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375B1 - 플러그-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375B1
KR101784375B1 KR1020137006360A KR20137006360A KR101784375B1 KR 101784375 B1 KR101784375 B1 KR 101784375B1 KR 1020137006360 A KR1020137006360 A KR 1020137006360A KR 20137006360 A KR20137006360 A KR 20137006360A KR 101784375 B1 KR101784375 B1 KR 101784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locking
auxiliary lock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6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8296A (ko
Inventor
위르겐 랩폰
Original Assignee
에르니 프로덕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니 프로덕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에르니 프로덕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108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8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엘리먼트(200), 및 크림프 커넥션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엘리먼트(200)내에 배열되고, 플러그-인 방향(R)에 가로지르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잠금 오목부(205, 206)가 제공되고, 잠금 위치에 있는 상기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의 잠금 스터드(stud)(305, 306)는 상기 잠금 오목부(205, 206)와 맞물리고, 크림프 부위의 끝에 배열되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상기 베이스 엘리먼트(110)내에서 정합 오목부(115)와 맞물리는 고정 엘리먼트(215)에 의하여 특징지어진다.

Description

플러그-인 커넥터{PLUG-IN CONNECTOR}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1의 형태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에 관련된다.
일반적인 플러그-인 커넥터(plug-in connector)는 독일 공개공보 DE 10 2006 030 784 A1에 의해 공개된다. 이러한 플러그-인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base element) 내에 배열되는 접촉 엘리먼트(contact element)는 보조 잠금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것을 위하여, 플러그-인 방향에 가로지르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잠금 오목부가 배열되고, 그 보조 잠금 오목부 안에서 보조 잠금 엘리먼트의 잠금 스터드(stud)가 보조 잠금 엘리먼트의 잠금 위치와 맞물린다. 이 플러그-인 커넥터의 접촉 엘리먼트는 벗겨진 전기적 도체를 접촉시키도록 기능하는 크림프 플래그(crimp flag)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자동차 부문에서 또한 이용된다. 자동차에서, 커넥터 및, 특히, 도체의 크림프 커넥션은 진동 하중, 진동 레벨 등과 같은 상당한 하중에 노출된다. 이는 블레이드 및 크림프 부위 사이 또는 스프링 컨택트와 크림프 부위 사이의 전이부의 상당한 하중을 유도한다. 이러한 진동은 예를 들면,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 게다가, 큰 진동 때문에, 절연 효과 및 그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는 정도로 증가하는 저항을 가지는, 크림프 커넥션 내의 구리 도체의 접촉 부식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확립되어 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근본적인 과제는 전술한 단점들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식으로 및, 특히, 이러한 플러그-인 커넥터가, 자동차에서 일어나듯이, 상당한 진동 하중 및/또는 진동 레벨에 또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플러그-인 커넥터를 더욱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 과제는 독립 청구항 1에서 언급된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은 주 잠금 엘리먼트와 보조 잠금 엘리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플러그-인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는 크림프 부위의 끝에 배열되고,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 내의 정합(mating) 오목부와 맞물리는 고정 엘리먼트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주 잠금 및 보조 잠금에 의하여 플러그-인 커넥터를 안전하게 하고 고정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보조 잠금 엘리먼트로부터 가능한 최대거리에 배열되고, 그리고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의 두 지점에서 접촉 엘리먼트의 고정 및, 특히, 접촉 엘리먼트의 크림프 부위의 고정을 안전하게 하는 고정 엘리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 있어서, 보조 잠금 엘리먼트의 잠금 위치 내에서의 고정 엘리먼트의 구속이 허용되고, 결국, 보조 잠금 엘리먼트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동시에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의 오목부 내에서 고정 엘리먼트의 고정 및 구속이 매우 유리한 방식으로 또한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의 유리한 그 이상의 발전과 디자인은 청구항 1 이하에서 참조되는 종속항의 목적이다.
