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7118A - 교량을 위한 기초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을 위한 기초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7118A KR20140047118A KR1020147003246A KR20147003246A KR20140047118A KR 20140047118 A KR20140047118 A KR 20140047118A KR 1020147003246 A KR1020147003246 A KR 1020147003246A KR 20147003246 A KR20147003246 A KR 20147003246A KR 20140047118 A KR20140047118 A KR 201400471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cast
- unit
- concrete
- concrete foundation
- channe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2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88 roug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JFMNPFATSYWHB-UHFFFAOYSA-N AC1L9HGR Chemical compound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MzAwcHgnIGhlaWdodD0nMzAwcHgnIHZpZXdCb3g9JzAgMCAzMDAgMzAwJz4KPCEtLSBFTkQgT0YgSEVBREVSIC0tPgo8cmVjdCBzdHlsZT0nb3BhY2l0eToxLjA7ZmlsbDojRkZGRkZGO3N0cm9rZTpub25lJyB3aWR0aD0nMzAwLjAnIGhlaWdodD0nMzAw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dGV4dCB4PSc1OC4zJyB5PScxNzAuMCcgY2xhc3M9J2F0b20tMCcgc3R5bGU9J2ZvbnQtc2l6ZTo0MHB4O2ZvbnQtc3R5bGU6bm9ybWFsO2ZvbnQtd2VpZ2h0Om5vcm1hbDtmaWxsLW9wYWNpdHk6MTtzdHJva2U6bm9uZTtmb250LWZhbWlseTpzYW5zLXNlcmlmO3RleHQtYW5jaG9yOnN0YXJ0O2ZpbGw6IzNCNDE0MycgPkY8L3RleHQ+Cjx0ZXh0IHg9Jzg1LjknIHk9JzE3MC4wJyBjbGFzcz0nYXRvbS0wJyBzdHlsZT0nZm9udC1zaXplOjQwcHg7Zm9udC1zdHlsZTpub3JtYWw7Zm9udC13ZWlnaHQ6bm9ybWFsO2ZpbGwtb3BhY2l0eToxO3N0cm9rZTpub25lO2ZvbnQtZmFtaWx5OnNhbnMtc2VyaWY7dGV4dC1hbmNob3I6c3RhcnQ7ZmlsbDojM0I0MTQzJyA+ZTwvdGV4dD4KPHRleHQgeD0nMTk0LjYnIHk9JzE3MC4wJyBjbGFzcz0nYXRvbS0xJyBzdHlsZT0nZm9udC1zaXplOjQwcHg7Zm9udC1zdHlsZTpub3JtYWw7Zm9udC13ZWlnaHQ6bm9ybWFsO2ZpbGwtb3BhY2l0eToxO3N0cm9rZTpub25lO2ZvbnQtZmFtaWx5OnNhbnMtc2VyaWY7dGV4dC1hbmNob3I6c3RhcnQ7ZmlsbDojM0I0MTQzJyA+RjwvdGV4dD4KPHRleHQgeD0nMjIyLjInIHk9JzE3MC4wJyBjbGFzcz0nYXRvbS0xJyBzdHlsZT0nZm9udC1zaXplOjQwcHg7Zm9udC1zdHlsZTpub3JtYWw7Zm9udC13ZWlnaHQ6bm9ybWFsO2ZpbGwtb3BhY2l0eToxO3N0cm9rZTpub25lO2ZvbnQtZmFtaWx5OnNhbnMtc2VyaWY7dGV4dC1hbmNob3I6c3RhcnQ7ZmlsbDojM0I0MTQzJyA+ZTwvdGV4dD4KPC9zdmc+Cg== data:image/svg+xml;base64,PD94bWwgdmVyc2lvbj0nMS4wJyBlbmNvZGluZz0naXNvLTg4NTktMSc/Pgo8c3ZnIHZlcnNpb249JzEuMScgYmFzZVByb2ZpbGU9J2Z1bGwnCiAgICAgICAgICAgICAgeG1sbnM9J2h0dHA6Ly93d3cudzMub3JnLzIwMDAvc3ZnJwogICAgICAgICAgICAgICAgICAgICAgeG1sbnM6cmRraXQ9J2h0dHA6Ly93d3cucmRraXQub3JnL3htbCcKICAgICAgICAgICAgICAgICAgICAgIHhtbG5zOnhsaW5rPSdodHRwOi8vd3d3LnczLm9yZy8xOTk5L3hsaW5rJwogICAgICAgICAgICAgICAgICB4bWw6c3BhY2U9J3ByZXNlcnZlJwp3aWR0aD0nODVweCcgaGVpZ2h0PSc4NXB4JyB2aWV3Qm94PScwIDAgODUgODUnPgo8IS0tIEVORCBPRiBIRUFERVIgLS0+CjxyZWN0IHN0eWxlPSdvcGFjaXR5OjEuMDtmaWxsOiNGRkZGRkY7c3Ryb2tlOm5vbmUnIHdpZHRoPSc4NS4wJyBoZWlnaHQ9Jzg1LjAnIHg9JzAuMCcgeT0nMC4wJz4gPC9yZWN0Pgo8dGV4dCB4PSc4LjQnIHk9JzUzLjYnIGNsYXNzPSdhdG9tLTAnIHN0eWxlPSdmb250LXNpemU6MjN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MzQjQxNDMnID5GPC90ZXh0Pgo8dGV4dCB4PScyNC40JyB5PSc1My42JyBjbGFzcz0nYXRvbS0wJyBzdHlsZT0nZm9udC1zaXplOjIzcHg7Zm9udC1zdHlsZTpub3JtYWw7Zm9udC13ZWlnaHQ6bm9ybWFsO2ZpbGwtb3BhY2l0eToxO3N0cm9rZTpub25lO2ZvbnQtZmFtaWx5OnNhbnMtc2VyaWY7dGV4dC1hbmNob3I6c3RhcnQ7ZmlsbDojM0I0MTQzJyA+ZTwvdGV4dD4KPHRleHQgeD0nNDcuMCcgeT0nNTMuNicgY2xhc3M9J2F0b20tMScgc3R5bGU9J2ZvbnQtc2l6ZToyM3B4O2ZvbnQtc3R5bGU6bm9ybWFsO2ZvbnQtd2VpZ2h0Om5vcm1hbDtmaWxsLW9wYWNpdHk6MTtzdHJva2U6bm9uZTtmb250LWZhbWlseTpzYW5zLXNlcmlmO3RleHQtYW5jaG9yOnN0YXJ0O2ZpbGw6IzNCNDE0MycgPkY8L3RleHQ+Cjx0ZXh0IHg9JzYzLjAnIHk9JzUzLjYnIGNsYXNzPSdhdG9tLTEnIHN0eWxlPSdmb250LXNpemU6MjNweDtmb250LXN0eWxlOm5vcm1hbDtmb250LXdlaWdodDpub3JtYWw7ZmlsbC1vcGFjaXR5OjE7c3Ryb2tlOm5vbmU7Zm9udC1mYW1pbHk6c2Fucy1zZXJpZjt0ZXh0LWFuY2hvcjpzdGFydDtmaWxsOiMzQjQxNDMnID5lPC90ZXh0Pgo8L3N2Zz4K [Fe].[Fe] NJFMNPFATSYW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700050571 SUOX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746 Structural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23 axial leng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80 dens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40 gr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33 re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bstract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조합으로 형성된 기초 구조물을 이용하는 교량 시스템이 제공된다.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구성하는 방법은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는 세장형 직립벽 부재들을 및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을 건설 현장에서 수용하는 단계와, 원하는 사용 위치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이 원하는 사용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채널 내에 콘크리트를 전달하는 단계와, 세장형 직립벽 부재들이 현장 경화 콘크리트 및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현장 경화 콘크리트에 연결되도록 콘크리트를 현장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교량 유닛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교량 유닛의 저부를 매립하기 위해 타설 단계 전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2년 4월 25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637,922호 및 2011년 7월 8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 61/505,564호의 이득을 청구하며, 이들은 본원에서 참고로 합체되어 있다.
기술 분야
본 출원은 구조, 교량 및 토질 공학의 일반적인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오버필드 아치(overfilled arches) 및 다른 교량 구조를 위한 기초(foundation)의 특정 분야에 관한 것이다.
오버필드 교량 구조물은 빈번히 프리캐스트(precast) 또는 현장 타설(cast-in-place) 보강 콘크리트로 형성되고, 수로, 교통 루트일 수 있는 제 2 경로 상에 제 1 경로를 지지하기 위한 교량의 경우에, 또는 다른 구조물, 저장 공간 등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용어 "오버필드 교량(overfilled bridge)"은 본 명세서의 교시로부터 이해될 것이고,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오버필드 교량은 기초 위에 놓인 교량 요소 또는 유닛으로 형성된 교량이고 구조물을 지지하고 안정화하기 위해 그 위에 그리고 그 둘레에 놓인 토양 등을 갖고, 교량의 경우에 제 1 경로의 표면을 제공한다.
과거에, 오버필드 교량 구조물의 교량 유닛은 구조물의 양 측면의 저부에 준비된 기초 위에 놓이도록 구성되어 왔다. 아치[백필 재료(backfill material)]의 측면에서 충전 재료는 구조물이 상부로부터 부하를 받을 때 구조물의 외향 변위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미리 사용된 기초는 통상적으로 현장 타설되어, 상당한 현장 준비 및 제조 시간 및 노동을 필요로 하고, 기초 준비를 건축 프로세스의 매우 날씨에 영향을 받는 단계가 되게 한다.
제조성, 설치 및 교량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지지하는 능력에 대한 장점을 갖는 기초 구조물, 시스템 및 방법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부분을 참조하여 사용될 때 용어 "프리캐스트" 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부분의 콘크리트가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부분이 사용을 위해 설치될 건축 현장 또는 다른 설치/사용 위치로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부분의 전달 전에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부분을 생성하도록 타설되어 경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부분을 참조하여 사용될 때 용어 "현장 타설"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부분의 콘크리트가 구조물 또는 구조물의 부분의 설치/사용 위치에서 타설되어 경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용어 "콘크리트"는 전통적인 콘크리트 뿐만 아니라 그 내부에 합체된 플라스틱/폴리머 또는 수지를 갖는 또는 그 내부에 합체된 파이버 또는 다른 재료를 갖는 콘크리트 조성물과 같은 변형을 의미한다.
