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756B1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756B1
KR101780756B1 KR1020157016638A KR20157016638A KR101780756B1 KR 101780756 B1 KR101780756 B1 KR 101780756B1 KR 1020157016638 A KR1020157016638 A KR 1020157016638A KR 20157016638 A KR20157016638 A KR 20157016638A KR 101780756 B1 KR101780756 B1 KR 101780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food
operating
state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8839A (ko
Inventor
유키노리 키무라
야스타카 히키다
카즈키 카나타니
히데히로 유키
노리카즈 마쯔오
케이시 키누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8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8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Abstract

식부부 및 상기 식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는 이앙기로서, 상기 식부부로 동력을 연결 및 차단하는 식부 클러치; 상기 승강부를 구동하는 유압 액츄에이터; 상기 식부 클러치 및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를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클러치 작동 장치; 및 상기 식부 클러치의 작동 및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 도구를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작동 장치는, 상기 식부 클러치에 연결되는 제1 조작 아암,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는 제2 조작 아암, 상기 제1 조작 아암 및 제2 조작 아암에 접촉하는 제어 캠, 및 상기 제어 캠을 회전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이앙기{RICE TRANSPLANTER}
본 발명은 식부부 및 상기 식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5-316835호 공보에는, 식부 클러치의 연결 및 차단 작동에 관한 구성이 개시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13617호 공보에는 정지(整地) 장치의 로터 클러치의 연결 및 차단 작동에 관한 구성이 개시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55802호 공보에는 식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의 구성이 개시된다.
그러나, 식부 클러치와 로터 클러치, 또는 식부 클러치와 승강 실린더를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구성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 공개 평5-31683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2136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55802호 공보
본 발명은 식부 클러치와 로터 클러치, 또는 식부 클러치와 승강 실린더를 연동하여 작동시키고, 그것을 임의의 타이밍으로 조작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는, 식부부 및 상기 식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는 이앙기로서, 상기 식부부로 동력을 연결 및 차단하는 식부 클러치; 상기 승강부를 구동하는 유압 액츄에이터; 상기 식부 클러치 및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를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클러치 작동 장치; 및 상기 식부 클러치의 작동 및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 도구를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작동 장치는 상기 식부 클러치에 연결되는 제1 조작 아암,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는 제2 조작 아암, 상기 제1 조작 아암 및 제2 조작 아암에 접촉하는 제어 캠 및 상기 제어 캠을 회전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다.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규제하는 유압 스톱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압 스톱 밸브가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를 규제하는 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조작 도구의 조작에 상관없이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를 중립으로 설정하도록 상기 제어 캠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 캠은 상기 식부 클러치와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의 설정이 각각 <차단, 상승>, <차단, 중립>, <차단, 하강>, <연결, 하강>, <연결, 중립>이 되는 5개의 포지션을 갖는다.
상기 제어 캠이 <차단, 중립>의 포지션에 위치하고 상기 유압 스톱 밸브가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를 규제하는 측으로 조작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도구를 하강 조작하더라도 상기 제어 캠의 포지션을 변경하지 않고, 그 상태에서 다시 상기 조작 도구를 하강 조작하면 상기 제어 캠의 포지션을 <연결, 중립>으로 변경함과 함께, 상기 제어 캠의 포지션을 변경하는 도중에 상기 유압 스톱 밸브가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의 규제를 해제하는 측으로 조작된 경우에도 상기 제어 캠의 구동은 중단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는, 식부부, 상기 식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정지 장치를 구비하는 이앙기로서, 상기 식부부로 동력을 연결 및 차단하는 식부 클러치; 상기 정지 장치로 동력을 연결 및 차단하는 로터 클러치; 상기 식부 클러치 및 상기 로터 클러치를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클러치 작동 장치; 및 상기 식부 클러치의 작동 및 상기 로터 클러치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 도구를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작동 장치는 상기 식부 클러치에 연결되는 제1 조작 아암, 상기 로터 클러치에 연결되는 제2 조작 아암, 상기 제1 조작 아암 및 제2 조작 아암에 접촉하는 제어 캠 및 상기 제어 캠을 회전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식부부에 의한 식부 작업 중, 상기 조작 도구를 상승 조작하면, 상기 식부부의 상승을 수반하지 않고 상기 식부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전환됨과 함께, 상기 식부부가 하강 중이고 상기 식부 클러치가 연결 상태일 때, 상기 조작 도구에 의해 상기 식부부를 상승하도록 조작하면, 상기 식부부를 정지(停止)시키고 상기 식부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식부부가 상승 중이고 상기 식부 클러치가 차단 상태일 때, 상기 조작 도구를 하강 조작하면, 상기 식부 클러치의 차단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식부부를 정지하고, 추가로 상기 조작 도구를 하강 조작하면 상기 식부 클러치의 차단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식부부를 하강시키며, 더 추가로 상기 조작 도구를 하강 조작하면 상기 식부부를 하강시키면서 상기 식부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전환한다.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어 캠은, 외주에 180°의 위상차를 가지는 캠 프로필이 형성된다.
상기 식부 클러치 및 상기 로터 클러치의 연결 및 차단 설정에 따라 상기 제어 캠의 회전 방향이 판정되어 회전 각도가 가장 작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가 제어된다.
상기 로터 클러치의 연결 및 차단 설정보다 상기 식부 클러치의 연결 및 차단 설정을 우선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가 제어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부 클러치와 로터 클러치, 또는 식부 클러치와 승강 실린더를 연동하여 작동시키고, 그것을 임의의 타이밍으로 조작할 수 있다.
