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916A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133916A KR20130133916A KR1020137031216A KR20137031216A KR20130133916A KR 20130133916 A KR20130133916 A KR 20130133916A KR 1020137031216 A KR1020137031216 A KR 1020137031216A KR 20137031216 A KR20137031216 A KR 20137031216A KR 20130133916 A KR20130133916 A KR 201301339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input shaft
- transmission
- clutch
- pow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지 장치의 클러치를 접속하는 것이나 차단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 이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행부의 후방에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고, 식부부에 정지 장치를 승강 가능하게 부착한 이앙기에 있어서, 주행부의 기체 프레임의 앞 부분에 배치된 미션부와 기체 프레임의 뒷 부분에 배치된 리어 액슬 케이스를 전동 샤프트와 리어 입력축을 통해서 전동기구부를 관통하여 연동 연결하고, 상기 전동기구부의 입력축은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하게 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동 샤프트와 리어 입력축을 연동 연결하고, 상기 입력축의 통형상의 외주에는 출력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출력 기어로부터 전동기구부의 출력축을 통해서 상기 정지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이고, 상기 전동기구부 내의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 사이에 정지 장치의 승강 동작에 연동되어 구동을 접속/차단시키는 클러치 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지(整地) 장치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앙기의 한 형태로서 주행부의 후방에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고, 동 식부부에 정지 장치를 부착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상기 정지 장치는 주행부에 설치한 원동기부에 전동기구부를 통해 연동 연결되어 있고, 동 전동기구부는 원동기부로부터 주행부에 설치한 리어 액슬 케이스에 동력을 전동하는 전동 샤프트에 감속 기어를 통해 출력축을 연동 연결하고, 동 출력축을 정지 장치에 연동 연결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앙기에서는 정지 장치의 구동을 접속/차단시키기 위한 클러치 기구를 작동시키는 조작 수단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정지를 행하기 위해 정지 장치를 정지 작용 위치로 하강 이동시켰다고 해도 클러치 기구를 접속 상태로 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클러치 기구를 접속 상태로 하는 것을 잊어버리면 정지 장치는 구동되지 않고, 이 상태에서 식부 작업을 행하는 경우나 식부부를 내려놓고 주행만 하는 경우에 심한 흙밀림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주행부의 후방에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고, 식부부에 정지 장치를 승강 가능하게 부착한 이앙기에 있어서, 주행부의 기체 프레임의 앞 부분에 배치된 미션부와 기체 프레임의 뒷 부분에 배치된 리어 액슬 케이스를 전동 샤프트와 리어 입력축을 통해서 전동기구부를 관통하여 연동 연결하고, 상기 전동기구부의 입력축은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하게 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동 샤프트와 리어 입력축을 연동 연결하고, 상기 입력축의 통형상의 외주에는 출력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출력 기어로부터 전동기구부의 출력축을 통해서 상기 정지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이고, 상기 전동기구부 내의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 사이에 정지 장치의 승강 동작에 연동되어 구동을 접속/차단시키는 클러치 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전동기구부 내에는 동력 전달을 위한 입력축, 중간축 및 출력축의 3개의 전동축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입력축에 상기 전동 샤프트의 후단부를 기체 전방으로부터 끼워넣는 한편, 상기 입력축에 상기 리어 입력축의 전단부를 기체 후방으로부터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전동 샤프트와 상기 리어 입력축은 상기 전동기구부의 전후 벽 사이를 관통하여 연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클러치 기구를 접속/차단 동작시키는 작동 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작동 수단을 정지 장치의 승강 동작에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입력축 외주에 배치된 상기 출력 기어와 상기 중간축에 설치된 중간 입력 기어가 맞물리고, 상기 중간축에 설치된 중간 출력 기어와 상기 출력축에 설치된 입력 기어가 맞물려 동력 전달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작동 수단으로서의 작동 암을 상기 전동기구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기구부 내의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정지 장치의 승강 동작에 연동되어 구동을 접속/차단시키는 클러치 기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정지 장치를 정지 작용 위치로 하강시키면 클러치가 접속된다. 따라서, 클러치 접속을 잊어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정지 작용 상태의 정지 장치를 확실하게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이앙기의 정지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3은 승강 조작 레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4의 (a)는 동 정지 장치의 평면 설명도이고, (b)는 그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전동기구부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동 전동기구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동 전동기구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전동기구부의 단면 저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동 이앙기의 정지 장치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3은 승강 조작 레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4의 (a)는 동 정지 장치의 평면 설명도이고, (b)는 그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 설명도이다.
도 5는 전동기구부의 측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동 전동기구부의 평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동 전동기구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9는 전동기구부의 단면 저면 설명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이고, 동 이앙기(A)는 주행부(1)의 후방에 승강 기구(3)를 통해 식부부(2)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며, 동 식부부(2)에 정지 장치(4)를 부착하고 있다.
주행부(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 프레임(10)의 앞 부분에 원동기부(11)를 배치하고, 동 원동기부(11)의 후방에 운전부(12)를 배치함과 아울러 기체 프레임(10)의 앞 부분 하방에 프론트 액슬 케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좌우 한 쌍의 전차륜(13, 13)을 부착하는 한편, 기체 프레임(10)의 뒷 부분에 리어 액슬 케이스(14)를 통해 좌우 한 쌍의 후차륜(15, 15)을 부착하고 있다. 16은 운전부(12)에 설치한 핸들, 17은 운전부(12)에 설치한 운전석이다.
