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713B1 - 전기접촉단자 - Google Patents

전기접촉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9713B1
KR101759713B1 KR1020160065316A KR20160065316A KR101759713B1 KR 101759713 B1 KR101759713 B1 KR 101759713B1 KR 1020160065316 A KR1020160065316 A KR 1020160065316A KR 20160065316 A KR20160065316 A KR 20160065316A KR 101759713 B1 KR101759713 B1 KR 101759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olymer film
opening
lay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9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1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conductive elasto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유연하여 구부러지기 쉬우면서 전자파를 신뢰성 있게 차폐할 수 있는 전기접촉단자가 개시된다. 전기접촉단자의 양 측면과 상면에서 상기 금속층을 에칭하여 상기 폴리머 필름이 노출되도록 다수의 개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형성된 개구는 폭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지 않아 상기 상면에 형성된 개구의 양단이 서로 보이지 않는다.

Description

전기접촉단자{Electric contact terminal}
본 발명은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연하여 구부러지기 쉬우면서 전자파를 신뢰성 있게 차폐할 수 있는 전기접촉단자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솔더링(soldering)이 가능한 전기접촉단자는, 전기 전도도가 좋고, 탄성 복원력이 우수하여야 한다는 기본적인 속성 이외에 적은 힘에 의한 압착이 가능하고 잘 구부러지도록 유연성이 필요하며, 이러한 특징과 더불어 전자파 차폐가 신뢰성 있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출원인에 의한 국내 등록특허 제1562938호에서는,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을 감싸도록 상기 접착제층에 접착되는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을 감싸 접착되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전기접촉단자로서, 상기 전기접촉단자의 양 측면과 상면에서 상기 금속층을 에칭하여 높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하여 상기 폴리머 필름이 노출되고, 상기 노출된 폴리머 필름에 의해 솔더링시 상기 양 측면으로의 납 오름을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전기접촉단자에 의하면, 전기접촉단자가 대상물에 의해 눌릴 때 금속층에 의한 눌림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폴리이미드 필름의 금속층을 에칭에 의해 일부 제거함으로써 전기접촉단자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의 전기접촉단자를 가령 금속 케이스와 회로기판 사이에 설치하여 적용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전기접촉단자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전자파가 누설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상면에 형성된 개구는 일직선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양단이 서로 연통하고, 그 결과 개구의 일단으로 침입한 전자파가 쉽게 타단을 통하여 누설된다.
또한, 양 측면에 형성된 개구는 대칭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개구를 통하여 전자파가 누설된다. 즉, 양 측면에서 대향하는 개구는 금속층이 제거되어 코어와 폴리머 필름으로만 구성되며, 따라서 일 측면의 개구를 통하여 투과한 전자파는 쉽게 다른 측면의 개구를 통하여 누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연하여 구부러지기 쉬우면서 전자파를 신뢰성 있게 차폐할 수 있는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접촉단자가 대상물에 의해 눌릴 때 금속층에 의한 눌림 저항을 최소화한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접착제층, 상기 접착체층을 감싸도록 상기 접착제층에 접착되는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을 감싸 접착되는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접촉단자의 양 측면과 상면에서 상기 폴리머 필름이 노출되도록 상기 금속층에 다수의 개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형성된 개구는 폭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지 않아 상기 상면에 형성된 개구의 양단이 서로 보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의 목적은,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제1접착제층, 상기 제1접착체층을 감싸도록 상기 제1접착제층에 접착되는 폴리머 필름, 및 제2접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폴리머 필름에 접착되는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접촉단자의 양 측면과 상면에서 상기 폴리머 필름이 노출되도록 상기 금속층에 다수의 개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상면에 형성된 개구는 폭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지 않아 상기 상면에 형성된 개구의 양단이 서로 보이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 측면에 형성된 개구는 상기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형성되며, 가령 한 측면에 형성된 개구가 다른 한 측면에 형성된 개구에 대해 일정 거리 변위(shift)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면과 상기 측면에 형성된 개구는 각각 물결 형상으로 이어지거나, 곡선을 이루거나,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에 형성된 개구는 하면에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접착제층 또는 상기 코어에는 전기전도성 입자가 혼합 분산되어 전기전도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양 측면에서 상기 개구의 폭과 이격거리는 불규칙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높이를 기준으로 2배의 폭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의 폭과 간격은 1/10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층은 구리층과 상기 구리층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된 금속 