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960U -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960U
KR20200001960U KR2020190000837U KR20190000837U KR20200001960U KR 20200001960 U KR20200001960 U KR 20200001960U KR 2020190000837 U KR2020190000837 U KR 2020190000837U KR 20190000837 U KR20190000837 U KR 20190000837U KR 20200001960 U KR20200001960 U KR 202000019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ring
concrete
binding portion
coupling hole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8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연
Original Assignee
박서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연 filed Critical 박서연
Priority to KR20201900008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960U/ko
Publication of KR20200001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9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65Stop-end shutt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설정된 구역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로서,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강성을 갖는 수직프레임이 끼워지도록 중앙에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길이에 해당되게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타설막이부재; 상기 타설막이부재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구멍 하부와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밀폐부재;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가 서로 인접하게 배열 설치되도록 상기 타설막이부재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는 결속부재;를 마련하여 결합구멍의 하단에 실리콘 등의 재질을 충진시켜 경화시키거나 본드 등의 접착제로 부착시켜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폐구 또는 밀폐용 콘 등에 의해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타설막이부재 내부로 유입되어 경화된 콘크리트에 의한 타설막이부재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Concrete penetration membrane structure}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타설막이 구조체의 내부로 콘크리트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타설막이 구조체의 설치 간격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슬라브 등 기초구조물을 구축할 시에는 철근이 배근된 거푸집에 일정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즉, 거푸집 바닥면과 하부철근, 하부철근과 상부철근을 각각 일정 간격으로 배근한 후 상부철근에서 일정 높이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브 등 기초구조물을 구축할 시 콘크리트의 타설 면적이 넓어서 하루 작업시간 내에 모두 타설할 수 없거나 콘크리트의 생산현장에서 타설현장까지의 운송지연이나 타설장비의 고장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공급이 갑자기 중단될 시에는 타설 가능한 면적을 구획하여 이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를 설치한다.
그리고 평면 슬라브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후공정으로 구축되는 기둥이 접하는 부위, 구조물의 설계변경으로 인한 후타설 부위, 자재인양구 또는 토사반출구 등 평면 슬라브와 일체로 시공되지 않는 부분의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의 이어치기 또는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설치방법에는 합판, 각목재, 철판 등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배근된 철근들의 사이를 막고 상부근과 타설면 사이를 길게 막아주어 콘크리트의 조인트부위를 형성하였으나, 설치작업의 번거로움과 먼저 타설되는 선구간의 콘크리트와 나중에 타설되는 후구간의 콘크리트 간에 이어지는 시공 조인트 부분의 부착강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마감부재를 이용한 설치방법이 안출되고 있다.
건축물의 슬라브 등을 구축하는 작업에 있어서 한 번에 모든 면적의 구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없는 경우에는 타설 면적을 일정 구역으로 나누어 콘크리트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 구역으로 면적을 나누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에는 한 번에 타설할 수 있는 구역을 다음 작업을 실시할 구역과 나누어 구획시키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프레임(20)에 일정 간격으로 체결공(21)을 다수 형성하고 각 체결공(21)에 머리부(31)를 가진 차단봉(30)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차단프레임(20)은 콘크리트 타설 구역의 상부 타설면을 막아주고, 차단봉(30)은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 및 기타 구조물 등이 설치된 하부 타설면을 차단시키게 되며, 한번 작업 시 정해진 구역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종료되도록 일정 구역을 막고 콘크리트 타설물이 일정 구역 안에만 머물면서 양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차단봉이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져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에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단봉 사이사이에 틈이 생기고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와 같은 묽은 콘크리트가 타설될 경우에는 차단봉 사이의 틈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당량이 흘러나오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막이 부근에서 콘크리트의 누출을 초래함으로써 양생되는 콘크리트 밀도의 불균형이나 공극이 발생되는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누출된 콘크리트가 차단봉을 둘러싸면서 굳어져 콘크리트 양생 후 차단봉을 떼어내기가 매우 어렵게 되거나 차단봉을 떼어내는 과정에서 차단봉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다수개의 소정 형상의 상부 체결공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소정 형상의 하부 체결공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와, 상기 평면부 및 저면부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로 형성되는 차단프레, 머리부와 몸체부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부 체결공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중공 홀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조를 가지는 차단봉, 신축성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중앙에 상기 차단봉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프레임의 저면부 하방에 위치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프레임은 콘크리트의 상부 타설 구역을 차단하고, 상기 차단봉은 상기 차단프레임의 평면부와 저면부에 서로 마주 보며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 하부 체결공과 차단부재의 삽입홈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하부 타설 구역을 차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굵기가 다양한 상하부 철근, 수직철근이 밀집하게 배근되며, 현장 여건에 따라 불규칙하게 철근이 배근되기도 하는 건축물 벽체의 철근밀집구간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로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 중앙에 상기 차단봉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 상기 차단봉이 삽입되거나 삽입되지 않은 다수개의 상기 차단부재들이 각각 폭 방향으로 압착되면서 배근된 철근과 철근 사이 또는 철근과 거푸집 벽면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면 안쪽으로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어 철근과 인접하는 차단부재 및 서로 인접하는 차단부재들이 측면에서 밀착되어 형성되는 가변형 타설막이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봉은 차단부재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차단봉의 상단에는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봉의 하단이 콘크리트 타설 바닥면에 닿으면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단에는 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건축용 백업재로 외경의 크기가 같은 다수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외경의 크기가 다른 다수개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타설막이 본체는 1열로 형성되거나 2열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타설막이 본체의 차단부재들을 가로 지르는 수평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부재는 콘크리트 타설압력이 상기 타설막이 본체를 밀어내지 않도록 콘크리트 타설면 반대측에 설치하며, 상기 타설막이 본체가 2열 이상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면 반대측 가장 외측에 있는 타설막이 본체에 설치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83167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68287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68288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타설막이 구조체의 설치 후 콘크리트의 양생 시 타설막이 구조체 