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443B1 -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443B1
KR101775443B1 KR1020110085209A KR20110085209A KR101775443B1 KR 101775443 B1 KR101775443 B1 KR 101775443B1 KR 1020110085209 A KR1020110085209 A KR 1020110085209A KR 20110085209 A KR20110085209 A KR 20110085209A KR 101775443 B1 KR101775443 B1 KR 101775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insertion groove
support rail
press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4458A (ko
Inventor
준이치 고마쓰
Original Assignee
도요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기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기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4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08Fastening means for mounting on support rail or str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16End clamp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9/2633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9/2641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overvoltage protection

Landscapes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레일에 대한 유지 케이싱의 이동 규제를 고정 금구(金具)를 사용하지 않고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장착한 후의 위치 이동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전기 기기(機器)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를 제공한다. 압접편부(壓接片部)(22)를 구비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접편부(22)가 레일 삽입홈(13) 내로 돌출하는 상태로 상기 레일 삽입홈(13)의 일측 에지(14a)에 설치된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21)와, 레일 삽입홈(13)의 폭 방향을 따라 진퇴(進退)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에 상기 압접편부(22)를 레일 삽입홈(13)의 타측 에지(14b) 측으로부터 압압(押壓) 가능한 압압단(押壓端)(26)이 설치되고, 또한 타단에 유지 케이싱(2)의 외측면(2a) 부분에 위치하는 조작부(27)이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자(24)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고, 압접편부(22)가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a)에 압접하는 록(lock) 상태와, 압접편부(22)가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a)로부터 이격(離隔)되는 록 해제 상태로 변환 가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A HOLDING RAIL OF ELECTRONIC DEVICE MOUN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전기 기기(機器)를 지지 레일 상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어반(制御盤)에 설치되는 입출력 커넥터나 단자대(端子臺) 등의 전기 기기를, 제어반에 고정된 DIN 레일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종류의 장착 장치는, 전기 기기를 유지하는 유지 케이싱의 하저면(下低面)에 좌우 방향으로 개방된 레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 삽입홈의 양측 에지에 복수 개의 걸림클릭이 대향형(對向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쌍의 걸어맞춤 에지에, 상기 레일 삽입홈을 끼워맞추고, 또한 상기 레일 삽입홈의 양측 에지에서 대향하는 걸림클릭을 상기 지지 레일의 양 걸어맞춤 에지에 각각 걸어맞춤으로써, 유지 케이싱을 지지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장착 상태에 있어서, 유지 케이싱은, 레일 삽입홈의 양측 에지의 걸림클릭과 지지 레일의 양 걸어맞춤 에지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지지 레일 상에 이탈 불가능하게 유지되지만, 지지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된 고정 금구(金具)(b, b)를 유지 케이싱(a)의 좌우 양단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금구(b, b)를 지지 레일(c)에 고정시킴으로써, 유지 케이싱(a)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이 고정 금구(b)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ㄷ"자형의 외측 케이싱편(d)과, 상기 외측 케이싱편(d)의 내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부 양측에 외측 케이싱편(d)의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걸림 다리부(f, f)가 설치된 내측 케이싱편(e)과, 상기 내측 케이싱편(e)에 조립된 각(角) 너트(g)와, 외측 케이싱편(d)의 상부로부터 삽통(揷通)되어 각 너트(g)에 나사결합되고, 그 나사를 돌리는 조작에 의해 내측 케이싱편(e)을 승강시키는 조작 나사(h)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쌍의 걸림 다리부(f, f)에는, 하단에 서로 대향하는 걸림 돌출부(j, j)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걸림 돌출부(j, j)의 상부에는 지지 레일(c)의 걸어맞춤 에지(k, k)를 삽통 가능한 한쌍의 삽통 홈부(m, m)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금구(b)는, 지지 레일(c)의 양 걸어맞춤 에지(k, k)를 내측 케이싱편(e)의 삽통 홈부(m, m)에 삽통시킨 상태에서, 조작 나사(h)를 체결 방향으로 돌림으로써, 내측 케이싱편(e)을 상승시켜, 양 걸림 돌출부(j, j)와 외측 케이싱편(d)의 하단면에서 지지 레일(c)의 걸어맞춤 에지(k, k)를 협지함으로써 지지 레일(c)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1995-254447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9-224104호 공보