제 1 양태에서, 교량 시스템은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및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기초 구조물을 포함한다.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기초 구조물은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는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및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있고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내부 및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각각에 속박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한다.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로부터 이격되고 그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는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및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있고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내부 및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각각에 속박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한다. 시스템은 다수의 교량 유닛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교량 유닛의 각각은 제 1 저부 부분 및 제 1 저부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 2 저부 부분을 갖고, 제 1 저부 부분은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고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고, 제 2 저부 부분은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고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다.
제 1 양태에서,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은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제 1 양태에서,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로 측방향으로 연장하여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다수의 이격된 셀을 형성할 수 있고,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각각의 셀 내에 위치되고,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로 측방향으로 연장하여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다수의 이격된 셀을 형성할 수 있고,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각각의 셀 내에 위치된다.
제 1 양태에서,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셀들의 각각은 상부 및 저부의 모두에서 개방될 수 있고,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상부로부터 저부로 각각의 셀을 실질적으로 폐쇄할 수 있고,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셀들의 각각은 상부 및 저부의 모두에서 개방될 수 있고,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상부로부터 저부로 각각의 셀을 실질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제 1 양태에서, 수용 채널이 제 1 및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정상부에 위치되어 다수의 교량 유닛 중 제 1 및 제 2 저부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양태에서, 수용 채널은 (i) 지지체 내에 형성된 리세스 또는 지지체 상에 장착된 채널 부재를 포함하고, (ii) U형 또는 L형을 갖고 그리고/또는 (iii) 채널 내에 완전히 있고 또는 채널 내로부터 세장형 직립벽 중 하나로 연장하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제 1 양태에서, 각각의 교량 유닛의 저부 부분의 외부측에서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내부측에서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외부측에서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그 외부측에서 저부 부분을 매립하도록 교량 유닛 저부 부분의 저부면보다 높을 수 있고, 내부측에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저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일 수 있다.
제 1 양태에서, 다수의 지지체들의 적어도 일부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타설 중에 하나의 셀로부터 지지체를 통해 다른 셀로 유동하게 허용하기 위해 셀로부터 셀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유동 개구는 그 내부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한다. 더욱이, 다수의 지지체들의 적어도 일부는 셀로부터 셀로 연장하는 다수의 보강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보강 개구는 유동 개구보다 작고, 보강재는 셀로부터 셀로 보강 개구의 각각을 통해 연장할 수 있고,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는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양태에서,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일 단부에 있는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보강재는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으로부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내로 연장하고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다. 보강재는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으로부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로 연장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의 저부는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의 상부보다 넓을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구성하는데 사용을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이 제공되고,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포함하고,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로 측방향으로 연장하여, (i) 채널의 길이를 따라 다수의 이격된 셀을 형성하고, (ii)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를 단단히 연결하고, 다수의 셀들의 각각은 상부 및 저부의 모두에서 개방되고, 수용 채널이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정상부에 위치되고, 다수의 지지체들의 적어도 일부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타설 중에 하나의 셀로부터 지지체를 통해 다른 셀로 유동하게 하기 위해 셀로부터 셀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개구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교량 설치 현장에 위치된 조합 프리캐스트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이 제공되고,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으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채널 내에 위치되고 채널 외부로 그리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상부로 상향으로 연장하는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으로서,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의 상부면은 그 내부에 리세스 또는 그 상부에 채널 부재를 포함하는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과, 채널 내에 있고, (i)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내부 및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각각에 속박되고, (ii)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에 속박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구성하는 방법은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는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을 건설 현장에서 수용하는 단계와, 건축 현장의 원하는 사용 위치에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와,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이 원하는 사용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콘크리트를 전달하는 단계와, 제 1 및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각각이 현장 경화 콘크리트 및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 및 현장 경화 콘크리트 및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현장 경화 콘크리트에 연결되도록 콘크리트를 현장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 양태의 일 구현예에서,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로 측방향으로 연장하여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다수의 이격된 셀을 규정하고, 전달 단계는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각각의 셀 내로 콘크리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 양태의 일 구현예에서,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셀들의 각각은 상부 및 저부의 모두에서 개방되고, 현장 경화 콘크리트는 상부로부터 저부로 각각의 셀을 실질적으로 폐쇄한다.
상기 방법 양태의 일 구현예에서, 전달 단계 전에 프리캐스트 받침대 유닛 또는 교량 유닛 중 하나는 다수의 지지체 상의 채널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고, 현장 경화 단계 중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 또는 교량 유닛 중 하나의 저부 부분은 현장 경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게 된다.
상기 방법 양태의 일 구현예에서,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그 내부에 상부 리세스 또는 그 상부에 채널 부재를 포함하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 또는 교량 유닛 중 하나는 상부 리세스 또는 채널 부재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방법 양태의 일 구현예에서,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상부 리세스 또는 채널 부재는 채널 내로부터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 연장하고, 전달 단계 중에 저부 부분과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에 위치된 전달된 콘크리트는 제 1 높이로 굳어지고, 저부 부분과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에 위치된 전달된 콘크리트는 제 1 높이보다 낮은 제 2 높이로 굳어진다.
상기 방법 양태의 일 구현예에서, 방법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날개벽 기초 유닛을 건축 현장에서 수용하는 단계, 전달 단계 전에, 보강재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날개벽 유닛으로부터 채널 내로 연장하도록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일 단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날개벽 기초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전달 및 현장 경화 단계의 결과로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날개벽으로부터 채널 내로 연장하는 보강재가 현장 경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게 된다.
상기 방법 양태의 일 구현예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날개벽 기초 유닛은 저부면 및 상부면을 포함하고, 저부면은 상부면보다 넓다.
도 1은 교량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투명한 것으로서 도시된 교량 유닛을 갖는 도 1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따른 기초 유닛의 실시예의 단부도.
도 4는 도 1에 따른 기초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단부도.
도 5는 도 1의 확대 부분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대안 교량 시스템 형상의 사시도.
도 8은 날개벽을 갖는 도 1의 교량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날개벽 기초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기초 유닛의 지지체를 위한 대안적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8은 기초 구조물이 받침대(pedestal)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 및 도 20은 날개벽 고정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 및 도 22는 금속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교량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복합 교량 구조물을 이용하는 교량 시스템의 부분도.
도 24 및 도 25는 교량 유닛과 일체로 형성된 기초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 내지 도 31은 기초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받침대 유닛과 조합하여 도 26 내지 도 31의 기초 구조물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 내지 도 35는 교량 시스템 및 연관 기초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 내지 도 38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지지체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9 내지 도 41은 받침대 배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투명한 것으로서 도시된 교량 유닛을 갖는 도 1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따른 기초 유닛의 실시예의 단부도.
도 4는 도 1에 따른 기초 유닛의 다른 실시예의 단부도.
도 5는 도 1의 확대 부분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대안 교량 시스템 형상의 사시도.
도 8은 날개벽을 갖는 도 1의 교량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9 내지 도 10은 날개벽 기초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 및 도 13은 기초 유닛의 지지체를 위한 대안적인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 내지 도 18은 기초 구조물이 받침대(pedestal)를 포함하는 실시예의 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 및 도 20은 날개벽 고정구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 및 도 22는 금속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교량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복합 교량 구조물을 이용하는 교량 시스템의 부분도.
도 24 및 도 25는 교량 유닛과 일체로 형성된 기초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 내지 도 31은 기초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받침대 유닛과 조합하여 도 26 내지 도 31의 기초 구조물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3 내지 도 35는 교량 시스템 및 연관 기초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6 내지 도 38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지지체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9 내지 도 41은 받침대 배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교량 구조물(10)이 완성시에,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모두로 구성되는 이격된 기초 구조물(12) 정상부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교량 구조물(10)은 복수의 나란한 3면 프리캐스트 교량 유닛(14)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기초 구조물(12)은 단부간 배치된(예를 들어, 단부가 서로 접촉함) 다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16)에 의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16)의 길이(L)는 3개의 교량 유닛(14)을 수용하지만, 다수의 변형예가 가능하다. 각각의 기초 유닛은 각각의 측면에서 상향으로 연장하여 일반적으로 U형 채널(22)을 형성하는 각각의 직립벽(20)을 갖는 하부 베이스부(18)(예를 들어, 유닛의 저부벽으로서)를 포함한다. 채널(22)의 중앙 영역은 교량 유닛(14)의 측벽들의 단부들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그 위에 지지되는 일련의 상향으로 연장하는 이격된 지지체(24)를 포함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저부 단부는 지지체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구현예에서 저부 단부는 지지체 상에 장착된 시임(shim) 또는 브래킷(bracket) 또는 다른 채널 부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체(24) 사이의 간격은 다양할 수 있지만, 그 위에 지지될 교량 유닛의 깊이(DB)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지지체는 접촉된 유닛(16)의 단부 지지체(24)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접촉하도록 기초 유닛(16)의 각각의 단부에 위치될 수 있지만, 변형예가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는 기초 유닛(16)의 대안 실시예의 예시적인 단부 입면도를 도시한다. 각각의 도시된 경우에, 단부 입면 프로파일은 일반적으로 E의 레그가 상향으로 연장하는 E-형상이다. 베이스(18), 벽(20) 및 지지체(24)는 그 내부에 매립된 적합한 강철 보강재(steel reinforcement)(26)를 갖는 단일 캐스팅부로서 형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지지체(24)는 개별편으로서 캐스팅되고 이어서 베이스(18) 및 벽(20)이 함께 캐스팅된 후에 또는 베이스(18)와 벽(20)을 위한 캐스팅 프로세스 중에[예를 들어, 베이스(18)와 벽이 캐스팅되는 형틀(form) 내의 지지체(24)의 배치] 베이스(18)에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베이스(18) 또는 벽(20) 중 하나는 먼저 캐스팅될 수 있고, 베이스 또는 벽 중 다른 하나가 이어서 일체형 베이스 및 벽 유닛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캐스팅된다.
