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928B1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928B1
KR101774928B1 KR1020167004979A KR20167004979A KR101774928B1 KR 101774928 B1 KR101774928 B1 KR 101774928B1 KR 1020167004979 A KR1020167004979 A KR 1020167004979A KR 20167004979 A KR20167004979 A KR 20167004979A KR 101774928 B1 KR101774928 B1 KR 101774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s
wirings
wiring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023A (ko
Inventor
유키 이시다
유스케 나카타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160050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96Conductive pattern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sub groups H05K1/02 - H05K1/0295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1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 H05K1/112Pads for surface mounting, e.g. lay-out directly combined with via connections
    • H05K1/113Via provided in pad; Pad over filled v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63Holes or slots in insulating substrate not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372Pads and lands
    • H05K2201/09481Via in pad; Pad over filled v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5Conductive through-holes or vias
    • H05K2201/09563Metal filled v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78Flat pressure, e.g. for connecting terminals with 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 Combinations Of Printed Boards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0)은 열압착에 의해 다른 전자 부품(예를 들면, 액정 패널)(10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서, 가요성 기판(1)과, 이 가요성 기판(1)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다른 전자 부품(101)과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3a-3h)를 갖는 단자부(3)와, 가요성 기판(1)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4a-4h)을 갖는 배선부(4)와, 단자부(3)의 다른 전자 부품과의 압착 접속 영역 내에서 가요성 기판(1)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된, 단자부(3)의 각 접속 단자(3a-3h)와 배선부(4)의 각 배선(4a-4h)을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관통 배선(5a-5h)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LEXIBLE PRINTED BOARD}
이 발명은 열압착에 의해 다른 전자 부품과 접속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나 COF와 액정 패널을 접속한 구조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가 알려져 있다. 이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 패널과 드레인 기판이, 드레인 기판의 한 변을 따른 드레인 기판의 외형 틀 내에서의 압착 단자부에서, 액정 패널 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등과 ACF 등의 이방(異方) 도전성 재료를 통해 압착 접속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액정 패널 측에서의 액정 패널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속은, 예를 들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로 실시되고 있다. 도 8은 종래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10)은 가요성(可撓性) 기판(111)의 한쪽 면에 형성된 앞쪽 배선(114)과 다른 쪽 면에 형성된 뒤쪽 배선(115)을 구비하고, 이들 각 배선(114, 115) 상에는 접착제(112)를 통해 커버 레이(113)가 마련되어 있다.
액정 패널(101)의 패널 외형 틀 내에 마련된 패널 단자(102)와의 압착 접속 부분에서는, 앞쪽 배선(114) 측의 접착제(112) 및 커버 레이(113)가 제거되어, 접속 단자(116)가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속 단자(116)와 패널 단자(102)는 이방 도전성 재료(119)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뒤쪽 배선(115)과 접속 단자(116)는 압착 접속되는 영역 외의 패널 외형 틀 밖에 마련된 관통 배선(117)에 의해 접속 단자(116), 가요성 기판(111) 및 뒤쪽 배선(115)을 관통하는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2-226058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 기술의 표시 장치에서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나, 상술한 일반적인 접속 구조에 이용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접속 단자의 이방 도전성 재료 측과는 반대 측에, 접속 단자보다 상당히 부드러운 재료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기판이나 접착제, 커버 레이 등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 접속 시에 압착 접속 부분에 필요한 소정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고 접속 불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 결과적으로 접속 신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도 있다.
이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열압착에 의해 다른 전자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서, 가요성 기판과, 이 가요성 기판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른 전자 부품과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갖는 단자부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을 갖는 배선부와, 상기 단자부의 상기 다른 전자 부품과의 압착 접속 영역 내에서 상기 가요성 기판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된, 상기 단자부의 각 접속 단자와 상기 배선부의 각 배선을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관통 배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의하면, 단자부와 배선부가 단자부의 영역 내에서 각 접속 단자와 각 배선을 각각 접속하는 관통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므로, 단자부의 반대 측에 비교적 단단한 배선부가 배치되어 압착 접속 시에 압착 접속 부분에 필요한 소정의 압력을 가할 수 있어,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배선부는 상기 복수의 배선이 상기 단자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배선부는 상기 각 배선이 상기 각 접속 단자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자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가요성 기판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봤을 때 인접 설치된 각 접속 단자 간에 배치되어 있는 배선의 수가 거의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배선부를 다른 전자 부품의 외형 틀 내에 배치할 수 있으며, 전체 사이즈를 작게 하여 배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의 반대 측에 비교적 단단한 배선부가 균일하게 배치되므로, 열압착 시에 필요한 소정의 압력을 균등하게 단자부에 가할 수 있어, 접속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여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배선부는 상기 단자부의 각 접속 단자의 인접 설치방향을 따라 상기 단자부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배선부는 상기 각 배선이 상기 각 접속 단자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다른 전자 부품과 이방 도전성 재료를 통해 접속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배선부는 상기 복수 배선의 일부에 더미 배선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발명의 제2~제4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압착 접속 영역의 측정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하, "FPC"라고 부른다.)(10)은, 예를 들면 열압착에 의해 다른 전자 부품인 액정 패널(이하, "LCD"라고 부른다.)(10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FPC(10)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등의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가요성 기판(1)과, 이 가요성 기판(1)의 한쪽 면(앞면)(1a)에 형성되어 LCD(101)와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3a, 3b, 3c, 3d, 3e, 3f, 3g, 3h)를 갖는 단자부(3)를 구비한다.
