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896Y1 - 딘레일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딘레일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896Y1
KR200467896Y1 KR2020110009868U KR20110009868U KR200467896Y1 KR 200467896 Y1 KR200467896 Y1 KR 200467896Y1 KR 2020110009868 U KR2020110009868 U KR 2020110009868U KR 20110009868 U KR20110009868 U KR 20110009868U KR 200467896 Y1 KR200467896 Y1 KR 2004678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n rail
coupling portion
base frame
line spr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929U (ko
Inventor
홍유경
Original Assignee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액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9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89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2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9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8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8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12Resilient or clamping means for holding component to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다양한 크기의 딘레일에 효율적으로 호환하여 적용하도록, 본 고안은 전자부품이 장착되며, 딘레일의 양측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삽입테두리가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되, 상기 딘레일의 상측 테두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탄발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라인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결합부; 및 상기 상부결합부의 하단과 맞닿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선택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탄발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라인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딘레일의 하측 테두리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홈이 형성된 걸림쇠가 단부에 구비된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는 딘레일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딘레일 장착장치{apparatus for mounting din rail}
본 고안은 딘레일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세부적으로는 다양한 크기의 딘레일에 호환하여 적용하도록 효율적으로 개선된 딘레일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딘레일은 긴 길이로 이루어지는 앵글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고 좌우에 플랜지가 벌어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바닥에는 많은 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의 딘레일(DIN rail)은 소정의 장치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는데, 이 딘레일에는 각종 전기전자 부품들이 장착된다.
도 1은 종래의 딘레일 장착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딘레일 장착장치는 딘레일(1)의 양측면이 삽입되는 베이스프레임(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의 일측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부(5)와, 상기 슬라이딩부(5)의 하단면에 대향되는 베이스프레임(2) 테두리에 고정되어 탄발적으로 변형가능한 금속재질의 걸림쇠(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딘레일(1)의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부(5)의 상단측 후크(5a)에 끼움 결합되며, 그 타측은 상기 걸림쇠(3)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원상태에서는 딘레일(1)의 일측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크(5a)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걸림쇠(3)의 고정홈(3a)에 삽입 및 가압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작업자가 한 손으로 상기 슬라이딩부(5)를 가압하면 그 단부가 상기 걸림쇠(3)를 밀어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딘레일(3)의 타측과 고정홈(3a) 간의 결합상태를 해제한다. 이때, 작업자가 다른 손으로 상기 딘레일(1)을 기준으로 장착장치의 베이스프레임(2)을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딘레일 장착장치는 상기 걸림쇠(3)가 베이스프레임의 테두리에 고정 배치되므로 상기 슬라이딩부(5)의 가압량에 따른 이동변위가 제한적이었다. 즉, 상기 걸림쇠가 안정적으로 딘레일에 고정되는 기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걸림쇠의 탄성변형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쇠의 길이를 길게하면 작업자의 가압변위가 증대될 수 있으나 상기 걸림쇠가 탄성변형이 아닌 소성변형되어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고 손상되어 더이상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딘레일의 폭이 변화되는 경우 종래의 딘레일 장착장치는 호환하여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부피 및 부품수가 현저히 증대되어 경제성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51202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의 딘레일에 호환하여 적용하도록 효율적으로 개선된 딘레일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자부품이 장착되며, 딘레일의 양측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삽입테두리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되, 상기 딘레일의 상측 테두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탄발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라인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결합부; 및 상기 상부결합부의 하단과 맞닿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탄발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라인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딘레일의 하측 테두리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홈이 형성된 걸림쇠가 단부에 구비된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홈의 테두리에는 상기 상부결합부 및 상기 하부결합부의 테두리를 구속하도록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되는 딘레일 장착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라인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스프링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결합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2라인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스프링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하부결합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결합부 및 상기 하부결합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상호 분할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라인스프링 및 상기 제2라인스프링은 작업자의 가압력에 의해 탄발변형이 되도록 상기 상부결합부 및 상기 하부결합부로부터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더욱이, 상기 상부결합부에는 상기 딘레일의 상측 테두리가 결합되도록 후크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딘레일 장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제1라인스프링과 제2라인스프링은 컴팩트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상하 탄성변위량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딘레일 안내홈을 상하 여유폭을 두도록 형성한다면 상기 딘레일의 상하폭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딘레일 장착장치를 호환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부품 내지 부피를 요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이다.
