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5626A -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 Google Patents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5626A
KR20170135626A KR1020160116884A KR20160116884A KR20170135626A KR 20170135626 A KR20170135626 A KR 20170135626A KR 1020160116884 A KR1020160116884 A KR 1020160116884A KR 20160116884 A KR20160116884 A KR 20160116884A KR 20170135626 A KR20170135626 A KR 20170135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electrical contact
metal
copper foil
electrically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135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0Removing layers, or parts of layers, mechanically or chemic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 H01R4/625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2038/0052Other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32B2038/0092Metall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12Co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수분 등에 의한 부식성이 향상되고 제조 과정 중 꼬이거나 변형되지 않는 탄성 전기접촉단자가 개시된다. 금속층은, 폭 방향 전체에 걸쳐 폭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금속 띠가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지고, 금속 띠 사이에 에칭에 의해 개구가 형성되며, 구리 박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폭 방향의 양 단면 및 양측 수직 절단면과 개구의 에칭면 위에 구리보다 내부식성이 좋은 금속도금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Elastic electric contact terminal having improved corrosive property}
본 발명은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분 등에 의한 부식성이 향상되고 제조 과정 중 꼬이거나 변형되지 않는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솔더링(soldering)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는, 전기 전도도가 좋고, 탄성 회복력이 우수하며, 솔더링 온도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탄성 전기접촉단자의 예로, 본 발명자에 의한 등록특허 제1001354호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 탄성 내열 고무 코어; 상기 절연 탄성 내열 고무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절연 내열 접착제층; 및 한 면이 상기 절연 내열 접착제층을 감싸도록 상기 절연 내열 접착제층에 접착되고, 다른 면에 금속층이 일체로 형성된 내열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머 필름은 양단이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 내열 접착제층에 접착되고, 상기 절연 탄성 내열 고무 코어의 하면은 폭 방향 양단에서 중간 부분을 향해 파인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플로우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전기접촉단자를 제조하는 과정을 보면, 롤 (Roll)로 된 실리콘고무를 준비하고, 실리콘고무의 길이 방향으로 그 위에 액상의 실리콘고무 접착제를 연속하여 개재하고 액상의 실리콘고무 접착제 위에 금속층이 형성된 폴리머 필름을 금속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감싼 후 실리콘고무 접착제를 경화시켜 폴리머 필름을 접착시킨 후 일정 길이, 가령 500㎜로 절단하고 이후 고객이 필요한 길이, 가령 3㎜로 절단한 다음 금속이 도금된 제품을 릴 테이핑 한다.
이와 같이 기존 접촉단자의 구리 박 위에 부식이 방지되고 내 환경성이 향상되도록 내 환경성이 구리보다 좋은 금속도금층이 형성되지만, 접촉단자를 제조하는 과정 중 고객이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기 때문에 접촉단자의 길이방향 측면에 형성되는 절단면에서 구리 박이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 종래의 접촉단자는 금 등이 도금된 구리 박을 갖는 폴리머 필름을 코어에 연속으로 감싼 후 절단하여 제조하였기 때문에 이를 절단하면 절단에 의해 형성된 접촉단자의 양측 절단면에서 당연히 구리 박이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금도금층보다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구리 박에 의해 접촉단자는 외부의 환경변화, 즉 염수분무 시험에서 변색 또는 부식 등이 쉽게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접촉단자를 리플로우 솔더링 하여 회로기판에 실장하는 경우, 절단면에서 외부로 노출된 구리 박이 부식함에 따라 금속도금층에 비해 납오름 현상이 작게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절단면의 솔더링 강도가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두께가 비교적 두꺼우며 금속층이 폴리머 필름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 절단 시 금속층이 구겨지기 쉬워 절단면이 고르지 않고, 또한 제조된 접촉단자가 비교적 딱딱하다는 단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금속층에 개구를 에칭에 의해 형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에칭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구리 박의 부식에 대해서 고려되고 있지 않아 상기한 문제점이 그대로 발생하고 있다.