종래 구성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에 있어서는, 유지 케이싱(a)의 지지 레일(c) 상에서의 슬라이드 이동을 규제하기 위해, 별개의 부품으로서 형성된 2개의 고정 금구(b, b)가 필요하므로 부품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고정 금구(b, b)의 고정에 있어서 각각의 조작 나사(h)를 돌려 강하게 조이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유지 케이싱(a)을 지지 레일(c)에 장착한 후에 위치를 바꿀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각 고정 금구(b, b)의 조작 나사(h, h)를 각각 느슨하게 하여 유지 케이싱(a) 및 고정 금구(b, b)를 이동시키고, 재차 각 조작 나사(h, h)를 강하게 조이는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유지 케이싱(a)의 고정 및 이동에 수고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지지 레일에 대한 유지 케이싱의 이동 규제를 고정 금구를 사용하지 않고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장착한 후의 위치 이동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른 양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쌍의 걸어맞춤 에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지지 레일에, 전기 기기를 유지하는 유지 케이싱의 하저면에 형성되어, 양측 에지에 대향하는 걸림클릭을 구비한 레일 삽입홈을 끼워장착함으로써, 상기 유지 케이싱을 지지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에 있어서, 압접편부(壓接片部)를 구비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접편부가 레일 삽입홈 내로 돌출하는 상태로 상기 레일 삽입홈의 일측 에지에 설치된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와, 레일 삽입홈의 폭 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단에 상기 압접편부를 레일 삽입홈의 타측 에지측으로부터 압압(押壓) 가능한 압압단(押壓端)이 설치되고, 또한 타단에 상기 레일 삽입홈의 타측 에지측에서 유지 케이싱의 외측면 부분에 위치하는 조작부가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자(移動子)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압접편부가 그 탄성에 의해 지지 레일의 한쪽의 걸어맞춤 에지에 압접시켜 상기 지지 레일에 대한 유지 케이싱의 이동을 규제하는 록(lock) 상태와, 조작부에 대한 압압 조작에 의해, 압접편부가 슬라이드 이동자의 압압단에 압압되어 지지 레일의 걸어맞춤 에지로부터 이격되는 록 해제 상태로 변환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이다.
상기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에 있어서,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의 압접편부에, 지지 레일의 걸어맞춤 에지가 파여진 대략 V자형의 절입 즉 커트인(cut in)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제안된다.
또한, 레일 삽입홈의 일측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판스프링의 양 단부에 한쌍의 압접편부가 설치되고, 양 압접편부가 대칭을 이루는 상태로 레일 삽입홈 내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는 구성이 제안된다.
또한,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에 대향하는 레일 삽입홈의 타측 에지에 형성되는 걸림클릭이, 슬라이드 이동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제안된다.
또한, 조작부의 외측면과 상기 조작부에 대향하는 유지 케이싱의 측벽부의 외측면에 다수의 요철(凹凸)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 제안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른 양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쌍의 걸어맞춤 에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지지 레일에, 전기 기기를 유지하는 유지 케이싱의 하저면에 형성되어, 양측 에지에 대향하는 걸림클릭을 구비한 레일 삽입홈을 끼워장착함으로써, 상기 유지 케이싱을 지지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로서, 압접편부를 구비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가 레일 삽입홈 내로 돌출하는 상태로 상기 레일 삽입홈의 일측 에지에 설치되고, 또한 일단에 상기 압접편부를 레일 삽입홈의 타측 에지측으로부터 압압 가능한 압압단이 설치되고, 또한 타단에 상기 레일 삽입홈의 타측 에지측에서 유지 케이싱의 외측면 부분에 위치하는 조작부가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자가, 레일 삽입홈의 폭 방향을 따라 진퇴(進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의 압접편부가 그 탄성에 의해 지지 레일의 한쪽의 걸어맞춤 에지에 압접시켜 상기 지지 레일에 대한 유지 케이싱의 이동을 규제하는 록 상태와, 조작부에 대한 압압 조작에 의해, 상기 압접편부가 슬라이드 이동자의 압압단에 압압되어 지지 레일의 걸어맞춤 에지로부터 이격(離隔)되는 록 해제 상태로 변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지 케이싱의 레일 삽입홈을 지지 레일의 양 걸어맞춤 에지에 끼워맞추고, 또한 상기 레일 삽입홈의 양측 에지에서 대향하는 걸림클릭을 지지 레일의 양 걸어맞춤 에지에 각각 걸어맞추어, 유지 케이싱을 지지 레일에 장착하면 