도 1은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식부 클러치와 로터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작동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클러치 작동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클러치 작동 장치에서의 제어 캠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클러치 작동 장치에서의 제어 캠의 회전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식부부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크로스 레버의 조작에 기초한 식부부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 8은 식부 클러치와 유압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작동 장치의 제어 캠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클러치 작동 장치에서의 제어 캠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식부부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클러치 작동 장치에서의 제어 캠의 회전 제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식부 유닛 클러치 및 세로 이송 유닛 클러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시비(施肥) 유닛 클러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정지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앙기(1)는 엔진(2), 동력 전달부(3), 식부부(4)및 승강부(5)를 구비한다. 식부부(4)는 승강부(5)를 통하여 기체(機體)에 연결되어 있고 승강부(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다. 동력은 동력 전달부(3)를 통하여 엔진(2)으로부터 식부부(4)에 전달된다. 이앙기(1)는 엔진(2)의 구동에 의해 주행하면서 식부부(4)에 의해 포장(圃場, 이하 '논밭'이라고 함)에 모종을 식부한다.
엔진(2)으로부터 구동력은, 동력 전달부(3)에서 트랜스미션(6)을 통하여 PTO축(7)으로 전달된다. PTO축(7)은 트랜스미션(6)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동력은 PTO축(7)으로부터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하여 식부 전동 케이스(8)에 전달되어 식부부(4)가 구동된다. 또한, 트랜스미션(6)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구동축(9)이 마련되고 구동축(9)으로부터 리어 액슬 케이스(10)에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리어 액슬 케이스(10)로부터 침지 정지용 정지 장치(20)로 동력이 전달된다.
리어 액슬 케이스(10)의 우측 전방에 포기간 변속 케이스(11)가 마련된다. PTO축(7)으로부터 동력은 포기간 변속 케이스(11)를 통하여 식부 전동 케이스(8)로 전달된다.
포기간 변속 케이스(11) 내에는, 식부부(4)로 동력을 연결 및 차단하는 식부 클러치(12)가 마련된다. 또한, 리어 액슬 케이스(10) 내에는, 구동축(9)으로부터 정지 장치(20)로 동력을 연결 및 차단하는 로터 클러치(13)가 마련되어 있다.
식부부(4)의 식부 위치 전방에는 복수의 플로트(14)가 배치된다. 식부부(4)에서 플로트(14)의 전방에 정지 장치(20)가 배치되어 있다.
식부부(4)의 좌우 양측방에는 전동 마커(15)가 측방을 향해 돌출 가능하게 마련된다. 전동 마커(15)는 하단부를 회동 지점으로 하여 측방으로 회동함으로써 선단부를 기체로부터 측방으로 돌출시킴과 함께, 선단부를 논밭면에 접촉시켜 라인을 긋는 회전식의 마커이다.
[식부 클러치와 로터 클러치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작동 장치]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클러치 작동 장치(30)에 대해 설명한다.
클러치 작동 장치(30)는 식부 클러치(12) 및 로터 클러치(13)를 연동하여 연결 및 차단 작동시키는 것이다. 클러치 작동 장치(30)는 포기간 변속 케이스(11)의 상방에 배치된다. 클러치 작동 장치(30)는 대략 육각 형상의 대좌(31), 대좌(3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원반 형상의 전동 기어(32), 전동 기어(32)의 회동축에 고정되어 전동 기어(32)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제어 캠(33), 전동 기어(32) 및 제어 캠(33)을 회전 구동시키는 클러치 모터(34), 적절한 와이어를 통하여 식부 클러치(12)에 연결되는 식부측 조작 아암(35) 및 적절한 와이어를 통하여 로터 클러치(13)에 연결되는 로터측 조작 아암(36)을 구비한다. 식부측 조작 아암(35) 및 로터측 조작 아암(36)은 제어 캠(33)의 외주에 상시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클러치 모터(34)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그 작동이 제어된다. 또한, 전동 기어(32) 및 제어 캠(33)의 회동축의 회전 각도는 적절한 각도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 장치(40)로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가 송신되고 있다.
제어 장치(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클러치 모터(34)를 작동시켜 제어 캠(33)을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식부측 조작 아암(35) 및 로터측 조작 아암(36)을 조작한다. 이와 같이 하여, 클러치 작동 장치(30)에서의 식부 클러치(12) 및 로터 클러치(13)의 연결 및 차단이 조작된다. 한편, 전동 기어(32) 및 제어 캠(33)은 클러치 모터(34)의 작동 방향을 따라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양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부측 조작 아암(35) 및 로터측 조작 아암(36)은 각각 벨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회전 지지축은 제어 캠(33)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된다. 식부측 조작 아암(35) 및 로터측 조작 아암(36)의 회전 지지축은 제어 캠(33)의 회동축보다 상방에 오프셋 된 상태에서 배치된다. 식부측 조작 아암(35) 및 로터측 조작 아암(36)에서 회전 지지축으로부터 제어 캠(33)을 향해 연장되는 아암 형상은 동일해지도록 형성된다.
식부측 조작 아암(35) 및 로터측 조작 아암(36)은 제어 캠(33)의 외주 캠부와의 접촉 위치에 따라 식부 클러치(12)의 연결 및 차단, 로터 클러치(13)의 연결 및 차단이 각각 설정된다.
제어 캠(33)은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45°정도의 대경 캠부 및 105°정도의 소경 캠부가 대략 15°정도의 천이부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형성된다. 즉, 제어 캠(33)의 외주에는 대경 캠부 및 소경 캠부가 대각으로 형성되어 있고 180°의 위상차를 가지는 캠 프로필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부측 조작 아암(35)이 제어 캠(33)의 소경 캠부와 접촉하는 경우 식부 클러치(12)를 「차단」, 대경 캠부와 접촉하는 경우 「연결」이 되도록 설정된다. 로터측 조작 아암(36)이 제어 캠(33)의 대경 캠부와 접촉하는 경우 로터 클러치(13)를 「차단」, 소경 캠부와 접촉하는 경우 「연결」이 되도록 설정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캠(33)이 일방향(반시계 방향)으로 180°회전하는 경우, <식부 클러치(12), 로터 클러치(13)>의 설정이 <「차단」,「차단」> 상태로부터 대략 45°마다 <「연결」,「차단」>, <「차단」,「연결」>, <「연결」,「연결」> 순서로 전환되고, 180°회전한 곳에서 <「차단」,「차단」> 상태로 돌아온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캠(33)의 둘레 방향을 따라 식부 클러치(12)와 로터 클러치(13)의 천이 상태로서, <「차단」,「차단」>, <「연결」,「차단」>, <「차단」,「연결」>, <「연결」,「연결」>의 4개의 포지션이 2세트씩 배치되어 8개의 포지션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캠(33)에서 <「연결」,「연결」>과 <「차단」,「차단」>의 양측에 <「연결」,「차단」> <「차단」,「연결」>의 포지션이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때, 제어 장치(40)는 제어 캠(33)의 현재 위치와, 식부 클러치(12) 및 로터 클러치(13)의 연결 및 차단 설정에 대응하는 2개의 목표 위치로부터 제어 캠(33)의 회전 방향을 판정하여 회전 각도가 가장 작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어 캠(33)이 현재 위치로부터 목표 위치까지 회동하는 시간(작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식부 클러치(12) 및 로터 클러치(13)의 작동 시간을 단축하여 포기 누락이나 불필요한 식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40)에서 로터 클러치(13)의 연결 및 차단 설정보다 식부 클러치(12)의 연결 및 차단 설정이 우선된다.