한편, 종래 전기접촉단자가 대상물에 의해 눌릴 때 금속층에 의한 눌림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금속층을 에칭에 의해 제거하는데, 가령 길이방향에 수직하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구를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형성한다.
그 결과, 전기접촉단자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가 일직선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양단이 서로 연통하고, 그 결과 개구의 일단으로 침입한 전자파가 쉽게 타단을 통하여 누설된다.
또한, 폭 방향 전체에 걸쳐 개구를 형성하는 경우, 막대 형상으로 제조되는 전기접촉단자가 금형으로부터 압출되어 나올 때, 금속층이 개구에 의해 분리되어 있어 전기접촉단자가 꼬이거나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구가 폭 방향으로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어 제조과정에서 절단시 개구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양 단면에 금속층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양 단면 모두에 금속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실질적으로 길이 치수가 작아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식에 강하고 내 환경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플로우 솔더링의 신뢰성을 향상시킨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구가 형성되어도 제조 시 꼬이거나 늘어나지 않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단면에 항상 금속층이 존재하는 탄성 전기접촉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탄성 코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필름을 감싸며 접착되는 구리 박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층은,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상기 폭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금속 띠가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띠 사이에 에칭에 의해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구리 박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폭 방향의 양 단면 및 양측 수직 절단면과 상기 개구의 에칭면 위에 구리보다 내부식성이 좋은 금속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필름의 하면에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가 점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구는 마름모 또는 원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속도금층은 무전해 도금으로 형성되어 표면 거칠기가 증가함으로써 솔더링 강도가 향상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진공 픽업에 의해 전기전도성 대상물에 실장되고 솔더 크림에 의해 리플로우 솔더링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해 사용되는 전기전도성 개스킷 또는 전기연결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전도성 커넥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상기 폴리머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전기전도성 점착테이프가 부착되거나 또는 릴 캐리어에 포장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길이방향으로 적절한 길이로 절단할 때 생기는 수직 절단면에서 절단에 의해 노출된 구리 박 위에 또는 에칭에 의해 다수로 형성된 구리 박의 개구 위에 내부식성이 좋은 금속도금층으로 완전히 덮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신뢰성 테스트에서 염수와 구리 박의 접촉을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접촉단자의 사용 중에도 접촉단자의 구리 박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구리 박이 부식될 염려가 없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수직 절단면에서 구리 박을 덮도록 형성된 금속도금층 위로 솔더 크림이 잘 퍼져 절단면에서의 솔더링 강도가 증가한다.
금속층이 서로 교차되는 금속 띠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개구가 형성되면서도 격자 구조에 의해 물리적 강도가 증가하여 길이방향의 인장력에 대해서도 대항할 수 있어 제조과정 중 전기접촉단자가 금형으로부터 압출되어 나올 때 접촉단자가 잡아 당겨지면서 인장력을 받아도 전기접촉단자가 늘어나거나 꼬이지 않게 된다.
또한, 경사를 갖는 금속 띠가 교차하여 금속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절단시 양 단면에 항상 금속층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개구가 분리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에서 유입되는 전자파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금속층에 개구가 형성되어 전기접촉단자가 대상물에 의해 눌릴 때 금속층에 의한 눌림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내고, 도 1(b)은 도 1(a)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개구가 형성된 구리 박의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를 나타내고, 도 1(b)은 도 1(a)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탄성 전기접촉단자(100)는 코어(core; 10), 접착제층(20), 폴리머 필름(30) 및 금속층(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접착제층(20), 폴리머 필름(30) 및 금속층(40)의 양단은 코어(10)의 하면에서 분리되어 일정한 이격 공간(12)을 형성한다.
전기접촉단자(100)는 회로기판과 전기전도성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가령 회로기판의 도전패턴과 전기전도성 대상물 사이에 강제로 끼워져 설치되거나,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솔더 크림에 의해 솔더링 되어 대향하는 전기전도성 대상물과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리플로우 솔더링의 경우, 전기접촉단자(100)는 캐리어에 릴 테이핑 되어 공급되고, 진공 픽업과 솔더 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 된다.