그리고, 기체 프레임(10)에는 원동기부(11)의 뒷쪽 하방이고 또한 프론트 액슬 케이스의 상방에 위치시켜 미션부(20)를 배치하고 있고, 동 미션부(20)는 원동기부(11)에 전동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연동 연결되는 한편, 프론트 액슬 케이스에 연동 설치되고, 동 미션부(20)에 전동 샤프트(21)를 통해 상기 리어 액슬 케이스(14)를 연동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원동기부(11)로부터 동력을 전동 벨트→미션부(20)→프론트 액슬 케이스 및 미션부(20)→전동 샤프트(21)→리어 액슬 케이스(14)에 전달하여 전·후차륜(13, 13, 15, 15)의 4륜 구동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식부부(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전동 케이스(25)의 앞 부분보다 상방에 식부 프레임(26)을 세워 설치하고, 동 식부 프레임(26)에 모 적재대(27)를 식부 전동 케이스(25)의 상방에서 좌우 왕복 이동 가능하게 부착하며, 식부 전동 케이스(25)의 뒷 부분에 설치한 식부클로(28)에 의해 모 적재대(27)상에 적층한 모 매트로부터 모 포기를 절삭하여 포장에 이앙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부호 「29」는 식부부(2)의 플로트를 나타내고 있다.
승강 기구(3)는, 도 1,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부(1)의 기체 프레임(10)의 뒷 부분에 설치한 상승 프레임 형성체(30)와 식부부(2)의 식부 프레임(26) 사이에 끼워 설치되어 있고, 탑 링크(31)와 로우 링크(32)와 동 로우 링크(32)를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33)를 구비하고 있다. 31a는 탑 링크 전단(前端)부 지축, 32a는 로우 링크 전단부 지축, 33a, 33b는 실린더 연결핀이다.
이와 같이 하여 승강 실린더에 의해 로우 링크(32)과 탑 링크(31)를 통해 식부부(2)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정지 장치(4)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부(2)의 직전방에 배치한 정지 본체(35)와, 주행부(1)의 리어 액슬 케이스(14) 앞벽에 부착한 전동기구부(36)와, 동 전동기구부(36)와 상기 정지 본체(35) 사이에 끼워 설치한 정지 전동 샤프트(37)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 우선 본 발명의 주요부에 따른 전동기구부(36)의 구성을 설명하고, 그 후에 정지 본체(35)와 정지 전동 샤프트(37)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전동기구부(36)의 설명〕
전동기구부(36)는, 도 5~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액슬 케이스(14) 앞벽의 우측부에 부착체(98)를 통해 부착되어 있고, 케이스체(99) 내에 원동기부(11)로부터의 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102)과, 동 입력축(102)으로부터의 동력을 정지 장치(4)에 출력하는 출력축(103)과, 동 출력축(103)과 상기 입력축(102) 사이에 끼워 설치한 중간축(104)과, 동 중간축(104)에 설치한 클러치 기구(105)를 배치하고 있다.
케이스체(99)는, 도 8 및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편평한 상자형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앞벽(100)의 우측 중앙부에 앞쪽으로 불거져 나오는 클러치 케이스 형성체(106)를 연이어 설치하고 있다.
입력축(102)은, 도 8 및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하게 한 통형상으로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99) 앞·뒷벽(100, 101)의 상부 사이에 관통시킴과 아울러 전후 한 쌍의 축지지편(107, 107)을 통해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가로로 설치하고 있다. 108은 시일재이다.
그리고, 입력축(102)에는 상기 전동 샤프트(21)의 후단부(21a)를 전방으로부터 끼워 넣음과 아울러 리어 입력축(110)의 전단부(111)를 후방으로부터 끼워 넣어 전동 샤프트(21)와 리어 입력축(110)을 입력축(102)을 통해 동축적으로 연동 연결하고 있다.
또한, 입력축(102)의 외주면 중앙부에는 출력 기어(112)를 부착하고 있다.
출력축(103)은, 도 8 및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하게 하여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99) 앞·뒷벽(100, 101)의 하부 사이에 전후 한 쌍의 베어링(113, 114)을 통해 전반부(115)를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가로로 설치함과 아울러 후반부(116)를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117은 시일재이다.
그리고, 출력축(103)의 전반부(115)에는 입력 기어(118)를 부착하고 있다.
중간축(104)은, 도 8 및 도 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하게 하여 형성하고, 상기 클러치 케이스 형성체(106)의 앞벽(109)과 케이스 본체(99)의 뒷벽(101)의 우측 중앙부 사이에 전후 한 쌍의 베어링(120, 121)을 통해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가로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축(104)의 중도부에 후술하는 클러치 기구(105)를 설치함과 아울러 동 중간축(104)의 뒷 부분에 중간 출력 기어(122)를 부착하고, 동 중간 출력 기어(122)에 상기 입력 기어(118)를 맞물리게 하고 있다.
여기에서, 클러치 기구(105)는 피맞물림체(123)와, 동 피맞물림체(123)에 맞물림/해제되는 맞물림체(124)와, 동 맞물림체(124)를 맞물림/해제 작동시키는 캠축(125)과, 동 캠축(125)을 작동시키는 작동 암(126)과, 맞물림체(124)를 맞물림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싱하는 압박 스프링(127)을 구비하고 있다.