즉, <식부 클러치(12), 로터 클러치(13)>의 설정이 <「연결」,「차단」>상태에서 <「차단」,「연결」>이 되도록 조작한 직후 기체를 주행시키면, 목표 위치로 제어 캠(33)이 회전하는 동안 모종이 식부될 가능성이 있다. 즉, 식부 작업을 행하고 싶지 않은 정지 전의 논밭에 모종이 식부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정지 작업의 정지보다 식부 작업의 정지를 우선하고 있다.
또한, 제어 캠(33)의 포지션이 <식부 클러치(12):「연결」, 로터 클러치(13):「차단」>일 때, 로터 클러치(13)가 「연결」로 설정되면 목표 위치를 <「연결」,「연결」>로 하여 클러치 모터(34)를 제어하지만, 이 제어 캠(33)이 목표 위치에 도달하는 동안 식부 클러치(12)가 「차단」으로 설정되면, 제어 장치(40)는 제어 캠(33)의 목표 위치를 <「연결」,「연결」>을 거친 후의 <「차단」,「연결」>이 아니라 <「차단」,「차단」>을 거친 후의 <「차단」,「연결」>로 변경하여 클러치 모터(34)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로터 클러치(13)의 연결 및 차단 설정보다 식부 클러치(12)의 연결 및 차단 설정을 우선하도록 클러치 모터(34)를 제어하므로, 로터 클러치(13)의 연결 및 차단 설정에 상관없이 식부 클러치(12)가 먼저 작동하여 포기 누락이나 불필요한 식부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원 투입시에, 제어 장치(40)는 제어 캠(33)의 포지션이 <식부 클러치(12):「차단」, 로터 클러치(13):「차단」>이 되도록 클러치 모터(34)를 제어한다.
또한, 전원 정지시에, 식부 클러치(12) 및 로터 클러치(13)의 연결 및 차단 상태는 제어 캠(33)의 정지 위치에 대응한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에 대하여, 전원 정지시에 자기 유지 회로 등에 의해 식부 클러치(12) 및 로터 클러치(13)가 함께 「차단」이 되도록 클러치 모터(34)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클러치 작동 장치(30)를 구비하는 이앙기(1)에 의하면 식부 클러치(12) 및 로터 클러치(13)를 연동시키고, 임의의 타이밍으로 연결 및 차단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식부 클러치(12)와 로터 클러치(13)의 2종류의 클러치를 하나의 클러치 모터(34)의 작동으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개수를 삭감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캠(33)의 회전 위치와, 식부 클러치(12) 및 로터 클러치(13)의 연결 및 차단 조작과의 관계는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 캠(33)의 어느 회전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연결」,「연결」>, <「차단」,「연결」>, <「차단」,「차단」>, <「차단」,「연결」>의 포지션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식부부의 제어]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클러치 작동 장치(30)를 이용한 식부부(4)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작동 장치(3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40)에는, 클러치 모터(34) 외에 식부부(4)의 승강, 식부 클러치(12)의 접촉/차단 및 전동 마커(15)의 동작을 조작하는 크로스 레버(41), 플로트(14)의 접지/비접지를 감지하는 플로트 센서(42), 식부부(4)의 상승 위치를 감지하는 상승 상한 스위치(43), 정지 장치(20)의 승강을 조작하는 로터 조작 레버(44) 및 이앙기(1)의 진행 방향을 조작하는 조향 핸들(45) 등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크로스 레버(41)는 적어도 2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중앙 복귀형 조작 레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크로스 레버(41)는 식부부(4)를 승강할 때 또는 식부 클러치(12)를 연결 및 차단할 때의 조작 방향인 전후 방향과, 좌우 어느 쪽의 전동 마커(15)를 세팅할 때의 조작 방향인 좌우 방향의 2방향으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크로스 레버(41)의 조작 방향이 검출되고, 그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40)로 송신된다.
플로트 센서(42)는 논밭에 대한 식부부(4)의 높이를 검출하는 것으로서 포텐셔미터에 의해 구성된다. 플로트 센서(42)는 센서 플로트로서 이용되는 플로트(14)의 지지 링크의 회동량을 검출하여 플로트(14)가 논밭에 접지하고 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플로트 센서(42)에 의해 검출되는 회동량에 대응하는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40)로 송신되고 제어 장치(40)에서 플로트(14)의 접지/비접지를 판단한다.
상승 상한 스위치(43)는 식부부(4)가 소정의 상승 위치에 위치하는지 아닌지 검출한다. 상승 상한 스위치(43)는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되며 식부부(4)를 승강시키는 승강부(5)에 마련된다. 상승 상한 스위치(43)는 식부부(4)가 하강 위치로부터 소정의 상승 위치에 도달하면 ON되고 그 신호가 제어 장치(40)로 송신된다.
로터 조작 레버(44)는, 정지 장치(20)를 승강시킬 때 조작되는 레버이다. 로터 조작 레버(44)는 정지 장치(20)를 상승시켜 수납하는 위치와 하강시켜 정지하는 위치 사이에서 조작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로터 조작 레버(44)의 기단부에는 마이크로 스위치가 마련된다. 마이크로 스위치는, 로터 조작 레버(44)가 수납 위치로 조작되면 ON되고 그 신호가 제어 장치(40)로 송신된다.