1.1 코어(10)
고무 재질의 코어(10)는 내열성과 탄성을 구비하는데, 전기적으로 바람직하게 절연성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리플로우 솔더링과 탄성 조건을 만족시키는 튜브 형상의 비발포 실리콘고무이거나 발포고무, 가령 스펀지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코어(10)는, 가령 압출 공정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솔더링 시 수평방향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좌우 대칭을 이루어 형성됨으로써, 솔더 크림에 의한 리플로우 솔더링 시 들뜸 또는 치우침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코어(10)의 상면 양측 모서리는 각각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할 뿐 아니라 완성된 전기접촉단자(100)가 인쇄회로기판 등에 솔더링 된 후 대향하는 대상물과 조립되는 과정에서 양측 모서리에서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코어(10)는, 이 실시 예와 같이, 튜브(tube) 또는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형상이거나 스펀지와 같이 관통구멍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코어(10)는 대략 사각형이지만, 후술하는 도 6의 실시 예와 같이 특정한 목적에 적합하게 변형될 수 있다.
1.2 접착제층(20)
접착제층(20)은 유연성, 탄성 및 절연성을 가지며, 전기접촉단자(100)가 리플로우 솔더링에 적용될 경우에는 내열성을 가질 수 있고, 코어(10)와 폴리머 필름(30) 사이에 위치하여 코어(10)와 폴리머 필름(30)을 신뢰성 있게 접착한다.
접착제층(20)은, 가령 액상 실리콘고무가 열 경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액상 실리콘고무는 경화하면서 대향하는 대상물인 폴리머 필름(30)과 접착되고 경화 후 고상의 접착제층(20)을 형성하는데, 한 번 경화된 후에는 탄성을 유지하며 다시 열이 가해져도 용융되지 않고 접착력을 유지하여 솔더링 시에도 접착력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접착제층(20)은 자기접착성을 갖는 실리콘고무 접착제가 경화에 의해 형성되고 두께는 대략 0.005㎜ 내지 0.03㎜이다.
1.3 폴리머 필름(30)
폴리머 필름(30)은, 예를 들어, 내열성이 좋은 폴리이미드(PI) 필름이나 기타의 내열 폴리머 필름일 수 있으며, 유연성과 기구적 강도를 고려하여 두께를 결정할 수 있다.
폴리머 필름(30)은 통상 유연성이 있는 연성회로기판에 사용되는 폴리머 필름이다.
일 예로, 폴리머 필름(30)은 액상의 폴리머가 캐스팅 된 후 경화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경화된 폴리머 필름(30)의 두께는 0.007㎜ 내지 0.030㎜이다.
1.4 금속층(40)
금속층(40)은 한 면이 폴리머 필름(30)을 감싸도록 접착 형성되며, 도 1(b)의 원안에 확대하여 나타낸 것처럼, 구리 박(41)과 구리 박(41)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덮도록 적층되는 금속도금층(42, 43, 44)으로 구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금속도금층(42)은 구리 박(41)의 표면을 덮는 도금층을 나타내고, 금속도금층(43)은 제조공정 중 접촉단자 바(bar)를 절단하여 개별 접촉단자(100)를 만들 때 길이방향 양단의 절단면을 덮는 도금층을 나타내며, 금속도금층(44)은 구리 박(41)에 개구(45)를 형성할 때 에칭에 의해 생기는 에칭면을 덮는 도금층을 나타낸다.
금속도금층(42, 43, 44)은 주석(Sn)이나 은(Ag)을 도금하여 형성하거나, 니켈(Ni) 도금 후 주석 (Sn) 또는 금(Au)을 순차적으로 도금하여 형성하는데, 예를 들어, 주석이나 은의 경우 두께가 대략 2㎛이고, 니켈/금의 경우 대략 니켈의 두께는 2㎛, 금의 두께는 0.1㎛ 정도이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한 구리 박(41)의 노출 부분은 구리 박(41)의 원래의 표면을 포함하고, 폭 방향의 양 단면 및 구리 박 원단으로부터 적절한 길이로 절단할 때 형성되는 길이방향의 절단면과 개구(45)를 형성할 때 생기는 에칭면을 모두 포함한다.