또한 FPC(10)는 가요성 기판(1)의 다른 쪽 면(뒷면)(1b)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4a, 4b, 4c, 4d, 4e, 4f, 4g, 4h)을 갖는 배선부(4)와, 단자부(3)의 영역 내에서 가요성 기판(1)을 관통하여 단자부(3)의 각 접속 단자(3a~3h)와 배선부(4)의 각 배선(4a~4h)을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관통 배선인 필드ㆍ스루홀(이하, "F-TH"라고 부른다.)(5a, 5b, 5c, 5d, 5e, 5f, 5g, 5h)을 구비한다.
또한 배선부(4)의 단자부(3) 측과는 반대 측의 단부에는, 다른 기판이나 부품 등으로서의 LCD(101)의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마련된 커넥터 단자와 접속되는 커넥터부(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FPC(10)는 LCD(101)와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FPC(10)는 가요성 기판(1)의 앞뒷면(1a, 1b) 상에, 접착제(2)를 통해 피복된 상기와 같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커버 레이(7)를 구비한다. 접착제(2) 및 커버 레이(7)는 가요성 기판(1)의 앞면(1a) 측의 단자부(3)의 영역에서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각 접속 단자(3a~3h)가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FPC(10)의 단자부(3) 및 배선부(4)는, 예를 들면 스패터나 증착 등에 의해 가요성 기판(1)의 앞면(1a) 및 뒷면(1b)에 형성된 니켈, 크롬, 구리 등의 도체로 이루어진다. F-TH(5a~5h)는,0 예를 들면 YAG 레이저에 의해 φ25㎛ 정도의 관통 구멍을 단자부(3)의 각 접속 단자(3a~3h)로부터 가요성 기판(1)을 통해 각 배선(4a~4h)을 관통하도록 형성한 후, 예를 들면 세미 애디티브법(semi additive process)에 의한 도금 처리를 실시하여 관통 구멍을 메움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단자부(3) 및 배선부(4)의 각 접속 단자(3a~3h) 및 각 배선(4a~4h)의 두께는 각각 12㎛ 정도이며, 각 접속 단자(3a~3h)는 직사각형 스트립(rectangular strip)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폭방향(FPC(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병렬 설치되어 있다. 각 접속 단자(3a~3h)는, 그 폭 및 단자 간의 간격이 각각 8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 단자(3a~3h)는 LCD(101)의 내측 영역(LCD(101)의 외형 틀 내)에 마련된 LCD 단자부(102)의 각 LCD 단자(102a, 102b, 102c, 102d, 102e, 102f, 102g, 102h)와 열압착 시에 각각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접속 단자(3a~3h)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이방 도전성 페이스트(ACP) 또는 이방 도전성 필름(ACF)으로 이루어지는 이방 도전성 재료(119)를 통해, 열압착에 의해 각 LCD 단자(102a~102h)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접속 단자(3a~3h) 및 각 LCD 단자(102a~102h)는, 이방 도전성 재료(119)를 통하지 않고 열압착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각 배선(4a~4h)은, 주로 FPC(10)의 길이방향(각 접속 단자(3a~3h)의 폭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연장되어, 각 접속 단자(3a~3h)의 길이방향으로 병렬 설치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각 배선(4a~4h)은, 커넥터부(6)의 근방 부분에서는 각각 커넥터부(6)를 향하여 90°꺾여 평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배선부(4)의 각 배선(4a~4h)은, 단자부(3)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각 접속 단자(3a~3h)와 FPC(10)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봤을 때 직교하는 상태로 형성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인접 설치된 각 접속 단자(3a~3h) 간에 배치되어 있는 배선(4a~4h)의 수가 거의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배선부(4)는 상기 대응하는 영역에서, 접속 단자(3a, 3b) 간, 접속 단자(3b, 3c) 간, 접속 단자(3c, 3d) 간, 접속 단자(3d, 3e) 간, 접속 단자(3e, 3f) 간, 접속 단자(3f, 3g) 간, 및 접속 단자(3g, 3h) 간에, 각각 동일한 수인 8개의 배선(4a~4h)이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F-TH(5a~5h)는 단자부(3)의 영역 내에서, 각 접속 단자(3a~3h)의 병렬 설치방향 및 각 배선(4a~4h)의 병렬 설치방향을 따라, 각각 다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F-TH(5a)가 접속 단자(3a)의 기단 측(LCD 단자(102a)의 선단 측)에 형성되며, F-TH(5h)가 접속 단자(3h)의 선단 측(LCD 단자(102h)의 기단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들 F-TH(5a, 5h)를 평면 상에서 연결하는 직선형상의 위치 또는 직선의 근방 위치에 다른 F-TH(5b~5g)가 형성되어 있다. 즉, F-TH(5a~5h)는 이들 위치를 선으로 연결한 상태가 사선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른 FPC(10)는 단자부(3), 배선부(4) 및 F-TH(5a~5h)가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FPC(10)의 커넥터부(6)를 제외한 대부분의 부분이 LCD(101)의 외형 틀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FPC와 비교하면, 전체 사이즈를 작게 하여 배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LCD 단자부(102)와 단자부(3)의 접속 영역 전체에 소정의 압력을 균일하게 가하여 열압착할 수 있으므로, 각 LCD 단자(102a~102h)와 각 접속 단자(3a~3h) 간의 이방 도전성 재료(119)의 도전 입자를 확실하게 이들과 접촉시킬 수 있어, 접속 불량을 억제하여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a), (b), (c)는 각각 F-TH(5a~5h)의 형성 위치가 다른 것이다. 도 3(a)는 F-TH(5a~5h)의 형성 위치가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며, 도 3(b)는 F-TH(5a~5h)의 형성 위치가 이들 위치를 선으로 연결한 상태가 FPC(10)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봤을 때 "ㄴ"자 형상, 도 3(c)는 F-TH(5a~5h)의 형성 위치가 랜덤으로 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후에서는, 이미 설명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FPC(10)는, 주로 배선부(4)가 각 배선(4a~4h)의 일부에 더미 배선(4a'~4h')을 갖는 점이 제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더미 배선(4a'~4h')은 단자부(3)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각 배선(4a~4h)과 동축에서 마찬가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각 접속 단자(3a~3h)나 각 배선(4a~4h)은 접속되어 있지 않고, 회로적으로 미접속한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는 배선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FPC(10)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것과 비교하면, 예를 들면 도 3(a)에 나타내는 압착 접속 영역(PA)에서 모든 배선(4a~4h)이 각 접속 단자(3a~3h) 간에 각각 거의 동일한 수로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더미 배선(4a'~4h')을 포함하여 거의 동일한 수로 배치되므로, 고주파 특성이 양호하며 내 노이즈성을 향상시키면서, 열압착 시에는 소정의 압력을 균등하게 가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각 더미 배선(4a'~4h')은, 각 더미 배선(4a'~4h')의 각 배선(4a~4h) 측 단면과, 각 배선(4a~4h)이 F-TH(5a~5h)를 통해 접속된 각 접속 단자(3a~3h)의 각 더미 배선(4a'~4h') 측쪽 단면 사이의 수평방향의 갭이, 신호 노이즈 대책을 위해 5㎛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더미 배선(4a'~4h')은, 상술한 갭이 접속 단자(3a~3h)의 가요성 기판(1)을 통해 아래쪽으로 배치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부(4)의 각 배선(4a~4h)은 단자부(3)의 각 접속 단자(3a~3h)의 인접 설치방향을 따라 