도금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은,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접착제층, 상기 접착체층을 감싸도록 상기 접착제층에 접착되는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을 감싸 접착되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전기접촉단자로서, 상기 금속층이 전개된 평면상에서 폭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개구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상면에 형성된 개구의 양단이 서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패턴으로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의 목적은,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제1접착제층, 상기 제1접착체층을 감싸도록 상기 제1접착제층에 접착되는 폴리머 필름, 및 제2접착층을 개재하여 상기 폴리머 필름에 접착되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전기접촉단자로서, 상기 금속층이 전개된 평면상에서 폭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개구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상면에 형성된 개구의 양단이 서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패턴으로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해 사용되는 탄성을 갖는 전도성 개스킷 또는 상하방향으로 전기를 연결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탄성을 갖는 전기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면에 형성된 개구가 일직선을 이루지 않아 양단이 보이지 않으면서 연통되기 때문에 개구의 일단으로 침입한 전자파가 개구를 통하여 쉽게 타단을 통하여 누설되지 않으므로 전자파 차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폴리머 필름과 접착제층에 전기전도성 입자가 분산 혼합되어 전기전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양 측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투과하는 전자파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일 측면에 형성된 개구와 다른 측면에 형성된 개구에 대해 변위되어 서로 대향하지 않기 때문에, 일 측면에 형성된 개구로 전자파가 유입되어 투과하여도 대향하는 부분의 다른 측면에는 금속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자파가 쉽게 투과되지 못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금속층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도 3(a), 3(b) 및 3(c)은 각각 변형된 예의 폴리머 필름의 펼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200)를 위와 아래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적용된 금속층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전기접촉단자를 보여주고, 도 2는 도 4에 적용된 금속층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전기접촉단자(100)는 탄성 코어(core; 110), 접착제층(120), 폴리머 필름(130), 및 금속층(140)이 순차적으로 감싸며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 실시 예의 전기접촉단자(100)는, 전자파 차폐를 위해 사용되는 탄성을 갖는 전도성 개스킷, 또는 상하방향으로 전기를 연결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탄성을 갖는 전기 커넥터일 수 있다.
여기서, 코어(110)와 접착제층(120) 및 폴리머 필름(130)은 솔더링을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구비한다.
<코어(110)>
최내부에 위치하는 코어(110)는 탄성과 내열성을 구비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절연이거나 반도전성을 가지며, 특히, 반도전성의 경우, 금속층(140)보다 전기 전도성이 떨어지지만 전자파를 제거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코어(110)로는, 가령 탄성이 없는 폴리머 수지나 탄성을 갖는 실리콘 고무, 스폰지가 사용될 수 있다.
코어(110)의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폭이 높이에 비해 큰, 가령 폭 2㎜, 높이 1㎜의 치수를 갖는 납작한 사다리꼴일 수 있으며, 이 실시 예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튜브 형상이거나 관통구멍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수직 단면에서 각 모서리는 둥글게 처리할 수 있는데, 상부의 양측 모서리를 둥글게 함으로써 대상물과 조립되는 과정에서 양 측면에서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고, 하부의 양측 모서리를 둥글게 함으로써 솔더와 접촉하는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접착제층(120)>
접착제층(120)은 코어(110)와 내열 폴리머 필름(130) 사이에 위치하여 코어(110)와 내열 폴리머 필름(130)을 신뢰성 있게 접착한다.
상기한 것처럼, 접착제층(120)은 솔더링시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구비하며, 가령 탄성이 있는 경우 액상의 실리콘고무를 경화하여 형성하고, 탄성이 없는 경우 액상의 에폭시 수지를 경화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층(120)는 전기전도성 입자를 포함하여 전자파를 제거할 수 있는 정도의 전기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폴리머 필름(130)>
폴리머 필름(130)은, 상기한 것처럼, 내열성을 구비하며, 가령 내열성이 좋은 폴리이미드(PI) 필름이나 폴리에스터(PET) 등의 폴리머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층(140)>
금속층(140)은 폴리머 필름(130)의 이면에 접착되는데, 가령 금속층(140) 위에 액상의 폴리머를 캐스팅하고 경화시켜 폴리머 필름(130)을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금속층(140)이 폴리머 필름(130)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금속층(140)으로는, 가령 신율이 우수한, 가령 6㎛ 내지 18㎛ 정도의 구리 박이 사용될 수 있다. 구리 박 위에는 부식방지를 위하여 금, 주석 또는 은이 도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리 박을 사용함으로써, 반복적으로 눌리더라도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금속층(140)의 양 측면과 상면을 잇는 다수의 개구(142)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개구(142)를 통하여 폴리머 필름(130)이 외부로 노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금속층(140)은 상면(141), 양 측면(143), 및 하면(144)으로 이루어지고, 폴리머 필름(130) 위에 접착되어 적층된다.
