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909B1 -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 - Google Patents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909B1
KR101665909B1 KR1020160019536A KR20160019536A KR101665909B1 KR 101665909 B1 KR101665909 B1 KR 101665909B1 KR 1020160019536 A KR1020160019536 A KR 1020160019536A KR 20160019536 A KR20160019536 A KR 20160019536A KR 101665909 B1 KR101665909 B1 KR 101665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underground
cip
slab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진이엔시
황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진이엔시, 황규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진이엔시
Priority to KR102016001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18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solely of concrete in situ
    • E02D5/187Bulkheads or similar walls made solely of concrete in situ the bulkheads or walls being made continuously, e.g. excavating and constructing bulkheads or walls in the same process, without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IP벽체와 지하외벽을 합벽시 지점반력이 없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와 인접한 다른 슬래브 사이에 발생하는 측방향 토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토압에 의한 지하외벽의 변위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보다 강화된 내구성과 함께 흡차음 및 단열특성이 부여된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지하층의 구축시 지하 터파기 전 토압의 토사붕괴 방지를 위해 H-PILE 또는 기 조립된 철근망을 투입 후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만드는 소구경 콘크리트 말뚝의 일종으로 이러한 콘크리트 말뚝을 연속적으로 조성하여 주열식 벽체를 형성하는 CIP 공법으로 설치된 가시설구조물인 CIP벽체와, 상기 CIP벽체 내측으로 지하 터파기한 후 상기 CIP벽체와 합벽되어 설치되는 본시설 지하구조물인 지하외벽과, 상기 지하외벽의 내부에 상하로 층을 구획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지하슬래브를 포함하고, 지점반력이 없는 상기 지하슬래브와 인접한 다른 지하슬래브 사이에 발생하는 측방향 토압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CIP벽체와 지하외벽 간에 삽입설치되어 탄성변형하는 토압흡수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COMPOSITE WALL STRUCTURE OF UNDERGROUND OUTER WALL WITH CIP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가시설구조물인 CIP벽체와 본시설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이 합체된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할 경우 지하층을 구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지하층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하 터파기를 하여 지하 바닥에서부터 지하구조물을 설치해야 한다.
이때, 고심도의 지하로 터파기하여 내려가기 위해서는 토압에 의한 토사의 붕괴방지를 위한 토류벽과, 지하수를 차단하기 위한 차수그라우팅이 반드시 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건물의 지하층 구축을 위해 시공하는 토류벽과 그라우팅을 가시설공사라 한다.
이러한 가시설공사 중 토류벽 공법으로는, 파일 토류판 흙막이벽 공법, 소일시멘트 월(SCW, Soil Cement Wall) 공법, 다이아프램 월(Diaphragm Wall) 공법 및 CIP(Cast In Place Pile) 공법 등이 있다. 이 중 CIP 공법은 파일 토류판 흙막이벽, 소일시멘트 월 공법 등에 비해 강성이 우수하여 지하층을 구축하기 위한 공법으로 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CIP 공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스오거(Earth Auger)로 소정의 위치에 천공을 한 후 H-PILE(11) 또는 기 조립된 철근망(12)을 투입 후 콘크리트(13)를 충진하여 만드는 소구경 콘크리트 말뚝의 일종으로 이러한 콘크리트 말뚝을 연속적으로 조성하여 강성이 높은 주열식 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시공순서는 오거스크류 천공, H-PILE(11) 및 철근망(12) 근입, 콘크리트(13) 타설, 양생, 터파기 및 버팀보 설치 순서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은 CIP 공법이 건설공사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공법에 비해 벽체의 강성이 커서 주변 지반의 변위가 거의 없으며, 불규칙적인 평면에 적용이 용한 것과, 단축으로 천공하기 때문에 하부 자갈층 등과 같이 불량한 지층에도 무리없이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건물의 지하구조물(20)이 설치되기 전에 단기간 토사붕괴 및 지하수 차단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CIP 공법에 의한 CIP벽체(10)는 지하구조물(20)이 설치된 이후에는 철거되며, 이후 토압은 지하구조물(20)이 지지하게 된다. 종래의 건물 시공시 상술한 바와 같이 CIP벽체(10)의 구축 이후 지하구조물(20) 공사를 이중으로 수행함에 따라 공정이 복잡하고, 경제적 부담이 크다.