단자부(3)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한 쪽(접속 단자(3h)의 접속 단자(3g) 측과는 반대 측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배선(4a~4h), 각 더미 배선(4a'~4h'), F-TH(5a~5h) 및 각 접속 단자(3a~3h)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3(a)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4a)은 접속 단자(3h, 3g, 3f, 3e, 3d, 3c, 3b)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a)의 아래쪽에서, F-TH(5a)를 통해 접속 단자(3a)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a')은 접속 단자(3a)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a)을 따라 어느 접속 단자의 아래쪽도 통과하지 않고 FPC(10)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b, 4c, …, 4h)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h~3c, 3h~3d, …, 3h)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b, 3c, …, 3h)의 아래쪽에서, F-TH(5b, 5c, …, 5h)를 통해 접속 단자(3b, 3c, …, 3h)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b', 4c', …, 4h')은, 각각 접속 단자(3b, 3c, …, 3h)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b, 4c, …, 4h)을 따라 접속 단자(3a), 3b, …, 3g)의 아래쪽을 통해 FPC(10)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b)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4a)은 접속 단자(3h)의 아래쪽에서, F-TH(5h)를 통해 접속 단자(3h)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a')은 접속 단자(3h)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a)을 따라 접속 단자(3g~3a)의 아래쪽을 통해 FPC(10)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b, 4c, …, 4h)은, 각각 접속 단자(3h~3g, 3h~3e, 3h~3c, 3h~3b, 3h~3d, 3h~3f, 3h)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f, 3d, 3b, 3a, 3c, 3e, 3g)의 아래쪽에서, F-TH(5f, 5d, 5b, 5a, 5c, 5e, 5g)를 통해 접속 단자(3f, 3d, 3b, 3a, 3c, 3e, 3g)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b', 4c', …, 4h')은 더미 배선(4e')을 제외하고, 각각 접속 단자(3f, 3d, 3b, 3c, 3e, 3g)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b, 4c, …, 4h)을 따라 접속 단자(3e~3a, 3c~3a, 3a, 3b~3a, 3d~3a, 3f~3a)의 아래쪽을 통해 FPC(10)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미 배선(4e')은 접속 단자(3a)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e)을 따라 어느 접속 단자의 아래쪽도 통과하지 않고 FPC(10)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F-TH(5a~5h)는 이들 위치를 선으로 연결한 상태가 FPC(10)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봤을 때 "ㄴ"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c)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4a)은 접속 단자(3h)의 아래쪽에서, F-TH(5h)를 통해 접속 단자(3h)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a')은 접속 단자(3h)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a)을 따라 접속 단자(3g~3a)의 아래쪽을 통해 FPC(10)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b, 4c, …, 4h)은, 각각 접속 단자(3h~3b, 3h~3g, 3h~3d, 3h~3f, 3h~3e, 3h, 3h~3c)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a, 3f, 3c, 3e, 3d, 3g, 3b)의 아래쪽에서, F-TH(5a, 5f, 5c, 5e, 5d, 5g, 5b)를 통해 접속 단자(3a, 3f, 3c, 3e, 3d, 3g, 3b)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b', 4c', …, 4h')은 더미 배선(4b')을 제외하고, 접속 단자(3f, 3c, 3e, 3d, 3g, 3b)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c, 4d, …, 4h)을 따라 접속 단자(3e~3a, 3b~3a, 3d~3a, 3c~3a, 3f~3a, 3a)의 아래쪽을 통해 FPC(10)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미 배선(4b')은 접속 단자(3a)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b)을 따라 어느 접속 단자의 아래쪽도 통과하지 않고 FPC(10)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F-TH(5a~5h)는 랜덤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a), (b), (c)는 각각 F-TH(5a~5h)의 형성 위치가 다른 것이고, 도 4(a)~(c)에서의 F-TH(5a~5h)의 형성 위치는 도 3(a)~(c)에서의 것과 대응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FPC(10)는, 각 배선(4a~4h) 및 각 더미 배선(4a'~4h')을 갖는 점은 제2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지만, 도 4(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부(4)의 각 배선(4a~4h)이, 단자부(3)의 각 접속 단자(3a~3h)의 인접 설치방향을 따라 단자부(3)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먼저, 도 4(a)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4a)은 접속 단자(3h)의 접속 단자(3g) 측과는 반대 측쪽으로 연장됨과 함께, 접속 단자(3h~3b)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a)의 아래쪽에서, F-TH(5a)를 통해 접속 단자(3a)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a')은 접속 단자(3a)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a)을 따라 어느 접속 단자의 아래쪽도 통과하지 않고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c, 4e, 4g)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h~3d, 3h~3f, 3h)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c, 3e, 3g)의 아래쪽에서, F-TH(5c, 5e, 5g)를 통해 접속 단자(3c, 3e, 3g)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c', 4e', 4g')은, 각각 접속 단자(3c, 3e, 3g)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c, 4e, 4g)을 따라 접속 단자(3b~3a, 3d~3a, 3f~3a)의 아래쪽을 통해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선(4b)은 접속 단자(3a)의 접속 단자(3b) 측과는 반대 측쪽으로 연장됨과 함께, 접속 단자(3a)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b)의 아래쪽에서, F-TH(5b)를 통해 접속 단자(3b)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b')은 접속 단자(3b)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b)을 따라 접속 단자(3c~3h)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h)를 지나간 주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d, 4f, 4h)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a~3c, 3a~3e, 3a~3g)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d, 3f, 3h)의 아래쪽에서, F-TH(5d, 5f, 5h)를 통해 접속 단자(3d, 3f, 3h)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d', 4f', 4h)'은 더미 배선(4h')을 제외하고, 각각 접속 단자(3d, 3f)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d, 4f)을 따라 접속 단자(3e~3h, 