조향 핸들(45)은 조향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를 갖는다. 그 각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각도 신호가 제어 장치(40)로 송신된다. 예를 들면, 소정 각도 이상의 조향 각도가 된 경우에 선회로 판단하여 선회 방향 외측(좌측 선회의 경우에 우측)의 전동 마커(15)를 작동시키도록 제어된다.
제어 장치(40)는 크로스 레버(41), 플로트 센서(42), 상승 상한 스위치(43), 로터 조작 레버(44)로부터의 각 신호에 따라, 식부 클러치(12) 및 로터 클러치(13)의 연결 및 차단 설정을 행하여 클러치 모터(34)에 적절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크로스 레버(41)가 하강 방향으로 2회 조작되고 플로트 센서(42)에 의해 접지를 감지하고, 또한 상승 상한 스위치(43)가 OFF인 경우, 식부 클러치(12)를 「연결」로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가 상승 방향으로 1회 조작되면 식부 클러치(12)를 「차단」으로 설정하고 「연결」로부터 「차단」으로 전환한다.
이때, 식부부(4)를 상승시키지 않고, 식부 클러치(12)를 차단 상태로 하는 것만으로, 논밭면에 모종을 식부하는 식부 작업중에도 식부부(4)를 일단 상승시키지 않고 식부 클러치(12)를 「차단」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식부 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식부부(4)를 하강시킨 채 논밭면을 주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논밭면에 차륜 흔적을 남기지 않고 식부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식부부(4)의 상승에 수반하여 전동 마커(15)가 상승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식부 클러치(12)가 「연결」 상태이고, 플로트 센서(42)에 의해 비접지가 감지되고 식부부(4)가 하강중 일 때, 크로스 레버(41)를 상승 방향으로 1회 조작하면 식부부(4)의 하강을 정지함과 함께 식부 클러치(12)를 「차단」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1회의 레버 조작만으로 식부부(4)의 하강을 정지하고 식부 클러치(12)를 차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식부 클러치(12)가 「연결」 상태이고, 플로트 센서(42)에 의해 비접지가 감지되고 식부부(4)가 소정의 상승 위치보다 하방에 정지하고 있을 때, 크로스 레버(41)를 상승 방향으로 1회 조작하면 식부부(4)를 상승시킴과 함께 식부 클러치(12)를 「차단」상태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하강 방향으로 1회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12)의 「차단」상태를 유지하면서 식부부(4)의 상승을 정지한다. 또한, 크로스 레버(41)를 하강 방향으로 1회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12)의 「차단」상태를 유지하면서 식부부(4)를 하강시킨다.
즉, 식부부(4)의 상승 중에 식부부(4)를 내리고 싶은 경우, 크로스 레버(41)의 1회째 하강 조작에 의해 식부부(4)가 정지하고, 2회째의 크로스 레버(41)의 하강 조작에 의해 식부부(4)가 하강을 개시한다. 그리고, 3회째의 크로스 레버(41)의 하강 조작에 의해 식부 클러치(12)를 「연결」상태로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위화감을 주지않고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승 상한 스위치(43)가 OFF이고 로터 조작 레버(44)가 OFF인 경우, 로터 클러치(13)를 「연결」로 설정한다. 이 상태에서, 상승 상한 스위치(43)의 ON 또는 로터 조작 레버(44)의 ON 중 적어도 하나가 검출되면 로터 클러치(13)를 「차단」으로 설정하고 「연결」에서 「차단」으로 전환한다.
단, 로터 클러치(13)를 「연결」로 설정하는 조건에, 크로스 레버(41)가 하강 방향으로 조작된 것을 검출하는 조건, 또는 식부부(4)가 하강하도록 승강부(5)에 구동 신호를 송신하는 조건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식부부(4)가 자중이나 주행시의 흔들림 등으로 하강하여 상승 상한 스위치(43)가 OFF된 경우에도 로터 클러치(13)가 「연결」로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앙기(1)를 다목적 사양으로서 승강부(5)를 통하여 식부부(4)와 다른 작업 기계를 장착시키는 경우에는, 크로스 레버(41)의 경도(傾倒) 조작에 의해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어(승강부(5)의 인칭 조작)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승강부(5)에 작업 기계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승강부(5)를 이동시키고 싶은 방향으로 크로스 레버(41)를 실제로 경도 조작하고 있는 동안 승강부(5)가 이동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승강부(5)를 약간 상승시키거나 또는 약간 하강시킬 필요가 생긴 경우, 소망하는 방향으로 소망하는 이동량만큼 크로스 레버(41)를 경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크로스 레버(41)의 조작에 기초한 식부부(4) 및 식부 클러치(12)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식부부(4)가 정지, 하강중 또는 상승중인 상태, 식부 클러치(12)가 연결 또는 차단 상태 및 플로트 센서(42)가 비접지 또는 접지 상태를 포함하는 3종류의 조건하에서, 크로스 레버(41)를 상승 조작 또는 하강 조작한 후 식부부(4) 및 식부 클러치(12)가 어떻게 전환되는지에 관한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표이다.
조건 No. 1
식부부(4)가 최고 상승 위치에 정지하고, 식부 클러치(12)가 「차단」이고 플로트 센서(42)가 비접지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하강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12)의 「차단」상태가 유지된 채 식부부(4)는 하강을 개시한다.
조건 No. 2
식부부(4)가 최고 상승 위치보다 하방에 정지하고, 식부 클러치(12)가 「연결」이고 플로트 센서(42)가 비접지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하강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12)의 연결 상태가 유지된 채 식부부(4)는 하강을 개시한다.
조건 No. 3
식부부(4)가 최고 상승 위치보다 하방에 정지하고, 식부 클러치(12)가 「차단」이고 플로트 센서(42)가 비접지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상승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12)의 차단 상태가 유지된 채 식부부(4)는 상승을 개시한다.