양 측면(143)과 상면(141)에는 각각 서로 연통하는 개구(142a)(142b)가 형성되며, 개구(142a)(142b)를 통하여 폴리머 필름(130)이 외부에 노출된다.
도면부호가 부여되지 않은 점선은 둥글게 접히는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각각 상면과 측면 및 측면과 하면의 경계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도 동일하다.
개구(142)는, 가령 금속층(140)의 해당 부분을 에칭으로 제거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개구(142)의 폭이나 길이 그리고 이격거리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가령, 전기접촉단자(100)의 폭과 높이가 각각 2㎜ × 1㎜인 경우, 개구(142)의 폭과 이격거리를 각각 0.1㎜로 설정할 수 있다.
금속층(140)을 구리 박과, 구리 박 위 부식방지를 위해 형성된 금속도금층으로 구성하는 경우, 금속도금층을 형성하지 않은 원단에 에칭에 의해 개구(142)를 형성하고 접촉단자(100)를 제작하여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 후 전체를 도금함으로써 에칭에 의해 노출된 면과 절단면에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다.
개구(142) 사이의 이격거리(피치)를 이 실시 예와 달리 불균일하게 설정하여 전자파 차폐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개구(142)의 폭을 유입되는 전자파의 진동수(λ)의 1/4로 설정하여 실질적으로 전자파의 유입을 차폐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면(141)에 형성된 개구(142b)는 폭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지 않아 측면에서 볼 때 개구(142b)의 양단이 서로 보이지 않는다.
이 실시 예에서 개구(142b)는, 위에서 볼 때, V자 형상을 이루어 측면으로부터 양단이 보이지 않도록 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단이 보이지 않으면서 연통되는 어떠한 형상도 가능하다. 가령, 폭방향으로 물결 형상으로 이어지거나, 곡선을 이루거나,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면에 형성된 개구(142b)가 일직선을 이루지 않아 양단이 보이지 않으면서 연통되기 때문에 개구(142b)의 일단으로 침입한 전자파가 개구(142b)를 통하여 쉽게 타단을 통하여 누설되지 않으므로 전자파 차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것처럼, 폴리머 필름(130)과 접착제층(120)에 전기전도성 입자가 분산 혼합되어 전기전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양 측면에 형성된 개구(142a)를 통하여 투과하는 전자파를 제거할 수 있다.
도 3(a), 3(b) 및 3(c)은 각각 변형된 예의 폴리머 필름의 펼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a)을 참조하면, 일 측면에 형성된 개구(142a)는 다른 측면에 형성된 개구(142c)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지 않도록 길이방향으로 변위되어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것처럼, 종래에는 양 측면에 형성된 개구(142a)는 금속층(140)이 제거되어 코어(110)와 접착제층(120) 및 폴리머 필름(130)만 남기 때문에 일 측면의 개구를 통하여 투과하는 전자파가 쉽게 다른 측면의 개구를 통하여 누설되지만, 이 실시 예에 의하면, 일 측면에 형성된 개구(142a)는 다른 측면에 형성된 개구(142c)와 서로 대향하지 않고 대향하는 부분의 다른 측면에 금속층(13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 측면에 형성된 개구(142a)로 전자파가 침투하여도 전자파가 쉽게 투과하지 못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와 함께, 상기한 것처럼, 폴리머 필름(130)과 접착제층(120)에 전기전도성 입자가 분산 혼합되어 전기전도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더욱 신뢰성 있게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도 3(b)을 참조하면, 상면의 개구(142b)를 물결 형상으로 형성하여 측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전자파가 효율적으로 신뢰성 있게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c)을 참조하면, 양 측면에 형성된 개구(142a)를 각각 물결 형상으로 형성하여 양 측면에 형성된 개구(142a)가 서로 대향하지 않음으로써, 일 측면에 형성된 개구(142a)로 전자파가 침투하여도 대향하는 부분의 다른 측면에 금속층(1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자파가 쉽게 투과하지 못한다.