둘째, 상기 상부결합부 및 하부결합부에 각각 연장형성된 상기 제1라인스프링과 제2라인스프링는 상호 조합하여 비교적 큰 탄발복원력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그 탄성변위량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큰 탄성변위량은 딘레일의 상하폭이 상대적으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경우에도 호환 적용될 수 있는 여유폭으로 기능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상부결합부와 하부결합부가 상호 분리되어 구비되어 어느 하나만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탄발복원력이 적게 작용되므로, 상기 상부결합부만을 용이하게 상측으로 밀어올리면 후크가 상기 딘레일 상측 테두리를 덮은 상태가 해제되어 작업자가 손가락 등으로 상기 딘레일 상측 테두리를 취부하여 들어올리면 간편하게 상기 딘레일과 딘레일 장착장치가 상호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딘레일 장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딘레일 장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딘레일 장착장치의 딘레일 고정상태를 나타낸 일부투영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딘레일 장착장치의 딘레일 해제상태를 나타낸 일부투영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딘레일 장착장치에서 딘레일 분리구조를 나타낸 일부투영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딘레일 장착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딘레일 장착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딘레일 장착장치의 딘레일 고정상태를 나타낸 일부투영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딘레일 장착장치(10)는 베이스 프레임(20), 상부결합부(51), 그리고 하부 결합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전방측에는 전자부품이 장착되며, 후면부에는 딘레일(1)의 양측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삽입테두리(20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측 삽입테두리에는 딘레일(11)의 테두리가 삽입되어 구속되는 걸턱(20b)이 소정간격마다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결합부(51) 및 상기 하부결합부(55)가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홈(21)의 양측 테두리에는 상기 상부결합부(51) 및 상기 하부결합부(55)의 양측 테두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속하도록 단차진 단차부(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슬라이딩홈(21)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상부결합부(51) 및 하부결합부(55)의 상면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삽입테두리 내측에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바닥면과 높이가 일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상부결합부(5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홈(21)을 따라 선택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된다. 이때, 상기 상부결합부(51)의 상단부에는 상기 딘레일(1)의 상측 테두리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연결되며, 상기 상부결합부(51)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탄발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라인스프링(52)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결합부(55)는 그 상단이 상기 상부결합부(51)의 하단과 맞닿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슬라이딩홈(21)에 선택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삽입된다. 이때, 상기 하부결합부(55)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탄발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라인스프링(56)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결합부(55)의 하단부에는 상기 딘레일(1)의 하측 테두리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홈(30a)이 형성된 걸림쇠(3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부결합부(51) 및 상기 하부결합부(55)는 합성수지 재질로 상호 분할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라인스프링(52) 및 상기 제2라인스프링(56)은 작업자의 가압력에 의해 탄발변형이 되도록 상기 상부결합부(51) 및 상기 하부결합부(55)로부터 소정길이 이상 연장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연장된 형상은 직선형 내지 곡선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라인스프링(52)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의 슬라이딩홈(21)에 형성된 스프링결합홈(25)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결합부(51)에 일체로 연장되어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결합부(51)의 내측에는 중공부(51a)가 형성되며, 상기 제1라인스프링(52)은 상기 중공부(51a)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라인스프링(56)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0)에 형성된 스프링결합홈(25)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하부결합부(55)에 일체로 연장되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결합부(55)의 내측에는 중공부(55a)가 형성되며, 상기 제2라인스프링(56)은 상기 중공부(55a)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연장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라인스프링(52) 및 상기 제2라인스프링(56)의 단부(52a,56a)에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결합홈(25)에 삽입되어 구속되는 고정돌기(미도시)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딘레일 