레일 삽입홈 내로 돌출되어 있는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의 압접편부가 그 탄성에 의해 지지 레일의 한쪽의 걸어맞춤 에지에 압접하는 록 상태로 되어, 지지 레일에 대한 유지 케이싱의 장착과 동시에 유지 케이싱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로써, 지지 레일에 대한 유지 케이싱의 이동 규제를 종래와 같은 고정 금구를 사용하지 않고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유지 케이싱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지 케이싱의 장착 위치를 바꿀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조작부를 손가락으로 압압 조작하면,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의 압접편부가 슬라이드 이동자의 압압단에 압압되어 지지 레일의 걸어맞춤 에지로부터 이격되는 록 해제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이 록 해제 상태를 유지한 채 유지 케이싱을 지지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어, 원하는 위치에서 조작부에 대한 압압 조작을 멈추면, 재차 압접편부가 그 탄성에 의해 지지 레일의 걸어맞춤 에지에 압접하는 록 상태로 된다. 이로써, 장착한 후의 위치 이동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에 있어서,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의 압접편부에, 지지 레일의 걸어맞춤 에지가 파여진 대략 V자형의 커트인 홈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압접편부가 록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커트인 홈의 안쪽 단부에 지지 레일의 걸어맞춤 에지가 파여진 상태로 되므로, 유지 케이싱의 이동 규제를 보다 견고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레일 삽입홈의 일측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판스프링의 양 단부에 상기 커트인 홈을 구비한 한쌍의 압접편부가 설치되고, 양 압접편부가 대칭을 이루는 상태로 레일 삽입홈 내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유지 케이싱에 지지 레일 상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좌우 어느 쪽의 방향으로 가해져도, 어느 한쪽의 압접편부의 커트인 홈의 안쪽 단부에 지지 레일의 걸어맞춤 에지가 파여진 상태로 되므로, 유지 케이싱의 이동 규제를 보다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에 대향하는 레일 삽입홈의 타측 에지에 형성되는 걸림클릭이, 슬라이드 이동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걸림클릭을 별개로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의 외측면과 상기 조작부에 대향하는 유지 케이싱의 측벽부의 외측면에 다수의 요철(凹凸)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조작부의 외측면과 측벽부의 외측면을 손가락으로 협지하여 록 해제 상태로 하여, 유지 케이싱을 위치 이동시킬 때, 양 미끄럼방지부에 의해 손가락의 미끄럼방지 작용을 얻을 수 있으므로, 유지 케이싱의 위치 이동 시에서의 조작성이 우수한 것으로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1)의 유지 케이싱(2)을 지지 레일(7)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그 평면도, (B)는 그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유지 케이싱(2)의 상부에 전기 기기를 유지한 상태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유지 케이싱(2)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유지 케이싱(2)의 상하를 반전하여 나타낸 정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유지 케이싱(2)의 상하를 반전하여 나타낸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21)와 슬라이드 이동자(24)를 분리하여 나타낸 유지 케이싱(2)의 상하 반전 사시도이다.
도 7은 압접편부(22, 22)의 커트인 홈(23, 23)에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a)가 파여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지지 레일(7)에 대한 유지 케이싱(2)의 장착 조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압접편부(22, 22)의 록 상태를 나타낸 지지 레일(7)과 유지 케이싱(2)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압접편부(22, 22)의 록 해제 상태를 나타낸 지지 레일(7)과 유지 케이싱(2)의 저면도이다
도 11은 변형 실시예에 관한 각종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21)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종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종래의 고정 금구(b)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기기를 유지하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유지 케이싱(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전기 기기는, 복수 개의 핀 단자(4)를 구비한 입출력 커넥터(3)와, 전후 2열로 병설된 단자대(5, 5)로 이루어지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이 프린트 기판(6) 상에 조립되어, 필요한 프린트 배선(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결선(結線)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프린트 기판(6)을 유지 케이싱(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 장착함으로써 전기 기기가 유지 케이싱(2)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 케이싱(2)에 유지되는 전기 기기로서는 입출력 커넥터(3)나 단자대(5, 5) 이외의 것이라도 된다.