기초 유닛(16)의 벽(20)은 약간 각형성된(수직에 대해) 내부측(28)을 갖고 형성될 수 있어 채널(22)의 폭(WC1)이 유닛의 베이스(18)에서 채널(22)의 폭(WC2)보다 유닛의 상부에서 더 크게 된다. 이 구성은 프리캐스트 거푸집으로부터 유닛을 더 용이하게 제거하고 유닛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제공한다. 베이스(18)의 상부면(30)은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현장에서 채널(22) 내에 배치될 현장 타설 콘크리트로 바인딩(binding)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채널(32)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상이한 형상의 채널, 상이한 패턴의 채널(원형, 사선, 크로스해칭) 또는 심지어 갈퀴에 의해 성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은 일반적인 표면 조면화부(roughening)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표면 특징이 이러한 본딩을 보조하기 위해 표면(30)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임의의 것 및 모두는 본 명세서에 표면의 "의도적 조면화부"라 칭한다. 이러한 의도적 조면화부는 벽(20)의 표면(28) 및/또는 지지체(24)의 수직면 내에 합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4)의 수직벽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현장에서 수동으로 배치될 보강재(3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평으로 연장하는 포켓(34)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예를 들어, 프리캐스팅 중에). 보강재의 일부는 포켓(34) 내에 수용되고, 보강재의 일부는 포켓(34)으로부터 돌출된다. 보강재(36)는 다수의 기초 유닛(16)에 의해 형성된 기초(12)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할 것이라는 것이 고려된다. 이들 포켓 및 종방향 보강재는 단부 지지체(24)의 표면 또는 측벽들(20) 중 하나 내에 합체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인식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 배치된 보강재(38)는 지지 부재(24)의 각각의 측면에 제공된다. 보강재(38)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함께 인접 기초 유닛(16)의 단부들을 더 양호하게 속박하는데 사용되고, 따라서 이러한 보강재는 도 5에 제안된 바와 같이 기초 유닛(16)의 이러한 단부간 접합부(40)의 부근에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부가의 현장 배치된 보강재가 몇몇 용례에서 사용될 수 있다.
기초 유닛(16)의 폭, 길이 및 높이는 교량 시설의 다양한 관점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로서, 약 12'(3.7 m)의 전폭(span), 약 6 내지 8 피트(1.8 내지 2.4 m)의 높이(rise) 및 약 8'(2.4 m)의 깊이를 갖는 교량 유닛(14)을 이용하는 교량 시설에 대해, 치수 T20 -1, T20 -2, TB, WB 및 H(도 3a 참조)는 각각 약 4"(10.2 cm), 5"(12.7 cm), 6"(15.2 cm), 48"(121.9 cm) 및 24"(60.9 cm)의 정도일 수 있고, 약 24'(7.3 m)의 전폭, 약 6 내지 8 피트(1.8 내지 2.4 m)의 높이 및 약 8'(2.4 m)의 깊이를 갖는 교량 유닛(14)을 이용하는 교량 시설에 대해, 치수 T20 -1, T20-2, TB, WB 및 H(도 3a 참조)는 각각 약 4"(10.2 cm), 5"(12.7 cm), 6"(15.2 cm), 60"(152.4 cm) 및 24"(60.9 cm)의 정도일 수 있고, 약 36'(10.9 m)의 전폭, 약 6 내지 8 피트(1.8 내지 2.4 m)의 높이 및 약 6'(1.8 m)의 깊이를 갖는 교량 유닛(14)을 이용하는 교량 시설에 대해, 치수 T20 -1, T20 -2, TB, WB 및 H(도 3a 참조)는 각각 약 4"(10.2 cm), 5"(12.7 cm), 7"(17.8 cm), 96"(243.8 cm) 및 30"(76.2 cm)의 정도일 수 있고, 약 48'(14.6 m)의 전폭, 약 6 내지 8 피트(1.8 내지 2.4 m)의 높이 및 약 6'(1.8 m)의 깊이를 갖는 교량 유닛(14)을 이용하는 교량 시설에 대해, 치수 T20 -1, T20 -2, TB, WB 및 H(도 3a 참조)는 각각 약 4"(10.2 cm), 5"(12.7 cm), 8"(20.3 cm), 144"(365.8 cm) 및 36"(91.4 cm)의 정도일 수 있다. 지지체(24)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그 위에 놓일 교량 유닛의 저부 단부들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지지체(24)의 수직 치수는 전체 프리캐스트 기초 치수에 기초하여 조정될 것이다. 지지체(24)의 수평 위치는 U형 채널 내에서 변경될 수 있어, 몇몇 구현예에서 지지체(24)가 U형 채널의 폭을 따라 중심 설정되거나 실질적으로 중심 설정되게 되고, 다른 구현예에서는 지지체는 U형 채널의 중심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오프셋된다(유닛의 외측벽을 향해 또는 유닛의 내측벽을 향해).
도 1 및 도 2는 직선형 측벽 및 만곡된 상부벽을 갖는 3면 교량 구조물을 고려하고 있지만, 본 출원의 기초 시스템은 직선형 측벽 및 직선형 상부벽(도 6)을 갖는 3면 유닛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 교량 유닛이 만곡되는 더 전통적인 아치 구조물을 포함하는 다른 교량 유닛 구성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도 7).
설치되는 교량 유닛의 유형에 무관하게, 본 출원의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16)은 유리한 특징을 갖는 기초의 제공을 용이하게 한다.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이 건축 현장으로 운송되어 수용된다. 사용시에, 최종 사용/설치 현장은 전통적인 방법보다 작은 면적에서 원하는 높이로 굴착하고 유닛을 설치하기 위한 부가의 백필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 평탄한 지하면을 준비함으로써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을 수용하도록 준비된다.
일단 현장이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16)을 수용하도록 준비되면, 유닛은 2개의 이격된 기초 구조물(12)을 형성하기 위해 단부간 접촉 관계로 배치된다. 일 예에서, 기초 유닛(16)은 서로 인접한 유닛을 유지하는 임의의 구조물 없이 간단하게 단부간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렬 가능한 볼트 포켓이 기초 유닛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예를 들어, 측벽(20), 베이스(18) 및/또는 지지체(24) 내에], 볼트는 교량 유닛의 설치 이전에 수동으로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교량 유닛(16)은 인장 부재가 일련의 기초 유닛의 전체 길이를 통해 통과되어 접촉 관계로 이들을 고정할 수 있도록 기초 유닛 내에 형성될 수 있는 길이방향 연장 덕트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초 구조물에 대한 다른 프리캐스트 구성 요소가 마찬가지로 존재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교량 구조물의 단부에 날개벽을 지지하기 위한).
일단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16)이 원하는 위치에 설치되면, 보강재(36, 38)가 수동으로 배치될 수 있고, 교량 유닛이 지지 구조물(24)의 정상부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 유닛(24)의 상부면(42)은 측벽(20)의 상부면(44)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교량 유닛 측벽의 저부는 지지 유닛의 상부면(42)의 정상부에 직접 놓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시임(46)은 교량 유닛(14)의 적절한 정렬 및 위치설정을 위해 요구되는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지지체 및 교량 유닛 측벽의 모두 내에 볼트 포켓을 형성하고 교량 유닛이 설치되면 볼트를 설치함으로써 또는 지지체(24)의 상부면으로부터 교량 유닛 측벽의 저부면 내의 예비 형성된 리세스 또는 포켓(45) 내로 상향으로 연장하는 타이 로드(43)(도 3b)와 같은, 부가의 속박 및 정렬 구조물이 지지체(24)와 교량 유닛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타이 로드(43)는 기초 유닛(16) 내에 프리캐스트될 수 있거나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 내에 타설되어 매립되는 보강 섹션의 단부에서 표면 액세스 가능 커넥터 내에 나사 결합된다. 일단 모든 교량 유닛(14)이 설치되고 보강재가 배치되면, 콘크리트는 U형 채널 내로 타설되어 기초 구조물을 완성하고, 이에 의해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모두로 형성된 복합 또는 조합 기초를 형성한다. U형 채널은 실질적으로 타설된 콘크리트로 충전되어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기초 구조물을 생성한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통상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기초와 교량 유닛을 일체화하기 위해 각각의 교량 유닛의 저부 단부를 매립하여 포획하기에 충분히 높게, 채널의 상부[도 4에 점선(46)으로 표현된 바와 같이] 또는 채널의 상부의 바로 아래에 타설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 내지 3 인치(5.1 내지 7.6 cm)의 저부 단부가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U형 채널의 외부 부분(즉, 교량 유닛의 외부에 있는 부분)을 따라 적용될 수 있고, 지지체(24) 사이의 간격은 U형 채널의 다른 내부 부분 뿐만 아니라 지지체(24) 사이에 정렬된 부분 내로 자유롭게 콘크리트가 유동하여 충전하게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복수의 이격된 지지체(24) 대신에, 하나 이상의 횡방향 저부 개구 또는 채널들을 갖는 세장형 지지체가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채널은 타설 중에 U형 채널의 외부 부분으로부터 U형 채널의 내부 부분으로 유동하기 위한 콘크리트의 루트를 제공한다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경화된 후에, 통상의 백필 및 구조물 상의 최종 표면의 백필링, 치밀화 및 준비를 포함하는 오버필 작업이 발생할 수 있다.