조건 No. 4
식부부(4)가 최고 상승 위치보다 하방에 정지하고, 식부 클러치(12)가 「연결」이고 플로트 센서(42)가 비접지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상승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12)가 차단 상태로 전환됨과 함께 식부부(4)는 상승을 개시한다.
즉, 조건 No. 4에서 크로스 레버(41)의 1회의 상승 조작으로 식부 클러치(12)를 차단 조작함과 함께 식부부(4)가 상승한다.
조건 No. 5
크로스 레버(41)의 하강 조작에 의해 식부부(4)가 하강중이고, 식부 클러치(12)가 「차단」이고 플로트 센서(42)가 비접지인 상태에서 다시 한번 크로스 레버(41)를 하강 조작하면, 식부부(4)의 하강이 유지된 채 식부 클러치(12)가 「연결」로 전환된다.
조건 No. 6
크로스 레버(41)의 하강 조작에 의해 식부부(4)가 하강중이고, 식부 클러치(12)가 「연결」이고 플로트 센서(42)가 비접지 상태에서 다시 한번 크로스 레버(41)를 하강 조작한 경우, 식부 클러치(12)의 「연결」 및 식부부(4)의 하강이 유지된다.
조건 No. 7
크로스 레버(41)의 하강 조작에 의해 식부부(4)가 하강중이고, 식부 클러치(12)가 「차단」이고 플로트 센서(42)가 비접지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상승 조작하면, 식부부(4)의 하강이 정지되고 식부 클러치(12)의 차단 상태가 유지된다.
조건 No. 8
크로스 레버(41)의 하강 조작에 의해 식부부(4)가 하강중이고, 식부 클러치(12)가 「연결」이고 플로트 센서(42)가 비접지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상승 조작하면, 식부부(4)의 하강이 정지됨과 함께 식부 클러치(12)가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즉, 조건 No. 8에서, 크로스 레버(41)의 1회의 상승 조작으로 식부부(4)의 하강을 정지함과 함께 식부 클러치(12)의 차단 조작이 행하여진다.
조건 No. 9
크로스 레버(41)의 상승 조작에 의해 식부부(4)가 상승중이고, 식부 클러치(12)가 「차단」이고 플로트 센서(42)가 비접지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하강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12)의 차단 상태를 유지하면서 식부부(4)의 상승이 정지된다.
조건 No. 10
크로스 레버(41)의 상승 조작에 의해 식부부(4)가 상승중이고, 식부 클러치(12)가 「차단」이고 플로트 센서(42)가 비접지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상승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12)의 「차단」 및 식부부(4)의 상승이 유지된다.
조건 No. 11
크로스 레버(41)의 하강 조작에 의해 식부부(4)가 하강하여 플로트 센서(42)가 접지되고, 식부부(4)가 밭면을 추종한 상태이고 식부 클러치(12)가 「차단」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하강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12)가 「연결」로 전환된다.
조건 No. 12
크로스 레버(41)의 하강 조작에 의해 식부부(4)가 하강하여 플로트 센서(42)가 접지되고, 식부부(4)가 밭면을 추종한 상태이고 식부 클러치(12)가 「연결」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하강 조작하면, 식부부(4)의 밭면 추종 상태 및 식부 클러치(12)의 연결 상태가 유지된다.
조건 No. 13
크로스 레버(41)의 하강 조작에 의해 식부부(4)가 하강하여 플로트 센서(42)가 접지되고, 식부부(4)가 밭면을 추종한 상태이고 식부 클러치(12)가 「차단」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상승 조작하면, 식부 클러치(12)의 차단 상태를 유지하면서 식부부(4)의 상승이 개시된다.
조건 No. 14
크로스 레버(41)의 하강 조작에 의해 식부부(4)가 하강하여 플로트 센서(42)가 접지되고, 식부부(4)가 밭면을 추종한 상태이고 식부 클러치(12)가 「연결」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를 상승 조작하면, 식부부(4)의 밭면 추종 상태를 유지하면서 식부 클러치(12)가 차단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과 같이, 식부부(4)가 하강중(조건 No. 7·8)이나 상승중(조건 No. 9)에, 크로스 레버(41)를 식부부(4)의 승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면, 식부부(4)의 승강이 정지되고 식부 클러치(12)가 연결에서 차단으로 전환된다.
한편, 식부부(4)가 상승중(조건 No. 10)이나 하강중(조건 No. 5·6)에 식부부(4)의 승강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크로스 레버(41)를 조작하면, 식부부(4)의 승강이 계속된다.
또한, 식부 클러치(12)가 연결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가 하강 조작되면(조건 No. 2·6·12), 식부 클러치(12)의 연결 상태가 계속된다.
한편, 식부 클러치(12)가 연결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가 상승 조작되면(조건 No. 4·8·14), 식부 클러치(12)는 차단 상태가 된다.
또한, 식부 클러치(12)가 차단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가 상승 조작되면(조건 No. 3·7·10·13), 식부 클러치(12)의 차단 상태가 계속된다.
한편, 식부 클러치(12)가 차단인 상태에서 크로스 레버(41)가 하강 조작되면, 식부부(4)가 하강중(조건 No. 5) 또는 밭면 추종(조건 No. 11)인 경우에는 식부 클러치(12)는 연결 상태가 되고, 또한 식부부(4)가 상승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조건 No. 1) 식부부(4)는 하강하여 식부 클러치(12)는 차단 상태가 되고, 또한 식부부(4)가 상승중인 경우(조건 No. 9)에는 식부부(4)의 상승은 정지되고 식부 클러치(12)는 차단 상태가 계속된다.
[식부 클러치와 유압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작동 장치]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클러치 작동 장치(50)에 대해 설명한다.
클러치 작동 장치(50)는 식부 클러치(12)와 승강부(5)에 마련되고, 식부부(4)를 승강시킬 때 구동되는 유압 실린더(51)를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것이다.