3g~3h)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h)를 지나간 주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미 배선(4h')은 접속 단자(3h)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h)을 따라 어느 접속 단자의 아래쪽도 통과하지 않고 더미 배선(4b', 4d', 4f')의 단면과 동일한 정도의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b)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4(b)에서 배선(4a, 4c, 4e, 4g)이 연장되는 방향과, 배선(4b, 4d, 4f, 4h)이 연장되는 방향은 도 4(a)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4a)은 접속 단자(3h)의 아래쪽에서 F-TH(5h)를 통해 접속 단자(3h)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a')은, 접속 단자(3h)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a)을 따라 접속 단자(3g~3a)의 아래쪽을 통해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c, 4e, 4g)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h~3e, 3h~3b, 3h~3f)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d, 3a, 3e)의 아래쪽에서, F-TH(5d, 5a, 5e)를 통해 접속 단자(3d, 3a, 3e)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c', 4e', 4g')은 더미 배선(4e')을 제외하고, 각각 접속 단자(3d, 3e)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c, 4g)을 따라 접속 단자(3c~3a, 3d~3a)의 아래쪽을 통해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미 배선(4e')은, 접속 단자(3a)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e)을 따라 어느 접속 단자의 아래쪽도 통과하지 않고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선(4b)은 접속 단자(3a~3e)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f)의 아래쪽에서, F-TH(5f)를 통해 접속 단자(3f)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b')은 접속 단자(3f)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b)을 따라 접속 단자(3g)~3h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h)를 지나간 주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d, 4f, 4h)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a, 3a~3b, 3a~3f)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b, 3c, 3g)의 아래쪽에서, F-TH(5b, 5c, 5g)를 통해 접속 단자(3b, 3c, 3g)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d', 4f', 4h)'은 접속 단자(3b, 3c, 3g)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d, 4f, 4h을 따라 접속 단자(3c~3h, 3d~3h, 3h)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h)를 지나간 주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c)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4a)은 접속 단자(3a)의 접속 단자(3b) 측과는 반대 측쪽으로 연장됨과 함께, 접속 단자(3a)~3g)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h)의 아래쪽에서, F-TH(5h)를 통해 접속 단자(3h)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a')은 접속 단자(3h)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a)을 따라 어느 접속 단자의 아래쪽도 통과하지 않고 접속 단자(3h)를 지나간 주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c, 4e, 4g)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a~3e, 3a~3d, 3a~3f)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f, 3e, 3g)의 아래쪽에서, F-TH(5f, 5e, 5g)를 통해 접속 단자(3f, 3e, 3g)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c', 4e', 4g')은, 각각 접속 단자(3f, 3e, 3g)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c, 4e, 4g)을 따라 접속 단자(3g~3h, 3f~3h, 3h)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h)를 지나간 주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선(4b)은 접속 단자(3h)의 접속 단자(3g) 측과는 반대 측쪽으로 연장됨과 함께, 접속 단자(3h~3b)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a)의 아래쪽에서, F-TH(5a)를 통해 접속 단자(3a)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b')은, 접속 단자(3a)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b)을 따라 어느 접속 단자의 아래쪽도 통과하지 않고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d, 4f, 4h)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h~3d, 3h~3e, 3h~3c)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c, 3d, 3b)의 아래쪽에서, F-TH(5c, 5d, 5b)를 통해 접속 단자(3c, 3d, 3b)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d', 4f', 4h)'은, 각각 접속 단자(3c, 3d, 3b)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d, 4f, 4h)을 따라 접속 단자(3b~3a, 3c~3a, 3a)의 아래쪽을 통해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a), (b), (c)는 각각 F-TH(5a~5h)의 형성 위치가 다른 것이고, 도 5(a)~(c)에서의 F-TH(5a~5h)의 형성 위치는 도 3(a)~(c) 및 도 4(a)~(c)에서의 것과 대응하고 있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른 FPC(10)는, 각 배선(4a~4h) 및 각 더미 배선(4a'~4h')을 갖고, 배선부(4)의 각 배선(4a~4h)이 단자부(3)의 각 접속 단자(3a~3h)의 인접 설치방향을 따라 단자부(3)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은 제3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지만,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의 조합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5(a)~(c)의 각각에서, 배선(4a~4d)이 접속 단자(3h)의 접속 단자(3g) 측과는 반대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배선(4e~4h)이 접속 단자(3a)의 접속 단자(3b) 측과는 반대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에 맞추어 FPC(10)의 형상도 단순한 직사각형상이 아니며, 단자부(3)가 형성된 직사각형 영역에서 배선(4a~4h)이 연장되는 부분에 맞추어 단자부(3)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전체적으로 크랭크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먼저, 도 5(a)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4a)은 접속 단자(3h~3b)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a)의 아래쪽에서, F-TH(5a)를 통해 접속 단자(3a)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a')은, 접속 단자(3a)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a)을 따라 어느 접속 단자의 아래쪽도 통과하지 않고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b, 4c, 4d)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h~3c, 3h~3d, 3h~3e)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b, 3c, 3d)의 아래쪽에서, F-TH(5b, 5c, 5d)를 통해 접속 단자(3b, 3c, 3d)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b', 4c', 4d')은, 각각 접속 단자(3b, 