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455A -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 Google Patents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455A
KR20190014455A KR1020180032985A KR20180032985A KR20190014455A KR 20190014455 A KR20190014455 A KR 20190014455A KR 1020180032985 A KR1020180032985 A KR 1020180032985A KR 20180032985 A KR20180032985 A KR 20180032985A KR 20190014455 A KR20190014455 A KR 20190014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concrete
blocking member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ublication of KR20190014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4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완화하고 콘크리트 누설을 최소화하며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차단프레임(110), 차단봉(150)과 차단부재(160)를 포함하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로 감싸서 형성된다.

Description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Concrete interception wall having good durability}
본 발명은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완화하고 콘크리트 누설을 최소화하며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부 철근이 규칙적으로 배근된 건축물의 슬라브 등을 구축하는 작업에 있어서 한 번에 모든 면적의 구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없는 경우에는 타설 면적을 일정 구역으로 나누어 콘크리트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 구역으로 면적을 나누어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한 번에 타설할 수 있는 구역을 다음 작업을 실시할 구역과 나누어 구획시키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프레임(20)에 일정 간격으로 상·하부 체결공(21)을 다수 형성하고 각 체결공(21)에 머리부(31)를 가진 차단봉(30)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서, 차단프레임(20)은 콘크리트 타설 구역의 상부 타설면을 막아주고, 차단봉(30)은 상·하부 철근 및 기타 구조물 등이 설치된 하부 타설면을 차단시키게 되며, 한번 작업 시 정해진 구역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종료되도록 일정 구역을 막고 콘크리트 타설물이 일정 구역 안에만 머물면서 양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차단봉이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져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에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단봉 사이사이에 틈이 생기고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와 같은 묽은 콘크리트가 타설될 경우에는 차단봉 사이의 틈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당량이 흘러나오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막이 부근에서 콘크리트의 누출을 초래함으로써 양생되는 콘크리트 밀도의 불균형이나 공극이 발생되는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누출된 콘크리트가 차단봉을 둘러싸면서 굳어져 콘크리트 양생 후 차단봉을 떼어내기가 매우 어렵게 되거나 차단봉을 떼어내는 과정에서 차단봉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50947호에는 막음재 간의 틈을 최소화하고 콘크리트가 막음재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재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막음재 본체(11)(종래의 타설막이의 차단봉에 해당됨)에 이형필름(13)을 감싸서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의 이형필름(13)은 콘크리트가 막음재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지만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완화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등록특허 제1608644호에는 고정틀(종래의 타설막이의 차단프레임에 해당됨)에 다수개의 고정관(2)과 지지관(3)(종래의 타설막이의 차단봉에 해당됨)을 설치하고, 각각의 지지관(3)의 외부에 설치된 스펀지관(4)에 의해 서로 밀착시켜 조립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의 스펀지관(4)은 신축성이 있어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완화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스펀지관(4)은 이를 배근된 철근 사이에 설치할 때 배근된 철근의 거친 표면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등 내구성이 약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 떼어내는 과정에서도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완화하여 차단봉을 보호하고 콘크리트 누설을 최소화하며, 설치 시 배근된 철근의 거친 표면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고 콘크리트 양생 후 떼어내는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하여 본 발명을 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제1050947호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2011. 7. 14. 등록) 등록특허 제1608644호 “콘크리트타설 이동칸막이 폼”(2016. 3. 29. 등록)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완화하여 차단봉을 보호하고 콘크리트 누설을 최소화하며, 설치 시 배근된 철근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고 콘크리트 양생 후 떼어내는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아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다수개의 원형의 상부 체결공(121)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120)와, 상기 평면부(120)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원형의 하부 체결공(131)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130)와,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140)로 형성되는 차단프레임(110);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체결공(1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150);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160);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로 감싸서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은 상부 체결공(121)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차단부재(160)는 차단프레임(110)의 저면부(130)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며, 상기 차단봉(150)은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다수개의 원형의 상부 체결공(121)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120)와, 상기 평면부(120)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원형의 하부 체결공(131)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130)와,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140)로 형성되는 차단프레임(110);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체결공(1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150);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로 감싸서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봉(150)이 하부 체결공(131)의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 하부 체결공(131)을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차단프레임(110)의 저면부(130) 하방에 위치하게 되어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차단봉(150)은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거나, 상기 차단부재(160)는 상단부가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끼워지게 되어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차단봉(150)은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끼워진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다수개의 원형의 상부 체결공(121)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120)와, 상기 평면부(120)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원형의 하부 