클러치 작동 장치(50)의 배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클러치 작동 장치(30)과 마찬가지로 포기간 변속 케이스(11)의 상방 등, 식부 클러치(12) 및 유압 실린더(51)의 근방에 배치된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부(5)는 유압 실린더(51), 탑 링크(52) 및 로어 링크(53)를 포함하는 링크 기구에 의해 구성되며, 유압 실린더(51)의 작동에 의해 탑 링크(52) 및 로어 링크(53)를 통하여 식부부(4)를 승강시킨다. 유압 실린더(51)는 적절한 승강 밸브를 통하여 그 조작이 제어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작동 장치(50)는 제어 캠(54) 및 제어 캠(54)을 회전 구동시키는 클러치 모터(55)를 구비한다. 제어 캠(54)은, 적절한 와이어를 통하여 식부 클러치(12)에 연결되는 식부측 조작 아암(56)과 적절한 연결 도구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51)로의 유로를 전환 제어 밸브의 스풀(57)에 연결되는 승강측 조작 아암(58)과 상시 접촉하도록 마련된다. 클러치 모터(55)는 상술한 클러치 모터(34)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며, 제어 캠(54)과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전동 기어에 맞물림으로써 모터의 회전력이 제어 캠(54)으로 전달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캠(54)의 외주면에는 회전 방향 일방향을 향하여 대경 캠부, 중경 캠부, 소경 캠부, 중경 캠부가 천이부를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형성된다. 즉, 제어 캠(54)의 외주에는 3종류의 지름을 가지는 360°의 캠 프로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경 캠부에서는 식부 클러치(12)가 차단, 유압 실린더(51)가 상승, 중경 캠부에서는 식부 클러치(12)가 차단, 유압 실린더(51)가 중립, 소경 캠부에서는 식부 클러치(12)가 연결, 유압 실린더(51)이 하강이 되도록 각각 설정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캠(54)이 일방향(반시계 방향)으로 360°회전하는 경우, <식부 클러치(12), 유압 실린더(51)>의 설정이 <차단, 상승> 상태에서 72°마다 <차단, 중립>, <차단, 하강>, <연결, 하강>, <연결, 중립>의 순서로 전환된다. 즉, 제어 캠(54)은 상기 5개의 포지션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모터(55)는 제어 장치(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그 작동이 제어된다. 또한, 제어 캠(54)의 회동축의 회전 각도는 적절한 각도 센서 또는 포지션 스위치 등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 장치(40)에 감지 결과에 따른 전기 신호가 송신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4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클러치 모터(55)를 작동시킴으로써 제어 캠(54)를 회전시키고, 식부측 조작 아암(56)과 승강측 조작 아암(58)을 조작함으로써, 식부 클러치(12)의 연결 및 차단이 조작됨과 함께 승강 밸브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51)의 피스톤 로드의 신축이 조작되어, 식부부(4)의 승강이 조작된다.
또한, 제어 장치(40)에는 승강부(5) 및 식부 클러치(12)의 접촉 및 단절을 조작하는 크로스 레버(41), 플로트(14)의 접지/비접지를 감지하는 플로트 센서(46) 및 유압 실린더(51)를 잠금/해제를 검출하는 유압 스톱 스위치(47) 등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플로트 센서(46)는 플로트(14)가 논밭에 접지되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로서 플로트(14)의 선단부에 마련된다. 플로트 센서(46)에 의해, 플로트(14)의 전부(前部)의 부상(浮上)을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가 제어 장치(40)로 송신된다. 또한, 플로트 센서(46) 대신 상술한 플로트 센서(42)를 이용해도 된다.
유압 스톱 스위치(47)는 유압 실린더(51)의 유압 회로에 마련되는 유압 스톱 밸브(59)의 개폐를 검출하는 스위치이다(도 8 참조).
유압 스톱 밸브(59)는 적절한 조작 레버에 연결되고 그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유압 실린더(51)로의 송유의 유무(밸브의 개폐)를 전환하는 메카식 제어 밸브이다. 유압 스톱 밸브(59)가 닫히면 유압 실린더(51)가 잠금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승강부(5)가 정지하고 식부부(4)가 임의의 높이로 정지한다. 이때,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N가 되어 그 신호가 제어 장치(40)로 송신된다. 유압 스톱 밸브(59)는 개방 상태가 되면 유압 실린더(51)의 잠금이 해제되어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FF된다.
제어 장치(40)는 크로스 레버(41), 플로트 센서(46), 유압 스톱 스위치(47)로부터의 각 신호에 따라 클러치 모터(55)를 제어함으로써 식부 클러치(12)의 연결 및 차단 설정 및 유압 실린더(51)의 전환 설정을 실시하여, 클러치 모터(55)에 적절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장치(40)의 제어 캠(54)의 포지션 제어(식부 클러치(12)의 연결/차단, 유압 실린더(51)의 상승/중립/하강)에 대해 도 11에 나타낸다.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FF 상태이고, <차단, 중립>에서 크로스 레버(41)를 상승 조작하면 <차단, 상승>으로 천이하고, 그 후,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N를 검출하면 <차단, 중립>으로 돌아간다.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FF 상태이고, <차단, 중립>에서 크로스 레버(41)를 하강 조작하면 <차단, 하강>으로 천이하고, 한번 더 크로스 레버(41)를 하강 조작하면 <연결, 하강>으로 천이한다. 한편, <차단, 하강>에서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N을 검출하면 <차단, 중립>으로 돌아간다.
즉,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N 상태에서는 크로스 레버(41)의 조작에 상관없이 <차단, 중립>을 유지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N을 검출했을 때, 직전의 크로스 레버(41)의 승강 조작을 취소하여 식부부(4)가 갑자기 승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연결, 하강> 상태에서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N을 검출하면 <연결, 중립>으로 천이 하지만, <연결, 중립>으로 천이한 후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FF를 검출하여도 플로트 센서(46)가 접지를 감지하지 않으면 <연결, 하강>으로 돌아가지 않고 <연결, 중립> 상태를 유지한다.
