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388U -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388U
KR20190000388U KR2020170004902U KR20170004902U KR20190000388U KR 20190000388 U KR20190000388 U KR 20190000388U KR 2020170004902 U KR2020170004902 U KR 2020170004902U KR 20170004902 U KR20170004902 U KR 20170004902U KR 20190000388 U KR20190000388 U KR 201900003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member
blocking
concrete
fastening h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ublication of KR201900003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진 차단부재로서, 특히 내구성이 강한 차단부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로 감싸서 형성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Blocking member of Concrete interception wall}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이 삽입되는 삽입홈을 가진 차단부재로서, 특히 내구성이 강한 차단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하부 철근이 규칙적으로 배근된 건축물의 슬라브 등을 구축하는 작업에 있어서 한 번에 모든 면적의 구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없는 경우에는 타설 면적을 일정 구역으로 나누어 콘크리트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 구역으로 면적을 나누어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에는 한 번에 타설할 수 있는 구역을 다음 작업을 실시할 구역과 나누어 구획시키게 되는데, 이때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단프레임(20)에 일정 간격으로 상·하부 체결공(21)을 다수 형성하고 각 체결공(21)에 머리부(31)를 가진 차단봉(30)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로서, 차단프레임(20)은 콘크리트 타설 구역의 상부 타설면을 막아주고, 차단봉(30)은 상·하부 철근 및 기타 구조물 등이 설치된 하부 타설면을 차단시키게 되며, 한번 작업 시 정해진 구역에서 콘크리트 타설이 종료되도록 일정 구역을 막고 콘크리트 타설물이 일정 구역 안에만 머물면서 양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차단봉이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져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에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차단봉 사이사이에 틈이 생기고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와 같은 묽은 콘크리트가 타설될 경우에는 차단봉 사이의 틈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당량이 흘러나오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막이 부근에서 콘크리트의 누출을 초래함으로써 양생되는 콘크리트 밀도의 불균형이나 공극이 발생되는 불량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누출된 콘크리트가 차단봉을 둘러싸면서 굳어져 콘크리트 양생 후 차단봉을 떼어내기가 매우 어렵게 되거나 차단봉을 떼어내는 과정에서 차단봉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의 외부에 에 별도의 부재를 형성하는 선행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608644호에는 고정틀(종래의 타설막이의 차단프레임에 해당됨)에 다수개의 고정관(2)과 지지관(3)(종래의 타설막이의 차단봉에 해당됨)을 설치하고, 각각의 지지관(3)의 외부에 설치된 스펀지관(4)에 의해 서로 밀착시켜 조립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의 스펀지관(4)은 신축성이 있어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완화하고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스펀지관(4)은 이를 배근된 철근 사이에 설치할 때 배근된 철근의 거친 표면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등 내구성이 약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 떼어내는 과정에서도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50947호에는 막음재 간의 틈을 최소화하고 콘크리트가 막음재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재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막음재 본체(11)(종래의 타설막이의 차단봉에 해당됨)에 이형필름(13)을 감싸서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의 이형필름(13)은 콘크리트가 막음재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지만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완화하거나 콘크리트의 누출을 방지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본 고안의 고안자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의 외부에 별도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완화하여 차단봉을 보호하고 콘크리트 누설을 최소화하며, 설치 시 배근된 철근의 거친 표면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고 콘크리트 양생 후 떼어내는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는 차단부재를 개발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을 하여 본 고안을 고안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제1608644호 “콘크리트타설 이동칸막이 폼”(2016. 3. 29. 등록) 등록특허 제1050947호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2011. 7. 14. 등록)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의 외부에 별도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완화하여 차단봉을 보호하고 콘크리트 누설을 최소화하며, 설치 시 배근된 철근의 거친 표면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고 콘크리트 양생 후 떼어내는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는 차단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는, 다수개의 원형의 상부 체결공(121)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120)와, 상기 평면부(120)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원형의 하부 체결공(131)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130)와,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140)로 형성되는 차단프레임(110);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체결공(1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150);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160);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봉(150)은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거나,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상단부가 끼워진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로 감싸서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는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을 완화하여 차단봉을 보호하며, 설치 시 배근된 철근의 거친 표면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고 콘크리트 양생 후 떼어내는 과정에서 파손되지 않는 등 내구성이 강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막이는 차단봉이 삽입된 차단부재 사이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콘크리트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막이 부근에서 콘크리트의 누출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건축물의 슬라브에 상·하부 철근이 규칙적으로 배근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사시도,