체결공(131)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130)와,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140)로 형성되는 차단프레임(110);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체결공(1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150);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160);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차단봉(15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로 감싸서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은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신축성 있는 발포수지(162)로 형성된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측면에서 눌려지면서 하부 체결공(131)에 수직으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하부 체결공(131)에 정면부(140)의 반대방향으로 개구부(132)가 형성되어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측면에서 눌려지면서 수평으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끼워지게 되며,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며, 상기 차단봉(150)은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끼워진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다수개의 원형의 상부 체결공(121)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120)와, 상기 평면부(120)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원형의 하부 체결공(131)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130)와,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140)로 형성되는 차단프레임(110);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체결공(1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150);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160);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차단봉(15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로 감싸서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봉(150)의 길이가 길어서 배근된 철근 사이에 설치할 수 있는 신축성이 있게 되어 하부 체결공(131)을 상부 체결공(121)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차단프레임(110)의 저면부(130) 하방에 위치하게 되어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봉(150)은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에는 콘크리트 타설면 측에서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전면 하단과 바닥면에 걸쳐 차단매트(17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완화하여 차단봉을 보호하며, 설치 시 배근된 철근의 거친 표면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고 콘크리트 양생 후 떼어내는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아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차단봉이 삽입된 차단부재 사이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으로 콘크리트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콘크리트 타설막이 부근에서 콘크리트의 누출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건축물의 슬라브에 상·하부 철근이 규칙적으로 배근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차단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차단프레임의 하부 체결공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의 상부 체결공으로부터 하부 체결공과 차단부재의 삽입홈에 차례로 차단봉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의 하부 체결공에 차단부재의 상단부가 수직으로 끼워지고 차단프레임의 상부 체결공으로부터 차단봉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의 하부 체결공에 차단부재의 상단부가 수평으로 끼워지고 차단프레임의 상부 체결공으로부터 차단봉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대한 ‘한국품질기술연구소’의 시험결과보고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차단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3,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100)는 다수개의 원형의 상부 체결공(121)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120)와, 상기 평면부(120)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원형의 하부 체결공(131)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130)와,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140)로 형성되는 차단프레임(110);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체결공(1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150);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160); 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업계에서 일명‘텐텐지’라고 칭하기도 하는 천막지를 말함. 이하 같음.)로 감싸서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포수지(162)는 저렴한 소재로 신축성이 있지만 배근된 철근의 거친 표면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등 내구성이 약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 떼어내는 과정에서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천막지(163)로 감싸서 차단부재(160)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차단봉(150)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차단봉(150)에 약간의 탄력성이 있게 되므로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은 상부 체결공(121)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어도 차단봉(150)을 배근된 철근 사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차단부재(160)는 차단프레임(110)의 저면부(130)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며, 상기 차단봉(150)은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차단봉(150)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배근된 철근의 굵기가 굵은 등의 사유로 차단봉(150)이 하부 체결공(131)의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부 체결공(131)을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차단봉(150)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 체결공(131)이 상부 체결공(121)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처럼 차단부재(160)는 차단프레임(110)의 저면부(130) 하방에 위치하게 되어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며, 차단봉(150)은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게 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단봉(150)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 체결공(131)이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처럼 차단부재(160)는 상단부가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끼워지게 되어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며, 차단봉(150)은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끼워진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게 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진 차단봉은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에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의 차단봉(150)은 신축성 있는 차단부재(160)에 삽입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봉(150)은 탄성이 있는 재질의 발포수지(162)에 삽입되고 차단부재(160)들이 서로 탄탄하게 밀착되므로 일반 콘크리트뿐만 아니라 고강도 콘크리트와 같은 묽은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도 콘크리트가 거의 누설되지 않는다.
상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로 감싸서 형성되어 차단봉(150)이 삽입된 차단부재(160)를 배근된 철근 사이에 설치 시 철근의 거친 표면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는다.