피맞물림체(123)는 중간축(104)의 중도부에 통형상의 끼워맞춤편(130)을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과 아울러 동 중간축(104)의 축선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불가능하게 하고, 동 끼워맞춤편(130)의 전단가장자리부에 플랜지형상의 피맞물림편(13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끼워맞춤편(130)의 외주면에 중간 입력 기어(129)를 부착하고, 동 중간 입력 기어(129)에 상기 출력 기어(112)를 맞물리게 하고 있다.
맞물림체(124)는 중간축(104)의 중도부에 통형상의 끼워맞춤편(132)을 그 축선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춤과 아울러 동 중간축(104)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고, 동 끼워맞춤편(130)의 후단가장자리부에 플랜지형상의 맞물림편(133)을 형성하는 한편, 끼워맞춤편(130)의 전단가장자리부에 플랜지형상의 캠 맞물림편(134)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맞물림편(133)은 피맞물림편(131)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맞물리는(클러치 접속 상태) 한편, 동 피맞물림편(13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맞물림 해제(클러치 차단 상태)되도록 하고 있다.
캠축(125)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축선을 향하게 하여 형성한 축 본편(本片;135)과, 동 축 본편(135)의 우측 끝부에 형성한 캠편(136)을 구비하고 있고, 클러치 케이스 형성체(106)의 둘레면 좌측부로부터 좌측 바깥쪽으로 축선을 향하게 하여 연동 연설한 보스부(139) 내에 상기 축 본편(135)을 그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캠편(136)을 상기 끼워맞춤편(130)의 캠 맞물림편(134)에 맞물리게 하고 있다.
그리고, 캠축(125)을 그 축선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캠편(136)이 캠 맞물림편(134)을 통해 맞물림체(124)를 후술하는 압박 스프링(127)의 탄성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서 맞물림 해제 상태로 할 수 있는 한편, 캠축(125)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복원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압박 스프링(127)의 탄성 바이어싱력에 의해 맞물림체(124)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피맞물림체(123)와 맞물림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작동 암(126)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캠축(125)의 좌측 끝부(외측 끝부)에 기단부(하단부)를 연동 연설함과 아울러 선단부(상단부)를 상방으로 연신시키고, 동 선단부에서 우측을 향해서 연결핀(137)을 돌출시키고 있다.
압박 스프링(127)은 중간축(104)의 앞 부분 외주면에 권회됨과 아울러 앞 부분 베어링(120)의 후단면과 캠 맞물림편(134)의 전단면 사이에 끼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압박 스프링(127)의 탄성 바이어싱력에 의해 맞물림체(124)를 피맞물림체(123)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싱하고 있다.
여기서, 전동기구부(36)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부(1)에 설치한 리어 액슬 케이스(14)의 하면(14a)보다 상방 위치에 배치하고, 동 전동기구부(36)의 클러치 기구(105)를 접속/차단 작동시키는 작동 암(126)은 전동기구부(36)의 최하단부(138)보다 상방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출력축(103)보다 비교적 작은 토크가 작용하고 있는 중간축(104)에 클러치 기구(105)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동 클러치 기구(105)의 접속/차단 조작을 작은 조작력으로 행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8-191614호 공보에 기재된 전동기구부에서는 입력축에 감속 기어를 통해 출력축을 연동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동 출력축에는 비교적 큰 토크가 작용하고 있고, 이러한 큰 토크가 작용하고 있는 출력축에 클러치 기구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동 클러치 기구를 접속/차단 조작할 때에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의 전동기구부에 의하면 클러치 기구(105)의 접속/차단 조작을 편하게 행할 수 있어 클러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클러치 기구(105)의 접속/차단 조작에 필요한 조작력이 적기 때문에 조작 와이어(162), 기단측 연결편(146), 와이어 연결편(48b), 선단부(48c), 선단측 연결편(166), 연결핀(137), 작동 암(126) 등의 클러치 기구(105)를 조작하기 위한 부재에 대하여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포장의 토질에 따라서는 주행부(1)가 깊게 침강되는 경우가 있지만, 적어도 클러치 기구(105)의 작동 암(126)은 리어 액슬 케이스(14)의 하면(14a)보다 상방 위치에 배치한 전동기구부(36)의 최하단부(138)보다 상방 위치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동 작동 암(126)이 포장 중에 매몰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서 동 작동 암(126)에 의한 클러치 기구(105)의 클러치 작동 성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작동 암(126)을 비교적 높은 위치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튀는 흙 등을 작동 암(126)에 부착되기 어렵게 할 수 있어서, 이 점에서도 작동 암(126)에 의한 클러치 기구(105)의 클러치 작동 성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기구부(36)에 설치한 클러치 기구(105)(도 8 참조)를 접속/차단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으로서의 작동 암(126)의 동작은 식부부(2)의 승강 동작과 연동시키고 있다.
