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287B1 -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 Google Patents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8287B1
KR101868287B1 KR1020170118976A KR20170118976A KR101868287B1 KR 101868287 B1 KR101868287 B1 KR 101868287B1 KR 1020170118976 A KR1020170118976 A KR 1020170118976A KR 20170118976 A KR20170118976 A KR 20170118976A KR 101868287 B1 KR101868287 B1 KR 101868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concrete
reinforcing bars
bar
sh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 등 철근밀집구간에 설치할 수 있는,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200)는 차단봉(210), 상기 차단봉(210)이 삽입되는 차단부재(220), 상기 차단부재(220)들이 측면에서 밀착되어 형성되는 타설막이 본체(23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Variable concrete interception wall without blocking frame}
본 발명은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 등 철근이 밀집되어 있어 통상적인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프레임의 상부체결공과 하부체결공에 차단봉을 삽입하는 구조로는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기 어려운 부위에 설치할 수 있는,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부 철근이 규칙적으로 배근된 건축물의 슬라브 등을 구축하는 작업에 있어서 한 번에 모든 면적의 구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없는 경우에는 타설 면적을 일정 구역으로 나누어 콘크리트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 구역으로 면적을 나누어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한 번에 타설할 수 있는 구역을 다음 작업을 실시할 구역과 나누어 구획시키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프레임(120)에 일정 간격으로 상·하부 체결공(130)을 다수 형성하고 각 상·하부 체결공(130)을 관통하여 차단봉(110)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서, 차단프레임(120)은 콘크리트 타설 구역의 상부 타설면을 막아주고, 차단봉(110)은 상·하부 철근 및 기타 구조물 등이 설치된 하부 타설면을 차단시키게 되며, 한번 작업 시 정해진 구역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종료되도록 일정 구역을 막고 콘크리트 타설물이 일정 구역 안에만 머물면서 양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콘크리트 타설막이(10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타설막이(100)의 설치 시 철근(310, 320, 330, 340), 기타 구조물(550) 등 장애물이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차단봉(110) 이 철근 등 장애물에 걸려 더 내려지지 못하는 상태가 되고, 그 이외의 차단봉(110)들은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까지 하강하여 설치된다.
그런데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 등 굵기가 다양한 상·하부 철근, 수직철근 등의 철근이 밀집하게 배근되며, 현장 여건에 따라 불규칙하게 철근이 배근되기도 하는 철근밀집구간에서 콘크리트 타설 면적을 일정 구역으로 나누어 콘크리트 작업을 하게 될 경우,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여 차단프레임의 상부체결공과 하부체결공에 차단봉을 삽입하는 구조로는 너무 많은 차단봉이 상·하부 철근, 수직철근 등의 간섭에 의해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까지 하강하지 못하여 콘크리트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건축물의 벽체 등 철근이 밀집되어 있는 부위에서 콘크리트 타설 면적을 일정 구역으로 나누어 콘크리트 작업을 하게 되는 경우에 참고할만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50947호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이 있다.
상기 특허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중공을 갖는 봉 형상의 막음재 본체와 막음재 본체의 중공에 삽입되는 중공 삽입체를 포함하며, 중공 삽입체(12)는 막음재 본체(11)의 중공으로 삽입되어 막음재 본체(11)를 팽창(단면을 확대)시킴으로써 이웃하는 막음재 본체(11)가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도록 하고, 중공 삽입체(12)를 통해 막음재 본체(11)가 확대됨으로써 수직으로 설치된 막음재 본체(11) 사이에 위치하는 철근을 막음재 본체(11)가 둘러싸 콘크리트의 유출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건축물의 벽체 등 굵기가 다양한 상·하부 철근, 수직철근 등의 철근이 밀집하게 배근되며, 현장 여건에 따라 불규칙하게 철근이 배근되기도 하는 철근밀집구간에서 콘크리트 타설 면적을 일정 구역으로 나누어 콘크리트 작업을 하게 될 경우, 상기 특허의 막음재 본체(11)의 중공(11a)에 중공 삽입체(12)가 삽입되어 막음재 본체(11)를 팽창시켜 이웃하는 막음재 본체(11)를 밀착시키는 획일적 구성으로는, 현장 여건이 다양한 철근밀집구간에 설치하는 것 자체가 어려워 콘크리트의 누출을 제대로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50947호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2011. 7. 14. 