설사 콘크리트 양생 후 차단부재(160)의 천막지(163)가 콘크리트에 붙어있다 하더라도 천막지(163)는 콘크리트와의 흡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으며, 천막지(163)가 훼손되더라도 훼손된 천막지(163)만 교체하면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차단봉(150)은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에 강하게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차단봉(150)은 탄력성이 거의 없으므로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은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신축성 있는 발포수지(162)로 형성된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측면에서 눌려지면서 하부 체결공(131)에 수직으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끼워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차단프레임의 하부 체결공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의 형상이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측면에서 눌려지면서 수평으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하부 체결공(131)에 정면부(140)의 반대방향으로 개구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며, 상기 차단봉(150)은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끼워진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게 된다.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차단봉은, 특히 그 길이가 짧을 경우에는 탄력성이 거의 없어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배근된 철근 사이에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신축성 있는 발포수지(162)로 형성된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하부 체결공(131)에 끼워지고, 차단봉(150)은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삽입되어 차단봉(150)이 하부 체결공(131)의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신축성을 갖게 되므로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배근된 철근 사이에 어렵지 않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단봉(150)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그 길이가 길어서 배근된 철근 사이에 설치할 수 있는 신축성이 있게 되는 경우 등에는 하부 체결공(131)을 상부 체결공(121)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차단봉(150)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 체결공(131)이 상부 체결공(121)과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경우처럼 차단부재(160)는 차단프레임(110)의 저면부(130) 하방에 위치하게되어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며, 차단봉(150)은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의 상부 체결공으로부터 하부 체결공과 차단부재의 삽입홈에 차례로 차단봉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의 하부 체결공에 차단부재의 상단부가 수직으로 끼워지고 차단프레임의 상부 체결공으로부터 차단봉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의 하부 체결공에 차단부재의 상단부가 수평으로 끼워지고 차단프레임의 상부 체결공으로부터 차단봉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차단부재(160)가 차단프레임(110)의 저면부(130) 하방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차단봉(150)을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16)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삽입하면 된다.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이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고 차단봉(150)이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경우,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차단부재(160)의 상단부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끼워 넣은 후 차단봉(150)을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으로 삽입하여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삽입하면 된다.
상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발포수지(162)를 사용하여 형성되므로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차단부재(160)의 상단부를 끼워 넣은 후 차단봉(150)을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삽입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끼워지면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단봉(150)을 삽입할 때에도 차단부재(160)가 하부 체결공(131)에서 밑으로 빠져 내려가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100)를 형성하더라도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압력이 강하게 미치는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으로의 콘크리트 누출이 방지되기 어려운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에 에어매트형 차단매트(170 : 도시하지 않음)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매트(170)는 두 겹의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에 열융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공기주머니를 형성하되, 공기주머니를 하나로 형성하면 콘크리트 타설 시 공기가 한쪽으로 몰릴 수 있으므로 규칙적으로 분할되어 다수개의 공기주머니가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하며, 공기주입구와 마개에는 나사산 등을 형성하여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차단매트(170)에 공기를 주입한 후 마개를 돌려서 막으면 콘크리트 타설압력이 미치더라도 공기주입구와 마개가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한다.
상기 차단매트(170)에는 공기를 가득 넣지 않고 에어매트의 형체가 유지될 만큼만 공기를 주입하여 철사 등으로 철근에 묶어주어 콘크리트 타설면 측에서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전면 하단과 바닥면에 걸쳐 설치한다.
상기 차단매트(170)는 천막지로 만들어지는데, 천막지는 콘크리트와의 흡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후 차단매트(170)가 콘크리트에 붙어있다 하더라도 용이하게 떼어내어 재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110)을 금속 재질로 만들며, 상부 체결공과 하부 체결공은 원형으로 그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하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천막지(163)로 감싸서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110)을 금속 재질로 만들며, 상부 체결공과 하부 체결공은 원형으로 그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하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이형필름으로 감싸서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110)을 금속 재질로 만들며, 상부 체결공과 하부 체결공은 원형으로 그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하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포장재로 많이 이용되는 은박지로 감싸서 형성하였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대한 ‘한국품질기술연구소’의 시험결과보고서이다.