즉, 식부부(2)를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3)의 로우 링크(32)의 하면 전단부에는 와이어 연결편(141)을 설치하고 있고, 동 와이어 연결편(141)은 로우 링크(32)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신시킴과 아울러 선단부(142)를 좌측 바깥쪽으로 굴곡시켜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연결편(141)의 선단부(142)와 상기 작동 암(126)의 연결핀(137) 사이에는 연동 와이어(143)를 끼워 설치하고 있고, 동 연동 와이어(143)로서는 이너 와이어(144)의 외주를 아우터 와이어(145)로 피복한 슬라이딩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너 와이어(144)는 기단에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기단측 연결편(146)을 연결하고, 동 기단측 연결편(146)에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기단측 긴구멍(147)을 형성하며, 와이어 연결편(141)의 선단부(142)에 기단측 긴구멍(147)을 통해 기단측 연결편(146)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이너 와이어(144)는 선단에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선단측 연결편(148)을 연결하고, 동 선단측 연결편(148)에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선단측 긴구멍(149)을 형성하며, 작동 암(126)의 연결핀(137)에 선단측 긴구멍(149)을 통해 선단측 연결편(148)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아우터 와이어(145)는 리어 액슬 케이스(14)의 상부에 설치한 기단측 아우터 받침편(150)에 기단부(151)를 너트(152, 153)를 통해 와이어 연신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부착 위치 조절 가능하게 부착하는 한편, 기체 프레임(10)의 뒷 부분에 설치한 선단측 아우터 받침편(154)에 선단부를 너트를 통해 와이어 연신 방향(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부착 위치 조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또한, 아우터 와이어(145)의 선단부의 선단측 아우터 받침편(154)으로의 부착부는 후술하는 아우터 와이어(164)의 선단측 아우터 받침편(154)으로의 부착부와 마찬가지 구조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아우터 와이어(145)의 끝부 고정 위치와 이너 와이어(144)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조절 가능하게 하여 클러치 차단 상태를 드러내는 식부부(2)의 포장면(G)으로부터의 높이 설정을 임의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식부부(2)의 최상승 위치 근방으로의 상승 동작에 클러치 기구(105)의 차단 작동을 연동시키는 한편, 식부부(2)의 최상승 위치 근방으로부터의 하강 동작에 클러치 기구(105)의 접속 작동을 연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작동 암(126)에는 정지 장치(4)의 로터(40)를 승강시키는 후술의 승강 조작 레버(48)가 연동 연결되어 있고, 승강 조작 레버(48)를 조작함으로써 작동 암(126)을 동작시켜 클러치의 접속/차단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회전 지축(43)에는 후술의 레버 지지체(49)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음과 아울러 와이어 연결편(48b)이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와이어 연결편(48b)의 선단부(48c)는 좌측 바깥쪽으로 굴곡된 갈고리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 연결편(48b)의 선단부(48c)와 작동 암(126)의 연결핀(137) 사이에는 조작 와이어(162)가 끼워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 와이어(162)로서는 이너 와이어(163)의 외주를 아우터 와이어(164)로 피복한 슬라이딩 와이어를 사용하고 있다.
이너 와이어(163)의 승강 조작 레버(48)측의 끝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기단측 연결편(146)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기단측 연결편(146)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기단측 긴구멍(147)이 형성되어 있고, 와이어 연결편(48b)의 선단부(48c)가 기단측 긴구멍(147)을 통해 기단측 연결편(14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너 와이어(163)의 작동 암(126)측의 끝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선단측 연결편(148)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측 연결편(148)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선단측 긴구멍(149)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 암(126)의 연결핀(137)이 선단측 긴구멍(149)을 통해 선단측 연결편(148)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아우터 와이어(164)의 승강 암(44)측의 끝부는 식부 프레임(26)의 상부에 설치된 후술의 지지 플레이트(51)에 너트(52, 53)를 통해 부착 위치 조절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한편, 아우터 와이어(164)의 작동 암(126)측의 끝부는 기체 프레임(10)의 뒷 부분에 설치된 선단측 아우터 받침편(154)에 너트(173, 174)를 통해 부착 위치 조정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정지 장치(4)의 로터(40)의 접지 위치 근방으로의 하강 동작과 클러치 기구(105)의 접속 동작을 연동시키는 한편, 정지 장치(4)의 로터(40)의 접지 위치 근방으로부터의 상승 동작과 클러치 기구(105)의 차단 동작을 연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작동 암(126)의 연결핀(137)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동 와이어(143)의 선단측 연결편(148)과 조작 와이어(162)의 선단측 연결편(166)은 좌우로 병렬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연동 와이어(143)의 선단측 연결편(148)을 조작 와이어(162)의 선단측 연결편(166)보다 연결핀(137)의 선단부측(자유단부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이므로 식부부(2)의 승강 동작에 연동시켜 자동적으로 클러치 기구(105)의 접속/차단 작동을 행할 수 있고, 또한 승강 조작 레버(48)에 의한 정지 장치(4)의 승강 동작에 연동시켜 자동적으로 클러치 기구(105)의 접속/차단 작동을 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정지 장치(4)에 의해 정지 작업을 행하지 않고 식부 작업만을 행하는 경우이면 식부부(2)를 하강 상태로 한 상태에서 승강 조작 레버(48)에 의해 정지 장치(4)를 상승 이동시키기만 하면 된다. 정지 장치(4)를 상승 이동시키면 자동적으로 클러치 기구(105)가 차단 상태가 되어 정지 장치(4)를 멈추게 할 수 있다.