장착장치(10)에서 상기 분할된 상부결합부(51) 및 하부결합부(55)는 별도의 스토퍼 없이도 상기 스프링결합홈(25)에 삽입된 각 라인스프링(52,56)에 의해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라인스프링(52)과 제2라인스프링(56)은 컴팩트하고 단순한 구조로서 상하 탄성변위량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삽입테두리(20a) 상하간격을 여유폭을 두도록 형성한다면 상기 딘레일(1)의 상하폭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딘레일 장착장치(10)를 호환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결합부(51) 및 하부결합부(55)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 베이스 프레임의 삽입테두리(20a) 내측에 삽입된 딘레일(1)의 상측 테두리가 상기 상부결합부(51)의 후크(53) 내측에 위치되고, 그의 하측 테두리는 상기 하부결합부(55)의 걸림쇠(30)의 구속홈(도 2의 30a)에 삽입되어 좌우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즉, 상기 구속홈(30a)의 형상은 'V'자 내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딘레일(1) 하측 테두리가 상기 구속홈(30a) 내측에 물리면 꽉끼움 결합되므로 상기 딘레일 장착장치 베이스프레임(20)의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딘레일 장착장치의 딘레일 해제상태를 나타낸 일부투영 평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한 손으로 외력을 가하여 상기 상부결합부(51) 상단의 취부면을 하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제1라인스프링(52) 및 제2라인스프링(56)이 탄발변형되면서 상기 상부결합부(51) 및 하부결합부(55)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걸림쇠(30)의 구속홈(도 2의 30a)으로부터 상기 딘레일(1)의 하측 테두리(1a)가 이탈되어 구속상태가 해제된다. 즉, 상기 구속홈(30a)의 형상은 'V'자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홈(30a)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딘레일 하측 테두리(1a)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작업자가 다른 손으로 상기 딘레일(1)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베이스프레임(20)를 이동시켜 간편하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작업자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제1라인스프링(52) 및 제2라인스프링(56)의 탄발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부결합부(51) 및 하부결합부(55)가 상향 이동되고, 상기 딘레일(1)의 하측 테두리가 걸림쇠(30)의 구속홈(30a)에 삽입되어 다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결합부(51)에는 상기 딘레일(1)의 상측 테두리를 덮어서 결합되는 후크(53)가 형성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후크(53)에 의해 상기 딘레일(1)이 이탈되지 않고 딘레일 장착장치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딘레일 장착장치에서 딘레일 분리구조를 나타낸 일부투영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상부결합부(51)에만 상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상기 제1라인스프링(52)이 탄발변형되면서 상기 상부결합부(51)가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후크(53)가 상기 딘레일(1) 상측 테두리를 덮은 상태가 해제되어 작업자가 상기 베이스프레임(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들어올리면 간편하게 상기 딘레일(1)로부터 딘레일 장착장치의 베이스프레임(20)을 분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 딘레일 20: 베이스프레임
21: 슬라이딩홈 25: 스프링결합홈
30: 걸림쇠 30a: 구속홈
51: 상부결합부 52: 제1라인스프링
53: 후크 55: 하부결합부
56: 제2라인스프링

Claims (5)

  1. 전자부품이 장착되며, 딘레일의 양측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삽입테두리가 형성되고, 일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홈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되, 상기 딘레일의 상측 테두리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탄발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라인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된 상부결합부; 및
    상기 상부결합부의 하단과 맞닿도록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탄발적으로 연결되도록 제2라인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딘레일의 하측 테두리를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홈이 형성된 걸림쇠가 단부에 구비된 하부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홈의 테두리에는 상기 상부결합부 및 상기 하부결합부의 테두리를 구속하도록 단차진 단차부가 형성되는 딘레일 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스프링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상부결합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2라인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형성된 스프링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하부결합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딘레일 장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부 및 상기 하부결합부는 합성수지 재질로 상호 분할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라인스프링 및 상기 제2라인스프링은 작업자의 가압력에 의해 탄발변형이 되도록 상기 상부결합부 및 상기 하부결합부로부터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딘레일 장착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결합부에는 상기 딘레일의 상측 테두리가 결합되도록 후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딘레일 장착장치.