그에 따라, 시간과 경제적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CIP벽체(10)를 철거하지 않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구조물(20)의 지하외벽(21)과 함께 합체시켜 합성벽체를 구성하고자 하는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 기술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0780호의 '주열식 가설흙막이벽체를 지하건축외벽의 일부로 사용하는 합성벽체로 구축하기 위한 연결 구조'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CIP벽체(10)와 지하구조물(20)의 지하외벽(21)을 단순히 콘크리트(13) 충진에 의해 일체로 하여 합성벽체를 구성하게 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점반력이 없는 지하구조물(20)의 슬래브(22)와 슬래브(22) 사이는 장기간 측방향 토압을 받게되면서 변위가 생기고, 그에 따라 크랙이 발생하여 부서지면서 무너지기 쉬운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CIP벽체와 지하외벽을 합벽시 지점반력이 없는 지하구조물의 슬래브와 인접한 다른 슬래브 사이에 발생하는 측방향 토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토압에 의한 지하외벽의 변위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보다 강화된 내구성과 함께 흡차음 및 단열특성이 부여된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는, 건물 지하층의 구축시 지하 터파기 전 토압의 토사붕괴 방지를 위해 H-PILE 또는 기 조립된 철근망을 투입 후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만드는 소구경 콘크리트 말뚝의 일종으로 이러한 콘크리트 말뚝을 연속적으로 조성하여 주열식 벽체를 형성하는 CIP 공법으로 설치된 가시설구조물인 CIP벽체와, 상기 CIP벽체 내측으로 지하 터파기한 후 상기 CIP벽체와 합벽되어 설치되는 본시설 지하구조물인 지하외벽과, 상기 지하외벽의 내부에 상하로 층을 구획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지하슬래브를 포함하고, 지점반력이 없는 상기 지하슬래브와 인접한 다른 지하슬래브 사이에 발생하는 측방향 토압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CIP벽체와 지하외벽 간에 삽입설치되어 탄성변형하는 토압흡수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IP벽체는, 상기 지하슬래브 각각과 대응되는 내측면에 상기 H-PILE의 일측 플랜지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합벽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지하외벽은, 상기 지하슬래브 각각과 대응되는 외측면에 상기 CIP벽체의 합벽삽입홈 각각에 삽입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합벽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IP벽체의 합벽삽입홈 각각에 삽입 결합되고, 노출된 상기 H-PILE의 일측 플랜지에 용접결합되도록 장형의 사각망 형상을 가진 사각철근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하외벽은, 상기 합벽돌기가 상기 사각철근망을 감싸면서 상기 CIP벽체와 함께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압흡수재는, 중앙의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의 양측면에 각각 본딩 결합된 한 쌍의 탄성변형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발포 성형된 폴리스틸렌폼 또는 페놀폼이고, 상기 탄성변형재는, 발포 성형된 폴리에틸렌폼, 폴리우레탄폼 또는 폴리프로필렌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변형재는, 기포지름이 3~6mm이고, 밀도가 20~30kg/m3인 폐쇄 기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는, CIP벽체와 지하외벽을 합벽시 지점반력이 없는 지하구조물의 지하슬래브와 인접한 다른 지하슬래브 사이의 지하외벽에 발생하는 측방향 토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토압흡수재를 설치하여 토압에 의한 지하외벽의 변위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보다 강화된 내구성과 함께, 단열재 및 탄성변형재로 구성되는 토압흡수재를 통하여 흡차음 및 단열특성이 부여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CIP공법으로 구축된 CIP벽체와 지하구조물의 지하외벽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서 측방향 토압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서 측방향 토압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실시예 중 CIP벽체에 합벽삽입홈을 형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의 A-A'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실시예의 B-B'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실시예에서 토압흡수재 및 지하외벽이 결합되어 최종 합벽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의 C-C'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실시예의 D-D'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4의 실시예 중 토압흡수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 중 CIP벽체에 합벽삽입홈을 형성하고, 사각철근망을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의 E-E'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실시예 중 사각철근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4의 실시예에서 토압흡수재 및 지하외벽이 결합되어 최종 합벽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실시예의 F-F'선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는, 도 4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CIP벽체(100), 지하외벽(200), 지하슬래브(300) 및 토압흡수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사각철근망(5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토압흡수재(400)는 단열재(410) 및 탄성변형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는 건물 지하층의 구축시에 적용되는 것이고, 지하층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하 터파기를 하여 지하 바닥에서부터 지하구조물을 설치해야 한다. 이때 고심도의 지하로 터파기하여 내려가기 위해서는 토압에 의한 토사의 붕괴방지를 위한 토류벽이 필요하며, 이러한 토류벽 공법으로 CIP(Cast In Place Pile) 공법을 사용한 것을 전제로 한다.