금속층(40)은 폴리머 필름(30)의 이면에 접착되는데, 가령 금속층(40) 위에 액상의 폴리머를 캐스팅하고 경화시켜 폴리머 필름(30)을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금속층(40)이 폴리머 필름(30)에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폴리머 필름(30)과 금속층(40) 사이에 별도의 접착제를 개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금속층(40) 위에 액상의 폴리머를 캐스팅하고 경화하여 폴리머 필름(30)을 만드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제조원가가 싸다는 이점이 있다. 이 경우, 개구(45)를 통하여 접착제가 노출된다.
이 실시 예에 의하면, 금속층(40)은,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금속 띠(40a, 40b)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금속 띠(40a, 40b) 중 어느 하나가 폭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루거나 양자 모두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서로 교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폭 방향으로 대략 45도의 경사를 이루는 금속 띠(40a)와 135도의 경사를 이루는 금속 띠(40b)가 각각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 형성되고 이들 금속 띠(40a, 40b)가 격자 형상으로 서로 교차한다. 이해를 위해 도면에서는 이들 중 각각 하나의 금속 띠만 해칭되어 있다.
금속 띠(40a, 40b)가 서로 교차하는 사이에는 마름모 형상의 개구(45)가 분리 형성되어 개구(45)를 통하여 폴리머 필름(30)이 외부로 노출된다.
금속 띠(40a, 40b)의 경사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경사각도에 따라 개구(45)의 형상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이 실시 예와 같이, 금속 띠(40a, 40b)의 폭과 이들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전기접촉단자(100)에 의하면, 전기접촉단자(100)의 제조과정에서 형성되는 에칭면과 절단면을 포함하여 모든 노출 부분에 금속도금층(42, 43, 44)이 형성됨으로써 전기접촉단자(100)의 사용 중에도 접촉단자의 구리 박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구리 박이 부식될 염려가 없으므로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수직 절단면에서 구리 박(41)을 덮도록 형성된 금속도금층(43) 위로 솔더 크림이 잘 퍼져 절단면에서의 솔더링 강도가 증가한다.
한편, 금속층(40)은 서로 교차되는 금속 띠(40a, 40b)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개구(45)가 형성되면서도 격자 구조에 의해 물리적 강도가 증가하여 길이방향의 인장력에 대해서도 대항할 수 있어 제조과정 중 전기접촉단자가 금형으로부터 압출되어 나올 때 접촉단자가 잡아 당겨지면서 인장력을 받아도 전기접촉단자가 늘어나거나 꼬이지 않게 된다.
또한, 경사를 갖는 금속 띠(40a, 40b)가 교차하여 금속층(40)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조과정에서 절단시 양 단면에 항상 금속층이 존재하게 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개구(45)가 마름모 형상이지만, 금속 띠(40a, 40b)가 경사지고 서로 교차하는 패턴을 유지하는 한, 개구(45)는 원형이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에칭시 개구(45)에 대응하는 패턴 마스크의 형상으로 대응 할 수 있다.
또한, 금속층(40)에 개구(45)가 형성되어 전기접촉단자가 대상물에 의해 눌릴 때 금속층에 의한 눌림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개구(45)가 분리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에서 유입되는 전자파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접촉단자(100)의 좌우의 개구(45)의 패턴이 대략 대칭되기 때문에 유사한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접촉단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두께가 대략 10㎛ 정도의 구리 박(41) 위에 폴리머 필름(30)에 대응하는 액상의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를 도포하고 경화하여 금속층이 형성된 폴리머 필름을 제조한다. 이와 달리, 구리 박(41)과 폴리머 필름(30)을 내열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두께가 두껍다는 단점이 있다.