그러므로 유리한 디자인의 하나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잠금 오목부 및 보조 잠금 오목부에 관하여 (약간) 오버사이즈(oversize)인 잠금 스터드(stud)를 제공하고, 보조 잠금 스터드가 보조 잠금 오목부와 맞물리는 순간에, 보조 잠금 오목부 내에서 잠금 스터드의 클램핑은, 플러그-인 방향에 평행한,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 내에서의 접촉 엘리먼트의 동시 움직임과 함께 생성된다. 잠금 스터드가 보조 잠금 오목부와 맞물리는 순간에, 우선, 플러그-인 방향에 평행한,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 내의 접촉 엘리먼트의 최소의 움직임은 그러므로 형성되고, 그리고 나서 접촉 엘리먼트는 스터드의 보조 잠금 오목부와의 완전한 맞물림을 통하여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 내에서 안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 있어서, 정합 오목부와 함께하는 고정 엘리먼트는, 상술한 플러그-인 방향으로의 접촉 엘리먼트의 움직임을 통해, 바이어스(bias)를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 내에서 정합 오목부의 표면에서 그것의 베어링을 취하는, 고정 엘리먼트의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바이어스된 포지셔닝(positioning)을 통하여,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 내에서 접촉 엘리먼트의 흔들림방지와 진동없는 구속이 달성된다.
단순히 원칙적으로, 접촉 엘리먼트 상에 고정 엘리먼트를 배열하는 것은 대부분의 여러 가지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접촉 엘리먼트의 크림프 부위 내에서 도체의 쉬운 접촉을 또한 허용하는 하나의 매우 유리한 실시예는, 특히, 플러그-인 방향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휨부(deflection)에 배열되는 고정 엘리먼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하여, 최대의 개구 단면이 크림프 부위 내로 도체를 넣는 것에 대하여 준비가 될 뿐만 아니라, 휨부 조차도 크림프 부위 내로의 도체에 대한 입구 가이드로서 기능하고, 도체의 잘못된 포지셔닝의 경우와 같이, 후자는 크림프 부위에 도달할 때까지 휨부를 따라 작동된다.
휨부는 바람작하게 플러그-인 방향과 90도의 각을 이룬다. 그러나, 90도보다 약간 작은 각을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90도의 각은 베어링의 최적의 형성을 허용할 것이다.
고정 엘리먼트 자체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하게 T자 형상이다. 이를 통하여, 측면 고정, 즉, 플러그-인 방향에 수직으로 효력을 발휘하는 하나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 내에서의 정합 형성 때문에, 매우 유리한 방식으로 또한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텐트 스프링(detent spring)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 내에 제공되는 주 잠금 오목부 내에서의 압축을 위하여 접촉 엘리먼트에 배열된다.
추출력은 보조 잠금 엘리먼트의 잠금 스터드가 보조 잠금 엘리먼트의 잠금 위치에서 매번 맞물리는 오목부의 개수의 변화에 의하여 특정된 어느 추출력 요구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다. 이것이 매우 높은 추출력, 예를 들면, 100뉴턴(Newton) 또는 그 이상이 또한 달성되는 방법이다.
일 실시예는 잠금 위치에서 보조 잠금 엘리먼트를 받아들이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 내의 보조 잠금 엘리먼트 오목부를 제공한다. 잠금 위치에서 이 기준을 적용하는 것에 의하여, 보조 잠금 엘리먼트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일체를 이루는 부분이 된다.
하나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는 보조 잠금 엘리먼트가 선단(leading end)에서 코딩(coding) 표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제공하고, 이는 보조 잠금 엘리먼트가 잠금 위치의 바깥에 위치하는 경우에, 플러그-인 커넥터가 플러깅(plugging)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기준은 플러그-인 커넥션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플러그-인 커넥터를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에 대응하는 보조 플러그-인 커넥터 내로 플러깅하는 것은 오직 보조 잠금 엘리먼트가 잠금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 과정에 있어서, 하나의 유리한 실시예는 보조 잠금 엘리먼트의 전방면에 플러그-인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딩 리브(rib)를 제공한다. 코딩 리브는 보조 잠금 엘리먼트가 잠금 위치에 위치할 때 설정되는 잘못된 플러그-인 커넥션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 잠금 엘리먼트와 보조 잠금 엘리먼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플러그-인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래 기재로부터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잠금되지 않은 보조 잠금 엘리먼트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의 등축 단면도이다.
도 2는 잠금된 보조 잠금 엘리먼트를 가지는, 도 1에 나타난 플러그-인 커넥터의 등축도이다.
