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897A -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 Google Patents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897A
KR20120067897A KR1020100130386A KR20100130386A KR20120067897A KR 20120067897 A KR20120067897 A KR 20120067897A KR 1020100130386 A KR1020100130386 A KR 1020100130386A KR 20100130386 A KR20100130386 A KR 20100130386A KR 20120067897 A KR20120067897 A KR 20120067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formwork
hole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영
Original Assignee
김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영 filed Critical 김창영
Priority to KR1020100130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897A/ko
Publication of KR2012006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5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located in the joint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6Spacers having means to adapt the spacing di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거푸집(1,2) 사이에 단열재(10)가 위치되며, 단열재에 다수개 형성된 통공(11)을 통해 거푸집(1,2)으로부터 플레타이(3)가 다수개 관통 설치되어 지지되고, 다수개 형성된 관통공(12)을 통해 거푸집 사이에 연결부재(20)인 철근(21)이 관통 설치되는 한편, 철근(21)의 각 단부에 지지캡(22)이 설치되어 거푸집으로부터 중간에 간격 유지되게 단열재(10)가 매입되어 콘크리트 타설로서 벽체를 형성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일측에 플랜지(23a)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2) 입구측으로부터 지지되는 파이프형의 결합구(23)에 상기 철근(21)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12) 내에는 결합구(23)를 양측에서 안내 삽입 고정하는 연결관(24)이 삽입 설치되어 단열재(10)의 양측에서 철근(21)이 각각 지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단열재에 적용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로서 벽체의 형성과 벽체의 내구성를 갖도록 적용되는 연결부재를 건축 현장에서 단열재에 직접 조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운반성과 조립성이 뛰어남은 물론,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의 타설로 인한 벽체 형성시 단열재와 콘크리트물의 밀착 양생을 극대화하여 외부소음, 방수, 결로, 습기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차단하여 실내측 온도유지에 따른 난방 연료비를 절약할 수 있고,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연결관을 고무소재 혹은 PVC소재로 적용함으로써, 수팽창에 대한 콘크리트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양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Insulator for architecture which have fabrication connection materials}
본 발명은 건축용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양측으로부터 거푸집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콘크리트의 타설로서 벽체 중간에 단열재가 매입되도록 함에 있어, 단열재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조립식으로 개선함은 물론, 연결부위는 수팽창 계수를 고려한 지수재의 소재로 제작된 연결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방수기능을 보강함과 동시에 수팽창에 대한 시공 이후 벽체를 보호하도록 하며, 제작상에 따른 단열재의 운반의 용이성과 함께 현장에서 연결부재의 수월한 조립으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시공에 있어, 벽체는 내외부의 외풍, 소음, 한기(냉기), 결로를 차단하여 실내 온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난방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단열재가 시공된다.
상기 단열재는 폼 형태로 제작되며, 크게 내단열, 외단열로 시공되거나, 중간단열로 시공된다.
내단열 및 외단열 시공은 외벽 혹은 내벽에 밀착 고정하는 작업을 통해 또다시 블럭, 벽돌시공으로서 외벽과 내벽을 형성케 함으로써, 단열재를 시공하는바, 벽과 단열재 사이에 결로가 생겨 벽지나 장판속으로 곰팡이가 발생하고, 화재시 단열재 연소에 따라 유독가스 발생이 우려되며, 내부 마감처리가 원만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외단열 시공의 경우는 다른 마감재 보다 오염이 심하고, 심지어 외부마감재가 떨어져 나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중간 단열을 실시하여 벽체를 이루도록 하고 있으며, 이는 샌드위치와 같이 단열재를 중간에 위치시키고, 그 전후에 거푸집을 일정간격 유지시킨 상태에서 단열재가 매입되는 형태로 상기 내,외 단열 시공에서 제시되고 있던 단점을 해소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중간단열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단열재(10)에 연결부재(20)를 설치하여 단열재를 기준으로 전후 측에 연결부재인 철근(21)이 돌출되는 형태로 배열 고정시킨 상태로 적용된다.