교량 유닛의 저부 단부의 실시예가 고려되지만, 몇몇 경우에 콘크리트는 전폭이 적소에 설치되기 전에 U형 기초 내에 타설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기초 유닛의 베이스(18)는 자기 평탄화를 보조할 수 있는 콘크리트의 몇몇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기초 시스템은 부가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교량 시설은 또한 교량 유닛(14) 아래의 경로(52)의 각각의 단부에 날개벽(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목적으로, 기초 구조물(12)은 경로(52)로부터 각도를 이루어 이격하여 연장하는 날개벽 지지부(54)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날개벽 지지부(54)는 기초 유닛(16)과 일체화되는 하나 이상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날개벽 지지 유닛(56)에 의해 형성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부가로 참조하면, 각각의 프리캐스트 날개벽 지지체 또는 기초 유닛(56)은 사다리꼴 형상 또는 상부면보다 넓은 저부면을 갖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면은 날개벽(50)의 저부 에지를 지지하고, 저부면은 준비된 현장 표면 상에 놓인다. 사다리꼴 형상은 요구된 콘크리트의 체적을 감소한다. 유닛(56)의 일 단부면(58)은 일반적으로 유닛(56)의 종축에 수직으로 연장하고, 반면 다른 단부면(60)은 종축에 비직각(실질적으로 90도로부터 오프셋됨)으로 연장하여 유닛(56)이 기초 유닛(16) 및 경로(52)로부터 이격하여 연장하는 각도를 규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닛(16)과 유닛(56)의 일체화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성취된다. 구체적으로, 그 내부에 필수 보강재를 갖고 프리캐스트되는 날개벽 기초 유닛(56)은 단부(60)에 포켓(62)을 포함할 수 있고, 보강재(64)그 현장 콘크리트 타설에 앞서 그 내에 위치된다. 보강 섹션(64)은 지지 유닛(16)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레그(66) 및 포켓(62) 내로 날개벽 지지 유닛(56)의 길이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레그(68)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으로 이격된 일련의 보강 바아가 기초 유닛(16)의 단부 지지 부재(24)의 각각의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현장 콘크리트 타설이 발생할 때, 콘크리트는 포켓(62)을 충전하여 보강재를 둘러싼다. 콘크리트 경화시에, 날개벽 지지부(54)는 기초 구조물(12)의 일체화된 부분이 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유닛(16)과 유닛(56)의 일체화는 다월(dowel) 바아 또는 보강 바아가 유닛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거나 커넥터(예를 들어, 내부 나사산이 형성된)가 보강 바아의 나사산 형성 단부가 연결될 수 있는 유닛(56)의 단부면에 제공되도록 프리캐스팅 중에 유닛(56)의 단부(60) 내로 다월 바아 또는 보강 바아를 일체화함으로써 포켓 없이 성취될 수 있다. 이들 다월 바아는 사전 굴곡되거나 이후에 굴곡되고, 또는 보강재가 이후에 단부면에서 커넥터에 연결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16)의 길이방향 축과 일반적으로 정렬하는 연장 보강재를 제공한다. 다월 로드 또는 보강재의 돌출 단부는 현장 타설 중에 U형 채널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월 로드 또는 보강재는 채널에 진입하기 위해 프리캐스트 유닛(16)의 세장형 측벽 내의 개구를 통해 통과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벽(50)은 벽을 측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주위 흙으로 만든 충전 재료 내에 매립되게 될 고정 부재(51)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지지체(24)는 개별 부품으로서 캐스트되고 이어서 베이스(18) 및 벽(20)이 함께 캐스팅된 후에 또는 베이스(18)와 벽(20)을 위한 캐스팅 프로세스 중에 유닛(16)의 베이스(18)에 부착될 수 있다. 이제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지지체(24)는 베이스(18) 및 측벽(20)과는 별도로 프리캐스팅된다. 지지체(24)는 그로부터 연장하는 헤드(72)를 갖는 부분 매립된 타이 볼트(70)(또는 버튼 바아)로 먼저 프리캐스트된다. 지지체는 이어서 베이스(18)와 벽(20)을 생성하는 형틀 내로 현수되어, 캐스팅 중에 볼트 헤드(72)가 베이스(18) 내에 매립되게 되어 지지체(24)를 베이스에 고정하게 된다. U형 채널의 수직면은 또한 U형 채널 내로 타설될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일체화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V형 채널을 갖고 형성될 수도 있다. 운송 케이블(76)이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16)을 상승시켜 배치하기 위해 베이스(18) 내에 매립될 수 있다.
고유극 설치와 같은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대형 기초가 요구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받침대형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구현예에서, 베이스(18) 및 측벽(20)은 일체화된 부분으로서 프리캐스트된다. 단부 푸트(end foot;80)들을 포함하는 받침대 구조물(24')은 또한 그 상부면에 U형 리세스(82)를 갖는 일체형 부분으로서 프리캐스트된다. 베이스(18) 및 측벽(20) 및 받침대(24')에 의해 형성된 U형 부재는 이어서 개별 프리캐스트 구성요소로서 작업 현장으로 운반된다. 작업 현장에서, U형 부재가 배치되고, 이어서 받침대(24')가 채널 내에 위치되고, 콘크리트(84)의 현장 타설이 2개의 구성 요소를 함께 일체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받침대의 중앙 범위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받침대의 일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 유동하게 하기 위해 상승된 횡방향 저부 채널(86)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일체화 후에, 교량 유닛은 이어서 저부 단부가 채널(82) 내에 있고 콘크리트 그라우트(grout)(88)가 마찬가지로 채널(82) 내에 도포되는 상태로 받침대(24') 상에 배치될 수 있어 기초와 교량 유닛 사이에 일체화의 레벨을 제공한다. 몇몇 구현예에서, 받침대(24')는 U형 채널의 폭을 따라 중심 설정되거나 실질적으로 중심 설정될 수 있고, 다른 구현예에서, 받침대(24')는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의 외측벽 또는 내측벽을 향해 오프셋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은 교량 유닛(14)의 2개의 세트가 3개의 기초 구조물(12)과 조합하여 이용되어 2개의 경로(52)를 형성하는 교량 구조물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받침대 배열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기초 구조물(12)의 받침대(24")는 외부 기초 구조물의 받침대(24')보다 넓게 형성되어 2개의 교량 유닛(14)의 저부측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더 넓은 상부 채널(82')을 제공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초 시스템은 다양한 교량 구조물을 지지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는 기초가 구조적 금속 플레이트 아치 구조물(90)을 지지하는 구현예를 도시한다. 이 배열에서, 중앙 지지체(24)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예측된 타설 레벨(46) 위로 상승되고, U형 앵글철(angle iron)(94)을 수용하는 채널(92)을 포함하는데, 이들 모두는 금속 플레이트 아치(90)의 저부 단부(96)를 수용하도록 배열되기 위해 수직으로부터 각형성/오프셋된다. 앵글철(94)은 프리캐스트 중에 채널(92) 내에 매립될 수 있다.
도 23은 기초 구조물(12)이 복합 아치를 지지하는데 이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배열에서, 각각의 지지체(24)는 복합 튜브(100)의 하단부를 수용한다. 일단 모든 튜브가 적소에 설치되면, 현장 콘크리트 타설이 수행되어 기초 구조물의 콘크리트 내에 튜브의 하단부들을 매립한다. 파형 데킹이 이어서 이에 의한 지지를 위해 복합 튜브 상에 설치될 수 있고, 복합 튜브는 콘크리트로 충전된다(예를 들어, 자기 응고 팽창성 콘크리트). 콘크리트층은 또한 파형 데킹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는 기초 유닛(16)이 단일 프리캐스트 유닛으로서 교량 유닛(14)과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현장 타설 및 연관 보강재는 조합 유닛이 배치된 후에 기초 구조물을 완성한다.
도 26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160)은 이격된 측벽(150)이 일련의 크로스 부재 지지체(15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사다리 구성을 갖고 형성된다. 기초 유닛(160)은 임의의 저부벽이 결여되어, 개방 영역(154)이 크로스 부재(152) 사이의 위치에서 유닛의 상부로부터 저부로 수직으로 연장하게 된다. 각각의 크로스 부재 지지체(152)는 교량 유닛의 저부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156)를 갖는 상부면을 포함한다. 리세스(156)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유닛의 폭을 따라 중심점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거나 중심 설정될 수 있다. 몇몇 경우에, 리세스(156)는 전체 구조물의 내향측을 향해 위치될 것이지만, 변형예가 가능하다. 크로스 부재 지지체(152)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교량 유닛의 깊이에 일치하여, 나란한 교량 유닛의 인접한 단부면들이 교량 유닛(14)이 투명 와이어 형태로 도시되어 있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56)의 부근에서 서로 접촉하게 된다. 각각의 크로스 부재 지지체(152)는 중량 감소의 목적으로 그리고 콘크리트가 하나의 개방 영역 또는 셀(154)로부터 다음의 것으로 유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더 대형의 관통 개구(158)를 또한 포함한다. 각각의 크로스 부재는 다수의 더 소형의 축방향 연장 보강 개구(162)를 또한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평으로 이격된 개구의 상부열(164) 및 하부열(166)이 도시되어 있지만, 변형예가 가능하다. 축방향 연장 보강 로드는 설치 현장으로의 기초 유닛(160)의 전달에 앞서 이러한 개구를 통해 연장될 수 있지만, 또한 원한다면 현장에서 설치될 수 있다. 이들 개구(162)는 또한 일 유닛으로부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게 되는 다음 유닛으로 연장하는 보강재를 경유하여 더 긴 기초 구조물에 대해 단부간으로 기초 유닛(160)을 속박하는데 사용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50)은 수직으로 연장하는 부분(170) 및 기초 유닛(160)의 하부 부분 내의 개방 셀 영역(154) 내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172)을 포함하는 보강 섹션(168)을 포함한다. 설치 현장에서 또는 현장으로 전달에 앞서 몇몇 경우에, 2개의 측벽의 대향 부분들(172)은 이어서 측방향 보강 섹션에 의해 함께 속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 유닛(160)은 일 실시예에서, 단일 타설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되어 측벽 및 크로스 부재의 모두를 제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강재(168)를 갖는 각각의 측벽부(150)는 각각의 타설로부터 개별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단 경화되면, 측벽부는 이어서 원하는 측방향 간격을 갖고 배열되고, 적합한 거푸집이 측벽들 사이에(그리고 측벽의 단부들에) 추가되어 다른 타설로부터 크로스 부재 지지체(152)를 제조한다. 이와 관련하여, 보강재(172)는 또한 크로스 부재 내로 그리고 내에서 연장하여 크로스 부재를 측벽에 속박한다. 더욱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측방향 보강재(174)는 또한 크로스 부재의 부근에 제공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대향 부분들(172) 및 대향 부분들(174)을 함께 속박하는 측방향 보강 부분(176)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160)은 작업 현장으로 전달되어 유닛(예를 들어, 치밀화된 토양 또는 암석)을 수용하기 위해 준비되어 있는 지면 상에 설치된다. 교량 유닛(14)은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160)이 설치된 후에 배치된다. 셀(154)은 개방 유지되고 교량 유닛(14)의 배치 중에 비워진다[작업 현장으로의 유닛(160)의 전달 전에 또는 전달 후에 배치될 수 있는 임의의 보강재는 예외로].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임은 교량 유닛(14)의 적절한 정렬 및 평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단 교량 유닛(14)이 배치되면, 셀(154)은 이어서 현장 콘크리트 타설물로 충전될 수 있다. 타설은 통상적으로 기초 유닛(160)의 상부면 레벨(180)로 행해져서, 콘크리트 내의 교량 유닛 측벽의 저부 부분의 포획 및 매립을 야기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교량 유닛 측벽의 저부면은 수직 보강재가 유닛의 저부로부터 연장할 수 있도록 적합한 보강 연장부 또는 보강 개구를 갖고 형성될 수 있다.