또한, 상면에 형성된 개구(142b)는 V자 형상으로 폭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지 않아 개구(142b)의 양단이 서로 보이지 않는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금속층(140) 위에 액상의 폴리머를 캐스팅하고 경화시켜 폴리머 필름(130)을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금속층(140)이 폴리머 필름(130)에 접착되도록 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머 필름(130)과 금속층(340) 사이에 별도의 접착제층을 개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금속층(140) 위에 액상의 폴리머를 캐스팅하고 경화하여 폴리머 필름(130)을 만드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제조원가가 싸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개구(142)를 통하여 접착제층이 노출된다.
또한, 하면(144)은 솔더를 개재하여 회로기판에 고정되거나 양면 점착테이프에 의해 전기전도성 대상물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양면 접착테이프가 전기전도성이면 하면(144)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전기 비전도성이면 하면(144)보다 작게 형성하여 금속층(140)의 하면(144) 양단이 전기전도성 대상물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금속층의 하면에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필요한 경우 개구를 하면까지 연장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의 (a)와 (b)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200)를 위와 아래에서 본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4에 적용된 금속층의 전개도를 나타낸다.
전기접촉단자(200)는 탄성 코어(210), 접착제층(220), 폴리머 필름(230), 및 금속층(240)이 순차적으로 감싸며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도 4(b)를 참조하면, 코어(210)의 하면에서 접착제층(220)과 폴리머 필름(230) 및 금속층(240)은 각각 양단이 떨어져서 이격공간(212)을 형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속층(240)이 전개된 평면상에서 폭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개구(242)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도 5에서는 구별의 편의를 위하여 개구(242)를 통하여 보이는 폴리머 필름(230) 부분은 도트(dot)로 해칭하였다.
폴리머 필름(230)의 이면에 접착되는 금속층(240)은 구리층과 구리층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된 금속 도금층으로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개구(242)가 에칭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에칭에 의한 에칭 면을 포함하여 구리층의 모든 노출 부분에는 금속 도금층, 가령 금 도금층이 형성된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경사를 이루는 개구(242)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 개구(242)의 양단이 서로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면에 형성된 개구(242)가 폭방향을 따라 경사를 이룸으로써 양단이 보이지 않으면서 연통되기 때문에 개구(242)의 일단으로 침투한 전자파가 개구(242)를 통하여 쉽게 타단을 통하여 누설되지 않으므로 전자파 차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전기접촉단자
110, 210: 코어
120, 220: 접착제층
130, 230: 내열 폴리머 필름
140, 240: 금속층
141, 241: 상면
142, 142a, 142b, 142c, 242: 개구
143, 243: 측면
144, 244: 하면

Claims (13)

  1.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을 감싸도록 상기 접착제층에 접착되는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을 감싸 접착되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전기접촉단자로서,
    상기 전기접촉단자의 양 측면과 상면에서 상기 폴리머 필름이 노출되도록 상기 금속층에 다수의 개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상면에 형성된 개구의 양단이 서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패턴으로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2.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제1접착제층, 상기 제1접착제층을 감싸도록 상기 제1접착제층에 접착되는 폴리머 필름, 및 제2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폴리머 필름에 접착되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전기접촉단자로서,
    상기 전기접촉단자의 양 측면과 상면에서 상기 폴리머 필름이 노출되도록 상기 금속층에 다수의 개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상면에 형성된 개구의 양단이 서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패턴으로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3.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양 측면에 형성된 개구는 폭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4. 청구항 3에서,
    한 측면에 형성된 개구가 다른 한 측면에 형성된 개구에 대해 일정 거리 변위(shift)되어 어긋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5.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상면 또는 상기 측면에 형성된 개구는 각각 물결 형상, 곡선 형상,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6. 청구항 1에서,
    상기 접착제층 또는 상기 코어에는 전기전도성 입자가 혼합 분산되어 전기전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7.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양 측면에서 상기 개구의 폭과 이격거리는 불규칙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8.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높이를 기준으로 2배의 폭을 구비하며, 상기 개구의 폭과 간격은 1/10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9.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금속층은 구리층과 상기 구리층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된 금속 도금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10.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접착제층, 상기 접착제층을 감싸도록 상기 접착제층에 접착되는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폴리머 필름을 감싸 접착되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전기접촉단자로서,
    상기 금속층이 전개된 평면상에서 폭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개구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상면에 형성된 개구의 양단이 서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패턴으로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11.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제1접착제층, 상기 제1접착제층을 감싸도록 상기 제1접착제층에 접착되는 폴리머 필름, 및 제2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폴리머 필름에 접착되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전기접촉단자로서,
    상기 금속층이 전개된 평면상에서 폭방향으로 경사를 이루는 개구가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상면에 형성된 개구의 양단이 서로 보이지 않도록 하는 패턴으로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12. 청구항 10 또는 11에서,
    상기 금속층은 구리층과 상기 구리층이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에 형성된 금속 도금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13. 청구항 1, 2, 10 및 11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해 사용되는 탄성을 갖는 전도성 개스킷 또는 상하방향으로 전기를 연결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탄성을 갖는 전기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접촉단자.