3c, 3d)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b, 4c, 4d)을 따라 접속 단자(3a, 3b~3a, 3c~3a)의 아래쪽을 통해 더미 배선(4a')의 단면과 동일한 정도의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선(4e)은 접속 단자(3a)~3d)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e)의 아래쪽에서, F-TH(5e)를 통해 접속 단자(3e)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e')은, 접속 단자(3e)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e)을 따라 접속 단자(3f~3h)의 아래쪽을 통해 후술하는 더미 배선(4f', 4g', 4h')의 단면과 동일한 정도의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f, 4g, 4h)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a~3e), 3a~3f, 3a~3g)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f, 3g, 3h)의 아래쪽에서, F-TH(5f, 5g, 5h)를 통해 접속 단자(3f, 3g, 3h)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f', 4g', 4h')은 더미 배선(4h')을 제외하고, 각각 접속 단자(3f, 3g)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f, 4g)을 따라 접속 단자(3g~3h, 3h)의 아래쪽을 통해 더미 배선(4h')의 단면과 동일한 정도의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미 배선(4h')은, 접속 단자(3h)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h)을 따라 어느 접속 단자의 아래쪽도 통과하지 않고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b)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4a)은 접속 단자(3h)의 아래쪽에서 F-TH(5h)를 통해 접속 단자(3h)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a')은, 접속 단자(3h)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얻어 배선(4a)을 따라 접속 단자(3g~3a)의 아래쪽을 통해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b, 4c, 4d)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h~3g, 3h~3e, 3h~3c)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f, 3d, 3b)의 아래쪽에서, F-TH(5f, 5d, 5b)를 통해 접속 단자(3f, 3d, 3b)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b', 4c', 4d')은, 각각 접속 단자(3f, 3d, 3b)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b, 4c, 4d)을 따라 접속 단자(3e~3a, 3c~3a, 3a)의 아래쪽을 통해 더미 배선(4a')의 단면과 동일한 정도의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선(4e)은 접속 단자(3a)의 아래쪽에서 F-TH(5a)를 통해 접속 단자(3a)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e')은 접속 단자(3a)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얻어 배선(4e)을 따라 접속 단자(3b~3h)의 아래쪽을 통해 더미 배선(4f', 4g', 4h')의 단면과 동일한 정도의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f, 4g, 4h)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a~3b, 3a~3d, 3a~3f)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c, 3e, 3g)의 아래쪽에서, F-TH(5c, 5e, 5g)를 통해 접속 단자(3c, 3e, 3g)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f', 4g', 4h')은, 각각 접속 단자(3c, 3e, 3g)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f, 4g, 4h)을 따라 접속 단자(3d~3h, 3f~3h, 3h)의 아래쪽을 통해 더미 배선(4e')의 단면과 동일한 정도의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더미 배선(4h')은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5(c)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4a)은 접속 단자(3h)의 아래쪽에서 F-TH(5h)를 통해 접속 단자(3h)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a')은 접속 단자(3h)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a)을 따라 접속 단자(3g~3a)의 아래쪽을 통해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b, 4c, 4d)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h~3b, 3h~3g, 3h~3d)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a), 3f, 3c)의 아래쪽에서, F-TH(5a, 5f, 5c)를 통해 접속 단자(3a), 3f, 3c)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b', 4c', 4d')은 더미 배선(4b')을 제외하고, 각각 접속 단자(3f, 3c)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c, 4d)을 따라 접속 단자(3e~3a, 3b~3a)의 아래쪽을 통해 더미 배선(4a')의 단면과 동일한 정도의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미 배선(4b')은, 접속 단자(3a)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b)을 따라 어느 접속 단자의 아래쪽도 통과하지 않고 더미 배선(4a')의 단면과 동일한 정도의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배선(4e)은 접속 단자(3a)~3d)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e)의 아래쪽에서, F-TH(5e)를 통해 접속 단자(3e)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e')은, 접속 단자(3e)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e)을 따라 접속 단자(3f~3h)의 아래쪽을 통해 더미 배선(4f', 4g', 4h')의 단면과 동일한 정도의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f, 4g, 4h)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a~3c, 3a~3f, 3a)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d, 3g, 3b)의 아래쪽에서, F-TH(5d, 5g, 5b)를 통해 접속 단자(3d, 3g, 3b)에 접속되어 있다. 더미 배선(4f', 4g', 4h')은, 각각 접속 단자(3d, 3g, 3b) 측쪽 단면으로부터 갭을 거쳐 배선(4f, 4g, 4h)을 따라 접속 단자(3e~3h, 3h, 3c~3h)의 아래쪽을 통해 더미 배선(4e')의 단면과 동일한 정도의 근처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미 배선(4h')은 FPC(10) 단부의 앞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a), (b), (c)는 각각 F-TH(5a~5h)의 형성 위치가 동일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F-TH(5a~5h)는 각 접속 단자(3a~3h)의 인접 설치방향(폭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5 실시형태에 따른 FPC(10)는, 이와 같이 F-TH(5a~5h)의 형성 위치가 상기 인접 설치방향을 따른 직선형상으로 되어 있는 점이 제1~제4 실시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6(a)는 배선부(4)의 배선(4a)을 제외한 각 배선(4b~4h)의 일부가, 단자부(3)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각 접속 단자(3a~3h)와 FPC(10)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봤을 때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연장되는 부분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인접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b), (c)는 각 접속 단자(3a~3h)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 배선(4a~4h)이 연장되도록, 즉 각 배선(4a~4h)이 각 접속 단자(3a~3h)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도 6(b)는 더미 배선(4a'~4h')을 갖는 것, 도 6(c)는 더미 배선을 갖지 않는 것이다.