좀더 자세하게 살피면, 상기 연결부재(20)의 구성은, 철근(21)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것으로, 단열재(10)의 관통공(12)에 관통되고, 그 양단에는 거푸집(1,2)과 밀착 지지되는 지지캡(22)이 결합되며, 단열재의 양측 면으로 관통되는 철근에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판(25)이 안내되어 단열재(10)의 전후에 밀착되되, 밀착된 상태에서 철근의 관통부위를 용접 고정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연결부재를 각각 배열 설치하여 줌으로써 단열재를 하나의 건설자재 품목이 되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단열재에는 직사각형의 통공(11)이 배열 형성되어 향후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의 타설시 콘크리트 타설된 두께를 유지시키기 위한 플레타이(3)가 관통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20)와 함께 콘크리트 경화시 벽체에 내구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작된 종래 타입은 일일이 연결부재인 철근과 지지판과의 용접작업을 각각 해주어야 하므로 단열재의 세팅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고, 제작된 상태에서 현장까지 다량 운반함에 있어, 상기 연결부재는 단열재의 전,후면으로 모두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개수를 적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운반중 단열재의 파손이 발생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열재를 현장에서 거푸집을 전후에 배치시켜 콘크리트를 타설 시공함에 있어, 방수문제와 함께 수팽창에 의한 벽체의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양측으로부터 거푸집과의 간격을 유지하여 콘크리트 혹은 시멘트 몰타르의 타설로서 벽체 중간에 단열재가 매입되도록 함에 있어, 단열재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조립식으로 개선함은 물론, 그 연결부위는 수팽창 계수를 고려한 수팽창 지수재의 소재로 제작된 연결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방수기능을 보강함과 동시에 수팽창에 대한 시공 이후 벽체를 보호하도록 하며, 제작상에 따른 단열재의 운반의 용이성과 함께 현장에서 연결부재의 수월한 조립으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푸집 사이에 단열재가 위치되며, 단열재에 다수개 형성된 통공을 통해 거푸집으로부터 플레타이가 다수개 관통 설치되어 지지되고, 다수개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거푸집 사이에 연결부재인 철근이 관통 설치되는 한편, 철근의 각 단부에는 지지캡이 설치되어 거푸집으로부터 중간에 간격 유지되게 단열재가 매입되어 콘크리트 타설로서 벽체를 형성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일측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 입구측으로부터 지지되는 파이프형의 결합구에 상기 철근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 내에는 결합구를 양측에서 안내 삽입 고정하는 연결관이 삽입 설치되어 단열재의 양측에서 철근이 각각 지지 설치되는 것을 특징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관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되, 원통형의 파이프형으로서 중앙이 막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철근을 포함한 결합구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관은 PVC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구는 수팽창 지수재로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열재에는 콘크리트가 양측으로 통과되어 단열재를 지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유입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관은 일측단이 밀폐된 컵 형태로서, 상기 결합구에 각각 삽입되어 관통공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합구는 내부 중앙이 구획된 원통형으로 양측 내경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에 체결되도록 철근 단부로부터 수나사가 형성되어 체결되며, 연결관은 관통공에 안내되어 지지되도록 일측에 플랜지가 형성된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에 적용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로서 벽체의 형성과 벽체의 내구성를 갖도록 적용되는 연결부재를 건축 현장에서 단열재에 직접 조합이 용이하도록 하여, 운반성과 조립성이 뛰어남은 물론, 거푸집을 통한 콘크리트의 타설로 인한 벽체 형성시 단열재와 콘크리트물의 밀착 양생을 극대화하여 외부소음, 방수, 결로, 습기 등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차단하여 실내측 온도유지에 따른 난방 연료비를 절약할 수 있고,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연결관을 고무소재 혹은 PVC소재로 적용함으로써, 수팽창에 대한 콘크리트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양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단열재 및 연결부재가 적용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단열재의 시공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단열재 및 연결부재가 적용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연결부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의 시공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연결부재와 단열재의 설치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분 종단면도,
도 7은 도 5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벽체를 형성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의 연결부재와 단열재의 설치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분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도 10에서의 연결부재와 단열재의 설치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일부분 종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를 이용한 건물 층간의 바닥시공을 일예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거푸집(1,2) 사이에 단열재(10)가 위치되며, 단열재에 다수개 형성된 통공(11)을 통해 거푸집(1,2)으로부터 플레타이(3)가 다수개 관통 설치되어 지지되고, 다수개 형성된 관통공(12)을 통해 거푸집 사이에 연결부재(20)인 철근(21)이 관통 설치되는 한편, 철근(21)의 각 단부에 지지캡(22)이 설치되어 거푸집으로부터 중간에 간격 유지되게 단열재(10)가 매입되어 콘크리트 타설로서 벽체를 형성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일측에 플랜지(23a)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2) 입구측으로부터 지지되는 파이프형의 결합구(23)에 상기 철근(21)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12) 내에는 결합구(23)를 양측에서 안내 삽입 고정하는 연결관(24)이 삽입 설치되어 단열재(10)의 양측에서 철근(21)이 각각 지지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24)은 고무재질로 원통형의 파이프형상으로 형성되되, 중앙이 막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철근(21)을 포함한 결합구(23)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24)은 상기와 같이 고무소재 외에도 신축성이 있는 연질의 PVC소재로 제작되어도 좋다.
