존 또는 유실 차단벽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가로막이 설치 시 중첩적으로 배근되는 상ㆍ하부 철근들과의 교접이 일어나 불가피하게 가로막이의 차단부재를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 그 제거된 부분을 별도의 차단재로 마감 처리하여야 하는 보충작업이 요구되어 작업성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가로막이의 차단부재들은 그 상부측으로 가로설치되는 프레임의 결속력에 의존되어 인접 측과의 밀접상태가 유지되고 있는데, 프레임으로부터 원거리의 차단부재 하부 측은 결속력이 없는 자유 단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압력이 작용하면 가로막이 차단부재들의 하부에서 틈이 발생하는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또 이러한 가로막이 하부에서의 틈새는 콘크리트의 유실이 초래되어 콘크리트 밀도의 불균형이나 공극이 발생하고 따라 콘크리트 타설 불량의 주요인이 되는 등의 많은 문제가 따르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58594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07367호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상ㆍ하부 철근들 중 어느 하나의 삽입을 허용하는 수용홈들에 의해 분기되어 압축공기의 충전으로 팽창하는 가변형의 분지관들이 구비되는 가로막이로 콘크리트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과 전 타설 면적 콘크리트의 유실이 방지되게 함으로서, 설치가 간편 용이하고 분지관들에서의 압축공기 충전에 의한 상호 팽창으로 철근들 주위가 메워져 완벽한 타설 면적의 가름과 콘크리트 유실이 확고히 방지되게한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슬래브나 보 등의 구조부재 축조를 위한 주조방식의 콘크리트 타설에서 공사일정이나 양생, 그리고 가설재의 수급 또는 내력구조의 균형유지를 위해 콘크리트 구분 타설 시 타설 면적의 가름과 유실이 방지되게 하는 콘크리트 이어 붓기 가로막이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ㆍ하부 철근들이 교차방향에서 중첩적으로 배근되며, 단위판재들이 연속 조립되어 여러 개의 서포트들이 떠받치고 주조방식의 콘크리트 타설로 건축 구조부재 축조를 위해 가설된 거푸집 내에서 콘크리트 구분 타설을 위해 전ㆍ후 타설 면적 가름과, 전 타설 면적 콘크리트의 유실방지 구조로 가로 건너 설치되는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로서,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 경계선 전장길이에서 소단위로 연이어 조립 설치되고 몸체의 길이방향 밑에서부터 상향 연장 설치되어 상ㆍ하부 철근들 중 어느 하나의 삽입을 허용하는 수용홈들에 의한 분기로 다수의 분지관들이 병렬로 구비된 장방체의 단위튜브 및 단위튜브의 상면 양측으로 설치되어 인접하는 단위튜브들과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해 일시적으로 압축공기의 흡ㆍ배기를 위한 입구 및 출구를 포함하여서, 간단한 시공으로 타설 면적의 완벽한 가름과 콘크리트 유실이 확고하게 방지되는 차단벽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에 의하면, 설치가 간편 용이하고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이 완벽하고, 콘크리트의 유실이 없는 확고하고도 안정된 차단벽을 이루어 콘크리트 타설 불량발생을 완전제거하고 작업성은 물론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가 적용된 모습을 보여 주는 건축 구조부재 축조를 위한 시공도로서, 콘크리트 구분 타설을 위해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과 전 타설 면적에 콘크리트의 유실이 방지되게 가로막이가 설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를 보여 주는 투시도.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발췌하여 보여주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의 (a)(b)는 도 3의 B-B 선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로 본 발명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의 시공과정을 보인 설명이다.
(a)는 가로막이가 철근이 배근 된 거푸집 내에서 콘크리트 구분 타설
을 위해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과 전 타설 면적 콘크리트의 유실 방지 구조로 설치를 위한 예비단계의 모습이고,
(b)는 가로막이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과 전
콘크리트의 유실방지 구조로 설치된 모습이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가 적용된 건축 구조부재의 축조 모습과 가로막이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슬래브나 보 등의 구조부재 축조를 위한 주조방식의 콘크리트 타설에서 공사일정이나 양생, 그리고 가설재의 수급 또는 내력구조의 균형유지를 위해 콘크리트 구분 타설 시 타설 면적의 가름과 유실이 방지되게 하는 콘크리트 이어 붓기 가로막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10은 가설재이다. 이 가설재(10)는 설계에 따라 건축 구조부재(20)의 슬래브(22)나 보(24) 등의 축조를 위한 가설물로서, 단위판재들(12a)이 연이어 조립되어 여러 개의 서포트들(14)로 떠받쳐 이룸과 아울러, 그 내부로 상ㆍ하부 철근들(13)이 교차방향에서 중첩적으로 배근되는 거푸집(12)을 가설한 후 시공계획에 따라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소정의 양생과정을 거치어 건축물이 축조된다.