등록)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 등 굵기가 다양한 상·하부 철근, 수직철근 등의 철근이 밀집하게 배근되며, 현장 여건에 따라 불규칙하게 철근이 배근되기도 하는 철근밀집구간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210); 중앙에 상기 차단봉(21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220); 상기 차단봉(210)이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은 다수개의 상기 차단부재(220)들이 각각 폭 방향으로 압착되면서 배근된 철근(400)과 철근(400) 사이 또는 철근(400)과 거푸집(600) 벽면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면 안쪽으로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철근(400)과 인접하는 차단부재(220) 및 서로 인접하는 차단부재(220)들이 측면에서 밀착되어 형성되는 가변형 타설막이 본체(2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봉(210)은 차단부재(220)의 삽입홈(221)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차단봉(210)의 상단에는 머리부(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봉(210)의 하단이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에 닿으면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단에는 돌부(2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220)는 건축용 백업재로 외경의 크기가 같은 다수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외경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설막이 본체(230)가 1열로 형성되거나 2열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설막이 본체(230)의 차단부재(220)들을 가로 지르는 수평지지부재(2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설막이 본체(230)에는 콘크리트 타설면 측에서 타설막이 본체(230)의 전면과 바닥면에 걸쳐 차단매트(2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건축물의 벽체 등 굵기가 다양한 상·하부 철근, 수직철근 등의 철근이 밀집하게 배근되며, 현장 여건에 따라 불규칙하게 철근이 배근되기도 하는 철근밀집구간에 가변형으로 용이하게 설치하여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건축물의 슬라브에 상·하부 철근이 규칙적으로 배근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설치 상태도,
도 4는 건축물의 벽체에 굵기가 다양한 상·하부 철근, 수직철근 등의 철근이 밀집하게 배근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설치 상태도,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주)건설기술원의 시험결과보고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200)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210); 중앙에 상기 차단봉(21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220); 상기 차단봉(210)이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은 다수개의 상기 차단부재(220)들이 각각 폭 방향으로 압착되면서 배근된 철근(400)과 철근(400) 사이 또는 철근(400)과 거푸집(600) 벽면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면 안쪽으로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철근(400)과 인접하는 차단부재(220) 및 서로 인접하는 차단부재(220)들이 측면에서 밀착되어 형성되는 가변형 타설막이 본체(230); 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봉(210)은 차단부재(220)의 삽입홈(221)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차단부재(220)의 삽입홈(221)에 차단봉(210)을 삽입하거나 빼내기 용이하도록 차단봉(210)의 상단에는 머리부(211)가 형성되고, 차단봉(210)의 하단이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에 닿으면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단에는 뾰족돌부 등 돌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 타설현장에서 많은 개수의 차단부재(220)의 삽입홈(221)에 차단봉(210)을 삽입하거나 빼내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면 작업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상기 차단봉(210)은 차단부재(220)의 삽입홈(221)에 용이하게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는 외경을 가지고 차단부재(220)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재(220)는 신축성 있는 소재로 외경의 크기가 같은 다수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외경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신축성 있는 소재는 스티로폼보다 훨씬 단단하며 부스러지지 않고 힘을 가하여 누르면 상당한 신축성을 갖는 건축용 백업재(22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축용 백업재(222)는 실링의 3면 접착을 방지하거나 줄눈을 하는 등의 목적으로 줄눈 밑에 넣는 재료로 등록특허 제542380호 콘크르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방법(2006. 1. 10. 공고)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이하 같음).
상기 건축용 백업재(222)로 형성된 차단부재(220)의 삽입홈(221)에 굵은 차단봉(210)을 억지로 삽입하더라도 팽창은 잘되지 않지만, 측면에서 힘을 가하여 누르면 쉽게 압착이 된다. 예를 들어 건축용 백업재(222)로 외경 4cm, 삽입홈(221) 직경 1.5cm의 차단부재(220)를 형성할 경우, 차단부재(220)에 차단봉(210)을 삽입하지 않고 압착하면 압착강도에 따라 두께 1.5~2cm가 되며, 차단봉(210)을 삽입하고 압착하면 두께 2.5~3cm가 된다. 건축용 백업재(222)로 외경 3cm, 삽입홈(221) 직경 1.5cm의 차단부재(220)를 형성할 경우, 차단부재(220)에 차단봉(210)을 삽입하지 않고 압착하면 압착강도에 따라 두께 1.1~1.5cm가 되며, 차단봉(210)을 삽입하고 압착하면 두께 1.8~2.3cm가 된다.