기초 유닛(160)은 또한 날개벽 기초 및/또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전술된 다른 기초 유닛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 및 양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160)은 프리캐스트 받침대 유닛(190)과 조합하여 도시되어 있다. 2개의 유닛은 별도로 형성되어 작업 현장으로 전달된다.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160)이 먼저 배치되고, 이어서 프리캐스트 받침대가 기초 유닛 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유닛 크로스 부재(152)는 리세스(192)를 포함하고, 받침대 유닛은 리세스(192)의 부근에서 크로스 부재 상에 끼워지는 상향 연장 절결부 또는 슬롯(194)을 포함한다. 매립된 수직 부분 및 돌출하는 측방향 부분의 모두를 갖는 받침대의 예시적인 보강재(196)가 도시되어 있고, 보강재(들)는 받침대의 축방향 길이를 따라 연장하거나 분배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된다. 받침대가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유닛 내에 배치된 후에, 현장 콘크리트 타설이 이어서 단일 구조물을 제조하도록 수행된다. 도 1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받침대 유닛의 중앙 범위는 타설된 콘크리트가 받침대의 일 측면으로부터 다른 측면으로 유동하게 하기 위한 상승된 횡방향 저부 채널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일단 경화되면, 시스템은 교량 유닛을 수용할 준비가 된다. 받침대(190)는 교량 유닛의 저부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 리세스를 포함한다.
이제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는 사다리 구성을 갖는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200)을 갖는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유닛은 벽들 사이에 채널(205)을 형성하는 이격된 세장형 직립벽(202, 204) 및 벽(202, 204)을 연결하기 위해 채널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크로스 부재 지지체(206)를 갖는다. 기초 유닛(200)은 임의의 저부벽이 결여되어, 개방 영역 또는 셀(208)이 크로스 부재(206) 사이의 위치에서 유닛의 상부로부터 저부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크로스 부재 지지체(206)는 교량 유닛(214)의 일 측면의 저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210)를 갖는 상부면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교량 유닛(214)의 측벽부는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로부터 이격하여 상향으로 그리고 교량 유닛의 대향 측면에서 다른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향해 내향으로 이들의 각각의 저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된다. 리세스(210)는 내부 직립벽 부재(204), 즉 교량 시스템의 중앙축(212)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된 직립벽 부재를 향해 채널(205) 내로부터 연장한다. 따라서, 도 33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벽 부재(202)는 직립벽 부재(204)보다 큰 높이를 갖는다.
크로스 부재(208)의 간격은 바람직하게는 교량 유닛(214)의 깊이에 일치하여, 나란한 교량 유닛의 인접 단부면이 리세스(210)의 부근에서 서로 접촉하게 된다. 각각의 크로스 부재 지지체(206)는 중량 감소의 목적으로 그리고 콘크리트가 하나의 개방 영역 또는 셀(208)로부터 다음의 것으로 유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더 대형의 관통 개구(216)를 또한 포함한다. 각각의 크로스 부재 지지체는 다수의 더 소형의 축방향 연장 보강 개구(218)를 또한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평으로 이격된 개구(218)의 상부열(220) 및 하부열(222)이 도시되어 있지만, 변형예가 가능하다. 축방향 연장 보강재가 설치 현장으로의 기초 유닛(200)의 전달에 앞서 이러한 개구를 통해 연장될 수 있지만, 또한 원한다면 현장에서 설치될 수 있다. 이들 개구(218)는 또한 더 긴 기초 구조물을 위해 단부간으로 기초 유닛(200)을 속박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인접 기초 유닛을 접촉하도록 의도된 기초 유닛(200)의 단부들은 접촉 단부들이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타설될 연속적인 셀(224)을 생성하도록 직립벽 부재(202, 204)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접촉 유닛의 스트링 내의 단부 기초 유닛(200)의 먼 단부는 통상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위치된 크로스 부재(206)를 포함할 수 있다.
벽(202, 204)은 수직으로 연장하는 부분(228) 및 기초 유닛(200)의 하부 부분 내의 개방 셀 영역(208) 내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230)을 포함하는 보강재(226)를 포함한다. 설치 현장에서, 또는 몇몇 경우에 현장으로 전달에 앞서, 2개의 측벽의 대향 부분들(230)은 이어서 측방향 보강 섹션(232)에 의해 함께 속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초 유닛(200)은 전술된 바와 같은 유닛(160)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크로스 부재 지지체(206)는 또한 크로스 부재 지지체(152)의 것과 유사한 보강재를 포함한다.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200)은 작업 현장으로 전달되어 유닛(예를 들어, 치밀화된 토양 또는 암석)을 수용하기 위해 준비되어 있는 지면 상에 설치된다. 교량 유닛(214)은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이 설치된 후에 배치된다. 셀(208)은 개방 유지되고 교량 유닛(214)의 배치 중에 비워진다[작업 현장으로의 유닛(200)의 전달 전에 또는 전달 후에 배치될 수 있는 임의의 보강재는 예외로]. 시임은 교량 유닛(214)의 적절한 정렬 및 평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단 교량 유닛(214)이 배치되면, 셀(208)은 이어서 현장 콘크리트 타설물로 충전될 수 있다. 타설은 통상적으로 기초 유닛(200)의 상부면 레벨로 행해질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 35를 참조하면, 기초 유닛(200)의 각각의 측면의 높이의 차이에 기인하여, 교량 유닛의 저부 부분(240)은 저부 부분(240)의 외부측에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242) 내에 포획되어 매립될 것이다. 현장 타설 후에, 교량 유닛의 저부 부분(240)의 외부측에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저부 부분(240)의 저부면보다 높아 그 외부측에서 저부 부분을 매립하고, 교량 유닛의 저부 부분의 내부측에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실질적으로 저부 부분(240)의 저부면과 동일 높이이다. 이 방식으로, 교량 유닛의 아래의 유동 영역은 교량 유닛의 저부 부분(240)의 매립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는다.
기초 유닛(200)은 또한 날개벽 기초 및/또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전술된 다른 기초 유닛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 및 양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200)은 받침대 구조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기초 유닛(160, 200)은 모두 파일 기초 시스템과 관련하여 사용을 위해 양호하게 적응된다. 즉, 지지 파일은 파일의 상단부가 개방 셀 영역 내로 돌출하는 상태로 유닛의 의도된 사용 위치에서 지면 내로 삽입될 수 있다(유닛의 배치 전 또는 후에). 현장 타설이 수행될 때, 파일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게 되어,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기초 구조물을 파일에 구조적으로 속박한다.
이제 도 39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160) 및 프리캐스트 받침대(250)를 이용하는 기초 유닛 구조물이 파일(252)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받침대 유닛(250)은 크로스 부재 지지체(152)의 리세스(156) 내에 안착하는 중앙 저부 부분(254)과, 크로스 부재 지지체(152)의 상부면 상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단지 세장형 직립 측벽(150)의 상부면 상에 놓여 받침대에 측방향 지지를 제공하는 일체형 측면 지지체(25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측면 지지체(256)는 받침대 유닛(250)의 단부에만 제공되지만, 측면 지지체는 또한 받침대 유닛의 길이를 따라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 위치에서 유닛(160)의 셀(154) 내에 타설된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받침대 유닛(250)의 저부를 매립하여 프리캐스트 받침대 유닛(250)을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160)에 대해 일체화하여 일체화된 기초 구조물을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1에 가장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 유닛(250) 내에서 연장하는 부분(262) 및 받침대 유닛의 저부로부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로 연장하는 부분(264)을 갖는 보강재(260)는 일체화를 보조한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160)을 파일(252)에 속박한다.