먼저, 도 6(a)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부(4)의 각 배선(4a~4h)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자부(3)의 각 접속 단자(3a~3h)의 인접 설치방향을 따라 단자부(3)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한 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배선(4a)은 접속 단자(3h)의 아래쪽에서, F-TH(5h)를 통해 접속 단자(3h)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4b)은 접속 단자(3h)의 아래쪽을 통해 접속 단자(3g)에 대하여 비스듬히 연장되어, 접속 단자(3g)의 아래쪽에서 F-TH(5g)를 통해 접속 단자(3g)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4c~4h)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비스듬히 연장되는 부분을 갖고, F-TH(5f~5a)를 통해 접속 단자(3f~3a)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FPC(10)에서의 각 접속 단자(3a~3h)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매우 짧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6(b)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4a)은 접속 단자(3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접속 단자(3a)의 도중 근처까지 연장되고 있으며, F-TH(5a)를 통해 접속 단자(3a)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 단자(3a)의 아래쪽에서 갭을 거쳐 더미 배선(4a')이 접속 단자(3a)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배선(4b~4h)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F-TH(5b~5h)를 통해 접속 단자(3b~3h)에 접속되어 있어, 각 접속 단자(3b~3h)의 아래쪽에서, 갭을 거쳐 더미 배선(4b'~4h')이 각 접속 단자(3b~3h)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FPC(10)에서의 각 접속 단자(3a~3h)의 인접 설치방향의 길이를 매우 짧게 설계하면서 배선 자유도를 높이고, 열압착 시의 소정의 압력을 균등하게 단자부(3)에 가하여 접속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고,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6(c)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선(4a)은 접속 단자(3a)의 길이방향을 따라 아래쪽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며, F-TH(5a)를 통해 접속 단자(3a)와 접속되어 있다. 배선(4b~4h)도 이와 동일하게, 각각 접속 단자(3b~3h)의 아래쪽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F-TH(5b~5h)를 통해 접속 단자(3b~3h)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도, 도 6(b)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F-TH(5a~5h)는 각 접속 단자(3a~3h)의 인접 설치방향(폭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고 했지만, 예를 들면 FPC(10)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봤을 때 각 접속 단자(3a~3h)에 비스듬히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FPC(10)가 예를 들면, 액정 패널 등의 부품과의 압착 접속 영역 내의 패널 외형 틀 내의 부분에 단자부(3), 배선부(4) 및 F-TH(5a~5h)를 가질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FPC(10)에는 단자부(3)의 형성 부분과 배선부(4)나 F-TH(5a~5h)의 형성 부분이 다른 영역에서 불필요해지므로,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키면서 전체 사이즈를 작게 하여 배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
상술한 제2~제4 실시형태에 따른 FPC(10) 중, 도 3(a)에 나타낸 것으로부터 더미 배선(4a'~4h')을 형성하지 않는 FPC(10)를 샘플 A로 하고, 도 3,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FPC(10)를 각각 샘플 B~D로 하며,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종래 구조의 것을 샘플 E로 하여 제작했다.
이들 제작된 샘플 A~E의 FPC의 단자부를, 테스트 부품의 단자부에 이방 도전성 재료로서의 ACF를 통해 접속하여 도통(導通) 시험을 실시했다. 실장 장치는 파나소닉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플립 칩 본더 "FB30T-M"을 이용하고, ACF는 소니케미컬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FP1708E"를 이용했다.
또한 테스트 부품의 단자부의 접속 단자는 모두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하고, 샘플 A~E의 각 접속 단자에 각각 접속된 배선이 측정 패드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각 접속 단자에 대응하는 측정 패드에 테스터를 댐으로써 도통을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샘플 A의 일부 중 접속 단자에서 도통을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다른 샘플 B~E의 모든 구조에서 도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도 7은 본 발명의 제2~제4 실시형태의 실시예에 따른 압착 접속 영역(PA)의 측정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샘플 B~D에 대해 압착 접속 영역(PA)에서의 접속 단자(3a, 3b)의 측정 영역을 L, 접속 단자(3d, 3e)의 측정 영역을 C, 접속 단자(3g, 3h)의 측정 영역을 R로 했다.
또한 각 측정 영역 L, C, R에 대해, 각각 다른 3개의 측정 부분을 마련했다. 구체적으로는, 측정 영역 L에서는 측정 부분 LU, LC, LL을 마련하고, 측정 영역 C에서는 측정 부분 CU, CC, CL을 마련하며, 측정 영역 R에서는 측정 부분 RU, RC, RL을 마련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의 FPC(10)를 샘플 B, 도 4의 FPC(10)를 샘플 C, 도 5의 FPC(10)를 샘플 D로 했는데, 각 샘플 B~D에 대해 도 3(a)~도 5(c)에 대응하는 샘플을 제작했다. 그리고 각 샘플 B~D에 대해, 각 접속 단자(3a~3h) 중 측정 영역 L의 접속 단자(3a, 3b), 측정 영역 C의 접속 단자(3d, 3e) 및 측정 영역 R의 접속 단자(3g, 3h)의 접속 후의 저항을, 히오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AC mΩ HiTESTER 3560"을 이용하여 4단자법에 의해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이하의 표 1~3에 나타낸다.