도 3은 상·하부 체결공의 크기가 동일한 차단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하부 체결공이 상부 체결공보다 크게 형성된 차단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차단부재의 사시도,
도 6은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프레임의 상부 체결공으로부터 하부 체결공과 본 고안에 의한 차단부재의 삽입홈에 차례로 차단봉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프레임의 하부 체결공에 본 고안에 의한 차단부재의 상단부가 수직으로 끼워지고 차단프레임의 상부 체결공으로부터 차단봉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8은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프레임의 하부 체결공에 본 고안에 의한 차단부재의 상단부가 수평으로 끼워지고 차단프레임의 상부 체결공으로부터 차단봉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에 대한 ‘한국품질기술연구소’의 시험결과보고서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상·하부 체결공의 크기가 동일한 차단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하부 체결공이 상부 체결공보다 크게 형성된 차단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차단부재의 사시도, 도 6은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프레임의 상부 체결공으로부터 하부 체결공과 본 고안에 의한 차단부재의 삽입홈에 차례로 차단봉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7은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프레임의 하부 체결공에 본 고안에 의한 차단부재의 상단부가 수직으로 끼워지고 차단프레임의 상부 체결공으로부터 차단봉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 도 8은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프레임의 하부 체결공에 본 고안에 의한 차단부재의 상단부가 수평으로 끼워지고 차단프레임의 상부 체결공으로부터 차단봉이 삽입된 것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 내지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는, 다수개의 원형의 상부 체결공(121)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120)와, 상기 평면부(120)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원형의 하부 체결공(131)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130)와,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140)로 형성되는 차단프레임(110);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체결공(1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150);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160);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봉(150)은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거나,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상단부가 끼워진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업계에서 일명‘텐텐지’라고 칭하기도 하는 천막지를 말함. 이하 같음.)로 감싸서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포수지(162)는 저렴한 소재로 신축성이 있지만 배근된 철근의 거친 표면에 의해 쉽게 찢어지는 등 내구성이 약하며 콘크리트 양생 후 떼어내는 과정에서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천막지(163)로 감싸서 차단부재(160)를 형성하는 것이다.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진 차단봉은 콘크리트 타설물이 차단봉에 미치는 횡압력에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지만,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어진 차단봉은 본 고안의 신축성 있는 차단부재(160)에 삽입되어 사용되면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봉(150)은 탄성이 있는 재질의 발포수지(162)에 삽입되고 차단부재(160)들이 서로 탄탄하게 밀착되므로 일반 콘크리트뿐만 아니라 고강도 콘크리트와 같은 묽은 콘크리트의 타설 시에도 콘크리트가 거의 누설되지 않는다.
상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로 감싸서 형성되어 차단봉(150)이 삽입된 차단부재(160)를 배근된 철근 사이에 설치 시 철근의 거친 표면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는다.
설사 콘크리트 양생 후 차단부재(160)의 천막지(163)가 콘크리트에 붙어있다 하더라도 천막지(163)는 콘크리트와의 흡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으며, 천막지(163)가 훼손되더라도 훼손된 천막지(163)만 교체하면 콘크리트 타설막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차단부재(160)가 상·하부 체결공의 크기가 동일한 차단프레임(110)의 저면부(130) 하방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차단봉(150)은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신축성 있는 발포수지(162)로 형성된 상기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측면에서 눌려지면서 하부 체결공이 상부 체결공보다 크게 형성된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수직으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수직으로 끼워질 수 있고, 또한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정면부(140)의 반대방향으로 개구부(132)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의 형상이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측면에서 눌려지면서 수평으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수평으로 끼워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차단봉(150)은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끼워진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발포수지(162)를 사용하여 형성되므로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차단부재(160)의 상단부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끼워 넣은 후 차단봉(150)을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삽입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차단부재(160)의 상단부가 끼워지면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단봉(150)을 삽입할 때에도 차단부재(160)가 하부 체결공(131)에서 밑으로 빠져 내려가지 않는다.
<실시예 1>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110)을 금속 재질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천막지(163)로 감싸서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110)을 금속 재질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이형필름으로 감싸서 형성하였다.
<비교예 2>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프레임(110)을 금속 재질로 만들고, 차단봉(150)은 플라스틱으로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만들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에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을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포장재로 많이 이용되는 은박지로 감싸서 형성하였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에 대한 ‘한국품질기술연구소’의 시험결과보고서이다.
상기 ‘한국품질기술연구소’의 시험에서는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의 차단부재(160)를 발포수지(162)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각각 천막지(163), 이형필름, 은박지로 감싸서 형성하고, 일정한 길이의 차단부재(160)의 시험편에 미리 칼로 짼 자리를 낸 후 그 차단부재(160)를 계속적으로 찢어가는데 소요되는 힘의 평균값인 인열강도(internal tearing strength, 引裂强度)를 측정하였다.