전술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16, 160, 200)의 각각의 실시예의 경우에, 이러한 기초 유닛은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이격된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는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유닛(16)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닛은 저부벽을 갖고, 지지체는 저부벽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한다. 기초 유닛(160, 200)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닛은 저부벽을 갖지 않고, 지지체는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로 연장하여 이들을 연결한다. 모든 실시예의 경우에, 최종 사용 현장에서 설치될 때, 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예를 들어, 교량 구조물의 일 측면을 지지하는)는 통상적으로 다른 실질적으로 평행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예를 들어, 교량 구조물의 대향 측면을 지지하는)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야 한다. 세장형 직립벽 부재는 동일한 높이[예를 들어, 유닛(16, 160)의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세장형 직립벽 부재는 상이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예를 들어, 유닛(200)의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지체의 상부 리세스는 존재할 때, 유닛의 채널 내에 완전히 위치될 수 있고[예를 들어, 유닛(16)의 도시된 실시예의 일부 및 유닛(160)의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또는 리세스는 채널로부터 세장형 벽들 중 하나로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유닛(200)의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에 의해 반영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의 지지체는 몇몇 경우에 리세스를 갖고 다른 경우에 리세스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더욱이, 다른 실시예는 지지체에 장착된 채널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6 내지 도 38을 참조하면, 그 위에 장착된 채널 부재(250a, 250b, 250c)를 갖는 지지체(24, 152, 206)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채널 부재는 교량 유닛의 저부 부분(260a, 260b, 260c)을 수용한다. 채널 부재는 임의의 적합한 부착 구조체(252a, 252b, 252c)[예를 들어, 볼트(들) 또는 다른 고정구(들)]를 사용하여 지지체에 장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채널 부재 자체는 부분적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내에 매립될 수 있고 또는 구조 접착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부재는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U형, L형 또는 불규칙적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채널 부재는 통상적으로 금속 플레이트 구성(예를 들어, U-채널 또는 L-채널)일 수 있지만,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채널 부재(250a, 250b, 250c)의 정확한 재료 또는 구성에 무관하게, 채널 부재는 전술된 리세스와 유사한 방식으로 교량 유닛의 저부 부분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리세스 및 채널 부재의 모두는 교량 유닛의 저부 부분을 위한 "수용 채널"의 예이다. 시임은 마찬가지로 수용 채널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교량 유닛측의 저부면과 수용 채널 사이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날개벽 기초 유닛(54)이 기초 유닛(16, 160, 200)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매립된 보강재는 통상적으로 날개벽 기초 유닛(54)을 기초 유닛(16, 160, 200)에 잠금하여 강성의 일체형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보강재의 매립부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한다. 몇몇 예에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매립부는 기초 유닛(16, 160, 200)의 채널 내에 타설된 콘크리트 내에 있을 수 있고, 다른 예에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매립부는 날개벽 기초 유닛(56)의 단부 채널 내에 있을 수도 있다. 어느 경우든, 보강재의 부분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의 최종 매립부가 성취되기 전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의 부분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서, 보강재의 제 1 부분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고, 제 2 보강재가 콘크리트의 경화 후에 나사식으로 연결되는 표면 노출된/액세스 가능한 내부 나사산 형성 소켓 단부를 가져, 제 1 부분이 매립되고 제 2 부분이 초기에 돌출하게 된다. 다른 예에서, 보강재의 연속적인 단일형 부분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일 부분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부터 돌출하는 일 부분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사실상 임의의 유형의 교량 구조물을 지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더욱이, 다른 유형의 구조물이 마찬가지로 지지될 수 있다. 기초 배치와 연관된 현장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된다(예를 들어, 형틀 배치 및 많은 보강재 배치를 위한 요구가 배제됨).
상기 설명은 단지 예시 및 예로서 의도된 것이고, 한정으로서 취해지도록 의도된 것은 아니며,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히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기초 시스템 및 방법은 파일 캡(pile cap) 또는 다른 깊은 기초를 위한 캡과 같은 다른 유형의 용례를 위해 적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실시예가 고려되고, 수정 및 변경이 본 출원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10: 교량 구조물 12: 기초 구조물
14: 교량 유닛 16: 기초 유닛
18: 하부 베이스부 20: 직립벽
22: U형 채널 24: 지지체
28: 내부측 32: 채널
36: 보강재 40: 접합부
14: 교량 유닛 16: 기초 유닛
18: 하부 베이스부 20: 직립벽
22: U형 채널 24: 지지체
28: 내부측 32: 채널
36: 보강재 40: 접합부
Claims (41)
- 교량 시스템으로서,
제 1 조합 프리캐스트(precast) 및 현장 타설(cast-in-place)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로서,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는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및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있고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 및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상기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상기 내부 및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들의 각각에 속박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로부터 이격되고 그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로서,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는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및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있고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 및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내부 및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각각에 속박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및
다수의 교량 유닛들로서, 상기 다수의 교량 유닛의 각각은 제 1 저부 부분 및 상기 제 1 저부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 2 저부 부분을 갖고, 상기 제 1 저부 부분은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고, 상기 제 2 저부 부분은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되는 상기 다수의 교량 유닛들을 포함하는 교량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은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교량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상기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로 측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다수의 이격된 셀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각각의 셀 내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상기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로 측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다수의 이격된 셀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각각의 셀 내에 위치되는 교량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셀들의 각각은 상부 및 저부의 모두에서 개방되고,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상부로부터 저부로 각각의 셀을 실질적으로 폐쇄하고,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셀들의 각각은 상부 및 저부의 모두에서 개방되고,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상부로부터 저부로 각각의 셀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교량 시스템. - 제 4 항에 있어서,
수용 채널이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정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다수의 교량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저부 부분을 지지하고,
수용 채널이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정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다수의 교량 유닛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2 저부 부분을 지지하는 교량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수용 채널은 상기 다수의 교량 유닛들 중 적어도 2개의 제 1 저부 부분을 수용하여 지지하고,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수용 채널은 상기 다수의 교량 유닛들 중 적어도 2개의 제 1 저부 부분을 수용하여 지지하는 교량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수용 채널은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로부터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수용 채널은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로부터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 연장하는 교량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교량 유닛들의 각각은 (i)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하여 그 각각의 제 1 저부 부분으로부터, 그리고 (ii)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향해 내향으로 연장하는 제 1 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교량 유닛들의 각각은 (i)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하여 그 각각의 제 2 저부 부분으로부터, 그리고 (ii)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향해 내향으로 연장하는 제 2 벽부를 포함하는 교량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각각의 교량 유닛의 제 1 저부 부분의 내부측에서보다 각각의 교량 유닛의 제 1 저부 부분의 외부측에서 더 높은 높이를 갖고,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각각의 교량 유닛의 제 2 저부 부분의 내부측에서보다 각각의 교량 유닛의 제 2 저부 부분의 외부측에서 더 높은 높이를 갖는 교량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수용 채널은 그 내부에 형성된 리세스 또는 그 상부에 장착된 채널 부재 중 하나이고,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수용 채널은 그 내부에 형성된 리세스 또는 그 상부에 장착된 채널 부재 중 하나인 교량 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교량 유닛의 제 1 저부 부분의 외부측에 있는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그 외부측에서 상기 제 1 저부 부분을 매립하기 위해 상기 제 1 저부 부분의 저부면보다 높고, 각각의 교량 유닛의 제 1 저부 부분의 내부측에 있는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상기 제 1 저부 부분의 저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이고,
각각의 교량 유닛의 제 2 저부 부분의 외부측에 있는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그 외부측에서 상기 제 2 저부 부분을 매립하기 위해 상기 제 2 저부 부분의 저부면보다 높고, 각각의 교량 유닛의 제 2 저부 부분의 내부측에 있는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상기 제 2 저부 부분의 저부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인 교량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수용 채널은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완전히 위치되고,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수용 채널은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완전히 위치되는 교량 시스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타설 중에 하나의 셀로부터 상기 지지체를 통해 다른 셀로 유동하게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셀로부터 셀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개구는 그 내부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타설 중에 하나의 셀로부터 상기 지지체를 통해 다른 셀로 유동하게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셀로부터 셀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 개구는 그 내부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교량 시스템.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셀로부터 셀로 연장하는 다수의 보강 개구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보강 개구는 상기 유동 개구보다 작고, 보강재는 셀로부터 셀로 상기 보강 개구들의 각각을 통해 연장하고,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는 단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셀로부터 셀로 연장하는 다수의 보강 개구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보강 개구는 상기 유동 개구보다 작고, 보강재는 셀로부터 셀로 상기 보강 개구들의 각각을 통해 연장하고,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는 단부들을 포함하는 교량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일 단부에 있는 제 1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으로서, 보강재가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내로 연장하고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는,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일 단부에 있는 제 2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으로서, 보강재가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내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는,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교량 시스템.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로 연장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로 연장하는 교량 시스템.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의 저부는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의 상부보다 넓고,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의 저부는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날개벽 기초 유닛의 상부보다 넓은 교량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일 단부에 접하는 제 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으로서,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고, 상기 제 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채널은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채널과 각각 정렬되고,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보강재는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과 상기 제 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을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제 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일 단부에 접하는 제 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으로서,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고, 상기 제 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채널은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채널과 각각 정렬되고,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보강재는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과 상기 제 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을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제 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교량 시스템.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단부는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단부에 접촉하고, 이러한 단부들의 각각은 그 각각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접촉 단부들이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위치되는 연속 셀을 생성하게 되고,
상기 제 4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단부는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단부에 접촉하고, 이러한 단부들의 각각은 그 각각의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접촉 단부들이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위치되는 연속 셀을 생성하게 되는 교량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은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로 연장하는 저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상기 저부벽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상기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은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로 연장하는 저부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상기 저부벽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상기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로부터 이격되는 교량 시스템. -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구성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으로서,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상기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상기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로 측방향으로 연장하여, (i) 상기 채널의 길이를 따라 다수의 이격된 셀들을 형성하고, (ii) 상기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를 단단히 연결하고, 상기 다수의 셀들의 각각은 상부 및 저부의 모두에서 개방되고, 수용 채널이 상기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정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다수의 지지체들의 적어도 일부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타설 중에 하나의 셀로부터 상기 지지체를 통해 다른 셀로 유동하게 하기 위해 셀로부터 셀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 개구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수용 채널은 상기 채널 내로부터 상기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는 상기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수용 채널은 상기 채널 내에 완전히 위치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용 채널은 (i) 그 각각의 지지체의 상부에 형성된 리세스 또는 (ii) 그 각각의 지지체의 상부에 장착된 채널 부재 중 하나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 교량 설치 현장에 위치된 제 21 항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을 합체하는 조합 프리캐스트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있고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상기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 및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상기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들의 각각에 속박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상부로부터 저부로 각각의 셀을 실질적으로 폐쇄하고,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는 상기 지지체들의 유동 개구들 내에 위치되는 조합 프리캐스트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적어도 일부는 셀로부터 셀로 다수의 보강재 통로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보강재는 셀로부터 셀로 상기 보강재 통로를 통해 통과하고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는 조합 프리캐스트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 교량 설치 현장에 위치된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로서,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으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채널 내에 위치되고 상기 채널 외부로 그리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상부로 상향으로 연장하는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으로서, 상기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의 상부면은 그 내부에 리세스 또는 그 상부에 채널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 및
상기 채널 내에 있고, (i)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 및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상기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상기 내부 및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각각에 속박되고, (ii)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상기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에 속박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의 저부는 상기 채널 내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는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은 상기 다수의 지지체들의 정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보강재는 상기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의 저부로부터 상기 채널 내의 현장 타설 콘크리트 내로 하향으로 연장하는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상부 리세스 또는 채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은 상기 리세스 또는 채널 부재들 내에 안착되는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
- 제 28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포함하는 교량 시스템으로서,
다수의 교량 유닛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교량 유닛들의 각각은 상기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의해 지지된 제 1 저부 측부를 갖고, 각각의 제 1 저부 측부는 상기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의 리세스 또는 채널 부재 내에 안착되는 교량 시스템. -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이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은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이고, 상기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은 제 1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이고, 상기 시스템은
교량 설치 현장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로부터 이격하여 그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은,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는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으로부터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채널 내에 위치되고 상기 채널 외부로 그리고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상부로 상향으로 연장하는 제 2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으로서, 상기 제 2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의 상부면은 그 내부에 리세스 또는 그 상부에 채널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 및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있고, (i)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 및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상기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상기 내부 및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각각에 속박되고, (ii)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 및 상기 제 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상기 제 2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에 속박되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교량 유닛들의 각각은 상기 제 2 세장형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에 의해서 지지되는 제 2 저부 측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제 2 저부 측부는 상기 제 2 세장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의 리세스 또는 채널 부재 내에 안착되는 교량 시스템. - 조합 프리캐스트 및 현장 타설 콘크리트 기초 구조물을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중간에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 및 상기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부터 이격된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채널 내에 위치된 다수의 직립 지지체들을 갖는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을 건설 현장에서 수용하는 단계;
상기 건축 현장의 원하는 사용 위치에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이 원하는 사용 위치에 유지되는 동안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콘크리트를 전달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각각이 현장 경화 콘크리트 및 상기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 및 현장 경화 콘크리트 및 상기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의 모두 내에 매립된 보강재에 의해 현장 경화 콘크리트에 연결되도록 콘크리트를 현장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상기 내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와 상기 외부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로 측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채널 내에 다수의 이격된 셀들을 형성하고, 상기 전달 단계는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각각의 셀 내로 콘크리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셀들의 각각은 상부 및 저부의 모두에서 개방되고, 상기 현장 경화 콘크리트는 상부로부터 저부로 각각의 셀을 실질적으로 폐쇄하는 방법.