즉, CIP벽체(100)는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지하층의 구축시 지하 터파기 전 토압의 토사붕괴 방지를 위해 H-PILE(110) 또는 기 조립된 철근망(120)을 투입 후 콘크리트(130)를 충진하여 만드는 소구경 콘크리트 말뚝의 일종으로 이러한 콘크리트 말뚝을 연속적으로 조성하여 주열식 벽체를 형성하는 CIP 공법으로 설치된 가시설구조물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가시설구조물인 CIP벽체(100)는 본시설 지하구조물이 설치된 후에 철거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본시설 지하구조물인 후술하는 지하외벽(200)과 합벽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CIP벽체(100)의 외측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하수를 차단하기 위한 차수그라우팅이 시공될 수 있다.
지하외벽(200)은 도 4, 5 및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복수의 지하슬래브(300)와 함께 본시설 지하구조물로서 상기 CIP벽체(100) 내측으로 지하 터파기한 후 상기 CIP벽체(100)와 합벽되어 설치된다. 지하외벽(20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내부에 철근이나 파일이 심어진 상태로 콘크리트로 타설 후 양생하여 구축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CIP벽체(100)와 함께 합벽되도록 CIP벽체(100) 영역까지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일체로 합벽시키는 것이다.
지하슬래브(300)는 도 4, 5, 9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하외벽(200)의 내부에 상하로 층을 구획하도록 수평하게 복수로 설치된다. 예컨대, 지하 1층만 구축하더라도 지하1층 바닥면과 천장면으로 2개의 지하슬래브(300)가 설치되어야 하며, 지하 2층의 경우에는 3개의 지하슬래브(300)가 필요하다.
단순히 상기 CIP벽체(100)와 지하외벽(200)이 합벽된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IP벽체(100)의 외측에서 토압을 받을 경우 지하슬래브(300)가 위치하는 영역은 지점반력이 있지만, 지하슬래브(300)와 인접한 다른 지하슬래브(300) 사이는 내부가 빈 공간이므로 지점반력이 없고, 지점반력이 없는 부분을 중심으로 토압을 장기간 받게 되면 지하외벽(200)에 크랙이 발생하면서 파손되어 무너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지점반력이 없는 부분의 토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토압흡수재(400)를 더 포함한다.
즉, 토압흡수재(400)는 도 4, 5, 9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점반력이 없는 상기 지하슬래브(300)와 인접한 다른 지하슬래브(300) 사이에 발생하는 측방향 토압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CIP벽체(100)와 지하외벽(200) 간에 삽입설치되어 탄성변형한다. 바꿔말해서, 지하슬래브(300)에 의해 지점반력이 있는 부분은 제외하고, 지하슬래브(300)와 다른 지하슬래브 사이의 지점반력이 없는 부분은 토압을 장기간 받게 될 경우 CIP벽체(100)와 지하외벽(200) 사이에 설치된 토압흡수재(400)가 탄성변형하면서 측방향 토압을 흡수하게 되고, 그에 따라 지하외벽(200)의 크랙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CIP벽체(100)와 지하외벽(200) 사이에 지하슬래브(300) 부분을 제외하고 지점반력이 없는 부분에 토압흡수재(400)를 삽입설치하면서도 CIP벽체(100)와 지하외벽(200)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도 4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IP벽체(100)는 상기 지하슬래브(300) 각각과 대응되는 내측면에 상기 H-PILE(110)의 일측 플랜지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합벽삽입홈(140)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지하외벽(200)은 상기 지하슬래브(300) 각각과 대응되는 외측면에 상기 CIP벽체(100)의 합벽삽입홈(140) 각각에 삽입결되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합벽돌기(210)를 포함한다.