한편, 전기 기기를 유지하는 유지 케이싱(2)을 장착하기 위한 지지 레일(7)은, 도 1의 (B),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을 따른 양 측벽(8, 8)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쌍의 걸어맞춤 에지(9a, 9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 레일(7)은, 바닥판부(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긴 구멍(11)에 삽통되는 비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반에 고정된다.
유지 케이싱(2)의 하저면(12)에는,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개방된 레일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 삽입홈(13)의 일측 에지(14a)의 양 단부에는, 유지 케이싱(2)의 하저면(12)에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고, 상기 지지 레일(7)의 한쪽의 걸어맞춤 에지(9a)가 삽통 가능한 삽통 간극(15)이 형성되게 하는 한쌍의 고정 걸림클릭(16, 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일 삽입홈(13)의 타측 에지(14b)의 중앙부에는, 도 3,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 걸림클릭(16, 16)에 폭 방향에 대향하고, 또한 유지 케이싱(2)의 하저면(12)에 상하 방향에서 대향하여 상기 지지 레일(7)의 다른 쪽의 걸어맞춤 에지(9b)가 삽통 가능한 삽통 간극(17)(도 8 참조)이 형성되게 하는 한쌍의 가동 걸림클릭(18, 18)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 걸림클릭(18, 18)은 후술하는 슬라이드 이동자(2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가동 걸림클릭(18, 18)의 하면에는 레일 삽입홈(13)의 내부 위쪽을 향해 경사지는 안내 경사면(19, 19)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 케이싱(2)의 하저면(12)의 중앙부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삽입홈(13)보다 상부에 위치시켜 수납홈(20)이 상기 레일 삽입홈(13)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납홈(20) 내에는,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 삽입홈(13)의 일측 에지(14a) 측에 위치시켜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21)는, 압접편부(22, 22)를 구비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레일 삽입홈(13)의 일측 에지(14a)를 따라 연장되는 판스프링의 양 단부를 리턴하여 한쌍의 압접편부(22, 22)가 설치되고, 상기 압접편부(22, 22)가 대칭을 이루는 상태로 레일 삽입홈(13) 내에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양 압접편부(22, 22)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레일(7)의 한쪽의 걸어맞춤 에지(9a)를 파여지게 하는 것이 가능한 대략 V자형의 커트인 홈(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커트인 홈(23, 23)은, 전술한 고정 걸림클릭(16, 16)의 삽통 간극(15, 15)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고정 걸림클릭(16, 16)에 지지 레일(7)의 한쪽의 걸어맞춤 에지(9a)가 걸어맞추어지면, 양 커트인 홈(23, 23) 내에 상기 걸어맞춤 에지(9a)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홈(20) 내에는, 직사각형의 슬라이드 이동자(24)가 레일 삽입홈(13)의 폭 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자(24)의 일단에는, 상기 압접편부(22, 22)를 레일 삽입홈(13)의 타측 에지(14b) 측으로부터 압압 가능한 압압단(26, 26)이 설치되는 한편, 슬라이드 이동자(24)의 타단에는, 상기 레일 삽입홈(13)의 타측 에지(14) 측에서 유지 케이싱(2)의 외측면(2a) 부분에 위치하는 조작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이동자(24)에는, 그 좌우 양측에 얇은 두께형 걸어맞춤 스텝 에지(28, 28)(도 6 참조)가 레일 삽입홈(13)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얇은 두께형 걸어맞춤 스텝 에지(28, 28)가 수납홈(20)의 개구 에지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지지편부(29)에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슬라이드 이동자(24)가 하방향으로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납홈(20)의 천정 벽면(20a)에는 2개의 걸림 스텝부(30a, 30b)(도 6 참조)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걸림 스텝부(30a, 30b)의 서로 대향하는 걸림면(31a, 31b)에, 슬라이드 이동자(24)에 설치된 암형 스토퍼편부(32a, 32b)가 각각 걸어맞추어져 있다(도 3 참조). 