도 3은 보조 잠금 엘리먼트의 잠금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보조 잠금 엘리먼트의 잠금 위치를 가지는, 도 3에 나타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의 등축도이다.
도 6은 접촉 엘리먼트의 등축이고,
도 7은 또 다른 시선으로부터의, 접촉 엘리먼트의 등축도이다.
여러가지 시선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전체로서 100으로 지정된 플러그-인 커넥터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를 특징으로 하고, 절연물질 특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이 플러그 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내에, 접촉 엘리먼트(200)가 배열된다. 게다가,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는 잠금 위치에서 접촉 엘리먼트(200)의 보조 잠금 오목부(205, 206)와 맞물리는 잠금 스터드(stud)(305, 306)를 특징으로 하는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을 가지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 내에 배열된다(도 2, 도 4).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보조 잠금 오목부(205, 206)는 원추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한편, 적어도 하나의 잠금 스터드(305)가 보조 잠금 오목부(205)에 비하여 (약간) 오버사이즈(oversize)이며, 그것은 잠금 스터드가 보조 잠금 오목부(205) 보다 약간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조 잠금 오목부(205, 206)의 원추형 디자인의 효과는, 잠금 스터드(305, 306)가 맞물리는 순간에, 도 3 및 도 4의 화살표(R)에 의하여 특징지어지는 플러그-인 방향에 반대인 접촉 엘리먼트의 움직임이 생성되는 점이다. 도 3의 화살표(301)에 의하여 지정된 방향을 따라 가해진 힘에 의하여 생성된, 잠금 스터드(305, 306)의 보조 잠금 오목부(205, 206)와의 완전한 맞물림 후에, 접촉 엘리먼트(300)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에 고정되고 구속된다. 플러그-인 방향(R)에 반대로 작용하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내에서의 접촉 엘리먼트(200)의 움직임의 행사는 접촉 엘리먼트(도 6, 도 7 참조)에 배열된 고정 엘리먼트(215)가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의 정합 오목부(115)와 맞물리고 그래서 바이어스(bias)를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로케이팅(locating) 표면(116)에서 고정 엘리먼트(215)가 베어링(bearing)(도 1, 도 2)을 취하는 효과를 동시에 또한 가진다. 이러한 바이어스는 두 번째의 위치에서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 내에서 접촉 엘리먼트(200)의 고정을 가져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엘리먼트(200)는, 한편으로는 접촉 엘리먼트(200) 내에서 대응하는 원추형 개구부(205, 206) 내의 스터드(305, 306)에 의한 보조 잠금을 통하여, 그리고, 한편으로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바이어스된 베이스 엘리먼트(110)의 개구부(115) 내의 고정 엘리먼트(215)를 통하여, 두 곳에서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 내에 고정된다. 고정 엘리먼트(215)를 통한 고정은, 특히, 플러그-인 커넥터(100)의 작동모드가 강력한 진동 또는 흔들리는 움직임에 노출되더라도, 예를 들면, 보조 잠금 오목부(205, 206)와 크림프 날개(240) 사이의 바로 그 영역에서, 접촉 엘리먼트(200)의 균열이 일어나지 않는 효과, 그리고, 특히, 일정한 매우 강력한 진동으로 인한 크림프 부위에서의 접촉 부식이 나타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접촉 엘리먼트(200) 그리고, 특히, 크림프 부위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 내에서 그것의 위치에서 완전하게 움직일 수 없고 고정된 방식으로 사실상 유지되고, 진동의 경우를 포함한다.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는, 잘 알려진 방식으로, 사출성형을 통하여 또는 밀링(milling) 등을 통하여 생성될 수 있는 주 잠금 오목부(127)를 특징으로 한다.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는, 컨택트 스프링(210)을 마주하는 접촉 엘리먼트(200)의 측면에서, 즉, 커넥터의 측면에서, 플러그-인 방향(R)으로 연장하는 코딩 리브(coding rib, 330)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코딩 리브(330)는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가 잠금 위치에 이미 배열되면, 잘못된 플러깅(plugging)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코딩 엘리먼트(111)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에 또한 배열될 수 있고, 이것은, 특히, 대응하는 플러그-인 커넥터(미도시)에 관하여 플러그-인 커넥터의 잘못된 방향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코딩 엘리먼트(111)는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와 함께 작용한다. 이는 코딩 표면(332)이 코딩 리브(330)의 정면에 배열되기 때문이고, 이것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가 잠금 위치의 바깥쪽에 위치한다면, 플러그-인 커넥터의 플러깅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보적인 플러그-인 커넥터(미도시)가 코딩 표면(332)에 부딪힌다. 코딩 리브(330)는 오직 잠금 위치(도 2 및 도 4에 도시)에서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의 코딩 엘리먼트(110)에 맞추어 조정되고, 코팅 표면(332)은 더 이상 코딩 엘리먼트(111) 위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 내에 배열되는 보조 잠금 엘리먼트 오목부(119) 내에 놓이고, 그것에 의하여 받아들여진다.