내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의 양생 후 타설막이 구조체를 파손되지 않게 분리시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타설막이부재의 간격을 필요에 따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는 설정된 구역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로서,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강성을 갖는 수직프레임이 끼워지도록 중앙에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길이에 해당되게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타설막이부재; 상기 타설막이부재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구멍 하부 및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밀폐부재;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가 서로 인접하게 배열 설치되도록 상기 타설막이부재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결합구멍의 하부와 상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구멍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결합구멍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밀폐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구는 상기 결합구멍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결합구멍의 하부와 상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구멍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결합구멍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게 상부가 좁고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밀폐용 콘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용 콘은 상기 결합구멍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상부면, 상기 상부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부면 및 상기 상부면(23)과 상기 하부면(24)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 일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결속부; 상기 제1 결속부의 선단에서 상기 타설막이부재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2 결속부; 상기 제2 결속부의 선단에서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의 타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3 결속부; 상기 제3 결속부의 선단에서 상기 타설막이부재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4 결속부; 상기 제1 결속부와 상기 제4 결속부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 일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결속부; 상기 제1 결속부의 선단에서 상기 타설막이부재의 직경과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는 제2 결속부; 상기 제2 결속부의 선단에서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의 타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3 결속부; 상기 제3 결속부의 선단에서 상기 타설막이부재의 직경과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는 제4 결속부; 상기 제1 결속부와 상기 제4 결속부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에 의하면, 결합구멍의 하단에 실리콘 등의 재질을 충진시켜 경화시키거나 본드 등의 접착제로 부착시켜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폐구 또는 밀폐용 콘 등에 의해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타설막이부재 내부로 유입되어 경화된 콘크리트에 의한 타설막이부재의 파손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에 의하면, 타설막이부재의 양면에 밀착된 결속부재에 의해 콘크리트의 양생 시 다수의 타설막이부재가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결속부재에 결속된 타설막이부재를 필요에 따라 간격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타설막이 구조체의 설치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에 의하면, 타설막이부재 사이를 관통하는 철근 등을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여 타설막이 구조체의 설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이나라 타설막이 구조체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의 타설막이부재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의 타설막이부재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의 결속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를 도시한 입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는 설정된 구역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로서,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강성을 갖는 수직프레임(12)이 끼워지도록 중앙에 결합구멍(11)이 형성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길이에 해당되게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구멍(11)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밀폐부재,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가 서로 인접하게 배열 설치되도록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는 결속부재(3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의 타설막이부재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의 타설막이부재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의 결속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는 슬래브나 기초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한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벽체를 이루는 타설막이부재(10)와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하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시키도록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밀폐부재,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를 고정시키는 결속부재(30)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설막이부재(10)는 콘크리트를 시공하고자 하는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타설막이부재(10)는 비교적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타설막이부재(10)에는 콘크리트의 타설 시 강성을 유지하도록 수직프레임(12)이 설치되며,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중앙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2)이 결합되도록 수직프레임(12)과 동일한 직경으로 결합구멍(11)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12)은 타설막이부재(1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타설막이부재(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타설막이부재(10)에는 콘크리트의 타설 시 콘크리트가 타설막이부재(10)의 결합구멍(11)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부재(21, 22)가 구비된다.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결합구멍(11)의 하부 및 상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구멍(11)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결합구멍(1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밀폐구(21)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구(21)는 상기 결합구멍(1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는 타설막이부재(10)의 결합구멍(11)에 결합되어 결합구멍(11)의 내측으로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밀폐부재는 결합구멍(11)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끼워지도록 상기 결합구멍(1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밀폐부재는 타설막이부재(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질 또는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밀폐부재는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의 타설막이부재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결합구멍(11)에는 밀폐부재(22)가 결합되는데, 상기 밀폐부재(22)는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게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22)는 상기 결합구멍(11)의 하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구멍(11)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결합구멍(11)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게 상부가 좁고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밀폐용 콘(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용 콘(22)은 상기 결합구멍(1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상부면(23), 상기 상부면(23)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부면(24) 및 상기 상부면(23)과 상기 하부면(24)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테이퍼면(25)으로 형성된다.