이후, 구리 박(41)을 노광에 의한 에칭에 의해 마름모 형상의 개구(45)가 격자 패턴으로 배치되도록 형성하여 폴리마 필름(30)이 노출되도록 한다.
구리 박(41)에 개구(45)가 형성되어 합지된 폴리머 필름(30)으로 액상의 접착제층(20)을 개재하여 코어(10)를 감싸면서 연속하여 금형에 넣어 통과시킨다.
금형으로부터 인출되는 막대 형상의 접촉단자 바(bar)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개별 접촉단자를 형성한다.
개별 접촉단자를 제작한 후, 각 접촉단자에 대해 니켈 및 금의 도금 공정을 수행하여, 도 2와 같이, 구리 박(41)의 표면, 구리 박(41)의 폭 방향의 양 단면, 그리고 수직 절단면과 개구(45)의 에칭면에 모두 금속도금층(42, 43, 44)을 형성한다.
여기서, 실리콘고무 재질의 코어(10)에 의해 전기접촉단자(100)의 비중은 물의 비중보다 작아 물에 뜨며, 따라서 벌크(Bulk) 방식으로 무전해 도금을 이용하여 금속도금층(42, 43, 44)을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다.
특히, 무전해 도금의 의해 금속도금층(42, 43, 44)을 형성하는 경우, 금속도금층(42, 43, 44)의 표면 거칠기가 커져 표면적이 증가하고 그 결과 솔더 크림과의 접착력이 향상되어 솔더링 강도가 증가한다.
여기서, 코어(10)는 비발포 실리콘고무이거나 발포고무, 가령 스펀지로 구성되고, 접착제층(20)은 액상 실리콘고무가 열 경화에 의해 형성되며, 폴리머 필름(30)은 폴리이미드 필름을 구성되어, 이러한 재료들이 무전해 도금 공정에 의해 금속도금층(42, 43, 44)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금속도금층(42, 43, 44)이 형성된 제품을 릴 테이핑 장치를 사용하여 캐리어 테이프에 자동으로 릴 테이핑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접촉단자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 예의 전기접촉단자(200)는 상기의 일 실시 예의 전기접촉단자(100)와 유사한 구조를 구비하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전기접촉단자(200)는, 탄성 코어(10), 접착제층(20), 폴리머 필름(30), 및 금속층(40)이 순차적으로 감싸며 적층되고, 금속층(40)의 하면에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50)가 접착되어 이루어진다.
이 실시 예에서, 접촉단자(200)의 하면에는 대략 접촉단자(200)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갖는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50)가 부착되고 대략 길이가 폭에 비해 상당히 길다. 이 경우 접촉단자(200)의 명칭보다는 EMI 개스킷(EMI Gasket)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테이프(50)의 밑에는 이형지(60)나 이형필름이 점착되는데, 점착이 잘 되도록 필름(30)의 하면이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점착테이프(50)는 아크릴, 또는 우레탄 점착제에 금속 파우더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점착테이프(50)는 접촉단자(200)의 하면의 폭과 유사하게 형성하거나 일부 작거나 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높이가 대략 0.1㎜ 내지 0.5㎜이고 폭이 1㎜ 내지 3㎜ 정도의 작은 치수를 갖는 전기접촉단자에 적용할 수 있는데, 높이가 매우 낮고 폭이 매우 좁기 때문에 길이를 비교적 길게 제공하며, 이때 납오름 현상 때문에 낮은 높이에서는 사용하기 불편한 솔더링보다는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50)를 하면에 부착하여 효율적으로 대상물에 실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이 경우, 전자파를 차폐하는 전자파 실딩(EMI shielding)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접촉단자(100, 200)는, 전자파 차폐를 위해 사용되는 탄성을 갖는 전도성 개스킷, 또는 상하방향으로 전기를 연결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탄성을 갖는 전기 커넥터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전기접촉단자
10: 코어
20: 접착제층
30: 폴리머 필름
40: 금속층
41: 구리 박
42, 43, 44: 금속도금층
45: 개구
50: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

Claims (7)

  1. 탄성 코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코어를 감싸며 접착되는 내열 폴리머 필름, 및 상기 필름을 감싸며 접착되는 구리 박을 포함하는 전기접촉단자로서,
    상기 금속층은, 폭 방향 전체에 걸쳐 상기 폭 방향에 대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를 이루어 연장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금속 띠가 서로 교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띠 사이에 에칭에 의해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구리 박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 폭 방향의 양 단면 및 양측 수직 절단면과 상기 개구의 에칭면 위에 구리보다 내부식성이 좋은 금속도금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2. 청구항 1에서,