한편, 상기 결합구(23)는 수팽창 지수재로서 제작되어 연결관이 삽입되는 관통공 부위로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열재(10)에는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 몰타르가 양측으로 통과되어 단열재를 지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유입공(10a)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4)은 일측단이 밀폐된 컵 형태로서, 상기 결합구(23)에 각각 삽입되어 관통공(12)에 삽입 고정되는 구조로 조립 설치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23)는 내부 중앙이 구획된 원통형으로 양측 내경에 암나사(23b)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23b)에 체결되도록 철근(21) 단부로부터 수나사(21a)가 형성되어 체결되며, 연결관(24)은 관통공(12)에 안내되어 지지되도록 일측에 플랜지(24a)가 형성된 중공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단열재 및 이에 조립되는 연결부재의 조립과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는 이동시 플레타이(3) 및 연결부재(20)가 미조립된 상태에서 단열재(10)와 별개로 운반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유에서 단열재는 종래와는 달리 운반차량에 대량 적재가 가능하고, 이동시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현장에서는 제공되는 연결부재(20)와 플레타이(3)를 조립한 상태에서 거푸집(1,2) 내에 위치시켜 준 상태, 혹은 벽체의 내구성을 더 보강하기 이한 작업으로 와이어 철근을 배근하여 준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재(20)를 구성하고 있는 철근(21)은, 상기 결합구(23)에 각각 일단을 꽂아 결합하고, 또 다른 단부에는 지지캡(22)을 꽂아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단열재(10)의 관통공(12)에는 주어진 연결관(24)을 안내한 상태에서 상기 철근(21)의 단부를 씌운 결합구(23)를 연결관(24)에 꽂아 첨부된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재(10)의 전후 측으로 철근(21)이 돌출되는 형태로 각각 배치시켜 조립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거푸집(1,2) 사이에 단열재(10)를 배치시키되, 철근(21)의 단부측 지지캡(22)은 대응하는 거푸집과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때 거푸집(1)의 외측으로부터는 플레타이(3)를 통과시켜 단열재(10)의 통공(11)을 통해 대응되는 거푸집(2)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다수의 플레타이(3)를 설치하고, 플레이타이의 각 단부에 마련된 체결공으로부터는 웨지 핀(도면에서 생략함)을 체결공에 체결하여 줌으로써, 단열재를 사이에 둔 거푸집을 세팅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혹은 시멘트 몰타르의 타설로서 첨부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양생으로서 단열재(10)가 내장되는 중간단열 형태의 벽체 시공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24)은 일측단이 밀폐된 컵 형태로, 상기 결합구(23)에 각각 삽입되어 관통공(12)에 삽입 고정되는 타입으로 철근이 단열재의 양측에서 조합되는 구조로 세팅한 상태에서 벽체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구(23)는 내부 중앙이 구획된 원통형으로 양측 내경에 마련한 암나사(23b)에 철근(21)의 단부로부터 형성한 수나사(21a)를 체결하고, 여기서 연결관(24)은 일측에 플랜지(24a)가 형성된 중공의 파이프로서 상기 관통공(12)에 안내되어 지지되게 조립한 구조로서 거푸집(1,2)과의 세팅 후 콘크리트의 타설로서 단열재(10)가 내장된 벽체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혹은 시멘트 몰타르의 타설에 있어, 단열재(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유입공(10a)은 콘크리트 타설시 양측이 서로 통과되어 채워지는 형태로 양생되기 때문에 더욱 안정된 단열재의 시공과 함께 단열재에 설치된 연결부재 및 플레타이의 매립구조로서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매입된 연결부재(20)중 상기 연결관(24)이 설치되는 부위에 결합된 결합구(23)는 콘크리트의 타설시 수분에 의해 자체가 팽창하는 수팽창 지수재의 소재로서, 단열재의 관통공으로부터 연결관과의 긴밀한 결합을 이루어져 기존의 용접방식과는 달리 방수 및 수팽창에 의해 방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콘크리트의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수팽창 지수재는 띠형 혹은 관형 등의 형상으로 제작되어 토목 건축분야의 구조물 시공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누수, 침수 현상을 방지하고 연구적으로 자수성능을 갖도록 한 제품으로서, 물, 습기와 접촉시 연결관이 갖는 체적의 400~800%까지 팽창하여 결합부분의 공극을 완전하게 충진, 밀착시킬 수 있어 단열재 및 콘크리트 혹은 시멘트 몰타르의 시공 후 더욱 안정된 방수효과를 가진다. 