상기 밀폐부재(22)는 결합구멍(11)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폐부재(22)의 상부측은 결합구멍(11)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결합구멍(1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부면(23)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면(23)과 이격되어 하부면(24)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면(24)은 결합구멍(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23)과 하부면(24)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면(2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밀폐부재는 밀폐구(21) 또는 밀폐용 콘(22)을 결합시킴으로써, 타설막이부재(10)의 저면을 밀폐시키게 되는데,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결합구멍(11) 하단에 실리콘을 충진시킴으로써 밀폐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결합구멍(11)에는 경화가 이루어지는 실리콘 등을 충진시킨 다음 이를 경화시킴으로써, 결합구멍(11)을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결합구멍(11)은 접착제 등에 의해 부착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의 결속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로서, 도 5(a)는 각형으로 이루어진 결속부재(30)를 도시한 것이고, 도 5(b)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결속부재(30)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는 결속부재(30)에 의해 결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결속부재(30)는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를 결속시키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결속부재(30)의 크기(또는 길이)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재(30)는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 일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결속부(31), 상기 제1 결속부(31)의 선단에서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2 결속부(32), 상기 제2 결속부(32)의 선단에서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의 타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3 결속부(33), 상기 제3 결속부(33)의 선단에서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4 결속부(34), 상기 제1 결속부(31)와 상기 제4 결속부(34)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구(35)를 포함한다.
상기 결속부재(30)는 결속시키고자 하는 타설막이부재(10)의 개수에 따라 적정한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일측에 접촉되게 제1 결속부(31)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결속부(31)의 선단에는 직교되게 굴곡된 제2 결속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결속부(32)의 선단에서 제1 결속부(31)와 대응되는 제3 결속부(33)가 형성된다.
상기 제3 결속부(33)의 선단에는 제2 결속부(32)와 동일한 길이로 제4 결속부(34)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결속부(31)와 제3 결속부(33)의 길이는 다수로 이루어진 타설막이부재(10)의 전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구(35)에는 제1 결속부(31)의 선단과 제4 결속부(34)의 선단이 끼워져 결합되며, 결속부재(30)의 제1 결속부(31) 내지 제4 결속부(34)가 일체로 이루어져 강성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부재(30)는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 일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결속부(36), 상기 제1 결속부(36)의 선단에서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직경과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는 제2 결속부(37), 상기 제2 결속부(37)의 선단에서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의 타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3 결속부(38), 상기 제3 결속부(38)의 선단에서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직경과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는 제4 결속부(39), 상기 제1 결속부(36)와 상기 제4 결속부(39)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구(4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결속부(37) 및 제4 결속부(39)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타살먹이부재(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결속부재(30)의 양단에 위치되는 타설막이부재(10)에 밀착되어 타설막이부재(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 결속부(37)와 제4 결속부(39)는 타설막이부재(10)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타설막이 구조체의 분리 작업 시 타설막이부재(10)가 보다 원활하게 분리되게 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는 중앙에 중공의 결합구멍(11)을 형성된 타설막이부재(10)를 형성하며, 상기 타설막이부재(10)가 타설되는 콘크리트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결합구멍(11)에 수직프레임(12)을 결합한다.
이때 상기 결합구멍(11)의 하단 및 상단에는 밀폐부재를 각각 결합하며, 상기 밀폐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밀폐구(21) 또는 원뿔형으로 형성된 밀폐용 콘(22)을 결합한다.