- 제 34 항에 있어서, 전달 단계 전에 프리캐스트 받침대 유닛 또는 교량 유닛 중 하나는 상기 다수의 지지체들 상의 채널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되고, 상기 현장 경화 단계 중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 또는 상기 교량 유닛 중 하나의 저부 부분은 상기 현장 경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게 되는 방법.
-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은 그 내부에 상부 리세스 또는 그 상부에 채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대 유닛 또는 상기 교량 유닛 중 하나는 상기 상부 리세스 또는 채널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방법.
-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다수의 지지체들의 각각의 상부 리세스 또는 채널 부재는 상기 채널 내로부터 상기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로 연장하고, 상기 전달 단계 중에 상기 저부 부분과 상기 제 2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에 위치된 전달된 콘크리트는 제 1 높이로 굳어지고, 상기 저부 부분과 상기 제 1 세장형 직립벽 부재 사이에 위치된 전달된 콘크리트는 상기 제 1 높이보다 낮은 제 2 높이로 굳어지는 방법.
- 제 34 항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날개벽 기초 유닛을 건축 현장에서 수용하는 단계;
상기 전달 단계 전에, 보강재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날개벽 유닛으로부터 상기 채널 내로 연장하도록 상기 제 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 유닛의 일 단부에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날개벽 기초 유닛을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달 및 현장 경화 단계의 결과로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날개벽 유닛으로부터 상기 채널 내로 연장하는 보강재가 상기 현장 경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게 되는 방법.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날개벽 기초 유닛은 저부면 및 상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저부면은 상기 상부면보다 넓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161505564P true | 2011-07-08 | 2011-07-08 | |
US61/505,564 | 2011-07-08 | ||
US201261637922P true | 2012-04-25 | 2012-04-25 | |
US61/637,922 | 2012-04-25 | ||
PCT/US2012/045353 WO2013009529A2 (en) | 2011-07-08 | 2012-07-03 |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7118A true KR20140047118A (ko) | 2014-04-21 |
Family
ID=46545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03246A KR20140047118A (ko) | 2011-07-08 | 2012-07-03 | 교량을 위한 기초 시스템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8789337B2 (ko) |
EP (1) | EP2729627B1 (ko) |
JP (1) | JP6061154B2 (ko) |
KR (1) | KR20140047118A (ko) |
AR (1) | AR087162A1 (ko) |
AU (1) | AU2012282963B2 (ko) |
CA (1) | CA2841100C (ko) |
CR (1) | CR20130664A (ko) |
MX (1) | MX343316B (ko) |
PL (1) | PL2729627T3 (ko) |
WO (1) | WO2013009529A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Z708317A (en) * | 2012-12-13 | 2017-08-25 | Contech Eng Solutions Llc |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US8925282B2 (en) | 2011-07-08 | 2015-01-06 |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US9695558B2 (en) | 2012-12-13 | 2017-07-04 |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USD765265S1 (en) * | 2014-07-01 | 2016-08-30 |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 Bridge unit |
US9481968B2 (en) | 2011-09-16 | 2016-11-01 |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 Bridge system and method including four sided concrete bridge units adapted for promoting sedimentation |
US9970166B2 (en) * | 2012-02-06 | 2018-05-15 |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 Concrete bridge system and related methods |
WO2014172158A1 (en) * | 2013-04-15 | 2014-10-23 |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 Concrete bridge system and related methods |
US9699485B2 (en) * | 2012-08-31 | 2017-07-04 | Facebook, Inc. | Sharing television and video programming through social networking |
US9243380B2 (en) * | 2013-06-10 | 2016-01-26 | Terratech Consulting Ltd. | Reinforced arch with floating footer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
CN104674847B (zh) * | 2015-03-05 | 2017-04-05 | 东北大学 | 一种装配式预制混凝土城市综合管廊 |
BE1024818B1 (nl) * | 2015-10-28 | 2018-07-06 | Design By Reduction Bvba | Bekisting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betonnen constructie, bekistingssysteem ter vorming van zulke bekis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betonnen constructie |
JP6710586B2 (ja) * | 2016-06-10 | 2020-06-17 | 株式会社ホクコン | 門型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
JP2018012962A (ja) * | 2016-07-20 | 2018-01-25 | ヤマグチ株式会社 | アーチカルバートが敷設されたトンネル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
US11059201B2 (en) * | 2016-08-22 | 2021-07-13 | LowSpan LLC | Pre-stressed box culvert and methods for assembly thereof |
US11174614B2 (en) | 2017-08-14 | 2021-11-16 | Contech Engineered Solutions LLC | Metal foundation system for culverts, buried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KR102371226B1 (ko) * | 2021-07-22 | 2022-03-07 | (주)한맥기술 | 내구성 및 차량의 통행 효율을 향상시킨 횡단 통로 및 그 시공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7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9886A (en) | 1870-12-06 | Bitehieddec | ||
US567653A (en) | 1896-09-15 | William sink paekee | ||
US1074268A (en) | 1912-03-29 | 1913-09-30 | Charles D Kelly | Concrete arch. |
US1184634A (en) | 1915-05-10 | 1916-05-23 | Paul B Lehrkind | Culvert. |
US1474808A (en) | 1920-02-24 | 1923-11-20 | Zucco Pierre | Method of tunnel construction |
US1412615A (en) | 1921-03-18 | 1922-04-11 | Ernest W Johnson | Agricultural implement |
US1784271A (en) * | 1927-07-13 | 1930-12-09 | Pacific Clay Products | Conduit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US2616149A (en) | 1941-01-09 | 1952-11-04 | Bowen Colthurst & Partners Ltd | Method of molding in situ concrete arched structures |
US3195852A (en) | 1963-07-17 | 1965-07-20 | Lundell Mfg Company | Concrete form structure |
US3286972A (en) | 1964-06-19 | 1966-11-22 | James H Jackson | Device for suspending forms from structural beams |
US3397494A (en) | 1966-04-04 | 1968-08-20 | Reynolds Metals Co | Build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ame |
JPS5147961B2 (ko) | 1973-02-09 | 1976-12-17 | ||
GB1524252A (en) | 1975-05-13 | 1978-09-06 | Ccl Systems Ltd | Joining concrete members in buildings |
FR2330818B3 (ko) | 1975-11-05 | 1979-06-29 | Squecco Jules | |
US4094110A (en) | 1976-03-24 | 1978-06-13 | Radva Plastics Corporation | Building system and method |
US4211504A (en) | 1976-06-24 | 1980-07-08 | Sivachenko Eugene W | High strength corrugated metal pl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
US4141666A (en) | 1978-02-16 | 1979-02-27 | Kaiser Aluminum & Chemical Corporation | Low headroom culvert |
US4318635A (en) | 1980-07-07 | 1982-03-09 | Bethlehem Steel Corporation | Culvert structure having corrugated ribbing support |
CA1143170A (en) * | 1981-06-17 | 1983-03-22 | Carl W. Peterson | Arch-beam structure |
EP0244890B2 (fr) | 1981-11-17 | 1999-09-29 | Marcel Matière | Procédé de réalisation de structures creuses, de grande section, telles que des conduites, silos ou abris, et structures obtenues par ce procédé |
US4993872A (en) | 1983-12-28 | 1991-02-19 | Con/Span Culvert Systems, Inc. | Precast concrete culvert system |
US4687371A (en) | 1983-12-28 | 1987-08-18 | Con/Span Culvert Systems, Inc. | Precast concrete culvert section |
US4797030A (en) | 1983-12-28 | 1989-01-10 | Con/Span Culvert Systems, Inc. | Precast concrete culvert system |
US4558969A (en) | 1984-03-19 | 1985-12-17 | Bebo Of America | Hinge for use with large pre-cast overfilled load support structures |
US4817353A (en) | 1987-10-28 | 1989-04-04 | Woods John T | Selfcontained integral footing form and foundation wall |
DE3891234T1 (de) | 1988-01-27 | 1990-01-11 | Ts O Metodiceskaja Ekspedicija | Gewoelbekonstruktion |
US4972646A (en) | 1988-03-14 | 1990-11-27 | Foam Form Systems, Inc. | Concrete forming system |
US5505033A (en) | 1988-12-06 | 1996-04-09 | 501 Hitachi Metals Ltd. | Column base structure and connection arrangement |
US4972641A (en) | 1989-09-27 | 1990-11-27 | Modern Industries, Inc. | Leave-in-place cantilever concrete foundation form |