상기 차단부재(220)의 삽입홈(221)에는 차단봉(210)이 삽입된 후 폭 방향으로 압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철근(400)과 철근(400) 사이 또는 철근(400)과 거푸집(600) 벽면 사이에 배치하는 공간을 감안하여 차단봉(210)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220)를 폭 방향으로 압착시켜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차단봉(210)이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은 다수개의 상기 차단부재(220)들이 각각 폭 방향으로 압착되면서 배근된 철근(400)과 철근(400) 사이 또는 철근(400)과 거푸집(600) 벽면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면 안쪽으로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철근(400)과 인접하는 차단부재(220) 및 서로 인접하는 차단부재(220)들이 측면에서 밀착되어 가변형 타설막이 본체(230)가 형성된다.
이 때, 차단부재(220)가 철근(400)과 인접하게 되는 철근(400) 좌우로는 차단봉(210)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220)를 설치하는데 철근(400)의 측면으로 차단부재(220)를 폭 방향으로 압착하면 철근(400) 좌우에 설치된 차단봉(210)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220)들이 측면에서 압착되어 철근(400) 상하부에서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차단부재(220)가 철근(400)과 인접하게 되는 철근(400) 좌우를 제외한 철근(400)과 철근(400) 사이에는 차단봉(210)이 삽입된 차단부재(220)를 폭 방향으로 압착하여 설치한다.
차단부재(220)에 차단봉(210)을 삽입하거나 또는 삽입하지 않고, 차단부재(220)를 폭 방향으로 압착하는 강도를 달리하여 철근(400)과 철근(400) 사이에 적절하게 다수개의 차단부재(220)가 밀착되도록 한다.
철근과 철근 사이의 간격에 따라 차단봉(210)과 차단부재(대)(220-1), 차단부재(소)(220-2)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차단부재(220) 3개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① 철근-차단봉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대)-차단봉이 삽입된 차단부재(소)--차단봉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대)-철근의 순이 되도록 설치하거나, ② 철근-차단봉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대)-차단봉이 삽입된 차단부재(대)-차단봉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대)-철근의 순이 되도록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철근과 철근 사이에 차단부재(220)를 폭 방향으로 압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차단부재(120) 4개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① 철근-차단봉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대)-차단봉이 삽입된 차단부재(소)-차단봉이 삽입된 차단부재(소)-차단봉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대)-철근의 순이 되도록 설치하거나, ② 철근-차단봉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대)-차단봉이 삽입된 차단부재(소)-차단봉이 삽입된 차단부재(대)-차단봉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대)-철근의 순이 되도록 설치하거나, ③ 철근-차단봉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대)-차단봉이 삽입된 차단부재(대)-차단봉이 삽입된 차단부재(대)-차단봉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대)-철근의 순이 되도록 설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철근과 철근 사이에 차단부재(220)를 폭 방향으로 압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하더라도 차단부재(220)들이 밀착되지 않으면 차단봉(210)이 삽입되지 않은 차단부재(220)를 압착하여 추가로 더 끼워 넣을 수도 있다.
상기 가변형 타설막이 본체(230)가 일렬로만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압력을 버텨내기 어려운 경우에는 2열 이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가변형 타설막이 본체(230)가 콘크리트 타설압력을 보다 견고하게 버텨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밀착된 차단부재(220)들을 가로 지르는 수평지지부재(24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부재(240)는 콘크리트 타설현장의 여건이 매우 다양하므로 미리 별도의 부재를 만들지 않고 철사를 철근과 철근 사이에 묶는 방법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지지부재(240)는 콘크리트 타설압력이 타설막이 본체(230)를 밀어내지 않도록 콘크리트 타설면 반대측에 설치하며, 타설막이 본체(230)가 2열 이상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면 반대측 가장 외측에 있는 타설막이 본체(230)에 설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200)를 형성하더라도 상·하부 철근의 개수나 굵기가 다른 사유 등으로 콘크리트의 누출이 제대로 방지되기 어려운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타설막이 본체(230)에는 에어매트형 차단매트(250 : 도시하지 않음)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단매트(250)는 두 겹의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업계에서 일명‘텐텐지’라고 칭하기도 하는 천막지를 말함. 이하 같음.)에 열융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공기주머니를 형성하되, 공기주머니를 하나로 형성하면 콘크리트 타설 시 공기가 한쪽으로 몰릴 수 있으므로 규칙적으로 분할되어 다수개의 공기주머니가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하며, 공기주입구와 마개에는 나사산 등을 형성하여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차단매트(250)에 공기를 주입한 후 마개를 돌려서 막으면 콘크리트 타설압력이 미치더라도 공기주입구와 마개가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한다.