<연결, 중립> 상태에서 플로트 센서(46)가 비접지를 감지하고 크로스 레버(41)를 상승 조작하면, 유압 스톱 스위치(47)의 ON/OFF에 관계없이 <차단, 상승>으로 천이한다.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N을 검출한 경우에는 <차단, 상승>으로 천이한 후 <차단, 중립>까지 천이시킨다. 이 경우, 도중에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FF를 검출하여도 천이는 중단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유압 스톱 밸브(59)가 개방 상태가 되어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FF를 검출했을 때 식부부(4)가 갑자기 상승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차단, 중립> 상태에서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N을 검출하고 크로스 레버(41)를 2회 하강 조작하면, <차단, 상승> 측이 아니라 <차단, 하강>, <연결, 하강>을 거쳐 <연결, 중립>으로 천이한다. 이 경우, 도중에 유압 스톱 스위치(47)가 OFF를 검출하여도 천이는 중단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클러치 작동 장치(50)를 구비하는 이앙기(1)에 의하면, 식부 클러치(12) 및 유압 실린더(51)를 연동시키고, 임의의 타이밍으로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식부부(4)의 조작에 중앙 복귀형의 크로스 레버(41)와 유압 스톱 밸브(59)를 병용하는 경우, 유압 스톱 밸브(59)의 조작을 우선하여 유압 스톱 밸브(59)가 폐쇄 상태가 된 경우(유압 액츄에이터(51)의 작동을 규제하는 경우), 유압 실린더(51)를 중립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식부부(4)의 승강을 확실히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 캠(54)에 <식부 클러치(12):연결, 유압 실린더(51):중립> 포지션을 마련함과 함께, 유압 스톱 스위치(47)의 ON/OFF를 체크함으로써, 식부부(4)를 적절한 높이에 정지시킨 상태에서 구동하는 공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1)는 정지 장치(20)를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지 장치(20)를 가지지 않는 이앙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조멈춤 클러치]
이앙기(1)는 조멈춤을 행하기 위한 클러치로서 각 조에 대응하는 식부 유닛 클러치, 세로 이송 유닛 클러치 및 시비 유닛 클러치를 구비한다. 식부 유닛 클러치 및 세로 이송 유닛 클러치는 식부 클러치보다 동력 전달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하고, 시비 유닛 클러치는 시비 클러치보다 동력 전달 경로의 하류측에 위치한다.
식부 유닛 클러치 및 세로 이송 유닛 클러치는, 도 12에 나타내는 클러치 작동 장치(60)에 의해 연결 및 차단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클러치 작동 장치(60)는 모종 적재대(61)의 좌우 중앙 상방에 장착된다. 클러치 작동 장치(60)는 클러치 작동 장치(30)와 제어 캠의 형상을 제외하고 거의 동일한 구성이며, 이들 부품의 공통화에 의해 비용을 절감하고 있다.
한편, 제어 캠은 대략 부채꼴 형상이며, 상기 제어 캠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각 조에 대응하는 조작 아암과 접촉하여 연결 및 차단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캠은 클러치 모터(6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시비 유닛 클러치는 도 13에 나타내는 클러치 작동 장치(70)에 의해 연결 및 차단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클러치 작동 장치(70)는 시비 장치(71)의 후부로서 좌우 중앙보다 약간 좌측에 장착된다. 클러치 작동 장치(70)는 클러치 작동 장치(30·60)와 대략 동일한 구성이며, 부품의 공통화에 의해 비용을 절감한다. 제어 캠은 클러치 모터(72)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클러치 모터(62·72)는 클러치 모터(34)와 마찬가지로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구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즉 이들에 대응하는 제어 캠은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클러치 모터(62·72)는 제어 장치(40)와 접속된다. 제어 장치(40)는 상기 식부유닛 클러치, 세로 이송 유닛 클러치 및 시비 클러치의 연결 및 차단 설정에 따라 상기 제어 캠의 회전 방향을 판정하여 회전 각도가 가장 작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제어 캠이 현재 위치에서 목표 위치까지 회동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따라서, 식부 유닛 클러치, 세로 이송 유닛 클러치 및 시비 클러치의 작동 시간을 단축하여 포기 누락이나 불필요한 식부 및 시비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원 정지시의 조멈춤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제어 장치(40)에 기억되고, 전원 투입시에 이전 상태로 복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앙기(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지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
정지 장치(20) 대신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플레이트를 가지는 정지 장치로 해도 된다.
플레이트는 수평으로 마련되는 판 형상 부재이며, 플로트(14)의 전방에 배치된다. 플레이트는 로터 클러치(13)에 접속되는 진동 발생 장치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진동 발생 장치를 작동시켜 플레이트와 논밭면을 연속적으로 두드림으로써 논밭면을 정지한다.
진동 발생 장치는 로터 클러치(13)가 연결 상태일 때 작동하여 플레이트를 상하로 진동시키고, 로터 클러치(13)가 차단 상태일 때 작동을 정지하여 플레이트의 진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플레이트 및 진동 발생 장치는, 예를 들면 링크 기구(도시 생략)를 통하여 식부부(4)에 접속되어 있으며 식부부(4)와 함께 승강된다.
플레이트로 논밭면을 두드려 정지하는 정지 장치에 의하면, 진흙이 딸려 올라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의 배치 장소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은 후륜과 플로트(14) 사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전륜과 후륜의 사이나 전륜의 전방에 마련해도 된다. 또한, 플레이트를 복수 지점에 마련해도 된다.
본 발명은, 식부부로 동력을 연결 및 차단하는 식부 클러치와 정지 장치로 동력을 연결 및 차단하는 로터 클러치를 구비하는 이앙기로 이용 가능하다.