상기 시험의 결과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으며, 차단부재(160)는 발포수지(162)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고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천막지(163)로 감싸서 형성한 차단부재(160)의 인열강도는,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이형필름으로 감싸서 형성한 차단부재(160)의 인열강도의 390%에 달하고,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은박지로 감싸서 형성한 차단부재(160)의 인열강도의 630%에 달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마찰에 대한 마모 내구성)
시험결과(인열강도, N/cm)
1차 2차 3차 평균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천막지(163)로 감싸서 형성한 차단부재(160) 85 78 82 82 (390) (630)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이형필름으로 감싸서 형성한차단부재(160) 19 18 27 21 (100)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은박지로 형성한 차단부재(160) 14 12 13 13 (100)
100 : 콘크리트 타설막이 110 : 차단프레임
120 : 평면부 121 : 상부 체결공
130 : 저면부 131 : 하부 체결공
132 : 개구부 140 : 정면부
150 : 차단봉 151 : 머리부
152 : 몸체부 160 : 본 고안에 의한 차단부재
161 : 삽입홈 162 : 발포수지
163 : 천막지

Claims (1)

  1. 다수개의 원형의 상부 체결공(121)이 일정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뚫린 평면부(120)와, 상기 평면부(120)에 뚫린 다수개의 상부 체결공(121)과 대향하는 다수개의 원형의 하부 체결공(131)이 길이방향으로 뚫린 저면부(130)와, 상기 평면부(120) 및 저면부(130)의 일측 단부와 직각을 이루는 정면부(140)로 형성되는 차단프레임(110);
    머리부(151)와 몸체부(152)를 가지고 다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151)는 상부 체결공(121)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부 체결공(121)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52)는 길이방향으로 중공 홀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의 관체로 형성되는 차단봉(150);
    중앙에 상기 차단봉(150)의 외주면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6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차단부재(160);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봉(150)은 상기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하부 체결공(131)과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거나, 차단프레임(110)의 상부 체결공(121), 차단프레임(110)의 하부 체결공(131)에 상단부가 끼워진 차단부재(160)의 삽입홈(161)에 차례로 각각 상하 유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100)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160)는 신축성 있는 소재인 발포수지(162)의 겉면을 타포린 재질의 천막지(163)로 감싸서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
KR2020170004902U 2017-08-02 2017-09-15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 KR20190000388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04066 2017-08-02
KR2020170004066 2017-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88U true KR20190000388U (ko) 2019-02-12

Family

ID=6536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902U KR20190000388U (ko) 2017-08-02 2017-09-15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38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727B1 (ko) 2020-09-25 2021-09-10 허재봉 콘크리트 타설막이용 블럭폼 및 블럭폼의 다공성 탄성체 블럭 조립지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947B1 (ko) 2011-02-08 2011-07-20 (주)하이코리아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KR101608644B1 (ko) 2015-07-27 2016-04-04 배용웅 콘크리트타설 이동칸막이 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947B1 (ko) 2011-02-08 2011-07-20 (주)하이코리아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을 위한 막음재 및 그를 이용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직 수평 분리타설방법
KR101608644B1 (ko) 2015-07-27 2016-04-04 배용웅 콘크리트타설 이동칸막이 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727B1 (ko) 2020-09-25 2021-09-10 허재봉 콘크리트 타설막이용 블럭폼 및 블럭폼의 다공성 탄성체 블럭 조립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167B1 (ko) 차단봉이 삽입되는 차단부재를 가진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8B1 (ko) 차단부재와 차단판을 가지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68287B1 (ko) 차단프레임이 없는 가변형 콘크리트 타설막이
EP2453544A2 (de) Unterflur-Schacht
KR20190000388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의 차단부재
JP5394818B2 (ja) 誘発目地材
ITBO20110611A1 (it) Metodo per rinforzare una struttura muraria e corrispondente sistema di rinforzo
KR101861969B1 (ko) 내구성이 강한 콘크리트 타설막이
KR101878106B1 (ko) 콘크리트 누출을 방지하는데 최적화된 콘크리트 타설막이
EP3241953B1 (de) Fugenfüllungsprofil
EP3146156B1 (de) Schutzelement zum verbinden mit einem betonelement eines tunnelausbaus mit drainage
EP0358164B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eckanzeige- und/oder Wärmedämmspaltes zwischen einer Wand und Verkleidungsplatten sowie hierfür verwendbare Verkleidungsplatten
PT1826320E (pt) Caixilho para tampão de esgotos e correspondente dispositivo de saneamento público
KR102239768B1 (ko) 동시 타설이 가능한 자립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80103417A (ko) 콘크리트의 압력에 파손되지 않으며 콘크리트의 누출을 완전히 방지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KR20190000626U (ko) 콘크리트의 압력에 파손되지 않으며 콘크리트의 누출을 완전히 방지하는 콘크리트 타설막이
JP686213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
JP5244023B2 (ja) 中空コンクリートスラブ
KR20180002146U (ko) 내부 지지구조가 형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막이에 사용되는 차단봉
DE3235185A1 (de) Verfahren zur fluessigkeitsdichten auskleidung der wandungen von behaeltern mit flexiblen folien bzw. folienbahnen
KR200278575Y1 (ko) 콘크리트 구축물의 누수방지구
KR20210002344U (ko) 콘크리트 타설막이 구조체
DE10136819B4 (de) Bewehrungselement für flächige Betonteile
JP2014055400A (ja) 除去式スペーサーおよび型枠工法
JP2003268975A (ja) 生分解性プラスチックによるコンクリートノロ止め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23 Withdrawal of utility model application requested before decision to regi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