또한, 연동 와이어(143)의 선단측 연결편(148)을 조작 와이어(162)의 선단측 연결편(166)보다 연결핀(137)의 선단부측(자유단부측)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연동 와이어(143)의 선단측 연결편(148)만을 착탈하는 작업을 편하게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식부부(2)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정지 장치(4)를 작동시키고 싶은 경우, 예를 들면 세차시나 점검시나 전시회의 데먼스트레이션시 등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기호에 따라 식부부(2)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했을 때에 클러치 기구(105)를 클러치 차단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식부부(2)의 최상승 위치 근방으로의 상승 동작에 클러치 기구(105)의 차단 작동을 연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물러서 전/후차륜(13, 13, 15, 15)이 깊게 파고들어가는 포장에 있어서 식부부(2)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정지 작업과 식부 작업을 행하는 경우여도 포장 내에 클러치 기구(105)가 자동적으로 클러치 차단 작동되지 않아 작업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식부부(2)의 최상승 위치 근방으로부터의 하강 동작에 클러치 기구(105)의 접속 작동을 연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클러치 기구(105)를 접속/차단 작동시키는 작동 암(126)의 작동 스트로크를 작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동 작동 암(126)을 확실하게 작동시킬 수 있어 클러치 성능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정지 본체(35)의 설명〕
도 2~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정지 본체(35)는 식부부(2)의 식부 프레임(26)에 부착된 승강 지지기 프레임(38)과, 승강 지지기 프레임(38)의 하단부 사이에 가로로 설치된 좌/우측 로터 회전축(39, 39)과, 각 로터 회전축(39, 39)의 외주에 동축적으로 부착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씩)의 로터(40)와, 로터(40, 40) 사이의 대략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주행부(1)에 설치한 원동기부(11)로부터의 동력을 각 로터 회전축(39, 39)에 전동시키는 전동 케이스(41)로 구성되어 있다.
승강 지지기 프레임(38)은 식부 프레임(26)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피벗 브래킷(42, 42)에 회전 가능하게 가로로 설치된 회전 지축(43)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 지축(43)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고, 이 회전 지축(43)의 좌우 양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승강 암(44, 4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승강 암(44, 44)의 선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되는 링크(45, 45)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고, 링크(45, 45)의 하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신되는 좌우 한 쌍의 슬라이딩 로드(46, 46)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슬라이딩 로드(46, 46)는 식부 프레임(26)에 부착된 좌우 한 쌍의 가이드체(47, 47)에 의해 그 중도부를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가이드되어 있고, 하단부에서 좌/우측 로터 회전축(39, 39)의 각 중도부를 피벗팅하고 있다.
또한, 회전 지축(43)의 중앙부에는 전방을 향해서 연장되는 승강 조작 레버(48)의 기단부가 레버 지지체(49)를 통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조작 레버(48)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승강 암(44, 44), 링크(45, 45) 및 좌우 한 쌍의 슬라이딩 로드(46, 46)를 통해 정지 장치(4)의 로터(40)를 포장면에 접지되는 정지 작용 위치(사용 위치)와 접지되지 않는 비정지 작용 위치(포장면(G)으로부터 이격시킨 불사용 위치)에 승강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승강 조작 레버(48)의 측부에는 후술하는 슬릿(55)에 맞물려지는 맞물림편(48a)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승강 조작 레버(48)는 회전 지축(43)에 직각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49a) 축 둘레로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레버 지지체(49)에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조작 레버(48)를 요동 축(49a) 둘레로 회전시킴으로써 승강 조작 레버의 맞물림편(48a)을 후술의 슬릿(55)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3 중 「49b」는 승강 조작 레버(48)를 후술하는 가이드판(54)측에 바이어싱하는 탄성체로서의 스프링체이다.
또한, 회전지지축(43)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 연결편(48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와이어 연결편(48b)의 선단부(48c)는 좌측 바깥쪽으로 굴곡된 갈고리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너 와이어(163)의 기단측 연결편(146)에 형성된 기단측 긴구멍(14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플레이트(51)에는 아우터 와이어(164)의 승강 암(44)측의 끝부가 너트(52, 53)를 통해 부착 위치 조절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조작 레버(48), 맞물림편(48a), 와이어 연결편(48b), 선단부(48c), 레버 지지체(49), 회전지지축(43) 등을 구비하는 승강 조작구를 정지 작용 위치에 위치시키면 상기 클러치 기구(105)가 접속 상태가 되고, 비정지 작용 위치에 위치시키면 클러치 기구(105)가 차단 상태가 된다.
즉, 승강 조작 레버(48)를 도 3(a) 또는 (b)에 나타내어지는 위치에 회전시키면 이너 와이어(163)에 가해지는 텐션이 작아져서 클러치가 접속 상태가 된다. 또한, 승강 조작 레버(48)를 도 3(c)에 나타내어지는 위치로 회전시키면 이너 와이어(163)의 인장력으로 클러치의 접속/차단에 이용되는 작동 암(126)이 작동되어 클러치가 차단 상태가 된다.