이러한 건축물의 축조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은 공사일정이나 양생 또는 가설재들의 수급 및 내력구조 균형유지를 위하여 구조내력이나 내구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현장품질 및 안전관리 지침의 시공계획도에 따라 타설 면적이 구획되어 가로막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이어 붓기로 소기의 전ㆍ후 구분 타설작업을 이루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로막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이어 붓기는 종래와 동일한 것이고, 본 발명에서의 핵심적인 기술은 거푸집(12) 내에서 콘크리트 구분 타설을 위해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과 전 타설 면적 콘크리트의 유실방지 구조로 가로 건너 설치되어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의 구조 혁신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가로막이(30)는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 경계선 전장길이에서 몸체가 소단위로 나눠 이룬 장방체의 단위튜브들(32)로 연이어 조립 설치될 것이다.
단위튜브(32)는 그 몸체의 길이방향 밑으로부터 상향 연장 설치되어 상ㆍ하부 철근들(13) 중 어느 하나의 삽입을 허용하는 수용홈들(32a)에 의한 분기로 이루는 빗발형태의 다수 분지관들(32b)이 병렬로 배치되고 있다. 이때 단위튜브(32)의 높이는 구조부재(20)의 슬래브(22) 두께보다는 높고, 수용홈(32a)은 슬래브(22) 두께 내에서 최상부 철근들(13)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이러한 단위튜브(32)의 분지관들(32b)은 수용홈들(23a)에 의한 분기로 하여 상ㆍ하부 철근들(13)에 교차방향에서의 삽입 허락과 아울러, 이후에 설명할 압축공기의 팽창으로 인접 측과 맞대져 구분 타설의 가름 및 콘크리트 유실을 방지하는 가변형의 막음재이다.
단위튜브(32)의 상면 양측으로는 인접하는 단위튜브(32)와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해 일시적으로 압축공기의 흡ㆍ배기를 위한 입구(32-1) 및 출구(32-2)를 갖는다. 이때 단위튜브(32)의 입ㆍ출구(32-1,32-2)는 가로막이(30)의 최 선단 또는 최 후단에서 압축공기의 충전이 완료되면 별도의 마개로 차단시킨다.
이렇게 구성되는 단위튜브(32)는 합성섬유 또는 비교적 경질의 합성수지제로 이루어 재사용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단위튜브(32)의 수용홈들(32a)은 인접 측 분지관들(32b)에서의 압축공기 충전에 의한 상호 팽창으로 메워져 콘크리트 구분 타설을 위한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과 콘크리트 유실이 완벽하게 방지되는 확고한 차단벽을 이루게 될 것이다.
도 4의 (a)(b)를 참조하여 본 발명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30)의 시공과정을 설명하겠다.
도 4의 (a)는 가로막이(30)를 철근(13)이 배근 된 거푸집(12) 내에서 콘크리트 구분 타설을 위해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과 전 타설 면적 콘크리트의 유실 방지 구조로 가설시키기 위한 예비단계의 모습으로서, 가로막이(30)의 단위튜브들(32)은 거푸집(12) 내의 철근들(13) 중 어느 하나를 수용홈(32a)이 받아드리면서 그 철근들(13)에 교차방향인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4의 (b)는 가로막이(30)의 단위튜브(32)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과 전 콘크리트의 유실방지 구조로 가설이 완료된 모습으로서, 단위튜브(32)의 수용홈들(32a)은 인접 측 분지관들(32b)에서의 압축공기 충전에 의한 상호 팽창으로 철근들(13) 주위가 메워져 타설 면적의 가름과 콘크리트 유실이 완벽하게 방지되는 확고한 차단벽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 할 것이다.