FR2668183A1 (fr) | 1990-10-19 | 1992-04-24 | Bourachot Philippe | Procede de construction rapide d'ouvrages d'art voutes. |
JP3015507B2 (ja) * | 1990-11-29 | 2000-03-06 |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 建物の基礎 |
JP2823721B2 (ja) * | 1991-12-20 | 1998-11-11 | 石川島建材工業株式会社 | 保護用シェッド |
DE9206140U1 (de) | 1992-05-07 | 1993-09-09 | Peca Verbundtechnik | Schalung |
US5252002A (en) | 1992-07-14 | 1993-10-12 | Day Jesse C | Natural bottom culvert and method for installation |
CA2090983C (en) | 1993-03-04 | 1996-09-24 | Michael W. Wilson | Reinforced metal box culvert |
US5524405A (en) | 1994-02-28 | 1996-06-11 | Byrd; Randall | Wall structure |
US5536113A (en) | 1994-05-16 | 1996-07-16 | North Star Concrete Of Ohio, Inc. | Precast concrete wingwall |
US5586417A (en) | 1994-11-23 | 1996-12-24 | Henderson; Allan P. | Tensionless pier foundation |
US5533835A (en) | 1995-02-06 | 1996-07-09 | Angelette; A. M. | Railroad crossing signal found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and erecting the same |
US5720577A (en) | 1995-10-11 | 1998-02-24 | Contech Constructions Products Inc. | Box culvert |
CA2261127A1 (en) * | 1996-07-17 | 1998-01-29 | Mose Monachino | A foundation element, methods for the construction of prefabricated structures including these elements, particularly prefabricated tunnels, and prefabricated structures made by these methods |
FR2751675B1 (fr) | 1996-07-24 | 1998-09-18 | Samflo | Element prefabrique en beton pour la construction d'un ouvrage d'art a paroi voutee |
US5836717A (en) * | 1997-02-25 | 1998-11-17 | Bebo Of America | Multi-segment spandrel wall for overfilled arch structures |
USD406902S (en) | 1997-07-28 | 1999-03-16 | Con/Span Bridge Systems, Inc. | Concrete bridge section |
JP3359857B2 (ja) * | 1998-01-23 | 2002-12-24 | 住友商事株式会社 | アーチ型地中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
US6094881A (en) | 1998-04-30 | 2000-08-01 | Con/Span Bridge Systems Inc. | Box shaped structural member with pultruded flanges and connecting webs |
USD426321S (en) | 1998-12-09 | 2000-06-06 | Con/Span Bridge Systems, Inc. | Composite bridge deck pultrusion |
US6243994B1 (en) | 1999-01-11 | 2001-06-12 | Bebo Of America, Inc. | Joint for pre-cast concrete twin-leaf arch sections |
US6205717B1 (en) | 2000-04-11 | 2001-03-27 |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 Bunker construction |
CA2328096C (en) | 2000-12-13 | 2002-01-08 | Robert A. Semotiuk | Environmentally compatible archway for road building |
JP2003193484A (ja) * | 2001-10-16 | 2003-07-09 | Hitoshi Mori | Pc基礎梁部材ならびにこれを使用する布基礎あるいはべた基礎の構築方法 |
US6640505B1 (en) | 2001-10-25 | 2003-11-04 | Bebotech Corporation | Hybrid arched overfilled structure |
US6854928B2 (en) | 2002-01-30 | 2005-02-15 | Con/Span Bridge Systems Ltd. | Precast concrete culvert system |
US6719492B1 (en) | 2002-03-22 | 2004-04-13 | Bebotech Corporation | Top arch overfilled system |
US6988337B1 (en) | 2002-03-22 | 2006-01-24 | Bebotech Corporation | Mean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ully precast top arch overfilled system |
US7305798B1 (en) | 2002-04-25 | 2007-12-11 | Bebo Of America | Composite overfilled arch system |
USD490533S1 (en) | 2003-01-24 | 2004-05-25 | Con/Span Bridge Systems Ltd. | Concrete tunnel for a rapid transit train |
USD484610S1 (en) | 2003-02-12 | 2003-12-30 | Con/Span Bridge Systems Ltd. | Concrete tunnel for a rapid transit train |
ITTO20030519A1 (it) | 2003-07-08 | 2005-01-09 | Carlo Chiaves | Sistema d'appoggio articolabile di un elemento |
US6962465B2 (en) | 2003-12-03 | 2005-11-08 | Con/Span Bridge Systems Ltd | Method for improving the environment within soil embedded culvert and bridge systems |
US20080006003A1 (en) | 2004-02-12 | 2008-01-10 | Milovan Skendzic | Method of Constructing Strip Foundations with Longitudinal Socket |
USD514706S1 (en) | 2004-03-01 | 2006-02-07 | Con/Span Bridge Systems Ltd. | Concrete bridge and headwall unit |
US7001110B2 (en) * | 2004-03-01 | 2006-02-21 | Con/Span Bridge Systems Ltd. |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
USD511387S1 (en) | 2004-03-01 | 2005-11-08 | Con/Span Bridge Systems Ltd. | Concrete bridge unit with integral footers |
USD512513S1 (en) | 2004-09-15 | 2005-12-06 | Con/Span Bridge Systems Ltd. | Concrete bridge and headwall unit |
USD511215S1 (en) | 2004-11-19 | 2005-11-01 | Con/Span Bridge Systems Ltd. | Precast concrete bridge unit |
US20070261341A1 (en) * | 2005-03-08 | 2007-11-15 | Contech Bridge Solutions, Inc. | Open bottom fiber reinforced precast concrete arch unit |
US7556451B2 (en) | 2005-09-09 | 2009-07-07 | Contech Bridge Solutions Inc. | Precast concrete bridge and headwall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tion |
US7217064B1 (en) | 2005-12-23 | 2007-05-15 | Wilson Michael W | Reinforcement of arch type structure with beveled/skewed ends |
USD573722S1 (en) | 2007-03-28 | 2008-07-22 | Contech Bridge Solutions Inc. | Precast concrete support for a bridge |
US7770250B2 (en) | 2008-01-22 | 2010-08-10 | County Materials Corporation | Flared leg precast concrete bridge system |
-
2012
- 2012-07-03 MX MX2014000333A patent/MX343316B/es active IP Right Grant
- 2012-07-03 WO PCT/US2012/045353 patent/WO2013009529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2-07-03 AU AU2012282963A patent/AU2012282963B2/en active Active
- 2012-07-03 CA CA2841100A patent/CA2841100C/en active Active
- 2012-07-03 PL PL12737421T patent/PL2729627T3/pl unknown
- 2012-07-03 US US13/541,043 patent/US8789337B2/en active Active
- 2012-07-03 JP JP2014519248A patent/JP6061154B2/ja active Active
- 2012-07-03 KR KR1020147003246A patent/KR2014004711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2-07-03 EP EP12737421.3A patent/EP2729627B1/en active Active
- 2012-07-06 AR ARP120102477A patent/AR087162A1/es unknown
-
2013
- 2013-12-16 CR CR20130664A patent/CR20130664A/es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2841100C (en) | 2019-04-09 |
CR20130664A (es) | 2014-02-18 |
US8789337B2 (en) | 2014-07-29 |
WO2013009529A3 (en) | 2013-09-12 |
JP2014520981A (ja) | 2014-08-25 |
AR087162A1 (es) | 2014-02-26 |
AU2012282963A1 (en) | 2014-01-23 |
AU2012282963B2 (en) | 2016-10-20 |
CA2841100A1 (en) | 2013-01-17 |
EP2729627B1 (en) | 2016-02-10 |
JP6061154B2 (ja) | 2017-01-18 |
MX2014000333A (es) | 2014-02-19 |
MX343316B (es) | 2016-11-01 |
US20130008108A1 (en) | 2013-01-10 |
WO2013009529A2 (en) | 2013-01-17 |
PL2729627T3 (pl) | 2016-08-31 |
EP2729627A2 (en) | 2014-05-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47118A (ko) | 교량을 위한 기초 시스템 | |
US9695558B2 (en) |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
US8925282B2 (en) |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
KR101842474B1 (ko) | 현장 타설 팽이말뚝용 보강재, 이를 이용한 일체형 팽이말뚝 기초 및 일체형 팽이말뚝 기초의 시공방법 | |
KR20040105446A (ko) |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 |
KR100787178B1 (ko) | 경량철골구조 기초바닥판 및 그 시공 방법 | |
US20170247843A1 (en) |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
KR101183691B1 (ko) | 조립형 우수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67511B1 (ko) | 기성 콘크리트 말뚝을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 |
KR20190069910A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설치구조 및 방법 | |
US9523194B2 (en) | Reinforced blockwork construction method | |
KR100973236B1 (ko) | 엘리베이터 피트 지지 구조체 | |
KR102026112B1 (ko) | 다양한 브라켓 연결수단을 갖는 수직구조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블록 | |
WO2011067605A1 (en) | Precast wall section and method of building a wall | |
JP5836647B2 (ja) | 上下二槽型の貯水槽構成用の内壁支柱部材及びそれを用いる上下二槽型の貯水槽 | |
WO2007073570A1 (en) | Building block | |
WO2008035994A9 (en) | A method of forming a structure | |
AU2010201761A1 (en) | Wall panel and installation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