상기 차단매트(250)에는 공기를 가득 넣지 않고 에어매트의 형체가 유지될 만큼만 공기를 주입하여 철사 등으로 철근 상단에 묶어주어 콘크리트 타설면 측에서 타설막이 본체(230)의 전면과 바닥면에 걸쳐 설치한다.
상기 차단매트(250)는 천막지로 만들어지는데, 천막지는 콘크리트와의 흡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후 차단매트(250)가 콘크리트에 붙어있다 하더라도 용이하게 떼어내어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 등 굵기가 다양한 상·하부 철근, 수직철근 등의 철근이 밀집하게 배근되며, 현장 여건에 따라 불규칙하게 철근이 배근되기도 하는 철근밀집구간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200)가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주)건설기술원의 시험결과보고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200)로서 차단프레임은 없으며, 차단봉(210)은 금속 재질로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고, 차단부재(220)는 건축용 백업재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었다.
비교예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차단프레임이 있는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로서, 차단프레임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차단봉은 플라스틱 재질로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고, 차단부재는 없는 것으로 형성되었다.
상기 (주)건설기술원의 시험에서는 1m×1m×0.4m의 거푸집의 전면 벽 대신 굵기가 다양한 상·하부 철근, 수직철근 등의 철근을 밀집하게 배근하고 콘크리트 타설면에 상기 비교예와 실시예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각각 설치한 후, 내면 바닥으로부터 높이 250mm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 타설막이로부터 누설되는 양을 수집하기 위하여 타설막이 밑에 질량이 확인된 비닐을 깔고 콘크리트 타설 후 20분 동안 누설된 양과 비닐을 수거하여 전자식 지시 저울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의 콘크리트 누설량과 같다.
구분 시료
번호
차단프레임의 재질 차단봉의
재질 및 형상
차단부재의 재질 및 형상 콘크리트 누설량(kg)
비교예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
1 금속 플라스틱
원기둥
13.0653 (100)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2 금속
원기둥
건축용 백업재
원기둥
0.0025 (0.0002)
상기 시험 결과, 비교예에 비해 실시예는 콘크리트 누설량의 감소율이 99.9998%에 달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차단봉, 차단부재가 모두 원형이 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차단봉, 차단부재의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굵기가 다양한 상·하부 철근, 수직철근 등의 철근이 밀집하게 배근되는 건축물의 벽체를 대상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수직 철근이 많이 배근되는 기둥 등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는 것으로는 콘크리트의 대량 누출을 방지하기 어려운 모든 부위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00 : 본 발명에 의한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210 : 차단봉 211 : 머리부
212 : 몸체부 213 : 돌부
220 : 차단부재 220-1 : 차단부재(대)
220-2 : 차단부재(소) 221 : 삽입홈
222 : 건축용 백업재 230 : 타설막이 본체
240 : 수평지지부재 250 : 차단매트
400 : 철근 600 : 거푸집

Claims (7)

  1. 굵기가 다양한 상·하부 철근, 수직철근이 밀집하게 배근되며, 현장 여건에 따라 불규칙하게 철근이 배근되기도 하는 건축물 벽체의 철근밀집구간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로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210); 중앙에 상기 차단봉(21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22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220); 상기 차단봉(210)이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은 다수개의 상기 차단부재(220)들이 각각 폭 방향으로 압착되면서 배근된 철근(400)과 철근(400) 사이 또는 철근(400)과 거푸집(600) 벽면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면 안쪽으로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철근(400)과 인접하는 차단부재(220) 및 서로 인접하는 차단부재(220)들이 측면에서 밀착되어 형성되는 가변형 타설막이 본체(230); 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봉(210)은 차단부재(220)의 삽입홈(221)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차단봉(210)의 상단에는 머리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봉(210)의 하단이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에 닿으면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단에는 돌부(213)가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재(220)는 건축용 백업재로 외경의 크기가 같은 다수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외경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타설막이 본체(230)는 1열로 형성되거나 2열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타설막이 본체(230)의 차단부재(220)들을 가로 지르는 수평지지부재(240)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부재(240)는 콘크리트 타설압력이 상기 타설막이 본체(230)를 밀어내지 않도록 콘크리트 타설면 반대측에 설치하며, 상기 타설막이 본체(230)가 2열 이상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면 반대측 가장 외측에 있는 타설막이 본체(230)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타설막이 본체(230)에는 콘크리트 타설면 측에서 타설막이 본체(230)의 전면과 바닥면에 걸쳐 에어매트형 차단매트(250)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매트(250)는 두 겹의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에 열융착하는 방법으로 공기주머니를 형성하되, 규칙적으로 분할되어 다수개의 공기주머니가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하며, 공기주입구와 마개에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차단매트(250)에 공기를 주입한 후 마개를 돌려서 막으면 콘크리트 타설압력이 미치더라도 공기주입구와 마개가 분리되지 않도록 형성하고, 상기 차단매트(250)에는 공기를 가득 넣지 않고 에어매트의 형체가 유지될 만큼의 공기를 주입하여 콘크리트 타설면 측에서 타설막이 본체(230)의 전면과 바닥면에 걸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20170118976A 2017-08-02 2017-09-15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01 2017-08-02