여기서, 슬라이드 이동자(24)는, 약간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합성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 이동자(24)가 진퇴 조작되어 상기 암형 스토퍼편부(32a, 32b) 중 어느 하나가 탄성 변형되면 그 탄성 복귀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자(24)가 이동 전의 상태 위치로 되돌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이동자(24)의 조작부(27)의 외측면은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27)에 대향하는 유지 케이싱(2)의 측벽부(2c)의 외측면(2b)에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전기 기기를 유지한 유지 케이싱(2)을 지지 레일(7)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레일(7)의 한쪽의 걸어맞춤 에지(9a)에 레일 삽입홈(13)의 고정 걸림클릭(16, 16)을 걸어맞추면, 이와 동시에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21)의 압접편부(22, 22)의 커트인 홈(23, 23) 내에 상기 걸어맞춤 에지(9a)가 삽입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유지 케이싱(2)을 아래쪽으로 회동시키면, 지지 레일(7)의 다른 쪽의 걸어맞춤 에지(9b)의 선단에 가동 걸림클릭(18, 18)의 안내 경사면(19, 19)이 맞닿고, 이 상태에서 유지 케이싱(2)을 아래쪽으로 가압하면, 상기 안내 경사면(19, 19)의 안내 작용을 통하여 가동 걸림클릭(18, 18)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레일 삽입홈(13) 내에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b)가 끼워져 삽입된다. 이 때, 가동 걸림클릭(18, 18)이 슬라이드 이동자(2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가동 걸림클릭(18, 18)과 함께 슬라이드 이동자(24)가 외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슬라이드 이동자(24)의 암형 스토퍼편부(32b)가 수납홈(20)의 걸림 스텝부(30b)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탄발력이 축적되는 상태로 되고, 가동 걸림클릭(18, 18)이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b)를 통과하면, 상기 암형 스토퍼편부(32b)의 탄발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자(24)가 끌려서 되돌려져 가동 걸림클릭(18, 18)이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b)의 하면에 걸어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유지 케이싱(2)의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유지 케이싱(2)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접편부(22, 22)의 커트인 홈(23, 23)에 삽입된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a)에 의해, 상기 압접편부(22, 22)가 레일 삽입홈(13)의 일측 에지(14a) 측으로 압압되어 탄발력이 생기고, 상기 탄발력에 의해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a)에 압접편부(22, 22)가 압접하는 록 상태로 된다. 이로써, 지지 레일(7)에 대한 유지 케이싱(2)의 장착과 동시에 상기 유지 케이싱(2)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어 지지 레일(7)에 대한 유지 케이싱(2)의 이동 규제를 종래와 같은 고정 금구를 사용하지 않고 극히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압접편부(22, 22)에 대략 V자형의 커트인 홈(23)(도 7 참조)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압접편부(22, 22)가 록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압접편부(22, 22)의 커트인 홈(23, 23)의 안쪽 단부에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a)가 파여진 상태로 되므로, 유지 케이싱(2)의 이동 규제를 견고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한쌍의 압접편부(22, 22)가 대칭을 이루는 상태로 레일 삽입홈(13) 내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유지 케이싱(2)에 지지 레일(7) 상을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좌우 어느 쪽의 방향으로 가해져도, 어느 한쪽의 압접편부(22)의 커트인 홈(23)의 안쪽 단부에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a)가 더욱 파여진 상태로 되므로, 유지 케이싱(2)의 이동 규제를 보다 확실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유지 케이싱(2)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유지 케이싱(2)의 장착 위치를 바꿀 필요가 생긴 경우에는, 슬라이드 이동자(24)의 조작부(27)를 손가락으로 압압 조작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21)의 압접편부(22, 22)가 슬라이드 이동자(24)의 압압단(26, 26)에 압압되어, 상기 압접편부(22, 22)가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a)로부터 이격되는 록 해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록 해제 상태를 유지한 채 유지 케이싱(2)을 지지 레일(7)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어, 원하는 위치에서 조작부(27)에 대한 압압 조작을 멈추면, 재차 압접편부(22, 22)가 그 탄성에 의해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a)에 압접하는 록 상태로 된다. 