또한, 내구성, 내수성,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수질에 영향을 받지않고 반복 팽창 후에도 원형 그대로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와 같이 철근이 배근되거나, 단열재를 관통 지지하는 구조물시공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타입으로 시공되는 단열재는 첨부된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의 층간 구성, 즉 바닥(슬라브)을 시공하는 경우이며, 이는 바닥형성을 위한 거푸집(1), 바닥철근 배근(도면에서 생략함), 단열재(10), 바닥철근(도면에서 생략함) 배근의 순서로 준비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바닥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의 타설은 거푸집(1)의 상부로부터 연결부재(20)에 의해 간격을 유지된 단열재(10)의 콘크리트 유입공(10a)을 통해 거푸집(1)과 단열재(10)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채워지고,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채워져 건물의 층간 바닥두께를 형성시킴으로써, 여기서 양생된 바닥은 상술한 벽체시공과 같이 내부에 단열재가 매입되는 형태로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시공에 따라서 본 발명은 단열재와 콘크리트의 벽체 혹은 바닥시공시 현장에서 조립식 연결부재를 단열재에 적용 후 시공함으로써, 공기가 단축되고, 콘크리트 타설에 따라 내부에 매입되는 단열재는 연결부재인 철근과 함께 콘크리트와의 밀착 유지력이 높아 결로방지, 냉기, 습도 차단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소음차단과 함께 실내온도 유지에 따른 난방비를 최대한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이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2: 거푸집 3: 플레타이
10: 단열재 10a: 콘크리트 유입공
11: 통공 12: 관통공
20: 연결부재 21: 철근
21a: 수나사 22: 지지캡
23: 결합구 23b: 암나사
23a,24a: 플랜지 24: 연결관

Claims (7)

  1. 거푸집(1,2) 사이에 단열재(10)가 위치되며, 단열재에 다수개 형성된 통공(11)을 통해 거푸집(1,2)으로부터 플레타이(3)가 다수개 관통 설치되어 지지되고, 다수개 형성된 관통공(12)을 통해 거푸집 사이에 연결부재(20)인 철근(21)이 관통 설치되는 한편, 철근(21)의 각 단부에 지지캡(22)이 설치되어 거푸집으로부터 중간에 간격 유지되게 단열재(10)가 매입되어 콘크리트 타설로서 벽체를 형성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일측에 플랜지(23a)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12) 입구측으로부터 지지되는 파이프형의 결합구(23)에 상기 철근(21)이 삽입 고정되고, 상기 관통공(12) 내에는 결합구(23)를 양측에서 안내 삽입 고정하는 연결관(24)이 삽입 설치되어 단열재(10)의 양측에서 철근(21)이 각각 지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4)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되, 원통형의 파이프형으로서 중앙이 막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철근(21)을 포함한 결합구(23)가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4)은 PVC소재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23)는 수팽창 지수재로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10)에는 콘크리트가 양측으로 통과되어 단열재를 지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유입공(10a)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4)은 일측단이 밀폐된 컵 형태로서, 상기 결합구(23)에 각각 삽입되어 관통공(12)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23)는 내부 중앙이 구획된 원통형으로 