30: 가로막이
32: 단위튜브
32a: 수용홈
32b: 분지관
32-1: 입구
32-2: 출구

Claims (3)

  1. 상ㆍ하부 철근들이 교차방향에서 중첩적으로 배근되며, 단위판재들이 연속 조립되어 여러 개의 서포트들이 떠받치고 주조방식의 콘크리트 타설로 건축 구조부재 축조를 위하여 가설된 거푸집 내에서 콘크리트 구분 타설 시 전ㆍ후 타설 면적 가름과 전 타설 면적 콘크리트의 유실방지 구조로 가로 건너 설치되는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로서,
    상기 전ㆍ후 타설 면적의 가름 경계선 전장길이에서 소단위로 연이어 조립 설치되고, 몸체의 길이방향 밑에서부터 상향 연장 설치되어 상기 상ㆍ하부 철근들 중 어느 하나의 삽입을 허용하는 수용홈들에 의한 분기로 다수의 분지관들이 병렬로 구비되는 장방체의 단위튜브; 및
    상기 단위튜브의 상면 양측으로 설치되어 인접하는 상기 단위튜브들과의 연속적인 결합에 의해 일시적으로 압축공기의 흡ㆍ배기를 위한 입구 및 출구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튜브의 수용홈들은 인접 측 분지관들에서의 압축공기 충전에 의한 상호 팽창으로 메워지게 된 것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KR1020190026388A 2019-03-07 2019-03-07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KR102212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388A KR102212818B1 (ko) 2019-03-07 2019-03-07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388A KR102212818B1 (ko) 2019-03-07 2019-03-07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369A KR20200107369A (ko) 2020-09-16
KR102212818B1 true KR102212818B1 (ko) 2021-02-04

Family

ID=7267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388A KR102212818B1 (ko) 2019-03-07 2019-03-07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8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6244A (zh) * 2022-07-18 2022-09-30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高低标号混凝土拦截装置及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281A (ja) 1999-11-04 2001-07-17 Shimizu Corp コンクリート打ち継ぎ用仕切板
KR100923499B1 (ko) 2007-09-07 2009-10-27 (주)대하엠에스 안전 에어펜스
KR101050947B1 (ko) * 2011-02-08 2011-07-20 (주)하이코리아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KR101878106B1 (ko) * 2017-11-30 2018-07-12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콘크리트 누출을 방지하는데 최적화된 콘크리트 타설막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826A (ko) * 1996-08-24 1998-05-25 최훈 철근콘크리트 보의 이어치기 시공방법
KR101585942B1 (ko) 2014-09-03 2016-01-18 신영산업개발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용 마감부재
KR101868288B1 (ko) 2017-07-12 2018-06-15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부재와 차단판을 가지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3281A (ja) 1999-11-04 2001-07-17 Shimizu Corp コンクリート打ち継ぎ用仕切板
KR100923499B1 (ko) 2007-09-07 2009-10-27 (주)대하엠에스 안전 에어펜스
KR101050947B1 (ko) * 2011-02-08 2011-07-20 (주)하이코리아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KR101878106B1 (ko) * 2017-11-30 2018-07-12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콘크리트 누출을 방지하는데 최적화된 콘크리트 타설막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369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097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CN110777983A (zh) 一种混凝土填充墙与现浇结构同步施工结构及方法
KR20140047118A (ko) 교량을 위한 기초 시스템
CN105507476B (zh) 一种连拱形屋面的施工方法
KR20090013830A (ko) 구조요소 및 그 사용방법
KR20130113315A (ko) 건축 구조체
CN103797197A (zh) 预铸整体式墙与楼板的建筑结构
KR101903628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04790302A (zh) 一种高墩连续刚构桥边跨直线段挂篮配合盖梁支架整体施工法
EP0289261A2 (en) Concrete screed rails
CN205669281U (zh) 一种现浇整体式混凝土框架填充墙体系
US8827235B1 (en) Concrete form for building foundation construction with form insert creating recessed sections
KR102212818B1 (ko) 콘크리트 이어 붓기를 위한 가로막이
KR101627279B1 (ko) 편토압 보강 라멘교 및 이의 시공 방법
CA2501018C (en) Concrete arch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1456105B (zh) 地下车库底板后浇带施工方法
EP0825307A1 (en) Concrete wing floor element
CN105926807A (zh) 一种现浇整体式混凝土框架填充墙体系及其施工方法
KR101534641B1 (ko) 건축물 지하 시공 방법
US4228625A (en) Construction system
CN212388856U (zh) 预应力现浇清水混凝土斜柱结构
WO2016086948A1 (en) The modified hollow core slabs
CN211499326U (zh) 一种混凝土填充墙与现浇结构同步施工结构
KR20080023577A (ko) 트러스 합성 데크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KR101998394B1 (ko) 상부 구조물과 합성되는 중공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와 이를 포함하는 교량 및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