또한, 식부 프레임(26)에는 지지 플레이트(51)를 통해 승강 조작 레버(48)의 위치 유지에 이용되는 가이드판(54)이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판(54)은 승강 조작 레버(48)의 좌우 양측 중 맞물림편(48a)이 부착되어 있는 측(본 실시예에서는 이앙기 진행 방향 우측)에 승강 조작 레버(48)에 인접하는 상태이고, 또한 측면으로 볼 때(도 2 참조) 승강 조작 레버(48)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판(54)의 승강 조작 레버(48)측의 측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슬릿(55)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슬릿(55)은 승강 조작 레버(48)의 맞물림편(48a)을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한 슬릿 폭을 갖고 있다. 따라서, 슬릿(55)에 맞물림편(48a)을 맞물리게 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승강 조작 레버(48)를 소정의 회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승강 조작 레버(48)의 위치가 맞물림편(48a)을 슬릿(55)에 맞물리게 할 수 있는 범위인 경우 클러치는 접속 상태이다. 즉, 맞물림편(48a)을 어느 쪽의 슬릿(55)에 맞물리게 하여 승강 조작 레버(48)를 고정했다고 해도 정지 장치(4)의 로터(40)는 작동 상태이다. 따라서, 승강 조작 레버(48)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켜 맞물림편(48a)의 맞물림처 슬릿(55)을 변경하면 동작 중의 로터(40)의 승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54)의 승강 조작 레버측의 측가장자리의 슬릿(55)보다 전방측에는 맞물림 오목부(56)가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오목부(56)는 승강 조작 레버 그것을 맞물림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즉, 승강 조작 레버(48)를 맞물림 오목부(56)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승강 조작 레버(48)를 맞물림 오목부(56)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조작 레버(48)를 맞물림 오목부(56)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는 클러치는 차단 상태로 되어 있고, 정지 장치(4)의 로터(40)는 정지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승강 조작 레버(48)를 맞물림 오목부(56)의 위치로부터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슬릿(55)의 위치까지 상방 회전시키는 도중에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가 되고, 반대로 승강 조작 레버(48)를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슬릿(55)의 위치로부터 맞물림 오목부(56)의 위치까지 하방 회전시키는 도중의 위치에서 클러치가 접속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조의 승강 동작부를 갖는 이앙기에서는 정지 장치(4)를 사용하는 경우는, 도 3(a)나 (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승강 조작 레버(48)의 맞물림편(48a)을 어느 하나의 슬릿(55)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승강 조작 레버(48)를 고정시킨다. 클러치는 승강 조작 레버(48)를 맞물림 오목부(56)의 위치로부터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슬릿(55)의 위치에 상방 회전시키는 도중에 접속 상태가 되므로 로터(40)는 회전 상태(정지 작용 상태)이다. 따라서, 동작 상태의 로터(40)를 소정의 높이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어느 쪽의 슬릿(55)에 맞물림편(48a)을 맞물리게 할지에 대해서는 포장(G)의 상황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정지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도 3(c)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승강 조작 레버(48)를 맞물림 오목부(56)에 맞물리게 한다. 그러면, 정지 장치(4)의 로터(40)가 최상방 위치에 고정된다. 클러치는 승강 조작 레버(48)를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슬릿(55)의 위치로부터 맞물림 오목부(56)의 위치에 하방 회전시키는 도중에 차단 상태가 되므로 로터(40)는 멈춤 상태(비정지 작용 상태)이다. 따라서, 멈춤 상태의 로터(40)를 최상방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이앙기에 의하면 맞물림 오목부(56)에 맞물려진 승강 조작 레버(48)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맞물림편(48a)을 슬릿(55)에 맞물리게 할 수 있는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정지 장치(4)의 로터(40)를 하강 이동시켜 포장(G)에 접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조작 레버(48)가 맞물림 오목부(56)의 위치로부터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슬릿(55)의 위치까지 상방 회전하는 도중에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가 되므로, 동시에 포장(G)에 접지되는 정지 장치(4)의 로터(40)를 동작 상태(정지 작용 상태)로 할 수 있다.
반대로 맞물림편 슬릿(55)에 맞물림편(48a)이 맞물려진 승강 조작 레버(48)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맞물림 오목부(56)에 맞물리게 하면 정지 장치(4)의 로터(40)를 상승 이동시켜 최상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 조작 레버(48)가 가장 전방에 위치하는 슬릿(55)의 위치로부터 맞물림 오목부(56)의 위치까지 하방 회전하는 도중에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부터 접속 상태가 되므로, 동시에 최상방에 위치되는 로터(40)를 멈춤 상태(비정지 작용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승강 조작 레버(48)를 조작하는 것 만으로 정지 장치(4)의 로터(40)의 승강과 로터(40)에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의 접속/차단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어 간단하게 정지 장치(4)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로터(40)의 승강 조작과 클러치의 접속/차단 조작을 한번에 행할 수 있으면 클러치를 접속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이나 차단하는 것을 잊어버리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예를 들면, 로터(40)를 설치시켜 정지 작용 상태로 했을 때에 클러치를 접속하는 것을 잊어버린 상태에서 식부 작업을 행하는 경우나 식부부를 내려놓고 주행만 하는 경우에 심한 흙밀림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로터(40)를 상승시킨 비정지 작용 상태로 했을 때에 클러치를 차단하는 것을 잊어버리면 로터가 쓸데없이 회전하는 상태가 되어 무언가를 말려들게 하거나 한다는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로터(40)의 승강과 동시에 클러치의 접속/차단을 행할 수 있으면 이러한 문제의 발생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정지 전동 샤프트(37)의 설명〕
정지 전동 샤프트(37)는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전반부 형성 샤프트(89)의 후단부와 전후 방향으로 연신되는 후반부 형성 샤프트(90) 전단부를 유니버설 조인트(91)를 통해 연동 연결하고 있고, 전반부 형성 샤프트(89)는 상기 정지용 출력축(88)의 돌출단부에 전단부를 연동 연결함과 아울러 리어 액슬 케이스(14)의 하면에 부착한 축지지편(92)에 중도부를 지지시켜 대략 수평 상태로 배치하는 한편, 후반부 형성 샤프트(90)는 그 뒷쪽 하방에 배치된 전동 케이스(41)의 전동 입력축(81)에 유니버설 조인트(85)를 통해 연동 연결하고 있다.
본 발명은 포장면을 정지하는 정지 장치를 구비한 이앙기에 이용할 수 있다.