게다가, 코딩 리브(191, 192)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 내에 또한 배열되고, 이것은 추가의 대응하는 플러그-인 커넉터(도 6)와의 잘못된 플러깅을 방지한다.
접촉 엘리먼트(200)는, 접촉 엘리먼트를 마주하는 면에서, 이 경우에 설명되는 접촉 엘리먼트는 스프링 엘리먼트(210)임, 개구부(212)를 가진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의 포지셔닝 프레임(positing frame, 2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포지셔닝 프레임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의 대응하는 오목부(123) 내에서 받아들여지고, 잘 알려진 방식으로, 스프링 엘리먼트(210)의 정확한 포지셔닝을 허용한다.
게다가, 컨텍트 엘리먼트(200)는, 삽입 위치에서의 접촉 엘리먼트(200)와 함께, 또한 잘 알려진 방식으로, 주 잠금 오목부(127) 내로 압축되고, 및 잘 알려진 방식으로, 주 잠금 베어링(128)에서 접촉 엘리먼트(200)가 추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텐트 스프링(220)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특히, 고정 엘리먼트(215)는 플러그-인 방향(R)과 90도의 각을 이루는 곡선의 휨부(216)에 배열된다. 이것의 장점은 개구부가 케이블(204)을 이끄는 것에 대하여 쉽게 접근 가능하다는 점이다. 케이블은 잘 알려진 방식으로 벗겨지고, 잘 알려진 방식에서 크림프 부위(240) 내의 벗겨진 부분은 크림프에 의해 접촉된다. 벗겨지지 않은 케이블 코팅은 클램핑(clampig) 영역(242)에서 클램프(clamp)되고 인장 부하 경감은 이렇게 하여 제공된다.
전술한 플러그-인 커넥터(100)의 장점은, 스프링(220) 및 주 잠금 베어링(128)으로 구성된 주 잠금 엘리먼트와, 원추형 모양으로 디자인된 보조 잠금 오목부(205, 206), 적어도 하나가 보조 잠금 오목부(205)에 비하여 (약간) 오버사이즈인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의 스터드(stud)(305, 306), 및 보조 잠금의 베이스 엘리먼트(110) 내에서 대응하는 정합 오목부(115)와 맞물리고,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 내에서 접촉 엘리먼트(200)의 바이어스된 고정을 전달하는 고정 엘리먼트(215)로 구성된 보조 잠금 엘리먼트에 의한 플러그-인 커넥터의 고정을 통하여, 접촉 엘리먼트(200)의 여러 지점에서의 고정 및 구속은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의 내에서 및 또한, 특히, 크림프 부위의 끝에서 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곡선의 직사각형의 휨부(216)는, 또한 바이어스의 실행과 관련하여, 스프링 효과가 얻어짐으로써 특별한 장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 엘리먼트(200)는 서로 이격되는 두 지점, 즉, 보조 잠금 오목부(205, 206) 및 스터드(305, 306), 및 보조 잠금의 베이스 엘리먼트(110)의 정합 개구부(115)와 맞물리고, 크림프 부위의 끝에 배열되는 고정 엘리먼트(215)로 구성된 보조 잠금의 두 지점에서 고정된다. 이로써, 크림프 부위(240) 및 클램핑 영역(242)의 진동은 방지되고, 이는 접촉 부식과 그로 인한 저항 증가에 따른 전기적 접촉의 중단, 또는 접촉 엘리먼트(200)의 균열조차도 방해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고정 엘리먼트는 기본적으로 T자형이다. 이것은 플러그-인 방향에서 베어링 표면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최적의 구속이 플러그-인 방향에 수직으로 또한 전달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보조 잠금 오목부(205, 206)의 수는 추출력에 종속하여 선택된다는 것이 언급되어야 한다. 더 작은 추출력에 대해서는, 하나로 충분한 반면, 더 큰 추출력에 대해서는, 두 개의 오목부가 선택된다. 게다가, 2개 이상의 오목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100: 플러그-인 커넥터
110: 베이스 엘리먼트
200: 접촉 엘리먼트
205, 206: 잠금 오목부
210: 접촉 스프링
215: 고정 엘리먼트
220: 디텐트 스프링
300: 보조 잠금 엘리먼트
305, 306: 보조 잠금 스터드

Claims (11)

  1. 플러그-인 커넥터의 베이스 엘리먼트(110)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엘리먼트(200); 및