양측 내경에 암나사(23b)가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23b)에 체결되도록 철근(21) 단부로부터 수나사(21a)가 형성되어 체결되며, 연결관(24)은 관통공(12)에 안내되어 지지되도록 일측에 플랜지(24a)가 형성된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KR1020100130386A 2010-12-16 2010-12-16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KR20120067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86A KR20120067897A (ko) 2010-12-16 2010-12-16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86A KR20120067897A (ko) 2010-12-16 2010-12-16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897A true KR20120067897A (ko) 2012-06-26

Family

ID=4668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386A KR20120067897A (ko) 2010-12-16 2010-12-16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78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0978A (zh) * 2016-05-04 2016-07-20 哈尔滨鸿盛房屋节能体系研发中心 自由式夹心保温墙体连接件
KR20200068919A (ko) * 2018-12-06 2020-06-16 (주)건축사무소영일.필 중단열 벽체 구조의 안정성을 강화한 중단열 벽체 구조물과 시공법
KR20230046520A (ko) * 2021-09-30 2023-04-06 박명숙 중단열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80978A (zh) * 2016-05-04 2016-07-20 哈尔滨鸿盛房屋节能体系研发中心 自由式夹心保温墙体连接件
KR20200068919A (ko) * 2018-12-06 2020-06-16 (주)건축사무소영일.필 중단열 벽체 구조의 안정성을 강화한 중단열 벽체 구조물과 시공법
KR20230046520A (ko) * 2021-09-30 2023-04-06 박명숙 중단열 콘크리트 벽체의 단열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5180B2 (en) Load transfer device
KR101348379B1 (ko) 건축용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040206032A1 (en) Concrete building panel with a low density core and carbon fiber and steel reinforcement
US20110099932A1 (en) Panel interlocking system
US200701440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a low density wall panel with interior surface finished
US20110258957A1 (en) Masonry unit for constructing a multi-wythe wall
US20150089894A1 (en) Stay-in-place concrete form
US20220090380A1 (en) Encapsulated prefabricated panel
US20210301527A1 (en) Prefabricated panel with multi-layer cementitious coverings
US20080276559A1 (en) Low Density Concrete Wall Panel With Reinforced Insulation Members
KR20090010301A (ko) 프리컬럼을 사용한 폭렬방지형 고강도 철근콘크리트기둥부재의 제작방법
CN115198916A (zh) 一种房屋结构及建造方法
CN202809892U (zh) 预制砼自保温剪力墙及装配式砼建筑剪力墙结构
KR20120067897A (ko) 조립식 연결부재를 갖는 건축용 단열재
WO2011138573A2 (en) A construction system
KR100521647B1 (ko) 거푸집 겸용 건축용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KR20150060107A (ko) 단열콘크리트 구조 및 시공방법
KR20150025554A (ko) 누수방지형 건축용 pc벽체구조물
CN112609874A (zh) 饰面保温一体化的双面叠合剪力墙及其制造方法
CN105714943B (zh) 外墙保温加筋复合板、保温墙体一体化结构及施工方法
US20200362558A1 (en) Wall Reinforcement System
CN116265671A (zh) 保温预制墙板及采用该保温预制墙板构建墙的施工方法
CN212427670U (zh) 一种夹心墙体及其连接结构
CN206521848U (zh) 预制墙体及其保温结构
KR200423642Y1 (ko) U-바를 이용한 i-슬래브 접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