A : 이앙기 1 : 주행부
2 : 식부부 3 : 승강 기구
4 : 정지 장치 35 : 정지 본체
36 : 전동기구부 37 : 정지 전동 샤프트
38 : 승강 지지기 프레임 39 : 로터 회전축
40 : 로터 41 : 전동 케이스
2 : 식부부 3 : 승강 기구
4 : 정지 장치 35 : 정지 본체
36 : 전동기구부 37 : 정지 전동 샤프트
38 : 승강 지지기 프레임 39 : 로터 회전축
40 : 로터 41 : 전동 케이스
Claims (6)
- 주행부의 후방에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식부부에 정지 장치를 승강 가능하게 부착한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의 기체 프레임의 앞 부분에 배치된 미션부와 기체 프레임의 뒷 부분에 배치된 리어 액슬 케이스를 전동 샤프트와 리어 입력축을 통해서 전동기구부를 관통하여 연동 연결하고,
상기 전동기구부의 입력축은 전후 방향으로 축선을 향하게 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동 샤프트와 리어 입력축을 연동 연결하고,
상기 입력축의 통형상의 외주에는 출력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출력 기어로부터 전동기구부의 출력축을 통해서 상기 정지 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이고,
상기 전동기구부 내의 상기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 사이에 정지 장치의 승강 동작에 연동되어 구동을 접속/차단시키는 클러치 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기구부 내에는 동력 전달을 위한 입력축, 중간축 및 출력축의 3개의 전동축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에 상기 전동 샤프트의 후단부를 기체 전방으로부터 끼워넣는 한편, 상기 입력축에 상기 리어 입력축의 전단부를 기체 후방으로부터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전동 샤프트와 상기 리어 입력축은 상기 전동기구부의 전후 벽 사이를 관통하여 연동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구를 접속/차단 동작시키는 작동 수단을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작동 수단을 정지 장치의 승강 동작에 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 외주에 배치된 출력 기어와 상기 중간축에 설치된 중간 입력 기어가 맞물리고, 상기 중간축에 설치된 중간 출력 기어와 상기 출력축에 설치된 입력 기어가 맞물려 동력 전달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으로서의 작동 암을 상기 전동기구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6077844A JP4991171B2 (ja) | 2006-03-20 | 2006-03-20 | 田植機 |
JPJP-P-2006-077844 | 2006-03-20 | ||
PCT/JP2007/054081 WO2007108298A1 (ja) | 2006-03-20 | 2007-03-02 | 田植機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18659A Division KR101404506B1 (ko) | 2006-03-20 | 2007-03-02 | 이앙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33916A true KR20130133916A (ko) | 2013-12-09 |
KR101382410B1 KR101382410B1 (ko) | 2014-04-08 |
Family
ID=3852233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18659A KR101404506B1 (ko) | 2006-03-20 | 2007-03-02 | 이앙기 |
KR1020137031216A KR101382410B1 (ko) | 2006-03-20 | 2007-03-02 | 이앙기 |
KR1020137004282A KR101330594B1 (ko) | 2006-03-20 | 2007-03-02 | 이앙기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7018659A KR101404506B1 (ko) | 2006-03-20 | 2007-03-02 | 이앙기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4282A KR101330594B1 (ko) | 2006-03-20 | 2007-03-02 | 이앙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991171B2 (ko) |
KR (3) | KR101404506B1 (ko) |
CN (3) | CN101400250B (ko) |
WO (1) | WO200710829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077168A1 (en) * | 2016-09-13 | 2018-03-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roximity-based device authentication |
KR20190117888A (ko) * | 2018-04-09 | 2019-10-17 |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 이앙기의 로터 동력 차단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017863A (ja) * | 2007-07-16 | 2009-01-29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移植機 |
JP5253250B2 (ja) * | 2009-03-16 | 2013-07-31 | ヤンマー株式会社 | 田植機 |
JP2011254774A (ja) * | 2010-06-11 | 2011-12-22 |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 乗用型移植機 |
JP5689739B2 (ja) * | 2011-05-09 | 2015-03-25 | ヤンマー株式会社 | 田植機 |
CN103109627B (zh) * | 2011-06-10 | 2016-08-03 | 大同农机(安徽)有限公司 | 乘用插秧机 |
CN102217447A (zh) * | 2011-06-10 | 2011-10-19 | 大同农机(安徽)有限公司 | 乘用插秧机 |
CN102870532B (zh) * | 2011-07-13 | 2016-03-30 | 洋马株式会社 | 插秧机 |
JP5590017B2 (ja) * | 2011-12-26 | 2014-09-17 | 井関農機株式会社 | 乗用型田植機 |
JP2014000018A (ja) * | 2012-06-15 | 2014-01-09 |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 乗用田植機 |
WO2014157441A1 (ja) * | 2013-03-29 | 2014-10-02 | ヤンマー株式会社 | 田植機 |
WO2015146911A1 (ja) * | 2014-03-24 | 2015-10-01 | ヤンマー株式会社 | 苗移植機 |
JP2015181403A (ja) * | 2014-03-24 | 2015-10-22 | ヤンマー株式会社 | 苗移植機 |
KR102317433B1 (ko) * | 2014-06-02 | 2021-10-28 | 주식회사 대동 | 이앙기 정지장치의 전동기구 |
KR102683958B1 (ko) * | 2017-12-18 | 2024-07-12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콤바인 |