KR2020110009868U 2011-11-08 2011-11-08 딘레일 장착장치 KR2004678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68U KR200467896Y1 (ko) 2011-11-08 2011-11-08 딘레일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868U KR200467896Y1 (ko) 2011-11-08 2011-11-08 딘레일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29U KR20130002929U (ko) 2013-05-16
KR200467896Y1 true KR200467896Y1 (ko) 2013-07-09

Family

ID=5139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868U KR200467896Y1 (ko) 2011-11-08 2011-11-08 딘레일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8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755A (ko)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파워캅 딘레일에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장치
KR20230071421A (ko) 2021-11-16 2023-05-23 엘에스일렉트릭(주) 딘레일 장착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807A (ja) * 1993-02-03 1994-08-19 Omron Corp ビルディングブロック構造の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用ユニットのスライダロック装置
JPH11233970A (ja) * 1998-02-12 1999-08-27 Omron Corp レール取付け型機器
JP2003298252A (ja) 2002-04-02 2003-10-17 Rkc Instrument Inc 電子機器の取付構造
KR20120024458A (ko) * 2010-09-06 2012-03-14 도요기켄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0807A (ja) * 1993-02-03 1994-08-19 Omron Corp ビルディングブロック構造の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用ユニットのスライダロック装置
JPH11233970A (ja) * 1998-02-12 1999-08-27 Omron Corp レール取付け型機器
JP2003298252A (ja) 2002-04-02 2003-10-17 Rkc Instrument Inc 電子機器の取付構造
KR20120024458A (ko) * 2010-09-06 2012-03-14 도요기켄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기기의 지지 레일용 장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755A (ko) 2019-01-15 2020-07-23 주식회사 파워캅 딘레일에 탈부착이 용이한 고정장치
KR20230071421A (ko) 2021-11-16 2023-05-23 엘에스일렉트릭(주) 딘레일 장착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29U (ko) 201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8057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0467896Y1 (ko) 딘레일 장착장치
KR20120006362U (ko) 차양 어셈블리를 위한 당김 바 장치
JPS6345201B2 (ko)
TWM464867U (zh) 卡連接器
KR102463527B1 (ko) 차량 번호판 체결장치
CN203932484U (zh) 终端上的卡座结构
JP6571390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ブレーキ装置
KR101174826B1 (ko) 파티션 연결구
WO2020162107A1 (ja) ユニット取付構造および電子機器
CN204603009U (zh) 一种冲孔模具及其斜楔机构
CN115891787A (zh) 儿童安全座椅及其可调式头靠
US20110277607A1 (en) Counterholder device for an apparatus for removing knockout parts from a workpiece sheet or the like, and apparatus having a counterholder device
CN206122463U (zh) 水平侧冲组件
US20150136436A1 (en) Secur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Case Comprising the Same
CN110770493A (zh) 托件
JP2016120223A (ja) スライドレールのブレーキ装置
JP2007189102A (ja) Dinレール取付け構造
TW201427616A (zh) 皮帶調整器
CN103692455B (zh) 一种美工刀
CN214625571U (zh) 连接结构及电子设备
KR200467918Y1 (ko) 착탈이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바퀴
CN103904481B (zh) 单手按压式插排
CN102573377B (zh) 电子设备及其电器模组内置支架
KR102282740B1 (ko) 전자기기 하드디스크 마운팅용 트레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