이로써, 장착한 후의 위치 이동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27)의 외측면과 상기 조작부(27)에 대향하는 유지 케이싱(2)의 측벽부(2c)의 외측면(2b)에 다수의 요철로 이루어지는 미끄럼방지부(33, 34)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유지 케이싱(2)의 슬라이드 이동에 있어서, 조작부(27)의 외측면과 측벽부(2c)의 외측면(2b)을 손가락으로 협지하면, 양 미끄럼방지부(33, 34)에 의해 손가락의 미끄럼방지 작용을 얻을 수 있으므로, 유지 케이싱(2)의 위치 이동 시에 우수한 조작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판스프링의 양 단부에 한쌍의 압접편부(22, 22)를 대칭형으로 설치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도 11의 (A)에 나타낸 변형 실시예와 같이, 레일 삽입홈(13) 내로 돌출하는 단일의 압접편부(22)를 설치하고, 상기 압접편부(22)에 대략 V자형의 커트인 홈(23)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11의 (B)에 나타낸 변형 실시예와 같이, 압접편부(22, 22)에 커트인 홈(23, 23)(도 7 참조)을 형성하지 않고, 압접편부(22, 22)의 탄발력만으로 압접편부(22, 22)를 지지 레일(7)의 걸어맞춤 에지(9a)에 압접시켜 유지 케이싱(2)의 위치 유지를 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커트인 홈(23, 23)(도 7 참조)을 구비한 것에 비하여 위치 유지력이 약간 저하될 뿐, 실용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이동 규제를 행하게 할 수 있다.
1: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2: 유지 케이싱
2b: 외측면
2c: 측벽부
3: 입출력 커넥터(전기 기기)
5: 단자대(전기 기기)
7: 지지 레일
8: 측벽
9a, 9b: 걸어맞춤 에지
13: 레일 삽입홈
14a: 일측 에지
14b: 타측 에지
16: 고정 걸림클릭(걸림클릭)
18: 가동 걸림클릭(걸림클릭)
21: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
22: 압접편부
23: 커트인 홈
24: 슬라이드 이동자
26: 압압단
27: 조작부
33, 34: 미끄럼방지부

Claims (5)

  1. 길이 방향을 따른 양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쌍의 걸어맞춤 에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지지 레일에, 전기 기기(機器)를 유지하는 유지 케이싱의 하저면(下低面)에 형성되어, 양측 에지에 대향하는 걸림클릭을 구비한 레일 삽입홈을 끼워장착함으로써, 상기 유지 케이싱을 지지 레일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하는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에 있어서,
    압접편부(壓接片部)를 구비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접편부가 레일 상기 삽입홈 내로 돌출하는 상태로 상기 레일 삽입홈의 일측 에지에 설치된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
    상기 레일 삽입홈의 폭 방향을 따라 진퇴(進退)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압접편부를 레일 삽입홈의 타측 에지측으로부터 압압(押壓) 가능한 압압단(押壓端)이 설치되고, 또한 타단에 상기 레일 삽입홈의 타측 에지측에서 유지 케이싱의 외측면 부분에 위치하는 조작부가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자(移動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압접편부는, 그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 레일의 한쪽의 걸어맞춤 에지에 압접시켜 상기 지지 레일에 대한 유지 케이싱의 이동을 규제하는 록(lock) 상태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압압 조작에 의해, 상기 압접편부가 슬라이드 이동자(移動子)의 압압단에 압압되어 상기 지지 레일의 걸어맞춤 에지로부터 이격(離隔)되는 록 해제 상태로 변환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의 압접편부에, 상기 지지 레일의 걸어맞춤 에지가 파여진 V자형의 절입 즉 커트인(cut-in) 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2. 길이 방향을 따른 양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한쌍의 걸어맞춤 에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지지 레일에, 전기 기기(機器)를 유지하는 유지 케이싱의 하저면(下低面)에 형성되어, 양측 에지에 대향하는 걸림클릭을 구비한 레일 삽입홈을 끼워장착함으로써, 상기 유지 케이싱을 지지 레일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장착하는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에 있어서,
    압접편부(壓接片部)를 구비한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압접편부가 레일 상기 삽입홈 내로 돌출하는 상태로 상기 레일 삽입홈의 일측 에지에 설치된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