CN108419494A (zh) * | 2018-03-19 | 2018-08-21 | 万远厚 | 一种滚动式插秧装置 |
KR20190110423A (ko) * | 2018-03-20 | 2019-09-30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수전 작업기 및 작업기 |
CN115211253B (zh) * | 2021-04-16 | 2024-11-01 | 苏州久富农业机械有限公司 | 一种设有安全保护的平地辊传动机构及平地辊机构、插秧机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068537A (en) * | 1976-10-12 | 1978-01-17 | Clark Equipment Company | Shift control system for a multiple input transmission |
US5269719A (en) * | 1992-01-06 | 1993-12-14 | Handi-Pac, Inc. | Light show mechanism |
CN2156657Y (zh) * | 1993-02-05 | 1994-02-23 | 黄新 | 稻麦收割机 |
JP3088629B2 (ja) * | 1995-01-12 | 2000-09-18 | 三菱農機株式会社 | 植付機における代掻き用ローターの駆動機構 |
CN2230272Y (zh) * | 1995-06-08 | 1996-07-03 | 韩月芳 | 人力车调速装置 |
JP3624506B2 (ja) * | 1995-11-30 | 2005-03-02 | 井関農機株式会社 | 田植機 |
CN2311124Y (zh) * | 1997-09-30 | 1999-03-24 | 青浦县沈巷农机经营服务部 | 一种水稻乳苗直播机 |
JP2000270634A (ja) | 1999-03-25 | 2000-10-03 | Kubota Corp | 田植機のクラッチ操作装置 |
WO2000059289A1 (fr) * | 1999-04-02 | 2000-10-12 | Yanmar Agricultural Equipment Co., Ltd. | Support de plants pour planteuse de riz |
ITBO20000490A1 (it) * | 2000-08-04 | 2002-02-04 | Checchi & Magli S R L | Distributore a giostra rotante per la movimentazione e la deposizionein campo di specie vegetali . |
JP4887564B2 (ja) * | 2001-01-16 | 2012-02-29 | 井関農機株式会社 | 苗植機 |
JP4110743B2 (ja) * | 2001-04-02 | 2008-07-02 | 井関農機株式会社 | 施肥田植機 |
JP2003189712A (ja) * | 2001-12-28 | 2003-07-08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移植機 |
JP4082311B2 (ja) * | 2003-08-27 | 2008-04-30 | 井関農機株式会社 | 施肥機 |
JP4610980B2 (ja) * | 2004-09-17 | 2011-01-12 | 三菱農機株式会社 | 農用作業機 |
-
2006
- 2006-03-20 JP JP2006077844A patent/JP499117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
- 2007-03-02 CN CN2007800087728A patent/CN10140025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3-02 KR KR1020087018659A patent/KR1014045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7-03-02 KR KR1020137031216A patent/KR10138241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03-02 KR KR1020137004282A patent/KR10133059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7-03-02 WO PCT/JP2007/054081 patent/WO200710829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7-03-02 CN CN201310113245.0A patent/CN10316854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7-03-02 CN CN201310071632.2A patent/CN103141193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077168A1 (en) * | 2016-09-13 | 2018-03-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Proximity-based device authentication |
KR20190117888A (ko) * | 2018-04-09 | 2019-10-17 |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 이앙기의 로터 동력 차단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1400250B (zh) | 2013-05-01 |
JP4991171B2 (ja) | 2012-08-01 |
CN101400250A (zh) | 2009-04-01 |
KR101404506B1 (ko) | 2014-06-09 |
CN103141193B (zh) | 2015-07-22 |
KR20080102130A (ko) | 2008-11-24 |
JP2007252228A (ja) | 2007-10-04 |
CN103168540B (zh) | 2017-07-21 |
CN103168540A (zh) | 2013-06-26 |
KR101330594B1 (ko) | 2013-11-18 |
CN103141193A (zh) | 2013-06-12 |
WO2007108298A1 (ja) | 2007-09-27 |
KR20130024984A (ko) | 2013-03-08 |
KR101382410B1 (ko) | 2014-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82410B1 (ko) | 이앙기 | |
KR101741606B1 (ko) | 이앙기 | |
CN104135844A (zh) | 农业用拖拉机 | |
JP5711613B2 (ja) | 草刈作業機 | |
JP4563271B2 (ja) | 農用作業機 | |
JP2007189912A (ja) | 農作業車 | |
JP2007014262A (ja) | 農用作業機 | |
JP5060401B2 (ja) | 乗用型草刈機 | |
JP5191278B2 (ja) | 移植機 | |
JP4891175B2 (ja) | 移植機 | |
JP6891100B2 (ja) | 水田作業機 | |
JP6832772B2 (ja) | 植播系作業機 | |
JP3535883B2 (ja) | 作業機連結装置 | |
JP5811524B2 (ja) | トラクタ用芝刈機 | |
JP4427283B2 (ja) | 作業機の支持装置 | |
JP3854945B2 (ja) | モアトラクタ | |
KR101786317B1 (ko) | 이앙기의 정지장치 승하강장치 | |
CN108684237B (zh) | 插播式作业机 | |
JP2008173052A (ja) | モアの昇降リンク機構 | |
JPS598491Y2 (ja) | ケ−ジ輪の上下調整装置 | |
JP2024104757A (ja) | 農作業機 | |
JP6008602B2 (ja) | 乗用田植機 | |
JP2018166433A (ja) | 植播系作業機 | |
JP3505682B2 (ja) | 管理機 | |
JP2000245205A (ja) | トラ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