KR20170098001 2017-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8287B1 true KR101868287B1 (ko) 2018-06-15

Family

ID=6262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976A KR101868287B1 (ko) 2017-08-02 2017-09-15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82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4234A (zh) * 2019-07-19 2019-10-25 杭州三丰装配式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墙体与建筑框架的空腔节点结构及施工方法
KR20200001781U (ko) 2019-01-30 2020-08-07 김춘성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00001960U (ko) 2019-02-27 2020-09-04 박서연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00002362U (ko) 2019-04-17 2020-10-27 김춘성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10000539U (ko) 2019-08-27 2021-03-09 박서연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10002344U (ko) 2020-04-13 2021-10-21 김춘성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5182B2 (ja) * 2002-07-30 2007-12-19 アラオ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ストッパー
KR101050947B1 (ko) 2011-02-08 2011-07-20 (주)하이코리아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KR101158752B1 (ko) * 2009-08-21 2012-06-22 롯데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 차단막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5182B2 (ja) * 2002-07-30 2007-12-19 アラオ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ストッパー
KR101158752B1 (ko) * 2009-08-21 2012-06-22 롯데건설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 차단막이
KR101050947B1 (ko) 2011-02-08 2011-07-20 (주)하이코리아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781U (ko) 2019-01-30 2020-08-07 김춘성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00001960U (ko) 2019-02-27 2020-09-04 박서연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00002362U (ko) 2019-04-17 2020-10-27 김춘성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CN110374234A (zh) * 2019-07-19 2019-10-25 杭州三丰装配式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墙体与建筑框架的空腔节点结构及施工方法
CN110374234B (zh) * 2019-07-19 2024-04-09 杭州三丰装配式建筑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墙体与建筑框架的空腔节点结构及施工方法
KR20210000539U (ko) 2019-08-27 2021-03-09 박서연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10002344U (ko) 2020-04-13 2021-10-21 김춘성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287B1 (ko)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783167B1 (ko)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8B1 (ko) 차단부재와 차단판을 가지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AU2014302022B2 (en) Wall seal system
CN110777983A (zh) 一种混凝土填充墙与现浇结构同步施工结构及方法
EP2923000B1 (en) Stackable concrete block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CN110700447B (zh) 一种砌块填充墙与混凝土框架结构的柔性连接构造及其构造方法
AU733745B2 (en) Soil reinforcement
KR101878106B1 (ko) 콘크리트 누출을 방지하는데 최적화된 콘크리트 타설막이
EP3751068A2 (de) Dehnungsfugenband zur aktiven, selbsttätigen, dauerhaften abdichtung von fugen zwischen bauwerksteilen
EP1267035A1 (de) Verfahren zum Erstellen von abgedichteten unterirdischen Tunnelbauten mit betonierter Innenschale
CN210562704U (zh) 一种定制化拆除的钢筋混凝土结构
EP1921220A2 (en) A cladding panel
JP2010094914A (ja) 梁と柱梁接合部とを一体化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用型枠およびその型枠を用いた梁と柱梁接合部とを一体化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EP0358164B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eckanzeige- und/oder Wärmedämmspaltes zwischen einer Wand und Verkleidungsplatten sowie hierfür verwendbare Verkleidungsplatten
DE4138781C2 (de) Verfahren und Schlauchelement zum gleichmäßigen Absetzen einer Last auf einer Auflagerfläche
KR20200002362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101861969B1 (ko)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EP1947256B1 (de) Abschalungsvorrichtung
JP5813127B2 (ja) 統合された圧縮性を伴う表面エレメント
KR20190000388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
CN215106711U (zh) 带分割缝的屋顶面防水保护层的混凝土浇筑成型模具
DE10136819B4 (de) Bewehrungselement für flächige Betonteile
KR20200001960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30001673U (ko) 타설막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