KR1020160065316A 2016-03-18 2016-05-27 전기접촉단자 KR101759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33032 2016-03-18
KR1020160033032 2016-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9713B1 true KR101759713B1 (ko) 2017-07-31

Family

ID=5941903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316A KR101759713B1 (ko) 2016-03-18 2016-05-27 전기접촉단자
KR1020160112229A KR20170108769A (ko) 2016-03-18 2016-08-31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0160113525A KR20170108770A (ko) 2016-03-18 2016-09-02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0160115848A KR20170108772A (ko) 2016-03-18 2016-09-08 탄성 전기접촉단자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229A KR20170108769A (ko) 2016-03-18 2016-08-31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0160113525A KR20170108770A (ko) 2016-03-18 2016-09-02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0160115848A KR20170108772A (ko) 2016-03-18 2016-09-08 탄성 전기접촉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17597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926B1 (ko) * 2017-11-24 2019-02-26 조인셋 주식회사 Emi 개스킷
KR102271387B1 (ko) * 2020-01-23 2021-06-30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개스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0963A (ja) 2006-03-17 2007-09-27 Nippon Jitsupaa Chiyuubingu Kk 電磁波シールド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KR101562938B1 (ko) 2013-08-13 2015-10-30 조인셋 주식회사 전기접촉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0963A (ja) 2006-03-17 2007-09-27 Nippon Jitsupaa Chiyuubingu Kk 電磁波シールド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KR101562938B1 (ko) 2013-08-13 2015-10-30 조인셋 주식회사 전기접촉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770A (ko) 2017-09-27
KR20170108772A (ko) 2017-09-27
KR20170108769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7840B2 (ja) 挿入位置決め構造を有する回路配線
KR101048083B1 (ko) 전자파 차폐 가스켓
KR20080084837A (ko) 전송 케이블
CN113163595A (zh) 覆晶薄膜、卷材和显示装置
KR101200279B1 (ko) 방수 구조를 갖는 연성인쇄회로기판
US9040835B2 (en) Attenuation reduction grounding structure for differential-mode signal transmission lines of flexible circuit board
KR20090130631A (ko) 전자 기기의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US9949368B2 (en) Resin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KR101969029B1 (ko) 가이드 결합형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US3393392A (en) Printed circuit connector
US10939554B1 (en) Circuit boar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382454A1 (en) Spilled adhesive guide structure of flexible circuit board
CN111034371A (zh) 柔性印刷电路板
KR101759713B1 (ko) 전기접촉단자
JP2003100371A (ja) 端子付き配線基板
KR101774928B1 (ko)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US10128588B2 (en) Cable connecting structure
JP2011151103A (ja) 電子部品相互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CN217062469U (zh) 传输线路以及电路基板
KR20170135626A (ko)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JP5170198B2 (ja) 配線基板付ケーブルアセンブリ
JP6048719B2 (ja) プリント配線板及び該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JP2004319384A (ja) 電子回路ユニット
CN105430896A (zh) 柔性电路板及移动终端
JP2009099837A (ja)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