    상기 필름의 하면에 전기전도성 양면 점착테이프가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3.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개구는 마름모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4.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금속도금층은 무전해 도금으로 형성되어 표면 거칠기가 증가함으로써 솔더링 강도가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5. 청구항 1에서,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진공 픽업에 의해 전기전도성 대상물에 실장되고 솔더 크림에 의해 리플로우 솔더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6.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전자파 차폐를 위해 사용되는 전기전도성 개스킷 또는 전기연결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전도성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7. 청구항 1에서,
    상기 전기접촉단자는 상기 폴리머 필름의 적어도 한 면에 전기전도성 점착테이프가 부착되거나 또는 릴 캐리어에 포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0160116884A 2016-05-31 2016-09-10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170135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182 2016-05-31
KR20160067182 2016-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626A true KR20170135626A (ko) 2017-12-08

Family

ID=6038416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811A KR101793719B1 (ko) 2016-05-31 2016-07-12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60116884A KR20170135626A (ko) 2016-05-31 2016-09-10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0160116990A KR20170135627A (ko) 2016-05-31 2016-09-12 탄성 전기접촉단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811A KR101793719B1 (ko) 2016-05-31 2016-07-12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990A KR20170135627A (ko) 2016-05-31 2016-09-12 탄성 전기접촉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793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027B1 (ko) * 2019-11-15 2022-07-05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2258846B1 (ko) * 2020-01-15 2021-06-01 조인셋 주식회사 압접형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621Y1 (ko) * 2003-12-08 2004-03-18 주식회사 유일전자 플렉시블인쇄회로기판형 제브라 커넥터
KR200390440Y1 (ko) * 2005-04-14 2005-07-22 조인셋 주식회사 이방 도전성 커넥터 단자
KR200446337Y1 (ko) * 2007-12-28 2009-10-20 조인셋 주식회사 탄성 전기 접속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719B1 (ko) 2017-11-06
KR20170135627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253B1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711016B1 (ko) 내 환경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62261B1 (ko) 솔더링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001354B1 (ko) 리플로우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JP2009218207A (ja) 半田付け可能な弾性電気接触端子
JP2010093258A (ja) セラミックチップアセンブリ
US8502080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with waterproof structure
KR101297369B1 (ko) 전기적 성능을 갖는 적층구조의 탄성고무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4881B1 (ko) 낮은 높이에 적합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170135626A (ko) 내부식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178869B1 (ko) 전자파 차폐 가스켓
KR101018735B1 (ko) 솔더링이 가능한 탄성 전기접촉단자
KR20170108772A (ko) 탄성 전기접촉단자
US20140097014A1 (en) Surface mounting gask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001355B1 (ko) 표면 실장용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0920469B1 (ko) 도전성 탄성블럭
KR20180028392A (ko) 코어리스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735656B1 (ko) 내 환경성이 향상된 탄성 전기접촉단자 및 그 제조 방법
JP7478732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及び電池配線モジュール
KR102594639B1 (ko) 응력 집중을 방지한 클립 개스킷
KR101759712B1 (ko) 신호전달 안정성을 갖는 탄성 전기접촉단자
KR101799095B1 (ko) 메탈코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17037771A (ja) フラットケーブル
KR20150024242A (ko) 솔더링이 가능한 인테나 및 그 제조방법
JP2006108449A (ja) 配線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