또한 각 측정 영역 L, C, R에서의 각 측정 부분에서, 단면 관찰을 실시하여 접속 단자 간에서 변형된 ACF 중의 도전 입자의 수를 카운트 하여, 압착 접속 시의 압력의 균일성을 확인했다. 그 확인 결과도 표 1~3에 나타낸다. 또한 ACF의 도전 입자경은 φ3.5㎛이며, 80㎛폭의 접속 단자 2개를 갖는 측정 영역 L, C, R의 단자 상에 평균 6개의 도전 입자의 분포가 보였다. 그 중에서, 변형된 도전 입자의 수를 카운트했다.
Figure 112016018492713-pct00001
Figure 112016018492713-pct00002
Figure 112016018492713-pct00003
참고 비교로서, 종래 구조의 샘플 E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측정을 실시했다. 이 샘플 E와 같이, F-TH를 통해 배선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통상의 접속 단자를 갖는 FPC에서는, 각 측정 영역 L, C, R의 접속 후의 저항의 평균값이 3.208Ω이 되었다. 이것은 표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샘플 B~D 중 어느 것보다 높은 값이었다. 또한 저항값의 편차도 20% 이상으로 큰 것이 확인되었다.
단면 관찰에서는, 도전 입자의 평균 분포 개수는 6개로 변하지 않았지만, 변형된 도전 입자의 수는, 많아도 1개밖에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각 샘플 B~E는 구조에 의해 각 배선(4a~4h)의 배선 길이에 차이가 있지만, 측정한 배선 저항은 0.001Ω 이하로 측정 불가능했기 때문에, 실제로 측정된 저항값은 접속 저항이 지배적이라고 결론지었다.
표 1~3의 샘플 B~D에 대해, 도 3~도 5의(a)의 구조를 구비한 FPC에서는, 측정 영역 C의 저항값이 평균보다 10% 이상 낮은 값이 되고, 측정 영역 L, R의 저항값이 평균보다 5%정도 높은 값이 되었다. 이는 도 3~도 5의(a)의 구조에서는, 측정 영역 C의 측정 부분 CC의 접속 단자(3d, 3e)의 주변에 F-TH(5d, 5e)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 접속 시의 압력이 달아나지 않고, 변형된 도전 입자의 수도 측정 부분 CC에서는 5개로 많아져 있는 것이 원인이라고 추정된다.
한편, 표 1~3의 샘플 B~D에 대해, 도 3~도 5의(b)의 구조를 구비한 FPC에서는, 측정 영역 R로부터 측정 영역 L로 이행함에 따라 10% 이상씩 저항값이 높아졌다. 이것은 측정 영역 R로부터 측정 영역 L로 이동함에 따라, F-TH(5g, 5h)가 분산된 측정 부분 RU, RL의 부근에 있는 것에 비해, F-TH(5a, 5b)가 중앙의 측정 부분 LC의 부근에 집중하게 되기 때문에, 측정 영역 L에서는 접속 단자(3a, 3b)의 전체가 아니라 중앙 부근에만 변형된 도전 입자의 수가 많아져 있는 것이 원인이라고 추정된다.
또한 표 1~3의 샘플 B~D에 대해, 도 3~도 5의(c)의 구조를 구비한 FPC에서는, 측정 영역 L, C, R의 모든 접속 단자(3a, 3b, 3d, 3e, 3g, 3h)의 저항값이 평균의 ±5% 이내에 들어가는 결과가 되었다. 이는 각 측정 영역 L, C, R 모든 곳에 F-TH(5a, 5b, 5d, 5e, 5g, 5h)가 배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착 접속 시의 압력이 분산되지 않았던 것이 원인이라고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CD(101)나 터치패널 등과 접속되는 FPC(10)의 배선(4a~4h)은 저(低)저항이 요구되고 있지 않는 신호선이며, ±5% 이내의 저항값의 편차라면 안정된 감도가 요구되는 것을 이유로, 도 3~도 5의(c)의 구조와 같이, F-TH(5a~5h)를 랜덤으로 배치한 구조의 FPC(10)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LCD(101)나 터치패널 등과 접속되는 FPC(10)는, 단자부(3) 이외에 커넥터부(6)와 같이 커넥터 수가 1개라 좋은 구조이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배선부(4)의 각 배선(4a~4h)이 단자부(3)에 대응하는 영역의 한 쪽으로 연장되는 도 3(c)의 구조가 가장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그 외에, 커넥터 수가 2개 필요한 경우에는, 도 4 및 도 5의(c)의 구조가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배선부(4)의 각 배선(4a~4h)의 배선 간 피치를 완화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배열 구조를, FPC(10)의 외형을 작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배열 구조를 각각 채용하면 된다.