상기 ‘한국품질기술연구소’의 시험에서는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부재(160)를 발포수지(162)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며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각각 천막지(163), 이형필름, 은박지로 감싸서 형성하고, 일정한 길이의 차단부재(160)의 시험편에 미리 칼로 짼 자리를 낸 후 그 차단부재(160)를 계속적으로 찢어가는데 소요되는 힘의 평균값인 인열강도(internal tearing strength, 引裂强度)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의 결과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으며, 차단부재(160)를 발포수지(162)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천막지(163)로 감싸서 형성한 차단부재(160)의 인열강도는,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이형필름으로 감싸서 형성한 차단부재(160)의 인열강도의 390%에 달하고,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은박지로 감싸서 형성한 차단부재(160)의 인열강도의 630%에 달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마찰에 대한 마모 내구성)
시험결과(인열강도, N/cm)
1차 2차 3차 평균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천막지(163)로 감싸서 형성한 차단부재(160) 85 78 82 82 (390) (630)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이형필름으로 감싸서 형성한차단부재(160) 19 18 27 21 (100)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은박지로 형성한 차단부재(160) 14 12 13 13 (100)
100 :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110 : 차단프레임 120 : 평면부
121 : 상부 체결공 130 : 저면부
131 : 하부 체결공 132 : 개구부
140 : 정면부 150 : 차단봉
151 : 머리부 152 : 몸체부
160 : 차단부재 161 : 삽입홈
162 : 발포수지 163 : 천막지
170 : 차단매트

Claims (2)

  1. 다수개의 원형의 상부 체결공(121)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120)와, 상기 평면부(120)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원형의 하부 체결공(131)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130)와,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140)로 형성되는 차단프레임(110);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체결공(1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150);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160)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로 감싸서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단봉(150)이 하부 체결공(131)의 전후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 하부 체결공(131)을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하며,
    상기 차단부재(160)는 차단프레임(110)의 저면부(130) 하방에 위치하게 되어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차단봉(150)은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거나,
    상기 차단부재(160)는 상단부가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끼워지게 되어 차단프레임(110)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차단봉(150)은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끼워진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에는 콘크리트 타설면 측에서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전면과 바닥면에 걸쳐 에어매트형 차단매트(170)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매트(170)는 두 겹의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에 열융착하는 방법으로 공기주머니를 형성하되, 규칙적으로 분할되어 다수개의 공기주머니가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하며, 공기주입구와 마개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차단매트(170)에 공기를 주입한 후 마개를 돌려서 막으면 콘크리트 타설압력이 미치더라도 공기주입구와 마개가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하고, 상기 차단매트(170)에는 공기를 가득 넣지 않고 에어매트의 형체가 유지될 만큼의 공기를 주입하여 콘크리트 타설면 측에서 콘크리트 타설막이 본체(100)의 전면과 바닥면에 걸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100).
KR1020180032985A 2017-08-02 2018-03-22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1900144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999 2017-08-02
KR20170097999 2017-08-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978A Division KR101861969B1 (ko) 2017-08-02 2017-09-15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455A true KR20190014455A (ko) 2019-02-12

Family

ID=6292015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978A KR101861969B1 (ko) 2017-08-02 2017-09-15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20180032985A KR20190014455A (ko) 2017-08-02 2018-03-22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20180032993A KR20190014456A (ko) 2017-08-02 2018-03-22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20180033000A KR20190014457A (ko) 2017-08-02 2018-03-22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978A KR101861969B1 (ko) 2017-08-02 2017-09-15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993A KR20190014456A (ko) 2017-08-02 2018-03-22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20180033000A KR20190014457A (ko) 2017-08-02 2018-03-22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8619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947B1 (ko) 2011-02-08 2011-07-20 (주)하이코리아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KR101608644B1 (ko) 2015-07-27 2016-04-04 배용웅 콘크리트타설 이동칸막이 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947B1 (ko) 2011-02-08 2011-07-20 (주)하이코리아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KR101608644B1 (ko) 2015-07-27 2016-04-04 배용웅 콘크리트타설 이동칸막이 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456A (ko) 2019-02-12
KR101861969B1 (ko) 2018-07-05
KR20190014457A (ko) 201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167B1 (ko)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8B1 (ko) 차단부재와 차단판을 가지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7B1 (ko)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US20140319316A1 (en) Hollow-core fiberglass sheet
WO2007043897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construction of walls or panels
KR101861969B1 (ko)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ITBO20110611A1 (it) Metodo per rinforzare una struttura muraria e corrispondente sistema di rinforzo
JP5688937B2 (ja) 修復パネル
JP2010265612A (ja) 誘発目地材
KR101878106B1 (ko) 콘크리트 누출을 방지하는데 최적화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190000388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
KR102009872B1 (ko)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제작한 창호거푸집 및 창호프레임
CN107119922A (zh) 用于预应力楼板后浇带张拉端的支撑组件
DE202006008435U1 (de) Schalungsbauteil zur Herstellung einer Deckenrandschalung
EP3412842B1 (de) Fugenfüllungsprofil
CN107514080B (zh) 一种一体化楼板
EP2363552B1 (de) Verwendung eines Aufsatzstückes zum Aufsetzen auf eine Dichtpackung
JP2002161544A (ja) 土木用止水コンクリートクラック誘発目地材とその使用方法
PT1826320E (pt) Caixilho para tampão de esgotos e correspondente dispositivo de saneamento público
KR20180103417A (ko) 콘크리트의 압력에 파손되지 않으며 콘크리트의 누출을 완전히 방지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140124500A (ko) 벽체 오프닝 차폐 방법
JP5977630B2 (ja) 除去式スペーサーおよび型枠工法
JP686213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
KR20180002146U (ko) 내부 지지구조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사용되는 차단봉
JP2009000952A (ja) コンクリート製部材成形用の内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