1:이앙기 4:식부부
5:승강부 12:식부 클러치
13:로터 클러치 20:정지 장치
30:클러치 작동 장치 33:제어 캠
34:클러치 모터(액츄에이터) 35:식부측 조작 아암(제1 조작 아암)
36:로터측 조작 아암(제2 조작 아암)
40:제어 장치 50:클러치 작동 장치
51:유압 실린더(유압 액츄에이터)
54:제어 캠 56:식부측 조작 아암(제1 조작 아암)
58:승강측 조작 아암(제2 조작 아암)
59:유압 스톱 밸브

Claims (9)

  1. 식부부 및 상기 식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구비하는 이앙기로서,
    상기 식부부로 동력을 연결 및 차단하는 식부 클러치;
    상기 승강부를 구동하는 유압 액츄에이터;
    상기 식부 클러치 및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를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클러치 작동 장치; 및
    상기 클러치 작동 장치를 통해서 상기 식부 클러치의 작동 및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 도구를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작동 장치는, 상기 식부 클러치에 연결되는 제1 조작 아암,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는 제2 조작 아암, 상기 제1 조작 아암 및 제2 조작 아암에 접촉하는 제어 캠, 및 상기 제어 캠을 회전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규제하는 유압 스톱 밸브를 더 구비하고,
    상기 유압 스톱 밸브가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를 규제하는 측으로 조작되면, 상기 조작 도구의 조작에 상관없이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를 중립으로 설정하도록 상기 제어 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2. 식부부, 상기 식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정지 장치를 구비하는 이앙기로서,
    상기 식부부로 동력을 연결 및 차단하는 식부 클러치;
    상기 정지 장치로 동력을 연결 및 차단하는 로터 클러치;
    상기 식부 클러치 및 상기 로터 클러치를 연동하여 작동시키는 클러치 작동 장치; 및
    상기 클러치 작동 장치를 통해서 상기 식부 클러치의 작동 및 상기 로터 클러치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 도구를 구비하고;
    상기 클러치 작동 장치는 상기 식부 클러치에 연결되는 제1 조작 아암, 상기 로터 클러치에 연결되는 제2 조작 아암, 상기 제1 조작 아암 및 제2 조작 아암에 접촉하는 제어 캠 및 상기 제어 캠을 회전 구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식부부에 의한 식부 작업 중, 상기 조작 도구를 상승 조작하면, 상기 식부부의 상승을 수반하지 않고 상기 식부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전환됨과 함께,
    상기 식부부가 하강 중이고 상기 식부 클러치가 연결 상태일 때, 상기 조작 도구에 의해 상기 식부부를 상승하도록 조작하면, 상기 식부부를 정지시키고 상기 식부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부부가 상승 중이고 상기 식부 클러치가 차단 상태일 때, 상기 조작 도구를 하강 조작하면 상기 식부 클러치의 차단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식부부를 정지하고,
    추가로 상기 조작 도구를 하강 조작하면 상기 식부 클러치의 차단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식부부를 하강시키며,
    더 추가로 상기 조작 도구를 하강 조작하면 상기 식부부를 하강시키면서 상기 식부 클러치를 연결 상태로 전환하는 이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제어 캠은 외주에 180°의 위상차를 가지는 캠 프로필이 형성되는 이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부 클러치 및 상기 로터 클러치의 연결 및 차단 설정에 따라 상기 제어 캠의 회전 방향이 판정되어 회전 각도가 가장 작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가 제어되는 이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클러치의 연결 및 차단 설정보다 상기 식부 클러치의 연결 및 차단 설정을 우선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가 제어되는 이앙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7016638A 2012-12-05 2012-12-05 이앙기 KR101780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81576 WO2014087510A1 (ja) 2012-12-05 2012-12-05 田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8839A KR20150088839A (ko) 2015-08-03
KR101780756B1 true KR101780756B1 (ko) 2017-09-21

Family

ID=5088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638A KR101780756B1 (ko) 2012-12-05 2012-12-05 이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68502B2 (ko)
KR (1) KR101780756B1 (ko)
CN (1) CN104837331B (ko)
WO (1) WO2014087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17372A (zh) * 2016-11-30 2017-05-31 江苏农华智慧农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乘座式高速插秧机带凸轮左右划线机构
CN106612793B (zh) * 2017-01-10 2018-09-28 浙江小精农机制造有限公司 插秧机集成式操控装置及其联动操控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9752A (ja) * 2006-03-28 2007-10-1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5100B2 (ja) * 1991-09-28 1998-03-09 三菱農機株式会社 水田作業車輌における制御装置
JP4180711B2 (ja) * 1998-11-04 2008-11-1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田植機のクラッチ作動装置
JP4275043B2 (ja) * 2004-09-29 2009-06-10 株式会社クボタ 田植機
JP4870440B2 (ja) * 2006-02-06 2012-02-08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JP5063302B2 (ja) * 2007-11-07 2012-10-31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5192844B2 (ja) * 2008-02-20 2013-05-08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機
JP5407371B2 (ja) * 2009-01-30 2014-02-05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9752A (ja) * 2006-03-28 2007-10-11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68502B2 (ja) 2017-01-25
JPWO2014087510A1 (ja) 2017-01-05
CN104837331A (zh) 2015-08-12
KR20150088839A (ko) 2015-08-03
CN104837331B (zh) 2016-12-14
WO2014087510A1 (ja)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3916A (ko) 이앙기
KR101780756B1 (ko) 이앙기
TWI569714B (zh) 苗移植機
JP7139274B2 (ja) トラクタ
US11891133B2 (en) Vehicles having a moveable control console
JP2010200770A (ja) 田植機
JP2012143178A (ja) コンバイン
JP4543247B2 (ja) 田植機
JP2009273480A (ja) 田植機
JP6253057B2 (ja) 作業車両、及びその昇降装置の制御方法
JP4141374B2 (ja) 乗用型田植機
JP2010136727A (ja) 田植機
JP3759009B2 (ja) 作業車の作業装置昇降構造
JP3770758B2 (ja) 作業車の作業装置昇降構造
JP6424785B2 (ja) 苗移植機
JP4608798B2 (ja) 作業車両の作業機昇降制御装置
JP2005185129A (ja) 対地作業機用制御装置
JP2009039028A (ja) 移植機
JP2006304657A (ja) 作業車の昇降操作構造
JP2017112838A (ja) 農作業機
JP4935464B2 (ja) トラクタ
JP6250516B2 (ja) 作業車両
JP2006094774A (ja) 農作業機
JP6582556B2 (ja) 作業車両
JP6250517B2 (ja) 作業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