1: 가요성 기판
2: 접착제
3: 단자부
3a~3h: 접속 단자
4: 배선부
4a~4h: 배선
4a'~4h': 더미 배선
5a~5h: 필드ㆍ스루홀(F-TH)
6: 커넥터부
7: 커버 레이
10: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FPC)
101: 액정 패널(LCD)
102: LCD 단자부
102a~102h: LCD 단자

Claims (7)

  1. 열압착에 의해 다른 전자 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서,
    가요성 기판과,
    이 가요성 기판의 한쪽 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른 전자 부품과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 단자를 갖는 단자부와,
    상기 가요성 기판의 다른 쪽 면에 형성된 복수의 배선을 갖는 배선부와,
    상기 단자부의 상기 다른 전자 부품과의 압착 접속 영역 내에서 상기 가요성 기판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 내에 형성된, 상기 단자부의 각 접속 단자와 상기 배선부의 각 배선을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관통 배선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는 상기 접속 단자의 폭방향을 따라 병렬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관통 배선은 상기 복수의 접속 단자가 병렬로 배열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병렬로 배열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복수의 배선이 상기 단자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각 배선이 상기 각 접속 단자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단자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가요성 기판의 주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봤을 때 인접 설치된 각 접속 단자 간에 배치되어 있는 배선의 수가 동일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단자부의 각 접속 단자의 인접 설치방향을 따라 상기 단자부에 대응하는 영역으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각 배선이 상기 각 접속 단자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다른 전자 부품과 이방(異方) 도전성 재료를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복수 배선의 일부에 더미 배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KR1020167004979A 2013-07-26 2014-07-25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KR101774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55270 2013-07-26
JPJP-P-2013-155270 2013-07-26
JPJP-P-2013-200337 2013-09-26
JP2013200337A JP5767290B2 (ja) 2013-07-26 2013-09-26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PCT/JP2014/069648 WO2015012380A1 (ja) 2013-07-26 2014-07-25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023A KR20160050023A (ko) 2016-05-10
KR101774928B1 true KR101774928B1 (ko) 2017-09-05

Family

ID=5239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979A KR101774928B1 (ko) 2013-07-26 2014-07-25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19372B2 (ko)
JP (1) JP5767290B2 (ko)
KR (1) KR101774928B1 (ko)
CN (1) CN105409333B (ko)
WO (1) WO20150123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200B1 (ko) * 2017-07-04 2022-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클럭 배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473419B (zh) * 2018-11-21 2020-09-04 合肥奕斯伟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走线结构和具有走线结构的芯片
CN110149759A (zh) * 2019-05-14 2019-08-20 信利(惠州)智能显示有限公司 线路板及电子设备
WO2024029979A1 (ko) * 2022-08-05 2024-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층의 연성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958A (ja) 2000-08-17 2002-02-2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2305382A (ja) 2001-02-05 2002-10-18 Denso Corp 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17972A (ja) 2006-11-06 2008-05-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47084A (ja) 2008-12-16 2010-07-01 Fdk Module System Technology Corp 回路基板、および可撓性基板
JP2011244006A (ja) 2011-08-02 2011-12-01 Panasonic Corp 回路基板の接続構造、軟質回路基板、硬質回路基板、回路基板の接続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3065657A (ja) 2011-09-16 2013-04-11 Nec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およびプリント配線基板の配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138Y2 (ja) * 1987-03-10 1995-03-06 セイコー電子工業株式会社 液晶表示板の配線パタ−ンの構造
JPH0717162Y2 (ja) * 1988-05-13 1995-04-19 ミノルタ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H0440562U (ko) * 1990-07-31 1992-04-07
JPH04137584A (ja) * 1990-09-27 1992-05-12 Sharp Corp 印刷回路基板の接続構造
JPH06232523A (ja) * 1993-01-28 1994-08-19 Casio Comput Co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H07162120A (ja) * 1993-12-09 1995-06-2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の回路接続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3643640B2 (ja) * 1995-06-05 2005-04-27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icチップ
KR100699823B1 (ko) * 2003-08-05 2007-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저가형 플랙서블 필름 패키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JP2007317861A (ja) * 2006-05-25 2007-12-06 Nec Lcd Technologies Ltd 多層プリント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2226058A (ja) 2011-04-18 2012-11-15 Japan Display East Co Ltd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3958A (ja) 2000-08-17 2002-02-2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2305382A (ja) 2001-02-05 2002-10-18 Denso Corp 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17972A (ja) 2006-11-06 2008-05-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47084A (ja) 2008-12-16 2010-07-01 Fdk Module System Technology Corp 回路基板、および可撓性基板
JP2011244006A (ja) 2011-08-02 2011-12-01 Panasonic Corp 回路基板の接続構造、軟質回路基板、硬質回路基板、回路基板の接続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3065657A (ja) 2011-09-16 2013-04-11 Nec Corp プリント配線基板およびプリント配線基板の配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43399A (ja) 2015-03-05
CN105409333A (zh) 2016-03-16
KR20160050023A (ko) 2016-05-10
JP5767290B2 (ja) 2015-08-19
CN105409333B (zh) 2018-12-07
WO2015012380A1 (ja) 2015-01-29
US20160183366A1 (en) 2016-06-23
US10219372B2 (en) 201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0502B2 (en) Board connecting component and three-dimensional connecting structure using thereof
US7399192B2 (en) High density flexible wiring board
US7405948B2 (en) Circuit board device and method of interconnecting wiring boards
KR101774928B1 (ko)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US10418733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contact members having different thickness
US3393392A (en) Printed circuit connector
US7733668B2 (en) Hybrid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9831583B2 (en) Connector
US10460874B2 (en) Electronic component with metal terminals
CN110829069B (zh) 连接器及其组合
KR101759713B1 (ko) 전기접촉단자
US20050233620A1 (en) Anisotropic conductive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102571B2 (ja)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2008004368A (ja) コネクタ
CN108370642A (zh) 具备安装电子部件的基板和散热板的电子部件模块及其制造方法
CN210725458U (zh) 树脂多层基板以及电子设备
US7419387B2 (en) Electric connection member utilizing ansiotropically conductive sheets
JP2011258709A (ja) 相互接続構造、及び相互接続方法
CN116345207A (zh) 压接邦定结构、连接器、电子模组及电子设备
JP2005024660A (ja) 液晶表示素子
JP2001229998A (ja) ヒートシールコネクタ及び電気回路の接続構造
JP2005158619A (ja) エラストマコネクタ
JP2002343461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69316A (ja) 可撓性ケーブル、コネクタ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1063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