즉, 지점반력이 없는 부분에서의 CIP벽체(100)와 지하외벽(200) 사이에는 토압흡수재(400)가 위치하므로 지점반력이 있는 지하슬래브(300)에 대응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CIP벽체(100)와 지하외벽(200) 사이의 합벽시 견고한 결합을 이루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CIP벽체(100)에 합벽삽입홈(140)을 형성하여 지하외벽(200)과의 합벽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CIP벽체(100)의 합벽삽입홈(140)까지 삽입되도록 한다. 이는 지하외벽(200)에 합벽돌기(210)가 형성되어 상기 CIP벽체(100)의 합벽삽입홈(140)에 삽입결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CIP벽체(100)와 지하외벽(200) 사이의 결합력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하여, 도 13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CIP벽체(100)의 합벽삽입홈(140) 각각에 삽입 결합되고, 노출된 상기 H-PILE(110)의 일측 플랜지에 용접결합되도록 장형의 사각망 형상을 가진 사각철근망(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하외벽(200)은 상기 합벽돌기(140)가 상기 사각철근망(500)을 감싸면서 상기 CIP벽체(100)와 함께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일체화된다. 즉, 지하외벽(200)의 합벽돌기(210)가 단순히 콘크리트로만 구성된 것이 아니라, 내부에 상기 사각철근망(500)을 포함하고, 이때 사각철근망(500)은 CIP벽체(100)에 합벽삽입홈(140)이 함몰 형성되면서 노출되는 H-PILE(110)의 노출된 일측 플랜지에 용접결한된 상태가 된다. 그에 따라, 사각철근망(500)을 품은 합벽돌기(140)는 CIP벽체(100)와 지하외벽(200) 사이의 보다 결합의 견고성을 더욱 담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토압흡수재(4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의 단열재(410) 및 상기 단열재(410)의 양측면에 각각 본딩 결합된 한 쌍의 탄성변형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토압흡수재(400)는 한 쌍의 탄성변형재(420)에 의해 측방향 토압을 흡수하고, 단열재(410)를 통해 흡차음 및 단열특성을 더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410)는 발포 성형된 폴리스틸렌폼 또는 페놀폼으로, 단열성능은 물론, 상기 탄성변형재(420)와 함께 발포폼 형태로서 토압의 흡수력도 더불어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폴리스틸렌폼은 열전도율이 낮으며 내흡수성이 강하고, 상기 페놀폼은 화학적으로 가장 안정된 성질과 화재에 강한 장점이 있는 단열재이다.
또한, 상기 탄성변형재(420)는 발포 성형된 폴리에틸렌폼, 폴리우레탄폼 또는 폴리프로필렌폼 중 어느 하나이고, 이러한 재질적 특징은 스프링작용으로 탄성변형하면서 토압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특성을 가진 합성수지이다. 이러한 탄성변형재(420)의 토압흡수력을 높이기 위하여, 발포 성형시 기포지름이 3~6mm이고, 밀도가 20~30kg/m3인 폐쇄 기공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토압흡수재(400)는 중앙의 단열재(410)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탄성변형재(420)가 설치되므로 외부로부터 받는 음파나 진동을 산발탄력으로 저항하면서 비탄성 충돌이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음파나 진동에너지의 상당 부분은 다른 에너지로 소모되면서 음파나 진동의 힘이 약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토압흡수재(400)는 흡음기능도 함께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는, CIP벽체(100)와 지하외벽(200)을 합벽시 지점반력이 없는 지하구조물의 지하슬래브(300)와 인접한 다른 지하슬래브(300) 사이의 지하외벽(200)에 발생하는 측방향 토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토압흡수재(400)를 설치하여 토압에 의한 지하외벽(200)의 변위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보다 강화된 내구성과 함께 단열재(410) 및 탄성변형재(420)로 구성되는 토압흡수재(400)를 통하여 흡차음 및 단열특성이 부여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CIP벽체
110 : H-PILE 111 : 플랜지
120 : 철근망 130 : 콘크리트
140 : 합벽삽입홈
200 : 지하외벽 210 : 합벽돌기
300 : 지하슬래브
400 : 토압흡수재
410 : 단열재 420 : 탄성변형재
500 : 사각철근망

Claims (5)

  1. 건물 지하층의 구축시 지하 터파기 전 토압의 토사붕괴 방지를 위해 H-PILE 또는 기 조립된 철근망을 투입 후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만드는 소구경 콘크리트 말뚝의 일종으로 이러한 콘크리트 말뚝을 연속적으로 조성하여 주열식 벽체를 형성하는 CIP 공법으로 설치된 가시설구조물인 CIP벽체와, 상기 CIP벽체 내측으로 지하 터파기한 후 상기 CIP벽체와 합벽되어 설치되는 본시설 지하구조물인 지하외벽과, 상기 지하외벽의 내부에 상하로 층을 구획하도록 수평하게 설치된 복수의 지하슬래브와, 지점반력이 없는 상기 지하슬래브와 인접한 다른 지하슬래브 사이에 발생하는 측방향 토압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CIP벽체와 지하외벽 간에 삽입설치되어 탄성변형하는 토압흡수재와, 상기 CIP벽체의 합벽삽입홈 각각에 삽입 결합되고, 노출된 상기 H-PILE의 일측 플랜지에 용접결합되도록 장형의 사각망 형상을 가진 사각철근망을 포함하고,
    상기 CIP벽체는,
    상기 지하슬래브 각각과 대응되는 내측면에 상기 H-PILE의 일측 플랜지가 노출되도록 복수의 합벽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지하외벽은,
    상기 지하슬래브 각각과 대응되는 외측면에 상기 CIP벽체의 합벽삽입홈 각각에 삽입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의 합벽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합벽돌기가 상기 사각철근망을 감싸면서 상기 CIP벽체와 함께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일체화되고,