    상기 레일 삽입홈의 폭 방향을 따라 진퇴(進退)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에 상기 압접편부를 레일 삽입홈의 타측 에지측으로부터 압압(押壓) 가능한 압압단(押壓端)이 설치되고, 또한 타단에 상기 레일 삽입홈의 타측 에지측에서 유지 케이싱의 외측면 부분에 위치하는 조작부가 설치된 슬라이드 이동자(移動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압접편부는, 그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 레일의 한쪽의 걸어맞춤 에지에 압접시켜 상기 지지 레일에 대한 유지 케이싱의 이동을 규제하는 록(lock) 상태와, 상기 조작부에 대한 압압 조작에 의해, 상기 압접편부가 슬라이드 이동자(移動子)의 압압단에 압압되어 상기 지지 레일의 걸어맞춤 에지로부터 이격(離隔)되는 록 해제 상태로 변환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일 삽입홈의 일측 에지를 따라 연장되는 판스프링의 양 단부에 한쌍의 압접편부가 설치되고, 상기 양 압접편부가 대칭을 이루는 상태로 레일 삽입홈 내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는,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어긋남 방지 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레일 삽입홈의 타측 에지에 형성되는 걸림클릭은, 상기 슬라이드 이동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10085209A 2010-09-06 2011-08-25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KR101775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99272 2010-09-06
JP2010199272A JP5530866B2 (ja) 2010-09-06 2010-09-06 電気機器の支持レール用取付け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458A KR20120024458A (ko) 2012-03-14
KR101775443B1 true KR101775443B1 (ko) 2017-09-06

Family

ID=46056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209A KR101775443B1 (ko) 2010-09-06 2011-08-25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530866B2 (ko)
KR (1) KR1017754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96Y1 (ko) * 2011-11-08 2013-07-09 삼원액트 주식회사 딘레일 장착장치
KR101430701B1 (ko) 2013-07-17 2014-08-14 이항복 단자대 전기 찬넬의 제조방법
KR102081693B1 (ko) * 2018-10-12 2020-02-27 주식회사 오토닉스 전자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8852A (ja) * 2004-09-02 2006-03-16 Idec Corp 電気機器のdinレール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6880U (ko) * 1986-01-30 1987-08-12
JPH0765882A (ja) * 1993-08-26 1995-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レール取付型電気機器
JP5134387B2 (ja) * 2007-11-12 2013-01-30 東洋技研株式会社 据付レール用固定金具
JP5043725B2 (ja) * 2008-03-14 2012-10-10 東洋技研株式会社 据付レール用固定金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8852A (ja) * 2004-09-02 2006-03-16 Idec Corp 電気機器のdinレール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59415A (ja) 2012-03-22
JP5530866B2 (ja) 2014-06-25
KR20120024458A (ko)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5598B2 (ja) クリップ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子機器
WO2016047251A1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759063B2 (ja) 電子機器の取付構造
KR101775443B1 (ko)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US8853543B2 (en) Fixing device for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9064577A (ja) コネクタ
US7513794B2 (en) Clamp/plug connector for through-wall connection having wedge-shaped attachment
TWM564840U (zh) 固定機構及其電路板裝置
US20080074018A1 (en) Mounting apparatus for data storage device
US7874852B2 (en) Cover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O2016208328A1 (ja) コネクタ、コネクタ搭載基板、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US9060426B2 (en) Securing mechanism
US7408789B2 (en) Mounting device for expansion card
US11152724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thereof
JP2007189102A (ja) Dinレール取付け構造
CN112188787B (zh) 适用于嵌入式轨道的夹持机构
JPH06236781A (ja) コネクタ装置
TWI554182B (zh) 握把組件與具有該握把組件的伺服器
US20230084855A1 (en) Electronic device and quick release mechanism
CN214625571U (zh) 连接结构及电子设备
CN114156704B (zh) 连接器固定结构及风扇固定框架
JP2009099459A (ja) コネクタ
CN110176737B (zh) 配线器具用安装框
JP2008099777A (ja) スライドレールの自動係止装置
CN117529003A (zh) 快拆机构以及具有前述快拆机构的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