또한 상기 밀폐부재는 결합구멍(11)의 하단 또는 상단에 실리콘 등의 재질을 충진시켜 경화시키거나 본드 등의 접착제로 부착시켜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결합구멍(11)의 하단과 상단을 차단 또는 밀폐시킴으로써, 결합구멍(11) 내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을 방지하게 되며, 이는 결합구멍(11)의 내측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게 되어 타설막이 구조체의 분리 작업 시 타설막이부재(10)의 파손 또는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는 결속부재(30)에 의해 결속되며, 상기 결속부재(30)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속부재(30)는 타설막이부재(10)의 양면에 밀착되어 콘크리트의 양생 시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가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속부재(30)에 결속된 타설막이부재(10)는 필요에 따라 간격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는 타설막이부재(10) 사이를 관통하는 철근(미도시) 등이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여 타설막이 구조체의 설치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뿐만 이나라 타설막이 구조체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타설막이부재 11: 결합구멍
12: 수직프레임
21: 밀폐구 22: 밀폐용 콘
23: 상부면 24: 하부면
25: 테이퍼면
30: 결속부재 31: 제1 결속부
32: 제2 결속부 33: 제3 결속부
34: 제4 결속부 35: 고정구
36: 제1 결속부 37: 제2 결속부
38: 제3 결속부 39: 제4 결속부
40: 고정구

Claims (5)

  1. 설정된 구역만큼 콘크리트가 타설되도록 설치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로서,
    일정 직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강성을 갖는 수직프레임(12)이 끼워지도록 중앙에 결합구멍(11)이 형성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길이에 해당되게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구멍(11)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밀폐부재;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가 서로 인접하게 배열 설치되도록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상부 외측에 결합되는 결속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결합구멍(11)의 하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구멍(11)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결합구멍(1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밀폐구(21)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구(21)는 상기 결합구멍(1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결합구멍(11)의 하부와 상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상기 결합구멍(11)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결합구멍(11)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게 상부가 좁고 하부가 상부에 비하여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밀폐용 콘(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용 콘(22)은 상기 결합구멍(11)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상부면(23), 상기 상부면(23)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부면(24) 및 상기 상부면(23)과 상기 하부면(24) 사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테이퍼면(25);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30)는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 일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결속부(31);
    상기 제1 결속부(31)의 선단에서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2 결속부(32);
    상기 제2 결속부(32)의 선단에서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의 타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3 결속부(33);
    상기 제3 결속부(33)의 선단에서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직경과 동일한 길이로 교차되게 형성되는 제4 결속부(34);
    상기 제1 결속부(31)와 상기 제4 결속부(34)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30)는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 일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결속부(36);
    상기 제1 결속부(36)의 선단에서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직경과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는 제2 결속부(37);
    상기 제2 결속부(37)의 선단에서 상기 다수의 타설막이부재(10)의 타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3 결속부(38);
    상기 제3 결속부(38)의 선단에서 상기 타설막이부재(10)의 직경과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는 제4 결속부(39);
    상기 제1 결속부(36)와 상기 제4 결속부(39)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0190000837U 2019-02-27 2019-02-27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2000019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37U KR20200001960U (ko) 2019-02-27 2019-02-27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837U KR20200001960U (ko) 2019-02-27 2019-02-27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960U true KR20200001960U (ko) 2020-09-04

Family

ID=7247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837U KR20200001960U (ko) 2019-02-27 2019-02-27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960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167B1 (ko) 2017-01-02 2017-09-28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8B1 (ko) 2017-07-12 2018-06-15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부재와 차단판을 가지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7B1 (ko) 2017-08-02 2018-06-15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167B1 (ko) 2017-01-02 2017-09-28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8B1 (ko) 2017-07-12 2018-06-15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부재와 차단판을 가지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7B1 (ko) 2017-08-02 2018-06-15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7214B1 (en) Framewor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ame
KR100797002B1 (ko) 강관 파일의 콘크리트 속채움식 두부 보강 장치
KR101561212B1 (ko) 콘크리트 프리캐스트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689658B1 (ko) 콘크리트의 이어치기 및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KR101606439B1 (ko)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용 스페이서
JP6430271B2 (ja) フーチング一体の基礎杭構造及びフーチング一体の基礎杭の構築方法
KR101668521B1 (ko) 다층 건축물의 지하층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20200002362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JP6460835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その補強方法
KR20200001960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090010281A (ko) 콘크리트의 끊어치기를 위한 마감부재
JP2010094914A (ja) 梁と柱梁接合部とを一体化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用型枠およびその型枠を用いた梁と柱梁接合部とを一体化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KR10235845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면 감소부재와 고정대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6194062A (ja) 束石と束柱の連結具
KR20210000539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190080461A (ko) 콘크리트 슬래브 및 콘크리트 슬래브 제조방법
KR102235873B1 (ko)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제작 방법, 부분 프리캐스트 피어캡 및 이를 포함하는 교각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20210002344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JP4404263B2 (ja) コンクリート打継ぎ工法
JP7016106B2 (ja) 軽量盛土構造、および軽量盛土の構築方法
KR101298399B1 (ko) 철근받침구조체
KR20200001781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KR200457690Y1 (ko) 지반보강용 블록
JP6576204B2 (ja) スラブ構造の施工方法
KR102299137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다용도 마감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