    상기 토압흡수재는,
    중앙의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의 양측면에 각각 본딩 결합된 한 쌍의 탄성변형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는,
    발포 성형된 폴리스틸렌폼 또는 페놀폼이고,
    상기 탄성변형재는,
    발포 성형된 폴리에틸렌폼, 폴리우레탄폼 또는 폴리프로필렌폼 중 어느 하나로서 기포지름이 3~6mm이고, 밀도가 20~30kg/m3인 폐쇄 기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19536A 2016-02-19 2016-02-19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 KR101665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536A KR101665909B1 (ko) 2016-02-19 2016-02-19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536A KR101665909B1 (ko) 2016-02-19 2016-02-19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909B1 true KR101665909B1 (ko) 2016-10-17

Family

ID=5725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536A KR101665909B1 (ko) 2016-02-19 2016-02-19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9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027B1 (ko) * 2020-08-31 2021-02-10 김상우 지반 지내력을 이용한 구조물 구축 방법
KR20230052753A (ko) 2021-10-13 2023-04-20 미래이엔씨 주식회사 Cip 벽체를 활용한 건축구조물 기초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989A (ja) * 1994-09-27 1996-04-09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地中連続壁の防振施工方法
JP2008196212A (ja) * 2007-02-14 2008-08-28 Shimizu Corp 地盤振動伝播抑制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951097B1 (ko) * 2009-03-13 2010-04-07 (주)한국건설공법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2989A (ja) * 1994-09-27 1996-04-09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地中連続壁の防振施工方法
JP2008196212A (ja) * 2007-02-14 2008-08-28 Shimizu Corp 地盤振動伝播抑制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0951097B1 (ko) * 2009-03-13 2010-04-07 (주)한국건설공법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027B1 (ko) * 2020-08-31 2021-02-10 김상우 지반 지내력을 이용한 구조물 구축 방법
KR20230052753A (ko) 2021-10-13 2023-04-20 미래이엔씨 주식회사 Cip 벽체를 활용한 건축구조물 기초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72869C1 (ru) Стержень для кирпичной стеновой панели кочетова
KR101990498B1 (ko) 내진설계된 보강토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US9347235B2 (en) Vibration isolation structure using precast concrete shear-key block and anti-vibration p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ti-vibration of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665909B1 (ko) Cip벽체와 지하외벽의 합벽구조체
JP2017210787A (ja) 開削トンネルの耐震構造
KR101181230B1 (ko) 지하 구조물의 외방수 시공 방법
KR101190739B1 (ko) 지하 합성 외벽 구조물 시공 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된 지하 합성 외벽 구조물
ES2408238B1 (es) Sistema constructivo
JP2019214882A (ja) 建物の玄関構造
JP5350200B2 (ja) 地中埋設箱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19998B2 (ja) ポリスチレン系樹脂発泡板組立体を用いた、軽量地盤構築方法、基礎構築方法、及び軽量盛土施工方法
JP2015055147A (ja) 地中免震壁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2016145500A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JP4888293B2 (ja) 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構造、及び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構築方法、並びに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工法
JP2849805B2 (ja) 構造物の免震工法
JP6043574B2 (ja) ケーソン工法
KR200329054Y1 (ko) 방수성능을 가진 인접하는 피씨벽부재의 측면 연결부의구조 및 이 구조에 사용되는 피씨벽부재
KR102674296B1 (ko) 층간 소음 방지를 위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 방법
EP0535064B1 (en) Isolation element and the use thereof at an isolation arrangement
KR200329055Y1 (ko) 방수성능을 가진 인접하는 모서리부의 피씨벽부재의 측면연결부의 구조 및 이 구조에 사용되는 피씨벽부재
JP3377416B2 (ja) 建築物の基礎構造
JP2006138170A (ja) 境界梁ダンパー
JP2000064328A (ja) 防振型地下構造物における連続地中壁
JP5938454B2 (ja) 建設物における免震構造
JP2007314217A (ja) 地下防火水槽及びその補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