    크림프 커넥션
    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엘리먼트(200)내에 배열되고 플러그-인 방향(R)에 가로지르게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잠금 오목부(205, 206)가 제공되고, 잠금 위치에 있는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의 잠금 스터드(stud)(305, 306)는 상기 잠금 오목부(205, 206)와 맞물리고,
    크림프 부위의 끝에 배열되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상기 베이스 엘리먼트(110)내에서 정합 오목부(115)와 맞물리는 고정 엘리먼트(2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엘리먼트(215)는, 상기 플러그-인 방향(R)에 평행한 상기 접촉 엘리먼트(200)의 움직임을 통하여, 바이어스(bias)를 실행하고,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상기 베이스 엘리먼트(110)내의 상기 정합 오목부(115)의 표면에서 그 베어링을 취하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잠금 오목부(205, 206)는 원추형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잠금 스터드(305)는 상기 보조 잠금 오목부(205)와 관련하여 오버사이즈(oversize)이고, 상기 잠금 스터드(305)가 상기 보조 잠금 오목부와 맞물리는 순간에, 상기 보조 잠금 오목부(205)내에서의 상기 잠금 스터드(305)의 클램핑(clamping)은, 상기 플러그-인 방향(R)에 평행한,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상기 베이스 엘리먼트 내에서의 상기 접촉 엘리먼트의 동시의 움직임과 함께 생성되는,
    플러그-인 커넥터(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엘리먼트(215)는 상기 플러그-인 방향(R)에 기본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휨부(216)에 배열되는,
    플러그-인 커넥터(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휨부(216)는 상기 플러그-인 방향(R)과 90도의 각을 이루는,
    플러그-인 커넥터(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엘리먼트(215)는 기본적으로 T자형인,
    플러그-인 커넥터(10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텐트(detent) 스프링(220)은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상기 베이스 엘리먼트(110)내에 제공되는 주 잠금 오목부(127)내에서의 압축을 위하여 상기 접촉 엘리먼트(200)에 배열되는,
    플러그-인 커넥터(100).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 잠금 오목부(205, 206)의 개수는 특정의 추출력에 따라 결정되는,
    플러그-인 커넥터(100).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잠금 엘리먼트 오목부(119)는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의 상기 베이스 엘리먼트(110)내에 제공되고, 잠금 위치에서 상기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를 받아들이는,
    플러그-인 커넥터(100).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는 선단(leading end)에서 코딩 표면(332)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코딩 표면(332)은, 상기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가 상기 잠금 위치의 바깥쪽에 위치하면,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100)가 플러깅(plugging)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러그-인 커넥터(100).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코딩 리브(coding rib, 330)는, 상기 보조 잠금 엘리먼트(300)의 전방면에 제공되고, 플러그-인 방향(R)으로 연장하는,
    플러그-인 커넥터(100).
  10. 삭제
  11. 삭제
KR1020137006360A 2010-08-18 2011-08-16 플러그-인 커넥터 KR101784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4789.2 2010-08-18
DE102010034789A DE102010034789B3 (de) 2010-08-18 2010-08-18 Steckverbinder
PCT/DE2011/001596 WO2012022302A1 (de) 2010-08-18 2011-08-16 Steckverb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8296A KR20130108296A (ko) 2013-10-02
KR101784375B1 true KR101784375B1 (ko) 2017-10-11

Family

ID=44970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6360A KR101784375B1 (ko) 2010-08-18 2011-08-16 플러그-인 커넥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870607B2 (ko)
EP (1) EP2606538B1 (ko)
JP (1) JP5770849B2 (ko)
KR (1) KR101784375B1 (ko)
CN (1) CN103109418B (ko)
DE (1) DE102010034789B3 (ko)
DK (1) DK2606538T3 (ko)
ES (1) ES2556456T3 (ko)
HU (1) HUE026389T2 (ko)
PL (1) PL2606538T3 (ko)
TW (1) TWI536677B (ko)
WO (1) WO2012022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03606B2 (ja) * 2013-11-13 2017-09-2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WO2015115093A1 (ja) 2014-01-31 2015-08-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6414772B2 (ja) * 2014-01-31 2018-10-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DE102014002669B4 (de) * 2014-02-28 2019-02-21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JP6416311B2 (ja) * 2016-11-28 2018-10-3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TW201941505A (zh) 2018-03-16 2019-10-16 美商Fci美國有限責任公司 高密度電連接器
JP2020198170A (ja) * 2019-05-31 2020-12-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端子金具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6439A (ja) * 2006-06-30 2008-01-24 Erni Electronics Gmbh プラグイン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4476A (ja) 1986-11-20 1988-06-07 Kyokuto Kaihatsu Kogyo Co Ltd 作業車両用ホ−スリ−ル格納装置
JPS63134476U (ko) * 1987-02-26 1988-09-02
JPH01121273A (ja) 1987-11-05 1989-05-12 Nippon Chemiphar Co Ltd ベンズイミダゾール誘導体の多形体
JPH01121273U (ko) * 1988-02-09 1989-08-17
JP3218139B2 (ja) * 1994-02-28 2001-10-1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ネクタ
US6478632B2 (en) * 2000-04-28 2002-11-1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Shake preventing construction for a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JP2008305601A (ja) * 2007-06-06 2008-12-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US20120137403A1 (en) * 2010-12-01 2012-06-07 John Bone Touch Screen Stay-Clean Finger Mitte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6439A (ja) * 2006-06-30 2008-01-24 Erni Electronics Gmbh プラグイン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6538B1 (de) 2015-09-16
US20130183865A1 (en) 2013-07-18
CN103109418B (zh) 2016-08-03
CN103109418A (zh) 2013-05-15
HUE026389T2 (en) 2016-06-28
ES2556456T3 (es) 2016-01-18
DE102010034789B3 (de) 2011-12-29
PL2606538T3 (pl) 2016-03-31
JP2013534357A (ja) 2013-09-02
TW201230513A (en) 2012-07-16
WO2012022302A1 (de) 2012-02-23
JP5770849B2 (ja) 2015-08-26
TWI536677B (zh) 2016-06-01
DK2606538T3 (en) 2015-12-21
EP2606538A1 (de) 2013-06-26
KR20130108296A (ko) 2013-10-02
US8870607B2 (en) 201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375B1 (ko) 플러그-인 커넥터
US7674130B2 (en) Electric connector for routing a line through a housing wall
US6743051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948032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optimized for installation
EP2876743B1 (en) Connector between cable and substrate
JP6543407B2 (ja) 耐振動性の短絡ブリッジを有する電気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電気プラグ接続
CN104300268B (zh) 连接器
CN108011212B (zh) 浮动连接器以及电连接器
KR20180120596A (ko) 커넥터 조립체
WO2006108610A1 (en) Electrical connector
JP5947485B2 (ja) 中継コネクタ
JP5343778B2 (ja) コネクタ
US8758042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cable to an electric component arranged in a housing
US9735505B2 (en) Housing device for a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KR20220088042A (ko) 리어홀더 및 커넥터
CN112448185A (zh) 接线端子的接触插件和接线端子
CN211150945U (zh) 闭锁元件以及具有闭锁元件的插接连接装置
JP5024946B2 (ja) 電気接続箱
KR20090014099A (ko)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H1167316A (ja) コネクタ
JP2005190860A (ja) 電気コネクタ
JP4353140B2 (ja) 電気接続箱
JP2015002131A (ja) カバー付き端子
JP2021101504A (ja) アンテナ取付装置及びガイド部品
JP2008257983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